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ridge's engineering secret people surprisingly don't know (An outstanding structure by spaghetti)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7 ส.ค. 2023
  • How much weight can a spaghetti bridge can hold?🧐
    -
    🏠 Geekble Homepage 👉 www.bit.ly/geekble_official
    🎓 Geekble Edu 👉 www.bit.ly/geekble_edu
    🎁 Geekble Shop 👉 www.bit.ly/geekble_shop
    📷 Geekble Instagram 👉 www.bit.ly/geekble_insta
    -
    🎨Instagram
    PD
    Galque / geekble.galque
    HollyBolly / hollybolly_geekble
    MK
    Chance / geekble_chance
    Sumsum / sumsum0330
    Namo / maker_namo
    Tunel / tunel_gihon
  • แนวปฏิบัติและการใช้ชีวิต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94

  • @Zerosg_k
    @Zerosg_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70

    미동도 없다가 한순간에 파삭 하고 부셔졌다는건 그만큼 힘 분산이 잘되었다는거 같네요

    • @user-k06gh7fp9z
      @user-k06gh7fp9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0

      원래 그렇게 부러져요.
      공학용어로 피로 라고 하는데 보통 균열은 외부에서 보이지만 저 피로라는 것은 외부에서 아무런 조짐이 없다가 내부에서부터 갈라지고 그때부터 순식간에 무너지죠. 반면 균열은 생겨도 피로에 비해 오랜 시간 뒤에 무너짐.

    • @Zerosg_k
      @Zerosg_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

      @@user-k06gh7fp9z 어... 휨이 거의없이 버티다가 부셔졌다는뜻이었는데 너무 줄여서 말했나봐요.

    • @user-cm3zk7zr9o
      @user-cm3zk7zr9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Zerosg_k그렇게 이해한거 맞는것 같아요.

    • @Zerosg_k
      @Zerosg_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user-cm3zk7zr9o 심지어 투넬님이 만드신거 라는것도 빼먹고 댓글을 달아버렸어요.

    • @user-by1ve4yp3g
      @user-by1ve4yp3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걸어놓은 케이블 타이가 당겨지면서 충격이 갔던것 같아요
      케이블.타이만 고정 잘 했어도 더 버텼을듯

  • @user-fe8gt5pp6k
    @user-fe8gt5pp6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0

    이런 느낌으로 메이커들별로 본인 지식 살려서 대회 하는것도 평소의 대결구도와는 다른 재미가 있네요

  • @user-gy8ph6jx6w
    @user-gy8ph6jx6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1

    다빈치 역시 천재다..

  • @ppoong119
    @ppoong11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특정 학과 간의 대결이라기 보다도 투넬님이 가장 똑똑하시네요 ㅋㅋㅋ 재료의 특성과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모티브한 최적의 설계

  • @newoMorrow
    @newoMorro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2위는 다리의 취지에 안맞는 위치에서 하중을 준듯함.. 다리라면 두 절벽(?)을 연결하는 수평대 위치에서 하중 테스트를 해야할것 같은데 삼각형 꼭지점에서 하중측정.. 다리라는 취지에 안맞을 것 같다는 생각임. 머 주최측의 생각은 다를 수도 있긴 하겠지만 다른 3분의 다리 구조와 비교해봐도.. 확실히 요상한듯 하네여

  • @user-sn3df4dm3z
    @user-sn3df4dm3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6

    전공생입니다.
    실제로 대학 다닐땐 한학기 과제가 저거였어요. 저렇게 짧은시간에 그것도 혼자서 했다는게 대단하네요.
    15년도에는 3명씩 무게 버틴순으로 학점을 줬는데 대단해요.
    수고한이들의 노려과 열정에 모두에게 박수를 보내고싶네요.

    • @user-cv7zk3te1x
      @user-cv7zk3te1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4분다 센스는 지림

    • @user-hh6kh6xe8c
      @user-hh6kh6xe8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전공자로서 비전공자의 작품을 보고 아이디어를 아낌없이 칭찬하는 열린 마음씨가 훌륭하십니다.

