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파고]가 말하는 터키 역사 총정리 10분컷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9 ก.ค. 2021
  • 오늘은 🇰🇷한국인!! 알파고와 함께
    터키 역사에 총정리 달려보았습니다!
    역사를 올바르게 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알파고 시나씨
    인스타 ㅣ / alpagosinasi
    유튜브 ㅣ bit.ly/3jMpQrP
    배우는 즐거움이 있는
    본격 취미 탐구 라이프 채널!
    조승연의 탐구생활 🕵🏻‍♂️
    / totalintelli​
    #터키 #터키역사 #오스만제국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4K

  • @heeseokmoon7462
    @heeseokmoon7462 2 ปีที่แล้ว +1583

    와 이번편 진짜 유익하다. 항상 서양 영미권중심으로 세계역사를 봤는데 그 나라 문화권의 사람이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구나. 시각이 넓어지는 느낌... 이래서 해외를 나가서 견문을 넓히라고 하는거구나. 이걸 방구석에서 유튜브보면서 얻어가네

    • @bw-ee2of
      @bw-ee2of 2 ปีที่แล้ว +47

      지리명도 영국이 지들 기준으로 만든거라 그대로 받아들이면 문제가 생김.. 우리기준으로 중동은 사우디 이런데가 아니라 인도거든..

    • @bw-ee2of
      @bw-ee2of 2 ปีที่แล้ว +14

      중동아시아가 인도고 현재의 중동은 그냥 이슬람아시아로 바꿔불러야 한국 기준에 맞음

    • @user-or2nz3tq3e
      @user-or2nz3tq3e 2 ปีที่แล้ว +5

      유익함과 동시에 전혀 쓸모 없는 지식이죠ㅡ
      이슬람 국가들의 역사는 한국어로 번역된 정보 자체가 적어 체계적으로 정리도 안되서 알면 알수록 이질감만 느끼게 되는 애매한 역사더라구요ㅡ 알라신을 믿지 않으면 이슬람 철학도 무의미해지구요ㅡ
      이슬람쪽 정보에 흥미 느낄 시간에 서양 역사와 철학에 관심 가지는게 훨씬 유익합니다ㅡ

    • @user-xf4ol9cs3u
      @user-xf4ol9cs3u 2 ปีที่แล้ว +42

      @@user-or2nz3tq3e 네네

    • @user-or2nz3tq3e
      @user-or2nz3tq3e 2 ปีที่แล้ว +1

      @@user-xf4ol9cs3u 치킨

  • @user-mp2px5jb3y
    @user-mp2px5jb3y 2 ปีที่แล้ว +972

    *와 알파고씨는 기본적으로 역사적 지식과 식견이 매우 풍부하시네요*

    • @COOKCOOK308
      @COOKCOOK308 2 ปีที่แล้ว +23

      전 직업 중에 기자도 하셨지 않나요?

    • @user-ho7yi2yj3v
      @user-ho7yi2yj3v 2 ปีที่แล้ว +18

      + 언어까지ㅋㅋㅋㅋㅋ

    • @earthstar7929
      @earthstar7929 2 ปีที่แล้ว +4

      자기나라 역사인데요 뭐 상식이죠

    • @user-ou8wd8kx4o
      @user-ou8wd8kx4o 2 ปีที่แล้ว +1

      매불쇼에선 왜 그렇게 어수룩한건지

    • @yejikim2913
      @yejikim2913 2 ปีที่แล้ว +55

      그러게요! 한국인 중 한국사를 저 정도로 설명 가능한, 그것도 외국어로(이젠 모국어 됐지만) 사람 몇이나 될까요? 역사 전공인가하는 생각도 들 정도로 정리를 깨끗이 해주시네요.

  • @user-yu2jp4kq7d
    @user-yu2jp4kq7d 2 ปีที่แล้ว +377

    영상을 보면서 흥미로웠던 점
    1. 땅의 역사와 민족의 역사는 다를 수 있다는 이야기가 오늘날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분쟁의 원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2. 오스만제국이 스스로를 로마제국의 황제라고 여겼다는 내용이 재밌었다. 댓글에서 러시아차르도 스스로를 로마제국의 황제로 여겼다는 내용을 봤다. 로마는 뭔가 그 동네에서 나라와 문화 이상의 의미인가보다.
    3. 내가 너무 유럽, 기독교 중심의 역사만 알고 있었던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동안 이슬람을 그냥 기독교의 라이벌정도로만 여겼던 것 같다. 이 영상을 보고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아라비아의 역사에도 관심이 생겼다.
    역대급으로 유익했던 탐구생활!

    • @shorttoon
      @shorttoon 2 ปีที่แล้ว +7

      정리 잘 하셨네요^^

    • @hss2941
      @hss2941 2 ปีที่แล้ว +24

      땅의 역사와 민족의 역사가 거의 일치하는 건 오히려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봐야죠.
      유럽 애들이 코로나 때 그렇게 말을 안듣는 이유 중 하나가 그들에게는 생긴지 얼마 안된 국가보다 민족이 더 우선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정부에 대한 믿음이 없어요. 그래서 지금도 계속 자기 민족들끼리 독립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끊이지 않는 거구요.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시아 등도 세계 열강들이 땅따먹기 할 때 실제 살고 있는 민족들은 전혀 고려하지 않거, 지네 맘대로 임의로 줄 그어 나라 만들어서 나눠 먹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곳들에서는 아직도 내전이 끊이지 않는 거에요. 서로 다른 민족들이 같은 나라로 엮여서요. 유럽 애들이 원흉입니다.

    • @KrMorgan12
      @KrMorgan12 2 ปีที่แล้ว +2

      @@hss2941 응 아니야. 켈트국가나 고조선이나 시기나 문화수준은 비슷하고, 철기 시대는 게르만민족 조차도 고조선보다 빨라. 한반도가 이베리아 반도로 옴겨지면, 한민족은 로마문명을 인지 하기도전에 켈트에게 멸망.
      그리고, 코로나는 독감수준인데, 지나치게 감시하니까 반감을 사는거지. 이러니, 아시아는 민주주의가 퇴보하고, 서양은 민주주의를 유지하는 것. 한국인은 자신이 뭐 좀 되는줄 암.

    • @KrMorgan12
      @KrMorgan12 2 ปีที่แล้ว +5

      팩트1: 로마종가로부터 독일이 신성로마제국이라는 타이틀을 받았다.
      팩트2: 서양에서는, 동로마제국은 그리스제국이라는 인식.

    • @CHOOSANG
      @CHOOSANG 2 ปีที่แล้ว +11

      @@KrMorgan12코로나가 단순 독감수준이라는 근거도 좀 보고싶네요. 참고할 만한 논문자료가 있을까요?

  • @user-cv9hl6jv5c
    @user-cv9hl6jv5c 2 ปีที่แล้ว +244

    "위에 하늘 밑에 땅이 있으면 그곳이 조국이다" 캬🔥

  • @user-sk1yf2jd8n
    @user-sk1yf2jd8n 2 ปีที่แล้ว +831

    흔히 배워왔던 콘스탄티노플 함락을 터키의 시각으로 보는 건 너무 흥미롭네요. 이사한 집 전주인이 인테리어 잘해둔집ㅋㅋㅋ 비유도 찰떡 ㅋㅋㅋ

    • @ysduvsk1722
      @ysduvsk1722 2 ปีที่แล้ว +37

      이사한 집주인이 아니라 강도로 들어가서 몰살하고 그 집을 자기집이라 우기는 경우임

    • @unknownmr2198
      @unknownmr2198 2 ปีที่แล้ว +25

      @@ysduvsk1722 그래서 강도가 들어도 때려잡을 힘을 집주인은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위쪽에서 핵무기 쪼물락 거리면 사드도 가져다 놓고, 더 많은 핵을 가져다 놓으면 더 좋구요. 그게 역사를 ~

    • @Tradesoul2025
      @Tradesoul2025 2 ปีที่แล้ว +13

      @@ysduvsk1722 로마 제국이 평화를 사랑했다는 '이론' 잘 들었습니다.

