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이 5등급제라고?" 수능 때 통합사회 통합과학을 본다는 2028대입 개편 시안 리뷰해보았습니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0 ต.ค. 2023
  • 📡 미미미누 트위치 라이브: / ks8553v
    📺 방송 풀버전 채널: / @mi5nu
    ✅인스타그램 :@mimi__minu
    ✅페이스북: /kimminwoo6
    💬네이버 팬카페: cafe.naver.com/mimiminu
    📪 채널 협업 문의: ad@overlaps.studio
    ❓ 채널 기타 문의: open.kakao.com/o/s6zha9Ce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7K

  • @user-og6rt5qo8o
    @user-og6rt5qo8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42

    ㄹㅇ 미미미누가 진짜 현재 우리나라 교육을 제대로 알고 있는 거 같음. 학생들, 학교 선생님들 정부, 사교육 강사들, 대학 교수들 등 모든 관계자들의 입장 다 고려해서 진짜 일리 있는 말만 하는듯

    • @Yooooooohooooo66
      @Yooooooohooooo6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ㄹㅇㄹㅇㄹㅇㄹㅇ

  • @max-ph5hn
    @max-ph5h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50

    킬러문항 삭제로 개빡쳤는데 이거보고 우린 양반이었구나 싶은 05는 좋아요 누르자ㅋㅋ

    • @user-gm4gq1bl9g
      @user-gm4gq1bl9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0

      개추ㅋㅋ

    • @user-fo7me2tx1b
      @user-fo7me2tx1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2

      수능 30일도 안남은 시점에 유튜브보고있는 05로서 개추 ㅋㅋㅋㅋ

    • @user-xj1et4wo5n
      @user-xj1et4wo5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8인데 ㅅㅂ이다 진짜

    • @yawvwh
      @yawvw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0

      짜피 못푸는거 없애준다는데 오히려 좋음ㅋㅋㅋ

    • @thatexactlyright
      @thatexactlyrigh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찐막을 외치며 개같이 몰려드는 n수생들 사이에서 찢겨죽어도 1트만에 가야만 하는 08들과
      어지러운 입시판에서 갑분실험쥐되서 배 갈라질것 같은 09들 와들와들 부랄떨면서 개추 ㅋㅋㅋㅋ

  • @user-rk1oo7hj7t
    @user-rk1oo7hj7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9

    08이 진짜 ㅈ됐네ㅋㅋㅋㅋㅋㅋ
    현역으로 수능 친다면 - n수생들이 싹 다 이 갈고 수능 침 / 심지어 07 학생수 ㅈ나 많아서 n수생이 몇퍼는 더 늘어남
    재수를 한다면 - 지금까지 배운 걸 아예 싹 갈아엎어야 함.. 사회과학 쪽은 어쩌면 09들이 훨씬 우세할 수도 있음
    09는 오히려 개꿀인듯...... 미리 과탐사탐 선행한 친구들은 좀 안타깝지만 현행을 하는 친구들에겐 최고라고 봄.... 2027 수능에서 n수생들 싹 다 빠지고 2028 수능은 진짜 현역들 아니면 일부 08밖에 안 볼 듯

    • @Jinsu-rf5ml
      @Jinsu-rf5m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취지는 ‘대학’을 꼭 가야하는 걸로 여기지 말아라입니다.
      느끼시는 바가 정확합니다.
      그걸 느끼길 바라는거예요.

    • @user-ro9bc5vr2i
      @user-ro9bc5vr2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09년이 정말 개꿀일까요? 내신제도 대입제도모두 전폭적으로 뒤바뀐 1호시험대에 서는 아이들이고 기준삼을 자료도 없어서 ...어느시대건 입시개편 제1호들은 선의의 희생양이긴하죠. 물론 이미 고3영역까지 국수사과영 선행 다끝내고 수능1등급 찍고 입학할 대치수성구목동 정시러09년생들에겐 개꿀중의 개꿀일듯 . 거기에 속하지않는다면 대부분의 09년생도 입시개편 희생양이죠

    • @qwerasdf-wz7kt
      @qwerasdf-wz7k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ro9bc5vr2in수생들이 빠진다는것만으로도 메리트는 충분합니다

    • @user-wc5oc6zp4f
      @user-wc5oc6zp4f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어쩌면 개꿀일 수도 있는데
      일단 재수생들 싹 줄어들 거고
      평가원이 난이도 조절 이갈고 잘할 가능성 좀 높음

    • @d0qlsrla08
      @d0qlsrla0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하 특성화고 가기 잘한거같기도.. 여기서 잘해서 바로 취업이나해야지..

