울산역, 신경주역이 시내 중심에 없는 이유 [김시덕 박사의 도시야사3 #20]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5 มี.ค. 2024
  • #울산역 #신경주역 #동해선
    현지 사람들도 헷갈려요... 끝임없이 사라지고 생기는 동해남부의 역들!
    특히 울산의 철도들이 많이 사라진 이유?
    철도의 역사를 알면 도시의 역사도 알 수 있다!
    출연자: 김시덕 박사
    촬영 날짜: 24/02/05
    📍책 소개와 미리 보기
    《문헌학자의 현대한국 답사기 1》
    교보문고: lrl.kr/r9YV
    예스24: lrl.kr/AygP
    알라딘: lrl.kr/fzxC
    《문헌학자의 현대한국 답사기 2》
    교보문고: lrl.kr/M8H7
    예스24: lrl.kr/r9YO
    알라딘: lrl.kr/jLGF
    삼프로TV의 교육 브랜드 - 위즈덤 칼리지
    위즈덤 칼리지는 "삼프로TV" 앱과 웹사이트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모바일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TV"를 검색하시어 설치하세요.
    ■ PC : apps.3protv.com/ 로 접속하세요.
    네이버에 "삼프로TV"를 검색하셔도 됩니다.
    📞고객센터 : 02-2118-0707
    ★ 광고문의 : ad@3protv.com
    ★ 광고문의 : 010-2090-6748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1

  • @sea99sd
    @sea99s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14:14 고서를 맨손으로 만지는 이유
    박사님 오늘도 하나 배우고 갑니다~!

  • @totoromei
    @totorome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항상 좋은 내용 감사드려요 잘 봤습니다

  • @user-st4jz5ip6l
    @user-st4jz5ip6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항상 좋은 컨텐츠를 만들어주시는 박사님 감사합니다! :)

  • @user-ix7sg2rw2v
    @user-ix7sg2rw2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박사님
    도시야사 재미있습니다
    교수님 덕분에
    많이 알아가고 있어요 😊😊

  • @watcher_123
    @watcher_1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8:14 舊 울산역은 과거 강북에서도 역 위치가 현 시계탑에서 반구등 인근으로 바뀌었다가 현 태화강역 자리로 갔지요.

  • @chk9819
    @chk981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울산 사는 사람으로서 울산을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ol5mo8or9g
    @user-ol5mo8or9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항상 좋은 자료로 재밌게 설명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일제시대 말에 관광목적으로 서적이 발간된 것도 재미있는 사실이네요 ^^

  • @chansucklee2663
    @chansucklee266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 들었습니다. 제가 지금 예전 달리역 주변에 살고 있고, 어렸을땐 야음역주변, 대학마치고 서울에서 내려왔을땐 신화마을앞, 군대는 서생, 남창, 덕하에서. 현재 직장은 호계역 주변. 철도랑 관계가 많았네요

  • @user-dn9sr5gj5v
    @user-dn9sr5gj5v 2 วันที่ผ่านมา

    내가 사는 울산 중구민인데 너무 낫설어요 박사님 덕분에 놀랏습니다 😮 그래서 책을 구입햇어요~

  • @MrFuturebank
    @MrFutureban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드디어 울산편이 나오는군요. 울산에서 1970년에 태어나서 2000년경까지 살았습니다. 지금은 전가족이 서울로 와서 갈일이 별로 없지만 고향같은 곳입니다. 삼산에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항공편이 다니던 비행장이 있었다고 하더라구요.

    • @user-ii4wc3kl2e
      @user-ii4wc3kl2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고향같은게 아니라 고향 맞는데

  • @koreatravelchannelamumaltv7064
    @koreatravelchannelamumaltv706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단히 흥미롭습니다. 6분 20초, 관박연락선이 아니라 부박연락선인 듯합니다.

    • @Korean_Park
      @Korean_Par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15 댓글 쓰신 분 말이 맞네요. 부박연락선.

