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X과학드림] 심해보다 우주를 더 좋아하는 과학적인 이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4 พ.ย. 2023
  • 과학을 드려요~ 😁
    과학을 드렸는데 너무 많이 드렸습니다... 🤦
    그 어느 때 보다 꽉찬 과학 이야기!
    “우리의 위에 우주가 있다면 아래에는 심해가 있다”
    우주와 바다 🌊 그리고 우주의 바다
    합쳐서 200만 구독자!
    탑티어 과학 커뮤니케이터 두 남자의 만남! 🧑🔬👨🔬
    @ScienceDream
    [궤도X과학드림] 우주👽 vs 심해🦈
    당신의 선택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스하 ~
    #궤도 #과학드림 #바다 #심해 #우주 #스페이스하이커 #스페이스허브TV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02

  • @user-ub8qq1mk3o
    @user-ub8qq1mk3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8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 맞나? 과학드림님이 벌써 백만 되셨어요? 그리고 저렇게 생기셨구나 ㅋㅋㅋㅋ 진화생물학 팬으로써 항상 재밌게 들었어요~ 궤도님은 이제 알아가는 차였는데 과학드림님 반가워요

  • @botongmanx
    @botongman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우와 ~ 정말 좋아하는 두 과학 커뮤니케이터의 대결, 가슴이 웅장해 집니다.

  • @missyimify
    @missyimif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0

    최애 과학 커뮤니케이터즈🎊
    근데 정말 맞는 말이네요. 어려서 우주를 동경하고 좋아했는데 서른 넘어 궤도를 알게 되고 20년만에 다시 우주얘기에 두근거림! 두 분 다 응원해요~

  • @NAYA_ESTJ
    @NAYA_EST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친숙한 얼굴의 두분이 나오길래 조건반사적으로 구독, 좋아요 눌렀습니다. 알고리즘의 흐름을 따라 왔는데 늦게라도 알게되어서 기뻐요.

  • @half.plastic
    @half.plasti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심해 이야기와 우주 이야기를 좋아해서 이 두 분 조합 너무 마음에 들어요,,,🥰

  • @nirvananihil
    @nirvananihi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앗 궤도님, 여기에 딴 살림 차리신 걸 오늘 알았네요~ 당장 구독 ㅎㅎㅎ
    구독하고 있던 과학드림도 주인장 얼굴을 오늘 처음 보는데, 이분도 역시 청산유수 👍
    제가 뉴질랜드에 살아서, 질란디아와 펭귄 영상이 기억에 또렷이 남아 있어요 🐧🐧🐧

    • @skykim6513
      @skykim65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부럽당 뉴질랜드

  • @user-js6je3dxw2q
    @user-js6je3dxw2q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과학드림 진짜 재밌게 보고있는데 이렇게도 하셨구나 두분 만남 참 좋아요ㅋㅋ

  • @Go_is_me_Believe
    @Go_is_me_Believ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와!! 과학드림!! 얼마전 얼공하시고 라이브도 하셔서 재밌게 봤는데 여기까지 등장하시다니

  • @MaChunGyung
    @MaChunGyun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생물학 이야기, 인류의 기원이야기를 들으니 제가 어렸을때 엄청 궁금해했던 주제가 떠오르네요 ㅎㅎㅎ "생물은 어떻게 '걷는다'라는 행위를 할까" 저는 이 주제가 정말 궁금했습니다. 모든생물은 태어났을때부터 자연스레 걷게되고, 인류의 기원에 기원을 찾아보아도 모두 '걷고' 있습니다. 다리를 움직여 걸으면 이동을 할수있다는걸 본능적으로 알게된걸까요? 저는 이 주제가 어렸을때 정말 궁금했습니다

  • @user-mr7rt6bs7h
    @user-mr7rt6bs7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8

    우주에 관심을 가지는 만큼 심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특히나 요즘 같은 온난화 시대에는 더욱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5

      맞습니다!!! 한화는 그린에너지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답니다. 다음엔 고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게스트분을 모셔볼게요!!

    • @hotdamn6642
      @hotdamn664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sk6pv2ew9p다밝혀졌어요?