  • @user-px1pj1up5n
    @user-px1pj1up5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1

    뭘 해도 사교육이 더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
    1. 문과? 과학 해야함.
    + 이과는 두 개 더 하고 사회도 해야함. 심지어 아직 교재도 없음 학원에 의존해야함.
    2. 내신? 1.0아니면 의미 없음. + 고교서열화로 중학교 부터 공부해야함.
    3. 대학? 심화수학 무조건 하거나 면접 확대.
    최악으로 보면 고교 서열화로 중학생부터 학원 뺑뺑이, 공부량 증가로 학원 개수가 늘어남, 논술 면접학원 늘어남.
    + 중 3은 마지막 현 수능이라 진짜 고통 받을듯.

    • @user-pu4ec2yn5k
      @user-pu4ec2yn5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중 2들은 이걸 좋아해야되나 안좋아해야되나 궁금하네

    • @ISFP_000
      @ISFP_00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수생 줄어서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 @satesdy
      @satesd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user-pu4ec2yn5k득 보는 거보단 실이 많지 않나? 재수생이 적다는 거에 비해

  • @jygyr12346
    @jygyr1234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9

    개인적으로는 교육부가 수능이라는 틀에만 매몰되지 말고 학생들에게 좀 더 다양한 방향성의 진로를 제시해주는게 우선순위라고 생각함... 그걸 수십년이 지나도 못하고 자빠졌으니까 대입판이 이렇게까지 기형적으로 바뀌게 되는거지....
    수능 응시자들 중에 상당수는 대학이랑 크게 상관도 없는 직종에서 일하게 되는게 현실인데, 이런 사람들이 흔히들 말하는 스펙을 쌓는 그런 과정은 교육부가 진짜 너무하다 싶을정도로 인색함.
    성인도 되지 않은 학생들한테는 일단 수동적으로 주입되는 정보 아니면 직접 찾는것조차 어려운게 현실인데, 이런 부분을 일선학교나 기관에만 맡기지 말고 교육부 차원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홍보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제일 큽니다.

    • @user-ii5zm5ht5d
      @user-ii5zm5ht5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진짜... 아무리 좋은 정책을 들고와도 대학진학률 90퍼센트의 기형적인 대입경쟁이 없어지는 게 아니면 의미가 없는데

    • @user-ji2yd2zx7l
      @user-ji2yd2zx7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근데 이런게 진짜 필요한 부분이긴 한게 팩트인데 이건 한국사회문제라 교육부가 어떻게 할 수 있을지도 난 모르겠음 ㅋㅋ

    • @jygyr12346
      @jygyr1234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i2yd2zx7l 당장 산업인력공단에서 학력제한없이 기사급까지 딸 수 있게 만들어둔 과정평가형 기술자격 취득제도같은거 만든지가 10년이 되어가는데 다수의 학생들이 이것조차 쉽게 접하기 어려우니까요. 특성화고 나와도 기능사로 끝내버리는 학교가 다반사고요.(과평이 마냥 좋다는 논지가 아니고 이런식의 다양한 루트에 대해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게 했으면 하는 취지에서 적었습니다)

    • @kiwi_bird_la9
      @kiwi_bird_la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dartflutter8897 근데 기술이 1시간씩 공부해서 뚝딱 나오는 것도 아니고... 부모들 입장에서는 못해도 마이스터고 라도 보내려고 하는디 그 인식도 너무 안좋은듯 ㅋㅋㅋㅋ

