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의 고정관념 중에 오토바이를 타고 같은 거리에 같은 속도로 달리는 길 중에 교차로, 횡단보도, 신호등, 어린이보호구역이 없는 길이 그런 것들이 있는 길 보다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뭘까요? 한국 이외 모든 나라는 도로에 그런 요소들이 없는 길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는데....유독 한국만 반대로 생각하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자외선으로 경화가 되었다고 해도, 실내나 비바람,온도 등이 일정하다고 가정했을땐 색깔에 영향은 거의 없음, 밖에서 외부요인들로 크고작은 스크래치가 나서 난반사가 일어나는게 제일 큰 이유임 ㅋㅋ 실내에서 햇빛을 제일 많이받는 자동차 플라스틱 마감재들도 색바램 거의 없음, 가끔 검은색 플라스틱들이 너무 뜨거워 녹아서 변형되며 색이 바랜경우도 있는데 저런 의자는 대부분 난반사때문이 맞음, 교수가 말하는건데 니가 뭐라고 그러냐 ㅋㅋ
오 궁금했던건데! 감사합니다ㅎㅎ 저 궁금한게 있는데 보통 라면 등 음식계량할때 '물한컵' = 180미리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가정집의 머그컵이나 유리컵이 180미리인건지, 그건 끝까지 다 채웠을때 기준인지 손잡이까지 적절하게 다 채웠을때인지, 컵 만들때 제조업체에서는 보통 정해진 용량규격 중 하나로 선택해서 만드는 것인지 등등 궁금합니다! 계량컵 없을때 종이컵없이 일반컵으로 계량하기 힘들더라구요
전자렌지로 오래 쓰는 유리용기는 멀쩡한데 정작 애지중지한 유리용기는 걸핏하면 깨지지. 반대로 전자렌지로 팍팍 돌려줘야 오히려 오래가는거지. 내부에 있는 접착제가 달달하게 녹아서 빈틈이 채워지는데 오히려 냅두면 반파되서 터지고 공통점이 애지중지 했다고 왜 터지는지 모른다는거지. 그렇게 잘터지면 팔지도 않겠지. 전자렌지 돌리다가 터졌다는 기사 본적도 없는데
교수님 촬영 온다고 주말에 미용실도 다녀오셨다더니 화면발을 잘받으시네요 멋지세요
교수님 귀여워
벨트도 구찌야 ㅋㅋㅋㅋ 신경많이 썻네 ㅋㅋㅋㅋㅋㅋ
너 A
미남이시네여 ㅋ
이건 맥이는 건가ㅋㅋㅋ
교수님이셔서 그런가 발음하실때마다 Plastic 발음이 되게 정확하시네요ㅋㅋㅋㅋㅋㅋㅋ 의외인게 교수님은 보통 나이가 많으실것같은데 생각보다 젊고 엄청 잘생기셨네요
이번 영상도 재밌게 잘봤습니다!
보통 나이 드신 교수님들 발음: 쁘라스틱
은박지 비유 개쩐다;;
저도 여기서 와! 했어요ㅋㅋ
다음 중 더 유해한 것은?
1. 미세 플라스틱
2. 항시 토치를 가지고다니는 사람
다음 중 더 무서운 것은?
1 산골짜기 밤늦은 도로 위의 토종 백의 흑발 지박령
2 산골짜기 밤늦은 도로 위의 브라질 전통 쌈바 의상과 깃털 부채를 든 반라의 남성.
뱀이 무서울까 휘발유 든 등산객이 더 무서울까
교수님 발음 왤케 섹시하심 ㄷㄷ;;
어릴적 스펀지 보던 기분을 다시 느끼게 해주는 소중하고 고마운 채널…❤
빛나라 지식의 별!
@@995pfi그 외침(?) 아 잊고 있었어. 고마워 형 ㅠㅠ
스펀지 진짜 오랜만이넼ㅋㅋ 이휘재, 이혁재, 김경란 조합이 진리
와 이게 난반사때문이였어??? ㅈㄴ신기하네 ㅋㅋㅋ
이걸 몰랐다는게 더신기한데 ㄷㄷ..
@@daystar5279 님이 그걸 아는 게 대단한 게 아니라 그보다 복잡한 다른 것들을 모르기 때문에 그 생각밖에 못 하는 거임.
@@mineforce01ㅋㅋㅋㅋㅋㅋ말잘하네요
@@daystar5279 와...ㅋㅋ
@@daystar5279그렇게 알량한 지식 뽐내다가 공격당하고 싶니?
