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SI 에서 메이저 IT 개발자로 이직하기? - 개발자 상담 코너! 그랜드 오픈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4 ก.พ. 2021
  • 제 인생도 후진기어 박았는데 훈장질 해서 죄송합니다. - 호돌
    5G 아닌 2G에서 촬영해서 목소리가 뚜렷하지 않네요 죄송합니다 ㅠ - 향로
    - 이력서/취업후기 모음: github.com/jojoldu/junior-rec...
    - 주니어개발자 채용정보: github.com/jojoldu/junior-rec...
    - 공채없이 카카오 취업 후기: jyami.tistory.com/126
    - 구인본님의 이력서 초보 탈출기: woowabros.github.io/experienc...
    - 배민 2020 신입 개발자 이력서1: www.notion.so/c47951185f40483...
    - 배민 2021 신입 개발자 이력서2: www.notion.so/BackEnd-Develop...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9

  • @devbadak
    @devbadak  3 ปีที่แล้ว +27

    자막을 못달아서 정말 죄성합니다.
    10분 넘어가는 영상에 자막 추가하는 건 너무 오래 걸리고 똥컴도 힘들어 합니다.
    유튜브 자막으로 천천히 추가 해놓겠습니다.
    우선 팟캐스트처럼 들어주셔요 -호돌맨

    • @xlhj830704
      @xlhj830704 3 ปีที่แล้ว

      호돌맨 이발하셨네요

    • @donglee_
      @donglee_ 3 ปีที่แล้ว

      일부러 여러번 보게 하려고 자막 안다신거죠? ㅎㅎㅎㅎㅎ

  • @user-di1lk9ub5n
    @user-di1lk9ub5n 3 ปีที่แล้ว +2

    경험에서 나오는 조언들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열정을 믿지 마라. 새기고 갑니다

  • @leebon3461
    @leebon3461 2 ปีที่แล้ว +11

    깃헙, 이력서, 포트폴리오를 보고 냉정하게 짚어쥬시는 부분이 비슷한 상황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정신이 번쩍 들게 해주시는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K-ij2mg
    @JK-ij2mg 3 ปีที่แล้ว +5

    자막이요? 음성만 나온다해도 그저 감사합니다ㅠ 개발자 지망생에게 피가되고 살이되는 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영상 잘 챙겨보고 있어요!

  • @user-zc8vm7yf4q
    @user-zc8vm7yf4q 3 ปีที่แล้ว +1

    언제나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pn2mj7zj6n
    @user-pn2mj7zj6n 3 ปีที่แล้ว +1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lob8118
    @lob8118 3 ปีที่แล้ว +1

    ㅎㅎㅎ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od4rm5jp7r
    @user-od4rm5jp7r 3 ปีที่แล้ว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 @Nathan-ly5fe
    @Nathan-ly5fe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이번에도 잘 들었어요

  • @sia7205
    @sia7205 3 ปีที่แล้ว +4

    개발직 취준하는데 이런 사례 하나하나가 도움이 많이 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user-bo8xh2fp2z
    @user-bo8xh2fp2z 3 ปีที่แล้ว +1

    매 영상마다 동기부여 받고 있습니다. 지방에서 올라와 취준중인 백엔드 개발자인데 더욱 더 정진해야겠어요~

  • @Lio_08
    @Lio_08 3 ปีที่แล้ว

    구독 좋아요 눌렀어여 >

  • @GameWoong
    @GameWoong 3 ปีที่แล้ว +3

    와 수염 진짜 잘 어울려요

  • @user-oi9rk8pk5m
    @user-oi9rk8pk5m 3 ปีที่แล้ว +7

    일단 서울쪽에 기반을 다지는게 먼저라고 봅니다. 프로젝트가 만들어지는곳도 서울이고 개발을 하는곳도 서울입니다. 그리고 그나마 트렌드에 맞춰서 개발이 되는곳도 서울이 제일 먼저입니다. 실력이 특출난게 아니더라도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한다는거 자체가 공방버프 받고 시작하는것과 같습니다. 이상 서울온지 10년차인 코드몽키입니다.

