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루앙성당은 어떻게 생겼을까?[예술5편 박구용왔구용] [네시상륙작전 최장군입니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ก.พ. 2025
  • 으하하하 웃음폭탄 남매의 티키타카 철학 스토리
    '철' 없는 어른들을 위한 인생 '학'교
    [박구용 왔구용] "예술" 다섯 번째 이야기
    프로그램 다시 듣기 (팟빵):
    podbbang.page....
    ↓↓↓↓↓↓↓↓↓↓↓↓↓↓↓↓↓↓↓↓
    네시상륙작전 최장군입니다 (16:00~18:00)
    11월 27일 월 [박구용 왔구용] "예술" 5편
    월: 철없는 어른들의 인생학교 '박구용 왔구용'
    화: 썬킴의 웃기고 자빠진 전쟁사
    수: 꽈추형, 나해란 원장과 함께 속사정을 파헤치는 '고자질'
    & 애청자 퀴즈 '수요 전우회'
    목: 피아노오빠와 대금이누나 '힐링캠프 열중 쉬어'
    금: 먹으러 전진 요리하러 전진 '요상한 군식당'
    & 우석훈의 숫자가 없는 경제 이야기 '0~9 없~~다'
    토: 이제 병맛은 가라! 캔맛 ‘뽕.따.쏭’
    & 한번으로는 부족해 '박구용 또 왔구용'
    일: 기상천외한 중국요리 뮤직퀴즈 '신기루'
    & 이게 뭔소리 환장의 소리퀴즈 '들릴랑 말랑'
    #박구용 #박구용왔구용 #자유의폭력 #철학과 #교수 #전남대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박사 #박구용교수 #네시상륙작전 #최장군 #최지은아나운서 #특강 #네시상륙작전최장군입니다 #강의 #철학 #철들지않은어른들의인생학교 #예술 #광주시민자유대학 #예술의역사 #종교의식 #노동 #축제 #모방 #재현 #솔거 #소나무그림 #생각 #카메라 #모네 #루앙성당 #인상파 #현실재현 #표상 #쇼펜하우어 #재현 #표현
    ---------------------------
    ▶TBS 홈페이지 tbs.seoul.kr
    ▶TBS 페이스북 / mylovetbs
    ▶TBS 블로그 blog.naver.com...
    ▶TBS 인스타그램 / tbs_loveletter
    ▶티봉이 인스타그램 / tbongi0303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1

  • @magaret_flower
    @magaret_flower ปีที่แล้ว +6

    또 본방놓친 할멈. 그래도 꼭챙겨보며 내삶을채워갑니다

    • @musictalk9405
      @musictalk9405 ปีที่แล้ว +1

      언젠가 방송에서 언급하신 분 아니신가 싶네요. 멋지십니다.

  • @aychoi3927
    @aychoi3927 ปีที่แล้ว +7

    God(갓)구용~

  • @김숙-e8e
    @김숙-e8e ปีที่แล้ว +6

    정말 고급진 방송입니다

  • @김숙-e8e
    @김숙-e8e ปีที่แล้ว +4

    갓구용 대박이다❤

  • @몸마발몸마음발전소
    @몸마발몸마음발전소 ปีที่แล้ว +3

    하늘을 보면 구름의 형상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ᆢ
    음양의 조화
    부음이포양
    가장 자기다운것이
    가장 세계적인것이다
    우리 모두는
    각자

