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앙부처 소령은, 경감급으로 같은 대우를 합니다...' 과거 대위급이 경위로 특채 된 적이 있어요.... 소령은 일반직 공무원과 비교하면 국방부와 행정안전부처럼 일반직 공무원과 같이 근무하는 행정부처에서 6급 주무관과 동일한 보직에 보임된다.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에서의 소령은 담당인 사무관 내지 중령 아래의 일반 실무자이다. 방위사업청의 소령은 총괄담당인 사무관 아래 세부담당(실무자)으로 보임되며공보자료, 행정안전부 상황담당관실[55]에서의 소령은 타부처 파견관과 함께 팀장 직위에 보임되고 있다.[56] 다만 최근 행안부 상황담당에 5급(일반직 5급, 경정, 소방령)이 '팀장'이고 6급 이하가 '팀원'으로 분류되는데 소령이 주로 5급 상당 직책인 국방부 1~4 팀장으로 분류되었다.[57][58] 소령으로 퇴직한 군인은 비상계획관에 지원하거나 경위와 소방위 경력경쟁채용 지원이 가능하다. 봉급 및 각종 수당은 4급 공무원 수준의 금액을 지급받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수당은 4급 군무원에 준해서 지급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관리업무수당이다. 이는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일반직 공무원은 4급으로 규정하였지만 군인과 군무원은 국방부에 위임하였다. 소령은 타 특정직 공무원이랑 비교하면 경찰의 경감, 소방의 소방경이랑 대응하고 사기업으로 치면 과장이랑 대응한다.
군대, 경찰 계급 비교간 말들이 많은데~ 현재, 정부(행안부)에서 선발하고 정부 각부처, 대기업, 공기업, 은행, 병원 등에서 임용하고, 국회, 대법원에서 별도로 시행중인 예비역 장교 비상계획관 선발/임용 제도(지침)를 보시면 정리가 좀 되실듯 하네요 (비상계획관 출신) * 현, 비상계획관 선발/임용😊 * 예비역 대령 - 2~(3)급 고위공무원(정부 각부처, 시.도청 지자체 국장급, 국회, 대법원) - 부장 급(삼성전자 등 대기업, 대형 공공기관/기업/은행/병원) * 예비역 중령 - 4급 공무원(서기관) : 규모가 비교적 작은 정부 부처 - 차/부장 급(주로 부장 급) : 중견 사기업체/공공기관/은행/병원 등) * 예비역 소령 : 생략(소규모 선발)
지잡은 모르겠고 총경이면 원스타 이상 정도 입니다 총경이랑 대령이랑 비교 할 수가 없음 총경은 지방 서장이고 즉결심판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어마어마한 계급이지요 대령이 경정 정도 입니다. 소령,중령이 경감 정도.. 알티.삼사.육사 나와서 대위까지는 쉽지만. 소령부터 좀 힘들죠... 경대도 경위는 바로 달지만 경감 다는 거 쉽지 않습니다.. 경감은 10년 이내 달아도 경정은 후덜덜하죠.. 군인은 소위 중위 대위 쉽게 가지만 경찰은 경위 이상부터은 10년 이상 걸리는 경우 많습니다. 제 의경 때 경대출신 소대장이 16년 동안 경위로 있었다는..... 경감부터 진급하기 정말 힘듦니다.. 경대나와도 경졍에서 끝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육사나와서 대령에서 거의 끝나는 것 처럼요. 군인이 그래서 스타스타 하는 것 입니다.. 경찰의 스타는 총경인것처럼요.. 참고로 경찰 변호사 특채가 경감부터 시작인 걸로 알고 군대는 소령부터 달라주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렇게 따지면 경감=소령 이상이죠
경찰 간부가 되는 방법은 경찰대 말고도 여럿 있죠. 행정고시 , 사법 고시 등 고시를 패스 하고 특별 채용되는 경우 경감 OR 경정으로 특채가 있고, 경찰대가 없던 예전에는 경찰간부후보생이라고 해서 4년재 대학을 나와서 시험을 봐서 경위로 임관하는 경우가 있어요. 경찰은 순경에서 시작해서 경위 경정 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많고요. 예전에는 치안정감이 딱 4자리 밖에 없었어요. 서울지방경찰청장, 경찰청 차장, 경찰대 학장, 경기지방경찰청장 요롷게 4개... 근데 지금은 광역시 중에 인구가 많은 인천, 경기남부 , 해양 경찰 까지 포함해서 현재는 9명이 있습니다.
급수로만 따지면 그렇긴한데 조직내 지위와 사회적 위치를 고려하면 경위=소위, 중위 경감=대위로 비교하긴 무리가 있는것 같아요..! 저도 군장교 출신이지만 육사출신 장교가 되는건 어려워도 다른 출신 장교가 되는건 쉽고 대위라 해봤자 27-28살에 진급을 해요. 그래서 각 조직에서 이정도면 높은 계급이라고 인식하는 시작점이 중령과 경감, 경정이니 비교가 되는것 같아요. 굳이 따지자면 경감은 중령보다 조금 낮고 경정은 조금 높은 느낌인 것 같네요. 완벽한 비교는 불가능하지만 이렇게 매칭하는게 개인적으로는 그나마 비교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소위 = 순경 중위 = 경장 대위 = 경사 소령 = 경위 중령 = 경감, 경정 대령 = 총경
군사 정권 시절 군의 직급을 너무 높여놨어요.. 실질적으로 그 직급을 사회에서는 인정못받지요.. 중령을 5급 정도, 소령을 6급 정도 보는게 맞을 것 같아요.. 경찰 총경(4급)은 대령과 비교되지만 총경이 사회적 지위는 높다고 봐야지요.. 경찰서장이니까요.. 실제로 국방부 과장을 대령이 맡는데, 중앙부처 과장은 보통 4급이거든요..
제가 해경의경 시절에 당시 경찰서장님이 순경특채로 들어오셔서 서장 다신 당시에 연세가 50중순이셨었는데 만 59세때 경무관까지 다셨더라구요. 세월이 많이 흘러서 아마 경무관 다시고 지방청에서 국장하시다가 그 해에 퇴직하셨던걸로 나오시던데 성격도 좋으시고 업무처리도 엄청나게 잘하셨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실제로 의전서열은 경찰이 한단계씩 아래죠. 군대에서 원스타 = 치안감(큰무궁화2개) 이런식으로해서 경찰청장은 3성장군이랑 같은 급이 됩니다.(4성장군은 한단계 더 높은 검찰총장이랑 같은 의전서열) 이번정부에서 경찰청장을 장관급으로 올린다는 얘기가 있던데 흠.... 어캐될려나 ㅋㅋ
공직의 의미를 끗발에 두는 이가 많읍니다. 권한없는 공무원은 관공서에 근무하는 월급쟁이에 불과하니까, 권한이 있는 자리가 훨씬 공무원생활을 하는 맛이 납니다. 끗발없는 자리는 속 빈 강정이지요. 그래서 옛날부터, 공채시험 응시때, 사법고시나 하위직도 검찰직이나 출입국 관리직, 감사직 등 힘있는 직종이나 부서를 선호하게 마련이고, 성적우수자들이 많이 좋은 부서로 배치받읍니다.
