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블랙홀‘ 빠진 한국교육! 이렇게 바꾸자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7 ส.ค. 2023
  • [방송일] 한국교육은 왜 무너졌는가 - 김누리 중앙대 독어독문과 교수 (23년 8월 27일 방송)
    #한국교육 #교권 #학생인권 #김누리교수
    #홍석천 #유민상 #이수지 #슈카
    #유빈 #이승현_아나운서 #KBS
    📺 본방: [일] 저녁 7:10 KBS1
    페이스북: / kbsssam
    인스타: / kbs.ssam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64

  • @KBSDocumentary
    @KBSDocumentar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이슈픽쌤과함께 김누리 교수님 또 다른 특강 '새로운 대한민국의 조건' (22년 1월 2일) 다시보기 : th-cam.com/video/cfbZpXJeVkU/w-d-xo.htmlsi=kWDNuF5SY2yKygNm

    • @ttpq6618
      @ttpq661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민주노동당 출신 유시민 친구 한겨례에서 맨날 떠느는 정치 색채 진한애들은 김어준이나 나가라해라 세금받아 운영하는 공영방송에서 이런 사람을 ㅉㅉ

    • @user-lv1ce7jc5p
      @user-lv1ce7jc5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교육만 바꿀 수 있을까~???
      학교는 사회의 축소판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거 아님
      부모 빽 믿고 폭력을 일 삼거나
      부모 빽 없으면
      부모 빽 있는 애 밑으로 들어가서
      거지깡패 되는 거임
      그러다보면 부모 빽 믿고
      교사한테도 그렇게 함
      그래서 부모 빽 없는 교사들이
      죽을 결심을 하거나
      교사가 부모 빽이 있어도
      부모 빽으로 살기에는 챙피해서
      그냥 죽을 결심을 함

  • @user-et3rc4vk2b
    @user-et3rc4vk2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81

    저런분이 교육부장관을 해야된다고 본다

    • @jackynzkiwi
      @jackynzkiw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교육부장관? No! 대통령이 되야죠!

    • @user-zl2sn7wf5w
      @user-zl2sn7wf5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jackynzkiwi
      바라는마음이네요.

    • @strawberryokok
      @strawberryoko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교육개혁 해 주실분이라면 누구든 대통령감 김누리교수님 대통령감👍🏻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권위를 강화하라는데 교육부장관이 어울린다고요????
      자유를 보장하라는데 교육부장관이 어울린다고요??
      한국사회가 권위와 자유때문에 이꼬라지 난건데???
      학교는 학교교육시스템으로 학생들을 억압하는 체제를 만든거고
      문제가되면 수정을하고 개선을 해야지
      권위와 자유를 보장 ㅋㅋ 이건 지금사회 유지하자는 뜻임
      달라지는거 1도없다는 말입니다.
      달라질려면
      민주적 법치국가가 되야함 규정을정하고 규칙을정하고 문제가되면 개선하는
      그런나라가 되야지 ㅋㅋ 자유와 권이를 보장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똥임

    • @matureprosperity
      @matureprosperit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userganada ?? 영상 첫부분만 보고 댓글 다시는 건가요? 권위 강화하라는 건 교사의 권위를 강화해야한다는 거고, 자유를 보장하라는 건 학생의 자유를 보장하라는 얘깁니다. 권위와 자유 보장이 곧 지금 사회를 유지하는 거라는 논리가 대체 어디서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댓글 다실려면 영상은 끝까지 보셔야하지 않을까요.

  • @niesel727
    @niesel72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7

    공영방송이 반드시 던져야 할 사회의제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피디님에게도 감사드리며
    학자다운 면모를 가감없이 드러내주신 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이와같이, 수려한 말로 문제점을 포장하는 말이 아닌, 근원을 드러내어 공론장에 앞장서는 방송 꾸준히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공론화 되어 변화의 불씨가 되기를 바랍니다😊
    자본주의를 극복해 존엄이 넘치는 사회를 소망합니다❤

    • @bdkim79
      @bdkim7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저 양반이 한 모든 말이 수려한 말로 문제점을 포장하는 것이었음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bdkim79 자유를 말하는 사람앞에선 방법없음
      자유는 서구가 장사하기 위해 만든 개인의자유를 보장하라고
      전세계 침략 침공 식민지화 시킨건데
      저분은 아직도 민주적 법치국가보다 자유를 중시하네
      그결과가 지금인데도 자유가 중요하데 ㅋㅋㅋ
      자유란 법이없을때 형성되는 단어임
      학교에서 일어나는 모든일이 자유때문에 일어난 일들인데
      규칙을 정하면 싹 사라질 문제를
      오로지 자유래~
      학교에서 학생이 공부를 극악으로 하는건
      교육 시스템 문제구만 교육시스템이 그렇게 만든건데 참~

    • @user-tg5bi5gr2f
      @user-tg5bi5gr2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진심으로 동의합니다.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tg5bi5gr2f 공영방송 다사라지면
      자본가국가 완성~
      자본가들이 왕앉혀놓고 언론장악해 사회지배함~
      권위주의도 자유주의도 둘다 문제임
      그래서 한국은 민주적 법치국가
      규칙규정 규범을 정하는 나라가 되야함
      가능성 없겠지만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user-tg5bi5gr2f 저분도 교권강화를 외치고있음
      옛날엔 교권이강해서 맞고 다닌 학생이
      지금 교사가되서 가르치는데 이젠 자유때문에 교사들이 학생 학부모한테 괴롭힘을 당하니 ~ 참~
      진짜 한국은 이상한 나라임~
      문제가 되면 그걸 해결을 해야하는데 전혀 안함
      교권이 강하면 강압적으로 운영하고
      자유주의가되면 완전 방치하고

  • @gameboy-fm3cg
    @gameboy-fm3c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2

    "정글에도 법칙은 있는데 한국은 정글만도 못하다" 라는 말에 200% 공감합니다.

    • @user-pv6sc9fq2d
      @user-pv6sc9fq2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한국보다 못한나라가 190개 인데요.. 중국보다 못할까...

    • @user-nx6oh3wy3k
      @user-nx6oh3wy3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190개 나라보다 좋다고 안주할 것은 아니죠. 더 좋은 나라가 되어야죠.

    • @sound9577
      @sound957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맨 위에 댓글은 정글에도 법칙이 있다는 말에
      지금 한국 밑에 190개 국이 있다고 이해한거임?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pv6sc9fq2d 그기준이 뭔데? 지금 190나라들도 선생님이 자살함?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자유란 법이없을때 형성될 수 있는 단어
      선생에게 권한을 안주니 학생 학부모가 모든 책임을 선생에게 묻고 덤비는거
      (규제할 방법이없음)
      학교시스템은 법으로 규정한거
      사람들은 자유가 좋은지만 알고 있음 자유란 법이없는 정글을 자유라 하는건데
      법없으면 살인자도 자유임

  • @user-zl2sn7wf5w
    @user-zl2sn7wf5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1

    김누리교수님 넘존경합니다.
    저분이 교육부장관 되시면 넘좋겠어요. 교육제도 정말필요합니다

    • @khop5681
      @khop568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교육 혁신이 아니라. 지금까지 했던건 교육 자체가 아니여서, 진짜 교육을 해야죠. 김누리교수님 같은 혁신적인 분이 할 수 있을것같습니다.