    • @tho881
      @tho88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한화 주식 가즈아

    • @doodaebal
      @doodaeba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왜욬ㅋㅋㅋ

    • @NAYA_ESTJ
      @NAYA_EST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SpaceHubTV그런데 우리 한화이글스 야구팀은 도대체 왜 ........ ㅠㅠ

  •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엇 과학 컨텐츠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구분을 모를수 없지 ...
    이런 콜라보 넘 좋아요
    고대 고대 하면 우주먼지님이 별로 안좋아 하실듯
    고대 연대기 때 생물이라고 해야 ㅋㅋㅋ

  • @choijohn-mx6ei
    @choijohn-mx6e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미따 스튜디오부터 편집까지 수준이 높네요!!

  • @bonbonkoo6856
    @bonbonkoo685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과학드림 진짜 잘때 틀어놓고자면 꿀잠임; 나의 수면드림!

  • @Bellight01
    @Bellight0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방심하고 있다가 "연대"에서 빵 터졌네 ㅎ 두분 캐미 왤케 좋음? ㅎ

  • @user-gt9yt2ci3r
    @user-gt9yt2ci3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헐 과학드림님 채널 매일 돌려보는데ㅋㅋㅋㅋㅋㅋ

  • @fuhit3598
    @fuhit359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아 나중에볼껄... 2편이 필요하다...

  • @smithoo7646
    @smithoo764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오 과학드림 님 책 사서 아들이랑 잘 읽고 있어요!!!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 아드님과도 함께 봐 주세요

  • @june_joy
    @june_jo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과학드림 최고~~~!!!! 👍 👍 👍

  • @color003
    @color00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과학드림님 여기저기 나오시는게 보기좋네요 접근성이 많이올라감

  • @nall_ha
    @nall_h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둘다 꿀잼

  • @MystoreisOpen
    @MystoreisOpe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경외감 호기심 공감합니다.
    심해에는 대충 어떤 생물이 산다는걸 알지만 우주는 아직까지 모릅니다.
    심해는 대충 바닥(끝)이 있다는걸 알지만 우주는 정녕 끝이란게 있는지도 모릅니다.

    • @FriedriceKimchi012
      @FriedriceKimchi012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시공 그잡채

    • @MystoreisOpen
      @MystoreisOpen 13 วันที่ผ่านมา

      @@FriedriceKimchi012 시공의 폭풍은 정말 최고야

  • @KMH_Youtub
    @KMH_Youtub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와 나 과학드림님 ㄹㅇ 찐팬인데ㅋㅋㅋㅋㅋ 진짜 논리적이고 쉽게 잘설명해줌

  • @mieux4604
    @mieux460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재미있네요 ㅎㅎ

  • @dohyun21
    @dohyun2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개인적으로는 심해도 궁금증을 가지지만 우주와 비교할때에는 비교적 우주에 더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범위가 더 크다는 생각이 들고, 미지의 영역이 더 크다라는 생각이 들어요. 궤도님이 말하는 느낌으로 아니까라는 말에 어느정도 공감하는게 심해는 유한한 느낌이고 우주는 유한일수도 무한일수도 있지만 심해대비 범위가 무한히 크기 때문에 그 호기심과 궁금증이 크게 느껴져요. 우주는 궁금증이 무한히 '확장'되는 느낌이고 심해는 '유한'한 영역을 탐구하는 느낌이 강해서 둘의 비교에서는 우주가 더 궁금증이 크게 느껴져요.

  • @zhouya58
    @zhouya5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더 듣고싶어욥:) 심해도 우주도 알러뷰❤

  • @120jhlee
    @120jhle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캬 과학 유튜버들도 서로서로 다 알고지내는구나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정모하시나? ㅎㅎㅎㅎ

    • @skykim6513
      @skykim65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줌단

  • @semoligic
    @semoligi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두분 합 좋네요 ㅋㅋ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촬영현장에서도 분위기가 참 좋았습니다 ㅎㅎㅎ

  • @qaz-oo3qr
    @qaz-oo3q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궤도 과학드림 콜라보는 못 참지ㅋㅋ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못참죠 ㅋㅋㅋㅋ

    • @TSV7
      @TSV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ㄹㅇㅋㅋ

  • @Aesok
    @Aeso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와 내가 좋아하는 두분의 크로스라니

  • @njf164
    @njf16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식인종 과학드림영상이 저형이 골방에서 만드신거라니! 두분모두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 @grandmaarchives
    @grandmaarchive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과학드림이라니!!! 궤도와의 조합 이거 사실입니까!!!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두 눈을 믿으십시시오!!!