    • @hong3840
      @hong3840 2 ปีที่แล้ว +57

      @@ysduvsk1722 무슨..; 역사를 그렇게 보면 안되죠 이 영상보고 느끼신게 없으신가 그런식으로 생각하면 강도 아닌 나라, 민족은 없어요 그리고 땅에 침발라놓은것도 아니고 로마가 영원히 그땅 주인이어야만 하는게 아니죠 그냥 역사의 흐름인거지 집주인이고 강도라니 참..

    • @Unicusmomo
      @Unicusmomo 2 ปีที่แล้ว +1

      ㅇㅈ♡

  • @user-wp2ke9fj2j
    @user-wp2ke9fj2j 2 ปีที่แล้ว +543

    이게 유목민족의 역사공부구나 ㅋㅋㅋ 민족의 역사,나라의 역사,영토의 역사로 따로 배우네 ㅋㅋㅋ
    우린 한반도 한민족이라 나라만 배우면 알아서 따라오니까 신경 안썼는데 당연한걸로 생각하고 있었네...

    • @MomitoSeo
      @MomitoSeo 2 ปีที่แล้ว +54

      한반도 한민족은 아니죠.
      한반도와 동북삼성 지역에 걸쳐 있었죠.
      고조선도 부여도 고구려와 발해도 북부 한반도와 요동이 영역이었는데.
      우리는 다른나라들처럼 우리의 주체적인 역사관을 가져야 하는데 중화주의 역사관과 식민사학의 폐해 속에 스스로 갇혀 우리 역사를 스스로 축소하고 약소민족 역사로 숙명화 시켜온 게 참 안타깝게 느껴져요.
      중일처럼 왜곡하고 억지쓸 필요는 없지만 스스로 비하하지는 말아야 하는데.
      (현재의) 영토와 역사강역은 다르건데 말이죠.

    • @shorttoon
      @shorttoon 2 ปีที่แล้ว +3

      @@MomitoSeo 감사합니다.

    • @user-rn6nb2ey7e
      @user-rn6nb2ey7e 2 ปีที่แล้ว

      @@MomitoSeo 베트남은 한국인의 조상(양쯔강 유역 O1)
      Koreans belong to O1b2-Baiyue
      proto-Korean=삼한三韓=agriculture+planting rice
      1. 중국티베트어족 Sino-Tibetan: Yellow River valley nomadic people yDNA O2
      2. 남아시아어족(南亚語族) Austroasiatic: Yangtze River valley yDNA O1b1
      Vietnamese 40%O1b1,10%O1b2
      Tai-Kadai/Zhuang people 70%O1b1
      modern Mongolian,Kazakh, Yakut, Kyrgyz, Tajik, Uzbek -0%O1b1
      3. 오스트로네시아어족(南岛語族) Austronesian: Eastern coast Fujian>> Formosa island (Taiwan) yDNA O1a
      O1a-M119-Taiwanese aborigines 89.6%O1a Karafet 2010
      modern Mongolian,Kazakh, Yakut, Kyrgyz, Tajik, Uzbek -0%O1a
      4. 크라다이어족 Kra-Dai: Eastern coast >> Pearl River valley yDNAO1b
      O1b1과 O1b2는 공통 조상 O1b를 공유합니다.
      O1b와 O1a는 공통 조상 O1을 공유합니다.
      O1과 O2는 공통 조상 하 플로 그룹 O-M175
      Today O1a and O1b1 are southeast Asians. What made Koreans think O1b2 origins were "Central Asia "?

    • @user-rn6nb2ey7e
      @user-rn6nb2ey7e 2 ปีที่แล้ว +2

      @@MomitoSeo 중앙 아시아 인 Ydna Q C N
      Modern Mongolian=53.8%C-M217+10.8%N+10.8%O2 (M122)
      랴오 문명 Ydna는 (N+ C)+ O2(유목민/고구려/동이東夷/중국티베트어족)
      O3/O2M122=만주 원주민
      한국 40%O2
      O2(M122)마이그레이션 경로
      1,윈난성→칭하이성→티베트=Modern Tibetn
      Modern Tibetn=2.6%C-M217+51.6%D+33.9%O2 (M122)
      중앙 아시아 인 =51.6%D+2.6%C-M217
      2,윈난성→칭하이성→중국 북부→랴오둥반도→만주=Huaxia people
      한국 Ydna는 (C + O2)+ O1b2
      삼한=농업=O2b/O1b2=일본인Yayoi=동남아시아O1
      한국37%O1b2
      O1b2 마이그레이션 경로
      1,베트남→인도네시아→일본 열도→한반도
      또는,양쯔강 유역→한반도
      Modern Korean = 20% to 37%O1b2+ 40%O2 (M122)+15%C-M217
      일본 Ydna는 (O2 + O1b2) + D
      O2 + O1b2=일본인Yayoi
      D=조몬
      일본국 마이그레이션 경로
      1,한반도(O2 + O1b2)→일본 열도
      중앙 아시아 인 D2→홋카이도
      Modern Janpanese=35-40%D2+30​​-35%O1b2+15-20%O2 (M122)
      (N+ C)→만주O2=중국 동북/만주족
      만주족(C+O2)→한반도O1b2=Modern Korean
      Yayoi people(O2 + O1b2)→Jomon people D=야마토 민족
      한국인이 랴오 강 문명 (중국 동북) 출신이라면
      yDNA는 N 에 속해야합니다
      한국인이 중앙 아시아 출신이라면
      yDNA는 C, N, Q에 속해야합니다
      한국인이 동이족 출신이라면
      yDNA는 O2 (M122)에 속해야합니다

    • @user-rn6nb2ey7e
      @user-rn6nb2ey7e 2 ปีที่แล้ว

      @@MomitoSeo 한국인 Korean yDNA :O1b2
      중앙아시아인/Eurasian yDNA:C-M217,Q-M242,N-M231+RJ
      카자흐스탄 Kazakhstan yDNA:50.85%C-M217,10.82%O2,5.33%N+12.13%R,8.19%J
      haplogroup ratio [O1b2 0%]
      타직족 Tajiks yDNA:45%R1a,8% R2,18% J,8% C
      haplogroup ratio [O1b2 0%]
      투르크메니스탄 Turkmens yDNA: Q-M242
      Haplogroup Q-M242=미국 원주민 Native American
      Haplogroup Q1=훈족Huns,Lake Baikal
      haplogroup ratio [O1b2 0%]
      키르기스스탄 Kyrgyz yDNA:19.7%C-M217,5.3%O2, 0.76%O1b1,4.5%N+59.1%R,5.3%J
      haplogroup ratio [O1b2 0%]
      몽골인 Mongol people yDNA=53.8%C-M217,10.8%N,10.8%O2 (M122)
      haplogroup ratio [O1b2 0%]
      우즈베키스탄 Uzbeks yDNA:11.5%C-M217,1.4%N,4.1%,O2+25.1%R1a,9.8R1%a,13.4J
      haplogroup ratio [O1b2 0%]
      야쿠트인 Yakuts yDNA:88.4%N,3.2%C-M217,1.3%I
      haplogroup ratio [O1b2 0%]
      랴오 문명 The Liao civilization haplogroup=N1
      홍산 문화 Hongshan Culture 66.7%N1
      인간 뼈의 유전 적 분석은 기원전 6500 년에서 2700 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랴오 지역에서 Haplogroup N (Y-DNA) (자주 우랄 족 과 야 쿠츠)는 60-100 %에서 관찰되었습니다
      haplogroup ratio [O1b2 0%]