    • @Yandaeny
      @Yandaen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dartflutter8897기술 배우려면 공사현장가서 선임 따까리하면서 돈주고 배우는 수 밖에없는데... 전문대가거나... 마이스터고는 성적높아야되고... 물론 개나소나 받아주는 마이스터고도 보긴했지만

  • @user-yz7vb2do9u
    @user-yz7vb2do9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35

    08인데 솔직히 너무 부담되네요.. 재수는 당연히 하기 힘들겠고 07들 황금돼지띠라 안그래도 수가 많은데 재수생들 대거 내려오면 진짜 힘들 것 같아요 다들 얼마나 열심히 준비할지 정말 걱정됩니다.. 깔끔하게 정리해주시고 소신발언해주신 미삼누님 감사합니다!!ㅠㅠㅠ

    • @human-being1
      @human-being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7

      이렇게 보니 08 진짜 최악이네. 재수생은 많고 정작 자기들은 재수하기가 힘들고...

    • @G.08f
      @G.08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제가 늘 생각한던걸 정리해주셨네요ㅋㅋㅋ 같이 화이팅 해봐요...ㅠㅠㅜ

    • @nameno5420
      @nameno542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3

      @@user-sj7mi7tz6c 08이 제일 힘든건 사실인걸..

    • @kaykaydudu6393
      @kaykaydudu639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본인 07인데 08 불쌍한 듯.. 나만해도 재수 1번밖에 못할거 같아 아쉬운데ㅠ

    • @user-qpe1doc3sd
      @user-qpe1doc3s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6

      @@user-sj7mi7tz6c 솔직히 05 08 09빼고는 닥치고 있어야됨

  • @user-xx3hg4vc3b
    @user-xx3hg4vc3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05

    교육과정은 ㄹㅇ 보수적인게 짱인듯

    • @user-jl9kx3xe8x
      @user-jl9kx3xe8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2

      구관이 명관임

    • @beomkun
      @beomku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7

      자꾸 대학에서 필요한 역량을 공교육에서 제외시키는데 이게 어케 공교육 강화냐 사교육 강화지 ㅋㅋㅋ

    • @user-th2oc7sm9o
      @user-th2oc7sm9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7

      저출산이나 초딩 의대 같은 이슈때메 바뀌긴 해야하는데 방식이나 방향성이 맞는지 의문이네요

    • @user-kk1hr9bb2l
      @user-kk1hr9bb2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3

      그냥 방향성을 개같이 잡다보니 발전은 안되고 오히려 퇴보해서 이런 댓글이 나오는 듯 ㅋㅋㅋㅋ 멋지다! 탁.상.행.정

    • @qw-kw5wc
      @qw-kw5w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교과교실제나 좀 없앴으면

  • @2008abc
    @2008ab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59

    재수생 비율 터져버리는 수능 현역으로 치를 08 개추 ㅋㅋ

    • @user-kw9xv2ii5p
      @user-kw9xv2ii5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야수의 심장"

    • @user-se6zf6lj5i
      @user-se6zf6lj5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1

      이미 대학 잘 다니던 사람도 마지막으로 한번? 할 수도

    • @tera141
      @tera14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3

      아니 왜 나에대한 기준만 이렇게 엄격한건데 시발

    • @user-gv9rw2wh7n
      @user-gv9rw2wh7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7

      아~ 바뀌기전 마지막 수능인데 함 봐야지~~

    • @Kim_su_an
      @Kim_su_a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3

      "마지막 한번"

  • @jeonsayim
    @jeonsayi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2

    애초에 고교학점제를 하면 안됐을 것 같음.. 미3누 입장도 지금 개편 내용 자체보단 고교학점제랑 안 맞는 것 같다는 점이 비판 포인트로 보임.

