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korean 저 국어시험 이번에 발음파트 어렵게 나왔는데 발음파트는 다 맞았어요!!!! 전 이렇게 강의 듣고 이해잘돼서 시험 잘본거 처음이에요ㅠㅠㅠ혜진쌤 진짜 고마워요ㅜ💕목소리랑 말투 경상도 사는 저에겐 정말 정말 너무나 천사같은 다정한 사람입니다......😘🥰💚💛❤️
무릎+이 에서 조사 '이'는 형식형태소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ㅍ이 ㅂ으로 바뀌지 않고 뒷음절의 초성자리로 이동해요. 반면에 웃어른은 ㅅ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른이 오는, 웃+어른의 결합이지만 어른은 실질적 뜻을 가진 실질형태소이기 때문에 ㅅ이 대표음 ㄷ으로 바뀐 후 연음되어 [우더른]으로 발음됩니다.
'앞에'가 왜 [아페]로 소리나는지 궁금하단 뜻이죠? [앞에]는 나눠보자면 '앞+에'로 나눌 수 있고 이때 '에'는 조사로 실질적인 뜻이 없는 아이에요. 혼자 쓰일 수 없기 때문에 이 경우 [앞]의 ㅍ이 ㅂ으로 바뀌지 않고 바로 '에'의 초성 자리로 이동해요! 예를 들어 '앞이 안 보여'의 경우에 '앞이'도 '이'가 실질적 뜻이 없어 혼자 쓰일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아피] 이렇게 소리내요. 이와 달리 '숲 안에'의 경우 '안'은 뜻이 있어 혼자 쓰일 수 있기 때문에 'ㅍ'이 'ㅂ'으로 바뀌고 연음되어 [수바네]로 소리나요. 혹시 샘 설명이 어려웠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시험공부 하느라 고생이 많아요. 응원할게요!
손생님ㅠㅠ 이런 소중하고 좋은 강의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ㅠ 제가 여태껏 들었던 많은 강의들은 배우는 재미도 없고 그냥 내용들만 쭉쭉 읊는 느낌이어서 보기도 싫었고 잠도 왔는데 ... 혜진쌤 강의는 공부하다 잠올때라거나 공부가 지루해졌을때 보러와요 ... 그만큼 너무 재미있고 게다가 내용까지 풍부하니 이해도 잘 되고ㅠㅠ 너무 조아요ㅠㅠㅠ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따라가지 못한다 라는데, 전 혜진쌤 덕분에 즐기며 공부하고 있으니 좋은 성적 나올 수 있을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ㅠㅠ
예워어어언님ㅠㅠ 이런 소중하고 감사한 댓글이라니요... 💛 더 재밌게, 다양하게 열심히 영상 만들어서 업로드할게요! 즐기면서 공부하는 예워어어언님에게 만족할 만한 좋은 결과가 있길! 😊 다음 시험때도 찾아주세요. 미리 시험범위 알려주면 개미마냥 촵촵 영상 만들어 놓을게요옹
어근은 단어를 이루는 실질적인 뿌리고요, 접사(어근의 앞에 붙으면 접두사, 어근의 뒤에 붙으면 접미사)는 어근에 결합해 뜻이나 품사를 바꿔주는 기능을 해요. 접사는 혼자 쓰일 수 없다는 특징이 있고, 어근은 뿌리니까 혼자서도 쓰일 수 있어요. 나무(어근)+-꾼(접미사) 지우-(어근)+-개(접미사)
예외로 웃음은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지만 왜 [우슴]으로 발음되나요? 웃과 음으로 나눌 수도 없고 그냥 단어에서 연음법칙이 일어나는 건가요? 또 ‘털어놓다’에서는 왜 [터러노타]인건가요? 털어를 털(다)와 어로 나누는 건가요..? 자세히 알고싶어요!!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웃음은 동사 어간 ‘웃-’에 명사형 어미 ‘-움’이 결합한 활용형이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라고 국어사전에 적여있네요 제가 유추하기론 '웃'은 동사의 어간, 그러니까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실질형태소이고, 움은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지는 않지만 문법적인 기능을 해서 형식형태소인데, 받침 뒤에 어미이고, 형식형태소이면 대표발음으로 바뀌지않고 바로 시옷을 올립니다. 그래서 우슴 이라고 발음되는거에요! 웃음의 발음은 표준발음법 13항에 해당되니, 이해가 잘 안되시다면 영상 5분 8초부터 보면 도움이 되실꺼에요! 웃음이 명사여서 용언의 활용이 아니니까 어간과 어미로 안 나누어 진다 라고 생각하신 것 같은데 웃음은 동사 '웃다'에 명사형 어미 '-움'을 붙여서 만든거여서 웃과 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앞+에'는 사실 '앞+ㅔ'로 이루어져 있어요. 초성에 오는 'ㅇ'은 소리값이 없는 거죠. 그래서 ㅍ은 ㅂ으로 바뀔 필요 없이(왜냐면 뒤에 오는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하니까요) 그대로 다음 음절 첫소리로 연음시켜주면 됩니다. '무릎+이'도 마찬가지로 '무릎+ ㅣ'로 이루어져 있으니 ㅍ을 ㅂ으로 바꾸지 않고 빈 자리가 있는 뒷음절 초성으로 바로 옮겨줍니다. 혹시 이해가 안 된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진짜 시험에 이내용 들어가서 한국인이길 포기할까 고민하다 쌤 강의 봣는데 어머나 세상에 바로 이해대구 혼자서 독학할때부다 너무 조아요ㅠㅜㅜㅠ 수업시간에 내용을 못들었었거든뇨… 아무튼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쌤 덕부네 국어 100점 할 수 있을거같아요!!😻🙈🙈 감사합니당 ㅜㅜ❤
와 진짜 국어 이번에 너무 어려워서 국어 그냥 포기할까 했는데 우연히 이 채널보고 밤새서 국어만 파고있는데 너무 재밌어요ㅜㅜㅜㅜㅠㅠㅠ 마지막 문제 풀다가 다 맞아서 너무 행복해서 댓글 남겨염 진짜 너무 감사합니다ㅠㅠ 7일동안 열심히 공부해서 국어 100 점 맞구올게영 💖💖
맞아요!! 열공하신 게 느껴지네요. 구매품은 겹받침으로 끝나거나 뒤에 자음으로 시작할 경우에 해당되고 '칡+으로'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조사)니까 '칡+ㅡ로'이고 'ㄱ'이 뒷음절 초성으로 이동해 [칠그로]로 발음해요.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일 때는 구매품이 해당되지 않는다는 거! 💛
내일 시험 치는데 첫 교시가 국어 시험이에요 이번에 표준 발음법 너무 어려웠는데 우연히 선생님 강의를 보고 너무 마음에 들고 이해도 잘 돼서 3항부터 여기까지 열심히 필기하면서 쭉 봤어요 제가 본 국어 강의 중에서 제일 좋았어요 ㅜㅜ 내일 시험 꼭 잘 치고 올게요!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시험보고 와서도 댓글 달아주세요😊 기다리고 있을게요 아마 열심히 공부한 만큼 표준발음법 문제는 쉽게 풀 수 있을 거예요! 오늘 자기 전에 연습문제들 몇 개 풀어보고 잔다면 그야말로 완벽!...💛 앞으로도 쭉 문법 관련 단원 영상 업로드할테니 자주 찾아와주세요! 시험공부할 소중한 시간을 내 감사한 댓글 달아줘서 정말 고마워요
선생님! 표준발음법 제 15항에서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 들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뀌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인데 모음 'ㅏ ㅓ ㅗ ㅜ ㅟ' 외의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는 해당이 안되는건가요? 아니면 'ㅏ ㅓ ㅗ ㅜ ㅟ' 외의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없는건가요?