  • @user-ep8rs3tl8e
    @user-ep8rs3tl8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기다렸습니다 울산 기대됩니다 ^^

  • @user-wq3zh7dy7p
    @user-wq3zh7dy7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럴수 밖에 없어요.
    단선이 구간을 복선전철화해서 깔고자 하면 그 민가를 다 사서 공사해야 하는데 그 비용이 만만치 않죠.
    더구나 이전에 깔린 선로에 복선화만 하면 속도가 느려요.
    워낙 곡선 구간이 심하다보니
    그래서 장항선 복선 개량화 때도 아예 선로 옆이 아닌 직선화 시키다보니 이전 역 위치랑은 다소 거리 차이가 있어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지상철도는 기피시설 입니다.
    그래서 시내중심가에 까는건 어렵다보니 새로 깔리는 노선들도 외곽에 깔립니다.

  • @sound9577
    @sound957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건 못참지

  • @yingshupiao
    @yingshupia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꺄 내 고장 울산이닷!!!!!!!!! 지하철대신 고래타고 다니는 울산❤

    • @Gfdhjnvr74gt754fuy
      @Gfdhjnvr74gt754fu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범고래는 요즘 기름값 올라서 2000원 오름요. 콜로 돌고래는 부르시지 마세요. 요즘 안 친절 하더이다.

    • @ston.k444
      @ston.k44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상괭이가 친절하던데 아직 운행하나요?

    • @user-ey3yb5wo9e
      @user-ey3yb5wo9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ton.k444어느 후보 한분이 공약으로 냈드라구요 아마 곧 될것같아요

  • @user-ky5mp3ps3q
    @user-ky5mp3ps3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냥 내가 쓸려고 하면 멀어서 엿 같고, 그렇다고 너무 가까우면 시끄러워서 엿 같은 거니까 역 위치 때문에 엿 같은 건 어쩔 수 없죠.
    근데 울산역 복합환승센터 좌초된 이유가 상업적으로 울산역 위치가 쉣인 이유도 있고 울산 자체도 유통업계에서는 상업적인 매력이 없다고 생각하나 싶은 것도 있고...

  • @geminiacademy
    @geminiacadem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금은 울산역에서 태화강역으로 권력이 옮겨가는중임. 그 분기점은 태화강역 KTX 유치임.

    • @user-pp3wd5lw8e
      @user-pp3wd5lw8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소음을 경험하면 글쎄요.... 방음벽, 고속도로 국도 방음벽에 거리가 1km떨어져도 지나가는 소리 들립니다.
      북구쪽의 문제는 원 철도를 다 없애버려 걸설하기가 참 까다롭게 되었죠...

  • @user-vp2vc3ko3l
    @user-vp2vc3ko3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신도시 개발후 철도 놓으라 아우성 아니고 동탄의 경우 개발 하면서 전철개설위한 자금 댄것으로 아는데요. 아파트 가격에 반영 시킨것 아니었나요.그외 지역도 택지 개발 단계에서 비용부담 하는것 아닌가요.

  • @nickn1991
    @nickn1991 2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애시당초, 경부고속선을 잘못 만들었다.
    고작 울산역이랑 경주역을 연결하겠다고 이상한 곳으로 빙 둘러간다.
    사는 곳에 따라 다를지언정, 구포역 KTX가 부산항까지 내려가야 하는 부산역 KTX보다 가성비가 월등히 좋다.
    부산은 동대구-창원 고속선 사업에서 부전역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게 움직여야 한다.

  • @user-yo1tq3dh9g
    @user-yo1tq3dh9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내고향 울산~~~~^^

  • @MrFuturebank
    @MrFutureban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재 삼산동 태화강역은 1992년에 울산역으로 영업을 시작했군요. 삼산동에 신도시가 한참 들어서기 시작할 무렵이었어요.

    • @user-pp3wd5lw8e
      @user-pp3wd5lw8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5년까지 현태화강역 앞에서 낚시를 하던 사람이 있었다면 모두 놀라죠..

  • @wisdom1819
    @wisdom181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KTX 울산역의 경우는 경부 고속전철로의 부산 대구 구간을 가급적 최단으로 연결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거리가 원도심에서는 떨어진 서울주에 위치할수 밖에 없는 것 같네요. 울산으로부터 안 좋은 접근성은 울산시에서 해결해야 하는데 생각보다 잘 못하고 있는듯. 하긴 KTX 울산역사마저 그냥 SKIP 하려고 했던 것을 사정 사정해서 만들었다라는 후문도 있던데. 그만큼 울산은 경제력 대비 정치인들 수준이 떨어져 중앙에서의 인지도는 형편없이 낮음. 지금현재 KTX 경부선에서 울산역 승객들이 가져다 주는 매출은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음.

