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0 ธ.ค. 2022
  • #갓구운클립 #알쓸인잡 #tvN
    we’re :DIGGLE family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2

  • @leehwan900
    @leehwan900 ปีที่แล้ว +87

    영혼에 좋은 음식 한끼 먹여준것같은 포만감의 대화입니다. 이런거 많이 올려주세요

    • @445nnam
      @445nnam ปีที่แล้ว +7

      말을 정말 멋지게 하시네요. 동감합니다..😊

    • @user-os1ig1hc3x
      @user-os1ig1hc3x ปีที่แล้ว +2

      알쓸인잡 꼭 보세요! 매주 영혼은 포식하게하게 될거에요ㅎㅎ 매주 기다려지는 몇 안 되는 프로그램입니다❤

  • @LeeLee-ts7ky
    @LeeLee-ts7ky ปีที่แล้ว +51

    이 프로 전체를 보진 않고, 이 영상만으로 판단하는 거지만..
    교수님이 말씀하실 때의 열정에 일말의 허영이나 현학이 느껴지지 않네요
    아는 것이 많아질수록 대화를 할 때 소피스트적인 화법을 쓰게 될텐데..
    정말 멋지십니다

  • @user-yr2mq7ef8i
    @user-yr2mq7ef8i ปีที่แล้ว +13

    알쓸 시리즈 너무너무 좋습니다.. 끝나버릴까봐 무서워요 ㅠ

  • @GEOGRAPHUS-SONG
    @GEOGRAPHUS-SONG ปีที่แล้ว +26

    재러드다이아몬드 선생님의 연구는...
    생리학자, 자연과학자의 눈으로...
    역사를 고찰하여...
    환경ㆍ공간과 인간의 관계가 어떤 결과를 만들었는지를 밝혀낸...
    생태지리학적 연구이지요.

  • @nicezic
    @nicezic ปีที่แล้ว +25

    와 좋은 얘기다.

  • @de3ygd4y85
    @de3ygd4y85 ปีที่แล้ว +13

    총, 균, 쇠 아직 끝까지 못읽고 있지만 읽어야할 책.

  • @aristoteleport
    @aristoteleport ปีที่แล้ว +13

    총균쇠 한마디 요약
    백인의유전자가우월하거나니들이잘나서가아니라그냥운좋게그지리에태어나서그런문명을이룰수잇던것뿐이니자만하지말아라.

  • @dipendedate9607
    @dipendedate9607 ปีที่แล้ว +3

    천문학자님이 마지막에 하신 말씀 너무 좋다…Ph.d 고대 그리스철학자들 처럼 철학안에 수학과 과학과 의학과 모든 잡학박사들인가…

  • @anfzjdxn
    @anfzjdxn ปีที่แล้ว +9

    내가 한국에서 제일 좋아하는 교수님! 김싱욱 교수님!
    그렇지만 책을 읽지는 안겠습니다
    교수님의 요약을 기다릴뿐 ❤

  • @user-vh8wp3yv6j
    @user-vh8wp3yv6j ปีที่แล้ว +6

    이 책이 화제인 건 알았지만, 읽을 생각은 못했는데 덕분에 읽어야겠습니다 좋은 책 소개 감사합니다.

  • @user-my3wd8il8s
    @user-my3wd8il8s ปีที่แล้ว +3

    인정.

  • @mother7925
    @mother7925 ปีที่แล้ว +2

    인연법이지요
    씨뿌려진곳에
    꽃이피듯
    그저 흐르는대로 가보아요

  • @maagnolia79
    @maagnolia79 ปีที่แล้ว +2

    저도 총균쇠 좋아하지만 다 못 읽었다는

  • @user-hee76
    @user-hee76 ปีที่แล้ว +6

    천문학자님이 말했던 것처럼 현재 오늘날에 닥터들에게 'ph D'라는 말대신 하나에 전문가가 맞지 않을까요!!

  • @user-sm5vd6ci2x
    @user-sm5vd6ci2x ปีที่แล้ว +2

    염응지 재결합 가자아 #@# 꿈은 이뤄진다 !!

