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학 푸는 법 4가지 이미 알고 있는지 체크!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2 ม.ค. 2023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08

  • @user-fl9hu8ow2i
    @user-fl9hu8ow2i ปีที่แล้ว +426

    쌤덕분에 요즘 매삼비 맨날 다맞고 자신감을 얻고있어요!! 맨날 머리에 들어오지도 않는거 꾸역꾸역 읽고 느낌대로 풀고 3~4개씩 틀리고 이랬는데 선생님 덕분에 드디어 감을 잡았네요!! 사랑합니다😍😍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24

      댓글 보니까 저도 너무 행복해요🥰❤️ 앞으로 강의와 공부조언 영상들 계속 업로드 되니 자주 봐요! 예쁜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y1hw6th7n
      @user-uy1hw6th7n ปีที่แล้ว +7

      근데 틀리는게 좋은거 아닌가
      공부할려고 모르는거 찿는데 다맞으면 너무 슬프잖아 그렇다고 수능 만점자도 아닌데

    • @jangjh22
      @jangjh22 ปีที่แล้ว +7

      ​@@user-uy1hw6th7n엄 찍어서 맞추는 것만 아니면 괜찮지 않을까요

    • @user-uy1hw6th7n
      @user-uy1hw6th7n ปีที่แล้ว +4

      @@jangjh22 그럼 푸는 의미가 없자늠 김동욱 스승님이
      문제푸는건 선별과정이라 캤는디

    • @user-xh9qd5wj3x
      @user-xh9qd5wj3x ปีที่แล้ว

      @@user-uy1hw6th7n 진짜 멍청하노

  • @kmedical_
    @kmedical_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1

    진짜 수능 국어 점수를 올리고 싶다면 문장을 끊어 읽지 마시고 통으로 읽고 이해하는 연습을 하시길. 지문 읽으면서 이해 안 되는 게 있으면 그리시지 마시고 머리로 생각하고 또 치열하게 고민하세요. 본질은 이해력입니다.

    • @HailoOoO
      @HailoOo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수능은 타임어택이라 빨리 읽고이해하고 넘어가야 안막힘

    • @user-oy2wf6vd4q
      @user-oy2wf6vd4q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HailoOoO연습을 저리 하면 실전때 자연스럽게 될거아냐 그럼 연습때도 빨리 빨리 넘어가게?

    • @user-rz3ns5jf9g
      @user-rz3ns5jf9g 19 วันที่ผ่านมา

      빠르게 배이스를 쌓고 정답률이 높은 끊어 읽기 대신 시간 오래 걸리고 전문장 다 읽기를 한다?
      삽질이지
      이해가 필요하면 끊고 다시 돌아올 지문에서 끊고 문장이 끝나면 끊어서 읽는게 가장 goat임

    • @user-rz3ns5jf9g
      @user-rz3ns5jf9g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수능만을 위한다면 끊어읽기
      대학에 갈 그릇을 늘리길 원한다면
      지식의 틀 스키마를 공부하는게 맞음
      꼭 끊어읽기 하지말고 도구 쓰지 말라는 국어 5등급 국일만파 들은 어케 어 그거 그렇게 하는거 아닌데 ㅇㅈㄹ 하냐

    • @user-xr5if4ey3q
      @user-xr5if4ey3q 15 วันที่ผ่านมา

      @@HailoOoO난독증아 연습할 때 고민하라했는데 거기서 수능은 타임어택이라는 말이 왜 나오냐 병신이냐

  • @user-xi3lo4bz6f
    @user-xi3lo4bz6f ปีที่แล้ว +848

    이건 문학인데 등장인물에 동그라미 세모 네모 다르게 표시하는거 좋았음

    • @user-cq2wr6jn7f
      @user-cq2wr6jn7f ปีที่แล้ว +30

      와 ㄹㅇ 나만 하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구나

    • @user-sf2dn7jk2
      @user-sf2dn7jk2 ปีที่แล้ว +1

      ​@@user-cq2wr6jn7f 그러게요 ㅋㅋㅋㅋ

    • @profit3816
      @profit3816 ปีที่แล้ว +87

      난 고전 소설 특유의 주어 목적어 빼고 서술만하는 형식 때문에 인물 분간도 안되는거 개빡쳐서 그냥 빈 공간에 인물들 인간 관계 정리해놓고 풀었었음 ㅋㅋㅋㅋ 의외로 이방법이 통했었던게 신기하네

    • @user-xi3lo4bz6f
      @user-xi3lo4bz6f ปีที่แล้ว +4

      @@user-sc9yy5fo5i 읽으면서요 그러다가 문제에 인물나오면 파악이편해요

    • @cksskr
      @ckssk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ㅇㄱㄹㅇ

  • @user-qc3nr7ck6o
    @user-qc3nr7ck6o ปีที่แล้ว +50

    엄청 많은 지문을 문제마다 읽을수 없고 생각도 해야 되기때문에 이 방법이 효율성이 좋을거 같아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1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q9fd3iz5v
    @user-uq9fd3iz5v ปีที่แล้ว +248

    이 영상은 어디까지나 구조파악을 위해 하는 것들이지 이거 한다고 시간 날려먹는분들 없길 바람. 안하는거만 못함.

