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성수축균열 알아보기, 원인과 방지대책은? | 토목시공기술사•건축시공기술사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2 ธ.ค. 2020
  • 안녕하세요 분당기술사학원 박원장입니다.
    이번 영상은 콘크리트의 소성수축균열에 대해 정리한 영상입니다.
    행복한 연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온라인 강의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분당기술사학원 온라인강의 홈페이지
    www.eng77.com
    ▪︎ 분당기술사학원 홈페이지
    www.bd7.co.kr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8

  • @user-mv9gj7zk8w
    @user-mv9gj7zk8w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뒤늦게 전공이 아닌 분야를 공부하면서 초행길에서의 당혹 스러움처럼
    마음만 조급할때 원장님 강의를 알게 되었습니다 강의를 하나씩 들을때마다
    초행길에서 이정표를 하나씩 발견하는 느낌입니다
    현재 낮에는 직장 생활을 하면서 퇴근이후의
    시간에 원장님의 강의로 시험을 준비중인데
    정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인사드리고 싶었습니다 주경야독이라는게 생각만큼
    쉽지는 않지만 원장님의 강의 덕분에
    오늘도 책상 앞에 앉았습니다
    정말 정말 고맙습니다 !

  • @user-qo3bj8wf7d
    @user-qo3bj8wf7d 3 ปีที่แล้ว +2

    25년차인데 최고입니다 ! 감사합니다!

  • @user-zr2ly8ci2m
    @user-zr2ly8ci2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user-dp6jt6zz9n
    @user-dp6jt6zz9n 2 ปีที่แล้ว +2

    진짜 설명 잘하시네요 자료도 좋고... 감사합니다

  • @leolee4692
    @leolee4692 3 ปีที่แล้ว +2

    와~ 대단하시네요. 일단 시작을 하신게 반 이상은 하신겁니다. 형님 화이팅입니다. !!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이사님 도움 덕분입니다~!!

  • @David-gw7cq
    @David-gw7cq 3 ปีที่แล้ว +2

    원장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1

      공부에 도움이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user-qt1zd6ub9y
    @user-qt1zd6ub9y 3 ปีที่แล้ว +2

    존경스럽네요 잘부탁드립니다 교수님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jungyeonkim8005
    @jungyeonkim8005 3 ปีที่แล้ว +1

    이해가 잘 되어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po8uq7wr8g
    @user-po8uq7wr8g 3 ปีที่แล้ว +2

    고퀄강의잘들었습니다. 공부에 도움많이 될것같아 구독합니다~^^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1

      네. 감사합니다. 좋은성과 있으시길~~

  • @gyw817
    @gyw817 3 ปีที่แล้ว +2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슬래브 하면같이 거푸집이 대어져있는 부위에는 물의 증발이 일어나기 쉽지 않을 것 같은데 그럼 소성수축균열도 잘 발생하지 않는건가요? 슬래브 하면에는 주로 어떤 균열이 많이 발생하나요??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소성수축균열은 주로 슬래브 상부표면에서 발생됩니다. 슬래브 하부에는 처짐, 건조수축 균열 등이 발생됩니다.

  • @user-qq6zn1uh9u
    @user-qq6zn1uh9u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건조수축균열은 소성수축균열이 생긴 부위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깊어지고 넓어지는 현상이라 이해해도 될까요 ?
    건조 수축균열이랑 소성수축균열의 차이를 잘 파악하지 못하겠네요

    • @eng7
      @eng7  2 ปีที่แล้ว

      소성수축균열은 블리딩량보다 표면의 증발량이 더 많을때 표면에 물기가 마르면서 인장응력이 발생되어 생기는 균열입니다. 이후 건조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균열이 건조수축균열입니다.. 건조수축균열은 소성수축균열이 없는 부위에서도 건조되면서 생기는 균열을 말합니다. 밀가루 반죽을 만들어 놓으면 건조되면서 균열이 생기는 것을 연상하시면 됩니다.물론 소성수축균열이 생긴자리에서도건조되면서 더욱 균열이 커지기도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소성은 유동성이 있는 상태이고, 건조수축은 어느정도 유동성이 없는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 @ebrights3409
    @ebrights3409 ปีที่แล้ว +1

    원장님,
    콜드조인트 관련해서 25도이상 2시간이내 타설기준이 설명하신 유도기 즉, 가속기 구간 전에 이어치기 타설해야하는 것과 연관성이 있는건가요?

    • @eng7
      @eng7  ปีที่แล้ว +1

      네. 맞습니다. 연관성이 있습니다~

    • @ebrights3409
      @ebrights3409 ปีที่แล้ว +1

      네, 원장님 감사합니다.

  • @user-hd3zo8gf7q
    @user-hd3zo8gf7q 3 ปีที่แล้ว +2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닐을 덮어주는 것이 최선인가요?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1

      표면에 물이 마르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살수를 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그러나 살수는 자칫 방심하면(특히 야간) 표면이 마르게 됩니다. 비닐을 덮고 살수를 하면 습윤상태를 유지하기가 더 좋습니다..

    • @user-hd3zo8gf7q
      @user-hd3zo8gf7q 3 ปีที่แล้ว +1

      @@eng7 선생님,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paratussemper3193
    @paratussemper3193 3 ปีที่แล้ว +1

    기술사 인터넷 강의 하셔도 될듯...👍

    • @user-po8uq7wr8g
      @user-po8uq7wr8g 3 ปีที่แล้ว

      현재 인터넷강의도 하고 계신걸로 알고있습니다~
      초록창에 검색하면 나와요~

  • @user-wx8vq5ou1s
    @user-wx8vq5ou1s 3 ปีที่แล้ว +3

    최고^^ 입니다

  • @user-wx8vq5ou1s
    @user-wx8vq5ou1s 3 ปีที่แล้ว +2

    세상에 너무 이해가 빠름니다 👍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