  • @delmont2793
    @delmont2793 2 ปีที่แล้ว +76

    터키(투르크) 민족의 역사가 상상외로 엄청 웅장하더군요
    여태 우리는 유럽 중심의 역사관으로 공부해서 잘 몰랐는데
    우리가 삼국시대로 한반도 좁은땅에서 투닥투닥할때
    돌궐은 드넓은 초원, 중원, 중앙아시아, 유럽의 비잔틴 제국까지 엄청난 제국들을 상대로 역동적인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었더라고요

    • @sfrfaktoriyel6812
      @sfrfaktoriyel6812 ปีที่แล้ว +9

      If you cannot understand world history without learning Turkish history. A Turkish Proverb

    • @coollisa22
      @coollisa22 ปีที่แล้ว +5

      💕

    • @j3459
      @j3459 ปีที่แล้ว

      우리가 무슨 삼국시대에 한반도에서 싸워요.
      우리나라 역사를 하나도 모르네여.
      한반도로 영토가 축소된건 이성계의 조선시대 뿐이에여.
      신라의 시조 게세르칸이 (박혁거세)
      몽골 중앙아시아 러시아 유럽 티베트
      인도 페르시아를 점령했어요
      유럽정벌하고 유럽에 남은 세력들이 바티칸세력이 됩니다.
      유럽에서 게세르칸을 토르라고 부릅니다.
      게세르칸이 죽고나서 게세르칸의 나라는
      5개로 쪼개집니다 이게 오릉전설입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인도 티베트 페르시아 나와바리국가)
      그래서 이란왕자 신라공주 쿠쉬나메 이야기가 나오고
      김수로 석탈해 허황옥 이양반들이
      우리쪽으로 온거에요.
      김수로도
      원래 김씨 아니에여 다른이름인데 . 김해김씨의 시조가 되었기에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는거죠.
      게세르칸의 모계 종교계통으로 친척이라서
      우리쪽으로 온거에요.
      게세르칸 후손에서는 아틸라가 나와서 유럽을 정벌했어요.
      아틸라를 유럽에서는 로키라고 부릅니다.
      아틸라는 게세르칸(박혁거세)후손입니다.
      4세기중반 신라가 중앙집권화 되는 과정에
      지배층끼리 싸우면 신라가 망하니까
      박씨왕족과 따르는 무리들이
      유럽으로 떠났어요
      이것을 훈족의 대이동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아틸라가 나와서 유럽을 정복했고
      아틸라가 신라에 있던 친척에게 보낸
      아틸라보검이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었어요
      아틸라사후 그의 후예들은 중앙아시아 유럽등으로 뿔뿔히 흩어졌고
      일부세력은 신라로 돌아와서 지배층이 되어 삼국통일합니다
      유럽에서 하던 코미타투스를 신라에서 하는게 화랑도입니다
      지증왕부터는
      김씨가 아닌 아틸라 경호대장 이었던 유연족의 모씨세력이 왕이됩니다
      법흥왕은 자신이 모씨라는걸
      울진봉평신라비에 적어서 후손에게
      잊지말라고 알렸어요.
      지증왕은 어린시절에 유럽에 살다가 신라로 왔어요.
      법흥왕은 아버지가 지증왕입니다.
      암튼 아틸라사후 그세력들은 흩어졌지만
      불가리아 헝가리 독일 스페인 우크라이나 러시아 영국왕가 등등
      전유럽의 왕가와 종교의 지배층이 되었습니다
      바이킹 바티칸 바바리안등은
      유럽으로 진출한 우리민족지배층이야기에여
      특히 영국왕가는 아틸라와연관이 많은데
      하노버 빅토리아 왕조 등 다
      아틸라 후예들입니다.
      우리말이 동서언어의 뿌리인건
      우리민족지배층이 유럽으로 가서 유럽의
      지배층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말(산스크리트어) 에서 라틴어 영어가 나왔어요
      라틴어랑 말자체가 신라와 친한언어로
      신라말과 유사합니다.
      경상도 전라도 북한 토속 사투리가 산스크리트어이고 표준말이에요.
      왕족 지배층이 쓰는언어.
      실크로드란 말이 신라가는길 길이에여
      게세르칸이 몽골 중앙아시아 러시아 유럽
      인도 티베트 페르시아를 점령했어요
      실크로드란 생기는건 당연하겠죠
      한가지 더 첨언하면
      자오지천황이 오딘으로
      세계를 지배할때 아스가르드(아사달)가
      세계수도 였어요.
      아스가르드는 오늘날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의 아스타나입니다.
      아틸라를 추억하며 쿠릴타이 축제가 헝가리에서 열리는데
      다 우리민족 형제 민족이에요
      흉노 선비 돌궐족 묘족 여진 만주 저 갈 강 등등 다 우리민족계열입니다.
      핀란드의 핀족도 우리민족이에요
      한반도에
      살고 중국의 식민지로 살던건 조선시대 뿐이에여

  • @user-hq2yg7wx3q
    @user-hq2yg7wx3q 2 ปีที่แล้ว +547

    역시 외국 역사는 그 나라 지식인에게 듣는게 가장 정확한듯....외국인들이 아무리 배워봐도 한계가 있는 정보밖에 못얻으니 이번회는 조승연씨도 배워가는군요

    • @slee-01
      @slee-0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미국 대학 교수도 한국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 자기 수업듣는 한국학생에게 수업시간에 물어봐서 들어요. 한국학생이 미국 대학교 수업 시간에 교수와 미국인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셈이죠.

  • @lookas3991
    @lookas3991 2 ปีที่แล้ว +588

    영상보니 확실히 유목민족들은 정착민족과 역사관이 다를수 밖에 없겠단 생각이 들어요.
    국가와 민족과 언어, 역사가 모두 하나인 한국에서만 나고 자라서인지 터키 역사는 굉장히 생경하면서도 흥미롭네요.
    이런 배경들을 알고 터키 출신 친구와 대화한다면 정말 이해와 소통의 깊이가 넓어질 것 같습니다.
    가속화되는 글로벌 세계 속에서 생각의 폭을 넓혀주는 탐구생활 콘텐츠들은 늘 감동이어요. 👍🏻👍🏻👍🏻

    • @6153f9pk
      @6153f9pk 2 ปีที่แล้ว +3

      우리도 원래 유목인데 반유목 정착이죠

    • @user-qf1vp5cy1d
      @user-qf1vp5cy1d 2 ปีที่แล้ว +2

      @@6153f9pk 경상전라쪽은 고조선, 삼한시대때부터 정착해있었죠

    • @user-up3hk3oh5c
      @user-up3hk3oh5c 2 ปีที่แล้ว +4

      @@6153f9pk 대체 우리가 왜 유목이었단 말이나옴?

    • @user-kt6eg9ys7d
      @user-kt6eg9ys7d 2 ปีที่แล้ว +1

      @@user-up3hk3oh5c 만주에서 한반도로 도래한 예맥족이 우리민족의 뿌리라 생각한다면 그들은 반농반목민 이였으니까요 뭐 사실 이런것도 하나의 학설에 불과하고 사실이라고 쳐도 이미 기원전부터 정착생활을 시작했지만 굳이 거슬러거슬러 올라간다면

    • @hamosu5394
      @hamosu5394 2 ปีที่แล้ว

      @@user-kt6eg9ys7d 기원전에 쓰여진 사마천의 사기에 위지동이전편에도 동이족들이 유목생활을 했다던 기록은 없음. 산속에서 지내며 수렵생활을 했던 기록은 있지만

  • @hosky8962
    @hosky8962 2 ปีที่แล้ว +183

    이런건 처음 듣네요 저는 역사전공을 했지만 역사를 배울때 삼분과로 배우거든요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로요 동양사는 중국사고 서양사는 이슬람을 주변부로 보는 서양사죠 이슬람이 중동의 지배자가 된 이후엔 어디까지나 유럽의 기독교세계에 영향을 끼친 이슬람문명에 대해서만 얘기하다보니 이슬람이 기독교문명을 어떻게봤는지는 얘기가 별로 없어요 그래서 참 흥미롭게봤습니다

  • @cycstem
    @cycstem 2 ปีที่แล้ว +23

    터키가 정말 대단한 자부심을 가질만한 나라이군요..와우...전에 몰랐는데..정말 터키역사 대단 대단 ...감히 한민족이 뭐라 할 수 가 없을 정도..ㅋㅋㅋㅋ 내가 터키인이면 정말 자부심 가질만할 정도로....