    • @user-bd3ex7xi7r
      @user-bd3ex7xi7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양식조리학과이신가요

    • @jwp-yh8wh
      @jwp-yh8w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대학교 전공수업은 정역학 분석 다해가면서 리포트쓰고 제작하니 오래걸리겠지

    • @nnnli5817
      @nnnli581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게 버틴순으로;;; 진짜 교수가 무신경하네요... 본드 어케 붙이는지에 따라,..즉, 결합부를 어케하는지에 따라 하중이 엄청나게 차이날텐데..
      이건 테크니션의 영역입니다. 대학에서 이거 잘한다고 학점 잘주는건 정말 이상한겁니다.

  • @dolljong
    @dolljo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9

    토목공학과 학생들은 자주 하는 게임인데, 비전공자 분들이 하니 더 재미있네요. 특히 다빈치의 노트를 참조한 교량은 전공자가 봐도 멋진 아이디어였습니다. 접착제를 썼다면 훨씬더 많은 하중을 버텼을 거라 생각됩니다.

    • @user-dz1tp6ez9f
      @user-dz1tp6ez9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보통 전공자들은 어느 정도 무게까지 버티나요?

    • @Charming4
      @Charming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user-dz1tp6ez9f 재료마다 다르죠
      스파게티여도 시간제한 있으면 영상이랑 엄청나게 차이나진 않을 것 같네요
      1. 학부 학생의 시각으로 재능 부족
      2. 토목공학과 학생 특성 상 손재주가 좋을 확률이..
      3. 사실 2~3학년까진 구조역학(정영학) 수준이라 실제 설계는 힘듦
      이점이라고 해봐야 트러스나 아치 구조에 가해지는 하중이 0이 되는 지점을 이용해 그 쪽 재료를 아끼거나, 보강해 추를 달아주는 것 말고는 없을거에요

    • @try750
      @try75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토목공학과 재학중인 4학년인데 저거 어케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scpisces
      @ascpisce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user-dz1tp6ez9f 하버드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생인데 스파게티 다리구조로 3대 500 쳤습니다.

    • @spyfamily_
      @spyfamily_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찬스님은 하중분산을 다리끝까지 안만들어놓으셔서 아쉽네요

  • @nautregeajugi
    @nautregeajug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4

    투넬님은 처음 등장부터 참 잘하시는듯 ㅎㅎ 긱블은 어디서 저런 인재들을 데려오시는건지 ㅋ

    • @user-dz1tp6ez9f
      @user-dz1tp6ez9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 나라에 여기저기에 노는 인재들 많습니다ㅎㅎ

  • @rpdlatk
    @rpdlat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7

    한때 폴리브릿지(Poly Bridge)라는 다리 만드는 게임을 좀 열심히 해봤는데..
    1. 삼각형은 사기다
    2. 아치는 개사기다
    3. 직선으로 만들거면 무조건 트러스
    4. 모든 연결부위는 잠재적 파괴요소다 되도록 한번에 연결하자
    이런 나름의 이유를 갖고 다리를 만들었었음. 물론 나중에 가면 차를 날려야 하고 이러는데 그런 난이도에서는 저런거고 뭐고 막 슝슝 날렸고..
    아무튼 결론은 투넬님 잘 만드셨다
    삼각형과 아치의 조합은 최고다

    • @iron7miner
      @iron7mine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ㄹㅇㅋㅋ
      리무진은 개똥망 차이다

    • @eyebrows5318
      @eyebrows531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슈넬은 치킨이고

    • @rpdlatk
      @rpdlat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eyebrows5318아 ㅋㅋ 자동완성 이슈

    • @TaeikJang_
      @TaeikJang_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다?리 만드는 게임

    • @rpdlatk
      @rpdlat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TaeikJang_ 몰?루 아무튼 다리임

  • @user-we6wv2hk7u
    @user-we6wv2hk7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런 대회가 있다고 들었던 거 같은데 동영상으로 보니 흥미진진하네요. 궁금해한 것은 직접 실험하고 실천하는 열정을 응원합니다.

  • @ykyeom
    @ykyeo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하중의 분산이 중요하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추가 연결된 좁은 부위에 하중이 지중이 되면서 부러지는 것이 문제네요.

  • @terrychong
    @terrycho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역시 아치다리는 건축과 엘리트분들께서 연구한 끝에 나온 제일 안정적인 구조였다!!