    • @cleo1251
      @cleo125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교육개혁은 대한민국의 생존이달린거다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자유란 법이없는걸 말함
      민주적 법치국가가 아닌 자유를 주장하는 사람은 답이없음
      왜냐?? 지금 사회꼬라지를 자유주장하는 사람들이 만든거거든~
      근데도 민주적 법치국가보다 자유 ㅋㅋ
      자유때문에 교사들이 저꼴나고 학생들괴롬힘도 당하는게 다 자유때문인데

    • @TheJoo625
      @TheJoo62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교육부장관... 너무 좋지만 온 나라가 함께하지않으면 짧은시간에 너무 벽만 부딪히실까 염려는 되네요. ㅎㅎ 그럼에도 정말 바래봅니다

    • @rileyinternational1826
      @rileyinternational182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반대한다

  • @DubistdasBeste
    @DubistdasBest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7

    독일에서 음악교육전공하고 아이들 가르치고 있는데 교수님들이 경쟁없이 아이들 가르쳐야한다고 정말 강조하셨던게 기억이 납니다. 8년넘게 독일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본 아이들 또한 대부분이 경쟁보다는 협력을 중요시하고 뒤쳐지는 친구들은 앞으로 끌어주더군요. 초등학교 1학년아이들이 2학년이 되면 1학년 아이들 한명씩 맡아서 도와주는 프로그램도 있고요. 대학교 대학원도 마찬가지로 외국인학생들 언어 부족한 학생들이 대부분이지만 교수님들 비롯 독일친구들이 도와주려고 합니다. 이번에 백강현군 자퇴하는거 보고 독일에 왔으면 참 달랐을거란 생각이 앞섰어요. 발표 잘 못한다 해도 아마 주변에서 많이 도와줬을텐데 한국학생들이 등수도 중요하고 경쟁이 심하고 결국은 각자 살아남아야하니 이해가 안가는것도 아니었지만 참 안타까웠습니다… 이곳에선 학교든 직장이든 다들 마인드가 사람이 하는 일이니 실수 할 수 있다 더군요. 사람이라 아플수 있으니 아프면 쉬는게 당연하구요. 한국에선 그런 인간의 존엄성이 사라진거같아서… 극단적 개인주의자가 모인 정글이란거 동감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교수님이 말씀하신 제안 3가지에 덧붙여 4번째는 기업의 지방분산화까지 된다면 한국 교육은 물론 지금 현재 한국이 가지고 있는 대다수의 문제들이 해소될것이라고 생각해요. 내 자녀가 굳이 꼭 서울로 가서 공부하고 취직할 필요가 없으니까요. 저는 독일 7만의 소도시에 살지만 근처에 대학도시들이 있고 대기업이 있고 또 인프라가 좋아서 굳이 대도시가서 살 필요가없어요. 그러다 보니 집문제도 없고 아이들이건 부모든 조부모든 굳이 멀리 떨어져 살 필요도 없고 자식들 손자손녀들이 찾아오고 돌봐주니 고령화로 인해 생기는 문제들도 적어요.

    •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선배는 아랫사람을 위해 30프로 위해서 살아야하는데...독일교육은 그걸 실천하는군요

    • @kyungminnoh1902
      @kyungminnoh190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현장의 모습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정말 부러운 가치관이네요

    • @JeanJuKim-eh1yo
      @JeanJuKim-eh1y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전 미국에서 1학년 마치고 신학대학교로 편입했는데 그 학교 분위기가 딱 그랬어요 선교가 모토였던 학교라서 전 대학교에 비해 모든 선생들과 학생이 서로 도와주는 분위기였고 공부할 양이 어마하게 많고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무사히 잘 졸업한게 10년이 지난 지금도 오랜 기억이 남네요.

    •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 독일도 메르켈 이후 지금 각종 사회 분야에서 균열이 나고 있고 더군다나 제국주의 출신 국가로써 자기보다 강하거나 비슷한 나라에만 사죄하는척 하고 나머지 아프리카같은 약소대륙들에겐 모른척하니 지나온 역사와 행태를 보면 참 가관인 나라가 독일입니다. 솔직히 경쟁교육 안한다, 진보적이다 이런 글과 기사 볼 때마다 참 착한척 오지게 하는것같아 가소로울 때가 많음요😢

    • @PETBOY
      @PETBO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국은 맘충 때문에 절때 안바뀌니 꿈깨세요 30년전 옛날 신문기사에도 줄세우기 그만하자라는 기사가있음

  • @greenlim1948
    @greenlim194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지금이 후기 파시즘 사회라는거
    정말 정확한 진단이다 ㅠ

  • @user-iy3kg6ls4o
    @user-iy3kg6ls4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

    교육 혁명만이 살길이다

  • @Eun-woo_cha
    @Eun-woo_ch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2

    김누리 교수님의 "차이나는클라스" 교육강의를 꼭 시청하시길 바랍니다.

    • @ih7523
      @ih752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cys4019
      @cys401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공감이요 차이나는 클라스 정말 명강의에요 저의 기본적인 사상을 다 깨부순 강의였어요

  • @dmp23wnk.
    @dmp23wn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헬조선을 해피조선으로 바꿀수 있는 가장 근본적이고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가장
    좋은 방법. 바로 경쟁과 우월의 교육이 아닌, 존엄과 인성과 사회성의 교육으로
    과감히 바꾸는것. 지금도 늦지 않았음.

    • @earifavioin2948
      @earifavioin294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해피조선 상상만으로도 좋아요

    • @PETBOY
      @PETBO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국은 맘충 때문에 절때 안바뀌니 꿈깨세요 30년전 옛날 신문기사에도 줄세우기 그만하자라는 기사가있음

  • @user-hq6cy9hz3d
    @user-hq6cy9hz3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6

    교수님께서는 수년동안 늘 똑같이 열변을 토하셨는데 우리 교육은 변하기는커녕 더 안 좋은 쪽으로 강화되었네요ㅜㅠ 들을 귀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길 그리고 행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길 마지막으로 소망해 봅니다.

  • @user-pe6rm5nz9g
    @user-pe6rm5nz9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6

    교수님 정말 존경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이렇게 훌륭한 학자분이 있고 바른 소리 해주신분 감사합니다.

  • @juk07771
    @juk0777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와~ 진짜 한국에 답을 주신듯하다. 지금 한국에 갈등이 너무 심한데 교육 시스템 바꾸면 해결될듯하네요. 경쟁을 안하게된다면 남녀 갈등, 세대 갈등 등등이 없어질듯하고 그렇게 된다면 출산율도 많이 뛸듯한데. 경쟁을 하지않고 협동을 해서 발전하는 아이들이 되면 진짜 좋겠어요.

