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와 백자의 아름다움 - 국립중앙박물관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ม.ค. 2023
  • 비색청자의 비밀
    고려청자의 비색을 내기 위해서는 좋은 원료를 확보하고 높은 온도로 청자를 구울 수 있는 기술력이 필요하다. 가마에서 불 때는 시간, 온도를 올리는 속도, 고온을 유지하는 시간, 불을 때고 식히는 속도 조절 능력 등 축적된 기술과 경험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비색청자는 고려인이 구현했던 수준 높은 청자 제작 기술과 독창적인 미감의 곁정체이다.
    고려 비색청자의 독창적인 아름다움은 중국 청자와 비교한 유약 성분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고려 비색청자유약에는 산화망간 (Mno)이, 중국 비색청자에는 산화 티타늄(TO.)이 상대적으로 더 많다. 홈과 유약의 성분 분석 등으로 고려청자의 기술이 밝혀지고 있지만, 고려청자의 비색은 여전히 미지의 세계로 남아 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

  • @TV-nb4lu
    @TV-nb4lu ปีที่แล้ว +1

    순결한 백자와 청아한 청자의 풍모를 다시금 느껴볼 수 있도록 수고하심에 감사드립니다!
    늘 응원할께요♡

  • @user-rj7dq4xj4f
    @user-rj7dq4xj4f ปีที่แล้ว +1

    박물관 청자와 백자 순서대로 보니까 대비가 되면서 각각의 멋을 느끼게해주네요 백자는 우아한 느낌이 나고 청자는 단아한 느낌이 나서 좋은데요 박물관 풍경을 멋지고 재미있게 촬영을 잘 하셨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재미있게 시청하고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