순경-하사 경장-중사 경사-상사,원사 경위-준위,소위,중위,대위 경감-소령 경정-중령 총경-대령 경무관-준장 치안감-소장 치안정감-중장 치안총감-대장 경력평정표 등 예규를 보고 대위가 5급이다 그러는데 예규는 법규성이 없는 내부사항일뿐이고 특정직인 경찰,군인을 일반직 몇급이다라고 정한 법은 없음 그러나 실질적인 보직 및 공직자윤리법 등에서 대응하는 직급으로 봐서는 이게 거의 정확합니다.
페이스북에서 경찰과 군대를 나쁜쪽으로 비교하는 기사를 본것같아서 혹시나해서 하는소리지만 그렇지만 둘다 힘든 직종이지만 군대라는곳은 본인의지가 아닌 억지로 끌려왔든 원해서 갔든 결국은 의무가 있는곳이죠 그리고 어느직업이나 위험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휴전국가라서 잠재적인 위험지역입니다 발목 지뢰라고하죠 목함 지뢰도발이나 폭격 도발도있고 소방관도 힘들고 군인도 힘들고 경찰도 힘들고 다 힘들지 어느 한쪽이 꿀빤다는건 없는것같아요
참고로 해양경찰청 내무부(현재의 행정안전부, 경찰청은 현재 행정안전부의 외청임.) 치안국 소속이었다가 상공부 소속의 해양경비대, 내무부 치안국 소속의 해양경찰대로 환원된 후 경찰청 소속의 해양경찰청으로 바뀌었다가 해양수산부의 외청으로 바뀌었죠. 세월호사건 이후 일시적으로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바뀌었다가 다시 해양수산부 소속의 해양경찰청으로 바뀌었습니다. 2004년 1월1일 까지는 해양경찰청장은 치안정감(이임(2004.1.1. 이승재 해양경찰청장에게 이임하고 퇴임)한 서재관 해양경찰청장은 퇴임시까지 치안정감으로 근무하였음.)이었다가 2004년 1월 1일에 취임한 이승재 해양경찰청장부터 치안총감으로 승격되었습니다. 과거 경찰청내 조직이었기 때문에, 경찰청장보다 한 계급이 낮았던 거죠.
장교는 한해 6000명이 임관하면, 1000명만 장기복무에 선발되어 정식 직업군인이 되죠. 그래서 장기복무에 미선발 등으로 단기/중기복무후 전역을 하게된 중위, 대위급 장교들 중에서 타공무원으로 응시해서 가는 경우도 많죠. 대위로 전역후 다시 부사관으로 임용하면 중사로 재임용되는데, 그렇게 오는 케이스들도 많다고 하더군요.
군인 계급 내려치기 심한거같은데ㅋㅋㅋㅋ 그냥 공무원 상당계급 기준표 대로가 맞음; 평시여서 그렇지, 전시 기준이면 대위만 해도 중대 100~250명 가까이 생사이탈권 갖고있는데 오히려 부족한 감이 있는게 맞음. 경정이 지휘하는 한개 기동대가 100명이 안되잖아ㅋㅋㅋㅋ 계급 상당 대우를 평시따로, 전시따로 두는 것도 이상하고; 이번에 터진 계엄만 해도 군단 기준 계엄사령부 각 처 실무 장교들 위관급임ㅋㅋㅋ 평시 때야 할 일 없고, 예비군도 없고, 권한 축소된거처럼 보여서 그런거
군 급수가 너무 높음 일단 경위라는 계급이 대위보다 높은건 팩트 급수만 봐도 대위보다 훨씬 되기도 힘들고 나이도 생각해보면 차이가 너무남 40~50대대가 경위인데 대위 해봐야 20후반임 월급이나 호봉생각하면 비교가 불가 경찰대가 사관학교보다 높은건 누구도 부정못하는 팩트고 소령은 아무나 다는 것은 아니지만 대위는 rotc나 학사하면 3년이면 그냥 누구나 다는게 문제인듯 경감은 소령, 경정은 중령, 대령은 총경이 맞는 사회입김은 경찰이 더 쎄겠지만
@김김킴미스터 무슨 소리하시는건지 원댓글은 보고 댓글쓰시는건지 경찰대는 계급정년 없고 장교는 있다 월급, 연금 비슷하다라고 해서 거기에 대해 댓글단건데 진입장벽이 왜 나오나요.. 본 영상도 월급에 따른 계급 비교를 하는 영상인데 무은 경대가 더 입결높으니 경찰간부가 군간부보다 위다 인가요...
@김김킴미스터 참 영상은 보고 오신건지... 영상에 어디 입결이나오나요... 영상 얘기하는데 자꾸 입결이니..진입장벽이니 영상에도 없는 이상한 소리하시네요 월급에 따른 경찰과 군간부의 직급차이 영상에서 비교 군이 참 경찰이 삼전 장교가 배달대행....... 서울대나와서 400받는 5급하고 외대나 시립대나와서 500받는 삼전이랑 비교해야죠
육사 졸업하면 직업군인의 맨 하위 소위로 임관합니다. 월급도 귀꼬리고요. 군대와 같이 모든 경찰은 경찰대를 나오게 해서 순경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최근 경찰의 업무가 검찰 및 국정원이 하는 일부 대공업무까지 떠맡은 현재 그냥 시험쳐서 경찰되는 것 말고 전문화가 절실합니다.
인사평가때문에 상관 똥꼬빨면서 뼈 빠지게 올라갔는데 경간 출신 경대출신의 시작인 경위를 겨우겨우 올라감 근데 경간 경대 출신은 시작부터 경위임 비빌만하다고? 9출출신은 계급 올라가는데 한계가 있음 물론 경대출신 경간 출신도 인사 적재가 심해 피터지지만 그래도 9출보다는 상황이 나음 대체 뭐가 비빌만하다는건지..
평검사는 3급입니다. 경찰서장이 4급인데 그 보다 1계급 높죠. 검사가 높은 건 뭐 과거 군과 검사를 우대한 덕분입니다. 판사와 급을 맞추어준 것도 있고.. 평판사가 3급이거든요.. 군도 특별 대우를 받았는데 대위가 5급 상당이지만 실제 공무원 5급이면 업무는 중령급 업무..
참고로, 직원기동대는 경정 대장이고 제대장이 경감,팀장이 경위급입니다.
팀원(순경~경위)->팀장(경위)->제대장(경감)->기동대장(경정) -> 단장(총경) ->기동본부장(경무관)->경비부장(치안감)
이렇게 올라가겠네요 ㅎ
경비부장도 경무관 입니다. 경찰청 경비국장이 치안감이구요.
현재 중앙부처 소령은, 경감급으로 같은 대우를 합니다...'
과거 대위급이 경위로 특채 된 적이 있어요....