  • @dvhnghmjgmjh3402
    @dvhnghmjgmjh340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무게중심을 위에 둔 2번째는 탈락이지 다리가 꼭대기에만 하중이 간다는게 말이 안되지

  • @yooop7355
    @yooop735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요런 대결 참재밌습니다 ㅎㅎ 다음 대결도 기대하겠습니다

  • @goandagain
    @goandagai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같은 컨텐츠로 구독자 대결 하시거나 대학별 대회 같은거 하셔도 재미있을듯합니다 ㅎㅎ 잘봤습니다

  • @XechDei
    @XechDe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스파게티면으로 해서 그렇지 나무젓가락이나 돌을 가공해서 만들면 더 오래 더 강력한 다리가 되겠네요! 되게 흥미롭게 봤습니다 ㅎㅎ

  • @jun_smath
    @jun_smat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스파게티로 만든 다리가 저렇게 튼튼하게 무게를 지탱할 줄은 몰랐네요. 재밌게 잘 시청했습니다. 앞으로도 재밌는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그리고 전공자분들 존경합니다. ㅋㅋㅋㅋ

  • @user-ci1bo1yg2o
    @user-ci1bo1yg2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두번째 테스트 숨숨님의 다리는 건널 수 없는 다리라 기본 탈락!!! ㅋㅋㅋ 재밌는 컨텐츠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wr6fq4
    @wr6fq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요런 다리 구조 전부터 궁금했는데
    알고리즘아 이끌어줘서 진짜 고맙다!!

  • @danhana746
    @danhana74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재미있어요!

  • @user-wf6ng2rw7t
    @user-wf6ng2rw7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옛날 탱크들이 경사 장갑을 사용한 이유가 있는듯해요.. 역시 길이를 두께처럼 사용 할 수 있는 다리가 가장 잘 버티는것 같네요 잘봤어요!!

    •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탱크의 경사장갑은 도탄을 노린건데요...

  • @cafe802
    @cafe80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멋진 실험 잘봤어요~~
    브릿지 게임을 실제로 시도하는 칸텐츠 대박 ^^

    • @user-fv8lp5rk1m
      @user-fv8lp5rk1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amourmuse
    @amourmus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학 때 교내에서 매년 했던 대회였는데 다시 보니 잼있네요.

  • @user-hm7xf9ee5k
    @user-hm7xf9ee5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만드는 재미가 쏠쏠. ㅋㅋ 학교때 생각난다.

  • @Han-qb4vr
    @Han-qb4v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들 손재주가 좋으시네😂

  • @_areums_
    @_areums_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흥미로운 주제였어요:)

  • @user-zm7ox2kv2b
    @user-zm7ox2kv2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보는것만으로도 흐믓하고 미래는걱정안해도되겠다는생각든다 젊은이들의 앞날을기대합니다 😂😂😂

  • @jackey0206
    @jackey020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 ㅋㅋㅋㅋ 진짜 신박하고 재밌네요 ㅋㅋㅋㅋㅋㅋㅋ

  • @MNMNM1111
    @MNMNM111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1번과 3번의 경우 대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이고, 4번의 경우 철교다리에서 자주 봤던 구조 같네요

  • @user-on3ui7pn4o
    @user-on3ui7pn4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 몰라서 그러는데 다빈치의 아치형이라면 케이블을 아치구조 위에 연결해야 힘을 분산받지 않나요?
    아치구조 아래의 직선에 연결하면 아치형의 어드벤티지를 잘 못받을것같은데... 궁금하네요

  • @user-rp9ji6sf6n
    @user-rp9ji6sf6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우왕ㅋㅋㅋㅋㅋ근데 나모님 다리가 얇은데 잘 버텨서 진짜 신기...

  • @user-dk7tj5wm7o
    @user-dk7tj5wm7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릴 때 아이스크림 막대로 다빈치의 다리 만들던게 생각나네요 ㅎㅎㅎ

  • @SuperFordom
    @SuperFordo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위쪽에 아치형 처럼 밑 쪽도 아치형이였으면 좀 더 버티지 않았을까요.? 멋지내요 ^^
    바퀴를 반 쪽으로 짤라 놓은 디자인요.

  • @w-jk8699
    @w-jk869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옹 스파케티 챌렌지 팀전해서 문 VS 이 VS 예 하면 잼겠다

  • @user-zw8yk4vr7m
    @user-zw8yk4vr7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근데 룰을 만약 든무게 ÷다리무게로했으면 좀더 공평했을듯

  • @Tiger-Jr
    @Tiger-J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숨숨님 3등 🎉...근데 투넬님은 저번부터 뭔가 이과같은 느낌이다 했더니 제품디자인 전공이시군요..문과대 이과... 예체능도 신설해야할듯

  • @mechateche
    @mechatech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스파게티 만들기 경연을 참가 해본적이 있습니다. 그때 느낀 점은 설계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좋은 접착제를 선택했는지, 그리고 잘 경화시켰는지가 성능을 크게 좌우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의외로 디자인에 많은 것을 집중하다보니 놓지기 쉬운 점이었던것 같습니다.