  • @Tyrannosaurusrex0306
    @Tyrannosaurusrex0306 2 ปีที่แล้ว +109

    모든 역사를 배척하지 않고 인정해주는 터키 너무 멋져요. 전 집주인이 인테리어 잘 해주고 나갔는데 멋져서 친구들에게 자랑하고 그것도 전 집주인이 했다고 츌처까지 밝혀주는 센스!!! 아직 배워야할게 이렇게나 많아요.

    • @Bee-xs8jn
      @Bee-xs8jn ปีที่แล้ว +6

      아시아에미련없는게아니고 수나라와 당나라에의해 분리되엿고 내전으로 쫓겨난부족들이 중앙아시아쪽으로이전하엿다고 배웟습니다.

  • @Senor413
    @Senor413 2 ปีที่แล้ว +411

    알파고님 한국어 패치도 수준급이신데, 승연님처럼 역사덕후셔서 상당히 깊게 잘 알고 계시네요.
    역사얘기에 두분 다 눈빛이 반짝반짝☆

  • @user-pd9ct3jh7n
    @user-pd9ct3jh7n 2 ปีที่แล้ว +165

    확실히 유럽쪽, 세계사를 공부하다보면 한국사와는 국가, 통치자, 민족에대한 개념자체가 우리와는 차이가 있는것같아요! 술탄이자, 로마황제이자, 칸이라.. 멋지네요

    • @skavud1
      @skavud1 2 ปีที่แล้ว +4

      다른 나라 쳐들어가서 죽이고 강간하고 약탈해서 굴복시킨 다음에 그런 칭호를 스스로 붙인건데 저는 안 멋져요.

    • @honshin23
      @honshin23 2 ปีที่แล้ว +5

      우리가 삼국시대에서 고려시대로 넘어가던 천년전에 대륙에선 민족의 이동이 어마어마했다는걸 알수있음.
      투르크족이 진짜 아시아에서 이동한거라면 동아시아 상고사가 어떻게 되있는건지 궁금함.

    • @oi_77i
      @oi_77i 2 ปีที่แล้ว +11

      한 가지 더 칭호를 붙이자면 오스만 황제에겐 '샤'라는 칭호도 있었습니다. 페르시아를 정복하고 스스로 붙인 칭호인데 페르시아의 황제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 @1967IlIlIl
      @1967IlIlIl 2 ปีที่แล้ว +4

      애초에 로마만 해도 셀레우코스제국,프톨레마이오스 왕조,카르타고 공화국 등등 많은 약탈과 정복으로 성장한 나라임

    • @user-yf9tl9hl6h
      @user-yf9tl9hl6h 2 ปีที่แล้ว +8

      @@skavud1 그때는 그게 당연하던 시대고 기준점을 현대에 두고 판단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힘없어서 남에국가한테 약탈이나 당하고 도망이나 다니고 이런국가보단 살아남기 위해 남을 정복해야 하는것이 당연하던 시대였고 저는 현대 기준점으로 놓고보더라도 제대로 된 국가라면 자기국민이 정복당하고 강간당하고 약탈당하는 선택을 하느니 우리가 해야된다고 생각하는데요.. 국가라면 당연히 그래야 하는것이구요ㅋㅋ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저때는 정말 약육강식 그 자체였던 시대니까 우리가 안하면 우리가 당하는시대였습니다. 약해빠져서 당하는거보다야 당연히 정복자가 되어야죠

  • @splashhit8045
    @splashhit8045 2 ปีที่แล้ว +76

    투르크족이 비잔틴 제국을 멸망 시키면서 정복,흡수했다기 보단 그들 스스로 로마제국을 계승했다고 생각한게 참 신기하고 재밌네요. 새로운 관점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ㅎㅎ

    • @honshin23
      @honshin23 2 ปีที่แล้ว +8

      아무래도 로마가 지중해를 끼고 위아래 다 영향을 끼쳤기 떄문에 이슬람 문화권에도 그리스-로마 문화가 들어감...
      그리스-로만문화를 아랍어로 번역해서 수많은 과학 발전을 했고, 오히려 역으로 이슬람이 유럽을 정복하면서 유럽과 이슬람문화가 혼합되버림...
      그게 불가리아 같은 동유럽지역과 스페인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 이탈리아 시칠리아섬같은 남부지역에 이슬람 문화의 영향이 남아있죠...

  • @likeU777
    @likeU777 2 ปีที่แล้ว +74

    와 살면서 한 번도 배워본 적 없는 거라서 너무너무 새롭고 신기합니다. 하늘과 땅만 있으면 조국이라니. 제가 정말 민족과 영토가 일괄적으로 수용되는 가치관을 가졌다는 걸 느끼네요.

  • @user-hc4yx6fz1e
    @user-hc4yx6fz1e 2 ปีที่แล้ว +202

    타키 역사 너무 재미있어요.
    영상이 너무 짧아요.
    시대별로 더욱 자세하게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모든 영상 중 신선함 최고입니다.

  • @longjourney5429
    @longjourney5429 2 ปีที่แล้ว +34

    지금까지 본 아나톨리아 역사중 가장 이해하기쉽고 정확하게 얘기해준거같다..

  • @slaine3166
    @slaine3166 2 ปีที่แล้ว +93

    맨날 유럽얘기만 하다가 터키제국 얘기 들으니까 되게 신선하네요. 앞으로도 더 신선한 컨텐츠 나왔으면 합니다. 세계사적으로, 너무 유럽사에 치우치지 않고

  • @KkmUknow
    @KkmUknow 2 ปีที่แล้ว +89

    이슬람, 유목 정체성에서 말해주는 시선 가치관 같은 것들이 너무 생소해요. 그래서 놀랍고 스스로 얼마나 서구 세계 위주로 짜여졌던 질서 아래 생각하고 있었는지 생각하게 되네요. 언젠가 더 자세하게 길게 요약본 말고 알파고씨랑 얘기하는 긴 얘기 꼭 보고싶어요!!! 알파고씨와 함께하는 방송 자주 봤으면 좋겠어요👍자주 모셔주세요👍👍👍😍

    • @oi_77i
      @oi_77i 2 ปีที่แล้ว +4

      피정복자인 그리스인들의 역사에서 생각해보시면, 우리가 일본을 대하는 것 그 이상의 원수입니다. 터키인들의 입장에선 오스만 제국이 당연 자랑스러운 역사이지만, 오스만 제국에게 300년 가량 지배를 당한 그리스, 아르메니아 등의 역사를 보시면 터키인들은 무자비한 정복자이자 학살자죠. 역사를 항상 다면적으로 보시면 좋습니다.

    • @dorianfa4209
      @dorianfa4209 2 ปีที่แล้ว +3

      @@oi_77i 그리스 출신 알렉산더에게 당하고 죽은 수많은 사람들 생각하면 그리스인들 하나도 안불쌍한데 뭘. 자업자득이지. ㅋㅋㅋ
      그래서 오스만이 그리스인들 정신차리라고 수백년간 지배해준거 아님. 정의구현이네. ㅋㅋㅋ

  • @user-sk1yf2jd8n
    @user-sk1yf2jd8n 2 ปีที่แล้ว +189

    06:13 민족과 땅, 종교의 역사를 따로 배워 합친다는 개념이 참 신선하네요. 지식인 두분의 대화라서인지 질문과 답변 모두 너무 유익합니다

  • @carpe_place
    @carpe_place 2 ปีที่แล้ว +133

    너무 재밌네요. 특히 3개의 초승달, 황제이자 술탄이자 칸이다 라는 표현에서 터키의 역사적 위치와 인식을 개관할 수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다루는 세계사도 상당히 유럽/기독교 중심 시각에서 쓰여있다보니 더욱 신기했어요.

