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인
찬인
  • 2
  • 52 335
원덕스님 참선법(화두 드는 법)
원덕스님 참선법(화두 드는 법)
มุมมอง: 5 235

วีดีโอ

공(空)이란 무엇인가?(공의 진실)
มุมมอง 47Kปีที่แล้ว
원덕스님의 空사상 법문(포천 법왕사)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user-js4iz6gr2q
    @user-js4iz6gr2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user-fy9th2js1h
    @user-fy9th2js1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나무지장보살 나무미륵보살 나무비로자나불 옴기리기리 바아라 불반다 훔바탁~극락왕생

  • @jwk5979
    @jwk597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부처는 cctv 저자입니다

  • @user-pg6kx4vm7t
    @user-pg6kx4vm7t ปีที่แล้ว

    스님 감사합니다.늘 강건하시옵고 멀리대구 서 스님설법 듣고 있습니다.

  • @gongchotv4870
    @gongchotv4870 ปีที่แล้ว

    스님, 이렇게 뵙게되어 반갑습니다. 법왕사가 그립습니다. 저는 지금 경북 김천에 내려와 있어요 늘 건강하세요 🙏🙏🙏🙏🙏

  • @gongchotv4870
    @gongchotv4870 ปีที่แล้ว

    스님. 이렇게 뵙게되어 반갑습니다. 법왕사가 그립습니다. 전 지금 경북 김천에 내려와 있어요. 늘 건강하세요 🙏🙏🙏🙏🙏

  • @hyunchulha3493
    @hyunchulha3493 ปีที่แล้ว

    원덕스님은 깨달았읍니까~ ? 아니면 오랬동안 절에 계시다보니 뭔가를 해야겠다는 ~생각 때문입니까? 전달하는 것입니까 터득하시고 깨우쳐주려고 " 하십니까 ? 이것이 저것이 ~양자역학 말씀하시네~ ~ 부처님께서 하신 말씀 이 시지요`

  • @tv-zm1om
    @tv-zm1om ปีที่แล้ว

    참선은 많은시간 쪼그리고 앉아서 간절히 의심해야한다고요???~앉는것은 화장실에서 볼일보며 앉는시간이면 충분합니다~대신 안목을 밝힌 선지식의 법문을 지극하게 들어야 시간낭비 하지 않고 육신이 병들지 않습니다~명심 하셔야합니다~

    • @MultiRockingman
      @MultiRockingman ปีที่แล้ว

      오만방자하군여

    • @tv-zm1om
      @tv-zm1om ปีที่แล้ว

      @@MultiRockingman 그대가 옳타꼬 생각하마 고래 수행많이하소~상대하고 싶지않지만 한번 씨부리 보오~

    • @MultiRockingman
      @MultiRockingman ปีที่แล้ว

      @@tv-zm1om 아가리 닥치시오

  • @mknoh6164
    @mknoh6164 ปีที่แล้ว

    🗣...😷..👣

  • @user-rp4jj6xg1h
    @user-rp4jj6xg1h ปีที่แล้ว

    스님 법문을 그곳에서 듣는 불자들은 질문이 나올수가 없지요ㅡ 모두들 기복불교만 해온불자들이 어찌 질문이 있겟나요? ㅡ 스님들에게 그책임이 있다고봅니다ㅡ모든 불자들에게 기복 ㆍ기도ㆍ 보시만 강요하는 종교에 현실 ㅡ 불교 ㆍ교회등 종교인들은 처절이 반성해야됩니다!

