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코드
쉬운코드
  • 119
  • 1 015 490

วีดีโอ

byte-stream protocol vs message-oriented protocol
มุมมอง 2K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CP는 byte-stream protocol이라고 합니다. 반면 UDP는 message-oriented protocol이라고 하죠. 이번 영상에서는 이 두 개의 프로토콜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봅니다. 설명 중간에는 TCP segment의 개념도 간단하게 설명하니 참고 부탁드려요~ 00:00 인트로 00:32 message-oriented protocol 설명 (by UDP) 05:00 byte-stream protocol 설명 (by TCP) 13:25 byte-stream protocol은 reliable한가? 14:15 max UDP size 보다 큰 메시지를 전송하려고 한다면? 14:34 MSS 보다 큰 메시지를 전송하려고 한다면? 14:54 byte-stream protocol 사용 시 메...
다른 예제로 소켓 식별 방식을 설명합니다. segment datagram packet frame payload multiplexing demultiplexing 개념도 설명합니다.
มุมมอง 2.3K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번 영상은 TCP/IP 스택 기반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예제를 통해 설명합니다. 특히 출발지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목적지 어플리케이션까지 어떻게 도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떻게 목적한 애플리케이션의 소켓으로 정확히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지, 그 흐름을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또한 이 영상에서는 아래 개념들을 설명합니다. - segment - datagram - packet - frame - payload -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00:00 인트로 00:15 TCP/IP stack 기준으로 설명할 예정 00:53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 전송 과정 설명 시작 01:21 application layer와 여기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มุมมอง 2.6K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쉬운코드가 돌아왔습니다! 그동안 왜 영상을 올리지 못했는지, 앞으로는 어떻게 채널을 운영할지 말씀드릴게요.
🔸중요 공지!! 많은 고민 끝에 다시 현업으로 복귀하게 됐습니다
มุมมอง 12Kปีที่แล้ว
#쉬운코드 #현업복귀 왜 현업으로 복귀하게 됐는지 말씀드리고 앞으로 채널은 어떻게 되는지를 설명드리는 영상입니다
[2부-실제편] 표준과 일부 다르게 동작하는 소켓(Socket), 포트(Port)의 실제 개념을 소개합니다! 특히 소켓 식별 방식을 유심히 봐주세요!
มุมมอง 11Kปีที่แล้ว
#socket #programming #네트워크 #쉬운코드 #백발백중 1부 영상에서는 프로토콜 표준에서 정의된 소켓(socket)과 포트(port), TCP 커넥션(connection)의 개념을 살펴봤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이 표준대로 100% 일치하게 구현되고 또 동작하지 않습니다 그럼 어떤 부분이 다를까요? 표준과 실제 동작 사이에서 가장 큰 차이는 소켓을 식별하는 방법인데요, 이번 영상에서는 실제 구현/동작 관점에서 소켓의 개념과 소켓이 어떻게 식별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영상까지 보셔야 소켓 개념을 헷갈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00:00 오프닝 00:20 TCP/IP stack을 시스템 관점에서 본다면 01:19 실제로 시스템이 동작하는 관점에서 소켓이란? 04:55 실제 구현/동...
[1부 - 이론편] 프로토콜 표준 스펙에서 정의한 Socket(소켓), Port(포트), TCP connection 개념 설명. 실제와는 조금 다름. 실제 개념은 2부에서 설명.
มุมมอง 20Kปีที่แล้ว
#socket #port #TCPconnection #UDP #네트워크 #쉬운코드 #백발백중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하기 위해서는 소켓과 포트, TCP 커넥션(connection)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개념들은 기본적으로 TCP 표준 문서(RFC 793)에서 정의되어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 1부 영상에서는 프로토콜 표준 스펙에서 이들 개념들을 어떻게 정의했는지 살펴보고요, 2부 영상에서는 이 표준을 현실 세계에 적용하면서 개념적으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부와 2부를 모두 보셔야 정확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00:00 오프닝 00:12 두 모델 : OSI 7 layer vs TCP/IP stack 01:57 소켓 & 포트는 TCP/IP stack으...
웹이라 불리는 World Wide Web의 개념과 발명 과정을 소개합니다👍 이걸 알면 웹과 인터넷, 웹과 http는 각각이 어떤 관계인지도 이해하게 됩니다~!
มุมมอง 8Kปีที่แล้ว
#WWW #웹 #네트워크 #쉬운코드 #백발백중 http에 대해서 이해를 하려면 웹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웹과 http는 그 탄생 배경이 동일하기 때문이죠~! 오늘은 흔히 웹이라고 불리는 world wide web이 어떻게 태어나게 됐는지를 아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00:00 오프닝 00:15 World Wide Web(줄여서 Web)이란? 01:00 Tim Berners-Lee(TimBL) 소개 01:37 CERN 소개 02:28 CERN의 연구 환경 특징 04:04 CERN에 있던 시스템의 특징 : 계층 구조 05:09 TimBL의 문제 인식 07:04 Enquire 개발 (1980) 08:53 CERN 다시 합류 (1984) 09:33 Enquire 재사용, 그리고 한계점.. 1...