blog.naver.com/quantumkim/220617972631 이 글에서 궁금한 부분에 대한 답을 찾으실 수 있을 것 같아요. 표준발음법 제15항은 'ㅏ ㅓ ㅗ ㅜ ㅟ' 로 한정해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고, 'ㅣ,ㅑ,ㅕ' 등의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는 다른 조항에서 다루고 있어요. 답글이 너무 늦어진 것 같아 죄송한 마음이에요😭
'여덟이다'는 '여덟+이다'의 조합인데요, '여덟'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ㅣ다'가 오는 환경이에요. 그러면 뒤에 초성 자리가 비어 있기 때문에 '여덟'의 겹받침 ㄼ 중 어느 하나가 탈락하지 않아도 'ㅂ'이 뒤로 연음되어 소리나요. 그래서 [여덜비다]로 발음해요. 평소 발음과는 달라 혼란스럽죠? 원래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는 평상시 내 발음을 신뢰하면 안 돼요 ㅎㅎㅎㅎㅎ 비슷한 예시로는 '닭이'의 경우는 [달글], '흙을'의 경우는 [흘글]이 있어요!
겹받침 ㄼ은 원래 'ㄹ'로 소리나는데 '밟다, 넓적하다' 등은 예외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현실 발음을 고려해서 이렇게 예외로 정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예외가 몇 단어 없습니다!) 겹자음 ㄼ이 [ㅂ]으로 소리남: [넙] +[적]+[하]+[다] ㅂ뒤에 오는 ㅈ은 된소리로 소리남(표준발음법23항): [넙쩍]+[하]+[다] ㄱ+ㅎ은 ㅋ으로 축약됨(표준발음법12항): [넙쩌카다] 혹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
@@오승학2 이건 그 다음 차시 영상을 들으면 알 수 있는데요. 자음 ㅎ은 모음을 만나면 탈락하게 돼요. 그래서 ‘끊어져서’의 경우 ㅎ이 뒤에 오는 모음 ㅓ를 만나 탈락하고 ㄴ이 연음되어 [끄너져서]로 발음돼요! 다른 예로 ‘좋아’의 경우도 뒤에 ㅏ가 와서 ㅎ이 탈락해 [조아]로 발음해요!
샘이 빨리 댓글을 달았어야 했는데, 폰 압수 당하는 곳으로 2주간 출장을 다녀왔어요. 답이 늦어 미안해요. '여덟이다'는 '여덟+이다'인데 이때 '이다'는 'ㅣ다'로 모음으로 시작해요. '여덟'의 'ㄼ'은 겹자음이니 하나가 탈락해야하는 상황이지만 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ㅣ다'이니까 'ㄼ' 에서 하나가 탈락하지 않고 'ㅂ'이 뒤의 초성 자리, 빈 자리로 이동해서 [여덜비다]가 돼요.
답글이 너무 늦었죠 ㅠㅠ 죄송합니다! '무릎이'는 '무릎+이'의 구성인데 이때 '이'의 ㅇ은 소리값이 없어요. 원래는 'ㅣ'라고 볼 수 있죠. 그래서 '무릎+ㅣ'의 형태인데 이때 '무릎'의 받침 ㅍ이 뒤로 이동해서 [무르피]로 소리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무릎에'도 '무릎+에 → 무릎+ㅔ' 'ㅍ'이 뒤의 초성자리, 빈자리로 이동에서 [무르페]로 소리나요.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중간고사 공부하느라 고생이 많았어요! ❤️❤️❤️
'닭 앞에'는 뒤에 '앞'이라는 단어가 오지만 여기서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띄어쓰기'죠! ⭐띄어 썼으니⭐ '닭'과 '앞에'는 따로따로 생각해줘야해요. 그러니까 일단 '닭'의 발음이 뭔지 생각해야해요. 닭은 [닥]이라고 소리나죠. 그럼 '[닥]+앞에'인 거니까, [다가페]라고 발음해야 해요. '닭으로'는 '닭+으로(조사)'인데 둘은 붙여썼죠? 그럼 '닭+ㅡ로'라서 'ㄱ'을 뒷자리 초성으로 옮겨서 [달그로]라고 발음하면 됩니다. 혹시 샘 댓글이 이해하기 어렵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표준발음법 23항부터 30항을 이야기하는 걸까요?😭 어렵지만 중요한 내용들이 많이 나오는 부분인데,.. 사실 크게 된소리되기와 사잇소리 이 두 가지 내용인데 어느 때 된소리가 되는지 언제 사잇소리가 들어가는지! 예시를 보면서 이해해보세요! 진짜 모르겠다, 진짜 안 되겠다!라는 생각이 들면 예시의 발음들만 쭉 살펴보고요! 시험을 일단 잘 봐야하니까요ㅠㅠ 이번 기말은 늦었지만 다음 시험이라도.. 시험범위나 모르겠는 내용 미리 알려주시면 영상으로 제작해서 업로드해드릴게요😊
@@user-korean 31항부터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 소리나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나는대로 적는다" 라던가 35항에 "모음 'ㅗ, ㅜ'로 끝나는 어간에'-아/-어, -았-/-었-'이 어울려 'ㅘ/ㅝ, 왔/웠'으러 될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이러면서...이런건 다 무슨소리인지 모르겠네요...😭😭😭 일단 하는대까지 해보고 모르는것 최대한 정리해서 물어볼께요!!!
혹시 형태소 영상을 보셨을까요? 실질형태소는 단어에서 실질적 뜻을 가진 형태소를 의미하고, 형식형태소는 문법적 기능을 가진 형태소를 말합니다. 먹다를 예로 들면 '먹-'은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에 실질형태소이고 먹의 뒤에 붙는 -다는 먹-이 단어가 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문법적 기능을 하므로 형식형태소입니다.😊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안녕하세요!! 국어 시험 공부 하다가 이해가 되지 않아 걱정이었는데 선생님 영상 만나서 해결 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넋받이'가 '넉빠지'라고 발음이 된 다는데 왜 이렇게 되는 건가요? '넋받이' - '넉받이' - 넉바디'가 되는 거 아닌가요?? 궁급합니닷!!
'뚱인데요'님의 이름이 낯익은데요? 겹받침 'ㄳ'은 'ㄱ'으로 바뀝니다. 그럼 '넉-받-이'가 되고 ㄱ뒤에 오는 'ㅂ'은 된소리화 되어 'ㅃ'으로 소리납니다. 그럼 일단 '넉빧-이'가 되겠죠? 그런데 이때 'ㄷ'과 접사 '-이'가 만날 경우 '구개음화'(영상이 올라와 있어요) 되어 'ㄷ'이 'ㅈ'으로 교체되어 뒷음절 초성자리로 이동합니다. 그래서 최종적인 형태는 [넉빠지]가 되는 거죠!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
'에'는 형식형태소이기 때문에 '앞'의 ㅍ은 ㅂ으로 바뀌지 않고 바로 연음돼요. 그래서 [아페]가 됩니다. 다음엔 헷갈리지 않게 더 쉽고 친절하게 영상을 만들어볼게요😭 자음, 모음 앞 등 헷갈린다면 예시를 하나 놓고 차근차근 분석해보세요! 몇 번 연습하다보면 금방 이해될 거예요.