  • @user-rp4jj6xg1h
    @user-rp4jj6xg1h ปีที่แล้ว

    간혹 조계종에서 법을 설하시는 스님을 보니 조금은 위안이 조금은 됩니다ㅡ 중간에 간혹 견해가 다름이 있어도 전체적으론 좋은법문입니다ㅡ 앞으로 올바른 선지식을 만나 법을더욱 완성하시길 바랍니다

  • @user-pc9nq3my9h
    @user-pc9nq3my9h ปีที่แล้ว

    空 이로세 ~~, 空이 관광나왔네~~

  • @user-il8br6dz5s
    @user-il8br6dz5s ปีที่แล้ว

    깨우침의 법문 잘 듣고 갑니다~

  • @user-pe7sz9ek5u
    @user-pe7sz9ek5u ปีที่แล้ว

    예라이~

  • @user-lp1bx2kx6s
    @user-lp1bx2kx6s ปีที่แล้ว

    한숨

  • @user-rc2ji6vo5v
    @user-rc2ji6vo5v ปีที่แล้ว

    스님🙏🙏🙏 법문을 듣고,또 듣고.. 지금 4번째 듣습니다 . 신심에 또한번 큰 힘이 실립니다🙏🙏🙏

  • @user-kt2xf2cv4p
    @user-kt2xf2cv4p ปีที่แล้ว

    무얼 알겠는가 인간이 좀 안다 카지마라 제발

  • @user-lp1bx2kx6s
    @user-lp1bx2kx6s ปีที่แล้ว

    땡중새끼가 뭐가 어쩌고 저ㅉㅐ 말 할줄 안다고 다 인간이 아니다

  • @user-hk8de7ky3y
    @user-hk8de7ky3y ปีที่แล้ว

    이런 땡중들이 한자리씩 차지하고 있으니 불교의 발전이 없지 ㅉㅉ

  • @user-oz2uf9me2q
    @user-oz2uf9me2q ปีที่แล้ว

    空이란 곧 에너지를 가르킨다고 생각합니다.

  • @silver3.065
    @silver3.065 ปีที่แล้ว

    <공>에 대해 왜 그리도 횡설수설에 요설만 늘어놓는고! 그러며 <공>은 어렵다고 그러나, 나는 <공>을 알고 있다고 거들먹거리는고? <공>은 쉽다. 그러나 수시로 때때로 몰록몰록 <공>을 망각해버린다는 게 문제지. 제행무상의 무상이 곧 공이요, 제법무아의 무아가 곧 공이요, 일체개고의 개고가 곧 공이다. 고타마 싯달타 세존께서는 삼법인을 설하셨는 바, 그것은 곧 <공>을 설하신 것이다. <공>은 우리 일상생활 속에 널려 있다. <공>은 우리 신체 속에도 널려 있다. 간단히 예 하나를 들어주겠다. 인간의 살아있는 신체는 무상, 즉 <공>을 이루지 못하면 죽고 만다. 날마다 먹는 음식.. 그게 몸 속으로 들어가 그대로 가만히 있다면(상)? 위장 속에 그대로 머물러 있다면(상)?.. 그 사람은 죽고 만다. 그래서 위를 비롯한 장기들이 몸 속으로 둘어온 음식을 부지런히 바수고.. 녹인다.. (무상). (위에 음식이 가득한 채 그대로 있다면 어찌 되겠나?) 위는 공복 즉 공을 이루기 위해 부지런히 움직인다. 위에서의 소화과정 하나에도 거룩한 <공의 진리>가 깃들어 있는 것이다!! 이렇듯 <공>은 쉽다. 문제는 이 공의 원리를 몰록몰록 망각한다는 것!! 중들아, 실제적이고 실재적으로 <공>을 설명해 보라, 제발!!

  • @user-wd4df6ji6x
    @user-wd4df6ji6x ปีที่แล้ว

    삼라만상이 서로 연기 하면서 변해가는것이 세계 입니다

  • @user-eo8uu8ot5s
    @user-eo8uu8ot5s ปีที่แล้ว

    공? 우리마음이 공. 보이지 않지만 작용은 하는

  • @user-zs5db8rc9d
    @user-zs5db8rc9d ปีที่แล้ว

    이렇게 지식으로 접근하면 공은 절대로 체득할 수 없습니다.

  • @user-cm7wu2wk2w
    @user-cm7wu2wk2w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 조계종이 공을 예기하나! 🐕 가 똥을 말하지!