    •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
      좋은 재료는 디자인 이전의
      문제입니다.
      여기서 언급할만한게 아니죠.
      저런 대회에선 같은 재료로 누가 더
      잘버티게 만드냐는게 목적이죠.
      접착제 종류를 따진다면 애초에
      구조물의 재료도 스파게티면이 아닌
      다른걸 쓰면 되는거 아닌가요?

    • @marineZealot
      @marineZealo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ph8xc6ru8p말꼬리 잡기식 딴지.. 얼마나 잘 경화시켰는가 조이고 닦고 기름치기도 잘해야 된다 라고 이해하면 될걸..

    • @szania1207
      @szania120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참가해봤습니다. 결국은 설계보다 시공입니다 ㅋㅋ

  • @sergioygkeke
    @sergioygkek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흥미롭네요

  • @jishint2520
    @jishint252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다리를 만들라는거 아닌가요? 두번째는 다리가 아닌데

  • @user-td3gs1vb6k
    @user-td3gs1vb6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보겠습니다!!!

  • @user-rf3gl7hb3x
    @user-rf3gl7hb3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혹시 휴대용 애어컨가능한가요 예를들면 지게에 실외기가밑어있고 위에 정말간단한 애어컨이 사람을향하게 해서 태양열로 작동대게하주세요

  • @bullrim
    @bullri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조별 과제로 스파게티 다리 많이 하던데 이제 이게 매뉴얼이 되지 않을까요 구조 참고 많이하겠네요 ㅋㅋㅋㅋ 저는 과제로 배만들어서 무게 견디기 했었는데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 @wk9399
      @wk939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허접함

  • @user-ns5xc1lf1k
    @user-ns5xc1lf1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대학 때 강교량 경진대회를 2회 해봤는데 스파게티 면은 생각도 못 했네요ㅋㅋㅋ

  • @LENNY-22
    @LENNY-2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공대출신으로 추억팔이 하자면
    신입생 ot때 밤에하던 전통적인 놀이중에 하나였음 ㅋㅋㅋ
    계란을 빨대와 고무줄로 만든 구조물로 감싸서 어느조가 제일 높은데서 떨어뜨려도 안깨지나
    나무젓가락과 실 접착제만으로 구조물 만들어서 소주박스 어느조가 많이 올리나
    ㅋㅋㅋ 추억돋네요

  • @pbotaku
    @pbotak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힘 분산 실험 급나게 재밌는데요? 저도 해봐야겠어요!

  • @audtjr1125
    @audtjr112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콜라 김 빠지는 문제에 대해서 해결가능할까요?
    어느정도 먹은 콜라인 경우,
    병을 눌러서 콜라를 제외한 병 내부의 기체를 빼고 보관하는것과,
    그대로 보관하는 것 중에서
    어떤것이 더 콜라의 탄산을 오래 유지시킬까요?
    병의 변형력으로 인한 기압 감소가 더 큰 요인일지,
    기체교환이 더 큰 요인일지,
    이 외에도 여러 변수가 있을텐데요.
    전공이 아니라서 생각을 못하겠네요.
    유튜브에 쇼츠가 좀 있고
    사람들이 은근 궁금해할 것 같아서 제보드립니다.

    • @audtjr1125
      @audtjr112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관련 영상입니다

  • @LHKtube
    @LHKtub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사실상 2 vs 3 대결구도이나 2는 부재간 지지해주는 부분이 너무 멀어 3번이 가장 강할것.
    ps. 아니 찬스님 펼쳐본 책 보고 찬스님 잘만들겠지 했는데 저게 뭐야 ㅋㅋㅋㅋ

  • @diem7902
    @diem790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긱블팀도 자신들이 멋진 사람들이라는걸 알까
    진짜 찐으로 멋있으십니다

  • @Hershucreambread
    @Hershucreambrea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번엔 스타게티 탑이지만 이제는 업그레이드해서 스파게티 다리네요