    이다

  • @이오막걸리
    @이오막걸리 ปีที่แล้ว +4

    여백이 있고 여운이 남는다~를 찝찝하다? 🎉새로운 언어를 창출한 최장군 만세~ 🎉

  • @신이제
    @신이제 ปีที่แล้ว +4

    재밌고 또 재밌다 ㅡ
    감사합니다 ㅡ

  • @보이차정치를녽하다
    @보이차정치를녽하다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상파이야기 하는 부분에서:우리는 과 왜? 라는 구조가 더해지면 새로운 게 나옵니다. 이것도 구조라는거죠! 우리는 에 왜만 더해지면 새로운게 나오죠.그런데 우리는 에 왜? 라는 것도 갖취진 구조라는거죠. 나는 에 왜?만 더해지면 사유한다는거죠. 문제는 이것도 이미 갖춰진 구조라는 거죠.
    그렇다면 왜 우리는 모두 철학자가 못되는가? 인식 안에만 있으려고 하니까? 모르는 것은 불안하다. 그것이 안전하고 내 인식 안에서 안전한걸 찾으려고하는 게 인식이니까? 우리는 자신의 인식이 부서지는 걸 싫어 합니다. 특히 정치 어젠더가 그래요.
    그런데 비도덕적인 1+1=2가 되면 안되겠죠. 비하는 이성적인 것? 아니죠?
    그런데 우리는 정치적 비하에 1+1=2를 하고 있다면? 그때 양심은 어디간거죠!

  • @소돌보는농부
    @소돌보는농부 ปีที่แล้ว +2

    갈수록 방송인 다 됬네요. 깊은 우물에서 퍼올리는 삶에 깨우침!

  • @보이차정치를녽하다
    @보이차정치를녽하다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예술. 할 때 藝.예 입니다.
    1.재주
    2.기예(技藝), 문예(文藝)
    3.법도(法度), 준칙(準則: 준거할 기준이 되는 규칙이나 법칙)
    예술할 때 술은 음양. 또는 점을 보는 점서.
    예술 할 때 예 자의 뜻이 위와 같습니다.
    재주 예. 라고 있을 때는 재주 속에 이미 어떤 규칙이 있었다.잖아요
    우리 사회는 규칙에 민감합니다.
    너에게 규칙을 적용하는 건 괜찬은데 나에게 규칙을 적용하지 말라?
    좋아하고 안하고는 정서의 문제 입니다.
    베토벤과 모차르트 중에 나는 누가 더 좋아! 할 때 인식과 정서에요.
    내가 싫어한다하더라도 규칙에 따랐다는거에요. 가령 모짜르트가 좋아!라고 했다하더라도 베토벤도 규칙 안에서 음악을 작곡했다는 겁니다.
    흔이 음악이라는 형태를 갖출 때 음악이 요구하는 법칙들 규칙들이 있잖아요.
    가령 새로운 음을 하나 찾으면 음악이 달라지겠죠. 반올림 3/4반짜 뭐 이런 일련의 음악의 준거가 있을 때 그리고 그 규칙을 지겼다.그때 그 준거의 규칙안에서 음을 변화시키면 작곡.
    중요한 건 음악을 만들 때 어떤것이든~/
    /자. 제가 이표시 위의 것까지만 글을 썼다면~여러분이 해석해야겠죠?
    여러분 구조주의를 함부로 대하지 마세요. 저는 이미 체계와된 그 모든 것을 구조주의로 봅니다.포스트모더니즘도 긔조주의에요. 사물을 깰려면 행동만 하면되요. 잔을 들고 있다가 오느 정도 위치에서 내려 놓은면 유리잔은 깨집니다. 무언가 부술려면 일정한 구조를 갖는 행태를 하지 않으면 구조는 안깨지잖아요. 침대 위에서 유리잔을 놓는다. 안깨져요. 하나의 질량이 있을 때 그 질량보다 큰 힘이 가해지면 깨진다. 구조잖아요.역시 모던이즘이라는거에요. 즉 내가 고도의 어떤일에 집중하다 시계를 보니 벌써이렇게 됗어! 놀란 경험하신 때들 있죠? 그순간이 포스트 모더니즘인거에요.그래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양적 질적 한방향성만을 갖지 말라에요!
    유리잔이 깨질 수 있는 공간에서 그걸 좀 깨보라는거에요. 질서를 찾으니 괴롭다! 그러면서 한때 병 깨는 것 우리나라에서도 유행한거 있었죠. 접시를 깨자는 노래도 있었죠!
    샤르트르는 또 밀란 쿤데라는 어떻게 그 사유를 했냐는 중요하지 않아요.
    밀란 쿤데라가 왼발로 사유했다! 들어본적 없죠? 머리로 사유한거에요.
    우리 구조체계 안에서 일어난 일일뿐이라고요. 샤르트르는 바케스에 물을 담아놓고 머리를 그 물 속에 57분 동안 집어 넣은 채로 사유했다! 못들어 보셨죠! 그렇게 하면 사망이니까?
    분명 우리와 비슷한 형태였을거에요!
    식탁을 놓고 앉아서 생각하거나 글을 쓸때 우리와 유사하거나 같은 구조로 글을 쓴거에요.단지 차이라면 왼손잡이는 왼손으로 글을 섰다 뿐.
    어떤 일을 할 때는 주어진 구조를 유지 해야 합니다.
    글을 쓰는 행위를 한다면 그 구조의 양식 안에 있을 때만 글을 쓸 수 있다는거죠! 포스트모더니즘의 고민하고 있는 그 순간도 우리의 일반 행동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준거의 틀 안에서 이루어졌다는거죠.
    내 몸에 주어진 준거 안에서 만 우리는 행동할 뿐이다!에요. 글을 쓰는 그 행위는 갖다에요.구조적으로!즉 내몸이 이미 모더니즘화된 규칙안에서 글을 섰다.
    대학 도서관 갖는데 앉아서 공부하는 구조는 유사성을 띠죠.이것도 구조 입니다. 단 어떤과목에 대한 공부를 하고 있냐만 다른거세요! 생물을 공부하면 그 세계에 빠지겠죠?물리를 공부하면 물리의 세계에 빠지겠죠? 앉아서 공부하는 형태는 유사하다는 겁니다. 즉 포스트 모더니즘도 모더니즘이라는거세요.단지 이걸 고민 안한 겁니다. A질량의 값을 부술 수 있는 힘만 있다면 가해진다면 A의 질량은 변한다.라는 걸 포스트모더니즘은 생각 안한것 뿐이에요.
    그리고 내 몸이 구조주의라는 사실을 말하는거에요. 즉 포스트모더니즘은 딴생각이에요! 내몸의 구조를 벗어나 봤는가? 먹는 행위 구조적으로 갖죠! 걷는 행위 구조적으로 같죠. 다만 모습이 다른 뿐 걷는다는 행위 자체는 같은구조죠. 다만 그때 그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모를 뿐이에요. 이게 그냥 남입니다. 친밀성을 갖을 때 우리인 거죠.
    그래서 구조주의를 함부로 하지 말자!
    포스트모더니즘도 구조주의다.
    왜 A의 질량값을 무너뜨릴 수 있는 힘만 A에 작동하면 A의 질량은 변하니까. 또는 형체는 변하니까. 질량이 변했다는건 이미 형체가 변했다는거.그래서 구조주의다.무엇은.포스트모더니즘은