칡+ㅡ로(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겹받침 ㄹㄱ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왔어요. 초성 자리가 비었으니까 ㄹ과 ㄱ 둘 중 하나가 초성자리로 갈 수 있어요. 이때 앞자음 ㄹ이 아닌 초성자리에서 가까운 뒷자음 ㄱ이 뒷음절 초성자리로 이동해요, 앞자음 ㄹ은 남게 되고요. 우리가 평소 칡[칙]의 경우 칡으로[치그로]라고 잘못 발음하는데 [칠그로]가 맞는 발음이에요. 흙으로[흘그로]처럼요😊
시험 1주전부터 벼락치기 한 내게 내려진 빛 한줄기.. 감사합니다 선생님
🫶 시험 잘 보고 와요
당일 새벽 벼락치기중....
@@김동현-z4z5mㄷㄷ
@@김동현-z4z5mme to
아이의 문법고민을 함께 해결하고 싶어 찾아다니다가 선생님 강의를 발견했습니다. 선생님께 배우는 친구들이 복이 있습니다.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강의와 책을 반복해서 보니 귀가 트입니다. 최고~!
맞출 때 음악 - 짱구 오프닝을 모짜르트처럼 쳐보았다
공부는 안하고 왜 이런거 하고 있을까요 전 ㅋㅎㅋㅎㅋㅎ
정답입니다👏💛 이것처럼 시험지 정답도 잘 체크했길 바라고 있어요!
와 선생님 1달동안 헷갈리던 내용들이 10분만에 싹 정리됐어요..진짜 감사합니닺😢
너무 늦은 답글이지만, 아마 1달 동안 애쓰며 공부해서 싹! 정리된 게 아닐까... 👍👍👍👍👍 영상이 도움이 된 것 같아 기뻐요. 이제 기말고사(?)도 파이팅이에요!
와... 이해 진짜 잘된다..!
와... 댓글 진짜 좋다! ... 💛(댓글 달아줘서 고마워요)
정말 최고입니다.
이윤정 님 댓글, 정말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해가 쏙쏙 되네요 설명 들으니가 국어가 재밌어지네요❤😊
많은 도움 받고갑니다!
국어가 재밌어진다니 행복한 댓글이에요🥰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외국인인데요!선생님이 강이를 쉽게 해줘서 내용이 너무 잘 이해가 되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와! 어떻게 이 영상을 보시게 된 것일까요? KD Tatsu 💛 이렇게 영상도 시청해주시고 댓글도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된다니 너무 기뻐요!! 😊
겁나 어려워햇는데 두번 딱 보니까 그냥 딱딱 이해되네요 감삼다
이해력이 좋은 다현 님🫶💛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편집도 재밌고 영상도 고퀄이라 이해도 잘돼고 내용도 더 쏙쏙 들어오는것같네요!
모범댓글상이라도 만들어서 상장을 주고 싶은 마음이에요💛💛💛💛💛 감사합니다!
쌤 정말 유익한 영상이었어요 ㅠㅠ
마지막 부분에 응원 감동이였어요😭🥹🥹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힘내서 공부할게요!!
마지막까지 들어주다니😭🥹 샘이 고마워요! 응원할게요🍀💚🍀
우오ㅓ 진짜 너무 감동적인 강의에요... kbs한국어능력시험 공부하던중 발음법이 이해가 안되서 찾아보다가 들어온건데, 제게 정말 행운이었네요🍀
중간에 홍진경 짤도 공부하다 툭 튀어나오니깐 넘 웃겨서 빵터졌어요ㅋㅋㅋ
행복하게 공부했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회심의 짤이었는데... 웃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어능력시험도 좋은 결과가 있기를! 랜선으로 응원할게요!
진짜 사랑해요 헷갈려서 힘들었는데 이 영상을 찾아서 너무 행복해요 ㅠㅠㅠ😢❤❤
샘 영상을 찾아줘서 샘이야말로 너무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 댓글까지 꼬마워요!
7:30 이때 비유 진짜 찰떡.. 어태 저런식으로 설명하실생각을!! 넘 감사해요 진심 뻥 안치고 이해안되서 이거 6번정도 봤는데 이제 좀 이해되네용! ❤
6번이요?🍀💚🍀 뭘해도 잘해낼 친구다아,,,! 샘은 끈기와 인내가 없는데, 우리 친구,,,대성할 친구네요! 응원할게요💛
선생님 시험 3일 밖에 남지 않았는데 선생님 영상 보고 너무 쏙쏙 이해가 됬어요❤❤ 꼭꼭 시험 백점 맞고 오겟숩니다❤
파이팅!😊 응원하고있을게요! 잘보고 돌아와요!!💚🍀💚
@@user-korean 선생님 아쉽게 하나틀렸어유….😢😢 그래도 선생님이 정리해주신 한글 맞춤법,표준 발음법은 다 맞았습니다❤️ 시험기간에 이런 보물 같은 영상보고 공부 할 수 있던건 행운 이였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리고 좋은하루 보내세용❤️🍀
시험 하루전 벼락치기 별거 없네 쌤 덕분 ㅎㅎ
벼락치기 별거 없죠?... 💚
벼락치기가 처음이라 너무 당황해서 포기해야하나했는데 이해 너무 잘됐어요 퓨ㅠㅠ 너무 감사합니다..❤️
인생이 벼락치기인 샘,,, 벼락치기가 처음이라니 너무 존경스러운데요? 생각보다 벼락치기가 고효율이지만 기말고사는 차근차근 준비해보기로 해요. 이해가 잘 되었다니 다행이에요! 댓글 달아주셔서 샘도 너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국어 95점 맞았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우왓! 샘이 장기출장(폰을 사용할 수 없는 곳에 다녀와서)으로 답댓글이 늦어졌습니다.
축하합니다! 민영 님이 열심히 공부했기 때문에 얻은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
내년에도 함께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이해가 돼버렸어요
처음 들을때부터 선생님 목소리랑 말투가 너무 예뻐서 듣기 편했는데 난해한 발음파트 이해까지 쉽게 도와 주셔서 너무 사랑합니다......
샘이 장기출장(폰을 사용할 수 없는 곳에 다녀와서)으로 답댓글이 늦어졌습니다.
아니아니, 이렇게 행복한 댓글이라니........... 💛
칭찬에 어깨가 들썩들썩해요! 내년에도 함께 해주세요!
@@user-korean 저 국어시험 이번에 발음파트 어렵게 나왔는데 발음파트는 다 맞았어요!!!! 전 이렇게 강의 듣고 이해잘돼서 시험 잘본거 처음이에요ㅠㅠㅠ혜진쌤 진짜 고마워요ㅜ💕목소리랑 말투 경상도 사는 저에겐 정말 정말 너무나 천사같은 다정한 사람입니다......😘🥰💚💛❤️
선생님이 설명해주신 영상을 보니깐 학교에서 배웠던 것보다 이해가 더 잘되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정말 마음이 뿌듯해지는 댓글이에요! 샘도 감사합니다!