  • @tkpaco
    @tkpac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 과학드림님!

  • @DarkFuse
    @DarkFus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 재밌당ㅎ

  • @ao-wu9ks
    @ao-wu9k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재밌어용 🥰🥰

  • @hujan5005
    @hujan500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인간이 우주보다도 비다에 대해 모른다는 말 듣고 어떻게 기능하지??? 싶었는데 연구 자체가 부족한 세 원인을 들으니까 뭔가 고개를 끄덕이게 됨

  • @nuclear-tuna
    @nuclear-tun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나는 관심 비중이 바다가 더 가까운 죽음이라 부정적인거 맞는듯. 당장 우주는 경이롭고 아름답다라면 바다는 경이롭고 공포스러운 느낌임 물론 우주도 공포스러운 것도 있지만 이런 부분에선 경험의 유무가 있을거같은데 내 어릴적 계곡 물에 빠져본 공포심이 바다=물=공포로 이어져 영향을 주는거같음 물론 코딱지때부터 과학 만화라곤 우주관련된게 대부분이긴 했지만 ㅋㅋ

  • @user-rv5oz9gq7l
    @user-rv5oz9gq7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과학드림 왜캐 잘생김?
    훈훈하시네❤

  • @j.svaraba9193
    @j.svaraba919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ㅎㅎㅎㅎㅎ ㅎㅎㅎㅎ 시작부터 웃기기 있기없기

  • @user-wk2tj7kd6x
    @user-wk2tj7kd6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제가 봤을 때는 스토리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의 흥미과 관심 호기심을 끌만한 스토리의 차이가 우주와 심해의 차이라고 생가합니다.
    그 차이를 만드는 요소로는 우주는 밤만 된다면 상상할 수 있지만 심해는 자주 접할 수 없다고 봅니다.
    바다가 없는 나라에서 용왕전설 같은 것이 상상이 가능할까요?
    달의 어두운 모습은 마치 토끼같은 모습이었고, 달의 밝은 모습은 마치 늑대같은 모습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달을 볼 때마다 사람들은 토끼나 늑대를 생각하죠.
    보름달이 되면 가장 크게 잘 보이니, 늑대인간 전설들은 클리셰로 보름달에 뭔가 사건이 일어납니다.
    우주를 자주 바라보며, 그 너머에 아름다운 별을 바라보며, 저기에는 무슨일이 있을까?
    과연 저기에도 사람이 살고 있을까? 이런 호기심,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 아무것도 '없는' 밤하늘을 오랫동안 관측한다면 뭐가 보일까?
    그랬는게 거기서 그 유명한 딥필드가 보였죠.
    만약 거기서 아무것도 찾지 못하고 어두운 밤하늘만 관측했다면
    우주가 지금만큼 큰 관심과 재정지원을 받지 못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칼세이건 같은 유명한 인물들이 창백한 푸른점 등등 멋진 표현을 해주기도 했구요.
    심해에도 호기심과, 스토리, 열정이 더해진다면 더 많은 관심을 받고 더 많은 재정지원을 받으리라고 생각합니다.

    • @bbongkwon1943
      @bbongkwon194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난이도의 차이도 큰데..
      우주는, 지구중력벗어나는순간부터
      시간과의 싸움일뿐이지만..
      심해는 깊게 들어갈수록
      압력이쌔져서.. 현재기술력으로
      사람이 못가는곳이 많죠

    • @venividivici9652
      @venividivici965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bbongkwon1943그 시간과의 싸움이 최소 만년단위잖아 오히려 심해 압력 이겨내는 수중 잠수함 만드는게 몇백년 안에 가능하겠지

    • @Run_Hani
      @Run_Han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bbongkwon1943 로켓하나 날리는데 드는 돈과 시간 대중의 관심도 더 나아가 성공하면 대서특필되는건 기본이고 모든 언론이 집중하고 축제마냥 기뻐하는데
      이 정도의 차이만 봐도 우주쪽이 더 고난이도라고 생각함,

  • @IlSikJang
    @IlSikJan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학교육과 선배님 화이팅!!

