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lity K1 Max Extruder disassembly and AI Lidar Look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8 ก.ค. 2023
  • Hyper PLA was basically included in the K1 Max package, was twisted, ... because of this, the internal extruder was blocked while printing. So, I opened it and repaired it, and in the process, I also took a look at the AI Lidar parts.
    It has now been fixed and is in good use. It seems that the inside was damaged due to filament twisting rather than a basic defect of the product.
    K1 Max : amzn.to/3pRI40z|
    s.click.aliexpress.com/e/_Dmh...
    K1 : amzn.to/3PXZpzn
    s.click.aliexpress.com/e/_DFz...
    Contact
    soonsoon@soonsoons.com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1

  • @user-nn1kh6ym8i
    @user-nn1kh6ym8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K1MAX를 사용중입니다
    영상을 보고 추후 문제 해결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sf5tv5wz5h
    @user-sf5tv5wz5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1 사용자인데 구매후 10일정도 잘쓰다 압출불량에 시달리다 순순님 구매하신 chc 핫엔드구매, 신형 빨간색 핫엔드구매,, ㅋㅋ 노즐 다수구매, 밑판 분해해서 벨트조정 별짓을 다해보고 그러다 유리문도 박살나고 결국 손도리 as 카톡으로 문의해보니 압출기 톱니 삐뚤어 졌나 확인하라고 해서 톱니 나사가 헐거워 졌더라구요. 완전 분해 후 진짜 꽈악 조였더니 해결 ㅋㅋ 완전해결 하였습니다

    • @soonsoon-workshop
      @soonsoon-worksho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ㅎㅎㅎ 조립 이슈가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출력 품질이 떨어질때 핫앤드쪽 점검하는건 필수 인듯 해요.

  • @kyungminsong2906
    @kyungminsong290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안녕하세요. 덕분에 K1사용하면서 많은 도움 얻고있어 감사드립니다.
    저도 6월 23일에 제품 받아서 거의 한달정도 쓰고있습니다. 말씀처럼 아무설정없이 사용 할 수 있어서 샀는데 압출불량때문에 정말 익스트루더를 자주 뜯고있습니다.(하필 이게 생애 첫 3D 프린터입니다. ㅠㅠ)
    Hyper PLA, PETG, TPU, PLA+ 순으로 출력했는데 정말 많은 착오가 있었네요..
    제 경우는, 영상에서 말씀하신것처럼 기어에서 잡아주는 힘이 부족해서 압출불량이 생기는건 주로 TPU에서 거의 발생했고 PLA 계열의 경우 거의 대부분 다른 이유로 발생했습니다.
    출력중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핫엔드 부분의 열이 기어에까지 영향을 미치게되면서 기어 사이에 위치한 필라멘트가 부풀어오르게됩니다. 이상태로 간당간당하게 출력을 이어나가다가 리트렉션이 길게 이어지는 구간을 만나면 부풀어오른 필라멘트가 기어에 정지한 상태로 더 부풀어 오르면서 기어가 돌지 못할정도로 끼어버리게됩니다. 저의 경우, PLA는 대부분 이러한 이슈였는데 핫엔드와 기어부 사이의 거리를 늘리고, 기어부에 쿨링을 강화하지 않는한 이문제는 해결 불가능할것같습니다.
    (뚜껑을 열고 출력하라고 권고하는것도 이 이유도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저런 이유로 압출불량이 발생했을땐 그냥 출력을 중지한후에 충분히 식혀주면 기어에 끼어있던 필라멘트가 수축되면서 다시 작동하게됩니다.(압출불량 발생 후 10분이내 발견시 이야기이고 장시간 프린터혼자 고스트 출력하게 놔두면 필라멘트와 기어가 화석처럼 굳어져서 기어부 뚜껑열기도 엄청 힘들어져요..)
    이 문제에 그나마 제가 하고있는 대처는
    1. 뚜껑, 앞문 모두 열고 프린팅 진행.(소음이나 안정상의 문제로 닫고해야한다면 속도를 줄이고 프린팅 온도를 최대한 낮추세요.)
    2. 최대한 낮은 온도로 출력.
    3. 쿨링설정 무조건 100%.
    4. 리트렉션시간 최대한 짧게 설정.
    대략 이정도로 일주일정도 지났는데 아직까지는 압출이 안되서 혼자 고스트출력하는 상황은 안생기고있습니다.

    • @soonsoon-workshop
      @soonsoon-worksho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원래 TPU는 출력이 어려운 난이도가 있는 필라멘트입니다 ㅠㅠ
      아무래도 연질의 필라멘트이다보니.. 고온에서 아주 천천히 출력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도 TPU는 몇번 출력 안해봤는데, 워낙 필라멘트 막힘이 잘 생기다보니 잘 사용을 안하게 되더라고요.
      TPU를 사용하시면서 고속 설정을 그대로 사용하셨다면.. 쉽지 않으셨을 것 같습니다. 보통은 TPU 필라멘트는 좀 다른 설정을 사용하더군요. K1 시리즈에서는 아직 TPU 출력을 안해봐서 저는 잘 모르겠는데, 유튜브에 보니 다른 해외 유튜버들이 시도한 값들이 있던 것 같으니 찾아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저도 프린팅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많지 않으니 ㅠㅠ 맨날 고생중인데..
      첫 프린트로 K1 을 만나셔서 ㅠㅠ 고생이 좀 있으시겠어요.. 은근 손이 많이 가는 프린터입니다.

    • @kyungminsong2906
      @kyungminsong290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oonsoon-workshop 아 TPU는 50ms로 설정해서 출력하면 PLA나 PETG만큼 잘 나오긴합니다.

  • @swj388
    @swj38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장비에서 어떻게 분해했는지 부터 있었으면 더 좋았을텐데요... 다른 영상들도 그렇던데 조금 더 초보 입장에서 해 주시면 훨씬 더 도움이 되겠습니다

    • @soonsoon-workshop
      @soonsoon-worksho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 다른 영상들에서 이미 너무 잘 다루고 있어서, 굳이 그 부분은 다루지 않았습니다 :D
      크리얼리티 유튜브 채널 가보면 잘 되어있더라고요.

  • @coralsign
    @coralsig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Kikai mondai ari. Kawanaide

  • @honeylee7022
    @honeylee702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뱀부 따라한 짝퉁의 한계인가요? 뱀부 사려다 25cm와 30cm 때문에
    결국 k1max로 보고 있는데 다들 영상들이 죄다 문제 투성이네 ㅋㅋㅋ

    • @soonsoon-workshop
      @soonsoon-worksho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글쎄요 뱀부를 따라한 짝퉁인지는 제가 모르겠고요. ( 뱀부 제대로 안 써봄 ) .
      초기 이슈가 꽤 있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뭐 어디든 고속 프린터 제품을 처음 만들때 겪는 문제 아닐까요? 나름 열심히 대응 중인 거 같은데.. 이 대응을 좀 더 내부적으로 하고 출시 했더라면 좋은 평가를 받을 기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