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에겐 왜 아가미가 진화하지 않았을까?|물에 산 지 4,800만 년이나 됐는데...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3 มิ.ย. 2024
  •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 @sciencedream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starchipbiz.co.kr/sciencegive
    =============================================
    고래라는 한 포유류가 물 속으로 진출한 시점이
    무려 4,000만 년도 더 됐는데
    어째서 이들에게서는 여타 물고기들처럼
    아기미가 진화하지 않은 걸까요?
    인류도 300만 년이란 짧은 시간 동안
    뇌가 점차 커지면서 문화를 갖춘 종으로 진화했고,
    공룡 역시 수천 만년 동안
    깃털을 갖춰가며 하늘을 나는 새로 진화했으며,
    심지어 작은 포유류였던 녀석들이
    이렇게 날개 달린 박쥐로까지 진화한 마당에
    바다로 진출한 지 4,000만 년도 더 된 고래는
    어째서 아가미를 갖는 방향으로 진화하지 못했냐
    이 말입니다.
    실제로 겨울철 북극해 주변을 이동하다가
    얼음에 갇혀 이를 부수지 못한 귀신고래들이
    익사하는 일들도 종종 벌어지곤 하는데,
    이런 현상을 보고 있노라면
    바다 환경이란 선택압으로 인해
    고래류 중 일부에서라도
    아가미가 진화했어야만 할 것 같은 의구심이
    생겨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고래와 아가미에 대한 이야기,
    영상을 통해 만나 보시죠!
    #고래 #아가미 #진화
    =============================================
    [참고 자료]
    - 『고래는 물에서 숨 쉬지 않는다』, 앤디 돕슨
    - 『지상 최대의 쇼』, 리처드 도킨스
    - Michael Hiller et al., (2019). "Genes lost during the transition from land to water in cetaceans highlight genomic changes associated with aquatic adaptations."
    - Virag Sharma et al., (2018). "A genomics approach reveals insights into the importance of gene losses for mammalian adaptations."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게티이미지뱅크코리아 외
    [음악]
    (1) Old Circus
    (2) Majestic Dwele
    (3) Bunny Hop
    (4) Wild Side
    (5) Dark Acoustic
    (6) A more Semplice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05

  • @ScienceDream
    @ScienceDream  13 วันที่ผ่านมา +56

    『고래는 물에서 숨 쉬지 않는다』 구매 링크
    교보문고 : bit.ly/3yD3LFN
    예스24 : bit.ly/4aDMIk1
    알라딘 : bit.ly/4aL7bn0

    • @MR-PARK337
      @MR-PARK337 9 วันที่ผ่านมา

      고래가 아가미가 생기지 않은 이유는 저렇게 설명하면 안되지.
      역진화 .
      고래 자체가 물고기에서 뭍에사는 동물로 진화된 진화종이기 때문이다.
      아가미가 달린 물고기가 고래로 진화 했다면 아가미가 퇴화되지 않을수는 있지.
      하지만 아가미가 퇴화되어 진화한 육지동물이 물로 들어가 산다고 다시 역진화해서 아가미가 생기는 일은 없다.
      이게 정답이다.

    • @argellen.tricia8867
      @argellen.tricia8867 4 วันที่ผ่านมา

      궁금증이 하나 생기는데 육상 포유류가 수면 아래로 들어가는 종이 되는 과정은 생존에 있어서 어떤 도움이 되었을까요? 어떤면으로는 굉장히 비효율적인 진화였을텐데

    • @MR-PARK337
      @MR-PARK337 4 วันที่ผ่านมา

      @@argellen.tricia8867 생존은 대부분 먹이활동에 근거합니다.
      포유류가 물에 있는 먹이를 취하고 살아감으로서 물에 친화적인 신체변화는 비효율적이 아니라 효율적인것이죠.
      팔 다리가 없다고 비효율적이라 생각하는건 오류입니다.
      인간이야 생활하는데 먹이활동만 하지 않기에 팔다리가 필요하지만.
      동물은 다르지요.
      필요없으면 눈도 퇴화되는겁니다.
      물에 사는데 팔다리는 지느러미로 바뀌는게 효율적인 진화입니다.

    • @user-vd6vz8ke1s
      @user-vd6vz8ke1s 17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왤캐 제목이 라노벨 같지?????ㅋㅋㅋㅋㅋㅋㅋㄴㅋ

  • @89googol
    @89googol 13 วันที่ผ่านมา +425

    진화는 서툰 땜장이다.
    너무 멋진 말입니다.

    • @user-gb5ly7xz6c
      @user-gb5ly7xz6c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1

      evolution is certain tinker.