    • @user-pp3wd5lw8e
      @user-pp3wd5lw8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정사정하고 양산에서 관광을 위해 도움을 줘서 그 위치가 된 겁니다.
      그리고 시내까지 10분 거리고, 시청까지 20분 거리죠..

  • @user-qh4cs5vh5g
    @user-qh4cs5vh5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태화강역 에 ktx이음 유치 되길 ..울산 시민들 언양 울산역 까지 갈려니 넘
    불편 하다

  • @hakunamatata898
    @hakunamatata89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경주역은 경주대총장 이랑 관련된거 아닌가요?

    • @user-iz5cc2dv7u
      @user-iz5cc2dv7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학교도 말아먹은 그자???

    • @kellykim189
      @kellykim189 26 วันที่ผ่านมา

      저도 그리 알고 있어요...

  • @Izmirkitty
    @Izmirkitt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내 고향 울산

  • @user-lt5qh2po4l
    @user-lt5qh2po4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꺄~ 내가 살고 있는 경주 ㅋㅋ

  • @user-qv6jt2jd5v
    @user-qv6jt2jd5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박사님께 궁금한 게 있습니다🙋🏻‍♂️
    저 인스타에서 왜 차단하셨나요?😮
    ※좀 섭섭하긴 했지만 항의 아닙니다🙅‍♂️
    풀어달라는 것도 아닙니다 그럴 권리도 없구요 순수한 궁금증입니다(짐작은 갑니다만 정확히 알고싶습니다 딱히 저랑 댓글이나 DM도 없으셨잖아요☹)
    마찬가지로 저 역시 거슬리신 게시물이라던가 수정할 생각은 없습니다 제 표현의 자유니까요 다만, 꽤 합리적인 분인 것 같아서 참고 차 알고싶습니다 메일이나 타 아이디로 디엠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박사님께서 꺼려하시는 박사님의 팬 올림😞-

  • @DS-nl5pp
    @DS-nl5p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신경주역 경주역이 되었습니다. 서경주역도 열차잘 안 다님. 일제 때 사천왕사지 동궁과 월지 부분적으로 훼손하고 한 🛤 🚆.
    경주역 있을때가 당연히 훨씬 나아요. 신경주역 가면 시내와 보문관광단지, 감포, 경주 위쪽도 멀고 열차 출발하기 전까지 타야 하는데 시내버스로 (신)경주역 타기에는 불안해요. 주변에 개발하고 있어요. 버스시간이 맞다면 무열왕릉 방면 버스 타야지 경주대랑 충효동.선도동쪽 가는 버스 타면 내리는 정류장도 많음. 경주 시내에는 1시간 전에 출발해야 신경주역 도착하는 거 같음. 경주역이 하도 멀어서 경주시민들과 관광객은 KTX가기까지 유네스코의 권고로 경주 시내에 철도가 다니지 않아 불편함. 버스노선을 만들어도 부실해요

    • @user-ul1si9vg9l
      @user-ul1si9vg9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멀고 가깝고는 경주 어디에 사는냐에 따라 다르겠죠~ 버스타고 경주역에서 터미널까지 15분, 시내까지 20분이면 도착하죠... 먼건가요;;; 열차를 자주 타신다면 충효나 경주역 신도시가 만들어지면 거기 주거 하시면 편하실것 같네요~

  • @koreanerd
    @koreaner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신경주역 이름 경주역으로 바뀌었습니다.