소령은 일반직 공무원과 비교하면 국방부와 행정안전부처럼 일반직 공무원과 같이 근무하는 행정부처에서 6급 주무관과 동일한 보직에 보임된다.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에서의 소령은 담당인 사무관 내지 중령 아래의 일반 실무자이다. 방위사업청의 소령은 총괄담당인 사무관 아래 세부담당(실무자)으로 보임되며공보자료, 행정안전부 상황담당관실[55]에서의 소령은 타부처 파견관과 함께 팀장 직위에 보임되고 있다.[56] 다만 최근 행안부 상황담당에 5급(일반직 5급, 경정, 소방령)이 '팀장'이고 6급 이하가 '팀원'으로 분류되는데 소령이 주로 5급 상당 직책인 국방부 1~4 팀장으로 분류되었다.[57][58] 소령으로 퇴직한 군인은 비상계획관에 지원하거나 경위와 소방위 경력경쟁채용 지원이 가능하다. 봉급 및 각종 수당은 4급 공무원 수준의 금액을 지급받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수당은 4급 군무원에 준해서 지급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관리업무수당이다. 이는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일반직 공무원은 4급으로 규정하였지만 군인과 군무원은 국방부에 위임하였다.
소령은 타 특정직 공무원이랑 비교하면 경찰의 경감, 소방의 소방경이랑 대응하고 사기업으로 치면 과장이랑 대응한다.
경찰 11계급은 그나마 다행이고 군대는 15계급인데 일반직 10개랑 비교해야 하니 더 골아프죠. 그나마 군대는 4스타는 장관대우라서 좀 다르긴한데.. 그렇다고 치안총감보다 4스타가 높다는 느낌은 또 아니고;;
총감은 차관급이고 차관대우?
행안부 외청이 경찰청이니 치안총감이랑 4스타랑 비비긴 좀 글쵸, 4스타가 낫지
@@DoubleKJ 그건 아니지 4스타도 4스타 나름이지 합참의장, 육참총장 아니면 경찰청장이 훨 나음
@@saintmichael592 헛소리하냐 공무원 직급을 얘기하는데
경위 6급(을) 경감 6급(갑)
요새는 순경출신부터 꾸준히 무난하게 사고없이
근무하면 경감 퇴직은 하는거 같더라구요
경위 12년 채우면 경감으로 진급 가능성 높아짐
경위에서 경감..
근속승진..일명 자동빵..8년일겁니다..
백프로 근속승진은 아니지만 지금 추진하고있습니다..
Great thumbnail 🇰🇷🇰🇷
경찰을 꿈꾸는 학생으로써 주제가 너무 흥미로워 영상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영상을 보니 경찰의 계급이 군인보다는 덜 세분화 되어있다는 것을 알았고, 진급이 힘든 이유를 조금 알게 된 거 같다.
학생으로서
존댓말로 통일
숙제니?
의경 = 이병,일병,상병,병장
순경 = 하사
경장 = 중사
경사 = 상사,원사
경위 = 준위,소위,중위,대위
경감 = 짬대위,소령
경정 = 중령
총경 = 대령
경무관 = 준장
치안감 = 소장
치안정감 = 중장
치안총감 = 대장
이게 그나마 정확한듯... 대위가 순경급이라는 ㅂㅅ댓글도.있던데
맞습니다 거의 현실적인 반영입니다. 다만 보수는 한단계이상 군인이 확실히 높아요.
군대가 인플레가 심하긴하죠 ㅋㅋ
@@freedomisnotfree6163 짬대위나 갓소령이 뭔 하늘과땅차이야; 중령도아니고
총경이 대령대우 맞습니다....실제로 지역 의전보면 연대장이 경찰서장 대우에요 ㅋㅋ반박 시 공무원 아닌 사람들임
군대, 경찰 계급 비교간 말들이 많은데~
현재, 정부(행안부)에서 선발하고 정부 각부처, 대기업, 공기업, 은행, 병원 등에서 임용하고, 국회, 대법원에서 별도로 시행중인 예비역 장교 비상계획관 선발/임용 제도(지침)를 보시면 정리가 좀 되실듯 하네요 (비상계획관 출신)
* 현, 비상계획관 선발/임용😊
* 예비역 대령
- 2~(3)급 고위공무원(정부 각부처, 시.도청 지자체 국장급, 국회, 대법원)
- 부장 급(삼성전자 등 대기업, 대형 공공기관/기업/은행/병원)
* 예비역 중령
- 4급 공무원(서기관) : 규모가 비교적 작은 정부 부처
- 차/부장 급(주로 부장 급) : 중견 사기업체/공공기관/은행/병원 등)
* 예비역 소령 : 생략(소규모 선발)
저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
다 모르겠고 울외삼촌 대령이신데 국방부에서 4급위치한곳에서 일하시는중이에요 일반공무원 4급쯤으로 보면될거에요 대령이 이건 확실해요
대령이 한 5급에서 4급 왔다갔다 하죠. 사관학교 나와도 말년쯤에 다는 계급이니…
질문 답변 티키타카가 잘 돼서 재미있네요 ㅎ
직급표가 있어요,,,경위, 경사는 7급으로 봅니다,,직급표도 나오지만 팀장이 될수있는 급수는 최하 6급입니다
경위는 공안직 6급으로 바꼈습니다.
경위 7급 주사보/경감 6급 주사/경정 5급 사무관/총경4급 서기관/경무관 3급 부이사관/치안감 2급 이사관/치안정감 1급 관리관/치안총감 차관급
군대 별네개 장관급 군대가 더높습니다
지금은 의경 순경 경장 경사 경위 경감 경정 총경 경무관 등 이렇게 분류되었지만 60년대 까지는 순경에서 경사로 중간에 경장이 없었어요
경감에서 바로 총경으로 /순경에서 경사로 진급을 하면 지서장을 나갔습니다 큰 면단위는 경위가 지서장이 경우도 있어구요
경찰서장도 갑지는 총경이 했고 을지는 경감 서장도 있었습니다 동작구 대방 파출소는 8년대 말까지도 경사가 파출소장이었습니다
서울시내는 거의 경위가 파출소장 할때 예외 였습니다 경찰을 지금은 지구대로 통합해서 지구 대장이 경정이 하고 있습니다
@sbrud 경위 6급을 맞네요
군인 급수는......
군사반란 이후 군 사기 진작한다고 다른것도 아닌 국무총리 훈령으로 2직급 상향 대우 하라고 해서...... 그렇게 알고 있슴
김영삼정부등 원상복귀 시도를 했으나... 명목상으로 나마 유지되는 듯 합니다.
잘보고가요
경찰 3-40년전 계급하고, 지금하고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경찰은 경위이하는 모두 2-3계급을 승진 시킨겁니다. 경찰에 위상을 높인다면서..... 그러니 졸병이 없어졌죠
맞습니다.. 지금 경위는 30년 전의 계급으로보면 경장, 경사정도로 봐야 옳습니다.
옛날에는 대위 예편하면 특채로 경위 줬어. 그러니 경찰대가 특혜라고 했지.
그리고 행정고시 패스하면 경정, 경찰학과 졸업하고 시험 합격하면 경사.
학사경장특채도 있었죠..
@@미미-y8c7l 살기 좋은게 아니고요. 경찰을 기피해서 특채로 뽑은거예요.
