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이음과 기능이음 알아보기 | 콘크리트 이음(Joint)의 종류, 기능, 설치위치, 시공방법 | 신축이음과 수축이음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ม.ค. 2021
  • 안녕하세요 분당기술사학원 박원장입니다.
    이번 영상은 콘크리트 이음에 관한 영상입니다.
    시공이음과 기능이음의 차이, 기능, 설치위치, 시공방법을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온라인 강의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분당기술사학원 온라인강의 홈페이지
    www.eng77.com
    ▪︎ 분당기술사학원 홈페이지
    www.bd7.co.kr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0

  • @user-zr2ly8ci2m
    @user-zr2ly8ci2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user-xi5jx3iw5n
    @user-xi5jx3iw5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음부는 교수님 정리가 지금까지 가장 좋았습니다

  • @user-kl3hn9bm5n
    @user-kl3hn9bm5n 3 ปีที่แล้ว +2

    영상 잘 봤습니다!

  • @jungyeonkim8005
    @jungyeonkim8005 2 ปีที่แล้ว +2

    이해가 잘됩니다.
    열정적인 강의
    감사합니다.

  • @user-ve4tn3oq9l
    @user-ve4tn3oq9l 2 ปีที่แล้ว +3

    건축기사실기시험때잘볼게오

  • @user-tv7lh4yf7i
    @user-tv7lh4yf7i ปีที่แล้ว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l9fr8po4i
    @user-tl9fr8po4i 2 ปีที่แล้ว

    기본서 이론으로 전혀 이해되지 않다가 확실히 개념잡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ld7fo6tj6h
    @user-ld7fo6tj6h 3 ปีที่แล้ว +5

    어려운 내용을 핵심만 정말 쉽게 설명 하시네요^^!

  • @user-rp2dr9fp9y
    @user-rp2dr9fp9y ปีที่แล้ว

    건축시공 공부하다가 책으로는 이해 안되는 부분이 많았는데 쉽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유익해요 감사합니다

  • @yangpa0022
    @yangpa002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 어렵게 만 느꼈졌던 내용들을 쉽게 설명해주셔서 큰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 @user-vq2tx7ry7g
    @user-vq2tx7ry7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림으로 그려주셨서 이해가 잘 되내요 콘크리트 기사 공부하는데 많이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il6ke4hu3m
    @user-il6ke4hu3m 3 ปีที่แล้ว +4

    늘 감사 드립니다.
    새해 가정과 학원에 만복이 깃드시길 기원합니다.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fw5pt6fi2z
    @user-fw5pt6fi2z 3 ปีที่แล้ว +4

    이해하기가 너무 쉽고 재밌습니다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zd8gp6yx9k
    @user-zd8gp6yx9k ปีที่แล้ว

    대학교 내내 이해못했던걸 한방에 이해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xy1sm4lf6d
    @user-xy1sm4lf6d ปีที่แล้ว

    영상 정말 잘 보고있습니다.
    궁굼한 사항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콘크리트로 넓은 면적의 주차장을 포장 할 때도 도로포장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는 것인지요?
    예를들어 신축이음 설치구간에 다웰바를 설치 해야 한다거나 가로줄눈, 세로줄눈 처럼 일정간격으로 수축줄눈을 설치 해야 하는지 궁굼합니다.
    만약 200×200m크기의 주차장을 콘크리트로 포장 한다면 줄눈을 어떡게 설치해야 하는지요? 도로포장과 관련되 내용은 많으나 주차장 처럼 넓은 면적에 대한 포장은 찾아보기 힘들어서 궁굼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 @ceylonyt
    @ceylonyt 2 ปีที่แล้ว +1

    L형옹벽 신축이음시공시 다웰바의 캡(PVC PIPE)방향은 일방향으로 해야합니까?아님 지그재그로 설치를 해야합니까? 감리마다 시공방법이 다 달라서.ㅠㅠ