  • @happyhan608
    @happyhan60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헐 개마고원에서 면양을 키웟군요. 첨으로 ㅋ

  • @user-ih9nr8zh4j
    @user-ih9nr8zh4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울산역이 성남동에 있었던 걸 잠시나마 본 마지막세대인데 두세살 차이 나는 친구들한테 여기에 역이 있었다고 하면 왠 원시시대 사람이냐라는 둥의 반응이 나옵니다 ㅋㅋㅋ

    • @elsid1014
      @elsid101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0년대 후반까지 번영교옆에 철도교가 반쯤 남아있긴했어요 ㅎㅎ

  • @user-iz5cc2dv7u
    @user-iz5cc2dv7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일설에는 유력한 사람들이 철도역사의 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죠.... 돈과 권력이 영향을 끼쳤다고 하죠.... 에이 퉤퉤퉤

  • @saemaeulho789492
    @saemaeulho78949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신경주역이 유네스코 권고를 안받고 원래 계획대로 경주IC 근처에 건설했으면 울산역도 태화강대공원 근처에 건설했을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 넘에 유네스코가 문제이긴 한데 경주는 문화재관광지가 유명해서 그것도 절대 무시못하는게 장단점이네요.

    • @user-pp3wd5lw8e
      @user-pp3wd5lw8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위치를 모르는군요.. 경주 IC에서 35번국도 직진하면 현재의 KTX울산역입니다
      경주 IC에서 국립공원인 남산에 터털을 만들수는 없죠..

  • @garden524
    @garden52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요즘 역들은 왜이리 외곽에 짓냐 불평하지만 주요 역도 지어질 시절에는 외곽이었다는 걸 상기해야합니다

  • @user-up9qm4jg8z
    @user-up9qm4jg8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울산하면 최욱이지😂😂

  • @user-rs7dn6yn1z
    @user-rs7dn6yn1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에휴..ktx울산선(현 울산역-태화강역)이 생겨나게 되어지고, 또한 경주선(구 중앙선)이 구간은 아화역-서경주역{이는 경주중앙역으로 개칭 및}-경주역이 다시 운행이 되어지고 다시 열차가 다니게 되어지면 좋겠습니다. 100% 이렇게 무조건 꼭 되어지면 좋겠습니다.

    • @leedinggoo4350
      @leedinggoo435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모화 경주 구간 철도는 없애야되는 이유 모르노

    • @sinzzang2848
      @sinzzang284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같이 좀 먹고살자! 울주군은 뭐 울산 아니가? 그냥 확 떨어져 나가주까? 울주군 떨어져 나가면 울산 땅떵어리 쥐똥만한 크기 잘~~~먹고 살겠네? 그치? 울주군에 포함된 기업들만해도 꽤나 큰데! S-oil 삼성 sdi 오뚜기 등등 뭣도 모르고 그냥 씨부리지! 남구 중구 북구 동구 다합쳐도 울주군 땅덩어리 크기도 안되면서! 온산전체도 울주군 인건 알고있나 모르겠네!

    • @user-pp3wd5lw8e
      @user-pp3wd5lw8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KTX가 지나는 선로 근처 마을에 살아보니 소음 심합니다.. 그나마 1km 떨러지고 방음벽이 몇개 이어서 괜찮죠..
      이부분을 해결하려면 시내구간은 고속철이 아니라 저속철이 되어야는데 그건 무궁화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지요..

  • @kakuka4953
    @kakuka495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45 에 나오는 2003년 지도에 예전 철길 남아있다고 돼있는데 저건 좀 말이 안됩니다. 저 철길이 관통하는 학교를 90년대후반에 다녔는데 당연히 주변에 철길 없었습니다. 시청, 은행, 주택가 지역이라 저런 대각선으로 폐선이 남아있을만한 동네도 아니구요. 뭔가 상징적으로 지도에 남겨 놓은거 아니면 오류인거 같네요.
    자세히보니 지명도 뭔가 다른게 많은거 보면 옛지도와 2003년 지도를 겹쳐 놓은거 같기도 하고... 이상하네요.

    • @user-pp3wd5lw8e
      @user-pp3wd5lw8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철도믄 없앴지만 그 길은 꽤 오래 남아 있었습니다. 완전히 없어진게 2010년 넘어서일겁니다.

    • @elsid1014
      @elsid101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92년도에 선경아파트살아서 기억하는데 번영교옆쪽에 철도교량은 남아있었어요 대신 온전하진않고 반쯤?

    • @kakuka4953
      @kakuka495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lsid1014 저도 정확한 년도는 모르겠지만 어릴때 철교 본적있습니다. 야음역 가는길 도산근처에 굴다리라 부르던 철길, 동서오거리 굴다리도 기억나구요 ㅎㅎ 그런데 2003년 지도에 시청부근쪽 철길이 남아있는건 저 지도 정보가 2000년대 정보는 아니고, 90년대 초반 정보 같습니다.