  • @user-nh3vr6kq2j
    @user-nh3vr6kq2j 3 ปีที่แล้ว

    잘 볼게용

  • @sang-son
    @sang-son 3 ปีที่แล้ว +11

    긴 영상에는 유튜브작대기에 소제목처럼 표시하는건 어떨까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25:37 이력서 평가 및 오승환급 돌직구 시작

    • @devbadak
      @devbadak  3 ปีที่แล้ว

      피드백 감사합니다! 저녁에 수정하겠습니다. :)

  • @ddaying
    @ddaying 3 ปีที่แล้ว +32

    제조 대기업에서 네카라쿠배쪽으로 가야하는가도 좀 다뤄주세요
    배민에도 제조대기업에서 오신분들이 잘적응하는지 실력은 어떤지도 궁금하네용 ㅎㅎ

  • @ding-co8036
    @ding-co8036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xlhj830704
    @xlhj830704 3 ปีที่แล้ว

    20분전은 못참지

  • @user-gs9ez3yh7w
    @user-gs9ez3yh7w 3 ปีที่แล้ว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luckytuesday7709
    @luckytuesday7709 2 ปีที่แล้ว +2

    많은 부트캠프들이 자바스크립트 지향 인 것 같은데 비전공자로 시작하려면 프론트로 가는게 맞는걸까요?
    자바/스프링을 가르치는 소수의 부트캠프들이 있긴 하지만, 자바 신입 공고를 봐도 대부분의 기업이 si기업인것 같아서요.
    아니면 노드js를 배워서 스타트업 백엔드로 들어가도 큰 기업들은 자바,스프링에 대해 굉장히 딥하게 요구하는거 같은데 그 이후에 이직을 생각하니 복잡해지네요.
    비전공자로써 프론트로 시작할지 백으로 시작할지 고민됩니다

    • @Artifgacky124
      @Artifgacky12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회사 초봉을 보면되죠 3500이상이어야 중견

  • @parksangdonews
    @parksangdonews 3 ปีที่แล้ว +1

    아니 !!! ㅋㅋㅋ 이분들.... 메이저 회사 다니는 분들이 이런 컨텐츠 하면 쪼랩 유투버는 뭐 먹고 삽니까 ㅋㅋ

  • @anju3097
    @anju3097 3 ปีที่แล้ว +25

    12:00 14:00 16:55(이건 그냥 건너뛰어도) 18:10 22:00
    서울 최상위권 IT기업 올려면
    쌉고수 경력자 or 값비싸고 난이도 높은 부트캠프 거쳐서 엘리트 신입으로 들어오기
    전자는 정말 '잘하는 사람'이어야 되고,
    후자는 어느정도 실력+금전적 여유도 가능해야하는데..그 '어느정도의 실력'조차 만만치 않다는 점.
    현재 주어진 것부터 잘할것

    • @devbadak
      @devbadak  3 ปีที่แล้ว +11

      핵인싸 유튜브에만 생긴다는 타임태그!!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호돌

  • @donglee_
    @donglee_ 3 ปีที่แล้ว

    구독자 1000명 가즈아!

    • @devbadak
      @devbadak  3 ปีที่แล้ว

      가즈아아아아아아앗!!!! -호돌

  • @user-ll2bp8qd9q
    @user-ll2bp8qd9q 3 ปีที่แล้ว +7

    안녕하세요 잘보고있습니다. 혹시 백앤드 개발자가 연차별로 갖추어야할 기술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나중에 컨텐츠 제작 가능하실까요!?

    • @user-ll2bp8qd9q
      @user-ll2bp8qd9q 3 ปีที่แล้ว

      연차별로 경력직 구인하는 정보보고 스스로 노력하는게 답일까요!?