    • @user-ni5sk8kw3y
      @user-ni5sk8kw3y 13 วันที่ผ่านมา +5

      서툰

    • @user-dg1nt1jo9o
      @user-dg1nt1jo9o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ㄹㅇ루

    • @user-mk2qv1lv2p
      @user-mk2qv1lv2p 12 วันที่ผ่านมา +2

      와.모방봇이다.

    • @Ymir49
      @Ymir49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장이

  • @user-qz5pm4rv5y
    @user-qz5pm4rv5y 13 วันที่ผ่านมา +805

    정답: 아가미를 진화시키지 않아도 먹고살만해서

    • @sssssdddddyyyyy
      @sssssdddddyyyyy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92

      나도 쓸모없는거 하나 달고있는데 먹고살만해서 그런지 30년 동안 안써도 안사라지더라

    • @Siukukkang
      @Siukukkang 13 วันที่ผ่านมา +91

      @@sssssdddddyyyyy얼리자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3

      ​@@sssssdddddyyyyyㅠㅠ

    • @user-ix8dc5kz8u
      @user-ix8dc5kz8u 13 วันที่ผ่านมา +73

      수도꼭지는 꼭 필요합니다.
      ​@@sssssdddddyyyyy

    • @user-lb9es1wq5e
      @user-lb9es1wq5e 13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ix8dc5kz8u수도꼭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yk4299
    @tyk4299 13 วันที่ผ่านมา +70

    평소엔 별생각없다가 썸네일이랑 제목보고 '어 그러게?'하게 만드는게 이 채널의 매력인거같음 ㅋㅋ

  • @user-zk9rx7pz2m
    @user-zk9rx7pz2m 13 วันที่ผ่านมา +42

    6:53 요즘 많은 일들이 겹치면서 ‘아 이거 저번달에 신청 할 걸’, ‘아 미리미리 알아 볼 걸‘ 등등, 여유가 없는 와중에 했던 과거의 서툰 선택들을 후회하고 비난하느라 정말 진 빠지는 몇 달이었습니다. 다만 오늘 영상에서 ’진화는 완벽한 설계자가 아닌, 서툰 땜장이‘라는 문장을 보고 많은 울림이 있었네요:) 미래를 알 수도, 모든 상황을 조망할 수도 없는 것인데 스스로에게 너무 완벽을 요구했던 저의 욕심을 조금 내려 놓을 수 있게 됐습니다. 덕분에 간만에 머리가 한 번 크게 트인 기분입니다. 나머지 일들을 마저 이어 나갈 힘이 생겼습니다.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o_Chi
      @Do_Chi 10 วันที่ผ่านมา +5

      최근에 봤던 한 영상에서는 뇌신경 관련 과학자가 그러더라구요
      “우리가 과거로 돌아가면, 과연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을까요? 저는 좋은 선택이 있는게 아니라, 좋은 선택이 되게끔 노력하는것만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의사결정에 어떤 흐름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영상이었는데 문득 생각나서 답글을 적고 갑니다
      새삼 진화라는 과정에서도 생각해볼만한 대목이었던것 같아서요.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0

      영상 중 짤막한 문장 몇 줄이 좋은 응원의 문구가 될 수 있어서 뿌듯하기도 합니다. 어차피 인생은 내가 계획한 대로 흘러가지도 않고, 또 불공평한 것 투성이에다가 필연보다는 우연에 의해 굴러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 역시 하루하루는 성실하게 살 되, 인생 전체는 되는대로 살자라는 마음 가짐으로 지내는 요즘입니다😊 힘내세요!!

    •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4 วันที่ผ่านมา

      되돌이후두신경

    • @Sol-zf9wc
      @Sol-zf9wc วันที่ผ่านมา +1

      @@Do_Chi 맞아요. 기회를 알아보고, 딱 잡는 그 태도가 더 중요한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user-hanbit
    @user-hanbit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4

    항상 신비한 생물 고래,, 앞으로 잘 번영해서 계속 그 자릴 유지하길 ㅠ

  • @procyonq
    @procyonq 13 วันที่ผ่านมา +9

    분량도 짧아서 좋은데 내용도 알차고 진짜 넘 잘한당!

  • @pdk3858
    @pdk3858 13 วันที่ผ่านมา +7

    설명하는 논리전개가 이해하기 쉽게 잘 만든 영상입니다!!! 굿!