역시 발음은 어렵네요
제가 40대 중반 아줌마이다 보니 두뇌회전이 좀 힘든 듯하네요..
준비하는 시험이 있는데 열심히 공부해서 합격으로 보답하겠습니다!!
최대한 쉽게 만들어 보려고 했는데😅 반복하다보면 쉬워질 겁니다! 저도 매번 헷갈리고 또 공부하고 그래요.... 애증의 표준발음법! 영상 시청해주시고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결과가 있으실 거예요. 온마음으로 응원하겠습니다❤️
이해가 너무 너무 잘 돼서 깜짝 놀랐습니다 너무 잘 봤어요 하는 일마다 잘 되시고 행복하셨으면 좋겠어요 ㅠㅠ ㅎㅎ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시험 몇 일 안 남았는데 이 영상 보고 잘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런 축복을 샘이 받아도 되는 건가요? 사랑스러운 마음을 가진 우리 학생이 시험을 잘 보았길 바라며💚🍀💚 샘도 축복해요! 우리 모두 잘 되어보아요! 그리고 행복해요. 우리 친구에게 행복한 일이 가득하길 샘이 진심으로 응원할게요!🥳
선생님 사랑합니다..그냥 사랑해요...🙊🙊❤❤
이유없는 사랑이라니,,,🙊🙊🙊💛 샘도..그냥 엄청 감사합니다!
내일 시험인데 오늘 공부 시작해도 될까요?
충분히 가능해요!라고 댓글을 빨리 달았어야 했는데
샘이 폰압 당하는 곳에 출장을 다녀오는 바람에 댓글이 늦어졌어요😭😭😭
시험은 어땠나요?
@@user-korean 어려웠긴했는데 80점 정도 맞았어요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13:54초네 무릎이는 릎에서 ㅍ이 ㅂ으로 안바껴도 되나요 이유는 뭘까요ㅠㅠ
무릎+이 에서 조사 '이'는 형식형태소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ㅍ이 ㅂ으로 바뀌지 않고 뒷음절의 초성자리로 이동해요.
반면에 웃어른은 ㅅ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른이 오는, 웃+어른의 결합이지만 어른은 실질적 뜻을 가진 실질형태소이기 때문에 ㅅ이 대표음 ㄷ으로 바뀐 후 연음되어 [우더른]으로 발음됩니다.
@@user-korean 감사합니다
12:19 에서 왜 ㅍ이 ㅂ으로 안바뀌고 넘어가는지 모르겠어요 !! 발음하면 다가페가 맞긴한데..ㅠㅠ
'앞에'가 왜 [아페]로 소리나는지 궁금하단 뜻이죠? [앞에]는 나눠보자면 '앞+에'로 나눌 수 있고 이때 '에'는 조사로 실질적인 뜻이 없는 아이에요. 혼자 쓰일 수 없기 때문에 이 경우 [앞]의 ㅍ이 ㅂ으로 바뀌지 않고 바로 '에'의 초성 자리로 이동해요! 예를 들어 '앞이 안 보여'의 경우에 '앞이'도 '이'가 실질적 뜻이 없어 혼자 쓰일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아피] 이렇게 소리내요. 이와 달리 '숲 안에'의 경우 '안'은 뜻이 있어 혼자 쓰일 수 있기 때문에 'ㅍ'이 'ㅂ'으로 바뀌고 연음되어 [수바네]로 소리나요. 혹시 샘 설명이 어려웠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시험공부 하느라 고생이 많아요. 응원할게요!
@@user-korean감사합니다 ㅠㅠ ❤❤
흙이 설명할때 ㄹ ㄱ 중 이동해야 하는거를 불을 꺼야한다고 예시를 드니 이해가 쏙쏙 되기도 하고 재미있다보니ㅋㅋㅋ국어 문법이 지루했는데
선생님 영상은 집중이 잘 되는 영상이 포인트인거 같아요 (˶ ᵔ ᵕ ᵔ ˶)
크흐🥹이렇게 포인트를 잘 알아봐 주시다니🫶 그 센스에 샘은 감탄합니당🫶💛
13:58 에 칠그로는 왜 칠그로인가요??
칡으로에서 모음 ㅡ가 왔는데 ㅡ로 이렇게 쓰면 이상하니까 소릿값이 없는 ㅇ이 ㅡ에 초성으로 온거에요 그렇기에 ㅇ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 칡에서 받침 하나가 이동해야하는데 ㄱ이 으와 더 가깝기 때문에 ㄹ은 냅두고 ㄱ이 으의 초성자리에 들어간거에여
'칡+으로'는 사실 '칡+ㅡ로'이고 '으(ㅡ)'의 초성자리가 비어있기 때문에 겹자음 중 'ㅡ'와 더 가까운 위치에 있는 'ㄱ'이 연음되어 [칠그로]로 발음합니다.
샘보다 설명을 더 잘해줬는데요?😉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가 진짜 잘돼요🥰
감사합니다🫶💛
혹시 시험에서 ㅏㅓㅗㅜㅟ로 시작하지 않는 실질형태소를 넣는 경우가 있을까요? 이런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정말 도움이 많이 됐어요
선생님 이해가 너무 잘되어요❤
이런 조은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닏아❤❤❤
샘이야말로 감사합니다😊
손생님ㅠㅠ 이런 소중하고 좋은 강의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ㅠ 제가 여태껏 들었던 많은 강의들은 배우는 재미도 없고 그냥 내용들만 쭉쭉 읊는 느낌이어서 보기도 싫었고 잠도 왔는데 ... 혜진쌤 강의는 공부하다 잠올때라거나 공부가 지루해졌을때 보러와요 ... 그만큼 너무 재미있고 게다가 내용까지 풍부하니 이해도 잘 되고ㅠㅠ 너무 조아요ㅠㅠㅠ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따라가지 못한다 라는데, 전 혜진쌤 덕분에 즐기며 공부하고 있으니 좋은 성적 나올 수 있을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ㅠㅠ
예워어어언님ㅠㅠ 이런 소중하고 감사한 댓글이라니요... 💛 더 재밌게, 다양하게 열심히 영상 만들어서 업로드할게요!
즐기면서 공부하는 예워어어언님에게 만족할 만한 좋은 결과가 있길! 😊 다음 시험때도 찾아주세요. 미리 시험범위 알려주면 개미마냥 촵촵 영상 만들어 놓을게요옹
곧 있음 1000명이네요!!
미리 축하드려요🎉🎉❤️
내일 국어 시험인데 감사합니다ㅠㅠ
감사합니다🤩 시험 잘 보고 오세요! (또 와 달라는 의미입니다)
ㅠㅠㅠ선생님 덕분에 국어 짱재밋서요
중간중간에 조금씩 풀수있게 퀴즈도 주셔서
좋은거같아요 맞을때마다 뿌듯..!!!😌
그렇다면 낭랑님의 의견을 수용하여 앞으로 만들 영상에는 꼭 퀴즈를 넣어보는 걸로... 💗💗💗
내일 시험….