  • @hyesunhong7983
    @hyesunhong798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4년만에 한국에 갔는데 사회가 점점 더 많이 변해가는 걸 느낍니다. 교수님 강의에서 여러가지 많은 느낌과 공감을 갖습니다. 공장에서 찍어낸듯 기계적인 태도로 사람들을 대하고 감정공유에 서툴다고 해야하나 아님 꺼리고 있는 걸까, 버스탈때, 물건을 살때, 병원에서 안내를 받고, 진찰을 하고, 상담을 해주는 많은 직업군의 사람들에게서 나를 사람으로 상대하기보다는 그저 단순한 일처리의 상대로 대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사람을 상대하려면 시간이 듭니다. 시간은 곧 돈이며 그것은 경쟁을 뜻합니다. 그러니 치열한 경쟁사회속에서 사람을 상대하기 위한 최소한의 시간도 필요치 않은듯 달려가고 있습니다.

    •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걍 이쯤되면 국민성이 저질임😅

  • @user-kt7vo7sf8r
    @user-kt7vo7sf8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0

    눈물나고 뼈저린 분석입니다. 우리 교육은 서로 상대를 죽여야만 하는 괴물을 길러내고 있습니다.

  • @user-vm8so5dh3t
    @user-vm8so5dh3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5

    대체적으로 공감합니다.
    기존교육때문에 성장을 한건 맞고 이제는 한계에 다왔으니 교육패러다임을 바꿔야하는거죠 성장하고 잘했으니 그대로 유지는 아닌것 같습니다

    • @user-jj6ms2kl4m
      @user-jj6ms2kl4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육때문에가 아니고 잔인한피의 역사입니다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건 사회문제입니다.
      자유란 법이 없어서 약자 짓밟아 자살로 이어지고
      권위란 직위를 이용해 약자 짓밟아 자살로 이어짐
      이건 한국사회에 정상이 아니라는뜻
      민주적 규칙을 정하고 법치국가로 나아가야 할텐데
      자유가 보장하면서
      권위를 강화해라??
      이건 완전 사회에 악임~ 지금 사회가 자유와 권위때문에 이꼬라진데

    • @PETBOY
      @PETBO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anada한국은 맘충 때문에 절때 안바뀌니 꿈깨삼 30년전 옛날 신문기사에도 줄세우기 그만하자라는 기사가있음

  • @TheJoo625
    @TheJoo62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6

    영상시청 후 맘이 참 아리네요.
    인간의 존엄과 품격을 배우며
    에티켓을 가지고 비판할 줄 아는 학생들... 그들이 사회 구성원이 되었을때 얼마나 다양하고 근본이 멋진나라가 될까... 부럽고 바라고 또 바래보네.
    김누리교수님 책도 참 생각을 많이하게 했던기억이...
    '우리의불행은당연하지않습니다'
    불행속에 당연히 머물고 있는 우리는... 참 힘이 없지만 국가적으로도 큰 결단이 필요합니다!!!

    • @croton21
      @croton2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습니다. 국가적으로 큰 결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죽어가고 있다고요.

  • @Angellgh1
    @Angellgh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말씀은 슬프고 인품은 멋지시네요

  • @user-kd6jz8ss6i
    @user-kd6jz8ss6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4

    교육이 서비스를 시작하게 법적으로 만들어주신분이 지금 교육부의 수장 이주호 장관님이시죠.. 그분은 이 영상을 보고 뭐라고 할까요? 당신 생각은 어떻습니까? 라고 묻습니다.

  • @ipman2444
    @ipman244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

    난 늘 저 유럽이나 미국인들의 여유가 부러웠음.. 저 여유는 어디서 나오는걸까 나는 늘 쫓기는 거 같고 성격도 급한데 저 사람들은 늘 여유롭게 삶을 살아온 거 같아서 부럽더라고요

    • @PETBOY
      @PETBO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은 부모들 때문에 그런거고 교육 절때 바뀔일 없으니 꿈깨셈. 30년전 옛날 신문기사에도 줄세우기 그만하자라는 기사가있음. Ebs 서울대 공부 치면 영상 하나나오는데 그거 보시면 충격적

    • @parkjun8009
      @parkjun800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PETBOY 그래서 세대갈등 일어나는것임. 시대가 변화를 추구하는 청년 앞길을 막는것입니다. 시대적으로 교육이 퇴행된 사회입니다.

  • @user-xt6jh7tp9k
    @user-xt6jh7tp9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오래전 부터 바보스럽고 어리석은 우리나라시험제도에 불만이 많았던 한 사람으로서 정말 속이 시원합니다.
    하루빨리 교육제도 개혁을 기원합니다.

  • @user-sb6cj5qw1p
    @user-sb6cj5qw1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공우원, 민원상대, 경찰관, 소방관. 감정노동자 등등 너무 많은 분야에 퍼져있는 공동체가 무너진 현실입니다.

  • @user-qj1lg7mq8w
    @user-qj1lg7mq8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유럽은 19세기 산업혁명 시대 공장에서 어린이들조차 늦은 시간까지 일하며 인간 존엄이 사라지자 (특히 진화론 영향) 실존철학이 유행하여 자아에 인식과 존엄의 가치에 눈을 떠 투쟁으로 얻어냈지만
    일제 식민지-분단-전쟁-독재로 이어진 한민족에겐 존엄의 사유는 사치였죠
    하지만 2023년 세계 G8급 국력을 가진 이 나라에 19세기 실존주의 철학의 대한 사유와 투쟁이 필요한 시점인것 같습니다

  • @Alex-by4zm
    @Alex-by4z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5

    지금까지 봤던 쌤과 함께 강의중에서 가장 충격적인 강의였습니다. 공영방송이 꼭 해야 하는 방송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널리 공유하겠습니다. !!!

    • @user-zs8ve5wt4r
      @user-zs8ve5wt4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저도요

    • @user-sj2cu8yl8p
      @user-sj2cu8yl8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그때 듣고 넘 감동이 되었는데... 지금 다시 찾아봅니다.

  • @lemonyellow9344
    @lemonyellow934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현재 대한민국은 후기 파시즘 사회라는 교수님 정의에 동의합니다. 오징어 게임을 현실로 살아내고 있는 참혹한 현실에 슬픕니다.
    공영 방송에서라도 이렇게 철학과 가치를 얘기했으면 좋겠습니다.

  • @user-uq5mw1bb6x
    @user-uq5mw1bb6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공영방송이 파괴되면 이런 프로그램을 볼 수 없다. kbs를 지킵시다.