  • @user-cj1uq6zu2x
    @user-cj1uq6zu2x ปีที่แล้ว +19

    문단 번호 매기는 게 별 거 없어 보이지만 내용 이해할 때 도움 되는 듯

  • @user-hb9el7vl4u
    @user-hb9el7vl4u ปีที่แล้ว +88

    정말 머리를 한대 맞은느낌이에요…앞으로 국어공부 시작전 필청할거같아요 ㅋㅋㅋ

  • @user-gl5vs7lb5s
    @user-gl5vs7lb5s ปีที่แล้ว +27

    와 진짜 선생님 설명 감사해요 진짜 귀에 쏙쏙 들어 오네요!! 영상 지우지 마시고 계속 유트브 해주세요

  • @msk6966
    @msk6966 ปีที่แล้ว +110

    이 방법 자체는 훌륭하지만, 저는 반대로 이 방법들은 문학에만 씁니다. 비문학은 문제 보지도 않고 지문부터 완전 정독하구요. 문제 훑어봐서 괜히 시간쓰고 선지 힐끔 보여서 헷갈리는거 보다 완전 백지 상태에서 지문의 큰 틀, 설명하는 원리를 완전히 이해하고 들어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siner236
      @siner236 ปีที่แล้ว +7

      비문학에서 이러는건 에바같은데 허수용인가?

    • @user-gv9yj6cq2q
      @user-gv9yj6cq2q ปีที่แล้ว +92

      그냥 이 사람이 말한거 다 지키면 시간 없음 뭔 언제 엑스 오 하고있어 ㅋㅋ

    • @msk6966
      @msk6966 ปีที่แล้ว +5

      @@siner236 뭐 나는 그럼. 내가 허수 소리 들을만큼 못하진 않고 특히 비문학은 자신있어서 걍 다른사람은 이런 방법을 쓰는구나 해줬으면 함

    • @msk6966
      @msk6966 ปีที่แล้ว +8

      @@user-gv9yj6cq2q 이사람 말은 연습할 때 이렇게 하고 가면 갈수록 체화해라 그뜻인거같긴 함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24

      맞아요 체화 후 시험장에서는 머리로 몇 번부터 풀어야겠다 생각할 수 있다면 베스트입니다🥰 저도 모든 지문을 풀이할 때 꼭 이 순서를 지켜서 항상 강의하지도 않고요~ 짧은 영상이라 전달에 한계가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 @batnaeking183
    @batnaeking183 ปีที่แล้ว +9

    아직 시간 많은 사람들은 책 많이읽으셈
    기술 없이도 독해력하나만으로 불도저 가능

  • @83sa84
    @83sa84 ปีที่แล้ว +8

    저것보단 지문에 적는게 낫다고 난 생각함. 그냥 문제 한번 훑고 도움될만한 껀덕지나 끌고 나가야할 내용 하나 찾고 ㄱ이 예를들어 1번과 연관된 문제면 1번에 ㄱ을 쓰는게 아니라, 지문 속 ㄱ에 1번을 써야됨. 이미 문제에는 쓰여있는데 굳이? 왜? 암튼 그렇게 먼저 북마크 해놓고 어휘 문제는 읽다가 바로바로 풀면서 털던지 아님 먼저 털고 들어가던지 알아서 성향껏 하고 지문 읽으면서 문단번호(선택. 취향껏)해주면 됨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좋은 의견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gjwkddnd_1215
    @gjwkddnd_121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감사합니다 진짜 도움 될 거같아요!

  • @sjsksj1
    @sjsksj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걸 9모 보기 전에 봤어야 하는데 ㅠㅠ
    다음 모의고사땐 이 방법 써 봐야겠네요 ㅠ

  • @Roscarch
    @Roscarch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선생님그냥GOAT이십니다 저도 현역때 국어 잘 했어서 지금은 국어 강사 선생님 밑에서 작업조교로 일하고 있는데 너무 많이 도움받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예쁜 댓글 감사합니다☺️🧡🥹🥰☺️😉

  • @nuri607
    @nuri607 ปีที่แล้ว +12

    저런거 시간엄청 잡아먹음 문단번호까진 괜찮은데 왔다갔다 쓸데없는거 확인할 시간에 두세줄 더읽겠다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1

      시험장에서 다 하면 시간 잡아먹을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해요! 체화해서 굳이 표시 안하고 문제 풀 순서를 바로 체크하는 것이 베스트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런 것 생각 안하고 지문에 집중한 뒤 문제 순서대로 푸는 것이 시간상 효율적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 @Senika0912
    @Senika091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다읽고 풀 수 있는건 소수 밖에 없습니다
    다 안읽어도 풀 수 있게 나와요