    • @jrhjm
      @jrhjm ปีที่แล้ว +4

      인간의 사고방식이나 관습, 문화는 너무나 유연한 것 같아요. 술탄은 분명 이슬람에 바탕한 칭호인데 당시 술탄들이 몸에 좋다고 일정 계절에는 여자와 관계를 가지고 계절이 바뀌면 남자랑 관계를 가졌다는 얘기를 읽은 적이 있어요. 지금 많은 이슬람 국가에서 동성연애는 불법인 걸 생각하면 결국 종교의 문제라기 보다는 관습의 문제인듯. 상관없는 얘기지만 아프가니스탄의 소아성애적 관습도 왜 이슬람 문화권에서 허용되는지… 인간은 정말 코에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식의 삶을 사는 존재들…

    • @procyon1
      @procyon1 ปีที่แล้ว +2

      @@jrhjm Böyle bir şeyi nereden okudunuz acaba... Oryantalistlerin attığı palavraların sonu yok gerçekten de 🤦🏻‍♀️

    • @ebrudogan1699
      @ebrudogan169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Kesinlikle palavra

    • @gokturk-ki3se
      @gokturk-ki3s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rhjm İslam eşcinselliği kesinlikle reddeder. Bu yüzden padişah erkeklerle cinsel ilişki içinde bulunamaz.😂😂😂😂 Ama yanlış hatırlamıyorsam ll. Abdulhamit döneminde eşcinsel insanlara bazı haklar tanındı ve eşcinsel insanlar daha rahat eşcinsel olduklarını söyleyebildiler. Ama padişahlarda ve herhangi bir hanedan üyesinde böyle bir durum söz konusu değil. İmkansız ve çok mantıksız.. Yani sahte bilgi ☺️

    • @user-fh5ld9oq8j
      @user-fh5ld9oq8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rhjm 출처가?밑도 끝도 없이 근본 없는 소리라 첨 듣네요.

  • @hong3840
    @hong3840 2 ปีที่แล้ว +57

    진짜 너무 유익하다.. 지금 한국사람들 대부분은 인종, 언어, 문화, 국적이 모두 일치한 사람들끼리만 같은땅에서 부대끼며 오래 살고있기 때문에 이런 교육이 진짜 너무 필요합니다 지금 시대엔 필수에요 민족과 국적이 꼭 일치하지 않을수가 있는거고 전세계 대부분에서 그렇죠 한국만 독특한거지.. 조선족분들이 나는 중국사람이라 하는 그한마디 하는거 가지고 절대 뭐 화내거나 할일이 아닌데도 욕하는게 참 잘못된겁니다 그런 개념을 좀 알아야하는거죠 이런 교육을 좀 받아야 조선족이고 고려인이고 북한이고 그외 교포들에 대해서도 좀 제대로 이해를 하고 진정한 화합을 할수가 있습니다 민족은 어떤식으로든 퍼져나가고 다른국가에 얼마든지 걸쳐서, 다르지만 동시에 많은것을 공유하는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되는겁니다 민족으로서, 핏줄로서 아름답게 연결되어있지만 국가, 국적으로서의 정체성은 분리될수가 있는거에요 결국 우리도 민족주의가 아닌 국가주의로 가야해요 그래야 알파고님같은 다양한 인종 다양한 백그라운드를 가진 분들도 한국사회에 당당히 소속감을 가지고 기여를 할수가 있는거죠 그렇게 못하면 지금시대에 우리나라 절대 못살아남습니다

    • @user-bo7nm9po4i
      @user-bo7nm9po4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ㅈㄹㅇㅂ 어디서 조선족을 끼워넣어?

    • @hong3840
      @hong384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bo7nm9po4i 내가 무슨말했는지 아예 이해를 못한거같은데 그냥 무식하면 착하기라도 해서 남에게 함부로 말하고 다니는 사람이 안되도록 합시다 우리..

  • @user-dk1wm3hs6b
    @user-dk1wm3hs6b 2 ปีที่แล้ว +107

    투르크계 유목민 역사에 대해 관심이 많았는데. 그동안 알고 있던 퍼즐들이 이 영상하나로 다 맞춰진 느낌입니다. 진짜 최고입니다. 다른 나라도 이렇게 만들어주세요,

    • @menachemyang3353
      @menachemyang335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승연한테 들을려고 하지 말라 무식한 인간이다.

  • @chokyuman
    @chokyuman ปีที่แล้ว +43

    이번편은 정말 유익했습니다. 터키에 몇번을 갔는데 도무지 헷갈리던 역사정리가 이렇게 한칼에 되네요. 대박입니다.

    • @user-lv1ce7jc5p
      @user-lv1ce7jc5p ปีที่แล้ว +2

      터키를 갈려고 했다가 버스테러가 일어나서~ 차마 못 갔는데~,
      이제는 돈도 없고 젊음도 건강도 없어서 터키에 갈 일은 내 평생 없겠지만~, 이렇게 알파고 당신을 만나서 ~
      투르크 이슬람 동로마 제국의 역사를 10분 만에 들으니~, 너무도 고맙습니다~!!!
      터키도 못 가보고 죽어도 덜 억울할 듯 합니다~!!!^^

  • @user-yk7eb2ze8j
    @user-yk7eb2ze8j 2 ปีที่แล้ว +35

    알파고님, 한국인보다 한국어에 능통, 유창하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터키 역사에 대한 깊은 조예가 있어 한 번 더 놀랐구요. 한국어로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luckyr9939
    @luckyr9939 2 ปีที่แล้ว +14

    와.. 지식수준 + 한국어수준 진짜 알파고같네요. ㄷㄷㄷ

  • @quulee7635
    @quulee7635 2 ปีที่แล้ว +62

    아니 말씀도 잘하시는데 역사지식의 깊이도 어마무시하시네요 두 분이 되게 잘 통하시는 것 같아요 ㅎㅎㅎ

  •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2 ปีที่แล้ว +197

    와... 나는 언제 외국나라의 언어로 나의 나라 역사를 외국인들에게 설명할 수 있을까? ㅠㅠ

    • @user-ns2jn4xi6o
      @user-ns2jn4xi6o 2 ปีที่แล้ว +17

      ㅇㅈ.. 진짜 멋진거같음

    • @cjfl9242
      @cjfl9242 2 ปีที่แล้ว +7

      환생기달리셈

    • @karlysh8953
      @karlysh8953 2 ปีที่แล้ว +1

      외국나라?

    •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2 ปีที่แล้ว +4

      @@karlysh895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역전 앞

    • @momo-6289
      @momo-6289 2 ปีที่แล้ว +3

      그니까요 한국 근현대사 간단하게 외국 인에게 설명하다 머리도꼬이고 혀도 고이고ㅋㅋㅋ

  • @ranyoungkim8106
    @ranyoungkim8106 2 ปีที่แล้ว +23

    우와... 진짜 역사 정말 재밌네요. 오스만 제국 입장에서는 로마 제국의 황제라는 명맥을 자부심을 가지고 이어온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걸 오늘 처음 알았어요. 정말 유익하고 재밌는 스토리. 거기다가 관점의 차이가 충격적이었어요.

  • @HelloGyool
    @HelloGyool 2 ปีที่แล้ว +37

    와.. 터키 분 입에서 오랑캐 ,돌궐족을 듣다니.. 역사적 지식 또한 엄청나시네요~!! 잘 봤습니다 :) 유익한 컨텐츠 너무 감사드려요!!

  • @user-sq3yz6gy1s
    @user-sq3yz6gy1s 2 ปีที่แล้ว +15

    알파고AI인줄알고 들어왔는데 진짜 알파고였어!