  • @user-rx4kq8fd5s
    @user-rx4kq8fd5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0

    09도 힘들겠지만 현 08은 눈물만 납니다..ㅠㅠ
    모든 장수생들이 저희때 수능을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얼마나 이를갈고 준비할지..
    무조건 수시. 정시는 생각도 못해요ㅠ
    재수는 교육과정 싹 바뀌니까 생각도 못하고요
    재수에 ㅈ 자도 못꺼내고 수시에 목숨 걸어야하는 08은 참담하고 암울한 미래에 괴롭습니다..😢

    • @gullmine
      @gullmin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하 얏댔따 ㅋㅋㅋㅋ

    • @tothem8041
      @tothem804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한번에 가시길 ㅜ

    • @JohnsonSon1235
      @JohnsonSon123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저 98년생인데 모든 과목이 다 변화했었는데 개정과정 두렵다 뭐다했는데 결국 다 익숙해져요

    • @user-uqieizjr971
      @user-uqieizjr97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0

      @@JohnsonSon1235 이건 그정도 변화가 아님
      08이 수시재수? 솔직히 이젠 1등급 먹어도 수시재수는 어림도 없고
      정시로 간다고 하더라도 교육과정 다시 공부해야하는데다 지금정도로도 변별력도 안나올 가능성이 매우 큼
      09는 그렇다 쳐도 08은 진짜 개빡칠만함

    • @pstand
      @pstan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JohnsonSon1235진짜로 과목만 바뀐다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진짜 '싹 다' 바뀌는거라서..😢

  • @milkyway3220
    @milkyway322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3

    ㅇ ㅏ 드디어 나왔다 나혼자 이해하기에 너무 빡센 변화라 미3누 정리해주겠다 싶어서 오매불망 기다렸어요...ㅎㅎ

  • @oscar_charlieee
    @oscar_charliee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교육부 입장에서도 정말 고민이 많을거 같긴 하네요. 선진국에서 다 한다는 고교 학점제와 논서술형 평가는 도입해야겠고, 그런데 그렇게 대폭 바뀌면 학부모와 학생 사이에 대거 혼란이 발생하여 사교육시장이 커질 우려가 있고..! 그러다보니 진짜 무지성 짬뽕이 된 것 같네요ㅋㅋㅋㅋㅋ
    일단, 선진국형 교육이 우리나라에 도입되면 정말 좋을까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 같고, 더 나아가 교육정책의 목적이 사교육비 절감인지, 사회불평등 완화인지,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인지, 또는 청소년 행복도 증가(또는 자살율 감소)인지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네요!

  • @pluto4614
    @pluto461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42

    윤도영 *통합과학* 시스템,,, 그는 어디까지 내다본것인가

    • @user-fz2rp5fc4y
      @user-fz2rp5fc4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5

      생명을 넘어 과학 통합1타로 등극할 윤도영

    • @boomkam1
      @boomkam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5

      화학 생물을 넘어 도장깨기 ㄷㄷ

    • @sloan00
      @sloan0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0

      2021: 생명만 하면서 웬 통합과학??
      2023:

    • @Y.u.m.s
      @Y.u.m.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도긩이 ㄷㄷ

    • @user-xg9uz8wf3k
      @user-xg9uz8wf3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근데 통과 통사에 지금 고1교과서보다는 내용이 추가될라나? 고1 통사통과 수준이면 탐구 사교육은 필요없겟는디

  • @user-qx3hc6xq9i
    @user-qx3hc6xq9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6

    와.. 현 고3인게 다행이네요.. 미미미누 교육부 가서 대신 좀 일해주세요..

  • @No.0
    @No.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9

    수학을 포함해서 어떤 과목이든 범위가 많은 거는 문제가 되지 않음. 범위가 적으면 난이도를 올려야 하는데 킬러문항이라고 까고, 범위가 많으면 학습부담이라고 까는데 애초에 당연한거임. 나는 배우는 내용이 많아져서 공부할 내용이 많아지는게 대학교에서 수학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문제 난이도가 높지 않아도 효과적으로 변별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간절히 바라는 것은 교과서의 학습 이외로 문제 유형을 암기하고 심화 문제집을 풀 정도로 수학(修學)의 본질에서 떨어진 학습을 할 시간에 본질적인 학문을 배울 수 있을 정도의 개념량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대학교 전공책'은 시험대비 문제집이랄 게 없는것처럼요.※

    • @jeeck5500
      @jeeck550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게 맞음

    • @FighterPro-mu2yn
      @FighterPro-mu2y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ㅆㅇㅈ. 지금 잘하고 있는거

    • @happiness26764
      @happiness2676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시 수학은 공통 수학+선택이라 시험이 여러갠데 각 시험마다 변별하려면 난이도가 마냥 쉽진 않을 것 같은데요...