@@황학성-u6x그때 경찰이랑 지금 경찰은 학벌 비롯해서 아예 다른직업 수준 ㅋㅋ.. 저도 해군 ocs장교출신인데 대위들 전부 순경공부 했어요 ㅋㅋㅋㅋ 근데 다 떨어짐 ㅋㅋㅋ 요새 경찰이랑 군인은 비교하기 좀 그렇죠 경찰되기 요새 워낙 어려워져서..ㅋㅋ
예전에 육사출신들 의무복무 채우고 전역시 5급 사무관 보장했었다, 이름하여 유신사무관,
@@Frediqeconㅂ..의경 출신이였다가 갑자기ocs해군출신? ㅋㅋㅋ거짓말 왜해요 군대 갔다오신거 맞으세요?ㅋㅋ
경찰계급이랑 딱 1:1 비교가 가능한건 소방공무원들이고 군대랑은.. 좀 특히 육군이랑은 비교하기가 애매하지
과거 계엄령사례를 보면 경찰서장은 중령 도지사는 대령이었고 준장부터 장관급 장교.
군계급은 게임이나 군생활하니까 아는 사람이 많은데 경찰계급은 뭔가 안외워지고 낯설음
지잡은 모르겠고 총경이면 원스타 이상 정도 입니다
총경이랑 대령이랑 비교 할 수가 없음
총경은 지방 서장이고 즉결심판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어마어마한 계급이지요
대령이 경정 정도 입니다.
소령,중령이 경감 정도..
알티.삼사.육사 나와서 대위까지는 쉽지만. 소령부터 좀 힘들죠...
경대도 경위는 바로 달지만 경감 다는 거 쉽지 않습니다..
경감은 10년 이내 달아도 경정은 후덜덜하죠..
군인은 소위 중위 대위 쉽게 가지만
경찰은 경위 이상부터은 10년 이상 걸리는 경우 많습니다.
제 의경 때 경대출신 소대장이 16년 동안 경위로 있었다는.....
경감부터 진급하기 정말 힘듦니다.. 경대나와도 경졍에서 끝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육사나와서 대령에서 거의 끝나는 것 처럼요. 군인이 그래서 스타스타 하는 것 입니다..
경찰의 스타는 총경인것처럼요..
참고로 경찰 변호사 특채가 경감부터 시작인 걸로 알고
군대는 소령부터 달라주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렇게 따지면 경감=소령 이상이죠
짭새 제일 윗 계급 치안총감은 대한민국 1명인데
군바리 제일 윗 계급 대장은 7명이나 있음 ㄷㄷ
말 다 했죠 짭새는 계급 하나하나가 정말 올라가기 힘들고 값어치가 있음
멋져요
근데 1대1 대응이 좀 애매하지않나요?? 경감이랑 대위를 같은 선상에 놓기도 애매하구 경간출신이나 경찰대 동나이분들을 소위중위랑 놓기도 애매해서
순경: 하사 경장: 중사 경사: 상사 경위: 원사 내지 준위 (순경 출신), 위관급 장교(경대 및 경간부 후보생 출신) 경감: 소령 경정: 중령 총경: 대령 경무관: 준장 치안감: 소장 치안정감: 중장 치안총감: 대장
소령4급/ 중령3급/대령2급/ 대장은 장관급임. 경찰 치안총감 차관급. 중장은 차관급임. 그리고 경무관은 3급임
@@박해진-e6r 즉 경감: 4급 경정: 3급 총경: 2급 경무관 치안감: 1급 치안정감: 차관보 치안총감: 차관
@@이상원-m9n경감이 4급 웃고간다 ㅋㅋ
응원합니다
전직입니다
경찰 개혁에 정신팔려 살다 작년 명퇴했어요
ᆢ응원해요
경위를 6급(을), 경감을 6급(갑)으로 봅니다. ㅎㅎ
경위 7급
경감 6급
경정 5급
........아닌가요?
@@별의시-w6l 아니에요~ 그게 흔히들 다들 오해하고 있는 낭설이에요~
경사가 7급하고 월급이 똑같습니다
소위 7급 아니고 8급 아니면 9급일겁니다. 대위가 7급,소령 6급,중령 5급해야 맞아요. 경위는 윗댓글처럼 6급
대우가 나쁘지않음에도 군인이 타공무원에 비해 인기없는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는게 팩트.
경찰 간부가 되는 방법은 경찰대 말고도 여럿 있죠. 행정고시 , 사법 고시 등 고시를 패스 하고 특별 채용되는 경우 경감 OR 경정으로 특채가 있고, 경찰대가 없던 예전에는 경찰간부후보생이라고 해서 4년재 대학을 나와서 시험을 봐서 경위로 임관하는 경우가 있어요. 경찰은 순경에서 시작해서 경위 경정 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많고요. 예전에는 치안정감이 딱 4자리 밖에 없었어요.
서울지방경찰청장, 경찰청 차장, 경찰대 학장, 경기지방경찰청장 요롷게 4개... 근데 지금은 광역시 중에 인구가 많은 인천, 경기남부 , 해양 경찰 까지 포함해서
현재는 9명이 있습니다.
경간은 지금도 있고 고졸이여도 지원 가능 경찰대랑 경간후보생시험 병행
질문자가 러셀님인가요?
ㅇㅇ
군대는 사관학교 졸업하면 소위 2호봉(3사)이나 3호봉(육사)으로 시작합니다.
경찰대도 졸업시 1호봉으로 시작하는게 맞는지 궁금하네요.
지난 영상에서 3호봉이라고 하셨던것같아요.
3호봉부터 입니다.
경찰대학 졸업생은 4년 동안 교육받은 기간의 50%를 경력 인정받아서 3호봉으로 시작합니다. 그렇게 규정되어 있어요.
둘다 해보니까 조직내에 역할은 이정도되는듯
순경 - 하사 소위 중위
경장 - 중사
경사 - 상사
경위 - 준위 대위
경감 - 소령
경정 - 중령
총경 - 대령
@@bless3042 계급의 상하적으로 딱 나눈게아니라 느낌이나 역할이요..
실제 업무하는 능력이나 영향력 이런걸봤을때.. 부사관이 하급자긴한대 중위랑 상사랑 능력차가 많이 나니까.."그런 역할을한다" 라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대충 경위를 대위(진)으로 치고(문민우위니까 군소대장보다 높게친다면) 다 (진)붙혀서 경무관을 장성, 비간부를 하사중사상사로 하면 대강 대응될듯
먼 경위가 대위(진)이냐 ㅋㅋㅋ
경정 소환해서 대위(진)에 비벼야지
@@DoubleKJ 반박한다해도 경감=대위 아님? 기동중대장이 경감이니까
@@DoubleKJ 저게 저렇게 된게 별은 왕무궁화에 맞춘다 치더라도 위관 영관은 합 6개 경찰중간간부는 4개라서 저렇게 됨. 거기서 소위는 1년남짓하면 바로 중위 달아주니 5개라 쳐도 한개 차이나서 저렇게 봄. 근데 님말대로 좀 높게 측정된거 같긴함
@@suborof7951 원래 군인이 급수 높게 세팅되어 있음, 전시에 사법,행정이 다 군으로 이관되기 때문에 그럼. 그 세팅은 아직 바뀐적이 없음. 같은 중대장이 아닌거임
경감이 대위 만나줄거같냐 ㅋㅋㅋㅋ
어디 5년만에 다는 대위랑 비교룰 하노
대령-총경(중앙부처 국방부 과장-대령, 경찰청 과장-총경 = 서기관)
중령-경정
소령-경감
대위-경위
이렇게 하면 대충 맞습니다.
