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 가능한 함수 f와, x=a에서 불연속인 함수 g가 있을 때 f*g가 실수 전체 구간에서 미분 가능한지 판단하는 경우에 만약 함수 g에서 x=a에서의 좌우 극한값은 다른데 그 지점에서 미분 계수가 같은 경우에는 {f(a)}′=0이면서 동시에 f(a)의 좌우 극한이 꼭 0으로 같을 필요는 없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도함수의 우극한과 우미분계수라는 표현은 같은 표현이라고 받아들여도 되나요? 그리고 수능 범위 내에서 도함수의 좌우 극한이 같으면 도함수의 함숫값도 존재한다고 확정내릴 수 있나요? 그리고 f’(a)라는 특정 점에서의 미분 계수를 구할 때 연산의 마무리 과정에서 극한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함숫값으로 볼 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 극한의 정의를 배우는 과정에서는 극한과 함숫값을 엄격히 다르게 다루었는데 이 부분이 헷갈립니다.
1. 도함수의 우극한과 우미계수가 같을 땐 일 때 한정해서 같습니다. (수능수학 세계관에선 도함수가 항상 연속이어왔습니다만 아닌 경우도 존재합니다. 미적분 교과서 언습문제에 등장합니다.) 2. 수능 범위 내에선 x=a에선 함수 f(x)가 미분 가능한 경우 연속이어왔습니다. 3. 극한을 f’(a)로 얃속한 겁니다. → 나중엔 도힘수를 정의하고 a를 대입하죠.
현장강의 안내] 2025 수능대비 everydaymath.kr/%ec%bb%a4%eb%ae%a4%eb%8b%88%ed%8b%b0/?mod=document&pageid=1&uid=206
김재하 수학 인강 사이트 everydaymath.kr/
대치동 윈터스쿨 everydaymath.kr/winterschool/
킬러문항 배제에 따른 커리큘럼 가이드 th-cam.com/video/iCSvSncbpOE/w-d-xo.html
김재하 문제풀이 강의 [주특기 실전] bit.ly/4651MFA
맞아요 이부분 엄청 중요하다고 들었어요
인강에서 들으셨나요??
@@1se0-j 네네 ㄱㅅㅇ 선생님
이거 ㄹㅇ..너무 이해안가서 영상이란 영상다 찾아봤는데…한방에 이해가가네여..
이해가 됐다니 다행입니다.^^
다른 영상도 많이 봐주세요~
쌤 강의력 진짜 미친 거 같아요
정말 훌륭한 설명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2:08 누가 만들었어요 ㅋㅋㅋㅋㅋ
ㅎㅎㅎ
와씨 좌극 우극 다를때 도함수랑 함숫값이 둘다 0인건 진짜 도움된다
하,,,, 그저 G.O.A.T😇😇
곱함수 연속판단은 할만한데 미분은 좀 헷갈려서 이거 보니까 이해가 확 되네요
열공하셨군요 ㅎㅎ
채널에 다른 좋은 영상도 많이 있습니다~
진짜 최고..
이제야 봤지만 정말 개쩌네요 선생님
강의력ㄷㄷ 이해 너무 잘됩니다 감사합니다
👍🏻👍🏻시청 감사합니다! 자주 들러주세요:)
전달력최고..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좌,우 미분계수가 다른 두 번째 g(x)와 연속인 f(x)를 곱할 때 f(x)가 인수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요?…
수정 : 미분계수가 아니라 극한아 다른 g(x)요
@@김동주니-w3qy=xㅣxㅣ
와 ㅇㅈ 지리네
와... 강의력 실환가ㅋㅋ 수학이 재밌네..
좋은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다른 강의영상도 많이 봐주세요.
모르던 개념이 이해가 한번에 가네요..ㄷㄷ
4:17
불연속이지만 좌우 미계가 같다면 f' 만 0 이어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fg가 미분가능이기에 연속도 보장되죠! 따라서 x=a에서의 좌우 함숫값도 같아야해요 그래서 f(a)=0
@@신익주-l4f 아 그게 기본전제네요 감사합니다!
좌미우미가 같은데 불연속?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심지어 좌미 우미 같으면 그냥 미분가능이지 f’이 왜 0? 뭐지?ㅋㅋㅋㅋㅋㅋ
@@강해지기위해연속이 보장돼야 하는 이유도 있지만, 애초에 불연속인데 좌우미분계수가 같을 수 없습니다.
2020 수능 나형 20번 해설지에 “반례를 들어보면” 이라고 나와잇어서 짜증낫는데 증말 감사합니다
ㅎㅎ 해당 영상 내용 숙지하시면 도움 될거예요.^^
합성함수 연속성이랑 미분가능성도 올려주실수 있나요?
gx가 무한대로 가면 어떻게 하나요??.
프라임 0
오 마이 갓~
따봉
맛잇어요
와 이해가되네
내용을 이해하셨으니 앞으로는 결론을 잘 이용해주세요~
미분 가능한 함수 f와, x=a에서 불연속인 함수 g가 있을 때 f*g가 실수 전체 구간에서 미분 가능한지 판단하는 경우에
만약 함수 g에서 x=a에서의 좌우 극한값은 다른데 그 지점에서 미분 계수가 같은 경우에는 {f(a)}′=0이면서 동시에 f(a)의 좌우 극한이 꼭 0으로 같을 필요는 없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g(x)가 a에서 좌우극한이 다르다면 a에서 미분계수또한 같을 수가 없어요
도함수의 우극한과 우미분계수라는 표현은 같은 표현이라고 받아들여도 되나요?
그리고 수능 범위 내에서 도함수의 좌우 극한이 같으면 도함수의 함숫값도 존재한다고 확정내릴 수 있나요?
그리고 f’(a)라는 특정 점에서의 미분 계수를 구할 때 연산의 마무리 과정에서 극한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함숫값으로 볼 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 극한의 정의를 배우는 과정에서는 극한과 함숫값을 엄격히 다르게 다루었는데 이 부분이 헷갈립니다.
1. 도함수의 우극한과 우미계수가 같을 땐 일 때 한정해서 같습니다. (수능수학 세계관에선 도함수가 항상 연속이어왔습니다만 아닌 경우도 존재합니다. 미적분 교과서 언습문제에 등장합니다.)
2. 수능 범위 내에선 x=a에선 함수 f(x)가 미분 가능한 경우 연속이어왔습니다.
3. 극한을 f’(a)로 얃속한 겁니다. → 나중엔 도힘수를 정의하고 a를 대입하죠.
오마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