    • @jeeck5500
      @jeeck550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happiness26764 지금도 그런데요,,? 수1수2 공통, 미적분 기하 확통 선택

    • @happiness26764
      @happiness2676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eeck5500 공통 수학은 수1,2,확통으로 변별해야하니 지금보다 빡세져야하고 선택으로 들어갈 심수, 미적 역시 절평이라도 해도 대학 입맛에 맞추려면 마냥 쉽게 내진 않을거에요. 학생들이 배우는 범위가 늘어나는게 문제 난이도 하락으로 이루어지려면 수1,2,확기미를 같은 시험에 보던가 해야하는데 저렇게 하면 범위 넓어지는게 무슨 소용인가요

  • @koonwildly735
    @koonwildly73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안정적으로 변화하고 싶어하는 교육부... 그런데 당장 내신은 서논술형 강화.. 몇년뒤에 학생학부모가 서논술형 점수에 이의제기하는 소송 나오고 하겠네요..

  • @dailyquiz2023
    @dailyquiz202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56

    통합사회 통합과학으로 합쳐지면 기존 사탐 과탐 강사들 간의 경쟁이 더 치열해지겠네요… 입시 개편안 일목요연하게 요약해주셔서 이해가 잘 됐습니다👍👍

    • @user-ol5rd7wb6b
      @user-ol5rd7wb6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3

      파트벌 발췌수강을 할 수도...

    • @RoB-lq9zb
      @RoB-lq9z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ol5rd7wb6b오 ㄹㅇ 이럴듯

    • @user-ot5ud9yt5d
      @user-ot5ud9yt5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8

      @@user-ol5rd7wb6b ㄹㅇ 나는 강사들이 그냥 각자 가르치던 과목 계속 가르치고 애들이 물화생지 4개 들을 거라 생각했는데

    • @realgooddaedong
      @realgooddaedon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그럼 책값이 어마어마해지겠네요... 물화생지 다 따로 들으면 책을 2배는 더 사야되겠는데

    • @user-hh7xs6ow9y
      @user-hh7xs6ow9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realgooddaedong 프로필 사진ㅋㅋㅋㅋㅋㅋ

  • @springtime1360
    @springtime136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9

    미누 진짜 말 잘한다 ㅋㅋ 18분내내 넋놓고 봤네

    • @user-db1td2qo8b
      @user-db1td2qo8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1배속으로봄? 적어도 1.75는 해야지

    • @user-zy7kz2ce8h
      @user-zy7kz2ce8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user-db1td2qo8b 넌 최고야

    • @user-vr5vo2mo9m
      @user-vr5vo2mo9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나도 ㅎㅎㅎ 말 왤케 잘해 ㅎㅎㅎ 그냥 넋놓고봄

  • @yeon792
    @yeon79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고교학점제 관한 의견에 살짝 공감가는 게
    다녔던 고등학교에서 일반 문과 이과 반 이외에 추가로 개설되는 반이 있었는데, 선택 인원이 많지 않아서 1등급이 1명 나오는 과목도 생기게 되고
    그래서 다들 1등급 못 받을까봐 처음에 선택했던 애들도 점점 빠져서 결국 개설 실패 되었던… 특히 신청 인원이 1등급 노리던 상위권 학생들이 많이서 더더욱 고민 많이 하다 결국 탈주한 애들 많았는데
    솔직히 진짜 상평으로 가면 고교 학점제도 비슷한 문제를 피하기 어려울 텐데
    지금 서울대가 정시에서 생기부 커리큘럼 보듯이 무슨 수업 들었는지를 반영하거나 하는 식의 장치는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spes0320
    @spes032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2

    미3누 즐겨보는 초등교사입니다. 아이들의 미래를 고려하면서 하루하루 살아가야겠네요. 확정된 내용도 꼭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user-zl5yk5pm8j
    @user-zl5yk5pm8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0