    • @user-vt1wb5et5p
      @user-vt1wb5et5p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민상 절대 출연 안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황현희 괴롭히고 이게 뭡니까 실망 입니다 앞으로는 절대 출연 안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부탁드려요 kbs

  • @user-dq1kg9ec1z
    @user-dq1kg9ec1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8

    오래전부터 목소리를 내주시는데 사회는 받아들일수없는 사회가 됐죠 미래는 받아들일수 있는 사회가 꼭
    오기를 바랍니다 교수님 존경합니다

  • @minminminz77
    @minminminz7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충격적인데요 고개를 끄덕끄덕하게 되고 소름돋네요 이런 강의.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을 위해 좀 바뀌도록 자주 알려주세요 우리 아이들은 어른들처럼 살지 않게 해주세요

  • @muotmuot
    @muotmuo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

    한국사회를 교육 관점에서 이보다 더 정확하게 분석하는 분이 또 있을까요. 정말 큰 인사이트를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lj1xm7dh3c
    @user-lj1xm7dh3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이와같은 교육 개혁이 이루어지면 더불어 사교육에 쏟아넣은 비용이 노후 자금준비로 사용되어 노인빈곤층 노인자살등의 문제도 줄어들게 됩니다

  • @user-ue5dp9sy4s
    @user-ue5dp9sy4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이런강의를 찾아서 듣는분들은 이미 성숙한 분들이 많지요
    그렇지만...꼭 들어야되는 사람들은 이런강의에 관심조차 없으니 큰일입니다
    새겨듣고 주위사람들과 공유하겠습니다

  • @user-kn3ex8ci8r
    @user-kn3ex8ci8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이런 의식이 많아지다보면 바뀌리라고 생각합니다

  • @user-sn7ub6rn3z
    @user-sn7ub6rn3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김누리교수님 강의는 반복해서 들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 @soogisoogi7624
    @soogisoogi762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은 모두 화가 나있는것같아요
    경쟁에 내몰려 극단적인 이기주의가 넘치는 사회에서 다수가 불행에 빠져 길을 잃고 있는것같아요
    교육부터 하나씩 차근차근 바꾸어 나가는 혁명이 필요할 때입니다
    조금씩 바뀌는 희망적인 대한민국을 바래봅니다

  • @user-kq4jo7je5t
    @user-kq4jo7je5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교수님 좋은 강의 잘들었습니다
    모두가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입시위주의 교육정책 바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jackynzkiwi
    @jackynzkiw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8

    리로이존스가 이런말을 했죠
    "노예가 노예로서의 삶에 너무 익숙해지면 놀랍게도 이 노예들은 자신의 다리를 묶여있는 쇠사슬을 서로 자랑하기 시작한다.
    어느 쪽의 쇠사슬이 빛나는가, 더 무거운가로 말이다"
    - 리로이존스 -
    "스스로 노예의 옷을 입고 목에 굴욕의 끈을 휘감는다.
    그리고 무엇보다 놀랍게도, 이들 노예들은
    스스로가 노예라는 자각이 없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노예인 것을
    스스로의 유일한 자랑거리로 삼기까지 한다."
    - 리로이 존스 -
    이상 한국인들이 (우생학세계관 추종다들) 김누리교수의 교육철학을 싫어하는 이유

  • @user-wx4vj7oo4h
    @user-wx4vj7oo4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전쟁터 ㅠㅠ
    악몽중하나는 군대꿈 이었는데
    고교시절 다시가는 꿈도 최악몽이다
    일률적이고 억압적이고 지배적이고 경쟁적인 학교
    그래도 울고 웃는 쟁쟁하지 않는 친구들이 있어 이쁘다

  • @user-mp4cn2yx7o
    @user-mp4cn2yx7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참 좋은 콘텐츠입니다. 감사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유토피아를 학교에서 만들기를 기도합니다

  • @user-pb3bw4ki7u
    @user-pb3bw4ki7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이사람 대박. 교육부장관은 이런사람이 되야한다.

    • @user-ou2ut8kh9d
      @user-ou2ut8kh9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치하면 사람 버려요. 그냥 비판하는 교수로 남아주시는게 서로를 위해 좋아요.

    • @jsy5187
      @jsy518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거 이런 식으로 접근했던 교육부장관님이 계십니다. 이해찬.....
      그리고 그 분이 만들어낸 "이해찬 세대" namu.wiki/w/%EC%9D%B4%ED%95%B4%EC%B0%AC%20%EC%84%B8%EB%8C%80
      본질적으로 저 교수님과 같은 결을 가지고 시도했던 좋은 시도였습니다만.....
      "이해찬 세대"라는 소리를 들었던 당사자들은 왜 기분 나빠했을까요?!
      그리고 그 바로 직전에 졸업했던 사람들이 이해찬 세대의 등장이 재수에 절호의 찬스라는 말을 왜 했었을까요???!!!
      가려듣고 깊게 고민하고 찾아서 더 공부하고 더 많은 이들의 목소리도 함께 들으세요.
      참고로.... 이해찬 세대때 이뤄진 것들중 하나가 '학생 인권'이었습니다. 옳은 시도였습니다만... 지금 교육현장에서 이뤄지는 정말 어이없는 일들의 시작이 이때부터였다는 것도 알아야만 합니다.

  • @user-fn6hr8pz4k
    @user-fn6hr8pz4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많은 사람들이 시청하면 좋겠네요,,

  • @user-sp4iy3bv5i
    @user-sp4iy3bv5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뭔가 한대 얻어맞은느낌.
    저도 인적자원이 되기위해 경쟁에서 이기려고 매우 발버둥친것 같다.
    존엄에 대한감수성.
    새롭게 인식됩니다

  • @TG-gh4yc
    @TG-gh4y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

    선생님을 서비스원, 학생 학부모를 고객으로 만들어 교사에 대한 인식을 왜곡시킨 교원평가제 폐지해야 합니다.

  • @user-zw9bt5ud9d
    @user-zw9bt5ud9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교수님이 하신 말씀과 똑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는것이 괴롭습니다. 왜냐하면 이사회를 바꿀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user-hl5bi5ge7m
    @user-hl5bi5ge7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교수님~ 우리나라 교육에 꼭 힘써주세요 부탁드립니다~

  • @yongheo4901
    @yongheo490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젠장... 너무 맞는 말씀이라 교육자로서 반교육100년 용어 사용에 반박불가...

  • @user-hl4wj6kl9c
    @user-hl4wj6kl9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9

    책, TV로 독일이나 (북)유럽의 교육제도를 보며 예전부터 많이 부러워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입시 공부에 내몰리는 아이들이 한편으론 너무 불쌍하기도 했구요. 교수님께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잘 풀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육부, 정부관계자님들 제발 눈을 돌려 선진국들의 교육에 대해 제발 더 공부하고 연구하시어, 단기성 입시 계획이 아닌, 백년을 내다보는 교육 계획을 세워주세요!!