  • @user-rc9pn3cz8u
    @user-rc9pn3cz8u ปีที่แล้ว +43

    이딴거 할 시간이 있나

  • @haamse
    @haamse ปีที่แล้ว +50

    독해능력 없으면 순서만 저렇게 풀고 옆에 뭐 쓰거나 하면 절대 안됨ㅋㅋㅋ 독해능력이 안늘어남 저렇게 공부하면. 대가리 깨지 더라도 머리로 텍스트 이해하는 훈련하고 그 다음에 방법론 적용해야 시너지 남. 저렇게 풀면 당장 한 두 문제 더 맞출 수 있어도 독해능력 절대 안 늘어남

    • @Gang_minchul
      @Gang_minchu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독해력을 늘리는 방법은 다독이 최고겠죠..

    • @deded11
      @deded1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Gang_minchul다독도 좋은데 제대로 읽어야죠
      양만 따진다고 되는것도 아니고 질만 따진다고 되는 것도 아닙니다
      글 하나하나를 읽고 이해되면 넘기되, 이해안되는 문장을 이해하도록 노력해야합니다
      그리고 문단별로 중심내용을 요약하는 것도 중요하구요

    • @Gang_minchul
      @Gang_minchu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eded11 더 노력해야겠군요.. 🥺

  • @user-qe8vj7fw1p
    @user-qe8vj7fw1p ปีที่แล้ว +12

    슨생님 덕분에 처음푼것보다 점수잘나왔어요ㅠ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우와👍👍 잘하고 있어요~ 도움이 되었다니 기뻐요

  • @user-bk7gu7os1r
    @user-bk7gu7os1r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예쁜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c2bs2xz6r
    @user-rc2bs2xz6r 6 วันที่ผ่านมา

    강민철 들으면 지문 안읽고도 만점받음

  • @user-bbaksundae
    @user-bbaksundae ปีที่แล้ว +3

    실제로 틀린거 골라야하는데 반대로고른 1인입니다ㅠㅠ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으아 그럴 때 너무 속상하죠😢😢😢

  • @First_Revolution_Jaeryong
    @First_Revolution_Jaeryong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qf7di8eu7f
    @user-qf7di8eu7f ปีที่แล้ว +5

    지금 예비매삼비끝내서 매삼비풀고있는데 비문학 실력을 늘리려면 시간재면소 하지말고 천천히 읽더라도 이해되도록 지문을 읽어야할까요.?

    • @luna_zure
      @luna_zure ปีที่แล้ว +8

      국어, 영어만 팠던 대딩입니다 속도는 개인마다 다르니 어떻게 말씀드릴순 없는데, 지문 위에 표시하거나 내가 이해한대로 막 정리해서 메모하면서 읽으시는게 중요해요 그리고 꼭 “난 시간만 맞출꺼야“라거나 ”천천히 정확히만 읽을꺼야“가 아니라 한번은 시간 안에 푸는것도 해보고, 한번은 정말 다 맞추겠다는 마음으로 풀어보는게 좋더라구요! 그리고 오답! 진짜 중요해요. 사실 학원 다니면서 알려주는게 문제 푸는 방식과 오답하는 방식 정도뿐인데 진심으로(?) 오답하다보면 문제푸는 방식은 저절로 깨닫게 되더라고요 그럼 국어 화이팅 하세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1

      답변은 위의 분이 너무 잘해주셨네요💕💓

  • @DID1106
    @DID1106 ปีที่แล้ว +3

    와 푸는순서도 정리할수있구나 좋은정보 얻어갑니다!

  • @user-go2dv7vy1b
    @user-go2dv7vy1b ปีที่แล้ว +2

    지문 어디서 많이 봤는데 하고 있었는데 유서편찬 그 지문이었구나...ㅋㅋㅋ

  • @Russia_Vladivostok
    @Russia_Vladivosto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하는 친구들은 이렇게 공부하는구나...

  • @Y2k3323
    @Y2k332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단 번호... ㄷㄷㄷ 그냥 한 번에 읽고 문제 풀면 되지 않나여? ㄷ.ㄷ

  • @user-sw9mc1wg7w
    @user-sw9mc1wg7w ปีที่แล้ว +2

    시간이 없어요 그냥 3점 제끼고 어휘 풀고 3점 도전

  • @user-no5wn5tc9g
    @user-no5wn5tc9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거보기전에3월에 국어5등급이었는데 비문학은 이렇게 공부하니 4월에봤는데 이거보고 3등급 5월2등급 6월2등급 7월1등급 맞음요 진짜 이게 쉬운건데 안하는애들이 많더라고요 이것만해도 점수10점오름 장담함 여러분들도 해요 ...