    • @eng7
      @eng7  2 ปีที่แล้ว +1

      네. 지그재그로하는것이 응력분포상 더 유리할것으로 생각됩니다~

  • @user-mf3pr9mi8x
    @user-mf3pr9mi8x 3 ปีที่แล้ว +1

    수고하십니다
    지하실 벽체1차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중인데요 층고가높아서 1차치고 양생한후에 2차로 이어서 벽체를 타설하려는데 그때 이어서칠경우 방수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1

      이음부위에 지수판을 미리 설치해 두었으면 좋은데요.
      지수판를 설치하지 않았더라도 1차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상단부 면정리를 깨끗히 하는것이 좋습니다.
      (이음부 방수 보완)
      1. 이음부에 코킹홈 설치후 코킹시공.
      2. 이음부 주위 방수 보강(도막, 액방 등, 특히 외부쪽)
      (이음부 콘크리트 접합 관리)
      이음부 레이턴스 제거, 2차 콘크리트 타설시 하단부위 진동기 다짐 철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완하는 것이 가장 쉽겠습니다.

    • @user-mf3pr9mi8x
      @user-mf3pr9mi8x 3 ปีที่แล้ว

      @@eng7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bluelovely7961
    @bluelovely7961 3 ปีที่แล้ว +2

    공용계단 내부벽에 층간쪼이트불량으로
    인하여 옥상쪽 계단포함 27층계단부터 시작해 지하 P2층까지 물얼룩이 있습니다. 입주후 3년차에 해당하는 아파트입니다. 계단 내부벽에 물얼룩자국을 없에기 위해 하얀 퍼티자국이 계속 덧발라져있습니다. 12달중 거의 내내 물얼룩이 보일정도입니다. 어떤 위험성이 증가하며 어떤처리를 조속히 하고 어떤법령아래 보호받을 수 있나요? 물얼룩이 생기는 조인트불량의경우 반드시 충전식으로 보수하도록 하나요?

    • @eng7
      @eng7  3 ปีที่แล้ว +2

      계단실 층간조인트 부위에 전반적으로 누수, 결로 부위를 통한 백화현상이 있는것 같네요. 어느정도의 상태인지는 알수없으나 재발하지 않도록 부실한 부위에 주입, 충진, 마감을 꼼꼼히 해야합니다. 건설업체에 하자보수요구하시기 바랍니다~

    • @bluelovely7961
      @bluelovely7961 3 ปีที่แล้ว

      @@eng7 감사합니다. 제가 사진을 보여드리고 싶은데 여기 답글에는 사진을 어떻게 올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저의 유튜브 동영상에 공용계단 사진을 올리겠습니다.

  • @user-rp5uc7eq1l
    @user-rp5uc7eq1l ปีที่แล้ว

    영상 잘봤습니다^ 한가지 여쭤볼께있어서 질문글 남깁니다.. 콘크리트 이음은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설치하는것으로 영상을 통해 배웠는데 콘크리트 기사 문제를 풀다보니 신축이음에 관한 문제중 신축이음은 균열의 제어를 목적으로 설치하는것이 아닌 해당구역에 균열을 집중유발할 목적으로 설치한다고 해설지에 나와있더라구요 혹시 문제가 잘못된건지 제가 이해를 잘 못해서 그런건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eng7
      @eng7  ปีที่แล้ว +1

      균열 집중을 유발할 목적으로 설치하는것은 수축이음(control joint) 입니다.
      그래서 균열유발줄눈이라고도 합니다.
      해설지 착오인것 같습니다.

    • @user-rp5uc7eq1l
      @user-rp5uc7eq1l ปีที่แล้ว

      @@eng7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 @RaynorK
    @RaynorK 2 ปีที่แล้ว

    슬래브 타설시 전단력이 최소가되는 경간중앙이 아니라 모멘트가 0가되는 곳에 시공이음을 두는경우가 많은것으로 알고있는데 제가 잘못알고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실제 상부공 시공시 시공이음이 필요하면 경간의 대략 1/3지점에 시공이음을 설치했습니다

    • @eng7
      @eng7  2 ปีที่แล้ว

      시공이음부는 강도상 영향이 적고 부재의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설치합니다. 따라서 슬라브 상단에 이음을 둡니다. 만약, 슬라브를 끊어칠 경우에는 전단력이 최소가 되는 경간 중앙부에 둔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