  • @j.heeyune4089
    @j.heeyune408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경주는 세계문화유산구역 이니까?

  • @CUPark
    @CUPar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민영화 .. 영국 철도, 일본 철도. 민영화 철도 서비스가 좋아졌다는 근거가 어디서 튀어나왔는지 궁금하네요. 그 유명한 영국철도 민영화 요금이 얼마나 무서운지 한번 타보고 나서 말하는 것인지 아니면 뇌피셜로 떠드는 것인지 정확한 논리적 근거를 대고 주장했으면 합니다.
    영국철도와 독일 도이치반하고 한번 비교해 보세요. 누가 더 서비스가 좋고 요금이 훨씬 더 저렴한지.
    영국 페딩턴역에서 급하게 한번 열차 타보세요. 아주 화끈한 요금에 말문이 턱하고 막힐 것입니다.
    도대체 민영화가 되면 기업이윤이 추가 되는데 어떻게 요금의 대폭 인상없이 서비스가 좋아진다는 것입니까?
    한국전력 발전사업부 일부 민영화하니까 민영발전회사는 조단위의 흑자. 하지만 한전 본사는 부채에 허덕이는 것이 현실인데 도대체 민영화가 왜 튀어나오나요?
    수서 KTX도 돈들어가는 것은 코레일이. 열차도 원가이하로 빌려줘, 고속철도도 깔아줘.... 돈은 수서 KTX가.
    분명히 수서 KTX 시행하면 요금은 대폭 인하되고 서비스도 좋아진다고 대대적인 광고를 했는데. 요금은요? 서비스는?
    불필요한 분란을 야기시키지 마시고 공공서비스를 어떻게 운영하면 독일 도이치반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고 더 좋은 서비스 환경을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연구와 비젼을 제시해주었으면 합니다.

    • @user-bh3lg3fe4g
      @user-bh3lg3fe4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튀어나오다 떠들다 이런표현이 좀 그렇네요
      분란을 야기하는게 누군지 궁금합니다
      좀 순화된 표현 필요합니다

    • @wisdom1819
      @wisdom181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지적입니다.

    • @kakuka4953
      @kakuka495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맞는말이죠. 자본주의 사회니까 요금올리고 서비스는 좋아질거라는건 너무 순진한 생각 같은데요. 대체 방안이 없으면 요금만 올리지 서비스가 좋아져야 할 이유가 없는데 기업들이 무작정 서비스질을 올릴 이유가 있나요.

    • @wisdom1819
      @wisdom181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akuka4953 동의합니다.

  • @user-ib4sm2ig7x
    @user-ib4sm2ig7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제 울산 시내중심가에 올연말쯤 이음 들어옵니다 ㅋㅋㅋㅋ
    언양까지 안갑니다

    • @wisdom1819
      @wisdom181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동서울까지 1시간 10분 이상 더 걸려서 급한 비즈니스 승객은 그데로 언양으로 갈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태화강역은 동해남부선의 연결이고 포항 나중에는 동해와도 연결되어 관광수요로는 큰 기대가 되네요. 물론 경북 내륙이나 충북 강원으로 가는 수요도 태화강역에서 타고 가면 좋죠.

    • @user-pp3wd5lw8e
      @user-pp3wd5lw8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속철타고 돈 더내세요..

    • @user-ib4sm2ig7x
      @user-ib4sm2ig7x 25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pp3wd5lw8e 풉 ㅋㅋㅋ부럽나바요 ??

  • @user-pv5gm6wz7e
    @user-pv5gm6wz7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국 어느 지자체에 가도 흔히 보는 향토 해설사 역할을 자기 돈과 시간 들여 직접 하는 분이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네요. 무슨 조선 시대 떠돌이도 아니고..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지방자치에 대해 전혀 모르시는 것 같네요.

  • @leedinggoo4350
    @leedinggoo435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역을 잘아는 사람이 보는 시각에서 평가
    쪼메 다른면이 더러 있노

  • @user-up9qm4jg8z
    @user-up9qm4jg8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울산하면 최욱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