  • @_carpediem2241
    @_carpediem224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마지막거는 적지않아도 밑줄만 그어도 되더라구용

  • @user-fy4qk2kg2p
    @user-fy4qk2kg2p ปีที่แล้ว +10

    비문학이나 문학 푸셨을때 오답어떻게 하셨나요?? 틀린문제는 다시 한번더 푸는방법이 맞을까용..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저는 틀렸을 때는 시간 재지 않고 비문학은 지문을 한 단락씩 요약해 적고 문제에도 해설을 직접 달아보며 공부했어요! 문학은 작품 해설을 인터넷에 찾아본 후 한번 읽어보는 식으로 끝냈어요💓
      th-cam.com/video/uHdSj5GC03E/w-d-xo.html
      이 영상 참고해주세요🥰🥰
      공부법에 정답은 없지만 혼자 공부했던 경험을 담아봤습니다

  • @user-bz1ll8rs1x
    @user-bz1ll8rs1x 27 วันที่ผ่านมา

    저럴시간에 걍 꼼꼼히 읽고 문제푸면 다 풀림

  • @plusmate5775
    @plusmate5775 ปีที่แล้ว +1

    ㅋㅋㅋㅋ 이게 왜 지금뜨냐고 빨리좀 뜨지
    이제 대학교 졸업 앞두는마당에 이게뜨네..

  • @user-jh5hi2lp2q
    @user-jh5hi2lp2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선생님 ! 혹시 비문학읽을때 한단락 읽고 가에 따른 문제 풀고 하는건 너무비효율적인가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 단락(문단)만 읽고 문제를 푸는 것은 효율성의 문제라기보다 불가능하다고 생각해요! 영상에서 설명한 것은 시간이 거의 남지 않았을 때 우선적으로 한 지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독립 문제에 대한 조언이었습니다~

  • @user-jq5hi7ju8c
    @user-jq5hi7ju8c ปีที่แล้ว +22

    선생님 절대적인 독해력에 더해 추론력은 어떻게 올릴 수 있을까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영상 제작에 반영해볼게요~!

    • @user-gq8vk4lc2i
      @user-gq8vk4lc2i ปีที่แล้ว

      리트 지문 같이 어려운 지문 시간 두고 고민해보세요

  • @_carpediem2241
    @_carpediem2241 ปีที่แล้ว

    와...

  • @user-fg7ou9pw5z
    @user-fg7ou9pw5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렇게 구분해서 하는건 진짜 수능이 내일인 애들(그래 오늘 쇼츠보는 너네)말고는 비추 딱딱 지정파악하려고하면 긴장해서 안됨 걍 술술 재밌네~마인드로 읽어야

  • @user-jc3gi6ix9t
    @user-jc3gi6ix9t ปีที่แล้ว

    제가 이제 중학교 들어가는데요, 빠작 이라는 문제집으로 비문학을 가끔 푸는데 시간을 재는게 좋나요, 아니면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안재는게 좋나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지금 시간단축을 훈련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시간재는 것은 선택인데 저는 부담감 느끼지 말고 기록의 목적으로, 또는 집중을 위해 시간 재는 것도 도움된다고 생각해요💓 중학생 때부터 비문학 공부라니 열심히 하고 있네요👍👍 책을 읽을 시간이 많으니 다양한 분야의 책 읽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 @user-jc3gi6ix9t
      @user-jc3gi6ix9t ปีที่แล้ว

      @@tutorhyeon7081 오! 그렇군용 조언 감사합니다ㅠㅠ

    • @user-zs5gj2cs7k
      @user-zs5gj2cs7k ปีที่แล้ว

  • @acktericks
    @acktericks ปีที่แล้ว +11

    문단 적기는 진짜 혁신이네요.. 혹시 현역때 어떠한 인강이나 공부법을 참고하셔서 얻으신 영감인가요? 아니면 직접 깨달으신 건가용?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3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역 때 모고풀이나 문학 ebs 강의 말고 인강은 안들었어요. 문단마다 내용 요약해보라는 팁은 사실 많이들 알고 계시고 저도 어디서 주워들었던 이야기인데 어떻게 하는지 잘 몰랐어요!
      그래서 일단 수특 같은거 해설지에 보면 문단별로 무엇을 다루고 있는지 정리되어 있거든요. 비문학 분석에! 그거 내신 준비하면서 문단 옆에 그대로 베껴적다가 나중에는 저만의 언어로 수특 해설지처럼 적어봐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던 것 같아요~
      아마 예전부터 많이들 문단별로 정리해라 그런 팁들은 원래부터 유명했을 거에요! 달월님도 달월님만의 문단정리 한반 해보세요😆😆

    • @acktericks
      @acktericks ปีที่แล้ว

      @@tutorhyeon7081 감사합니다🙏

  • @user-gv3jr5lo4s
    @user-gv3jr5lo4s ปีที่แล้ว +11

    고3으로 올라가면 효율을 극대화해야하나요?
    예비고1인데 차근차근 풀어도 시간이 좀 남는데 고3땐 다른지 궁금합니다.