  • @user-uj8vo3ok6t
    @user-uj8vo3ok6t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53

    확실히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진화에 대한 오해가 많은 듯

    • @43rickee
      @43rickee 13 วันที่ผ่านมา +94

      이게.. 설명을 하다보면 “생존에 유리하게 진화했다.”는 말을 하게 되는데, 요게… “진화를 능동적 행동”으로 오해하게 만드는 것이 크다고 봅니다.

    • @user-qp6wz2ej1d
      @user-qp6wz2ej1d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7

      정말 진화는 매우 명확한 개념임에도, ㅇ완벽하게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않은것 같음

    • @43rickee
      @43rickee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0

      @@user-qp6wz2ej1d 생물학이라고 하는, 자연과학이죠…. 자연과학의 특성 상, 일정수준 이상 공부하지 않으면 개념을 이해하는게 쉽지 않은게 맞을 겁니다.

    • @user-wj1kd5hl5x
      @user-wj1kd5hl5x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8

      진화의 포인트는 생존만이 아닌 도태에도 있다...

    • @fatman983
      @fatman983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2

      그냥 오랜시간이 지나면 무언가가 변하는데, 환경에 적응못하면 다 사라졌을뿐

  • @user-nu1dx1dd4b
    @user-nu1dx1dd4b 13 วันที่ผ่านมา +6

    과학드림님에게 있어 '진화'는 고마운 주제일것같네요.고래 관련 몇개,공룡 관련 몇개 등 어떻게 보면 메인은 변함없지만 그때마다 다른 내용을 보여주는데 큰 역할을 하니까요.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진화가 이렇게 밥벌이를 해줄지 몰랐습니다 헤헤😅

  • @leespect
    @leespect 6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아가미 달리는 순간 생선되버린느데 나같으면 아가미 안달지 ㅋㅋ

    • @user-fw9rs4ls6x
      @user-fw9rs4ls6x 3 วันที่ผ่านมา

      아 그건 너니깤ㅋㅋㅋㅋ

    • @user-sx4if7ye1g
      @user-sx4if7ye1g 2 วันที่ผ่านมา +4

      진짜 뭔가 ㅈㄴ 자신감 충만한 급식 고래처럼 말하네ㅐㅋㅋㅋ

  • @jos7709
    @jos7709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espachi
    @Despachi 13 วันที่ผ่านมา +77

    저도 궁금하지 않았는데 궁금하게 만드는 영상이네요.

    • @user-of7hq1ed2s
      @user-of7hq1ed2s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아가미가 있으면 인간이 우리를 어류로 분류 할 거야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2

      흥미롭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kmirage2
    @kmirage2 11 วันที่ผ่านมา +7

    포유류에서 어류로 바뀌기엔 4000만년은 너무 짧은게 아닐까

  • @Gidalyeoss-eo
    @Gidalyeoss-eo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재미있는 이야기네요. 한번 읽어봐야겠어요

  • @Just_minhyuk
    @Just_minhyuk 13 วันที่ผ่านมา +9

    마지막에 하신 말씀이 기관사 준비하는 저에게 너무 힘이 되는 말이였습니다.. 서툴고 완벽하진 않지만 결국엔 저를 더 좋은 쪽으로 이끌어주겠죠.. 오늘 영상도 잘 보았습니다 😊😊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응원하겠습니다!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제 말에 위안을 얻으셨다니 기분이 좋네요^^ 인생은 되는대로 하루하루는 성실하게! 응원합니다!

  • @Mad_bread
    @Mad_bread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0

    크 오늘꺼 너무 재밌습니다

  • @realsturmful
    @realsturmful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수생생물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서 너무나 궁금했었는데, 감사합니다!

  • @supiasun2000
    @supiasun2000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6

    우와 따끈따끈한 새 영상!!

  • @user-zm1mu9dd2i
    @user-zm1mu9dd2i 13 วันที่ผ่านมา +5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항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nosaster
    @nosaster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3

    오늘도 정말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 @ottoman7148
    @ottoman7148 12 วันที่ผ่านมา +2

    항상 재미있어요

  • @psy5026
    @psy5026 13 วันที่ผ่านมา

    과학드림님의 고래 이야기 기다렸습니다 ㅜㅜ 고래 너무 좋아요.. 아껴볼테야

  • @user-zm5uh1fn7p
    @user-zm5uh1fn7p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홍적세 시기의 인류의 개체군 병목현상에 대해 해주실수 있나요?

  • @lasercho4338
    @lasercho4338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9

    아가미는 필연적으로 열손실이 막대해지기 때문에 (물의 비열과 공기의 비열, 그리고 산소 농도) 정온동물인 고래에게는 불가능한 선택지였을듯

    • @SuperPassek
      @SuperPassek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어류 중에도 정온동물이 있습니다. 예컨대 백상아리를 비롯한 악상어과의 상어들은 정온동물입니다.