[입문용] 프로토콜과 OSI 7 layer 설명! 네트워크의 기능들이 어떻게 구조화 돼서 동작하는지를 설명합니다! 👍
มุมมอง 27Kปีที่แล้ว
#프로토콜 #OSI모델 #네트워크 #쉬운코드 #백발백중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프로토콜은 기능에 따라 여러 계층으로 분리가 돼서 동작을 하죠 이번 영상에서는 프로토콜의 개념과 OSI 모델(OSI 7 layer)를 살펴보게 됩니다 이 영상을 보시면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에 따라 어떻게 통신이 일어나는지 전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될 거예요 :) 00:00 오프닝 00:11 네트워크 개념 00:23 네트워크 기능 00:56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것은? 02:02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란? 02:20 네트워크 기능의 모듈화 필요성 03:20 어떻게 모듈화 하지? 04:44 네트워크 계층 구조(layered architecture) 05:26 OSI 7 layer 0...
[입문용] 네트워크와 인터넷 개념 설명! 인터넷 동작 방식도 설명! ISP도 설명! 전체 큰 그림을 그리기에 딱 좋은 영상이죠 👍
มุมมอง 29Kปีที่แล้ว
#네트워크 #인터넷 #쉬운코드 #백발백중 네트워크와 인터넷은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요? 인터넷을 통해 어떻게 다른 곳에 있는 컴퓨터와 통신을 할 수 있는 걸까요? 이번 영상은 네트워크를 깊이 다루기 전에 전체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입문 영상입니다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고 영혼을 갈아 넣었습니다 유익하게 봐주세요 :) 00:00 오프닝 00:12 홈 네트워크 (IP 주소, 모뎀, 공유기, 스위치) 05:07 네트워크란? 05:32 LAN (local area network) 06:39 WAN (wide area network) 08:38 인터넷 09:51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12:32 tier 1 ISP 15:11 tier 2 ISP 16:11 tier 3...
(3부) B tree가 왜 DB 인덱스(index)로 사용되는지를 설명합니다
มุมมอง 9Kปีที่แล้ว
#btree #DB #index #쉬운코드 #백발백중 B tree 외에도 AVL tree도 있고 red-black tree도 있는데, 왜 B tree 계열의 자료 구조가 DB index로 사용되는 걸까요? 오늘은 그 얘기를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고고씽! 00:00 오프닝 00:15 B tree 계열의 시간 복잡도 01:59 self-balancing BST 시간 복잡도 03:21 둘 다 시간 복잡도가 동일한데 왜.. 03:37 컴퓨터 시스템 간략 리뷰 06:51 2ndary storage 특징1 : 속도 08:14 2ndary storage 특징2 : 용량 08:31 2ndary storage 특징3 : 읽고 쓰는 단위 10:24 DB 관점에서 지금까지 내용 정리 13:24 인덱스로 성능 ...
(2부) B tree 데이터 삭제 동작 방식을 설명합니다 (DB 인덱스과 관련있는 자료 구조)
มุมมอง 12K2 ปีที่แล้ว
(2부) B tree 데이터 삭제 동작 방식을 설명합니다 (DB 인덱스과 관련있는 자료 구조)
(1부) B tree의 개념과 특징, 데이터 삽입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합니다! (DB 인덱스과 관련있는 자료 구조)
มุมมอง 25K2 ปีที่แล้ว
(1부) B tree의 개념과 특징, 데이터 삽입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합니다! (DB 인덱스과 관련있는 자료 구조)
멤버십을 시작합니다 (유료 강의를 하지 않은 이유)
มุมมอง 4K2 ปีที่แล้ว
멤버십을 시작합니다 (유료 강의를 하지 않은 이유)
NoSQL 설명!! RDB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설명!! MongoDB, Redis 매우 간단한 예제 포함!!
มุมมอง 19K2 ปีที่แล้ว
NoSQL 설명!! RDB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설명!! MongoDB, Redis 매우 간단한 예제 포함!!
백엔드 전문 채널 쉬운코드 2022년 회고
มุมมอง 8052 ปีที่แล้ว
백엔드 전문 채널 쉬운코드 2022년 회고
[3부] 23년 새해 Q&A!! // 쉬운코드 인프런 강의 다 샀어요 / 쉬운코드 개발장비 소개 / 백엔드가 신경 써야 하는 보안 강의 / 개발자는 왜 40대 이후로 치킨집?