    • @boijoe69
      @boijoe6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못 봤네

    • @user-bf5ln3nu8l
      @user-bf5ln3nu8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럽이랑 비교할때는 단편적으로 짤라보면 안됨 북유럽은 세금을 엄청 뜯어가고 특정 가문의 지위를 인정해주는 사회인데 그런 사회의 단편적인 부분을 떼어와서 이식하려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임

    •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쟤네 특히 독일은 제조업, 중공업, 국방 및 과학기술, 인프라 등을 이미 일찍 발전시켜서 한국보다 몇백년 앞선 선도국가에요~~~ 이미 발전되어서 갖춘 금수저 국가와 아무것도 없는 누더기짝 흙수저 국가를 비교하는게 코미디입니다

  • @wishinsightful
    @wishinsightfu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진작부터 김누리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방향으로 바뀌기를 바랬으나 제도는 바뀌지 않고 다른 대안이 마땅치 않아 답답하지만 현실에 따라갈 수 밖에 없는 학부모들도 많이 있습니다.
    세상은 바뀌고 있는데 교육은 옛날 그대로이고 교사가 권위가 없으니 교육철학을 갖고 임해도 엉뚱한거 한다는 소리를 듣죠.
    무엇이 중요한지 다시 생각해보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 @user-MIN5045
    @user-MIN504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너무나 슬픕니다... 특히 인적자원 얘기는 진짜 슬프네요....

  • @user-hp5qx4rw7z
    @user-hp5qx4rw7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이런 강의를 들을 수 있어서 너무 감사합니다.

  • @user-en8qo1tt6p
    @user-en8qo1tt6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존경하고 존경하는 김누리 교수님이 우리 모두의 소중한 아이들을 해방 시켜주실 그날이 속히 오길 간절히 온마음 모아 기도합니다.
    빛이 보이지 않는 암담한 대한민국의 교육현실 속에 한줄기 커다란 희망의 빛을 봅니다.모쪼록 건강하십시요!!

  • @user-gd3zd1ud8f
    @user-gd3zd1ud8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맞습니다. 이제는 근본적인 대책이 있어야 합니다. 출산율 0.8%세계 최하위의 나라ᆢ교육개혁, 언론개혁, 사회개혁없인 답이 없습니다. 우리 모두 마음을 모으면, 우린 해낼 수 있는 저력이 있습니다^^

  • @SY-gc1ep
    @SY-gc1e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별을 백 개 드려도 아깝지 많은 강의입니다. 댓글을 잘 남기지 않는 저를 움직이셨습니다. 우리의 아이들과 이 나라의 미래를 위해 교육당국에서 이런 고민을 아주 깊이 해주셨으면 합니다.

  • @user-hd6yd9np1p
    @user-hd6yd9np1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김누리 교수의 이 강의는 내 인생 명강의 중 하나일 것 같음. 김누리교 교수강의는 다른 채널에서 본거 포함해서 몇번이나 반복해서 봤음 .여태껏 내가 본 한국 지식인 중 한국에 대해 이렇게 강의 하는 교수는 없었던 것 같음.

  • @jinalee8322
    @jinalee832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아이들이 자라서 사회의 여러 구성원으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의대나오거나 대기업입사 말고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는지 암울한 사회에서 우리 아이들이 자라나야 한다는 사실이 슬픕니다.

  • @user-pm5yg5hq9w
    @user-pm5yg5hq9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1

    제대로 사유하는 능력과 성숙한 민주주의자를 길러내는 교육이 없이 100년이 지나온 결과 지금의 권력자를 얻어낸 거 아닐까.. 이 나라는...

    • @hoarder4645
      @hoarder464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파시즘이라는 말에서 소름이 돋음... 우열을 따지고 약자를 멸시하고 상대를 까내리고 공격하는 모습이 딱 지금의 우리 사회의 모습이고 파시즘 그자체라는게...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민주주의 팔아먹는게 자본가들 ㅋㅋ
      전세계 어느나라도 민주주의는 오지 않음

    • @user-pr7ib1xk5p
      @user-pr7ib1xk5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hoarder4645김건희한테 하는 행동보면

    • @sewingtv6913
      @sewingtv691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pr7ib1xk5p김건희가 하는 행동이 파시즘인데 제대로 압시다. 그 여자는 사기꾼이요

    • @jhl264
      @jhl26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대단한 통찰입니다..

  • @kiyjy7
    @kiyjy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기본적 교육기관인 초등학교에서조차 개인간의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데 이 사회가 다른 누군가들의 개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일리가 없지...

  • @gigicreater
    @gigicreate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27:46 공부만 잘하는 것이 최고의 가치라고 믿는 것. 이것이 '천박'하다는 표현 정말 와닿습니다.

  • @jackynzkiwi
    @jackynzkiw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In Every Democracy? Countries the People get the Government They deserve.
    (모든 국가에서 국민들은 그 수준에 맞는 정부를 갖는다)

    • @Nononobody1234
      @Nononobody123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동이합니다

  • @basslig
    @bassli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최근 사태에 해답을 찾고자 검색중 다행히 김누리교수님 알림이 있었군요 KBS 감사합니다 . 그리고 민영화 반대요

    • @Fiendjms
      @Fiendjm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youngsookkim3581
    @youngsookkim358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용산 식민지역사박물관 강의를 아이들과 함께 직접들었습니다. 비록 교육에 대한 긴 시간을 할애하지는 못했지만 방송에 많이 나와주셔서 널리 알려주세요!

  • @user-mm8rm3bl8m
    @user-mm8rm3bl8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우리는 옆사람과 경쟁하며 자라왔습니다 경쟁에서 밀려나면 분노했고 경쟁에서 승리하면 안도했고 기뻐했습니다 전쟁터라 불리우는 학교 혹은 사회에서 내가 살아남는것이 첫째고 다른사람의 관심과 공감은 사치죠
    참 무섭습니다 남을 밟고 올라가 경쟁에서 승리한 이가 높은 자리에 오른다면 과연 나를 위해서 울어줄까요? 아니면 비웃을까요?
    또한 경쟁에서 떨어진 이가 세상에 대한 분노를 무차별적으로 쏟아내거나 혹은 비관적으로 생을 마감한다면 여긴 아마 전쟁터가 아닌 지옥이 아닐까요?

  • @user-ro5yr2be3x
    @user-ro5yr2be3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매불쇼, 차이나는클라스, 쌤과함께 까지, 어떻게 하다보니 운좋게 김누리 교수님 강의를 다 보게되었네요!!! 매불쇼에 나와서 하신 강의 정말 명쾌하고 뒤통수를 얻어맞은듯한 강의였는데 이번 교육에 관한 강의도 정말 울림이 크네요,,,50년?100년? 걸릴것 같은 막연한 일이지만 그래도 변할수 있단 희망을 가져 봅니다 ㅠㅜ 쌤 말 그대로 폼나는 대한민국에서 살고 싶어요!!!