    • @lasercho4338
      @lasercho4338 13 วันที่ผ่านมา +9

      @@SuperPassek 그래서 기본적인 체온이 고래에 비하면 많이 낮고 극지방에 살지 않는다

    • @gore9573
      @gore9573 13 วันที่ผ่านมา +6

      맞습니다. 고래나 물개등 해양 표유류가 단열을 위해 두꺼운 지방층을 가지고있는데 아가미가 생기면 문제가 커지죠.

    • @user-oe4uh5mz1o
      @user-oe4uh5mz1o 12 วันที่ผ่านมา +2

      ​@@lasercho4338 그린란드상어는요?

    • @qsr2
      @qsr2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oe4uh5mz1o그린란드상어는 악상어과가 아닙니다.
      악상어과에는 백상아리, 청상아리, 악상어 등이 포함됩니다.

  • @starsuper3536
    @starsuper3536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2

    0:42 박쥐의 진화 이야기도 해주실 계획 있나요?

    • @braintank11
      @braintank11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아뇨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5

    부레에서 허파가 된 것이 아니라 허파가 부레로 진화한 걸로 알고 있었는데. 예전에 봤던 다큐에서 판피류를 피해서 강으로 들어온 민물고기들이 허파를 진화시켜서 폐어가 되고 육상까지 진출했으며 바다생물의 대멸종시기에 다시 바다로 진출한 폐어들이 허파를 부레로 진화시켜서 지금의 경골어류가 되었다고 알고 있었는데 아닌가보네요.

    • @sanko7366
      @sanko7366 13 วันที่ผ่านมา +5

      부레가 허파가 되었다는 이론은 옛날옛날 이론이고, 현재 이론은 허파에서 부레가 발생했다라고 하네요.
      “그러나 다윈은 부레가 폐로 전환됐다고 제안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부레가 폐에서부터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시사했다.
      초기 경골어류 조상은 진화를 통해 한 축은 공기 호흡에 더욱 잘 적응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네발 동물의 진화로 이어진 폐 기능을 보존하게 됐다.
      이에 비해 다른 물고기들은 폐의 구조를 수정해 부레로 진화시켜 경골어류의 진화를 이끌었다고 보고 있다. 부레는 물고기가 부력을 유지하고 압력을 감지해 수중에서 더욱 잘 생존할 수 있도록 한다“

    • @shaind
      @shaind 13 วันที่ผ่านมา +5

      원시폐에서 부레가 진화한 게 지금은 거의 정설인 것 맞습니다.

    • @sghzk
      @sghzk 22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폐가 부레가 되든 부레가 폐가 되든 진화에서 순서가 의미가 있을까요?
      도마뱀이 뱀이 됬을까요,
      뱀이 도마뱀이 됐을까요?

  • @user-xu4ou1jc2n
    @user-xu4ou1jc2n วันที่ผ่านมา

    저도 그 책을 읽어보고 싶네요.. 흥미로운 이야기였습니다 마지막 말씀도 공감이 되고 좋네요. 감사합니다!

  • @abc-nl5cv
    @abc-nl5cv 12 วันที่ผ่านมา

    앞으로의 인생을 걱정하고 있었는데 진화생물학 이야기에서 위안을 얻을줄이야.. 감사합니다 🥲

  • @user-cm3ln2pn6v
    @user-cm3ln2pn6v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박쥐 얘기 나온 김에 박쥐의 진화에 대해서도 다뤄주세요!!

  • @user-mq4jr4bb5e
    @user-mq4jr4bb5e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듀공,물개,바다사자같은 생물들의 진화사도 알려주세요 😊

  • @limmeomin
    @limmeomin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기말 끝나고먹는 유익한 음식 정말 맛좋아요.

  • @Red-xm2ry
    @Red-xm2ry 8 วันที่ผ่านมา

    과학드림님! 디메트로돈도 한번 다루어주실 수 있나요?

  • @user-ho9wc2mh6x
    @user-ho9wc2mh6x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항상 진화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과만을 보는 경향이 있는것 같음 진화는 어떤 목적을 위해 바뀌는것이 아니라 단순히 우연이 누적되서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왜 이런 방향으로 진화하지 않았을까?" 라는 질문 자체가 잘못된거임 진화엔 방향이 없음

  • @alantm2
    @alantm2 13 วันที่ผ่านมา +41

    조오오오오온나 고생해서 아가미 없이 살수 있게 진화한건데 다시 만들어??

