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인간과 바다 - 천혜의 바다에 살다 푸껫의 어부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7 ก.พ. 2024
  • 푸껫의 숨겨진 섬, 야오야이
    천혜의 바다에서 살아가는 어부들
    태국에서 제일 큰 섬이자 세계적인 관광지로 유명한 푸껫에서 동쪽으로 25km를 가면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숨겨진 섬이 있다. 안다만해로 둘러싸인 고요하고 때 묻지 않은 아름다움을 간직한 낙원, 코야오야이(Koh Yao Yai)다.
    야오야이섬 램란 부두에 있는 전통 어부마을 주민들이 요즘 분주하다. 야오야이 멸치잡이 시즌이 돌아왔기 때문이다. 새벽 6시 멸치 바구니를 가득 실은 트럭이 램란 부둣가에 도착하고 멸치잡이 배가 출항을 준비한다. 지각 변동으로 생성된 15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팡아만은 멸치잡이 최고의 조업 포인트다. 엄청난 멸치 떼가 나타나고 선원들이 1km가 넘는 큰 그물을 내리기 시작한다. 그런데 한 선원이 부표를 매단 막대기로 바다를 내려친다. 소리를 내면 멸치 떼가 도망가지 못한단다. 멸치는 잡자마자 배 위에서 삶는다. 신선한 멸치를 바로 삶아야 보관도 쉽고 맛도 좋아진다. 야오야이섬 주민들은 멸치로 어떤 음식들을 만들어 먹을까.
    멸치잡이에 나섰던 파롯은 18개월 된 딸을 둔 스물여덟 살의 젊은 어부다. 어부 수업 중인 초짜 어부 파롯이 이번에는 대형 통발잡이에 나섰다. 야오야이 대형 통발은 바닷가가 아니라 바다 한 가운데 설치한다. 통발이 위치한 곳 깊이가 무려 수심 20미터가 넘는다. 그런데 기계가 아니라 사람이 직접 바닷속으로 들어가서 통발을 끌어 올린다. 달랑 산소 줄 하나 입에 물고 깊은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어부들. 더 놀라운 것은 들통을 이용해서 마치 열기구를 띄우듯 대형 통발을 쉽게 끌어 올린다는 것이다. 어부들이 끌어 올린 대형 통발 안에는 물고기들이 가득하다. 천혜의 바다가 준 선물이다.
    파롯이 대물 낚시를 배우기 위해 30년 경력의 베테랑 어부 방롯을 찾아갔다. 그에게 100kg이 넘는 대물을 잡는 것은 예삿일이다. 비장의 무기는 바로 미끼. 자신이 직접 개발해서 만든 페트병 통발을 이용해 주꾸미를 잡는데, 바로 이 주꾸미를 미끼로 써서 대물을 낚는다. 제자가 보는 앞에서 그는 대물 낚시에 성공해 자존심을 지킬 수 있을까. 100여 개의 낚싯바늘에 주꾸미를 매달고 낚싯줄을 바닷속에 내린 후 2시간을 기다린다. 드디어 낚싯줄을 올리기 시작하는데, 작은 가오리와 다금바리만 연달아 올라온다. 그때 갑자기 긴장감이 맴도는 선상. 낚싯줄을 끌어 올리던 방롯이 대물을 예감한다. 대물의 정체는 가오리! 60kg은 족히 넘어 보인다. 꼬챙이를 이용해 배 위로 끌어 올리는데, 무게가 상당해 두 명이 힘을 합해도 쉽지 않다. 그러다 놓치고 만 대물 가오리. 과연 방롯은 다시 대물 가오리를 잡는 데 성공할 수 있을까.
    천혜의 바다를 품은 야오야이섬에서 살아가는 어부들 이야기
    #인간과바다#천혜의바다에살다#푸껫의어부들#코야오야이#야오야이섬#램란부두#야오야이멸치잡이#대형통발잡이#대물낚시#대물가오리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4

  • @pangozia
    @pangozi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빙초산은 따라해볼법 한듯??

  • @BADAJOARA
    @BADAJOAR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번
    30:40초에 빙초산도 가루가있나요?
    구연산인가요?31:01초 태국말 해석 가능하신분 알려주세요 빙초산인가요 구연산인가요?

    • @user-je7gf6wl7x
      @user-je7gf6wl7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luminium Sulphate (ALUM)

    • @BADAJOARA
      @BADAJOAR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e7gf6wl7x 감사합니다 ~^^

    • @user-bc3gm1jx2p
      @user-bc3gm1jx2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lum이라는 가루가 있는데요 네이버 찾아보니

    • @user-bc3gm1jx2p
      @user-bc3gm1jx2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근데 무슨 화학가루인듯 한데 그걸로 잡아서 먹으면 우리 수명 단축될 듯ㅋ

  • @user-xi8wl4xl1q
    @user-xi8wl4xl1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

  • @user-hj8qq6gs5p
    @user-hj8qq6gs5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바닷물에 삶으면 염도가 약해서 안되나 보루먼

    • @jhkim5305
      @jhkim530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바닷물=소금+그외= 쓴맛+짠맛. 쓴김치 쓴햄버거 쓴멸치는 안되자나.
      바닷물을 푹푹 쌂아서 빠르게 가지않고
      염전에서 소금결정을 만드는 이유가 순순한 짠맛 맛있는 짠맛을 얻기위한게 아닐까 추측해봤어.

  • @user-lo8mw3ht6u
    @user-lo8mw3ht6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 @user-ll5gw9gg5n
    @user-ll5gw9gg5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

  • @user-bg7fm9bb9c
    @user-bg7fm9bb9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3

  • @user-iw6en8nz6i
    @user-iw6en8nz6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상문을 써야지
    뭔 본 순서빠만 적어놓노 ㅎㅎㅎㅎ
    나 6 ㅋ
    푸켓어부들 끝내주네
    관광수입으로만 먹고사는 줄 알앗더니.
    저 낙지잡는 솜씨며
    자기등치만한 가오리잡아올리는 것좀봐
    강호동만한건 배에매달아 꿀고온다잖아 100키로가오라가 바다에서 그까이꺼 작운배하나 못뒤엎고 끌려오노말이다

  • @user-su1nq4ft4f
    @user-su1nq4ft4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