  • @user-cm3od9xr6r
    @user-cm3od9xr6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공교육이 무너져 가장 피해보는것은 정말 어려운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들의 사다리를 끊는 일입니다. 기기다가 공교육 교육수준은 저질스럽고 미술시간에 프린트를 해서 색칠공부를 시키고 과학시간에 위험하다고 과학실험 자체가 없어지고 인권이란 이름으로 일기. 쓰기. 받아쓰기조차 시키지 않고..생각하면 점수 안주는 일반적인 체점심 다 문제입니다. 지난 1ㅇ년 이상 진짜 교육이 엉망되고 다 사교육 시장에 팔아 넘겼습니다.

    • @user-iq3js2xb7r
      @user-iq3js2xb7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과학실험하다 사고나면 교사가 다 뒤집어써요. 무조건 기피합니다. 사고나도 학생 책임이라는 동의서라도 받아야할까요?

    • @user-cm3od9xr6r
      @user-cm3od9xr6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러니 말입니다..옛날 그 없던 시절에도 아이들 과학실험 풍성했는데..지금은 프린트로 받아들고 실험하니..흥미가 없겠죠...고생들 하십니다. 진짜 가르치는 은사를 가지시고 실천하시는 선생님들을 공무원처럼 서류화 시키고 회사처럼 만들어서 정작 창의적인 선생님들은 설자리도 없으시고 선생님 자체도 힘드실것같아요.

    • @HSA0326
      @HSA032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은 다 보신거 맞죠? 교사의 권리와 권위가 없어지면서 교육이 붕괴되었다구요

    • @user-cm3od9xr6r
      @user-cm3od9xr6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사의 권위가 무너진 근본적인 이유는 제도가 먼저 바뀌고 한 학부모의 의견을 무조건 수용하고
      교사들의 가르치는 능력을 행정으로 묶어 공무원으로 서류처리하는 도구로 만들어 가면서 가르치는 기능을 점점 상실시키면서 윗 세대의 선생님들에게 그 속에서 쌓아온 내적 경험들을 물려받을수 없도록 선후배 사이를 갈등 시키며 갈등하게 만들고 사교육을 키운 정책들에도 이유도 있지않을까 다양하게 생각해보고 사고해 보는게 중요한거 아닐까...누구 하나 탓하기에는 모두 잘해보려다가 균형이 안맞아 생긴 문제니 니탓 내탓 이전에 전체적으로 크게 봐보면 어떨까 생각해봤습니다.
      부모입장에서는 공교육에서 옛날에도 받을수 있던 교육자체도 사교육으로 배워야하고 임용고시에 합격한 선생님들이 졸업 안해도 대학 3학원 어느정도의 학점을 채우고 아이들 가르치는 학원선생님들의 스킬을 따라가기 어려워 학교에서는 못가르치고 학원에서 배워 학교가서 시험보는 비정상적인 시스템이 아이러니 하니 다양한 각도에서 고민해볼 문제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누구탓 하기에는 너무 멀리왔고 이제 어떻게 하면 교사 학부모 학생 그리고 학교 학원이 하나되어 우리 미래세대를 잘 자라고 행복하게 할수 있으며 공부 배움이 100년을 계속 해가는 재미있는 종목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친해지고 다가갈수 있을까를 함께 고민하면 좋겠구나 영상을 보며 생각했습니다. 이 영상이 어떤 갈등을 위해 만들어 진거거나 누구만 피해자로 만들게 아니고 함께 같이 잘 되어보고 싶은 마음에 만들어졌다 생각들었습니다.

    • @taekang4274
      @taekang427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보시고 답글 다는거세요? 부자는 선이라는 천박한 자본주의라는 명목하에 인간이 되고 싶어도 될수 없었던 수많은 개성있고 잠재력 있는 사람들이 한낱 공장에서 쓰이는 부품같은 취급 받는게 지금의 사회인데.. 교육은 지식의 주입이 아니라 그 사람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낼수 있게 하는게 교육인데 아직까지도 쓸모있는 사람 사회에 기여할수 있는 사람이라는 명목으로 정글보다 못한 경쟁 환경에 아이들을 방치하지는 않는지 생가해 보시길 바랍니다

  • @user-wu1br5ng8b
    @user-wu1br5ng8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모든 분야가 정글 같아요ㅠ
    어른으로서 젊은이들에 대해 미안하고 많이 염려 됩니다ㅠ
    갈수록 더한 것 같아요ㅠ
    선생님의 솔찍한 진단이 우리 공동체를 살리는 단초가 되었어면 좋겠습니다!

  • @kimandapple
    @kimandappl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이렇게 좋은 내용을 들을 수 있다니! 감사히 잘 봤습니다

    • @user-vt1wb5et5p
      @user-vt1wb5et5p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승현 아나운서 님 항상건강 하시길 같이 기도 하겠습니다 화이팅 그런데 라디오 방송 에서 진행 해주세요 부탁드려요 사랑해요 ❤❤❤❤❤❤❤

    • @userganada
      @userganad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유란? 법없는거~
      민주적 법치국가가 되야하는 한국은 자유주의자들이 너무많음
      그래서 약자가 짓밟는 약육강식이 됏는데도
      자유를 주장함....ㅋㅋ
      아~ 참고로 자본가들이 돈주는 일터에는 자유가없답니다.~
      (직장은 권위로 약자 짓밟고 ㅋㅋ)
      자유는 주로 세금으로 월급받는 곳에서만 허용됨
      그래야 지들끼리 짓밟고 싸우거든
      이걸 만든게 자유를 주장하는 사람들

  • @user-mu4gx6co5z
    @user-mu4gx6co5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한마디 한글자 버릴 것이 없는 강연입니다. 무심결에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현실의 문제를 냉정하게 자각하게 됩니다.

  • @user-us9ol9dc3j
    @user-us9ol9dc3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본방 보고 공감이 가서 주변에 많이 공유했어요.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 @user-qv7xj6sz6c
    @user-qv7xj6sz6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오징어게임도 규칙이라도 있어서 기회라도 주니 공평하다고 달려들었다 그러나 현실을 헬이라고 하는 이유는 기회를 박탈하기위해 약육강식이 지배하는데 배가 불러도 쉬지않고 집어삼키는 악귀가 최상층에 있기때문에 생 지옥이야

  • @user-uq7ro5nz7d
    @user-uq7ro5nz7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우리 교육이 이런 주입식이 된것은 일제식민지때 자리잡고 독재정권때 더욱 강화되었다.
    조선시대때 토론하고 시를 주고 받고 풍류를 즐기던 조상들의 모습을 되찾아야 한다. 김누리교수님이 말한 세상이 오면 좋겠네요.

    • @jsy5187
      @jsy518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음.... 그래서 조선이 망했습니다. 우리 교육은 일제를 통해 들어왔고 그 일제는 그들의 교육 방식을 독일을 본보기로 받아들였습니다.
      가진거 쥐뿔도 없는 가난한 나라에서 가장 효율적인 교육방법은 주입식 교육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일개 사람도 저마다의 사정이라는 것이 있기에 남에 대한 평가는 늘 조심스런 법입니다.
      하물며.... 나라는...............