    • @user-sl9mp6jv5n
      @user-sl9mp6jv5n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와 이게 맞네 ㄹㅇ

    • @jogak_gamgak
      @jogak_gamgak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뭐 언젠간 또 모르지. 진화는 어느 방향으로 갈지 모르는거니까 😅

    • @user-xc1xf7th9j
      @user-xc1xf7th9j 12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러니까 궁금한거죠. 아가미가 있는게 바다에선 훨씬 유리한데 그 긴 시간동안 아가미 없이 진화했다는게. 그리고 아가미가 없어졌다가 다시 생긴게 아니라 원래 아가미가 없었습니다!

    • @jogak_gamgak
      @jogak_gamgak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xc1xf7th9j 진화론에서는 그러더라고요. 인간이 봤을 때, 꼭 필요한 쪽으로 진화하는건 아니다. 라고. 그리고 그 것도 인간 관점이다.

    • @info_biz
      @info_biz 11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xc1xf7th9j 아가미가 생기는 쪽으로 진화를 하려면, 어류에서 포유류로 진화해온 방향을 역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그것보다는 땜빵하는게 효율이 훨씬 높습니다.

  • @werry1438
    @werry1438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예전 불가능한 진화편에서 봤던 점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주는 느낌이군요!!

  • @user-mv1hj8zc6m
    @user-mv1hj8zc6m 13 วันที่ผ่านมา

    너무 재밌네요 이편

  • @user-wq9wr7ew4r
    @user-wq9wr7ew4r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해파리의 등장과 진화에 대해서 궁금한데 어떨까요?

  • @minhopark3948
    @minhopark3948 9 วันที่ผ่านมา +2

    아직도 다들 착각하는게 진화는 의도로 만들어진다
    그저 진화는 돌연변이의 생존일뿐이라는거
    돌연변이가 더 생존에 유리한 경우에만 살아남는거인데
    내가 의도하면 진화를 할수 있다는 말도 안되는 착각을 하지요
    고로 고래한테는 굳이 진화가 필요없어도 생존이 가능했다는거지요

    • @ADAMOTHER
      @ADAMOTHER 18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생존에 유리한 경우만은 아니고 번식에 유리한 경우도 있지요. 암컷에 대한 매력도 상승을 위한 외형 같은거. 진화론적으로 보면 생존보다 중요한게 번식의 기회를 얻느냐지요. 힘으로 번식의 기회를 얻기도 하지만 화려한 외형을 뽐내며 암컷의 선택을 유도하는 생물종도 많지요. 화려한 깃털의 새들도 있고 여러 다양한 생물종도 있지만 차은우 만 봐도...

  • @user-sj5qk3go3o
    @user-sj5qk3go3o 2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11년도부터 본 과학소년에서 무리수 김기자님이 과학드림님이셨군요!!!!! 정말 감회가 새롭습니다 ㅋㅋㅋㅋ

  • @user-im9ks5dg6y
    @user-im9ks5dg6y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시간 가는지 모르고 잘봤습니다 ~

  • @user-rm5zm1et4k
    @user-rm5zm1et4k 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옛날에는 뭐랄까.. 생명체들이나 진화가 완벽하다? 놀랍다, 자연의 신비다 이런 느낌이었는데 요즘은 확실히 영상 마지막 말처럼 서툰 땜장이 느낌이 드는듯ㅎㅎ 완벽히 설계된듯 보이지만 그게 아닌 부분도 상당수가 존재하고 어떤 목적을 위해서 진화한게 아니라 그냥 하다보니 어떤 목적을 달성하게 됐다 라는 것이 더욱 다가오는듯ㅎㅎ

  • @eunh2461
    @eunh2461 1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다른동식물의 생김새를 따라해 눈속임을 하는 동물들은 어떻게 그렇게 진화했는지 알고싶습니다
    진화는 방향성이 없는걸로 알고있는데 다른동식물을 따라해 천적을 따돌리거나 사냥을 하는게 우연한 진화로 가능한 것인지 궁금해요!

  • @user-jh6rc2ny5c
    @user-jh6rc2ny5c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코리아케라톱스를 리뷰 해주실 수 있나요??