    • @devbadak
      @devbadak  3 ปีที่แล้ว +6

      안녕하세요 신아가님 :) 각 연차별로 세세하게 갖추어야할 기술들을 소개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많을것 같은데요 :)
      대신에 주니어/미드레벨/시니어로서 갖추어야할 역량? 기술레벨에 대해서는 한번 컨텐츠를 고민해보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

    • @user-ll2bp8qd9q
      @user-ll2bp8qd9q 3 ปีที่แล้ว

      @@devbadak 감사합니다 🙏🙏🙏

    • @devbadak
      @devbadak  3 ปีที่แล้ว +17

      혹시나 주니어 레벨이시라면 예전에 네이버의 정상혁님께서 백엔드 개발자를 꿈꾸는 대학생들을 위해 이야기해주신 것들이 있어 참고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d2.naver.com/news/3435170
      해당 게시글에 상혁님이 직접 남기신 댓글이 있어 복붙해서 공유드립니다 (코멘트는 링크 공유가 안되네요 ㅠㅠ)
      본문을 꼭 정독 해보시고, 아래 댓글도 함께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
      신입기준으로는 당장 쓸 구체적인 응용기술을 아는 것도 당연히 선택을 받는데 도움이 됩니다.
      실무자들이 면접을 볼때 같이 나눌수 있는 이야기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신입이라도 당장 와서 일할수 있는 사람을 찾는 조직에서는 실무기술을 가급적 많이 아는 사람을 선호할듯합니다.
      그런데 실무 기술을 써본 경험이 있어도 그 기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수 없다면 오히려 경험 안했다고 이야기하는 것보다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Java로 DB를 쓰는 개발을 해봤다고했는데 그게 MyBatis를 썼는지 JPA를 썼는지도 모르는 경우입니다.
      반면 잠깐 써보고 아직 깊이 모르는 기술이라도 구체적인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면 더 긍적적인 요인이 됩니다.
      예를 들어 MyBatis를 처음 썼는데 어떤 상황이 어려웠고, 알고보니 MyBatis의 어떤 특성 때문이였고,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면, '이 사람은 쓰는 기술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을 하려고 했구나'를 느낄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이면 MyBatis를 당장 안 쓰고 JPA를 쓰는 프로젝트에라도 바로 적응할수 있겠구나 하는 느낌을 줍니다.
      신입 개발자를 채용할때는 현재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나 되는지를 넘어서 앞으로 얼마나 발전가능성이 있는지에 더 중점을 둬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면접관 입장에서는 자신이 잘 아는 기술을 단편적으로 물어보는것에 그치지 않고 사람이 가진 학습 능력, 학습 의지 등을 파악해야하는데, 당연히 쉬운 일은 아닙니다.
      지원자 입장에서는 성장가능성을 표현할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일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이 실무에서 쓰는 이미 잘 알고 있고, 그걸 학습해온 과정을 잘 설명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학교에서 한 팀 프로젝트라도 남 다르게 한 면이 있다면 실무기술을 잘 몰라도 충분히 앞으로 성장 가능성을 보여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코딩 테스트에서 문제를 센스있게 파악한다던지, 유창하고 거침없이 코딩을 할 수 있는것도 자신을 잘 드러낼수 있는 방법입니다.
      글을 쓰다보니 '신입개발자로 지원할 때는 자신이 앞으로 빠른 속도로 발전할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한데 실무에서 쓰는 기술을 일부 아는 것은 그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정도로 제 생각은 정리가되네요.
      글을 쓰다보니 몇년전의 어느 인턴 지원자의 면접이 기억납니다.
      Linux 커널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였는데, 사실 제가 인턴의 업무로 염두에 두었던 분야는 그쪽은 아니였습니다.
      코딩 테스트도 제가 계획한 둔 인턴 과제에서는 쓰지 않을 C++로 하기도했습니다.
      당시에 엄격한 기준으로 채점을 하는 시스템을 이용해서 코딩 테스트를 했는데, 그 시스템의 판정으로는 그 학생은 문제를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거의 답에 근접한 방식으로 코딩을 했고, 무엇보다 유창하고 거침없이 코딩을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였습니다.
      하나의 방법이 잘 안되자 그 다음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바로 빠르게 타이핑해나갔습니다.
      저는 그 학생을 합격시키고, 연관된 업무가 있을만한 다른 프로젝트 쪽에 추천을 드렸습니다.
      인턴을 거쳐서 그 학생은 최종 입사를 했습니다.
      그런데 처음 그 신입사원이 했던 분야는 그 학생이 깊게 팠던 Linux 커널등과 관련된 분야는 아니였습니다.
      Java웹개발과 JavaScript와 Angular.js로 FE개발까지 했던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때의 인턴은 몇년이 지나서 Linux 커널에 코드 기여를하고 Deview 2018에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deview.kr/2018/schedule/268) 라는 발표를 하기도했습니다.
      그 발표를 두고 어떤 분들은 DEVIEW 2018의 최고의 발표라고도 말씀을 하셨습니다.
      신입 개발자가 당장 실무에서 쓰는 기술을 알아야하는 채용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예로 위의 사례를 봐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 인재가 가진 역량이 당장은 아니더라도 장기적으로 발휘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신입사원을 바라보기도합니다.

