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의 樂, S2- ep3 : 기초의 기초3 - 동결심도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31

  • @tennygood
    @tennygood 3 ปีที่แล้ว +18

    상식이 아닌 관습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강경묵-i9f
      @강경묵-i9f 3 ปีที่แล้ว

      우리나라 소형건축물 시장에 딱 어울리는
      말이네요

  • @HUI2650
    @HUI2650 3 ปีที่แล้ว +7

    정말 어디에서도 배우기 힘든 기초의 기초를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비록 건축일을 하는건 아니지만 정석을 알고 현장을 보는것과 야메로 아는 지식과의 간극차이가 이렇게 클줄은 몰랐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아.. 과찬이세요..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전승희-r7t
    @전승희-r7t 3 ปีที่แล้ว +9

    이렇게 한편 찍기가 쉽지 않을텐데 수고하셨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잘 봐주셔셔 감사합니다.~

  • @build.for.people
    @build.for.people 3 ปีที่แล้ว +3

    14:05 이번 영상 핵심이네요.ㅋㅋㅋㅋ 우리나라 건축의 먼 미래까지 짚어주시는 채널.
    가보면 모형 공구는 꽤 있는데, 건축 완구는 별로 없더라구요.
    단독주택보다 공구 쓸 일이 비교적 적은 공동주택에서 주로 자라서 그런걸지도 모르겠네요.
    어려서부터 톱질도 하고, 못도 때려보고, 개집이라도 직접 지어보면 다를 것 같아요.
    오늘도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ㅎ.. 그러게요.. 마당있는 삶!!!

  • @woo6560
    @woo6560 3 ปีที่แล้ว +6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지어진 집을 갖는법 : 충분한 자금 + 두분께 설계와 시공을 맡긴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 저희 보다 훨씬 잘하시는 분들도 많으셔요. 감사합니다.~

  • @나나-g5j4s
    @나나-g5j4s 3 ปีที่แล้ว

    이해가 빠르게 현장감있는 가르침에
    감사드립니다.
    늘 건강하세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잘 봐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나나님도 내내 건강하시어요.

  • @alclee1004
    @alclee1004 3 ปีที่แล้ว +1

    알찬 영상정보 잘보았습니다
    블로그에 링크 공유 하겠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네~~ 감사합니다.

  • @hoon2tube
    @hoon2tube 3 ปีที่แล้ว +5

    제대로 된 건축완구...
    아...맘이 찡하네요
    이런거 건설협회나 건축사협회 등에서 나서야 되는거 아닙니까?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 그러게요.. ㅎ

  • @sgpark9689
    @sgpark9689 3 ปีที่แล้ว +1

    연구하는 자세. 존경스럽습니다. 얼지않는얕은기초...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별말씀을요..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zombiewing860
    @zombiewing860 3 ปีที่แล้ว +2

    와....왜 이걸 생각을 못했을까?????거기다 좌식 생활에 온돌 사용하는 한국이면 에너지효율도 좋아질거 같은데 진짜 머리가 트이는 느낌이네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hyeongsukim6835
    @hyeongsukim6835 3 ปีที่แล้ว +1

    프랭크라이트가 대단한 분이시네요. 근데 정광호님도 만만찮은 천재인듯~ 언제 울집 좀 지어주세유^^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 이제 시공을 안 하신다고 하셔서요.^^

  • @lch-d1s
    @lch-d1s 2 ปีที่แล้ว

    주먹구구식 보다
    과학적이니까
    더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탱큐 ~

  • @WonshikAlex
    @WonshikAlex 3 ปีที่แล้ว

    회장님 설계에 허가 반려 ㅋㅋㅋ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ㅎㅎ.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hyeonbaewoo5530
    @hyeonbaewoo5530 3 ปีที่แล้ว

    두분의 유쾌한 설명에 감사드리고 실무에 적용토록 노력하겠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잘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정현수-i1g5c
    @정현수-i1g5c 3 ปีที่แล้ว

    좋은 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언제나 열공하고 갑니다
    화이팅 ^^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언제나 좋게 잘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srv1024
    @srv1024 3 ปีที่แล้ว +8

    ㅋㅋㅋㅋ 어린이 건축완구가 없다라는 결론만 남았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ㅋㅋ 글게요..