  • @jihyuk7458
    @jihyuk7458 2 ปีที่แล้ว +43

    역사 문화 이야기 10분은 너무 짧아요.. 편집 없은 풀영상 채널 하나 파주면 좋겟다....♡

  • @hxh9893
    @hxh9893 2 ปีที่แล้ว +77

    와... 기독의서사로만 배운 우리나라 그 어디에서도 알려주지 않는 오스만과 페르시아 이슬람의 세계관 더 알고 싶네요:)

  • @user-zw8nm4tf3o
    @user-zw8nm4tf3o ปีที่แล้ว +12

    아주 유익한 방송이었어요. 돌궐 이 현재의 아나톨리아 지역으로 이동해서 비잔틴 제국 멸망시킨 역사가 궁금했는데, 간결하지만 쉽게 설명해주어 좋았어요.
    동로마 제국 을 계승했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는 터키인들의 의식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던 것도 큰 수확 이에요. 진행자들에게 고마운 인사합니다.👍💯👏

  • @mhj21tv
    @mhj21tv 2 ปีที่แล้ว +24

    정복자가 스스로 정복된 땅의 후견을 자칭할 정도니 로마의 영향력은 정말 대단한 것이였네요

  • @tukpaegi
    @tukpaegi 2 ปีที่แล้ว +57

    초승달 심볼 자체가 콘스탄티노플의 상징이었다고 하더라고요
    오스만이 쓰면서 이슬람 상징으로 굳어졌다는 역사의 아이러니

    • @user-ro6jt3ky3w
      @user-ro6jt3ky3w 2 ปีที่แล้ว +8

      크로와상도 서유럽애들이 오스만 제국 조롱하려고 초승달모양의 빵을 만들어 먹은거라함

    • @jaemin8266
      @jaemin8266 2 ปีที่แล้ว +5

      무함마드가 최초 계시받았을때 초승달 떠있어서 이슬람 상징이 되었다고 배웠는데 뭐가 맞는걸까요

    • @ugaonsa1746
      @ugaonsa1746 2 ปีที่แล้ว +1

      @@jaemin8266 이게 맞는 것 같아요!

    • @user-yz3dz1pq5w
      @user-yz3dz1pq5w 2 ปีที่แล้ว +2

      @@user-ro6jt3ky3w 사실 동유럽쪽에서 그런 의도로 먹은 건데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 마리 앙투아네트가 프랑스로 가져가 먹으면서 서유럽에 퍼진 걸로 알고 있어요 ㅋㅋ

    • @user-ro6jt3ky3w
      @user-ro6jt3ky3w 2 ปีที่แล้ว +2

      @@user-yz3dz1pq5w 맞다 오스트리아였나 그쪽 동유럽이 맞을거에요

  • @deadpool113
    @deadpool113 2 ปีที่แล้ว +17

    빠져든다... 알파고는 지식도 많고 재미도 있고 정말 좋네요! 나도 오스만 제국 명예시민해야겠다

  • @aheadr6221
    @aheadr6221 ปีที่แล้ว +6

    인테리어 비유에 한참 웃었어요
    어쩜 이렇게 쉽고 재밌게 설명할수있죠? 자주 얘기해주세요~~

  • @Moebius007
    @Moebius007 2 ปีที่แล้ว +35

    터키의 역사가 이리 흥미진진할 줄이야..... 알파고씨 너무 얘기를 잼나게 잘하시네요~

  • @lia3665
    @lia3665 2 ปีที่แล้ว +26

    터키에 휴가왔습니다. Side 라는 휴양지 바닷가에서 들었습니다. 저희는 매년 여름마다 터키로 여행합니다. 이곳에서 터키에 관해 들으니 생생하네요. 🇹🇷

  • @hosky8962
    @hosky8962 2 ปีที่แล้ว +37

    터키얘기를 들으니 뭔가 중국의 중화사상과 겹치네요 제국을 가진 나라들끼리의 공통정서인듯

  • @adeldienst
    @adeldienst 2 ปีที่แล้ว +6

    대박!!! 초대박.. 제 3세대 로마 오스만투르크 제국, 제 3세대 로마 제국의 종교 이슬람 종료, 돌궐과 투루크족, 쿠루드족, 웅앙아시아의 언어적 연관성, 너무나 너무나 흥미 진진한 영상이였습니다. 두분께 감사합니다. 이 긴 역사를 10분만에 요약해내는 두분의 능력. 다음에도 기대하겠습니다!!!

  • @spqwmnbvlp
    @spqwmnbvlp ปีที่แล้ว +10

    터키 역사는 궁금했지만 늘 헷갈리고 어려워서 알기를 포기했는데, 기본 큰 줄거리를 쫙 정리해서 보여주시니 두 분 넘 감사함돠.
    근데 튀르키예와 주변국들 초중고 학생들은 역사 공부 할 때 머리에 쥐나겠어요 ㅎ

  • @changwoo6301
    @changwoo6301 2 ปีที่แล้ว +8

    오스만 제국이 로마를 계승한 제국이다고 믿었었다는 사실은 정말 처음 듣네요.
    유럽 역사에서 고대 로마 제국의 영향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네요.
    흥미로운 영상이였어요. 감사합니다.^^

  • @user-ln9fx5dl4l
    @user-ln9fx5dl4l 2 ปีที่แล้ว +30

    터키사람이 북방오랑캐라고 말하니깐 웃겨욬ㅋㅋㅋ

  • @brc1794
    @brc1794 2 ปีที่แล้ว +12

    알파고씨 지식이 대단하네요. 앞으로도 많은 이야기 듣고 싶습니다. 사실 중동역사는 서방의 시각으로만 다루어졌기에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잖아요. 그러한 부분에 있어서 많은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 @nickn1991
    @nickn1991 ปีที่แล้ว +3

    2:10 이게 핵심인데; 속을뻔 했네

  • @user-fj5kp2rn3d
    @user-fj5kp2rn3d 2 ปีที่แล้ว +82

    1:03 북방오랑캐ㅋㅋㅋㅋㅋ이해도 100%

  • @hermanngoring3007
    @hermanngoring3007 2 ปีที่แล้ว +7

    세계사의 큰 흐름들을 좀더 원할하게 이해하려면 기존의 정주민 위주의 역사뿐만 아니라 유목민의 역사를 알아야 되겠다는 생각을 더욱더 들게 만드는 영상입니다.

  • @user-lg5jh5of7v
    @user-lg5jh5of7v 2 ปีที่แล้ว +43

    알파고님이 설명을 해주시니 더 재밌어요~
    역사 지식에 놀라고 한국어 실력에 또 한번 놀랍니다 🙂

  • @yoo-rilee1419
    @yoo-rilee1419 2 ปีที่แล้ว +54

    이렇게 쉽고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 정말 오랜만인 거 같아요. 예전에 읽었던 터키 역사책보다 더 이해가 잘 되네요^^
    농경민족과 유목민족의 차이를 느끼게 됩니다.
    투르크족은 아주 융통성 있고 개방적이었구나 하고 알게 되었어요.