시험 잘볼 거라 믿어요! 응원할게요😊 실력발휘하고 오세요💛
혜진쌤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어요!!🦫 표준발음법 제 5항에서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고 하셨는데, '웃어른의'에서 [우더르늬]가[우더르니]로 발음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웃어른의에 의 는 조사 ㅢ 이므로 원칙은 ㅢ 이고 ㅔ 도 허용되는 것입니다 😊
대신답변 죄송합니다 !
@앙-d7i 이해됐어요! 답변 감사합니다!!😆
접미사와 어근의 뜻을 어떻게 알아야할까요.?
어근은 단어를 이루는 실질적인 뿌리고요, 접사(어근의 앞에 붙으면 접두사, 어근의 뒤에 붙으면 접미사)는 어근에 결합해 뜻이나 품사를 바꿔주는 기능을 해요.
접사는 혼자 쓰일 수 없다는 특징이 있고, 어근은 뿌리니까 혼자서도 쓰일 수 있어요.
나무(어근)+-꾼(접미사)
지우-(어근)+-개(접미사)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완벽하게 이해되었어요
@@iluvwinner 디행이에요👍❤️
선생님 이번에도 감사합니다! 국어 문법 어려웠는데 다 극뽁했습니다!☆
다 극뽁했다니... 👍👍👍 잊지않고 남겨준 댓글도 고맙습니다 문법의 영역은 참 넓고 깊으니 자주 찾아와주세요!😊💛
선생님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ㅠㅠ 시험 2일 나았는데 잘 이겨내볼게요
무조건 잘 볼 거라는 자신감으로 이틀만 공부해봐요😊 시험결과에 상관없이 열심히 한 안졸리나젤리님은 분명 발전해 있을 거니까요, 찡긋....💛
선생님 귀에 쏙쏙 들어와요.
제 친구한테도 알려줬어요ㅎㅎ
그리고 마지막에 선생님 말씀 너무 힘이 나는 말이네요
감사합니당 😆 💓💓💓
진짜 힘이 나는 댓글이에요🌝💛 시험기간에 좋은 영상 준비해놓을테니 자주 찾아주세요. 필요한 영상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차근차근 만들어 둘게요. 친구에게도 알려주다니.., 센스쟁이,..,💛
이해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ᐟ.ᐟ 일주일 뒤에 시험인데 열심히 해볼게요❤❤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시험 잘 보고 또 찾아와 주세요! 🫶
요즘 제가 시험 준비하면서 남들에 비해서 제가 비참해 보였는데... 선생님 말씀을 듣고 힘을 낼 수 있었어요! 정말 감사해요! 꼭 국어시험 잘 볼께요!!
시험을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영상을 찾아 보는 것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훌륭해요. 스스로를 쓰담쓰담해주며 시험까지 파이팅이에요😆 샘이 응원할게요!
영상 잘봤어요 선생님 !! 7시간후 시험인데...(주륵) 저... 잘할수 있겠죠...? 덕분에 잘 외운거같아요 !! 감사합니다!!
시험 응원합니다😊💛
예외로 웃음은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지만 왜 [우슴]으로 발음되나요? 웃과 음으로 나눌 수도 없고 그냥 단어에서 연음법칙이 일어나는 건가요? 또 ‘털어놓다’에서는 왜 [터러노타]인건가요? 털어를 털(다)와 어로 나누는 건가요..? 자세히 알고싶어요!!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웃음은 동사 어간 ‘웃-’에 명사형 어미 ‘-움’이 결합한 활용형이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라고 국어사전에 적여있네요 제가 유추하기론 '웃'은 동사의 어간, 그러니까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실질형태소이고, 움은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지는 않지만 문법적인 기능을 해서 형식형태소인데, 받침 뒤에 어미이고, 형식형태소이면 대표발음으로 바뀌지않고 바로 시옷을 올립니다. 그래서 우슴 이라고 발음되는거에요! 웃음의 발음은 표준발음법 13항에 해당되니, 이해가 잘 안되시다면 영상 5분 8초부터 보면 도움이 되실꺼에요! 웃음이 명사여서 용언의 활용이 아니니까 어간과 어미로 안 나누어 진다 라고 생각하신 것 같은데 웃음은 동사 '웃다'에 명사형 어미 '-움'을 붙여서 만든거여서 웃과 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털어놓다' 는 ㅎ 때문에 터라노타로 바뀝니다. ㅎ이 받침으로 올때 어떻게 발음되는 지는 이 스생님 표준발음법 영상 6에 있어요! 표준발음법 제 12항 입니다! 이상 설명충이였습니다~
@@김하나-s3w우와 ㅠㅠㅠㅠ감사합니다
@@김하나-s3w털어놓다 질문은 놓다를 [노타]로 발음하는것은 알겠지만 털어를 왜 [터러]라고 발음하는지 궁금해서 여쭤본거에요!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털어'에서 받침 ㄹ은 뒤에 '-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이기 때문에 , 이어 발음되어 [터러]가 돼요. 답변이 늦어 미안해요💛
아 선생님 ,
12:03 에서 '닭 앞에' 일때 ㅍ은 왜 ㅂ으로 안 고치고 바로 ㅍ을 'ㅔ' 앞에 붙여주는건가요?
그리고 13:54 에서도 왜 '무릎이' 를 ㅍ을 ㅂ으로 안 고치고 ㅍ 상태에서 바로 붙여주나요?
'앞+에'는 사실 '앞+ㅔ'로 이루어져 있어요. 초성에 오는 'ㅇ'은 소리값이 없는 거죠.
그래서 ㅍ은 ㅂ으로 바뀔 필요 없이(왜냐면 뒤에 오는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하니까요) 그대로 다음 음절 첫소리로 연음시켜주면 됩니다.
'무릎+이'도 마찬가지로 '무릎+ ㅣ'로 이루어져 있으니 ㅍ을 ㅂ으로 바꾸지 않고 빈 자리가 있는 뒷음절 초성으로 바로 옮겨줍니다.
혹시 이해가 안 된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user-korean 아~! 감사합니다 🙇🏻♀️
아 , 근데 '앞+ㅔ' 에서 ㅇ이 생략이니까 ㅍ을 그대로 붙여주는거라고 하셨잖아요 , 그런데 '웃어른의' 에서 '웃+ㅓ' 는 왜 ㅅ을 ㄷ으로 고쳐서 뒤에 대입을 해주는건가요?..
@@채은-m5j '어른'은 뜻을 가지고 있고 '에'는 뜻이 없고 문법적 의미만 돕는 기능을 한다는 차이가 있어요.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형태소, '어른'이 오면 모음이라고 하더라도 ㅅ이 ㄷ으로 바뀝니다☺️
@@user-korean 앗 ! 선생님 그러면
모음인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들이 뒤에 오면 받침을 바꿔서 쓰고, 자음들이 오면 받침을 그냥 그대로 가져가서 쓰면 되는건가요?..
@@채은-m5j 뒤에 모음으로 오는 뜻을 가진 형태소가 오면 7개의 자음으로 바꾼 다음 연음!(웃어른)
뒤에 모음으로 오는 뜻을 가지지 못하는 형태소가 오면 바로 연음!이에요(무릎이)
선생님! 그러면, 뒤에 밭 아래 같이 실질 형태소가 오면 먼저 밭이 대표음으로 바뀐 받으로 바뀐 뒤 연음되어 바 다래가 되는거고, 값이 같이 뒤에 형식 형태소가 오면 그냥 그대로 넘어가서 갑씨가 되는게 맞나요?