어차피 중소위는 의무복무와 비슷한 개념이라서 큰 의미가 없죠
ㅋㅋㅋ 웃고말지요
급수로만 따지면 그렇긴한데 조직내 지위와 사회적 위치를 고려하면 경위=소위, 중위
경감=대위로 비교하긴 무리가 있는것 같아요..! 저도 군장교 출신이지만 육사출신 장교가 되는건 어려워도 다른 출신 장교가 되는건 쉽고 대위라 해봤자 27-28살에 진급을 해요. 그래서 각 조직에서 이정도면 높은 계급이라고 인식하는 시작점이 중령과 경감, 경정이니 비교가 되는것 같아요. 굳이 따지자면 경감은 중령보다 조금 낮고 경정은 조금 높은 느낌인 것 같네요. 완벽한 비교는 불가능하지만 이렇게 매칭하는게 개인적으로는 그나마 비교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소위 = 순경
중위 = 경장
대위 = 경사
소령 = 경위
중령 = 경감, 경정
대령 = 총경
군장교를 의무복무로 가기때문에 초급장교가 어리고 들어가기도 상대적으로 쉽긴하지만 그래도 조직내 사회적 지위랍시고 소위 순경을 동일시하는건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9급, 순경, 하사, 소방사가 같은 계급에 해당한다고 돼있습니다..어차피 각 조직에 가장 말단입니다
푸하하하하 순경이 소위 경사가 대위? 인사권도 없는 간부도아닌 순경 경사가? ㅋㅋㅋㅋㅋㅋㅋ 푸하하하하
대위 핏덩어리들…
사회나오면 아무것도 아닌 존재들 …
부사관은 그럼 ? ㅋㅋ 소위가 순경이라니... ㅋㅋㅋㅋ
계급.따라.다르지만.ㅡ얼마나.인간성을
해석하는나에.따라다름.ㆍ서로어러운데
관찰하는.중요.ㅡ자신을돌볼수있는.인내가
필요하다.ㅡ대한민국을.지키는.군인.경찰
힘내시기를.ㆍ국본인.ㅡㅡ😅
정확히 비교해줌 경위: 소위~중위 , 경감: 대위~소령 , 경정: 중령 , 총경: 대령~준장
순경 = 하사
경장 = 중사
경사 = 상사
경위 = 소위
경감 = 대위
경정 = 중령
총경 = 대령
경무관 = 준장
치안감 = 소장
치안정감 = 중장
치안총감 = 대장
이런 역할임.
경찰은 무기도 없고 실제로 사단장이면 경찰 청장보다 더 큰 힘이 있는 것 같네요. 군 1개 사단이 전 경찰 무력보다 훨씬 쎌 것 같네요.
군대의 대장은 육군 4명 해군 1명 공군1명 합참1명 총 7명이죠.
육참 지작사 2작사 연합사부사령관 4명
91년 전경인데 파출소 경사가 소장인데도
있었는데 청도 지금처럼 많이 없어서
경무관이 청장인곳도 있었지
동네 지구대보니까 경위도많고 진급자체가 빠른것같던데 계급이
너무쌓인것같다
계급인플레죠.. 김대중 정권당시 사기진작을 위해 계급연한도 경정부터로 바뀌었죠..
지금 경위는 91년 당시로 따지면 경장 또는 경사로 보면 됩니다. 경찰서에 볼일이 있어 갔더니 대부분 경위더군요...
경찰은 일반행정직 공무원보다 한 단계 낮게 봐야할 듯.. 옛날 고을 원님밑에 이방, 형방이 있었으니.. 시장, 군수보다 경찰서장은 한 단계 아래 아닌가요. 현시대의 계급을 과거와 비교하는 것도 문제는 있겠으나..
응원합니다.
진짜 설명을 잘하시내요
요즘은 대위 제대하고 순경으로 입직 합니다~~^^.......... 군대 계급과 비교 가 애매하죠~~
이 영상 설명이 80% 정도는 맞다고 보시면 됩니다
군사 정권 시절 군의 직급을 너무 높여놨어요..
실질적으로 그 직급을 사회에서는 인정못받지요..
중령을 5급 정도, 소령을 6급 정도 보는게 맞을 것 같아요..
경찰 총경(4급)은 대령과 비교되지만 총경이 사회적 지위는 높다고 봐야지요..
경찰서장이니까요..
실제로 국방부 과장을 대령이 맡는데, 중앙부처 과장은 보통 4급이거든요..
네. 맞습니다
대령은 연대장이에요... 아래 병력만 1000여명 가량되는데 사회 사람들 인식으로만 놓고 보기도 어렵죠 다들 저마다 특징이 있는것같아요 경찰대가 총경을 목표로 하고 육사가 대령 목표로 하는 것 보면 딱 대령이 총경 정도 되는듯요
@@rainfreezing3072 육사졸업생도 대령 목표로 하는군요..몰랐습니다..그럼 육사 나와서 대령만 달아도 어느정도 성공한거네요~~
경찰대 출신도 보통 총경을 목표하는데 요즘은 못다는 사람 많습니다..워낙 적체되서요..
@@rainfreezing3072 님 무슨부대 나오셨나요...보병기준 연대는 1300명 병력정도 됩니다... 1개대대가 400명 넘어요
예전에 유신 사무관제도라 해서 사관학교 졸업한 대위 전역자를 사무관(5급)으로 특채하는 제도가 있었는데 여기에 맞추다 보니 대위=5급(고시 출신)으로 해서 군계급을 너무 높여 놓았습니다.
해경은 경찰대가 없고 7급 경간부 시험치고 경위가 되던데...그리고 순경이 해양경찰서장 이상으로 이론적이 아니고 실제로 가능한 조직인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제가 해경의경 시절에 당시 경찰서장님이 순경특채로 들어오셔서 서장 다신 당시에 연세가 50중순이셨었는데 만 59세때 경무관까지 다셨더라구요.
세월이 많이 흘러서 아마 경무관 다시고 지방청에서 국장하시다가 그 해에 퇴직하셨던걸로 나오시던데 성격도 좋으시고 업무처리도 엄청나게 잘하셨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실제로 의전서열은 경찰이 한단계씩 아래죠. 군대에서 원스타 = 치안감(큰무궁화2개) 이런식으로해서 경찰청장은 3성장군이랑 같은 급이 됩니다.(4성장군은 한단계 더 높은 검찰총장이랑 같은 의전서열) 이번정부에서 경찰청장을 장관급으로 올린다는 얘기가 있던데 흠.... 어캐될려나 ㅋㅋ
제복군인 중 장관급은 4성 장군중에서도 합참의장이 유일하구요. 나머지 대장들은 차관 대우 받습니다. 그리고 설사 대장과 청장이 같은 차관급일지언정 대장 선택 하는 사람이 있을까요?비교 불가임
준장이랑 치안감이 아니라 준장이랑 경무관이 같은 급입니다
@@무응-h2p 대장 선택하는 사람이 더 많을 거 같은데요
@@Gongsiseng3 경찰청장은 4대 권력기관으로서 수장은 청문회까지 받습니다. 합참의장 제외한 나머지 대장들은 인사 청문회도 하지 않죠. 조직의 위상으로 보나 권력으로 보나 경찰청장이 넘사벽입니다
@@무응-h2p 그럼 합참의장 vs 경찰청장은요?