  • @notek9425
    @notek942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번이 최고인것 같은데
    최소한 재료로 최대의 효과.
    같은무게의 재료로 해야 경쟁의
    우위가 확실히 보일것 같은데
    ? ㅡ재밌네요

  • @starcoke_0
    @starcoke_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숨숨님 볼려고 긱블 본다 좋아요 꾹

  • @dayoung-TV
    @dayoung-T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말 대단해요
    아직 초등학생이지만
    열심히 공부해서 긱블 채널에 나오고 싶어요~

  • @sumsumslife
    @sumsumslif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3번이요

  • @user-lr4ti4fz4f
    @user-lr4ti4fz4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단순 무게로 봤을때는 투넬님이 1등이지만 다리 자체 무게 대비 버틴 하중으로 계산해야 맞는게 아닐까 생각됨

  • @acekwang
    @acekwan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간단하게 세명은 어떤설계를 했든 다리 끝부분은 그냥 스파게티 한줄임 그나마 니모는 삼각형으로 만들어 길게 무게가 받게 했음
    우승하신분은 위아래 스파게티가 연결되서 두줄임

  • @etoilepetit5671
    @etoilepetit567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섬네일 보자마자 '이건 아치지!' 생각했는데 확실히 아치가 근본의 구조네요 ㅋㅋ

  • @user-gd3hq8qh6v
    @user-gd3hq8qh6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8

    나모님이 2등하긴했어도 초경량으로 2등했으면 사실상 우승이나 다름없는듯요 ㄷㄷ

    • @maker_namo
      @maker_nam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헤헷

    • @minimini99453
      @minimini9945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pd3rm8df2b능지미달 ㄷㄷ

    • @user-gd3hq8qh6v
      @user-gd3hq8qh6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pd3rm8df2b 하긴요 능지처참도 지능이 많이 딸린다 이런식으로 표현하니깐요 ㅎㅎ

    • @user-rj2tr8eu5i
      @user-rj2tr8eu5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게비율은 1등

  • @jun9
    @jun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런데 무게추를 매다는 방법?에 대한 변수는 없을까요? 다들 한점에 무게가 집중되는데 마지막분은 약간이지만 좀 간격이 있게 연결되어서요... 큰차이는 아닐것 같지만....

  • @user-wy5bg6kd6y
    @user-wy5bg6kd6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역시 나모님 대단하시네요 ㅎㅎ 비록 2위 하셨지만 가장 적은 재료를 써 최고의 효율을 내셨네요 ㅎㅎ

  • @namefirst3498
    @namefirst349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다른 다리들은 무너지는 징조가 먼저 보이는데...
    마지막 것만 작은거 하나 부러지니 대책없이 무너지는...
    게임 처럼 어디가 하중을 많이 받는지 실시간으로 나오지 않다보니 궁금하다... 무너진 이유...
    시뮬레이션 영상도 하나 추가해야 하지 싶다...

    • @vfrtgyuhv33
      @vfrtgyuhv3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앙에서 수직으로 아래로 당기는데 세로 지지대가 많이 얇네요 다른메이커 처럼 그부분 두께도 비슷했다면 ..? 음 딴말인데요 차라리 두께는 스파게티 면 5개겹치기 라고 똑같이 제한했다면 아님 총갯수제한으로 어느정도 중량 맞췄었으면 어땠을까요?

  • @autoeggnet7192
    @autoeggnet719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사용된 스파게티의 총량이 모두 같았어야 정확한 실험아니었을까 싶습니다

  • @W_childbird
    @W_childbir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역시 예상한대로 아치형의 승리로군...
    이상 건축생도였습니다

  • @nessenty
    @nessent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래에서 하중을 받쳐주는 기둥 간격이 넓은경우 즉 바다에 배들이 다니는 통로가 필요한 큰 대교를 짓는 경우는 거의 현수교를 짓더군요

  • @ryu8596
    @ryu859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마지막 트러스트 공법이 역시 ㅋㅋ

  • @user-yn4rq4pu5b
    @user-yn4rq4pu5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다비치 당신은 도대체

  • @HiElvine
    @HiElvin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역학에서 분포하중 공부하다 보면 하중이 어떤 식으로 형성되는지 알게 되고 그 형상대로 힘이 분산되도록 제작한 팀이 이기는 것이 당연하지.