아주 정확하게 이해했어요! 👍👍👍👍👍
감사합니다! 그러면 만약에 빛이 라는 단어가 있으면, 이는 뜻이 없는 형식형태소니까 비치 인가요?.? 아니면 비디 인가요..?😳
@@노윤지-e4z
'빛이'는 [빛]이라는 실질형태소(명사)와 [-이]라는 형식형태소(조사)로 이루어져 있어요. '빛+-ㅣ'의 형태이니까 뒤의 초성자리로 ㅊ이 바로 이동해서, 연음되어 [비치]라고 소리납니다💛궁금한 게 있다면 또 댓글 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이 인강 덕분에 진짜 문법 이번 시험범위여서 너무 걱정 되었는데, 쌤 강의보고 희망이 생겼어요❤ 감사합니다!! 열심히 할게요!,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확신해요💛💛@@노윤지-e4z
이제 곧 기말고사가 있는데 국어가 너무 어려워서 시험을 던질까...이런 생각을 하고 자신감이 너무 없었어요...근데 어제 이 채널을 보고 다 이해를 하고 시험에도 자신감이 생겼네요ㅎㅎ 엄청 감사합니다..!!
소중한 국어과목... 던지지 않게 되어 정말 다행입니다😊 영상 봐주시고 이렇게 좋은 댓글도 남겨주셔서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시험 응원할게요!
무릎이랑 여덟이다가 왜 무르피랑 여덜비다로 변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이, 이다 는 모두 조사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입니다. 이 경우 앞에 있는 받침이 뒤음절 초성으로 연음되어 발음납니다.
그래서 ㅍ과 ㅂ이 뒤음절 초성으로 가서 [무르피],[여덜비다]가 됩니다
@@user-korean 여덜비다는 실제 발음과 차이가 많은 것 같아요. 여덟에서 여덜 그리고 여더리다로 예외사항으로 인정해야하지 않을지 ㅜㅜ
진짜 시험에 이내용 들어가서 한국인이길 포기할까 고민하다 쌤 강의 봣는데 어머나 세상에 바로 이해대구 혼자서 독학할때부다 너무 조아요ㅠㅜㅜㅠ 수업시간에 내용을 못들었었거든뇨… 아무튼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쌤 덕부네 국어 100점 할 수 있을거같아요!!😻🙈🙈 감사합니당 ㅜㅜ❤
이런 정성스러운 댓글이라니... 💛💛💛💛💛 시험 잘 보고 또 찾아와 주세요!!
여덟이다는 왜 여더비다가 아니예요? 닭앞에는 다가페로 발음하는데?
앞에는 실질형태소고 이다는 형식형태소입니다!
선생님 내일 시험인데 궁금한 게 있어서요! 왜 밭이는 바치로 발음하나요?
이것은 구개음화 현상이에요😊 샘이 구개음화 영상을 올려두었어요! ㄷ, ㅌ이 형식형태소인 조사, 접사와 만나면 ㅈ, ㅊ으로 발음돼요... 이를테면 '밭이' 에서 - 이처럼요.
와 진짜 국어 이번에 너무 어려워서 국어 그냥 포기할까 했는데 우연히 이 채널보고 밤새서 국어만 파고있는데 너무 재밌어요ㅜㅜㅜㅜㅠㅠㅠ 마지막 문제 풀다가 다 맞아서 너무 행복해서 댓글 남겨염 진짜 너무 감사합니다ㅠㅠ 7일동안 열심히 공부해서 국어 100 점 맞구올게영 💖💖
크흐! 이제 실력자가 되었군요😊 댓글 남겨줘서 고마워요! 시험도 응원할게요
시험 잘 보셨나용?
13:52 구매품이니까 ㄱ이남아서 칙으로 에서 ㄱ이 올라가서 치그로 아닌가요..?ㅠ 왜지…? 아니면 으로 할때 으 가 형식형태소여서 구매품 해당 안되고 걍 ㄱ이 올라가는건가용.. 형식형태소가 뒤에 잇을땐 원음이 뒤로 바로 올라가나요..?ㅜ
맞아요!! 열공하신 게 느껴지네요.
구매품은 겹받침으로 끝나거나 뒤에 자음으로 시작할 경우에 해당되고
'칡+으로'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조사)니까 '칡+ㅡ로'이고 'ㄱ'이 뒷음절 초성으로 이동해 [칠그로]로 발음해요.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일 때는 구매품이 해당되지 않는다는 거! 💛
정말 감사해요 ㅠㅠㅠ 내일 국어시험이 1교시인데 표준발음 너무 어려워서 유튜브 찾아보다가 선생님 채널 영상 보게 되었는데 이해 너무 잘되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내일 시험도 응원할게요!
TMI: 지금도 시청중 🤣
@@최지민-c6m 영상 다 듣고 문제풀이 필수!💛
@@user-korean 시험 봤는 데 저번보다 10점 올랐어요! 까악 감사합니다 선생님 아니었음 10점 이하로 떨어졌을 것 같아요 ㅠㅠㅠ
@@최지민-c6m 👏👏👏👏👏 우와! 고생이 많았어요! 지민 학생이 열심히 공부한 결과죠! 😉
내년 중간고사도 샘과 함께 해주세요,,💛
실질형태소를 손귑게 알아보는방법중하나가
뛰어쓰기가 될수있나요?
예를들어 옷 가게 물 수건
그렇게만 보면 먹다, 자다 등 동사, 형용사를 실질과 형식형태소로 나눌 때 헷갈릴 것 같아요. 먹-(실질)+-다(형식), 그 외는 혼자 쓰일 수 있으면 실질형태소입니다! 옷, 가게, 물, 수건처럼요😊
혹시 이해가 안 된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내일 시험 치는데 첫 교시가 국어 시험이에요
이번에 표준 발음법 너무 어려웠는데 우연히 선생님 강의를 보고 너무 마음에 들고 이해도 잘 돼서 3항부터 여기까지 열심히 필기하면서 쭉 봤어요 제가 본 국어 강의 중에서 제일 좋았어요 ㅜㅜ 내일 시험 꼭 잘 치고 올게요!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시험보고 와서도 댓글 달아주세요😊
기다리고 있을게요 아마 열심히 공부한 만큼 표준발음법 문제는 쉽게 풀 수 있을 거예요!
오늘 자기 전에 연습문제들 몇 개 풀어보고 잔다면 그야말로 완벽!...💛
앞으로도 쭉 문법 관련 단원 영상 업로드할테니 자주 찾아와주세요! 시험공부할 소중한 시간을 내 감사한 댓글 달아줘서 정말 고마워요
선생님! 표준발음법 제 15항에서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 들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뀌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인데
모음 'ㅏ ㅓ ㅗ ㅜ ㅟ' 외의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는 해당이 안되는건가요?
아니면 'ㅏ ㅓ ㅗ ㅜ ㅟ' 외의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없는건가요?
blog.naver.com/quantumkim/220617972631 이 글에서 궁금한 부분에 대한 답을 찾으실 수 있을 것 같아요. 표준발음법 제15항은 'ㅏ ㅓ ㅗ ㅜ ㅟ' 로 한정해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고, 'ㅣ,ㅑ,ㅕ' 등의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는 다른 조항에서 다루고 있어요. 답글이 너무 늦어진 것 같아 죄송한 마음이에요😭
@@user-korean 오우+!!! 궁금했었는데 이제야 궁금증이 풀려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여덟이다의 발음은 [여덜이다] 아닌가요? 헷갈려요!
