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부트로 만든 백엔드 서버 처음으로 AWS EC2 에 배포해보기!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4

  • @미황-t1d
    @미황-t1d ปีที่แล้ว +1

    구독하고 갑니다. 현재 국비과정으로 개발자과정 배우는중인데 잘 듣고 갑니다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앞으로도 도움되는 영상 만들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조준근-b9h
    @조준근-b9h ปีที่แล้ว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댓글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만들어보겠습니다. 필요한 배포 정보가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

    • @조준근-b9h
      @조준근-b9h ปีที่แล้ว

      앗 저그럼 질문 한번드려도 괜찮을까요?!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네 남겨주세요!

    • @조준근-b9h
      @조준근-b9h ปีที่แล้ว

      @@kookish2935 지금 국비 프로젝트 중에 intelliJ 하나에 리액트랑 스프링뷰트 작업중인데 도커컴포즈가 도저히 안되더라구요ㅠㅠ 방법이있을까요??..두개를 한번에 올리고싶어서요ㅠㅠ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조준근-b9h 인텔리제이는 그냥 에디터라 배포와는 상관이 없구요. 다른 문제인 듯 합니다..

  • @J-h4k
    @J-h4k ปีที่แล้ว

    윈도우로 할 경우 sudo: yum: command not found이 뜨는데 어떡하나요?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yum 은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설치 도구입니다. 윈도우에서 원하시는 것을 설치하는 도구를 따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windows cmd docker download 등으로 검색하셔서 찾으시면 됩니다.

    • @J-h4k
      @J-h4k ปีที่แล้ว

      @@kookish2935 연결이 되었다가 다시 하려니까 갑자 기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이런게 떠서 nginx도 설치하고 그랬는데 안되는데 갑자기 안되는 이유를 알 수 있을 까요?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J-h4k 보안문제(어떤 포트, ip 로 들어올 수 있는지) 일 경우가 높습니다. 현재 접속하는 ip & port 의 허용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 @조해성조해성
    @조해성조해성 ปีที่แล้ว

    정리를 잘 해주셨네요!슬슬 AWS로 배포해보려고 docker, AWS, linux 열심히 공부중이었는데 덕분에 도움 많이 됐습니다. 유익한 자료 고맙습니다.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댓글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만들어보겠습니다. 필요한 배포 정보가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

  • @공룡이네-n5k
    @공룡이네-n5k ปีที่แล้ว

    리액트,레디스,스프링부트,mysql,젠킨스 이렇게 배포하는데 비용이 발생될까요?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1

      ec2 프리티어로 제공되는 볼륨(30G) 내에 모두 설치가 되는지, 또한 제공되는 무료 사용시간으로 충분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aws.amazon.com/ko/free/?all-free-tier.sort-by=item.additionalFields.SortRank&all-free-tier.sort-order=asc&awsf.Free%20Tier%20Types=*all&awsf.Free%20Tier%20Categories=*all

    • @공룡이네-n5k
      @공룡이네-n5k ปีที่แล้ว

      @@kookish2935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jewoo_
    @jewoo_ ปีที่แล้ว +2

    음... 많은 분들이 이렇게 하시던데
    도커의 장점이 환경 구축에 있는데 EC2에 깃 받고 도커받고 깃 클론한것을 또 빌드후 이미지화 해서 컨테이너 띄울바에 애초에 gradle로 빌드해 나온 jar를 도커없이 구동하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로컬에서 개발 후 도커 빌드로 나온 이미지를 푸시하고 EC2에서는 도커만 다운된 상태에서 이미지만 컨테이너에서 구동시키는게 낫지 않나요?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2

      늦게 읽었네요. 말씀해주신 것처럼, 이미지를 허브로 푸시하고, EC2 에서 그대로 받아서 구동시키는게 git clone 코드들을 남기지 않고 더 깔끔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다만 배포 내용을 최대한 단순하고 쉽게 구성하고자, 이렇게 올리게 되었습니다.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해당 부분도 다음에 보완해서 영상 제작해보겠습니다.

  • @SANGYOUN-b1v
    @SANGYOUN-b1v ปีที่แล้ว

    딱 찾고있던건데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혹시 yml 파일을 git에 푸쉬되면 mysql username이랑 password가 다 노출되는데 이건 나중에 보안상 상관이 없을까요?

    • @kookish2935
      @kookish2935  ปีที่แล้ว +1

      제 생각엔, 로컬에서 할땐 상관이 없지만 도메인에 배포시에 데이터베이스(mysql) 정보가 노출되면 문제가 있을 것 같습니다.
      1) gitignore 에 추가하여 git 에 올리지 않도록 설정
      2) submodule 개념 - 다른 private 리포지토리에 민감정보 올려놓아서 연결 (ailiartsua.tistory.com/27 참고하세요 )
      등의 방법이 있을 것 같아요. 다른 방법을 찾게 된다면 영상으로 제작해보겠습니다.

    • @SANGYOUN-b1v
      @SANGYOUN-b1v ปีที่แล้ว

      @@kookish2935 네 감사합니다~ 참고 하겠습니다~

  • @J-h4k
    @J-h4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b 퍼블릭 주소로 했는데 안됩니다

  • @bowrain7880
    @bowrain788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박지성인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