  • @minikim-xh3jy
    @minikim-xh3jy ปีที่แล้ว +18

    총균쇠 끝까지 읽은 사람
    저기에 김상욱교수 뿐인듯

  • @Wpdomtzi
    @Wpdomtzi ปีที่แล้ว +1

    2:19

  • @user-bl4nc4fg5g
    @user-bl4nc4fg5g ปีที่แล้ว +4

    철학자는 종합적인 인간이기 때문에 철학자 자체가 선이 없는 인간이죠.

  •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총균쇠의 쇠를 쇠뇌라고 생각 본질을 흐르는 쇠의 쓰임새가 세상을 지금에 있게함 우리는 자연철학에 좀더 쇠뇌되었어야 합니다.
    다툼없는 자연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지성인으로 최고의 삶을 영위할수 있습니다.
    왜사는지 왜 살려하는지 우리는 좀더 심도깊은 시유가 필요합니다.

  • @user-qi9kf4me4o
    @user-qi9kf4me4o ปีที่แล้ว +2

    우연은 없다.

  • @chae730
    @chae730 ปีที่แล้ว +1

    Ph.d= doctor of philosophy 란 뜻 이란걸 오늘 알았네요.
    와 그렇다면 결국 = love of wisdom??.
    아 몰랑 피곤해 😫 질
    라함

  • @leokim2795
    @leokim2795 ปีที่แล้ว +11

    말을 되게 골지어스하게 하신다

  • @sidgau904
    @sidgau904 ปีที่แล้ว +2

    문명은 자유갈망의 결과물?

  • @exo10anniversary5
    @exo10anniversary5 ปีที่แล้ว +2

    재미는 없지만 의미 있는 책

  • @l.a.886
    @l.a.886 ปีที่แล้ว +7

    무식한놈들 데리고 하는 프로보다 낫네

  • @dyw5103
    @dyw5103 ปีที่แล้ว +2

    그렇다면 같은 구대륙 같은 위도에 위치한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것은 역설적으로 열등했기 때문인가

    • @exo10anniversary5
      @exo10anniversary5 ปีที่แล้ว +3

      한국만 일본의 식민지였냐. 동남아전체가 식민지였는데? 중국도 포함

    • @info_biz828
      @info_biz82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응? 이게 무슨 말? 일본이 먼저 개화에 성공한 것도 운이 좋아서였고, 조선이 일제의 식민지가 된 건 운이 나빠서였어.. 일본인이 우월해서가 아닌데?

  • @user-wp5ss2xf5m
    @user-wp5ss2xf5m ปีที่แล้ว +7

    왜 김상욱 교수만 말을하는가...

    • @MrJeong
      @MrJeong ปีที่แล้ว +36

      김상욱 교수님 이야기 차례에요😂

    • @user-wv1vh2rh9t
      @user-wv1vh2rh9t ปีที่แล้ว +51

      왜 저 프로그램의 내용을 모르고 댓글을 다는가...

    • @Archi1208
      @Archi1208 ปีที่แล้ว

      @@user-wv1vh2rh9t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exo10anniversary5
      @exo10anniversary5 ปีที่แล้ว +1

      @@user-wv1vh2rh9t 저 책 안읽은 사람있냐

  • @HeungMinSon_7
    @HeungMinSon_7 ปีที่แล้ว +1

    다 좋은데 왜 지식인들 사이에 딴따라가 하나 끼어있냐?

  • @Pars_
    @Pars_ ปีที่แล้ว +1

    이 프로 전체를 보진 않고, 이 영상만으로 판단하는 거지만..
    교수님이 말씀하실 때의 열정에 일말의 허영이나 현학이 느껴지지 않네요
    아는 것이 많아질수록 대화를 할 때 소피스트적인 화법을 쓰게 될텐데..
    정말 멋지십니다

  • @Pars_
    @Pars_ ปีที่แล้ว +1

    영혼에 좋은 음식 한끼 먹여준것같은 포만감의 대화입니다. 이런거 많이 올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