'여덟이다'는 '여덟+이다'의 조합인데요, '여덟'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ㅣ다'가 오는 환경이에요.
그러면 뒤에 초성 자리가 비어 있기 때문에 '여덟'의 겹받침 ㄼ 중 어느 하나가 탈락하지 않아도 'ㅂ'이 뒤로 연음되어 소리나요. 그래서 [여덜비다]로 발음해요. 평소 발음과는 달라 혼란스럽죠?
원래 이 단원을 공부하면서는 평상시 내 발음을 신뢰하면 안 돼요 ㅎㅎㅎㅎㅎ
비슷한 예시로는 '닭이'의 경우는 [달글], '흙을'의 경우는 [흘글]이 있어요!
이제 막 고등학생이 됬는데
중간고사를 보게 되어서 걱정했는데
이 영상을 보고 많이 알았습니다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등학교 국어시험이 어려운데 준비하느라 고생 많았죠? 제 영상이 도움이 되었다니 기뻐요!
도움이 될만한 영상 많이 만들어볼게요
@@user-korean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설명을 자세하게 해주셔서
잘 보고 있습니다
넓적하다 ( 넙쩌카다)로 발음할까요?
되는 원인 궁금합니다^^;;
겹받침 ㄼ은 원래 'ㄹ'로 소리나는데 '밟다, 넓적하다' 등은 예외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현실 발음을 고려해서 이렇게 예외로 정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예외가 몇 단어 없습니다!)
겹자음 ㄼ이 [ㅂ]으로 소리남: [넙] +[적]+[하]+[다]
ㅂ뒤에 오는 ㅈ은 된소리로 소리남(표준발음법23항): [넙쩍]+[하]+[다]
ㄱ+ㅎ은 ㅋ으로 축약됨(표준발음법12항): [넙쩌카다]
혹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
@@user-korean 감사합니다♡
선생님! 그 칡으로 를 발음 할때 칡으로 에서 ‘ㄹㄱ’ 뒤에 모음이 왔는데요! ㄱ이 온게 아닌데 왜 ㄹ을 남기고 ㄱ을 모음 부분에 이동시킨건가용?!
오, 이 내용을 설명한 부분이 영상 중간에 나와요.
'칡+으로'는 사실 '칡+ㅡ로'로 ㄺ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와요. 초성 자리가 비어있기 때문에 탈락이 일어나지 않고 오른쪽의 ㄱ이 연음돼요.
혹시 끊어져서가 끈어저서라고 하는데 이유가 궁금해요
@@오승학2 이건 그 다음 차시 영상을 들으면 알 수 있는데요. 자음 ㅎ은 모음을 만나면 탈락하게 돼요. 그래서 ‘끊어져서’의 경우 ㅎ이 뒤에 오는 모음 ㅓ를 만나 탈락하고 ㄴ이 연음되어 [끄너져서]로 발음돼요! 다른 예로 ‘좋아’의 경우도 뒤에 ㅏ가 와서 ㅎ이 탈락해 [조아]로 발음해요!
선생님! 제 15항에 받침 뒤에 모음 'ㅏ,ㅓ,ㅗ,ㅜ,ㅟ' 들로 시작하는 실질형태소가 연결 되는 경우에 라고 적혀있는데 'ㅏ,ㅓ,ㅗ,ㅜ,ㅟ' 로 시작하는 단어가 아닐 경우에는 15항이 적용이 안되는건가욤??
아마 ㅏㅓㅗㅜㅟ 5개의 모음 이외에 다른 모음으로 연결되는 형태가 없을 거예요😊
선생님 영상 잘보았습니다! 형식이랑 실질을 못보고 똑같은거 아냐? 했던 제가 이제 제대로 알게되었어요. 의문점이 생겼는데 만약 한 단어에서는 ex. 넓이에서 이는 형식형태소라고 보고 그냥 연음하는 건가요?
네, 맞아요😊 [널비]로 소리나요
닭 앞에 에서 ㄱ을 넘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아무리 시청해도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닭 앞에'는 일단 '닭'과 '앞에'를 분리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띄어쓰기가 되어 있는 두 단어이기 때문이죠. '닭'의 ㄺ은 ㄱ으로 소리나므로 [닥]이 되고 '앞에'는 ㅍ이 연음되어 [아페]라고 소리납니다. (혹시 연음이 이해되지 않는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닥]과 [아페]를 이어서 소리내면 [다 가페]가 됩니다.
선생님 시험이 7일 남았는데 혹시 제 35항도 올려주실수 있나요? ㅠㅠㅠㅠ 선생님 강의들으면서 정말 이해가 잘되었어요ㅠㅠ
35항이요? 살펴볼게요!😊
칡으로는 치그로 아닌가요? 헷갈리네요
칡으로[칠그로], 흙으로[흘그로]입니다🌝
여덟이다는 왜 여더비다가 아니라 여덜비다예요?
샘이 빨리 댓글을 달았어야 했는데, 폰 압수 당하는 곳으로 2주간 출장을 다녀왔어요. 답이 늦어 미안해요.
'여덟이다'는 '여덟+이다'인데 이때 '이다'는 'ㅣ다'로 모음으로 시작해요.
'여덟'의 'ㄼ'은 겹자음이니 하나가 탈락해야하는 상황이지만 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ㅣ다'이니까 'ㄼ' 에서 하나가 탈락하지 않고 'ㅂ'이 뒤의 초성 자리, 빈 자리로 이동해서 [여덜비다]가 돼요.
@@user-korean 감사합니다
무릎이 에서 왜 무르피로 되나요?
답글이 너무 늦었죠 ㅠㅠ 죄송합니다!
'무릎이'는 '무릎+이'의 구성인데 이때 '이'의 ㅇ은 소리값이 없어요. 원래는 'ㅣ'라고 볼 수 있죠. 그래서 '무릎+ㅣ'의 형태인데 이때 '무릎'의 받침 ㅍ이 뒤로 이동해서 [무르피]로 소리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무릎에'도 '무릎+에 → 무릎+ㅔ' 'ㅍ'이 뒤의 초성자리, 빈자리로 이동에서 [무르페]로 소리나요.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중간고사 공부하느라 고생이 많았어요! ❤️❤️❤️
닭 앞에는 닭에서 ㄱ만 남기고 ㄹ은 사라졌는데 칡으로는 왜 ㄹ이 남는지 궁금해요
'닭 앞에'는 뒤에 '앞'이라는 단어가 오지만 여기서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띄어쓰기'죠!
⭐띄어 썼으니⭐ '닭'과 '앞에'는 따로따로 생각해줘야해요. 그러니까 일단 '닭'의 발음이 뭔지 생각해야해요.
닭은 [닥]이라고 소리나죠. 그럼 '[닥]+앞에'인 거니까, [다가페]라고 발음해야 해요.