  • @jiyunwoo815
    @jiyunwoo81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박구용교수님 너무 좋아요~~^^

  • @absolutdis
    @absolutdis ปีที่แล้ว +2

    방송 내용 너무 좋아요~

  • @순돌이-p5e
    @순돌이-p5e ปีที่แล้ว +3

    4시상육작전 주로 라디
    오로듯는대 하두 요란해서 오늘은 유투부로 시청합니다
    호주에서 시청중

  • @천지신-y7d
    @천지신-y7d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재미있는 진행자와 게스트.박구용 교수남...

  • @이미영-i6d
    @이미영-i6d ปีที่แล้ว +4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예술..여기서 의지에 대해 더 이야기 해 주세요,

  • @최지안-j9f
    @최지안-j9f ปีที่แล้ว +2

    나만의 세계는없다니 ㅠㅠ 그동안 나 자신을 돌아보고 생각하는 나가있기에 존재한다면서 예술에는 나만의 세걔가없다니 너무 어려워요.
    최장군님 교수님말씀 더쉽게 설명해주셔요🙏

  • @만다라-s9l
    @만다라-s9l ปีที่แล้ว +1

    예술의 대상 (object)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주세요.

  • @신성옥-o8t
    @신성옥-o8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참 시간잘간다.

  • @몸마발몸마음발전소
    @몸마발몸마음발전소 ปีที่แล้ว +1

    피카소의 변천사가
    예술사와 흡사하다고나 할까요?
    ㅋㅋ

  • @만보이-b2i
    @만보이-b2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