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티티맛보기] 송현주 교수 초청강좌 |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 합리화하는 존재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6

  • @j.hashtv
    @j.hashtv  2 วันที่ผ่านมา +19

    각 강좌는 해시칼리지에서 온/오프 참여 혹은 해티티 정기구독 등을 구매하여 전체 강의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shtv.org/htt

  • @산책-e2b
    @산책-e2b 2 วันที่ผ่านมา +11

    귀한 강의 엿볼 수 있어서 고맙습니다.
    마음이 오락 가락하고 있습니다. 앎의 세계가 중심을 잡는데 도움도 되고 교수님들의 선한 영향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

  • @jen-lim2022
    @jen-lim2022 2 วันที่ผ่านมา +12

    어머? 반가워서 들어왔다가 또 다 보고 가네요 😂 이것은 '바른마음'그리고 해시라이브 소담소담도 있고, 해시칼리지 월말강좌도 다 들어있네요. 모르고 들었을때도 좋았는데 조금 더 알고 들으니 '지식의 강화'와 앎의 즐거움 그리고 주마등(?)같은 기억들 😅 모두 연결되는 해시커리큘럼~~와우!!! 다시 해티티 가서 풀 버전 봐야겠어요~ 망각곡선의 주기가 너~무 지나지 않게 이렇게는 끌어올려 주시는 해시🧡~감사해요👍

  • @sarangbabo0
    @sarangbabo0 2 วันที่ผ่านมา +7

    우와~ 송현주교수님께서 밈 이야기를 해주셨었네요!
    해시라이브 100회특집으로 재미있었던 밈 경연대회가 떠오르네요.
    문화적 유전자...밈! 한사람의 머리에서 문화적 기술혁신이나 문화적 변동이 일어나면, 내가 만들어낸 문화적 관념 다른사람에게 퍼뜨리는 것. 모방, 복제 등. 그리고 그것들이 누적되어서 다음세대에 전달되고 변하는것.
    이런것들로 우리사회가 진화할수 있다!!!
    송현주교수님~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한모습 해시에서 계속 뵈었으면 좋겠습니다!

  • @lotuslakelet
    @lotuslakelet 2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제목이 완전 공감이라 들어와 봄. ... 합리화하는 존재. 그래서 우기게 됨. ㅋㅋ

    • @손봉익-1
      @손봉익-1 2 วันที่ผ่านมา +2

      합리화하려면 자신의 의견이 옳다는 논거를 제시해야되는데 우기는 행위는 합리화하려는 노력도 없는거라 봅니다

  • @jeanlee28
    @jeanlee28 วันที่ผ่านมา +3

    너무 재미있게 시청했습니다. 설명의 필요성, 의무감 못느끼고 직관적으로 나라 말아먹다 감옥에간 대통령이 이 강의 좀 들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 @hiroquet36
    @hiroquet36 2 วันที่ผ่านมา +7

    타진요를 보면 알듯, 논리만으로는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게 있습니다.

  • @연꽃-k8i
    @연꽃-k8i 2 วันที่ผ่านมา +12

    송현주교수님과 정준희 교수님이 토론하면 용암처럼🔥뜨거울 것 같네요♡

  • @littleforest2020
    @littleforest20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너무 유익합니다!!!

  • @킴-i7p
    @킴-i7p 2 วันที่ผ่านมา +1

    책 소개글에 나온 표현을 그대로 가져와 영상 제목으로 삼았군요. 카피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귀에 쏙 박히는 표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j.hashtv
      @j.hashtv  2 วันที่ผ่านมา +9

      저는 그 책이나 소개글을 보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그 소개글이 원본은 아닐 것이고, 딱히 누군가에게 원저작권도 있는 게 아니라 이 분야의 연구자라면 일상적으로 쓰는 명제입니다. 수많은 관련 분야 책과 논문 등에서 쓰는 문구이지요.

    • @손봉익-1
      @손봉익-1 2 วันที่ผ่านมา +4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 합리화하는 존재... 이 표현이 군중의 망상.. 이라는 책의 소개글에서 처음 나온 말인가요?

    • @킴-i7p
      @킴-i7p 2 วันที่ผ่านมา +2

      @@손봉익-1 누가 최초로 한 말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근자에 유독 자주 들리기도 했고, 접하자마자 통찰이 빛나는 표현이라는 인상에 강하게 남아서 어디서 보았는지를 남긴 것입니다.

    • @이우철-m4w
      @이우철-m4w 18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1

      ​@@킴-i7p 어디서 이 표현을 봤는지 남기고 싶으셨다면, 그냥 그 책에서 이 표현을 봤다고 하시면 되지, “ 책 소개글에 나온 표현을 그대로 가져와 영상 제목으로 삼았군요.” 라고 하실 필요가 있나요?
      그나저나 강의 내용의 예시 같은 댓글이라서 재밌네요. 인간은 무언가 직관에 의한 행동을 하고, 왜 그랬는지 설명할 때는 합리적인 이유를 지어내기 시작한다. 근데 작성자님이 지어낸 이유는 합리적이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 @anthonykim3393
    @anthonykim3393 21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극단적이고 동의할수 없는 내용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