  • @pressAZ5
    @pressAZ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교수님 말씀은 too right !!! 한데 굉장히 고독한 외침 같아요
    먹고살아야하는 노예들은 강박적으로 성실하지 않으면 취직이 어렵고 생존이 어려운데 도대체 어떻게...

  • @min-jh9vu
    @min-jh9v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 @qwertyuiopp618
    @qwertyuiopp61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설명을 조리있게 잘하셔서 인상깊게 봤습니다.
    설득력있는 철학을 가진 학자와 실무자가 같이 정책과 시스템을 만드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 @user-ul5gk6ts8x
    @user-ul5gk6ts8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공영방송 수신료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방송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carlyounsh
    @carlyouns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말하시는 내용이 구구절절히 제가 늘 생각하던 한국의 문제점들과 일맥상통하네요.

  • @ehwakim6120
    @ehwakim612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런방송 다큐멘터리 10년전 부터 아니 그전부터 해왔는데 왜 바꾸질 못할까요
    기득권층이 이 변화를 절대 가만두지 않을 겁니다. 교육부 장관 바꿉시다
    교육 싹다 뜯어고칩시다
    그럼어떻게 해야 할까요
    광장에 나가 머리라도 빡빡 깍고 신장로에 들어 누울까요 이렇게 하면 바뀔까요
    우리 같이 방법을 찾아보고 실천해야 될때입니다.지금 이대로는
    다들 너무 아파요

    • @PETBOY
      @PETBO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착각 심하시네 ㅋ 한국 부모들 때문에 안바뀌는건데 왜 정부탓함? 교육부는 부모들 따라갈 뿐임. 30년전에도 줄세우기 하지말라는 기사있음. 아직도 바뀐거 없음. 수능을 이따구로 바꾼것도 당시 대치동 부모들이 한두 ㅈㄹ을 하는바람에 바뀐거임

  • @user-bu8rh5ux1d
    @user-bu8rh5ux1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김누리 교수님, 존경합니다.

  • @utopiau2430
    @utopiau243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중1부터 ~고3까지 자유에 관한 헌법 12조 부터 37조 까지 포함된 사회 철학 신설 하여 개혁 하면 될 듯...

  • @YJ-wx4wj
    @YJ-wx4w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김누리 교수님 너무 존경해요
    차클때 알게되어서 교수님 영상 많이 찾아보는데
    늘 한국교육에 실상에 대해 알리고 비판하고 계셔주셔서 너무 감사한 마음이 들어요
    꼭 언젠가 우리나라도 교수님이 원하는 교육이 실현되길 함께 바라겠습니다
    그리고 그 역사에는 필히 교수님이 계시겠지요
    애써주심에 너무 감사합니다ㅠㅠ❤

  • @andykim6405
    @andykim640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교수님의 소중한 주장을 바탕으로, 지금도 늦지 않으니..교육입안자들에게 강력히 침투되기를 강추합니다.
    1. 대학입시 없애기
    2. 대학 서열 없애기
    3. 대학 등록금 없애기...
    결국은 대학입시 및교육제도가 문제의 가장 큰원인이니, 하루빨리 조금씩 개선 되기를 강력히 주장합니다!!

  • @user-tn7no3bl5t
    @user-tn7no3bl5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제는 말뿐이 아나라 교수님 이 말씀하신 3가지 없애는데 모두 힘써야 하는데 교수님 지혜가 필요합니다 앞에서 끌어 주실 교수님께 기대합니다 응원 합니다. 🎉 교육부장관 추천 합니다 🎉

  • @mikaella58100
    @mikaella5810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잘 보았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 @cys4019
    @cys401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몇년전에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독일 교육에 대한 애기 해주신 강의 보고 정말 충격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생각의 뿌리가 뒤집힌 강의였어요 하지만 바뀌기는 커녕 점점더 양극화되고 경쟁화 된거 같아서 너무 안타깝습니다
    물론 독일이 무조건 옳고 한국이 틀렸다는것이 아니지만 어떤 사회의 인간으로 살고 싶은가를 생각 해본다면 한국을 선택할수 없을거 같더라구요.

  • @user-wl9yz3kp8j
    @user-wl9yz3kp8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

    댓글보니 답없네.
    인성교육 하자고 하는건데
    한국은 선진국됐지만 한참 멀었다. 아직도 서열, 등수 좋아하는거 보니

    • @Rrrrrrrrrrrrrllllllllllllll
      @Rrrrrrrrrrrrrlllllllllllll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서열 등수 무새들 나라임 그거 없으면 못 살음

    • @user-wl9yz3kp8j
      @user-wl9yz3kp8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Rrrrrrrrrrrrrllllllllllllll지금은 저성장시대. 이제 창의성이다.

    • @user-xy6ed7vf2z
      @user-xy6ed7vf2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아무리 말해도 맨날 서열화
      포기를 못함

    • @user-pr7ib1xk5p
      @user-pr7ib1xk5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인성교육이란게 구체적으로 뭔데 ? ㅋㅋ

    • @kiyjy7
      @kiyjy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런 거 못하게 하면 할 수 있는 게 없으니까요 ㅋ

  • @user-px3ox2fv5u
    @user-px3ox2fv5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미국에서 sat를 배껴오고, 일본식 교육 배껴오고.....근데 미국은 sat점수만 중요한게 하니라 어떤분야에서 우수한게 있으면 그것으로도 대학 입학이 가능함.....우리나라도 외국교육 제도와 비교해서 보완책이 필요하다가 생각함

  • @Olive117
    @Olive117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정말 너무나 속이 시원하고 속이 뻥 뚫리는것 같습니다. 지금 고2 고1 아들이 둘 있는 엄마인데 아이들 수시생각하고 매일 힘들게 버티며 공부하고 진짜 수시로 시험보며 아이들 피를 말리는 거 보며 정말 속이 상하고 너무나 불쌍하단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수시만 없어지면 사교육에 누가 그렇게 미친듯이 돈을 쏟아붓겠습니까... 저는 차라리 옛날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개천에서 용나는것도 가능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이제는 그것조차도 불가능합니다... 수시는 없애고 차라리 정시 한번으로 입시를 바꿔야 한다고 봅니다. 그럼 학교 내에서도 아이들 주눅드는 일도 없어질것이고 학교생활이 얼마나 부담이 없겠어요? 교육 자체도 비뚤어진 방향으로 가고있지만 입시좀 바꿔줬음 좋겠어요 꽃다운 아이들이 마음속에 병이 들지 않은 이이가 없어요 우리애들들만 해도 죽고싶단 얘기를 너무 자주해요 마음이 병들어가는게 보여요 진짜 불쌍해 죽겠어요 ㅠㅠ입시제도가 사라진다면 진짜 더이상 비랄게 없겠구요....