공직의 의미를 끗발에 두는 이가 많읍니다. 권한없는 공무원은 관공서에 근무하는 월급쟁이에 불과하니까, 권한이 있는 자리가 훨씬 공무원생활을 하는 맛이 납니다. 끗발없는 자리는 속 빈 강정이지요. 그래서 옛날부터, 공채시험 응시때, 사법고시나 하위직도 검찰직이나 출입국 관리직, 감사직 등 힘있는 직종이나 부서를 선호하게 마련이고, 성적우수자들이 많이 좋은 부서로 배치받읍니다.
지방에서 경무괌 승진하면 누구누구집 아들 경무관 승진하면서 현수막 걸린거 본적 있네요
소도시,군은 중령만 진급해도 현수막 걸립니다. 대도시는 대령이상부터 걸리고요.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시켜주면 뭘 할래 이거에 답이 있는거같네요ㅋㅋㅋㅋ
특전사 팀장은 대위입니다.
소령은 대대 지역대장,작전과장 정도.
러셀이 군대 잘 모름ㅋㅋ
ㅋㅋㅋ 전 아직 현직은 아니지만 주변인들이 경찰에 대한 계급을 군대랑 많이 비교해서 물어보는데 이 영상이 도움이 되겠네요ㅎㅎ 오늘 영상도 감사히 잘 보고 갑니다^^
참고로 대위는5급/소령은4급/중령은3급/대령은2급/대장은 장관급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예우 기준)
군인이 조금더 높은걸로 압니다
@@박해진-e6r 대위 5급이요?ㅋㅋㅋㅋㅋ
@@박해진-e6r 2급씩 낮춰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삼-p1y 대위랑 행시합격이랑 같은급이였네ㅋㅋㅋㅋㅋㅋㅋ
경찰이랑 군인 계급은 비교가 안된다고 생각하지만 같은 공무 하는사람들 끼리 잘 도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공권력 향상이 시급합니다 진짜
맞지 ㅋㅋ 육군소장은 총경선에서도 정리됨.. 현실적으로 수사기관은 힘이강력해서
@@몰루-q5z
ㅋㅋㅋㅋㅋㅋㅋㅋ경비소장이랑 착각하신거 아니에요? 제가 현직 경간분데 육군 원스타를 총경선에서 정리된다구요? ㅋㅋ9순도 아닌 9교순소 공부하시는분 같은데 입놀리지말고 공부나하세요ㅋㅋ
@@lastnight2549 저 공대생이에용..
공무원 급수표에 의하면
1급 관리관, 치안정감=소장=광역시급 시장,구청장
2급 이사관, 치안감=준장=고등법원 부장판사=시장,구청장
3급 부이사관, 경무관=대령=지방법원 부장판사=군수,부시장
4급 서기관, 총경=중령=판사=사법연수원생=관선구청장,부군수=총괄우체국장=학교장=세무서장
5급 사무관, 경정=소령= 읍면동장(동장이 생각보다 급수가 높네요!)=관내 우체국장=학교교감
6급 주사, 경감=대위 및 중위=시군구 계장
7급 주사보, 경위=소위 및 준위
7급 주사보, 경사=원사 및 상사
8급 서기, 경장=중사
9급 서기보, 순경=하사 입니다.
답글
국회 국정감사서 소장(투스타)를
차관보라하는데 무슨소리이신지ㅋ
@@상구보리-n1k중장이 차관급이니 소장이 차관보 맞지 임마 멍청하냐
4:38 사단장은 수천..정도고 ,군단장이 수만이죠. 국군이 60만인데 사단은 수십개죠. 사단장이 수만은 못움직입니다~
사단 병력이 기본 2만 이상입니다^^
@@Happyyyyy131 대한민국 육군 사단만 36개인데 기본이 2만 이상이면 육군이 총 72만명 이상인가요? 육군은 40만명도 안됩니다만?
지휘병력이 적거나 거의 없는 예비나 동원빼고 정규사단은 1만5천정도지 그걸 60만으로 나누는거는 평균을 가장한 테러지
순경-하사
경장-중사
경사-상사,원사
경위-준위,소위,중위,대위
경감-소령
경정-중령
총경-대령
경무관-준장
치안감-소장
치안정감-중장
치안총감-대장
경력평정표 등 예규를 보고 대위가 5급이다 그러는데 예규는 법규성이 없는 내부사항일뿐이고 특정직인 경찰,군인을 일반직 몇급이다라고 정한 법은 없음 그러나 실질적인 보직 및 공직자윤리법 등에서 대응하는 직급으로 봐서는 이게 거의 정확합니다.
팩트: 실질적으로 대위
어휴 ㅅㅂ 무슨 쏘중위를 경위랑 비교하고 앉았노
경사가 원사?ㅋㅋㅋㅋㅋㅋ 미필이 적은거냐
공직자윤리법은 ㅋㅋㅋㅋㅋ 공기업 직원까지 포함하고 ㅋㅋㅋ 직무와 비리의 연관성에 따라 대상자가 정해져요 ㅋㅋㅋ 공부좀 하세요 ㅋㅋ 제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astnight2549원사7급임
순경 권한이나 경무관 단속권한 똑 같음~ 그러므로 단순비교는 의미없음~ 군 대위출신들 순경에 임용 많고~ 군대가 낫냐 경찰이 낫냐 물어보면~ 당연히 경찰이 낫다고 합니다 함~ 폐쇄적인 군생활보다 더 개방적이고 자유롭기 때문~
그리고 일반직도 요즘은 고공단이라는게 생기면서 더 꼬여버렸죠. 고공단 가는 대충 1급이라 보면 되지만 공공단 나는 2급일수도 3급일수도 있으니
준장만 진급해보 족보에 장군으로 올라가요 ㅎㅎ
페이스북에서 경찰과 군대를 나쁜쪽으로 비교하는 기사를 본것같아서 혹시나해서 하는소리지만 그렇지만 둘다 힘든 직종이지만 군대라는곳은 본인의지가 아닌 억지로 끌려왔든 원해서 갔든 결국은 의무가 있는곳이죠 그리고 어느직업이나 위험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휴전국가라서 잠재적인 위험지역입니다 발목 지뢰라고하죠 목함 지뢰도발이나 폭격 도발도있고
소방관도 힘들고
군인도 힘들고
경찰도 힘들고 다 힘들지 어느 한쪽이 꿀빤다는건 없는것같아요
무궁화 잎이 아니고 피지 않은 무공화 꽃봉우리 입니다
전시에 나라을 위해서 숭고한 목숨을
받칠 공무뭔이 얼마나 될찌ㅠㅠ
바칠
책받침이냐?