  • @user-gu9dp3zk2k
    @user-gu9dp3zk2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솜솜님 너무 이뻐요

  • @superduke1290RR
    @superduke1290R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아치트러스는 교재에도 나오는 구조죠ㅋ
    길이방향 인장은 꽤 잘 버티고, 좌굴에는 약한 구조의 형상과 휨에는 잘 못버티는 취성재료라는 특성을 잘 이해하시고 만드신듯.
    재료 형상이랑 특성을 직관적으로 잘 파악하시는거 같네요
    구조상 압축을 받는 부분에서 좌굴을 버티지 못하고 터진거같네요ㅋ

    • @memenkim
      @memenki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하중을 위에 달아서 아치힘을 받게 했으면 훨씬 많이버텼을듯

  • @yodaalien540
    @yodaalien54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레오나르도 진짜 천재네

  • @woo6458
    @woo645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스파게티 다리 만들기 한거 생각나네요. (버티긴 엄청 버텼는데...얼마까지 버텼더라...) 타 학과 과제도 들은적이 있는데 주제가 '되돌아오는 비행기 만들기'라던가...

  • @---moom---
    @---moo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스파게티면이라..면을 더많이 겹치던가 강력접착제를 넓은 면적에 사용하는게 구조이외의 변수를 주기도 할듯

  • @_sura
    @_sura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20년전에도 창의적 공학설계란 과목으로 저 대회를 했었죠 ㅎㅎ

    • @user-yb1cb2gq1n
      @user-yb1cb2gq1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그때 수상을 했죠ㅎㅎ20년전 고등학생때..ㅠㅠ

  • @hugok7262
    @hugok726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재료공학적인 측면에서는 접착제를 뭘 쓰는지는 모르겠는데 갈아서 접착제랑 반죽하고 굳히는게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 @user-lk6dn4lk3v
    @user-lk6dn4lk3v 25 วันที่ผ่านมา

    케이블 타이가 설치된 부위의 스파게티 면이 하중을 많이 받아서, 그쪽이 다들 파괴 되는것 같네요. ㅎㅎ

  • @elisha6455
    @elisha645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찬스님 작품의 문제는 삼각형이 아니라 단순 직선형 다리가 하중을 버텨야하는구조라 사실 삼각형구조를 조금 크게 만들어서 책상사이에 걸리게 만들었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오래 버텼을것같네요 보면 삼각형 부분이 부서진게 아니라 걸리는 다리부분이 부서진걸 봐도…

  • @user-eo5ve7gz6k
    @user-eo5ve7gz6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근데 230g으로 430g 하고 기록 차이가 적은 나모님 대단하네

  • @yong-jayyu215
    @yong-jayyu21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역학과 재료공학이 기본이고 바람과 차량주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등때문에 유체역학과 진동학이 필요함...^^
    사실 조건중에 몇가지 더 넣어야 하는것이.. 실제 차량등이 통행할수 있는구조여야 한다는거..
    추를 달위치를 차량주행가능한곳의 중간지점이여야 한다는거..
    테이블 하단부사용잎금지 라던가..등등
    사실... 찬스의 경우도 중간부분아래에 바닥에서부터 올라오는 기둥 두개만 넣어주어도 다른것보다 많이 버틸수 있음^^
    가장좋은 전제조건중에 하나는
    길이60cm에 폭 5cm의 얅은 하드보드지를 변형시키지 않고 그 중간에 추를 매다는 방식으로^^
    테이블 상부만 이용가능하게 했다면 더 재미있었을거다

  • @saka4242_
    @saka4242_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와... 현실에서 폴리브릿지라니...

  • @user-bs4vy7yz3d
    @user-bs4vy7yz3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안전성과 경제성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진정한 승자는 나모님 같다 ㅎ
    내가 아프다고 티를 내는 건 현대사회에서 중요하지.
    전조없이 터져버리는 것만큼 위험한 건 없다고 봄.

  • @user-sf9vd3fp6c
    @user-sf9vd3fp6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뭐로 붙인건가요? 저 스프레이 뭐에요?

  • @mrpumkin1238
    @mrpumkin123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폴리브릿지 공략 감사합니다

  • @user-sm4yv1nz2s
    @user-sm4yv1nz2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라떄는 경쟁하는 조가 추 매다는 위치를 정해서 전 부위에서 버티게 했어야 했고
    2번째 처럼 상부에 하중을 준 저런 그림은 나오지 않았고, 구슬을 굴려서 지나갈 수 있는 다리여야 했음.