มุมมอง 1.3K2 ปีที่แล้ว
[3부] 23년 새해 Q&A!! // 쉬운코드 인프런 강의 다 샀어요 / 쉬운코드 개발장비 소개 / 백엔드가 신경 써야 하는 보안 강의 / 개발자는 왜 40대 이후로 치킨집?
[2부] 23년 새해 Q&A!! // 네트워크 강의 / 공부 자료 어떻게 찾고 학습하는지 / 취준생 독학 기간 길어지면 괜찮을지 / 강의 잘 보고 있어요 / 파이썬 중급 책 추천
มุมมอง 1.1K2 ปีที่แล้ว
[2부] 23년 새해 Q&A!! // 네트워크 강의 / 공부 자료 어떻게 찾고 학습하는지 / 취준생 독학 기간 길어지면 괜찮을지 / 강의 잘 보고 있어요 / 파이썬 중급 책 추천
[1부] 23년 새해 Q&A!! // 강의 경험 / 챗GPT / 최고를 향한 노력 / 당황스러웠던 백엔드 신입 개발자 기술 면접 / 대규모 트래픽 관련 강의
มุมมอง 1.5K2 ปีที่แล้ว
[1부] 23년 새해 Q&A!! // 강의 경험 / 챗GPT / 최고를 향한 노력 / 당황스러웠던 백엔드 신입 개발자 기술 면접 / 대규모 트래픽 관련 강의
어떻게 전공을 컴공으로 바꾸게 됐나
มุมมอง 1.9K2 ปีที่แล้ว
어떻게 전공을 컴공으로 바꾸게 됐나
DBCP (DB connection pool)의 개념부터 설정 방법까지! hikariCP와 MySQL을 예제로 설명합니다! 이거 잘 모르면 힘들..
มุมมอง 12K2 ปีที่แล้ว
DBCP (DB connection pool)의 개념부터 설정 방법까지! hikariCP와 MySQL을 예제로 설명합니다! 이거 잘 모르면 힘들..
[DB] 파티셔닝? 샤딩? 레플리케이션? (partitioning? sharding? replication?)
มุมมอง 10K2 ปีที่แล้ว
[DB] 파티셔닝? 샤딩? 레플리케이션? (partitioning? sharding? replication?)
IT 회사 면접 마지막에 궁금한 것 있으면 물어보라는 질문을 저는 어떻게 활용했냐면요
มุมมอง 4.4K2 ปีที่แล้ว
IT 회사 면접 마지막에 궁금한 것 있으면 물어보라는 질문을 저는 어떻게 활용했냐면요
채널 운영과 관련해서 두 가지 사과드리고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มุมมอง 2.5K2 ปีที่แล้ว
채널 운영과 관련해서 두 가지 사과드리고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DB 인덱스(DB index) !! 핵심만 모아서 설명합니다 !! (31분이 아깝지 않을 겁니다)
มุมมอง 31K2 ปีที่แล้ว
DB 인덱스(DB index) !! 핵심만 모아서 설명합니다 !! (31분이 아깝지 않을 겁니다)
TwoSum 문제를 풀면서 배우는 내가 짠 코드의 성능을 개선하는 과정!! (feat. 코딩 테스트)
มุมมอง 2.8K2 ปีที่แล้ว
TwoSum 문제를 풀면서 배우는 내가 짠 코드의 성능을 개선하는 과정!! (feat. 코딩 테스트)
기술 면접에서 시간 복잡도를 물어보는 이유 & 매우 간단한 시간복잡도 문제 소개
มุมมอง 4.1K2 ปีที่แล้ว
기술 면접에서 시간 복잡도를 물어보는 이유 & 매우 간단한 시간복잡도 문제 소개
(2부) DB 정규화(normalization) 2부입니다!! 3NF, BCNF와 2NF 참고 사항, 역정규화(denormalization)까지 설명합니다!!
มุมมอง 11K2 ปีที่แล้ว
(2부) DB 정규화(normalization) 2부입니다!! 3NF, BCNF와 2NF 참고 사항, 역정규화(denormalization)까지 설명합니다!!
(1부) DB 정규화(normalization)는 DB를 설계하는 공식적인 방법이죠~ 1부에서는 정규화 개념과 정규화 과정의 앞 부분인 1NF, 2NF를 설명합니다 :)
มุมมอง 20K2 ปีที่แล้ว
(1부) DB 정규화(normalization)는 DB를 설계하는 공식적인 방법이죠~ 1부에서는 정규화 개념과 정규화 과정의 앞 부분인 1NF, 2NF를 설명합니다 :)
DB에서 functional dependency(FD : 함수 종속)을 설명합니다! 고고씽!!
มุมมอง 8K2 ปีที่แล้ว
DB에서 functional dependency(FD : 함수 종속)을 설명합니다! 고고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