  • @healing__moon
    @healing__moo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주는 지구가 보이지만 심해는 그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서 나의 존재여부에 대해 의심을 가질 것 같아 우주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된것이 아닐까요, 아이러니하게도 우리 인간의 몸은 물이 비중이 많이 차지하게 되는거라 어쩌면 우리 인간이 우주에서 떠돈다면 마치 작은 심해가 떠도는 느낌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심해에 관심을 가지게 하려면 인간 속 물 사진 뭐 이런자료들이 신박하지않을까요, 결론은 우리자체가 심해이기에 닿지않는 우주를 갈망하는거죠

  • @hj-ku1bd
    @hj-ku1b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5

    과학드림님 진짜 레전드임. 지구의 잃어버린 10억년이랑 200만년 장마는 생물학도가 아닌 지구과학도도 너무 흥미로운 내용

    • @user-dv7zm6vf3v
      @user-dv7zm6vf3v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0만년 장마같은소리하네ㅋㅋ

    • @KOREAISDYNG
      @KOREAISDYN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dv7zm6vf3v찾아보세요 있습니다.

    • @user-bw6hh7rh6l
      @user-bw6hh7rh6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너의 인생은 100년 빙하기구나

    • @gompangman
      @gompangma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dv7zm6vf3v안될 것 같아?

  • @julietta8650
    @julietta865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ㅋㅋ 바다에 경외감을..👍🏻 오랜만임. 🤗👌 울 웅하고 인성이 비슷. ㅎ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웅이는 또 누구시죠? ㅎㅎㅎ

  • @user-im6ns4ys5d
    @user-im6ns4ys5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궤도님 점점 잘생겨지시네요..... 열받아 나만의 남자여야해

  • @user-ig1sn9yj3t
    @user-ig1sn9yj3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지구의 잃어버린 10억년이랑 200만년의 장마 등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흥미로운 과학들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주제로는 생물들이 걷는다는 행위에 어떻게 도달했는지 는 어떨까요?

  • @Cheatbomb
    @Cheatbomb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우주는 일단 탐사기간 자체가 엄청 길죠.. 비용대비 인원도 한정적이고 현재 알지 못하는 외부의 위험 요인이 우주에 많다고 생각해서 아직은 우주가 더 어렵다고 봅니다

    • @user-oz7co2tk8h
      @user-oz7co2tk8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주는 기간이 오래걸리는데 심해는 진입조차 어렵죠

  • @Orbit_Room
    @Orbit_Roo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9 어렸을 때 호기심을 커서도 마저 해결하고 싶어한다는 이야기 좋네요
    6:27 고대 들어가고 안멋진 거?
    10:58 우주에 나가서 내가 좀 경솔했네?ㅋㅋ

  • @yuna_1201
    @yuna_120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심해도 엄청 넓지만 끝이 있다는걸 알고
    넓다고 해도 고작 지구 안인데
    우주는 끝이 있는지도 모르고
    우주에는 호기심을 가질 만한 주제가 되게 많으니깐 관심이 많다고 생각이 들어요 외계인이나 UFO나 별 , 행성 , 무중력 등등 이런게 있고 심해에는 그나마 생물들을 많이 발견했지만 우주에선 인간 빼고 생물체를 발견한것이 없고 만약 있더라도 확실하지 않고 그 우주 생물체를 외계인이라고만 생각하기 때문에 광활한 우주가 더 끌리네요

  • @user-tf8hu6cj8g
    @user-tf8hu6cj8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궤도와 과학드림의 만남 = 궤도림? 궤드림?

  • @Gol_A_pa_duck
    @Gol_A_pa_duc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과학드림 ㅈㄴ재밌음

  • @user-vc4po3jn7c
    @user-vc4po3jn7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처음 보는데..흥미찐찐 집중되려하는..데!! 수하?스하? 해서 오ㅏ장창깨짐..ㅠ

  • @YesYes-om5se
    @YesYes-om5s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심해는 어쨌든 지구 안에 있으니 어떻게든 이후로라도 접근이 가능하겠지만
    우주는 끝도 없을뿐더러 접근조차 불가능하기에 당연 우주

  • @aha_ahahaha
    @aha_ahahaha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걍 제목도 안보고 인트로도 안보고 좀 건너뛰어서 보고있었는데 공룡얘기하면 사람들이 좋아해준다는 말 들으면서 "공룡하면 과학드림인데" 이러고 있었는데 과학드림님 맞으셨네요 한참 자주 보다가 요즘은 뜸했는데 다시 보러 가야겠어요

  • @user-hz1vs6cy3f
    @user-hz1vs6cy3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으악!! 과학드림 실물영접!