  • @user-mq1fo6ky4h
    @user-mq1fo6ky4h ปีที่แล้ว

    스님 훌륭한 법문입니다 잘 들었습니다

  • @user-cz1pf8ot8j
    @user-cz1pf8ot8j ปีที่แล้ว

    공 =(불이)중도= (중중무진)연기=진여자성...색즉시공 공즉시색 색과공이 다르지 않다.

  • @user-zl1ez3op8p
    @user-zl1ez3op8p ปีที่แล้ว

    스님 반갑습니다.

  • @user-zl1ez3op8p
    @user-zl1ez3op8p ปีที่แล้ว

    스님 정말로 법왕사법당에서 기도하고 싶네요.

  • @user-xw6dm8cv6s
    @user-xw6dm8cv6s ปีที่แล้ว

    나는 거사로....이야기 하자면 공부를 마치고 선정이 돼야만이 가능한 소린데 .....좀 아쉬운 소리네요 다시 수행해서 본인이 경험한 부처를 이야기 하면 바로 공도리가 되지요

  • @user-zl1ez3op8p
    @user-zl1ez3op8p ปีที่แล้ว

    스님? 연못속의 금붕어 한마리 겨울 잘 지내고있죠?

  • @user-zl1ez3op8p
    @user-zl1ez3op8p ปีที่แล้ว

    법왕사. 참 아름다운 사찰이지요.

  • @user-zl1ez3op8p
    @user-zl1ez3op8p ปีที่แล้ว

    원덕스님. 오랫만 입니다.

  • @gosimmugaaemugaaegomuugongpo
    @gosimmugaaemugaaegomuugongpo ปีที่แล้ว

    _()_

  • @user-kk6fb4ej1t
    @user-kk6fb4ej1t ปีที่แล้ว

    공 없으면 니들 머먹구 살래? 돈벌게 아무리없어도 그릏지 공을 파냐?ㅋ

  • @user-og2ei7wq8q
    @user-og2ei7wq8q ปีที่แล้ว

    공이란 그저 그것을 그대로 인 것을 말하고 공을 다스리거나 소유하면 번뇌가 시작되고 공을 공으로 대하면 해탈이다. 제~ 생각.

  • @wisfree
    @wisfree ปีที่แล้ว

    공이란 비었다는 뜻 이아니며 편의상 명칭 입니다 자연의기운이며 정화 생성 성숙 치유등의 에너지 입니다 먹는건 욕구이며 소화는 공입니다 소화는 자연이 해주는 것이며 공에너지 입니다 자연은 인간의 욕구와 상관없이 돌아가며 공에너지 입니다 몸은 자연대로 소화되며 비워지지만 마음은 집착으로 잘비우려 하지 않으니 독이 생기고 무거워 집니다 그래서 공을 더 의식해야 하는것입니다 그래야 인간은 마음이 자연스럽고 건강해지며 육체는 음식으로 성장유지하지만 정신은 자연의 에너지를 접해야 안정되고 성숙해 집니다 현실만 집착하면 욕구만 생각하게 되고 나이만 먹고 정신은 성숙하지 않는 경우가 생기고 불안 걱정 어리숙함 미숙등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래서 분별을 줄이고 공을 생각하란 뜻은 인간에게 모두 중요하며 단순히 불교 사상만이라 할수 없는것입니다 철학 정신수양 자연에 대한 이해 등은 모든 인간에게 중요한 것입니다

    • @user-xw6dm8cv6s
      @user-xw6dm8cv6s ปีที่แล้ว

      뭔소리요 깨치고 말하시요 지도 모르는 소리를 하려니 어렵죠

  • @user-xq5nf9lu3q
    @user-xq5nf9lu3q ปีที่แล้ว

    공 ㅡ없다.사라진다 색즉시공 ㅡ보이는것은 없는 것 공즉시색 ㅡ보이지않는 것이 있는 것 외워서 깨달을 수 없는 것이지요 차원이 다른세계이니까요 보이는 세상과 보이지 않는 세상 보이는 것도 못알아보는데 보이지 않는 것을 알수가 없지요