참고로 해양경찰청 내무부(현재의 행정안전부, 경찰청은 현재 행정안전부의 외청임.) 치안국 소속이었다가 상공부 소속의 해양경비대, 내무부 치안국 소속의 해양경찰대로 환원된 후 경찰청 소속의 해양경찰청으로 바뀌었다가 해양수산부의 외청으로 바뀌었죠. 세월호사건 이후 일시적으로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바뀌었다가 다시 해양수산부 소속의 해양경찰청으로 바뀌었습니다. 2004년 1월1일 까지는 해양경찰청장은 치안정감(이임(2004.1.1. 이승재 해양경찰청장에게 이임하고 퇴임)한 서재관 해양경찰청장은 퇴임시까지 치안정감으로 근무하였음.)이었다가 2004년 1월 1일에 취임한 이승재 해양경찰청장부터 치안총감으로 승격되었습니다. 과거 경찰청내 조직이었기 때문에, 경찰청장보다 한 계급이 낮았던 거죠.
변호사님 질문드려도 좋을까용?
심신이 불편하신 노인분께서 지구대에서 비를 피하고 가는게 잘못된건가요?
ㄴㄴ
경찰 계급은 잎파리가 아니라 무궁화봉오리입니다^^
직무에 대한 수당 및
체력단련비
호봉
기본상여금 년 유백프로
더해 보면 말하시는 것 보다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지방 공무원 기능직 10급
25년 근무 했는데
년 봉 칠천이라던데
특전사에서 팀장은 중대장을 칭하는데 팀장의 계급은 대위입니다
간단합니다. 그냥 진급 때 대통령 임명장 받는 기준으로 보면 되겠죠.
참고로 경찰은 군대처럼 계급 권위 의식이 거의 없습니다~ 계급 상관없이 처음보면 서로 존대로 시작합니다~
44살에 경무관이면 괜찬은건가요
경대출신이면 불가능하고, 경정부터 시작한 고시출신인거 같은데 괜찮음.
내가 81학번인데 그때경찰대1기 고등학교 동기중 몇명갔는데 지난세월을보니 경찰대는 폐지하는것이 맞습니다 순기능보다는 역기능더 많습니다 그들만의 리그 우월감 ,육사 하나회 처럼 끼리끼리 진급,보직 전횡하는 마피아
동감합니다.. 경찰대 폐지.
대위 전역후 2-3년 노량진 독서실 출근해서 순경 임용되는 경우도 간간히 있습니다.
순경하다가 이등병 되는경우도 있습니다. 의무복무랑 경찰계급을 잘못연결하신듯요. 경위하다.치킨집도 할수있고 대위하다가 배달도 할수있는겁니다
장교는 한해 6000명이 임관하면, 1000명만 장기복무에 선발되어 정식 직업군인이 되죠. 그래서 장기복무에 미선발 등으로 단기/중기복무후 전역을 하게된 중위, 대위급 장교들 중에서 타공무원으로 응시해서 가는 경우도 많죠.
대위로 전역후 다시 부사관으로 임용하면 중사로 재임용되는데, 그렇게 오는 케이스들도 많다고 하더군요.
드물게 소령하시다가
소방공무원 소방사(경찰 순경)로 들어오는 경우 봤습니다.
왜 러셀님 목소리가 들리지?
중위,대위=경위 (6급을)
대위말+소령=경감 (6급갑)
중령=경정 (5급)
대령=총경이다 (4급)
이게 맞음
중위가 어째 6급임 개나소나 다하는데
ㅋㅋㅋㅋㅋㅋ
@@3대500군인6급으로 칩니다 소위가 7급이고
왜 나머지 얘기안하십니까 궁금해여 ㅋㅋㅋㅋㅋㅋㅋㅋ
경찰계급 명칭을 군대처럼 쉽게 정리 못하나요? 내 생전에는 불가능할것.
군계급
스타급1234,영관급123,위관급123, 하사관급123,
변호사님 검사 임용은 생각 없으신가요??
경찰서 계장들은 대부분 경감 인가요.! 경정일수는 없나요.?
경찰과 군대 계급 급수 비교보다 진입장벽부터 다르지 않나?
맞습니다..
진입장벽부터 차원이 다르지요..
때되면 올라가는 대위를 5급이라 하는 것은 무리가 많지요..
물론 군쪽이 진급이 더 쉽지만 우리나라 직급체계에 대위5급으로 되어있는걸 어쩌겠나...평시에 군이 경찰통제받을일 없지만 전시에는 경찰은 군통제받는데 뭐 어쩌겠나...
목소리가 러셀님 같은데
영화보면 형사들이 파출소분들
낮게보던데.. 이 차이는 모죠?
꽃봉오리입니다 잎파리는 91년도에 바꼈어요
경찰이랑 군인이랑 비교가 되나요 .. 똑같이 초과근무해도 군인이랑 비교되지 않을정도로 많이받습니다
@@bless3042 군인이랑 경찰 소방이랑 복지 임금부터가 차원이 다름 왜 다들 전역하고 경특 소방구조특채 지원하는지 알게됨 소방이랑 일은 똑같이 하는데 9급소방이 대위보다 더가져감 ㅋㅋ 이게 나라냐
목소리가 러셀님 하고 비슷하다 ㅋㅋㅋㅋㅋㅋㅋ
물어보시는분 러셀님 같은데?
사관학교보다 경찰대가 훨씬 들어가기 어렵지 않음?
비교 자체가 불가
2025년 소위 1호봉2,017,300 원, 경위 1호봉 2,352,400
총경 1호봉(1호봉은 없겠지만 그래서 각 10호봉도)3,496,600/4,710,600, 대령1호봉4,513,200/5,879,400
치안감 1호봉 4,409,200/6,270,800 ,소장1호봉5,892,800/7,205,000
군인 계급 내려치기 심한거같은데ㅋㅋㅋㅋ 그냥 공무원 상당계급 기준표 대로가 맞음; 평시여서 그렇지, 전시 기준이면 대위만 해도 중대 100~250명 가까이 생사이탈권 갖고있는데 오히려 부족한 감이 있는게 맞음. 경정이 지휘하는 한개 기동대가 100명이 안되잖아ㅋㅋㅋㅋ 계급 상당 대우를 평시따로, 전시따로 두는 것도 이상하고;
이번에 터진 계엄만 해도 군단 기준 계엄사령부 각 처 실무 장교들 위관급임ㅋㅋㅋ 평시 때야 할 일 없고, 예비군도 없고, 권한 축소된거처럼 보여서 그런거
의전서열상 경정은 5급, 대위, 교감하고 같습니다.
시간외 수당을 받거든요
반면 서기관, 소령, 교장은 시간외수당 못받습니다
경찰도 짬이란 걸 쳐주나요?