  • @JobDucku
    @JobDucku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심해는 유한 하지만
    우주는 무한하다.

  • @user-jc3tf4cz9p
    @user-jc3tf4cz9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단 “빡세다”를 정의해봐야해요

  • @emmastorykr
    @emmastorykr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스하' 너무 자주 나오는거 같아요. 한참 재밌게 보는데 흐름이 좀.... 궤도님 좋아해요. 근데. ㅋㅋ;;;;

  • @prococonut
    @prococonu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심해는 화려하게 안 보이는 게 관심이 안가는 요인이라고 확실히 와닿네요.
    우주 망원경들이 보내준 사진은 진짜 화려하기 그지 없건만.....

  • @q07060
    @q0706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람들이 심해보다
    우주에 관심많은 이유!
    일단 인간은 반짝이는 거에
    매혹되고 끌림! ㅎ

    • @SpaceHubTV
      @SpaceHubT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동감!

  • @min2_97
    @min2_9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편집점이 뭔가 흐름이 뚝뚝 끊기는 느낌 영상은 너무 재밌는데 조금 자연스러운 화면전환이 필요할듯합니다

  • @user-mt6cc9qu8p
    @user-mt6cc9qu8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3 연대 드립 미쳤냐고ㅠㅜㅋㅋㅋㅋㅋㅋㅋㅋ

  • @mindotory
    @mindotor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 너무 재밌당 근데 심해랑 우주 둘다 너무 무서워서 소름돋으면서 간신히 봤어요 으으

  • @user-pj3yz4mc5r
    @user-pj3yz4mc5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분들이 스쿠버다이빙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조금 생각이 달랐을 듯 하다
    일단 달의거리와 심해7000미터를 동일선상? 목표치로 설정되어 말하는 듯 느껴지고 심해는 1만미터 이상까지도 있는데 달에 간 인원15명 심해21명 비교도 사실 의문스럽다
    바다에서 문제 생기면 당기면 되지 않을까란 말씀을 하셨는데 과연 가능할까? 개인적으론 문제가 하나만 발생해도 심해는 즉사일 것이다
    10미터에 1기압 100미터 10기압 1000미터 100기압 7000미터면 700기압이다.. 감이 올려나 페트병 20미터에서만 공기를 주입해서 수면 위로 올라왔을 때 뚜껑을 열면 로켓처럼 폭발한다. 겨우 20미터.. 다이빙자격증도 35미터가 한계이고 테크니컬 끝판왕인 분들도 100미터 조금 넘게가 한계이며 물은 기압 뿐만아니라 감압까지 필요하다
    그냥 100미터 올라오는게 아니라 질소배출을 하면서 올라와야해서 100미터 가신분들은 내려갔다 올라오는데만 2시간 이상 소요된다
    우리가 학교 체력장 웃읍게 보이는 100미터가 바다에선 어떻게 작용하는지 아는사람은 정말 두렵다 생각 할 듯 하다
    우주엔 생물의 존재자체에 대해 알려진바 없지만 심해는 우리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미지의 생물이 있고 그 기압에서도 살 수 있는 생명체에 대한 연구와 바닷속 박테리아 등 또한 바다자체에서 오존층에 영향을 주는 이야기등 조금 관심 가져보면 정말 신비로운 것 같다

  • @Abradolf.Lincler
    @Abradolf.Lincle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 이 조합 귀하네요!

  • @seoyul0831
    @seoyul083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광활한 우주를 정복하는 게 당연히 더 힘들겠지만
    그것 못지않게 심해정복도 언제 가능할지 모를정도로 엄청난 기술력이 필요하죠
    아직까지 마리아나 해구 비티아즈해연 바닥까지 간 인류는 몇 안된다고 알고있습니다

  • @dongugkim6969
    @dongugkim696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사할시간도 많습니다 과학은 세상을보는 창!

  • @05sustoddlsepdy
    @05sustoddlsepd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캬…과학드림님이 예전 과학소년에서 일하셨던분 초딩때부터 과학소년 매달마다 수집한 내가 지금은 대학교에서 이걸보고있네….

  • @MG-dc9vy
    @MG-dc9v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어느쪽이든 미지는 멋있는거 같아요.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동감입니다.