  • @user-jf8rp9th2g
    @user-jf8rp9th2g ปีที่แล้ว

    어려운 것이 아니라 스님들의 현학적 말이 어렵게 만드는 것이느니라 ~ 그러니 절집에 가도 얻을 것이 없으니 땀 뺄 이유가 없어지징

    • @user-mn1zu7jt8l
      @user-mn1zu7jt8l ปีที่แล้ว

      3법인을 벗어나면 부처님 가르침을 벗어난다 본래 얻을것이 없는데 어디서 절집을 논하시는지.. ㅇㅇ

    • @user-jf8rp9th2g
      @user-jf8rp9th2g ปีที่แล้ว

      @@user-mn1zu7jt8l 진정한 한얼의 뜻 光明開天 在世理化(和) 弘益人間 이 말을 설명한 것이 성경이며 이 말을 설명한 것이 바로 불경이고 이 말을 설명한 것이 바로 유교의 경전이며 이 말을 설명한 것이 바로 도경임을 알아야 맞다. 무수히 많은 철인들의 사유가 바로 이 말을 설명하려 애쓴 것이 보이는 것도 또한 같은 이치인 것으로 보인다. 당신이 이를 근본으로 한 我理朗을 알기나 하고 그런 말씀을 하시나 내 눈엔 바로 그 아리랑을 설명한 것이 성경이고 불경이고 도경이며 유교의 경전으로 보인다. 이제 그러한 한얼의 밝은 깨침이 먼 지구별을 돌아돌아 이 땅에 다시 돌아왔다는 것으로 보인다.

    • @user-om8zm9ms7w
      @user-om8zm9ms7w ปีที่แล้ว

      김경곤ㄷㄹ

  • @user-jf8rp9th2g
    @user-jf8rp9th2g ปีที่แล้ว

    공즉시색 색즉시공 이 말은 맘이 범인이라고 설하신 스님의 논리가 맞다는 말이다. 아이궁 물질이란 색인고로 그런 색을 그대로 보라는 말이다. 즉 범인인 마음을 비우고 사실과 현상을 똑 바로 보라는 말인데 아이궁 참내 ~

  • @user-jf8rp9th2g
    @user-jf8rp9th2g ปีที่แล้ว

    물체가 있고 없고가 아니라 내 마음에 편견심이 발동을 하면 사실과 현상도 그러한 편견심을 따라가므로 그 편견심이나 기 형성된 인식의 오류를 지우면 사실과 현상을 제대로 볼 수 있다는 말입니다. 공허한 말의 유희로 이해를 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 공을 제대로 이해해야 그 이해에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말입니다.

    • @user-lp1bx2kx6s
      @user-lp1bx2kx6s ปีที่แล้ว

      아가리 닫고 자

    • @user-jf8rp9th2g
      @user-jf8rp9th2g ปีที่แล้ว

      @@user-lp1bx2kx6s 언어를 쓰는 폼새가 믿음이 있으신 분은 아닌 것으로 보이는데 ~ 쩝 ! 안타깝다. 자연은 그 자리에 머물고 싶어도 환경은 늘 변화가 있으니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면 그 자연은 훼손될 것으로 보인다.