교수님의 명쾌한 설명에 이마를 탁 치게 되는군요😁
신혼여행 잘 다녀오셨는지😊강수진 성우님도 좋았지만ㅎㅎ 소탐대실은 기자님 목소리가 좋음
교수님 잘생걌어요
맨날 뭐 저러면 어쩐다 저쩐다 호들갑 개떠는 댓글보다가 이 설명 들으니 통쾌하다
전에 야구장의 의자를 불로 지져 색이 다시 돌아오는 영상을 봤었는데 이런 원리가 있었군요...
혹시 안 좋은 성분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이렇게 설명을 해주시니 안심할 수 있게 되있네요
돌아오셨네요 ㅋㅋㅋ
이교수님은 전문용어 많이 안쓰고 설명 잘하심
법쪽 내용은 왜케 어려운 단어들이 많은지
소탐대실좀 해주세용~~~~~~❤
교수님 멋져용~!!
수업때 뿌듯해하시는모습 좋았어요
드르륵깍 의자가 새거같아졌네요
진짜 소중한 채널
결론이 왜 가방속에 토치를 들고다니자는 건뎈ㅋㅋㅋㅋㅋ
재사용이 가능한 좋은 정보 이네요 활용할수 있는 좋은정보 입니다. 일상에서도 가능한 정보 감사합니다.
소중하고 너무 좋은 정보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마워요 😄
어딘가 익숙한 홈페이지다 햤는데 .. 우리학교 반가워 .. 소탐대실 집념 짱이다.. ㅋㅅㅋ
교수님 쿨톤 셔츠 잘어울리시네요 😊
오 댓글 남겼던 내용 다뤄주시다니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어용😆
교수님: 으음...이정도 질문이면...자네, 자료 조사는 먼저 한게 맞는가? 그래 무슨 논문을 참고했는가?(그것도 안하고 물어보는게 재정신인가?)
질문은 신중하게(경험담)
시골 외부 플라스틱 의자 수명 다하면 와장창 깨지던데… 바스라지 듯…
소탐대실님! 자동차에 있는 어라운드뷰라는 주차할때보이는 거 드론으로 찍는 것도 아닌데 너무 신기해요 알려주실수있나요..?😊
자동차 백미러 밑이나 자동차 앞 뒤에 카메라가 있는데 그걸 소프트웨어적으로 합성해서 만듭니다.
토치는 온도가 너무 높고,
히트건(열풍기)로 하시면 훨씬 안정적이겠군욤…
플라스틱이야 말로 진정한 친환경
플라스틱이 햇빛에 삭아서 색이 빠지는건줄알앗는데... 헐
역시 인천-하와이 대학교!!!
참 휼룽한 컨텐츠!
소탐대실
100만 구독달성 하세요~
궁금했는데 고마워요
원래 토치는 가방에 하나쯤 넣고 다닌거 아니였나요? ㅋㅋㅋㅋㅋ
노잼
불로지지면 기스 더잘난다는 소리 있었는데 구라였네 방구석 전문가들;
국민들의 고정관념 중에 오토바이를 타고 같은 거리에 같은 속도로 달리는 길 중에 교차로, 횡단보도, 신호등, 어린이보호구역이 없는 길이 그런 것들이 있는 길 보다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뭘까요? 한국 이외 모든 나라는 도로에 그런 요소들이 없는 길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는데....유독 한국만 반대로 생각하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교수님 귀여워😊😊
???: 아 진짜로 플라스틱 의자의 원래 색을 찾아주려고 들고 다닌거라니깐요 경찰아저씨 진짜에요
양산시가 쏘아올린 플라스틱의 새로운 성질...!
프라모델을 만지다보면 알 수 밖에 없게 되는 현상...
폴리에틸렌(PE)이라고 하네요. 즉 열가소성수지 입니다. 열경화성 수지에 열을 가하면 어떨런지 궁금합니다.
지금 당장 자동차 플라스틱 조지러 갑니다
그냥 새로 사는게 싸고 편하다
소탐대실님은 결혼 후 가방에 토치를 넣어두고 다니기 시작하셨다고 합니다.
옷걸이에 걸려서 햇빛에 색이 바랜 옷들도 색이 돌아올 수 있을까요?
자외선으로 경화가 되었다고 해도, 실내나 비바람,온도 등이 일정하다고 가정했을땐 색깔에 영향은 거의 없음, 밖에서 외부요인들로 크고작은 스크래치가 나서 난반사가 일어나는게 제일 큰 이유임 ㅋㅋ 실내에서 햇빛을 제일 많이받는 자동차 플라스틱 마감재들도 색바램 거의 없음, 가끔 검은색 플라스틱들이 너무 뜨거워 녹아서 변형되며 색이 바랜경우도 있는데 저런 의자는 대부분 난반사때문이 맞음, 교수가 말하는건데 니가 뭐라고 그러냐 ㅋㅋ
성우 아저씨 너무 조금만 하고 가셨다
플라스틱 황변현상도 궁금해요!