  • @user-hd9dh2kn8b
    @user-hd9dh2kn8b 4 วันที่ผ่านมา

    진화를 목적론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점을 항상 잘 알려주시는듯!!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13 วันที่ผ่านมา +6

    3:09 사실 상어가 계속 헤엄을 쳐야 하는 이유는 부력보다 호흡 문제가 더 큰데 상어는 아가미 구조가 경골어류처럼 열리고 닫히는 구조가 아니라 그냥 틈만 있는 형태여서 헤엄을 쳐야만 물이 아가미로 들어와서 숨을 쉴 수 있기 때문에 계속 헤엄을 쳐야 하는 겁니다

    • @faceofnightm
      @faceofnightm 13 วันที่ผ่านมา

      그것도 반쯤 잘못 알려진게 상어도 종류가 많은데 그중 일부만 그렇고 제자리에서도 숨 잘만쉬는 종들도 많음

  • @user-vk9bj3hs1g
    @user-vk9bj3hs1g 13 วันที่ผ่านมา

    항상 궁금한데 어류는 산소소모량이 훨씬 적나요?
    그리고 어떻게 물에 융해된 산소를 얻을 수 있나요?

  • @user-lk7fz7fu3t
    @user-lk7fz7fu3t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안녕하세요 댓글은 처음 다네요 다른 계정으로 많이 보고 있습니다

  • @Moon-qd9nr
    @Moon-qd9nr 13 วันที่ผ่านมา

    마지막 멘트 듣고 구독했음

  • @hotsourcecode
    @hotsourcecode 12 วันที่ผ่านมา

    후성유전학이 최근의 진화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 같아요. 개체가 환경에 적응한 방식.습관등도 진화를 발현시킨다는 것이 매력적입니다.

    • @info_biz
      @info_biz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어…. 후성유전도 진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후성유전은 염기서열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유전이 되는거라, 환경 변화에 따라 원래대로 돌아갈 수도 있습니다.

    •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4 วันที่ผ่านมา

      인간의 망막, 되돌이후두신경 등등 다시 되돌아가기에는 너무 멀리 왔기 때문에 땜질식으로 진화한거죠.

  • @user-lc4wq4sb2j
    @user-lc4wq4sb2j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잘 봤습니다

  • @Youtube_euduudwj
    @Youtube_euduudwj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다음영상에는 공룡을 잡아먹는 개구리 베얼제부포를 다뤄주세요❤

  • @nowbird
    @nowbird 13 วันที่ผ่านมา +9

    지금 한국인은 0.6명대 출산율로 사실상 진화상 선택압 받는 단계인가..

    • @jhlee261
      @jhlee261 9 วันที่ผ่านมา

      이러다 단성 생식으로 진화 할지도...
      아마 외계인이 지구에 오지 않는 이유가 저출산일지도...

  • @user-jv3qj1hf4i
    @user-jv3qj1hf4i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재밌는 이야기였습니다. 고래에게 아가마가 왜 없지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었어요 ㅎㅎ

  • @suelee4801
    @suelee4801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와.. 몇년만에 책을 사보네요 감사합니다

  • @user-mk3wh9nw4i
    @user-mk3wh9nw4i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이번 영상 전개력 좋네요 ㅋㅋ
    잘봤슴다.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k5pu9mm9y
    @user-rk5pu9mm9y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요즘 힘든일들이 많았는데...땜질하면서 사는 삶이라 생각하니 한결 마음이 편하네요♡❤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힘내세요 토닥토닥😊

  • @jjy1230
    @jjy1230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옛날에 얘기했던 '그당시엔 그게 최선이었다' 랑 산맥 넘나드는 얘기가 생각나네여

  • @user-sf4ku3bd1r
    @user-sf4ku3bd1r 5 วันที่ผ่านมา

    감사합니다 좋은. 내용의방송이네요. 많이. 알게되엇읍니다

  •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차기 영상으로 동굴영원의 진화와 일명 지옥에서 온 돼지라고 불리는 엔텔로돈트, 귀여운 얼굴과 모습으로 유명해진 사카밤바피스, 철갑상어와 주걱철갑상어의 혼종 Sturddlefish, 그리고 중국 주걱철갑상어에 대해 추천 드립니다. :)

  • @user-je2rk4jc8y
    @user-je2rk4jc8y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새로운 기관을 만들기 보다는 그냥 머리위로 콧구멍을 옮기는게 더 쉽고 빠르긴 하지

  • @sirgrrr4430
    @sirgrrr4430 13 วันที่ผ่านมา

    결국 없어진걸 재생성하거나
    아예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거보단
    이미 있는거 살짝 바꾸는게
    더 쉽고 가성비가 더 잘나오니
    그쪽으로 기울어진거 아닌가 싶네요
    이렇게 보니 이미 있는 지구란 터전을
    잘 관리하는게 더 쉽고 싼걸 알면서도
    아 일단 뽑아먹을거 뽑아먹고
    아 화성 갈끄니까 한잔해 모드인 인간이
    참 특이한것 같네요

  • @user-mj2fs1sx5r
    @user-mj2fs1sx5r 13 วันที่ผ่านมา

    8:10 또 또 마지막에 명언넣는다! 고마워!