    • @kehhkwj545
      @kehhkwj545 ปีที่แล้ว +6

      예비고1은 무조건 개념탄탄하게 잡고 올라가셈 저것도 보기엔 쉽지 문제 파악 다했는데 선지에서 막히면 ㅈ돼는거임

    • @user-wt2cl7tb3q
      @user-wt2cl7tb3q ปีที่แล้ว +4

      저도 고2 때까지는 다 풀고도 20분씩 남고 그랬었는데 고3부터는 시간이 모자라더군요... 추론이나 응용 문제가 어려워져서 힘드니까 다른데서 시간 아껴놓으면 좋아요. 어휘문제 제일 먼저 털고 단순 일치 불일치도 읽자마자 털고 가는 식으로 처리하면 부담이 적습니당

    • @kehhkwj545
      @kehhkwj545 ปีที่แล้ว

      @@user-wt2cl7tb3q 확실히 어릴때 책 많이 읽어놓으면 고2까지는 괜찮은데 단순 어휘력만 믿고 가다가는 고3가서 개털립니다

    • @user-xs3fk7on9e
      @user-xs3fk7on9e ปีที่แล้ว

      @@kehhkwj545 저는 예비고2이고 매3비 시간 초과되고 0-2개 틀리는데 많이 심각한 편인가요?? 제가 비문학 읽을 때 한 문장을 2번 읽을 때도 있는데 이럴땐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요?? ㅠㅠ

    • @kehhkwj545
      @kehhkwj545 ปีที่แล้ว +5

      @@user-xs3fk7on9e 비문학이랑 화작은 걍 독해력이고 문학이랑 언매은 개념입니다 독해력은 그냥 문제 많이 풀어보면 좋습니다 근데 문제 풀때 모른다고 대충 넘기지 마시고 꼼꼼하게 1시간 걸려도 좋으니깐 완벽하게 푸세요 이게 쌓이고 어느정도 독해력이 쌓여야 영상에 나온 방법을 써서 시간을 단축하는겁니다

  • @farric8856
    @farric8856 ปีที่แล้ว +1

    1.매번 문제푸실때 저렇게 표기하시고 하시나요? 문학 같은 경우는 보기같은곳에 지문 해설 요약이 되있는경우가 많아 문제을 보고 지문을 들어가는데 비문학은 도움이 안되서 바로 지문 읽기 시작하는데 조금 비효율적일까요?
    2.현재 마닳 공부중이고 매일 1회분씩 기출분석 돌리고 있습니다. 언매라 문법은 김동욱쌤 인강 듣고 있고요. +추가로 도움될만한 책이나 인강 추천해주세요!
    3.국어 대부분 중간-높은 2등급이고 가끔 1등급 이렇게 왔다갔다해서 ....
    고정 1 받고싶습니다.
    시험풀면
    언매 문학 다맞거나 1.2개 틀림
    푸는시간 25분 25분
    비문학 4-5개 틀림
    푸는시간 30분
    푸는시간 배분은 어떤식으로 하셨는지 저는 어디가 부족한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제가 어떤 공부법이 맞다 부족하다 평가할 처지라고 생각되지 않아 조언을 드리는데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1. 설명을 위해 표기했는데 실전에서는 긴장 풀 겸 문장 번호 매기고 ox만 한 뒤 몇번 부터 풀지는 따로 표시 안하고 보고 머릿속으로 생각합니다. 저도 문학은 보기 정보 있으면 읽고 비문학은 보통 안 읽고 풀었어요!
      2. 좋은 커리로 잘하고 계신다고 생각해요! 책 추천은 영상 준비하며 정리해볼게요!
      3. 비문학 최대 35분 잡고 정확도 높이는 것을 추천드려요! 시간은 여유 있게 이미 잘 쓰고 계시는 것 같아서 속도보다 지문의 정확한 이해와 실수 줄이기에 집중하시는 것 추천드립니다

    • @user-xr5if4ey3q
      @user-xr5if4ey3q 15 วันที่ผ่านมา

      아니 문제를 먼저 보고 지문을 본다는게 뭔 개소리임... 그렇게 푸는게 맞으면 애초에 시험지가 문제가 먼저고 지문이 나중이겠죠

    • @Lee-rm1hm
      @Lee-rm1hm 4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xr5if4ey3q평가원은 문제를 먼저만들고 지문을 답에 맞게 씀

    • @user-xr5if4ey3q
      @user-xr5if4ey3q 4 วันที่ผ่านมา

      @@Lee-rm1hm 뭔 조같은 소리냐 지문을 만들고 지문 내용 물어보려고 문제를 만드는거지
      제발 모르면 아가리 닥치고계세요

    • @user-xr5if4ey3q
      @user-xr5if4ey3q 3 วันที่ผ่านมา

      @@Lee-rm1hm 지랄을 하세요...