    • @marina8397ify
      @marina8397ify 2 ปีที่แล้ว +3

      👏👏👏👏👏

    • @junghoonpark762
      @junghoonpark76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제국을 경영해봐서 그래요

  • @Ryn-ny9bx
    @Ryn-ny9bx 2 ปีที่แล้ว +8

    그러게요, 진짜 민족과 땅의 역사, 종교의 역사까지도 따로 배운다는 점이 신선해요. 그런 방식으로 역사를 배운다면 더욱 다양한 시각에서 한 나라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조금 어려울 수는 있어도 말이에요. 사실 우리나라가 한민족이라고 불린다 하더라도 여러 전쟁과 교류를 거치며 다양한 민족을 받아들이고, 또 떠나가기도 한 것처럼, 한국에 정착해 살고있는 여러 민족이 있는지, 그들이 새롭게 전파한 종교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한 땅에서 주류가 되는 민족과 종교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공부하면 한국사도 굉장히 새롭게 느껴지지 않을까요?
    마찬가지로 중국도 이런 방식의 교육을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중국은 한족으로만 이루어진 나라가 아닌만큼 현재의 중국 영토를 설명할 수 있는 민족 또한 한족 만은 아닐거잖아요. 여러 소수민족의 역사가 분명히 존재하고, 그것들을 함께 배워나갔을 때 중국은 민족이나 자국을 하나의 통일된 집단으로 보고 우월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조화와 공존의 가치를 깨달을 수 있지 않을까요?
    민족과 땅의 역사를 분리해 공부할 수 있었던 이유에 투르크족이 유목 민족인 것 또한 크게 작용했겠지만, 투르크족이 여러 민족을 포용하고 지금의 터키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었듯이 중국도 소수민족을 더이상 탄압하지 않고 다양한 역사관을 인정해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oi_77i
      @oi_77i 2 ปีที่แล้ว

      중국도 청나라때까지만 해도 다른 민족들을 다 포용하고 했습니다. 사실 터키가 쿠르드족 독립을 결사반대하는거나 중국이 티베트와 위구르 독립을 결사반대하는 건 비슷해 보여요. 물론 중국이 야만적으로 심하지만요.
      그리고 '터키 공화국'이 생겨난 이후로 초대 대통령인 무스타파 케말의 경우 그리스계, 아르메니아계, 쿠르드계 등의 소수민족을 굉장히 탄압했습니다. '터키'라는 근대국가라는 하나의 테두리 안에 '터키인'이라는 정체성으로 묶으려고 말이죠.

    • @gaji-bokkeummarlin7160
      @gaji-bokkeummarlin7160 ปีที่แล้ว

      @@oi_77i 한국내 차이나 타운에서 독립 주장하면 독립 시켜줘야 됨?
      개소리 하고있어 ㅋㅋ

  • @christina4465
    @christina4465 2 ปีที่แล้ว +16

    알파고님의 시각으로 오스만제국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니, 기존의 제가 알던 것과 다르기도 하고 유목민의 후예는 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도 이런 콘텐츠 많이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이번에도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고맙습니다!

  • @user-zc5dt8kz5u
    @user-zc5dt8kz5u ปีที่แล้ว +5

    최고의 대화내용이네요. 쉽게 설명해주셨어요

  • @ahndream
    @ahndream 2 ปีที่แล้ว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alik5883
    @alik5883 2 ปีที่แล้ว +41

    터키 역사는 정말 상상 이상으로 재밌네요 ㅎㅎ 제가 기존에 알던 역사와는 전혀 다른 관점이라 너무 신선합니다. 터키 역사 관련해서 더 자세하게 다뤄주셔도 재밌을 것 같아요!

    • @j3459
      @j3459 ปีที่แล้ว

      우리나라 역사도 알려드릴개요
      한반도로 영토가 축소된건 이성계의 조선시대 뿐이에여.
      신라의 시조 게세르칸이 (박혁거세)
      몽골 중앙아시아 러시아 유럽 티베트
      인도 페르시아를 점령했어요
      유럽정벌하고 유럽에 남은 세력들이 바티칸세력이 됩니다.
      유럽에서 게세르칸을 토르라고 부릅니다.
      게세르칸이 죽고나서 게세르칸의 나라는
      5개로 쪼개집니다 이게 오릉전설입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인도 티베트 페르시아 나와바리국가)
      그래서 이란왕자 신라공주 쿠쉬나메 이야기가 나오고
      김수로 석탈해 허황옥 이양반들이
      우리쪽으로 온거에요.
      김수로도
      원래 김씨 아니에여 다른이름인데 . 김해김씨의 시조가 되었기에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는거죠.
      게세르칸의 모계 종교계통으로 친척이라서
      우리쪽으로 온거에요.
      게세르칸 후손에서는 아틸라가 나와서 유럽을 정벌했어요.
      아틸라를 유럽에서는 로키라고 부릅니다.
      아틸라는 게세르칸(박혁거세)후손입니다.
      4세기중반 신라가 중앙집권화 되는 과정에
      지배층끼리 싸우면 신라가 망하니까
      박씨왕족과 따르는 무리들이
      유럽으로 떠났어요
      이것을 훈족의 대이동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아틸라가 나와서 유럽을 정복했고
      아틸라가 신라에 있던 친척에게 보낸
      아틸라보검이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었어요
      아틸라사후 그의 후예들은 중앙아시아 유럽등으로 뿔뿔히 흩어졌고
      일부세력은 신라로 돌아와서 지배층이 되어 삼국통일합니다
      유럽에서 하던 코미타투스를 신라에서 하는게 화랑도입니다
      지증왕부터는
      김씨가 아닌 아틸라 경호대장 이었던 유연족의 모씨세력이 왕이됩니다
      법흥왕은 자신이 모씨라는걸
      울진봉평신라비에 적어서 후손에게
      잊지말라고 알렸어요.
      지증왕은 어린시절에 유럽에 살다가 신라로 왔어요.
      법흥왕은 아버지가 지증왕입니다.
      암튼 아틸라사후 그세력들은 흩어졌지만
      불가리아 헝가리 독일 스페인 우크라이나 러시아 영국왕가 등등
      전유럽의 왕가와 종교의 지배층이 되었습니다
      바이킹 바티칸 바바리안등은
      유럽으로 진출한 우리민족지배층이야기에여
      특히 영국왕가는 아틸라와연관이 많은데
      하노버 빅토리아 왕조 등 다
      아틸라 후예들입니다.
      우리말이 동서언어의 뿌리인건
      우리민족지배층이 유럽으로 가서 유럽의
      지배층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말(산스크리트어) 에서 라틴어 영어가 나왔어요
      라틴어랑 말자체가 신라와 친한언어로
      신라말과 유사합니다.
      경상도 전라도 북한 토속 사투리가 산스크리트어이고 표준말이에요.
      왕족 지배층이 쓰는언어.
      실크로드란 말이 신라가는길 길이에여
      게세르칸이 몽골 중앙아시아 러시아 유럽
      인도 티베트 페르시아를 점령했어요
      실크로드란 생기는건 당연하겠죠
      한가지 더 첨언하면
      자오지천황이 오딘으로
      세계를 지배할때 아스가르드(아사달)가
      세계수도 였어요.
      아스가르드는 오늘날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의 아스타나입니다.
      아틸라를 추억하며 쿠릴타이 축제가 헝가리에서 열리는데
      다 우리민족 형제 민족이에요
      흉노 선비 돌궐족 묘족 여진 만주 저 갈 강 등등 다 우리민족계열입니다.
      핀란드의 핀족도 우리민족이에요
      한반도에
      살고 중국의 식민지로 살던건 조선시대 뿐이에여

  • @user-sk1pm3xl7r
    @user-sk1pm3xl7r 2 ปีที่แล้ว

    너무 재밌습니다!!!!! 계속 해주세요!!!

  • @ucallmeid
    @ucallmeid 2 ปีที่แล้ว +1

    역사적인 궁금증이 해소되기도 하고
    더 생기기도 하는
    멋진 시간 입니다
    👍

  • @user-fz2yl1oq4y
    @user-fz2yl1oq4y 2 ปีที่แล้ว +3

    어디서도 알수 없었던 정말 귀한 이야기 최고였습니다.

  • @MrGogaeng
    @MrGogaeng 2 ปีที่แล้ว +17

    11분이 호로록 지나갔네요 ㅋㅋㅋㅋ 재밌게 잘 봤습니다~!

  • @user-fo8cm6tk8d
    @user-fo8cm6tk8d 2 ปีที่แล้ว +2

    와~ 너무 재밌네
    알파고님 역사에 대한 한국어 표현력이 너무 좋으시네요

  • @bowrain4169
    @bowrain4169 2 ปีที่แล้ว +2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 너무 좋아요. 재밋네요.