  • @il_gaemi
    @il_gaem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음엔 수상한 생선님도 기대해봐도 될까요?

  • @fakturafilm6718
    @fakturafilm671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21:15 경외감에 관한 궤도의 신박한 해석!!!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캬~ 저는 경외감이 없나봐요 ㅋㅋㅋㅋ

  • @user-uj6bq6fu7j
    @user-uj6bq6fu7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주에서도 바다행성은 있으니까 심해탐사는필수지 유로파도 물로덮혀있는데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필수 맞습니다!!

  • @user-bx1yl2kn7n
    @user-bx1yl2kn7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심해보다 우주를 좋아하는 이유는 더 메타적인 관점에서 자신을 바라보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이라고 봅니다. 늘 Why? 라는 질문을 품고사는 우리의 숙명이랄까요? 우리에게 자세히 알려지지 않은 심해도 분명 신비로운 점이 있지만, 바다는 결국 우리가 사는 세상속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부분이라고 대부분 인지하는 게 아닐까 합니다. 즉 바다는 우리가 사는 세상이나 우리에 대해 설명해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주를 이해하려 한다는 건 내가 어디에 속해 있는지를 알고자하는 시도와 같죠. 칼 세이건의 창백한 푸른 점이 큰 감동과 의미를 시사했던 점도 거기에 있구요. 우리를 슬프게 하고, 기쁘게 하고, 자살하게 하고, 전쟁하게 만든 인류의 처량하고 필사적인 발버둥의 기록들이 우주적 관점에서는 아주 작은 점에서 일어나고 있는 해프닝에 불과하다는 사실이요. 더 메타적인 관점으로 사고할 수 있다는 건, 허무함을 선사하기도 하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삶의 시간이 얼마나 특별한 것들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기도 합니다. 서로를 전혀 모르던 엄마와 아빠가 그 순간에 만나 나를 낳았다는 점. 수 많은 정자들 중에 선택된 게 하필 나라는 점. 하필 그 도시에 그 시점에 태어나 여러 우연적인 과정을 거쳐 지금의 친구들을 만날 수 있었다는 점. 제가 1600년대에 태어났다면 지금 이 댓글을 쓰고있지는 못했겠죠. 아마 댓글을 남긴다는 생각조차 하지 못하겠죠. 인지하지 못하는 건 그 사람의 세계에선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으니까요. 지금 이 유튜브 영상에 댓글을 남기는 것조차 얼마나 수많은 우연의 중첩인지를 알 수 있다는 것. 그게 우주의 먼지만도 못한 '창백한 푸른 점'속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요. 범사에 감사할 수 있는 마음은 이런 과정을 거쳐야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범사에 감사해야 돼 감사해야 돼 세뇌하는 게 아니라요.

  • @deazangnim
    @deazangni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진짜 개재밌겠다

  • @user-qu5ce9th1x
    @user-qu5ce9th1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람들이 우주에 더 관심이 많은건 심해보다 호기심을 더 자극하기 때문이라 생각함
    외계인의 존재여부나 혹은 블랙홀의 내부 같은 것들은 궁금하지만 사실 심해는 아무것도 없을거같다는 생각이 지배적
    심해에 심해인이 있겠어? 혹은 거대한 어류가 있겠어? 이런 관심을 끌만한게 전혀없음...

  • @user-wz5ul9vp2l
    @user-wz5ul9vp2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엇 과학드림이다!

  • @jejoyeon
    @jejoyeo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 과학드림

  • @gothicduende8791
    @gothicduende879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낚시하다가 가끔 등장하는 어종중 심해어라하면 대부분 200미터~400미터 사이 살고있는 생물들인가요?

  • @user-zs4ub4kb8i
    @user-zs4ub4kb8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두 채널 다 잠잘때 틀어놓고 자는 채널 잠 잘옴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왕에 주무시는거 무한 재생으로 설정 해 주세요 ㅎㅎㅎㅎ

  • @jiseonpark6597
    @jiseonpark659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주🌌💫

    • @SpaceHubTV
      @SpaceHubT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주에 손을 들어주셨군요!

  • @KenoLee92
    @KenoLee9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주보다 심해의 환경이 인간이 탐사하기 위험하기에 심해가 훨씬 더 빡셈..