  • @catndice
    @catndice 3 ปีที่แล้ว

    발상의 전환이네요. 땅을 열원으로 보고 건축물이 땅의 지열을 뺏는다는 관점으로 본거네요. 그래서 지열이 안빠져 나가게 하거나 지열의 통로를 단열재로 만드는 거네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네 맞습니다. 정확히 보셨어요.^^
      천재는 확실히 다른 것 같습니다.

  • @Kim-565
    @Kim-565 3 ปีที่แล้ว

    잘보았으니 좋아요 눌리고갑니당

  • @혀누스파
    @혀누스파 3 ปีที่แล้ว

    오늘 정말 중요한것을 배워갑니다.
    전 지금까지 동결심도가 기초를 얼지않게하기 위한거라 생각해서 단순히 기초테두리를 동결심도까지 내려봐야 노출된부분은 얼텐데 무슨 소용인가? 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영상을 보고 기초 밑 땅의 동결을 막기 위한거란걸 알게되니 아차! 하고 지식하나 더 쌓아서 갑니다.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u7gg8yz9m
    @user-hu7gg8yz9m 3 ปีที่แล้ว

    필로티건물에도 단열재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일깨워주셔서 감사합니다~^^

  • @또랑-j1s
    @또랑-j1s 3 ปีที่แล้ว +2

    영상 잘 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소품으로 설명하시니까~
    이해가 쏙쏙~
    조금더 바램은 아주 좋은 설명을 하셔도 전문가는 전문가의 말씀이라서~
    자막에 작은 그림과 같은 상세도가 같이 첨부해 주시면 저 같은 완전 초급자분들께 더 한층 학습이 잘 될 것 같습니다~고맙습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의견 감사합니다.
      최대한 노력해 보겠습니다.

  • @peorth95
    @peorth95 3 ปีที่แล้ว

    재미있게 봤습니다~ 설계하면서 지중열에 대한 고려는 안해봤었는데, 허허...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홍익-z9s
    @이홍익-z9s 3 ปีที่แล้ว

    현장에 젋은이들이 없는 이유가 묘하게 공감가네요 조기교육 ㅎㅎ

  • @kimdongwook850406
    @kimdongwook850406 3 ปีที่แล้ว

    관심이가는 내용이라 잘 봤습니다.

  • @藥師瑠璃光如來大醫王
    @藥師瑠璃光如來大醫王 ปีที่แล้ว

    Ez블럭사에서 화천엔가 만든 시범주택공사과정 글에 나온 사진보면,
    버림과 기초사이에 압출단열재20cm를 깔아넣은게, 기초밑에 단열재를 넣은 얼지않은 얕은 기초공사 방식인가 보네요. 😮

    • @phikonet343
      @phikonet343  ปีที่แล้ว +1

      네 그렇습니다^^

  • @kangkim3556
    @kangkim3556 3 ปีที่แล้ว +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단독주택의 경우 기초과정에서 라돈가스를 차단하는 필름을 사용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그에 관한 정보도 부탁드립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4

      영상에서 언급된 PE 필름도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용제품은 인장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만..
      만약 지하층이 없다면, 혹은 지하층이 거주 공간이 아니라면.. 우리나라 구조형식의 특성상 외부로 부터의 라돈유입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미국의 경우 1층 바닥이 주로 목구조이기에, 그런 전용제품이 일찍 발달을 한 편이라고 이해하시면 되실 것 같습니다.