  • @rzm1803
    @rzm1803 13 วันที่ผ่านมา

    늘 과학영상은 댓글이 가장 재미있다

  • @user-wy3bx6ul4s
    @user-wy3bx6ul4s 10 วันที่ผ่านมา

    과학드림에는 감동이 있다

  • @user-ip8hw9xp6i
    @user-ip8hw9xp6i 13 วันที่ผ่านมา

    보고갑니다

  • @rainmune
    @rainmune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뜨자마자 바로 달려왔습니다!

  • @son9291
    @son9291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진화는 모든 중간단계가 생존에 도움이 되어야한다는 말을 과학드림 영상에서 맨날 들어서 영상이 시작할때부터 눈치를 채버렸다

  • @shark_something
    @shark_something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행님 다음번엔 눈의 진화도 자세히 한 번 다뤄주세요!!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접수완료!

  • @user-syvrdeewu
    @user-syvrdeewu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재밌는 영상 잘 봤습니다. 한 가지 이해가 안 되는건, 초기 어류의 조상들도 원시적인 아가미를 가지고 있었을 텐데, 그럼 그러한 형태들도 무언가 진화적인 이점이 없었나요? 아니면 아가미 이외에도 다른 호흡 기관을 가진 종들이 있었지만 모두 경쟁에서 탈락하고 아가미를 가진 어류만 살아남은 건가요?

    • @user-ec8tx2tx6e
      @user-ec8tx2tx6e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그러한 형태들이 가진 진화적 이점이 있었음. 고래의 진화사에서 아가미가 진화적 이점을 가지지 못하는 건 육상 -> 바다이기 때문임. 바닷물보다 공기가 산소농도가 훨씬 높고 염도까지 해결해야 하는데, 호흡 기관이 아가미로 변형되는 것보다 그냥 공기호흡하고 물속에서 오래활동하는 쪽이 이득임
      반면 물속에서 계속 생활해 온 생물들은 해당사항이 없음

  • @user-xo3fu9bd2j
    @user-xo3fu9bd2j 13 วันที่ผ่านมา

    드디어 이 주제가 나왔군요 ^^

  • @for_xoxo4163
    @for_xoxo4163 9 วันที่ผ่านมา +1

    나이가 서른 중후반인데도 이런거 너무재밌어

  • @Blackcow346
    @Blackcow346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오늘도 고맙다 고래야~

  • @user-hz3kv3in2o
    @user-hz3kv3in2o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진화 관련해서는 그네 잘타는 유전자 해서 유튜브 실험 한 게 있는데 그거 보면 많은 게 해결 되는 듯. 왜 그렇게 진화 했는지 모름. 그렇게 진화한 애들이 살아남아서 거기에 적응 했을 뿐임.

  • @keumjeongko8370
    @keumjeongko8370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이게 바로 뿔 달린 말이 없는 이유겠죠. ㅎㅎㅎ
    항상 영상 감사합니다.

  • @jsonpark6606
    @jsonpark6606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8:04 새가 응원하는 모습인가요? 무슨 동작인지 궁금합니다.

    • @klimt8252
      @klimt8252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구애의 동작입니다

  • @user-kk7hd6fr8r
    @user-kk7hd6fr8r 13 วันที่ผ่านมา

    확실히 고래가 나오는 영상은 시각직으로도 좋은거같음

  • @user-kq7xt6pp3x
    @user-kq7xt6pp3x 13 วันที่ผ่านมา

    내가 주어진 삶에 순간순간 최선의 선택의 연속, 그리고 우린 그 선택의 결과에 좌절과 실패로 더 나은 선택을 하는 눈을 기르겠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늘 잘 보고 있어요. :))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N.A665
    @N.A665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산소농도가 물속이 높았다면 고래피부에 산소를 흡수하는 기관이 만들어지기 시작해서 점점 더 아가미처럼 되었겠죠.

  • @mualba27
    @mualba27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사마귀 진화 해주세요!!

  • @American-drone
    @American-drone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메갈로돈 원작소설 메그2 쥬라기앤젤 에서 아가미가 생긴 플레시오사우루스 들이 심해에 갇혀 메갈로돈의 먹이가 되어왔다고 하는 희한한 막장 스토리가 생각나네요

  • @unnamed000
    @unnamed000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대형 해양생물 중에서 아가미를 사용하는 생명들의 치명적인 단점을 생각해보면 폐호흡이 막연하게 단점은 아닙니다
    상어, 참다랑어등 대형해양 어류는 아가미로 해수가 통과못하면 산소교환을 못해서 걍 죽어버려요😅

  • @user-bk1zd7gs7m
    @user-bk1zd7gs7m 13 วันที่ผ่านมา

    고래는 오랫동안 물속에서 지내는데요
    기침 재채기 하품할때 어떻게 하나요?