  • @onedoor0406
    @onedoor040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생겼다 헤헤

  • @Soho22122
    @Soho2212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편지본을 원해용

  • @user-cq7kk4jv1f
    @user-cq7kk4jv1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주여행은 너무 넓고 멀어서 갔다 오는데 시간과의 싸움이다.

  • @user-cv6tm3tp4d
    @user-cv6tm3tp4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1 고대 들어가면 다 미친다니
    역시 자랑스런 연대인
    당신의 연대사랑은 도대체....

  • @user-xc9pv3uw6t
    @user-xc9pv3uw6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

  • @dasalbi
    @dasalb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

  • @user-pl9qr8gx8j
    @user-pl9qr8gx8j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첨봤네 과드님
    얼굴은 아는데 구독 안한분과 얼굴모르는데 구독한 과드님이였네...

  • @JHBBHL
    @JHBBH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심해는 끝이 있고 우주는 끝이 없으니께~

  • @Chamchikim
    @Chamchiki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심해에는 어쨋든 생물체가 사는걸 알고있고 크라켄 등 신화속 무시무시한 생명체 가능성이 산다는 얘기가 많이 듣고 익숙한 대신 우주에는 외계인이나 위협적인 생물체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으니.. 아마 심해생명체보다 차원이 다른게 있을수도 있지만

  • @dk5828
    @dk582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입장벽은 바다가 쉽지만 깊게 들어 가기에는 아직은 더 어렵지 않나? 우주는 별이나 행성에 착륙할게 아니라면 어느 공간이나 동일해서 우주복으로 가능하지만 바다는 인간이 들어가기에는 압력해결이 아직 안되잖아 우주는 단지 광활할뿐

  • @user-gv5nc2xk4u
    @user-gv5nc2xk4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학드림 공룡덕후 아닌가요

  • @psychedelicMusiiic
    @psychedelicMusiii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과학 유투버는 리뷰엉이도 잘하는듯 ㅎ

  • @usjimas
    @usjima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주랑 바다를 비비는것자체가 사실은 벨붕이지 않을까...
    이 은하에 지구보다 훨씬압도적인 심해가 얼마나 많을것이며 완전 다른 생체구조를가진 외계생물체가 또 얼마나 많을거며
    고작 태양계에서 먼지만한 행성에서 기껏해야 지각언저리에 있는 물웅덩이를
    비비는거 자체가 우주에대한 모독이지
    단위자체가 m vs 광년
    심지어 만m vs 930억광년

  • @chokuk_song
    @chokuk_son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닉네임을 궤도 TV로 해야 더 알아볼 듯 해요. 인기에 비해 채널명이 잘 못알아 보겠어요 ㅋ

  • @user-tu6yt7go3c
    @user-tu6yt7go3c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경외감...달에 수많은 똥봉투,오줌봉투가 있다고 하는데요..무게 줄일려고 놔두고 왔다는...지금까지 달에 간 사람들꺼 합하면 많을껄요? 담에 봉투 가져온다고...미생물 연구.
    그리고 우리가 자주보는 달의 발자국 주인은 '버즈 올드린'꺼라네요...

    • @jedir-mw7ik
      @jedir-mw7i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달나라에서 고소하겠네요

  • @dwqeqe103
    @dwqeqe10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심해랑 우주랑은 비교가 안되긴하는게 우주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심해로 환산하면 수심 1mm도 안됨. 바다로 치면 1mm 탐사하는데 우주는 그렇게 힘들다는거임 심해라고 치는 200m? 우주에선 말도 안되게 어려움 우주로 치면 몇백만광년을 가야하는데 말도 안되게 광활하기 때문임

    • @dongugkim6969
      @dongugkim696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형 축척이라는걸 써야해... 단적인예로 수압같은게 있어... 어차피 우주는 물리학적 한계속도로가도 힘들지만 바다는 다른이유로 힘든것도 있구...

  • @funkiest_online
    @funkiest_onlin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6:33 '고대' 고래의 '연대'기

  • @aurious4083
    @aurious408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습니다. 바다에 경외감을 가집시다...

  • @put_your_d_away
    @put_your_d_awa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나의 영원한 무리수 김기자님..ㅋㅋ

  • @hooluc
    @hooluc 23 วันที่ผ่านมา

    달에 버리고온 똥주머니가 많대요… 귀중한 연구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