  • @JAN_BEER
    @JAN_BEER 3 ปีที่แล้ว

    제가 짓고자 하는집의 기초가 잡석깔고 아이소핑크깔고 매트기초 이렇게 스케치 끝냈습니다.
    문제는 집 짓을 땅이 아직 없다는거~~^^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 저도 같습니다.^^

  • @Jongwon79
    @Jongwon79 2 ปีที่แล้ว

    대박 👍

  • @angcco71
    @angcco71 3 ปีที่แล้ว +1

    토목에서는 동상 방지 대책을 다음과 같이 배웁니다.
    - 배수구를 설치하여 지하수위를 저하시킨다.
    - 동결심도 상부의 흙을 비동결 흙으로 치환한다.
    - 모관수 상승방지를 위하여 지하수위 윗층에 차단막을 설치한다.
    - 지표의 흙을 화학처리하여 동결온도를 내린다.
    - 흙속에 단열재료(석탄재, 코우크스)를 넣는다.
    잡석층을 포설하신 방법은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신 것인데 이론과 실무와의 괴리가 좀 있긴 하네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확실히 지질 쪽은 토목분야가 잘 정리되어 있네요..^^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병준-v3d
    @오병준-v3d 3 ปีที่แล้ว

    09:31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 해당 시간 그림에서는 단열재를 기초밑에도 까는 것처럼 보이는데, 단열재로 주택무게를 견딜 수 있나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아래 영상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th-cam.com/video/A5c6rsooyfI/w-d-xo.html

  • @태지사샤
    @태지사샤 3 ปีที่แล้ว +2

    th-cam.com/video/sP1fdE-06oE/w-d-xo.html 설명해주셨던 얕은기초공법을 설명한 애니메이션 같습니다. 설명 들을때는 잘 이해가 안되었는데.. 이거 보니 이해가 좀 더 빨리 되네요. 그런데 저렇게 기초를 하면 그 위에 목골조는 가능해도 콘크리트조의 다층건물은 무게나 지진대비가 안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동영상 보면 마지막에 타설하고 휘니셔로 바닥정리 하던데.. 그건 목조라서 그런것 같고 철근조의 경우 철근이 벽체마다 나와야하는데 .. 철근조일때 설명된 동영상이나..자료 있을까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아.. 저도 찾고 있었는데.. 덕분에 쉽게 찾았습니다.
      해당 영상의 기초는 이 얕은 기초 방식에서 한 단계 더 고려된 방식입니다. 다다음 편에서 다룰 SOG 방식과 얕은 기초방식의 혼합 형식이거든요.
      다다음 영상을 보시면 좀 더 명확히 이해가 되실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목구조에 비해서 철근콘트리트 구조가 기계미장이 더 어렵기는 하나, 가능한 방식입니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개념은 동일하다고 보시면 되세요.

  • @kongsoutdoor
    @kongsoutdoor 2 ปีที่แล้ว

    대부분의 시공업체는 기본적인 전제조건....기초하부가 동결되면 안된다는 간과하고....
    기초두께 30Cm만 주장합니다.
    기초테두리단열 제대로 하는곳 별로 못봤네요....^^;
    현장에서 임의로 바꿀수 있는 부분은 아니고 건축사의 확인이 먼저 필요한 사안이라 봅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2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건축사에 의한 설계부터 수정되어 나와야 하는 사항입니다.^^

  • @user-loee7dk6rrt
    @user-loee7dk6rrt 3 ปีที่แล้ว

    신박하네효
    저장각 ~^♡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wootnu
    @wootnu 3 ปีที่แล้ว +1

    똑똑해지는 기분 헤헿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217gun2
    @217gun2 3 ปีที่แล้ว

    잘 봤습니다. 현실적인 솔루션을 제공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동결심도가 기초 아래 땅이 어는걸 막는 원리가 이해 되었어요~
    단열재를 기초 아랫부분과 옆부분을 감싸라는 말씀인가요? 단열재를 기초의 옆면만 싸라는 건가요? 그림하고 영상하고 달라서 여쭤요.
    옆쪽만 감싸면 될거 같은데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지역에 따라 달라서 그렇습니다.^^
      철원 지역 정도가 아니라면 측면만 대셔도 되세요..
      이게 시리즈물이라서요.. 지역에 따른 수직/수평단열재의 구체적인 치수도 다루어질 예정입니다.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217gun2
      @217gun2 3 ปีที่แล้ว

      @@phikonet343 답변 감사합니다. 질문 하고 생각 해보니 참 단순한 생각의 질문이었단 생각을 했습니다. 여러가지 고려 하셔서 찍으셨을건데... 간단히 질문 해서 불편 하셨을수도 있으셨겠다 싶어서요. 답변 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217gun2 에궁.. 별말씀을요..
      전혀 불편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어떻게 답변을 드려야 하나... 라고 고민을 했을 뿐입니다.^^
      앞으로도 잘 봐주셔요~~
      감사합니다.