  • @user-ew5kz6lj1b
    @user-ew5kz6lj1b ปีที่แล้ว +4

    수능당일에도 이렇게 풀어야하나요? 아님 수능공부만 이렇게 해주는건가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정답은 없으니 맞는 것만 취사선택하시면 됩니다~

    • @user-ze8cd3zc9p
      @user-ze8cd3zc9p ปีที่แล้ว

      근데 굳이 싶긴한데 정리가 문제로 한 번더 되는 거라 괜찮아보이기도 하는데 적응 안될거같으면 안하는게...

    • @user-oj3gg1tg9q
      @user-oj3gg1tg9q ปีที่แล้ว

      케바케

  • @Roeorogo
    @Roeorogo ปีที่แล้ว +4

    궁금한데 모의고사 칠때 저 지문 하나하나 다읽어야 되나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지문에서 문제 풀때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어내는 것은 불가능해서 일단 지문의 모든 문장을 읽는 것을 권합니다. 다만 중요한 내용을 선별해 골라내고, 대충 지나가며 읽어도 되는 부분에 힘을 빼지 않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비문학 푸는 법 영상 추후 제작 예정이니 참고해주세요☺️

    • @user-xs3fk7on9e
      @user-xs3fk7on9e ปีที่แล้ว

      @@tutorhyeon7081 그런 불필요한 정보 이런 것들은 어떻게 골라내는 건가요??

    • @dlsdnrichard
      @dlsdnrichard ปีที่แล้ว

      ​@@user-xs3fk7on9e 불필요한 정보를 걸러내는 행위는 필요없을 뿐더러 평생을 읽어도 못합니다.
      평가원 지문, 글이란 것은 필요한 정보만을 서술하기 때문입니다.

    • @flakesnow6988
      @flakesnow6988 ปีที่แล้ว +1

      ​@@user-xs3fk7on9e 비문학에는 불필요한 정보들은 없습니다
      하지만 선지에 나올법만 중요한 지문에는 보통
      이처럼, 이와 같이, 즉 등의 내용정리 해주는 단어
      하지만, 그러나, 반면에 등의 대비를 보여주는 단어
      예를 들어, 가령 등의 앞의 지문을 부연설명, 구체화해주는 단어들은 꼭 알고 있어야 문제 풀기가 쉬워집니다

  • @tenma_saki
    @tenma_sak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걸시험끝나고보네

  • @sonhuengmin1
    @sonhuengmin1 ปีที่แล้ว

    실전시험장가서도 저렇게 O X 해도 감독관이 지적안하는거죠?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네! 시험 규정을 어기는 행위가 아니니까요☺️

  • @coffee_arirang
    @coffee_ariran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ㅇㄷ

  • @user-vz1ro8up6j
    @user-vz1ro8up6j ปีที่แล้ว

    혹시 피셋공부도 똑같이 해도 될까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피셋은 어떤 시험인지 잘 몰라서 말씀을 드리기 어렵네요😂😂

    • @namu_na
      @namu_na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피셋쯤 되면 눈풀하는 애들이 경쟁자일텐디

  • @gay08122
    @gay0812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수능에서 이렇게하면 시간 손해아닌가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게 느끼시면 안하시면 됩니다. 설명을 위해 영상에서는 표시한 것이고 이러한 틀로 문제를 이해하는 과정이 도움이 되어 나누고 싶었을 뿐입니다.

    • @user-dy7ei2wq7z
      @user-dy7ei2wq7z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다쓰고있으면 3분정도나 날라가서 ㅈ되는게 맞고
      머릿속으로 계산해야죠
      저 방법을

    • @ouya6967
      @ouya696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덱싱 과정이라고 보면 될듯

  • @oliverlli2332
    @oliverlli2332 ปีที่แล้ว

    ㅋㅋㅋ 올해 비문학 2지문 쌩으로 날려먹어서
    7기되게 생겼네 ㅅㅂ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starone9793
    @starone9793 ปีที่แล้ว +3

    수능 안본 1인
    지문이 엄청 많구나!! 읽기도 바쁘겠네~
    한 인간의 능력을 일렬로 세워 뽑으려니....
    암튼 이런 강의도 정말 도움이 많이 되겠네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tot1774
    @tot1774 ปีที่แล้ว +3

    키워드 3개씩 적는건 고3모의고사만 되도 시간이 부족하지 않을까요? ㅜㅜ 궁금해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1

      안 적어도 돼요! 비문학을 읽을 때, 본인만의 기호로 본문에 표시하거나 줄 치는 것만으로 필요한 정보를 찾아갈 수 있으면 충분합니다. 키워드를 따로 안 적고 본문에 동그라미 쳐도 좋아요~☺️

    • @tot1774
      @tot1774 ปีที่แล้ว

      @@tutorhyeon7081 감사합니다 🤩

  • @michinnomejejucdanghihela
    @michinnomejejucdanghihela ปีที่แล้ว

    오늘 모고네요 이거라도 보고 2점이라도 더 올려보겠습니다!!!!