  • @user-db1nh3gm1b
    @user-db1nh3gm1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다빈치형 폼 미쳤다.

  • @ccomjipp320
    @ccomjipp32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다리 무게당 하중으로는 나모님이 1등!! 투넬님 16.1그램, 나모님 22.8그램. 엔지니어링 관점으로는 무게당 하중도 중요한 의미가 있지요~~^^

    • @wk9399
      @wk939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게더중요하지 돈이니까ㅇㅇ
      현대공학에서 경제성을 뺀다?
      어불성설이지 맞지

    • @sharkbaby1004
      @sharkbaby100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저도 경제성을 고려하면 나노님께서 1등이라고 생각되네요

    • @user-de9on5jf8u
      @user-de9on5jf8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저도 나모님의 결과가 놀랍네요. 게임 룰에 무게제한만 있으니 투넬님 1등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아치형 구조는 레퍼런스가 이미 있기도 하고... 재료 형태를 최대한 살린 간단한 삼각 조합으로 저만한 무게를 버텨낸 게 더욱 놀랍습니다.

    • @jishint2520
      @jishint252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나모님껀 건너기 위한 다리가 아니고, 하중을 받는 위치가 꼭지점이니 취지에 안맞는거 아닌가요

    • @user-de9on5jf8u
      @user-de9on5jf8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jishint2520 너무 진지하게 가셨네요. 진짜 다리를 세우려는게 아니고 스파게티 가지고 게임 하는건데..

  • @user-ky2bj9vd5k
    @user-ky2bj9vd5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약간 아쉬웠던 부분은 무게제한과 하중위치를 고정하지 않았던 부분 같습니다. 구조물이 무거울수록 버티는 무게도 커질테니까요

  • @user-sb4mt8zw8r
    @user-sb4mt8zw8r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번에 접착제 없이 다빈치 다리 만들기를 한 번 한 적 있는데 그 때도 균열의 징조가 없다가 한 번에 타다닥 튀는 듯이 갑자기 다리가 무너지더라구요 혹시 이게 다빈치 다리의 특징인걸까요? 그렇다면 무슨 이유로 그런 건가요?

  • @user-fl9hb1sl4y
    @user-fl9hb1sl4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헉 실시간이구낭 ㅋㅋㅋㅋㅋㅋㅋㅋ

  • @CarpeDM0911
    @CarpeDM091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조때문인지 재료사용량때문인지 기준이 다르기때문에 실험전제조건의 오류~~ 같은 양의 스파게티양을 썼어야 함. 삼각형구조의 다리가 가장튼튼해보인다

  • @delusion7460
    @delusion746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폴리브릿지 많이 하다보니... ㅋㅋㅋ 익숙하다

  • @user-bs4xi2cq2c
    @user-bs4xi2cq2c 15 วันที่ผ่านมา

    2탄 해주세요.

  • @omen_is_your_back
    @omen_is_your_bac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4번일수도 있을거같아요 ㅋㅋ

  • @metacats2017
    @metacats201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위와같은 경계조건을 주면 위상최적화에서 무조껀 아치형태 나옵니다. 아치형태 트러스가 최적이라는거죠

  • @yoilk6336
    @yoilk633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숨숨 이쁘담

  • @user-ju3nf6ys1w
    @user-ju3nf6ys1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물리학과, 기계공학과, 건축학과, 토목공학과. 정석중에 한명은 있을줄알았는데 없어서 의외였고 그래서 재미

  • @LexLee95
    @LexLee9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래오나르도 다빈치 진짜 감동이다

  • @GreenChlorophyll
    @GreenChlorophyl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누르는 힘을 분산시키는 아치의 꼭대기에 연결부를 만들었다면 엄청 버텼겠는데요?
    뭐, 까보기 전까진 모르지만^^

  • @user-se5pk8sy8o
    @user-se5pk8sy8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ㅘ! 폴리브릿지 아시는구나!

  • @veritas5555
    @veritas555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두번째 것은 다리(?)가 아니다. 따라서 실격처리하는 것이 타당해보인다.

  • @user-eo8ch1xt4r
    @user-eo8ch1xt4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폴리브릿지 고인물 vs 공대생 같은 느낌으로 한 번 더 하면 재밌겠네요 ㅋㅋㅋㅋ

  • @wowersdh1
    @wowersdh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