  • @user-jf8rp9th2g
    @user-jf8rp9th2g ปีที่แล้ว

    空이란 말이 바로 中이란 말인 듯 싶다. 이제 불자님들도 그 의미를 깊이 성찰하는 계기를 만들기를 발원합니다. 즉 우리가 숫자를 셀 때 단순히 자연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음수 즉 부족을 세는 수도 있음으로 그러한 숫자들의 중간점이 바로 영(즉 空) 을 보지 않았을까 ? 이제 그 공의 개념을 바로보는 시각을 잘 간추려서 잘못된 인식과 잘못된 전달을 새로운 각도로 일신하기를 불교계에 이르니 그동안 멈춰선 바퀴를 다시 돌리시길 주문합니다. 즉 공이란 없다는 개념이 아니라 양수와 음수의 중간임을 이르노니 이제 그 길을 다시 찾아가시길 발원합니다. 즉 버리라는 말이 아니고 없애라는 말이 아니라 그 중심을 잡으라는 말인 듯 합니다. 그래서 불교에서의 공이란 개념은 유교에서의 중용이란 말과 같아질 듯 보입니다. 즉 無我란 나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치우치지 않는 나가 되어야 맞을 듯 합니다. 즉 요술을 부리는 마음이 없는 나가 맞을 듯 싶기도 하공 ㅎㅎ 따라서 我란 몸을 이루는 육체가 아니라 변화무상한 정신계를 이르는 말이다 그말입니다. 요즘 말로 하마 쇼프트웨어가 범인이다 그말입니다. 즉 하드웨어는 시키는 대로 한다 그말 아임니꺼 ~ 요래 말해야 요새 아-들도 알아묵지 ~ ㅎㅎ 뭐 없다는 말도 전혀 없는 것은 아니겠지만 ㅎㅎ 단어가 가끔은 시와 때와 장소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지기도 하지요. ㅎㅎ 너무 개똥철학인가 ㅎㅎ 이런 형식으로 바로보면 色이란 것은 그 욕심이 본시 없는 물건으로 치우침이 없다. 즉 치우침이 없는 것이 色이다 뭐 그런 말이 되겠지요. 이 말은 결국은 맘이 범인이다 그카는 것 아닙니까 ? 즉 마음을 비우면 色(物)이 되는 것이 당연하지예 ~ 즉 요즘 말로 하마 컴퓨터 꺼마 프로그램이 멈춰서가 컴퓨터만 덩그러니 놓여있다 아입니꺼 그카이 인자 설법의 방법도 현대화에 박차를 가하자 뭐 그말 아입니꺼 ~ 그런 걸 보지 못했으니 뭐 있었다, 없다 숨박꼭질 하는 것도 아니구 그카이 길동이 은둔술부리는 말만하고 그켔지요. 그기 소설이지 어디 현상입니까 ? 즉 물이란 몸도 그 축에 끼는 것으로 맘이 묵으마 몸을 움직이는 것이지 몸이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그 말 아닙니까 ? 그카이 인자 길동이 은둔술 부리는 말은 고마하고 현상으로 갑시다. 한용운의 신가 뭔가가 교과서에도 실리있을텐데, 그카이 애들이 제대로 못 배운기지 우짜마 좋노 ~ 그카이 헤매고 길도 몬찾고 난리났다. 난리났어 ~ 지들도 정확히 이해 몬하는 것을 와 애들한티 갈킨다고 그 난리를 부리가 이기 뭐꼬 ?

  • @TV-dangun
    @TV-dangun ปีที่แล้ว

    수고하십니다 ()

  • @user-jt2tk9er8p
    @user-jt2tk9er8p ปีที่แล้ว

    원불대 원형 스님의 법문을 듣고 공의대한 정의가 있어야 겠다 너무 초라했다

  • @user-bf8gt1jb1h
    @user-bf8gt1jb1h ปีที่แล้ว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user-eh5ez9up3e
    @user-eh5ez9up3e ปีที่แล้ว

    참된 공의 세계를 들을수 있는 기회에 감사드리고 수행의 길잡이가 되길 바랍니다

  • @user-eh5ez9up3e
    @user-eh5ez9up3e ปีที่แล้ว

    수행의 길잡이가 되길 바랍니다 훌륭한 가르침 잘 듣고 갑니다()

  • @user-eh5ez9up3e
    @user-eh5ez9up3e ปีที่แล้ว

    귀한 법문 잘 듣고 갑니다 공의 참된 세계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 @user-ok9zo7er4r
    @user-ok9zo7er4r ปีที่แล้ว

    공과 색을 이해하지 ㆍㆍㆍ

  • @user-os8nc6rj1k
    @user-os8nc6rj1k ปีที่แล้ว

    나라를 살린 공도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