  • @homin2326
    @homin232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6등급이 4등급 되는데 필요한 영상

    • @Ikmyeong811
      @Ikmyeong81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등급은 비문학 전부 날려도 맞지않냐

  • @HED430
    @HED430 ปีที่แล้ว

    0:00

  • @borgcy1925
    @borgcy1925 ปีที่แล้ว

    ㅁㅊ건가..?

  • @user-be3nw8lp4b
    @user-be3nw8lp4b ปีที่แล้ว +4

    저거 시간 너무 많이 걸리는 거 아닌가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2

      문단 번호 매기기 ox 모두 안하셔도 됩니다. 필요한 것만 선택해서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가만 보고 푸는 문제, 나만 보고 푸는 문제 가려서 문제 푸는 순서를 정하는 것 설명하기 위해 저렇게 표시했는데 체화해서 시험장에서는 따로 표시하지 않고 머릿속으로 풀 순서를 정하고 문제를 찾아갔습니다. 이 영상은 참고만 하시고 더 좋은 방법, 맞는 방법 찾아보세요💕

  • @alsdnr890
    @alsdnr89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난 할수있다

  • @user-rc4vn8ub3m
    @user-rc4vn8ub3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비문학
    옳은거 올지 않은것 체크하기
    먼저 풀수 있는것은 체크하기
    문단별 키워드 쓰기

  • @user-tg7oi6iz9n
    @user-tg7oi6iz9n ปีที่แล้ว

    이제 고1 올라가는데 고3 모고 2등급 안정권이 힘들어요 ㅠㅠ 방법이 잘못된 걸까요? 2등급 안정~1등급 뚫을 팁 있을까요? ㅠㅠ 비문학을 풀 때 항상 문제를 먼저 읽은 뒤 어떤 선지를 읽고 풀 지 필기해놓고 지문을 읽기 시작하는 건가요?

    • @user-tg7oi6iz9n
      @user-tg7oi6iz9n ปีที่แล้ว

      3년이면 수능 1등급도 충분히 가능하겠죠? 주변에 잘하는 친구들이 넘 많아서.. ㅠㅠ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1

      당연하죠!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는데요❤️ 저 방법은 하나의 제안일 뿐 꼭 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나중에 시험장에서는 체화하여 눈으로 보고 몇번을 먼저 풀지 저렇게 적지 않고도 머릿속으로 푸는 순서를 계획할 수 있을 거에요. 그리고 지문부터 바로 보는 분도 많고 정해진 방법은 없어요. 아직 고1이니 여러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 @user-tg7oi6iz9n
      @user-tg7oi6iz9n ปีที่แล้ว

      @@tutorhyeon7081 넵 감사합니다. 저 방법의 경우는 문제를 먼저 읽고 분류하는 것이 맞는건가요?

    • @ji_.hzz0
      @ji_.hzz0 ปีที่แล้ว +7

      ...난뭐가되는거지

    • @user-yi3qg5tb3u
      @user-yi3qg5tb3u ปีที่แล้ว +3

      @@ji_.hzz0나랑 같은 생각…4~5등급은 울어요…ㅜㅜ

  • @user-kq8cd2oo6t
    @user-kq8cd2oo6t ปีที่แล้ว

    현역때 기억으로는
    문제를 먼저 빠르게 훑어서 어떤 내용의 지문이 나올지 좀 예상한 다음
    바로 지문을 쭉 읽고 문제 풀고 넘어갔던거 같은데
    잘 맞는 사람은 좋아보이는 방법이네요

    • @user-tq1by4pj2h
      @user-tq1by4pj2h ปีที่แล้ว

      지문 다 읽고 문제 푸는거도 괜찮은 방법인가여?이번에 고등학교 올라가는데 국어는 1번부터 쭉 풀어도 되나요?

    • @user-kq8cd2oo6t
      @user-kq8cd2oo6t ปีที่แล้ว

      @@user-tq1by4pj2h 사람마다 다르죠
      전 지문 싹 다 읽으면서 기억한 다음, 문제를 봐서 바로바로 맞추는게 더 맞는 방법이었던 거고
      영상처럼 정보의 휘발이 빨라서 미리 체크하면서 푸는게 편할수도 있고요

    • @user-ob9zr7yg2m
      @user-ob9zr7yg2m ปีที่แล้ว

      저도 이 방법이 젤 잘 맞았음 시간도 별로 안걸리는데 필요한 내용만 선별해서 읽을 수 있어서..

  • @user-ci2jo6nq1o
    @user-ci2jo6nq1o ปีที่แล้ว +17

    음?ㅋㅋ 이걸 다 할 시간이 됨?

    • @user-hl1dk4xj6h
      @user-hl1dk4xj6h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정도야 채화하면 30초도 안걸림 여기서 하나한 설명을 해주니 오래걸릴뿐;;

    • @Fozeta
      @Fozeta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hl1dk4xj6h 굉장히 쓸데 없어 보이는데, 전체적인 독해력 키우는거에 열중하는 것이 나아보임.