    • @217gun2
      @217gun2 3 ปีที่แล้ว

      @@phikonet343 제가 감사하죠. 너무 좋은 정보 주시는데요!!! 덕분에 우리나라 주택 건축 시장이 한발 앞으로 내 딛습니다.

  • @나무꾼-x5i
    @나무꾼-x5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땅이 얼지 않는 제주도는 기초 옆에 단열재를 안 붙여도 되겠네요?

    • @phikonet343
      @phikonet34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동결의 측면에서는 그렇지만, 열손실 때문에 있어야 합니다.

  • @ksun-21
    @ksun-21 3 ปีที่แล้ว

    FPSF의 기초측면 단열재는 기초면에 부착이 쉽지 않은거 같습니다. 언급하신 미국의 참고자료에 그것도 나와 있는지 궁금하네요. 한국의 어느 업체를 보니 거푸집 설치때 미리 측면에 부착될 단열재 시공을 하고 타설을 하더군요. 단열재가 기초측면에 접하는 부분은 단열재 면에 가구식 짜맞춤홀 가공이 되어 있어서 기초와 결속이 확실히 되고..... 하지만 이런 시공도 피코네에서 금지하신 일체타설에 해당되는지 궁금합니다. 타설 양생후 측면 단열재 부착이 어려우니까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기초는 벽과는 다르게 채워짐이 어렵지 않으니까요.
      협회 회원사의 경우 대부분은 후부착을 선택하고 있는 편입니다.

  • @cglim1090
    @cglim1090 3 ปีที่แล้ว

    다세대 계획입니다. 지하1층 주차장과 1층 필로티 주차장 계획입니다. 이경우 지하주차장도 매트하부 및 측면 기초에 단열재 작용하면 되는걸까요? 물론 적절한 계산이 적용한다는 기준에서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지하 매트 하부는 단열을 하지 않으셔도 괜찮고, 지면의 기초 측면에만 하시면 되세요.
      이 시리즈를 몇 편 더 보시면 보다 명확해 지실 것 같습니다.^^

  • @mmmijuo5407
    @mmmijuo5407 3 ปีที่แล้ว

    와 건축 관심없엇는데 잼잇네용 ㅋㅋ 나중에 영상보니 기회된다면 자기집을 짓고싶어져요 :) 근데 동결심도 같은경우 지하실 1층정도 만들경우 깊게파니깐 상관없겠네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네^^ 맞습니다.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pilgu9974
    @pilgu9974 3 ปีที่แล้ว

    10:22 에서 말씀하신, 외국규정을 보려면 어디를 찾아봐야할까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12:35 에 나온 문서입니다. (해당 책의 표지입니다.)

    • @pilgu9974
      @pilgu9974 3 ปีที่แล้ว

      @@phikonet343 감사합니다. 바로 다운받았네요

    • @ksun-21
      @ksun-21 3 ปีที่แล้ว

      @@pilgu9974 혹시 어디서 다운을...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ksun-21 아래에 있습니다.^^
      www.huduser.gov/publications/pdf/fpsfguide.pdf

    • @ksun-21
      @ksun-21 3 ปีที่แล้ว

      @@phikonet343 감사합니다!

  • @ddachilee4971
    @ddachilee4971 3 ปีที่แล้ว +1

    기초 밑의 단열재 설치는 위험하지 않을까요? 단열이든 동결심도든 기초밑은 압축력이 집중되는 구간인데 단열재가 버티기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 @hoon2tube
      @hoon2tube 3 ปีที่แล้ว +1

      압출법단열재로 주택3층정도는 거뜬하다고 들었습니다 종류마다 압축강도가 다르니 잘 계산하면 됩니다
      저껀 신뢰성이 낮으니 피코네에서 한 말씀 좀^^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hoon2tube 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아래 영상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안그래도 다음 영상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th-cam.com/video/v1gjMrajyUw/w-d-xo.html

  • @임헌대-b1m
    @임헌대-b1m 3 ปีที่แล้ว

    바닦난방 하지 않는 기초는 바닦 하부에 단열재를 하는 수 밖에 없는거 같아요.