  • @jinnypark9855
    @jinnypark985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일제강점기 겪으면서 우리 고유의 정신, 철학이 파괴되고 그 빈 공간을 자본주의로 대체되면서 자본이 인간다움보다 더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고 있음에 완전 공감합니다..어른 아이들만 넘쳐나고 있고..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을 보면 힘들었던 시대 상황 속에서도 말과 행동에서 존엄과 위엄이 느껴지는데 지금은 그런 어른을 보기 힘들죠.. 왜 유대인들이 그들의 정신을 지키기 위해 교육에 그토록 힘을 쓰는지 이해가 돼요...

    • @jsy5187
      @jsy518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스터 선샤인....... 노비로 어미가 죽고 스스로는 도망노비가 되어 미국까지 도피하는 아름다운 과정이 그려지며 환전하려 지폐 한개를 내 주었더니 사람이 들기도 힘들정도의 동전더미가 주여졌던 인심이 후했던 우리들의 그리운 나라였지요.
      그 위대한 조선의 출산율은 그냥 생기면 낳는 수준이었으니... 가볍에 6,7은 넘었을 텐데...... 낳는데로 죽어나가고 그럼에도 백성의 절반은 노비요, 온통 오물에 거의 절대다수가 문맹이었던 슬기로운 세상이었지요.
      살기 위해 흙을 파먹고 살던 그냥 무지렁뱅이가 절대다수였던 지금의 북한보다 더 열악한 나라..... 그게 정말 좋아 보이시나요? 일제도 싫지만 조선은 더 심했어요. 인간다움도 자본이 있어야 챙길 수 있는것이며 ,,,, 저 영상에서 그렇게나 성토당했던 경쟁교육..... 이라도 있었기에 굶는이없고 이렇게 앉아서 영상을 보면서 비판을 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기라도 했던 겁니다.

    • @jinnypark9855
      @jinnypark985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sy5187 맞는 말씀이세요..현대의 노숙인들보다 더 열악한 시대를 살아온 조상분들이 어렵게 남겨준 세상에 살고 있죠..문맹이어도 지혜가 있는 분들도, 나라가 망국으로 가는 모습을 보며 무력감을 느끼는 지식인들도 계셨을거고, 반대로 그 사이에서 권력을 잡으려는 기회주의자들도 있었지요 .. 의도가 좋더라도 결과까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으니 역사에서 배울 수 있는 부분을 배우고 고칠 부분은 고치려는 자세가 더 중요한 것 같아요..
      항상 그 시대에 요구되는 문제가 생기기 나름이고.. 지금 살고 있는 사람들의 선택과 결정으로 미래에 영향이 미쳐지는 만큼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같이 고민하고 할 수 있는 작은 행동부터 시작해 보아요~

  • @belleyoung77
    @belleyoung7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진실을 마주보기 싫어하는
    사람이 많지
    자칭 엘리트라고 뻐기는자들

  • @kongkongkong782
    @kongkongkong782 18 วันที่ผ่านมา

    방송에서 말씀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전국민이 꼭 다 시청했으면 좋겠습니다~~

  • @kyoung-sookyoo8808
    @kyoung-sookyoo880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너무도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망가진 사회에 살고있는 사람들은 얼마나 잘못된 사회라는것 조차 느끼지못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좀더 많은 지식인들이 나와서 쓴소리 옳은소리 바른소리를 뒤에숨지말고 해야합니다 백번 천벌 바른말씀에 감사 드립니다

  • @user-uc7sv1it6p
    @user-uc7sv1it6p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0

    저도 개인적으로 오징어 게임 보면서 저렇게 끊임없이 잔인하게 불쌍한 참가자들을 죽이는 장면이 나오는 드라마를 대단한 작품이라고 생각하는게 과연 옳은 건지 이해가 되지 않았어요 반면 시사기획 창 "30살 수능, 길을 잃다"편에도 과거 수능 1등급 받고 좋은 대학 입학한 학생들한테 다시 수능 보게 해보니 오히려 성적이 더 안좋게 나왔었고 박도순 선생님도 수능 폐지 원하시더라 그리고 나도 청년이지만 최근 뉴스에 청년 백수가 126만명이라던데 왜 청년들이 힘들어 하겠나? 계속 경쟁만 해오다 보니 본인이 무엇을 하면 행복할지 고민도 못해보고 앞만 보고 대학을 졸업해보니 막상 뭘해야하는지 몰라서 그런 거 아닌가? 그런데 정작 정권을 바꿔도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학부모들은 자기 자식을 의대를 보내려고 계속 학원에 다니게 하나는 동시에 정치인들과 교육부는 입시 방법을 정시 킬러문항 난이도 조절이나 정시하고 수시로 비율만 따지고 있고 학부모하고 정치인들이 사회의 흐름을 못 읽고 있다 이젠 진짜 교육에 대한 인식이 바뀌지 않는 이상 우리나라는 답이 없다

    • @strawberryokok
      @strawberryoko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수능이 기득권 대물림에 좋게 재편되어 한국사회가 손을 못대고 멈춘거 아닌가 ... 내부를 들여다 봐야할 때 아닌가 싶어요 추정일 뿐이라 ㅜ

  • @jhl264
    @jhl26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긴 영상 한번에 다 봤습니다. 지금 선생님들 비극적 죽음이 무엇때문인지 고민이었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이해되네요..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의 모든것을 바꾸어야하고, 그 중심은 교육이어야 합니다.

  • @user-gd7jk6dm3t
    @user-gd7jk6dm3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감사합니다 교수님

  • @passing1987
    @passing198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격하게 공감!

  • @gigicreater
    @gigicreate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진짜 너무 강의가 좋아서 10번째 돌려보고 있다. 👍

  • @davidkim2798
    @davidkim279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정말 대박이다. 나도 선생님이라 그런지, 마음을 울린다 울려~ 김누리교수님 명강연!!

  • @yanus7441
    @yanus744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너무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배울것이 참 많은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el2yf9gk3z
    @user-el2yf9gk3z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와 ~!
    제 생각을 논리정연하게 펼쳐주시는 것 샅아서 속이 후련했어요~! 교수님과 연구하는 헉샹들이 부럽네요~!

  • @7890jjzz
    @7890jjz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한문장 한문장이 폐부를 찌릅니다. 너무나 안타까운 한국과 교육 현실 ㅠㅠ
    김누리 교수님 교육부장관이 되어주세요!
    교육인적자원부를 없앱시다!

  • @user-fv3ff5fj5t
    @user-fv3ff5fj5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욕심이 부른 처참한 사건이 의대 블랙홀인것 같습니다.
    내 자식 만큼은.
    내 자식은 반드시.
    😂😂😂😂😂
    인간은 탐심에서 그 한 발자국도 벗어나지 못 하는구나.

  • @uiju0423
    @uiju042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존경합니다. 부모로써 옳은 선택을 할 수 있는 용기를 주심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