    • @user-hl1dk4xj6h
      @user-hl1dk4xj6h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Fozeta 안해봤으면 말을 말자...

    • @user-jt3bd2nd9x
      @user-jt3bd2nd9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hl1dk4xj6h체화 체화 체화

  • @user-pm9tu6qo3i
    @user-pm9tu6qo3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다른 선생님들이 그러던데 그런 식으로 하면 3등급에서 못 벗어난다는대요. (심찬우, 스터디코드 등등)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본인에게 맞는 조언을 택하시면 될 것 같아요! 1분 숏츠로 짧은 문제 풀이법도 소개하지만 채널의 다른 영상들을 보시면 읽기, 독해 자체에 대한 생각도 전하고 있어요. 숏폼 형태의 1분 영상 내에서는 수능 국어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전달하지 못하고 영상마다 전하는 메시지가 하나만을 고집하지 않으니 참고해주세요~

  • @user-iv1wt2yv5l
    @user-iv1wt2yv5l ปีที่แล้ว

    그럼 지문읽기 전에 문제를 먼저 보는 건가용?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2

      저는 문제를 풀 순서 정하기 위해, 긴장 풀 겸 ox 표시했어요! 선지를 읽는 목적은 아니었는데 정해진 방법은 없고 문제에서 키워드 잡고 푸시는 분도 많더라고요🥰 맞는 방법을 한번 찾아보세요~

  • @mnmnmn1082
    @mnmnmn1082 ปีที่แล้ว +1

    근데 수능공부 하는 사람중에 저정도도 안하는 사람이 있긴한가..?

    • @user-ze1qx9nj1f
      @user-ze1qx9nj1f ปีที่แล้ว

      안해도 1나오던데

    • @namu_na
      @namu_na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실 표시없이 눈으로 다 하는게 최고야

  • @user-qg1lu9oi7m
    @user-qg1lu9oi7m ปีที่แล้ว

    중학생인데 미래가 걱정되네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2

      저도 중학생 때 이런 긴 지문을 보면 막막했을 것 같아요! 단계적으로 공부하면 고3 때 충분히 잘할 수 있을 거예요☺️

  • @user-ol8gr2go1h
    @user-ol8gr2go1h ปีที่แล้ว

    혹시 적절 부적절 체크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ㅠㅠ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옳은 선지를 골라야 하는데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식으로 실수한 적이 있어서 저희 학교 국어선생님이 알려주셨던 방식인데 저는 도움이 많이 됐어요! 그래서 담아본 것인데 꼭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됩니다💕

  • @user-uk3el2yo7k
    @user-uk3el2yo7k ปีที่แล้ว +1

    지나가는 초딩때 입니다 헠 글씨왜케 많아요 고딩되면는 전략도 짜햐하네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2

      시간 단축을 위해 소개한 방법이지만 텍스트를 읽는 속도가 빠르면 따로 전략을 짜지 않고도 시간 부족 없이 높은 성적을 받는 친구도 많아요~ 걱정하지 마세요☺️

  • @user-ez4xo1jl6s
    @user-ez4xo1jl6s ปีที่แล้ว

    비문학이 아니라 문학 아닌가용?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아 문학에도 사용될 수 있는 팁들이 이 중 몇 개 있겠네요☺️

  • @xord1208.sohongdangamja
    @xord1208.sohongdangamja ปีที่แล้ว

    ㅇㅅㅇ 고등 올라오고 지문 길이 보니까 답 없는 거 같아요..(아님 제가 답이 없는건가...?ㅠ)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1

      고등학생이 되기 전까지 이런 유형의 글을 접해보지 않아서 두려운 마음이 드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해요! 이제 시작이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공부도 파이팅입니다💕

  • @lod8031
    @lod8031 ปีที่แล้ว +1

    그럼 비문학 풀기전에는 문제를 먼저 확인하고 푸는게 더 나은가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2

      문제 선지를 꼼꼼히 읽으면서 무슨 내용인지 읽기(x)
      문제 유형을 확인하고 어떤 순서로 문제 풀 것인지 계획하기(o)
      두번째 목적으로 문제를 한번 간단히 살펴보고 지문을 읽는 것을 추천드려요~
      절대적인 왕도는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방법이 좋았습니다!
      나중에 비문학 푸는 법을 긴 영상으로도 자세히 제작할게요~!

    • @lod8031
      @lod8031 ปีที่แล้ว +1

      @@tutorhyeon7081 감사합니다 사실 비문학을 어찌저찌 잘은 풀고있었는데 뭔가 확실한 감은 없더라고요 이제부터 그렇게 연습해봐야겠어요..!!

    • @tutorhyeon7081
      @tutorhyeon7081  ปีที่แล้ว

      @@lod8031 비문학 풀이법 긴 영상으로 곧 제작해볼게요~~ 공부 파이팅입니다!

  • @Love_jaemyung
    @Love_jaemyun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렵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