  • @이정일-w6q
    @이정일-w6q 3 ปีที่แล้ว

    동결심도 동의 합니다.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1. 우리나라도 이제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데 일본도 동일한 공법으로 공사가 진행 되나요? 진행된다면 내진은 어느 정도까지 커버가 되는건가요?
    2. 홍수시에 기초가 얕아서 집이 떠내려 가는 것을 방지가 가능 할까요?
    요즘 기후가 미친 것 같아서 고민이 많네요. 10년 후 일이지만 여러가지 생각이 많아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1. 내진은 구조설계 하기 나름입니다. 이 기초방식으로 인한 내진의 한계는 별도로 없습니다. 일본은 이 다음 다음 영상에서 소개할 SOG의 변형된 형태 또는 반층지하 방식 (크롤스페이스) 중의 하나로 하고 있다고 하는 논문을 본 적은 있습니다만, 지진보다는 동결심도와 관련된 설명 만 있었던 것으로 보아서.. 내진 (건물의 흔들림)에 대한 설계 개념은 우리나라와 같은 것 같습니다.
      2. 이 역시 얕은 기초와는 무관해 보입니다. 주로 냇가의 건물에서, 불어난 물이 기초 하부의 흙을 쓸고 내려가면서 기초 하부가 비어서 생기는 문제니까요.
      다만 자중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목구조의 경우, 부력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기초이 무게를 늘려 주는 조치는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 역시 설계시 건축사에게 해당 사항에 대한 요구를 하시면 되실 것 같습니다.

    • @이정일-w6q
      @이정일-w6q 3 ปีที่แล้ว

      @@phikonet343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집을 지르려는 곳이 살짝 상류 강가 지역이라 고민이 되네요. 지금 사는 곳도 그
      근처라.
      다시 한번 더 감사합니다!^^

    • @ddachilee4971
      @ddachilee4971 3 ปีที่แล้ว +1

      @@이정일-w6q 상류쪽이라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이정일-w6q 설계하실 때, 100년 강우량에 맞추어 달라고 하시면 되실 거여요.. 너무 걱정마시어요.

  • @태지사샤
    @태지사샤 3 ปีที่แล้ว

    그리고 정선생님.. 가능하시면.. 실 건축현장에서 얕은기초공법이 기존 공사대비 어느정도의 경비절감이나.. 시간등의 절감이 예상되는지 ..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없을까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네 알겠습니다. 기초 종합편에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 @박상규-c3c
    @박상규-c3c 3 ปีที่แล้ว

    기초옆면단열을 열교현상으로만 생각햇엇는데 동결심도와도 연결이 되는거군요. 나중에 집지을때 기초옆면단열을 할려고 햇는데 꼭 해야겟네요.
    얕은 기초라고 햇는데 어느정도가 되는건가요.?
    보통 일반개인주택을 지을때 띠기초를 60전정도 해주자나요.
    얕은 기초는 20전이나 30전장도 해주면 되는건가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기초의 하부면에 지면으로 부터 30cm 들어가면 되세요..

    • @박상규-c3c
      @박상규-c3c 3 ปีที่แล้ว

      @@phikonet343 감사합니다. 매번 좋은 영상에 감사합니다.많은 도움이 되네요

  • @user-loee7dk6rrt
    @user-loee7dk6rrt 3 ปีที่แล้ว +1

    ㅋㅋㅋㅋ ㅋㅋㅋㅋ쿠키영상 졸잼터짐 ㅋㅋㅋㅋ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ㅋㅋㅋ. 글죠 글죠.. ㅎ

  • @binnipark5399
    @binnipark5399 3 ปีที่แล้ว

    요즘 제가 열심히 찾고 있던 주제였는데 마침 다뤄주셨네요...
    그러면 이 경우 기초 주변 french drain 은 단열재 아래에 들어가게 되는건지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아닙니다. french drain 은 단열재 상부에 올라가게 됩니다. 즉 단열재 부터 바로 쇄석이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 @양성희-v8c
    @양성희-v8c 3 ปีที่แล้ว