군대에서 계급 낮아도 짬을 쳐주는 것 처럼
솔직히 요즘 군에서 사관학교 출신을 못 잡는거 보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군 급수가 너무 높음
일단 경위라는 계급이 대위보다 높은건 팩트 급수만 봐도
대위보다 훨씬 되기도 힘들고 나이도 생각해보면 차이가 너무남 40~50대대가 경위인데 대위 해봐야 20후반임
월급이나 호봉생각하면 비교가 불가
경찰대가 사관학교보다 높은건 누구도 부정못하는 팩트고
소령은 아무나 다는 것은 아니지만 대위는 rotc나 학사하면 3년이면 그냥 누구나 다는게 문제인듯
경감은 소령, 경정은 중령, 대령은 총경이 맞는 사회입김은 경찰이 더 쎄겠지만
중위 전역한 순경 출신 경찰관 입장에서 보았을 때,
조직 내 위상, 경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현실적인 체감은
순경=중소위
경장=대위
경사=짬대위~갓소령 사이
경위=소령
경감=중령
정도로 느껴집니다
ㅋㅋㅋㅋㅋㅋㅋ웃기네요 경찰에는 부사관급은 없나요?? 대위면 군대에서 부서장인데 경장이 대위급 ㅋㅋㅋ
하다못해 파출소장급인 경감이랑 대대장인 중령을 같은라인에 두네 ㅋ
순경이 중소위라니 지나가는 개가 웃어요~
@back 너무개소리길래 ㅋㅋ
@@jeus0731 아무리봐도 자격지심
경위계급은 6급입니다. 6급 을 이라고봅니다
경찰대나 경간부시험은 서울대수준 장교는 지방사류대 나와도 될수있음. 비교불가. 경찰은 사회서 활동. 군인은 군부대에서 활동. 경찰은 자유로운 공무원느낌. 장교는 제약된 폐쇄적인 정년보장이 안되어있는 진급못하면 계급정년있는 군인. 제복이 있다는거 월급이랑 연금만 비슷.
경대나 육,해,공,간사관학교랑 비교해야지 학군,학사랑 비교하는건 의미 없는거 같네요 사관학교 출신이면 중령 까지는 거의 가고 연금만 봐도 군인연금이 기여금은 더 적은데 받는 거 훨신 많습니다. 월급도 장교가 훨신 높구요
@김김킴미스터 어딜봐서 장교 빠는건가요?
경대 사관학교 같은 학번 기준 기여금 장교가 더 적게 내는데 연금, 월급 장교가 더 많은건 사실아닌가요....
경찰도 경정부턴 계급정년 있습니다
@김김킴미스터 무슨 소리하시는건지 원댓글은 보고 댓글쓰시는건지
경찰대는 계급정년 없고 장교는 있다
월급, 연금 비슷하다라고 해서 거기에 대해 댓글단건데 진입장벽이 왜 나오나요..
본 영상도 월급에 따른 계급 비교를 하는 영상인데 무은 경대가 더 입결높으니 경찰간부가 군간부보다 위다 인가요...
@김김킴미스터 참 영상은 보고 오신건지... 영상에 어디 입결이나오나요... 영상 얘기하는데 자꾸 입결이니..진입장벽이니 영상에도 없는 이상한 소리하시네요
월급에 따른 경찰과 군간부의 직급차이 영상에서
비교 군이 참 경찰이 삼전 장교가 배달대행.......
서울대나와서 400받는 5급하고 외대나 시립대나와서 500받는 삼전이랑 비교해야죠
ㅈ도모르는얘기는 무시
육사 졸업하면 직업군인의 맨 하위 소위로 임관합니다. 월급도 귀꼬리고요.
군대와 같이 모든 경찰은 경찰대를 나오게 해서 순경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최근 경찰의 업무가 검찰 및 국정원이 하는 일부 대공업무까지 떠맡은 현재 그냥 시험쳐서 경찰되는 것 말고 전문화가 절실합니다.
그러면 육사 나오면 왜 소위부터냐?
하사부터 해야지 말도 안되는 소리
ㄲ ㄱㅋㄱㄱㄱㄱㄱ 진짜 무섭네
느낌상
경위 = 중위
경감 = 소령
경정 = 중령
총경 = 대령
특전사 팀장 대위임 그 상위 지역대가 소령
전투경찰 소대장(?)이면 몰라도 그냥 옛날 파출소 소장하시던 경위는 소대장과 비교하면 사회적으로 엄청난 차이가 나는 지위죠. 옛날의 파출소 소장이면 동장(5급)정도 유력인사. 군대로 치면 행보관이나 대대주임원사?
군대로치면 행보관이나 주임원사보다는 중대장이나 소령 대장이 하던 근무대장 정도가 아닐런지요 ㅎㅎ
@@user-zl7yt8mn9q 옛날 파출소 소장은... 나이도 많았고 지역유지였죠. 새파란 중대장이나 소령급이 아니라 연륜은 최소 대령급이지만 낮은 계급은 원사?..
요즘은 순경출신분들도 서장을 가시더라고요 물론 수도권은 힘들어도 지방쪽으로 가면 노력하시면 경찰대랑 간부후보생 분들이랑 비빌만 하더라고요 그리고 쉽게설명 드리면 그냥 경위를 6급을 경감을 6급갑으로 하기도 하더라고요
인사평가때문에 상관 똥꼬빨면서 뼈 빠지게 올라갔는데 경간 출신 경대출신의 시작인 경위를 겨우겨우 올라감 근데 경간 경대 출신은 시작부터 경위임 비빌만하다고? 9출출신은 계급 올라가는데 한계가 있음 물론 경대출신 경간 출신도 인사 적재가 심해 피터지지만 그래도 9출보다는 상황이 나음 대체 뭐가 비빌만하다는건지..
경대 출신 간부출신은 어느정도 사다리만 있으면 쉽게 올라가는거 9출은 영혼을 갈아야 그만큼 겨우올라감 이게 경찰 현실이에요
@@수양닼양 제가 말하는건 인구 7만이하인 군 정도의 지역 경찰서장인데요
@@김야옹-o3n 순출 출신들이 경찰서장까지 가는게 비율이 얼마나 될꺼같은데요 경대 간후 출신들도 총경 경무관 달기 하늘에 별따기인데 경대출신들이 왜 경찰조직을 떠나려고하는데요 진급이 안되니까 회의감 느껴서 나가는경우 많습니다 업무는 많은데 보상은 없으니 떠나는거죠 우리나라 경찰조직은 순출들이 설 자리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경찰조직은 말단직원만 영혼갈리는 구조임
@@김야옹-o3n 미국은 우리나라로 따지면 순경출신들도 경찰청장 많이 한다더만 우리나라 경찰조직은 고인물인 고위직때문에 망하고있어요 우리나라 경찰은 안됨 그놈에 탁상행정하는 고위직때문에 좋아질수가 없음
매 경찰서에 한명씩 검사가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경찰서 담당 검사는 어느 계급에 준할까요?
평검사는 3급입니다. 경찰서장이 4급인데 그 보다 1계급 높죠. 검사가 높은 건 뭐 과거 군과 검사를 우대한 덕분입니다. 판사와 급을 맞추어준 것도 있고.. 평판사가 3급이거든요.. 군도 특별 대우를 받았는데 대위가 5급 상당이지만 실제 공무원 5급이면 업무는 중령급 업무..
@@kychoi2653 평검사 4급 아닌가요? 3급으로 바꼈나요?
@@blacksmithk. 지금은 인플레 심하다고 조정되었는지 모르지만.. 예전에 사법연수원 5급, 1~2년차 4급 평검사 3급이었습니다. 판사와 직급을 맞춘 거죠.
@@kychoi2653 평검사 4급 부부장 검사 3급 부장검사 2급 차장검사 1급 지청장 차관 지검장 장관급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