  • @user-iz3nj8nh7i
    @user-iz3nj8nh7i 2 ปีที่แล้ว +6

    이해하기 쉬운 비유로 터키 역사와 그 뿌리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 @jamesk6710
    @jamesk6710 2 ปีที่แล้ว +5

    돌궐족 즉 투르크족이 중앙아시아의 여러나라를 이루었고, 서로 언어가 유사하군요!! 넘 흥미롭습니다!!!!

  • @katelee7421
    @katelee7421 2 ปีที่แล้ว

    너무 재밌어요.. 한번 더 나와주세요

  • @lawren0203
    @lawren0203 2 ปีที่แล้ว +3

    와,, 최근 탐구생활 영상 중 제일 이해 잘 되는 영상이었어요!! 뭔 소리인지 머리에 바로박히네욬ㅋㅋㅋ

  • @Marco-qp7lx
    @Marco-qp7lx 2 ปีที่แล้ว +8

    알파고 씨 너무 유쾌하게 설명해주셔서 재밌게 봤습니다.

  • @user-ly7hd2dc2v
    @user-ly7hd2dc2v 2 ปีที่แล้ว +5

    터키역사 잘 가르쳐주시는 일타강사 알파고씨 같아요~짧지만 핵심을 잘 찍어준다는 느낌 재밌었어요:)

  • @user-yk7sx6gh1u
    @user-yk7sx6gh1u 2 ปีที่แล้ว +1

    참 좋은 대담 감사합니다. 알파고님 한국생활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 @philosiria7938
    @philosiria7938 2 ปีที่แล้ว +3

    와 진짜 내용이좋아요!!! 더 배우고 싶어요!!

  • @user-mq7do8is4p
    @user-mq7do8is4p 2 ปีที่แล้ว +6

    와 뭔가 속이 시원하네요!! 알고는 있지만 이해가 어려웠던 부분들 콕콕 잘 설명해주셔서 정말 고마워요!!!ㅎㅎ

  • @shortkoreatravel
    @shortkoreatravel 2 ปีที่แล้ว +3

    터키 역사 즐겁게 잘 들었습니다!!

  • @us____er
    @us____er 10 วันที่ผ่านมา

    정말 최고에요!!

  • @Regina-fy9xc
    @Regina-fy9xc 2 ปีที่แล้ว

    와..뜨개질뜨면서 이번편 봤는데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네요. 몇번 재탕해야겠어요

  • @user-greatharrison
    @user-greatharrison 2 ปีที่แล้ว +3

    간만에 너무나 유익한 컨텐츠를 보았네요ㅎ 앞으로도 더더욱 유익한 컨텐츠 부탁드리겠습니다^^

  • @user-yu7ll5wi4j
    @user-yu7ll5wi4j 2 ปีที่แล้ว +5

    터키여행을 많이 갔지만 그나라에 문화, 역사를 이해하기 어려운부분 많았는데 이렇게 알게되니 그저 감사할따름입니다

  • @harimjang
    @harimjang 2 ปีที่แล้ว

    요즘 터키에 푹 빠져있는데 이런 타이밍에 좋은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user-kn7cf5fj6b
    @user-kn7cf5fj6b 2 ปีที่แล้ว

    두분 케미 좋네요 역사를 배우는데 시각을 바꾸고 생각하는 시점을 달리볼수있어서 이채널이 참좋음

  • @user-nx4ss2uf1i
    @user-nx4ss2uf1i 2 ปีที่แล้ว +5

    세계사및 한국사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이런 내용 너무 좋아요. 조승연 씨는 이런 쪽으로 설명해주어서 너무 신나요^^ 감사합니다

  • @elee7521
    @elee7521 2 ปีที่แล้ว +9

    알파고 진짜 똑똑하고 너무 재밌고 👍🏼 매불쇼 잘 듣고 있어요 알파고가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 배경등등 얘기해주면 나도 같이 똑똑해지는 느낌. 진짜 최고!!

  • @user-np7bq1nq1g
    @user-np7bq1nq1g 2 ปีที่แล้ว +2

    설명이 아주 명확하네요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 @yellownblue1865
    @yellownblue1865 2 ปีที่แล้ว +2

    책으로만 배웠던 돌궐 흉노의 이동이 실감이 되네요.
    몽골 옆에있는 카자흐 사람과 한달이면 소통이 된다니 놀랍습니다.

  • @sonsy84in
    @sonsy84in 2 ปีที่แล้ว +6

    땅의 역사와 민족의 역사는 따로 보고 배운다는게 감회가 새롭네요 이것이 유목민 플랙스인가!

  • @khamza-mn6rl
    @khamza-mn6rl 2 ปีที่แล้ว +12

    맘루크, 셀주크 튀르크... 고3때 세계사 공부했었는데 다시 들으니까 반갑네요. 코로나가 종식되면 곧바로 터키에 가고싶어요ㅠㅠ

  • @jiminlee5091
    @jiminlee5091 ปีที่แล้ว

    진짜 유익하고 재밌습니다!👍🏻

  • @Lilimeihua
    @Lilimeihua ปีที่แล้ว

    두분 케미 진짜 역대급~
    자주 뭉치시길~

  • @sol6163
    @sol6163 2 ปีที่แล้ว +7

    비유가 뇌리에 꽂힐 정도로 잘 해주셔서 이해가 잘 됐습니다ㅋㅋㅋ 너무 재미있게 잘 봤어요 12분 순삭..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kz6vr3xg8u
    @user-kz6vr3xg8u 2 ปีที่แล้ว +3

    이번영상 쵝오👍

  • @user-wx2yq3gf5x
    @user-wx2yq3gf5x 2 ปีที่แล้ว

    뜻깊은시간이였습니다

  • @hihappy82
    @hihappy82 2 ปีที่แล้ว +2

    먹는것보다 이런게 더 잼있었습니다 잘봤습니다

  • @bin4260
    @bin4260 2 ปีที่แล้ว +7

    항상 서유럽 입장에서만 알고있었는데 반대입장에서보는거 진짜 흥미롭고 재밌네요!

  • @check9269
    @check9269 2 ปีที่แล้ว +6

    저두.. 세계사를 배웠는데도 이런 건 들어보지 못했어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넘 재미지네요 ㅎㅎㅎ

  • @user-jj2hd6gj1k
    @user-jj2hd6gj1k ปีที่แล้ว

    유익하고 지적인 채널이고 영상인데 너무너무 재밌음!

  • @marcyoon6804
    @marcyoon6804 2 ปีที่แล้ว

    너무 너무 재밌게 봤어요
    감사합니다

  • @abcd-hr9yv
    @abcd-hr9yv 2 ปีที่แล้ว +7

    와 진짜 조승연씨도 조승연씬데 알파고씨,, 역사에 해박하시면서도 선후관계 설명을 진짜 잘해주셔서 이해가 정말 잘되네요 ㅋㅋ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jayshin5071
    @jayshin5071 2 ปีที่แล้ว +26

    알파고님 앞으로도 기대됩니다. 역사를 보는, 아니 세상을 보는 폭넓은 시각을 제공해주는 조승연님과 함께 해주세요.

  • @pedropark4473
    @pedropark4473 2 ปีที่แล้ว

    이런 컨탠츠 너무 좋습니다 재미와 자식을 다 같이

  • @user-tg4mw6gl9g
    @user-tg4mw6gl9g 2 ปีที่แล้ว

    명절에 잠시짬내서 접해봣습니다..💯
    건강하세요 두 분
    응원합니다....

  • @stevenkim1618
    @stevenkim1618 2 ปีที่แล้ว +26

    로마 v1 v2 v3에 대한 부분이 정말 인상깊네요.
    서구 시각과 다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넘 유익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