    영상을 보면 얼지 않는 얕은 기초가 단가도 싸고 공기도 빠르고 상대적으로 친환경에, 콘크리트 사용량이 많이 줄어서 탄소 배출량도 줄어드는 등 장점 엄청나게 많은데 우리나라에서 아직 인정을 안 하는게 아쉽네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아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라기 보다는, 아직 보편화되려면 시간이 걸린다는 의미였습니다.
      지금도 건축사와 구조기술사가 합의만 되면 적용은 가능하긴 합니다.
      물론 영상에서 언급된 것 처럼 감리 또는 허가권자의 벽을 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결국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 @NEKOSTAY
    @NEKOSTAY 3 ปีที่แล้ว

    RC무선 굴착기 학원을 열어 조기교육을 시켜봅시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ㅎ.. 글게요.. RC 쪽 완구도 찾아 봐야 겠네요..

  • @NOSDO
    @NOSDO 3 ปีที่แล้ว

    공룡이 웬말이냐 !!!!

  • @acdsee1372
    @acdsee1372 ปีที่แล้ว

    스웨덴 러시아 이미 얼어있는 땅에 의미가 있을까?
    백번천번 다시 얘기하지만 서유럽이 선진국이 아니고 일본도 선진국이 아니다
    일본의 알미늄 창틀과 PVC수도관을 선진국 시공법이라고 사용한게 한국이다

    • @phikonet343
      @phikonet343  ปีที่แล้ว

      처음으로 동의를 할 만한 글을 적은 것 같다.

  • @zetpat6122
    @zetpat6122 3 ปีที่แล้ว

    북유럽이면 우리나라보다 추운 지역아닌가?

  • @LetItBe250
    @LetItBe250 3 ปีที่แล้ว

    오늘은 2등 ^^

  • @작은길-u3j
    @작은길-u3j 3 ปีที่แล้ว

    좋은 내용 잘 보고 있습니다. 짧은 시간에 거의 다 본것 같은데요. 유익한 내용중에 두분의 웃음소리가 너무 자주 크게 나오는듯 합니다. 편집할때 무음처리한 영상이 있던데, 그렇게 해주시는게 좋은 내용의 영상이 더 돋보일듯...생각이 드는군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아.... 수많은 분들의 의견을 모으기가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애정 어린 조언 감사드립니다.

    • @김영순-d8n
      @김영순-d8n 3 ปีที่แล้ว

      웃음소리 좋은 1인...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김영순-d8n ^^

  • @do-face-it
    @do-face-it 3 ปีที่แล้ว

    오늘은 1등

  • @미자-j1t
    @미자-j1t 3 ปีที่แล้ว

    제가 이해 못해서 어리석은 질문 하나만 다시 드립니다.

    • @미자-j1t
      @미자-j1t 3 ปีที่แล้ว

      기초 하부로 지하수가 나온다던지 하는 경우에도 해당 영상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똑같이 동결방지가 가능한 것인가요? 제 생각에는 기초 벽 대는 것 이상으로 기초 주변바닥으로 단열재를 연장해서 동결심도길이만큼 수평한길이로 단열재를 깔아주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 Design guide for frost-protected shallow foundations에도 기초 주변바닥으로 보강을 해주는 것 같구요.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네.. 맞습니다. 영상 후반에 수평단열재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 @미자-j1t
      @미자-j1t 3 ปีที่แล้ว

      @@phikonet343 제가 말씀을 제대로 안들은거네요^^ 답변감사합니다

    • @phikonet343
      @phikonet343  3 ปีที่แล้ว +1

      @@미자-j1t 별 말씀을요..
      지역의 동결지수에 따라서, 필요한 수직/수평 단열재 두께와 폭을 협회 차원에서 정리 중에 있습니다.
      아무래도 해외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어서요..
      올 해 말까지는 한국어 버전으로 발표될 예정이오니.. 그 때 보시고, 혹여 놓친 것이 있다면 다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