'닭으로'는 '닭+으로(조사)'인데 둘은 붙여썼죠? 그럼 '닭+ㅡ로'라서 'ㄱ'을 뒷자리 초성으로 옮겨서 [달그로]라고 발음하면 됩니다. 혹시 샘 댓글이 이해하기 어렵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user-korean 감사합니다! 덕분에 이해 잘 됐어요
제 23항~40항까지 알아야 되는 진상학교 학생인데 혼자 공부해야 되서 뭐가 중요한지 뭐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ㅎㅎㅎ 이거정도는 외워야 한다, 알고 있어야 한다 하는게 있을까요...
표준발음법 23항부터 30항을 이야기하는 걸까요?😭 어렵지만 중요한 내용들이 많이 나오는 부분인데,.. 사실 크게 된소리되기와 사잇소리 이 두 가지 내용인데 어느 때 된소리가 되는지 언제 사잇소리가 들어가는지! 예시를 보면서 이해해보세요! 진짜 모르겠다, 진짜 안 되겠다!라는 생각이 들면 예시의 발음들만 쭉 살펴보고요! 시험을 일단 잘 봐야하니까요ㅠㅠ
이번 기말은 늦었지만 다음 시험이라도.. 시험범위나 모르겠는 내용 미리 알려주시면 영상으로 제작해서 업로드해드릴게요😊
그런데 23항부터라니... 너무 가혹하네요😭😭😭 그치만 차근차근! 모르는 게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user-korean ㅠㅠ감사합니다
@@user-korean 31항부터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 소리나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나는대로 적는다" 라던가 35항에 "모음 'ㅗ, ㅜ'로 끝나는 어간에'-아/-어, -았-/-었-'이 어울려 'ㅘ/ㅝ, 왔/웠'으러 될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이러면서...이런건 다 무슨소리인지 모르겠네요...😭😭😭 일단 하는대까지 해보고 모르는것 최대한 정리해서 물어볼께요!!!
@@potato_tototo 한글맞춤법이 시험범위군요ㅠㅠ 네! 응원하고 있을게요!
근데..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의 첫소리로 연음된다는게 왜 틀린 말 인가요ㅠ
대표음으로 바뀌지 않고 겹자음 중 하나가 뒤로 연음되어 소리나요.
'닭이'의 경우 ㄹㄱ이 대표음 ㄱ으로 바뀌어 닥+이-[다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ㄱ이 뒤의 초성자리로 이동해 [달기]로 발음하죠. 대표음으로 바뀐다 부분이 적절하지 않아요😊
선생님 그러면 ㅇ은 무조건 생략이라고 생각 한 다음 연음법칙을 사용해서 풀면 되나요?
초성에 오는 'ㅇ'은 소리값이 없는 가짜 'ㅇ'이니 생략이라고 생각하고 앞의 받침으로 오는 자음을 연음시키면 됩니다😊
형식형태소랑 실질형태소의 차이점이 뭔가요? 둘다 모음 아닌가요?
혹시 형태소 영상을 보셨을까요?
실질형태소는 단어에서 실질적 뜻을 가진 형태소를 의미하고, 형식형태소는 문법적 기능을 가진 형태소를 말합니다.
먹다를 예로 들면 '먹-'은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에 실질형태소이고 먹의 뒤에 붙는 -다는 먹-이 단어가 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문법적 기능을 하므로 형식형태소입니다.😊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선생님 맛없다는 왜 발음이 마덦다 인건가용?? 제 10항 적용시키면 마덥따 여야하는거 아닌가용...
선생님 부엌에서는 부어케서인데 부엌안은 왜 ㄱ으로 바껴서 연음 되나요?
'에서'는 형식형태소이고
'안'은 실질형태소입니다.
뒤에 형식형태소가 올 때는 받침이 바로 연음되고 실질형태소가 올 때는 대표음으로 바뀐 뒤 연음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은 '안'은 실질형태소이기 때문!입니다😊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user-korean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바로 이해가 됐어요
안녕하세요!! 국어 시험 공부 하다가 이해가 되지 않아 걱정이었는데 선생님 영상 만나서 해결 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넋받이'가 '넉빠지'라고 발음이 된 다는데 왜 이렇게 되는 건가요?
'넋받이' - '넉받이' - 넉바디'가 되는 거 아닌가요?? 궁급합니닷!!
'뚱인데요'님의 이름이 낯익은데요?
겹받침 'ㄳ'은 'ㄱ'으로 바뀝니다. 그럼 '넉-받-이'가 되고 ㄱ뒤에 오는 'ㅂ'은 된소리화 되어 'ㅃ'으로 소리납니다.
그럼 일단 '넉빧-이'가 되겠죠? 그런데 이때 'ㄷ'과 접사 '-이'가 만날 경우 '구개음화'(영상이 올라와 있어요) 되어 'ㄷ'이 'ㅈ'으로 교체되어 뒷음절 초성자리로 이동합니다. 그래서 최종적인 형태는 [넉빠지]가 되는 거죠!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
자음앞에서 모음으로 시작 이런말들이 너무 헷갈랴여ㅜ
그리고 닭 앞에 이런 말이 있으면
앞을 압으로 바꾸진 않ㄴ나요??
'에'는 형식형태소이기 때문에 '앞'의 ㅍ은 ㅂ으로 바뀌지 않고 바로 연음돼요. 그래서 [아페]가 됩니다. 다음엔 헷갈리지 않게 더 쉽고 친절하게 영상을 만들어볼게요😭 자음, 모음 앞 등 헷갈린다면 예시를 하나 놓고 차근차근 분석해보세요! 몇 번 연습하다보면 금방 이해될 거예요.
흙이가 왜 흘끼가 아니고 흘기라고 발음되는지 궁금해요 된소리로 발음해야하는것 아닌가요?
칡으로가 왜 '칠그로'로 되는지 모르겠어요ㅠㅠㅠㅠㅠㅠㅠ
칡+ㅡ로(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겹받침 ㄹㄱ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왔어요. 초성 자리가 비었으니까 ㄹ과 ㄱ 둘 중 하나가 초성자리로 갈 수 있어요.
이때 앞자음 ㄹ이 아닌 초성자리에서 가까운 뒷자음 ㄱ이 뒷음절 초성자리로 이동해요, 앞자음 ㄹ은 남게 되고요.
우리가 평소 칡[칙]의 경우 칡으로[치그로]라고 잘못 발음하는데 [칠그로]가 맞는 발음이에요.
흙으로[흘그로]처럼요😊
@@user-korean 진짜진짜 감사합니다!! 시험 얼마 안남아서 걱정이 많았는데 이 영상 계속 반복하고 생각할 때마다 들어와서 영상 볼께요ㅠㅠ❤️❤️ 그리고 마지막 말이 정말 기억에 남아요
선생님 영상 너무 잘봤어요 !!
시험 6일 남았는데 표준 발음법 12항이 뭔 소리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영상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어요 ㅠㅠ
오! 영상 만들기 시작했어요. 6일 안에는 업로드하겠습니다. 이렇게 약속을 해놓아야 게으른 제가 일을 하더라고요.
남은 기간에도 열심히 공부하고 영상 업로드되면 꼬옥 봐주세요! 😊
@@user-korean 감사합니당 ❤️🥰 수업시간에 이해 안되었던 것들 영상 다 보고 나서 이해가 완벽히 되었어요 ㅜㅜㅜ
@@민정-c1v 제일 듣기 좋은 말이에요! 보람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