  • @blacktakefich
    @blacktakefich 13 วันที่ผ่านมา

    6:51 크...

  • @MKJung-we2io
    @MKJung-we2io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소금물인 바다에 살면서 자체적으로 담수화 시키는 부분도 다음에 자세히 설명을 했으면 좋겠군요.

  • @blackginseng
    @blackginseng 12 วันที่ผ่านมา

    6:25 이 이유로 작살에 맞으면 피가 멈추지 않아서 저 큰 덩치가 인간의 작살때문에 잡힐 수 있는 거

  • @wusongyang7751
    @wusongyang7751 12 วันที่ผ่านมา

    고래같은 포유류가 아가미로 숨쉬면 엄청난 양의 열을 빼앗길 터인데 그런 비효율적인 진화가 가능할까요?.....

  • @user-mk9ut8er9j
    @user-mk9ut8er9j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진화 비가역의 법칙이 떠오르네요. 과거에 잃었던 기관이나 흔적은 이후 다시 필요하게 되어도 원래로 돌아가는게 아니라는

    • @kmitar47
      @kmitar47 13 วันที่ผ่านมา

      트랜스젠더들이 성전환수술을 하면 더이상 남자로 못돌아가는 것과 똑같죠. 이미 사라진건 다시 신체가 못 만들죠

  • @user-ss5zn6ke7w
    @user-ss5zn6ke7w 6 วันที่ผ่านมา

    이렇게 보자마자 호기심이 폭발하는 주제를 가지고 오면 대체 어떻게 참으라는겁니까 주인장....

  • @ajingom
    @ajingom 13 วันที่ผ่านมา

    모로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속담이 있는 것처럼 결국 생존과 번성이라는 생물적 목적으로 이어진다면 아가미든 숨참기든 옳은 방향의 진화라고 볼수 있겠네요.

  • @soogg11
    @soogg11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오...굳..굳.

  • @doyunkim9990
    @doyunkim9990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재밌어요.

  • @user-ly1np2tq5d
    @user-ly1np2tq5d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아쉽네요 고래 콧구멍이 위로 진화하는것과 입으로도 숨쉬는지 궁금했는데 ~ ㅠㅠ

  • @yrh4517
    @yrh4517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진화는 필요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일어난 우연한 변화가 환경에 적합할 때 기존 형질을 대체하면서 일어나는 겁니다.

  • @Cent_Dog
    @Cent_Dog 13 วันที่ผ่านมา +3

    마지막 멘트 너무 좋네요

    • @ScienceDream
      @ScienceDream  10 วันที่ผ่านมา

      감사합니다😊

  • @keepitlOO
    @keepitlOO วันที่ผ่านมา

    이제 제목만 봐도 내용 대충 알지만 늘 맛있네요

  • @user-zr8bv6zd6i
    @user-zr8bv6zd6i 4 วันที่ผ่านมา

    말그대로 진화네요. 갑자기 기관을 뗏다 붙였다 할수 없으니 조금씩 조금씩 땜질해가면서 변화한다는게

  • @lonelyrail
    @lonelyrail 9 วันที่ผ่านมา

    8:04 에 나오는 춤추는 새 이름 혹시 알 수 있나요? 영상 잘 보고 있어요

  • @user-zj8ph4sh9x
    @user-zj8ph4sh9x 13 วันที่ผ่านมา

    혹시 고래의 등지느러미는 어떻게 갖게 되있고 포우류의 어느기관이 진화한걸까요?

    • @info_biz828
      @info_biz828 12 วันที่ผ่านมา

      기관이 진화한게 아니라, 결합조직이 진화한 것 입니다. 즉, 피부가 변화한 것이죠. 때문에, 북극권에 사는 고래인 벨루가는 등지느러미가 없습니다. 퇴화했죠.. 그 이유는 얼음을 통과해야 해서 입니다.

    • @qsr2
      @qsr2 12 วันที่ผ่านมา

      고래의 등지느러미는 등 피부에서 진화하였기 때문에 근육이나 뼈가 없습니다.

  • @shapa49
    @shapa49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사람이 물 먹다가 사래 걸리는 것 처럼
    고래도 사래 걸릴까요?
    저렇게 숨 쉬다가 잠깐의 실수로 판막 닫는걸 깜빡해서 물이 코로 들어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