    • @user-ll2bp8qd9q
      @user-ll2bp8qd9q 3 ปีที่แล้ว +1

      @@devbadak 아침 출근시간부터 바쁘실텐데 저에게 필요한 답변을 주심에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네이버 링크 및 답글 모두 정독하였습니다. 네이버 글을 봤더니 어느정도 윤곽?이 잡혀나가는 느낌입니다. 생소한 용어들도 많이 보이네요. 공부할게 많다는 생각이듭니다.
      개발바닥님께서 합격시킨 인턴의 일화를 보니 인턴님이 생각했던 Linux커널 관련 분야가 아니더라도 충실히 일을 하면 하고싶었던 일을 결국은 해내는군요.
      개발바닥님의 글이 많은 자극제가 되었습니다.
      몇번은 또 읽고 힘들때 되새길것같네요.
      앞으로도 양질의 유튜브 영상을 제작해주세요!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iyk5967
    @iyk5967 3 ปีที่แล้ว +1

    근데 si다니다가 메이저 it로 이직하는게 왜 힘든거죠? 그냥 메이저 it회사가 들어가기 힘든 거 말고 특별히 si에서 이직하는게 특별히 더 힘들거나 다른 이유가 있나요?

    • @whatalovelydog
      @whatalovelydog 2 ปีที่แล้ว

      컬처핏..?

    • @imsung_lim8776
      @imsung_lim8776 2 ปีที่แล้ว +1

      운영을 해보고 안해보고의 차이 아닌가요??

    • @user-xz3jp5xq3x
      @user-xz3jp5xq3x 2 ปีที่แล้ว

      요구하는 능력이 다르니까요.. si는 빠른 구축이 주된 업무인데 서비스 대기업은 대부분 마이크로서비스로 분기해서 서비스별로 어떤 경험이 있는지를 더 요구합니다

    • @adkjdjjd6435
      @adkjdjjd6435 ปีที่แล้ว +1

      빠르게 움막을 짓는게 직업이었던 사람한테 아파트 지으라 하면 힘든게 당연하죠...

  • @smooth6950
    @smooth6950 ปีที่แล้ว +2

    상담 받으신 분 근황이 궁금하네요

  • @user-wx2bc1fm8c
    @user-wx2bc1fm8c ปีที่แล้ว

    ㅇㄷ

  • @plussin2760
    @plussin2760 2 ปีที่แล้ว +5

    한 단계 더 성장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1. 결단력 🔪
    2. 주변 환경 🔪

  • @user-xq9sg7uh6q
    @user-xq9sg7uh6q 2 ปีที่แล้ว +10

    3년차한데 왜 부트캠프를 보내려하지ㅋ

  • @user-bn9id3om6u
    @user-bn9id3om6u 2 ปีที่แล้ว

    후....

  • @user-ts4gc1zr4f
    @user-ts4gc1zr4f ปีที่แล้ว

    이렇게 허들이 높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