강수진 성우님 너무 아쉽습니다 아예 전담으로 해주시면 안되나요?
그렇게 그녀는 방화범으로 오해를 받아...
오 궁금했던건데! 감사합니다ㅎㅎ
저 궁금한게 있는데 보통 라면 등 음식계량할때 '물한컵' = 180미리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가정집의 머그컵이나 유리컵이 180미리인건지, 그건 끝까지 다 채웠을때 기준인지 손잡이까지 적절하게 다 채웠을때인지, 컵 만들때 제조업체에서는 보통 정해진 용량규격 중 하나로 선택해서 만드는 것인지 등등 궁금합니다! 계량컵 없을때 종이컵없이 일반컵으로 계량하기 힘들더라구요
❤❤❤❤❤❤❤❤❤
왜 모의고사 시험지 맨 오른쪽에 아주작게 구멍이 뚫려있는지 궁금해요!
신혼여행은 행복하셨나요? 다시 한번 결혼을 축하드려요!!^^
녹일때 나는 연기 마시면 안좋죠? 피하려면 어떤 마스크를 써야하나요
연기가 날 정도면 검해질전도로 태우는건데 그 정도로 태우면 멀 해도 안좋을듯 지지랬지 ... 태움
내 대학교가 언급되다니..ㄷㄷㄷ
메가커피 컵뚜껑 어떤 구멍으로 마셔야 하는건지 알려주세요😢
옷은 걍 색 빠진거 같은데....
성우분은 짤렸나요?
그럼 의자 말고도 색바랜 다른 플라스틱재에도 저 방법이 되는걸까요?
그 플라스틱에 유해물질이 없다는 보장이 돼있어야 하겠죠 일단
지역업체랑 몇억 해먹어야되는데 그걸 안하내 ㅋㅋㅋㅋ 점마들은 승진하긴 글럿다
초근접 화력이 쌔면 색이 변하다가 불남
너무 약해도 안되고 너무 쌔도 안됨
거기다 속도도 중요함
반대로 옷에다가 아낀다고 토치로 그을리지 마세요 녹으면서 타버림
누가 옷에다 토치를 지질생각을 하겠냐
장난감 집이나 장난감 자동차 같은것도 색이 나올까요?? ?????
구찌벨트 시강ㅋㅋ
환경오염이라며
자동차 진입까지 막으면서
저짓하는건 뭘까?
이미 만들어진걸 버려야 반 환경이지, 저렇게 재활용해서 오래오래쓰는건 오히려 친환경인 방식으로 보는게 맞지 않냐? 그럼 친환경이랍시고 이미 생산된 플라스틱 생산물들을 다 갖다 버리는게 맞냐?
와..신기하네 ㄷㄷ 진짜..과학은 신기하다
전자렌지로 오래 쓰는 유리용기는 멀쩡한데 정작 애지중지한 유리용기는 걸핏하면 깨지지.
반대로 전자렌지로 팍팍 돌려줘야 오히려 오래가는거지. 내부에 있는 접착제가 달달하게 녹아서 빈틈이 채워지는데
오히려 냅두면 반파되서 터지고 공통점이 애지중지 했다고 왜 터지는지 모른다는거지.
그렇게 잘터지면 팔지도 않겠지. 전자렌지 돌리다가 터졌다는 기사 본적도 없는데
6:40
흰색 간지나는데
굳이 연료 태워가면서 색상을 복원시켜야함???
드르릌칶
S크래치
Pla스틱
전문적이지 않고 일반적으로 표현이라 명쾌하지 않음.
구찌갱
Dd8b
2
이번화 또 불안한데. 스크래치로 하얘진게 아니라 태양자외선으로 하얘진거같은데.
난반사 때문에 하얗게 변했다는 사람들도 있고 플라스틱의 분자구조가 깨져서 변했다는 말도 있는데 교수님은 오랫동안 그 분야에 대해 공부하신분이기 때문에 교수님의 말이 맞는것같습니다
자외선도 빛이에요. 자외선과 적외선이 눈에 안 보인다고 빛이 아니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있는데
자외선, 적외선 모두 빛입니다. 그리고 자외선은 오히려 세균 죽이는 역할 합니다만 사람이 직접 맞으면 안 좋아요.
인하대 교수가 이상한 말 하겠노
너가 교수보다 더많이배우고 똑똑함?
플라스틱 구부리면 하얗게 되는것처럼... 자외선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적 요인때문에 표면이 거칠어지고 그로 인해 반사돼서 하얗게 되는게 맞습니다..단순히 자외선 떄문이 아닙니다.. 따라서 교수님 설명이 맞습니다
허허
금방 다시 뿌연상태로 돌아온다 하던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