    진짜 우리 08년생들이 현역으로 못가면 적어도 3수 해야하는 상황 아니냐... 근 2~3년동안 몇 번의 입시 제도가 바뀌는건지 어질어질하다.. 교육부 고위공직자라는 분들이 지금의 수능을 보는게 아닌데 지들끼리 말도 안되는 소리를 북치고 장구치고 하는게 너무 어이가 없음 ㅋㅋ 답변도 두루뭉실하게, 내놓는 교육정책은 전에 낸 교육정책과 합이 안맞고, 사교육 주된 문제들 파악을 못하면서 뭘 바꾸려는게 어이가 없음.
    이 그지같은 상황속에서도 어떻게든 공부하고 노력하는 08년생들 정말 고생이 많다.. 우리 좀만 버티자 ㅠㅠㅠㅠ

  • @es_iz
    @es_i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1

    탐구는 무조건 개편해야 할듯. 통사 통과는 너무 기초적인 내용이어서 변별하려면 또 이상한 킬러유형 만들어야 하고 과목 자체의 퀄리티도 별로임. 정시하는 사람이 과탐 고1수준밖에 모르고 대학가는 것도 말이 안되고. 차라리 탐구는 옛날처럼 일반선택 중 3택으로 바꾸는 게 나을 거 같음

    • @user-om6qv7lj8n
      @user-om6qv7lj8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모든 사과탐 과목 내용을 통합으로 낸다는 뜻같은데

    • @es_iz
      @es_i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user-om6qv7lj8n고1때 배우는 통사 통과 출제하는 거

    • @user-ez5jv6om1v
      @user-ez5jv6om1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es_iz알아서 내겠죠 고1수준으로 내면 너무 쉽고 고3 수능 수준으로 내면 너무 난해하고 어려워서 어느정도 중간지점 찾아서 내겠죠. 아니면 뭐 0908 잣된거지 ㅋㅋ

    • @user-ez5jv6om1v
      @user-ez5jv6om1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es_iz애초에 바뀐수능 해의 애들은 실험쥐임

    • @user-ji2yd2zx7l
      @user-ji2yd2zx7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통사 통과가 고1 통사통과였음??? 헐 사탐 과탐을 합쳐서 낸다고 했던 영상봤었는데 구라였나

  • @lifesciencehwang7445
    @lifesciencehwang744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저는 100%논서술형 문제를 내고 채점하는 특목고 교사입니다. 출제, 채점, 확인 작업까지 늘 살얼음판을 걷습니다. 모든 교사들이 이게 가능할거라고 생각하는 , 교사를 만능 부속품으로 생각하는 그들이 우스워요. 지금 기간제 교사도 못구해서 아우성인 이 현실에 다양한 교과목 개설을 위한 인력 수급은 가능할까요? 차라리 수업 연구만 하는 강사면 가능할까요? 실질적으로 수업연구 시간이 부족해서 퇴근후 밤까지 새벽까지 아니, 주말까지 갈아넣는, 방학마저 생기부 기록으로 나를 갈아넣는 이 현실에 버텨낼 사람은 얼마나 남을지요. 아 참고로 저는 새내기가 아닌 2006년 임용된 급식밥 꽤 먹은 교사입니다.

  • @MaritimeRescue
    @MaritimeRescu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0

    개인적으로 내신은 진짜 의미없다고 생각해서 옛날 스타일 정시 위주로 가는게 맞는거같은데 역으로 가네

  • @user-sb6xf3yi8o
    @user-sb6xf3yi8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

    수시도 다 끝나가고 2028 개정이고 뭐고 나랑 아무 상관 없는데 걍 미삼누가 웃겨서 계속 봤네 30살 먹어도 보는거 아닌가 몰라

    • @user-hn7ol2xj3c
      @user-hn7ol2xj3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40살도 많이 봄요 ㅋ

  • @XL_275
    @XL_27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어차피 사교육은 못잡습니다 사교육 잡겠다고 교육과정 계속 개정하면서 애들 힘들게 하지말고
    그냥 공교육에 돈이 들어가야합니다 교사한테 강사만큼 돈을 주면 강사를 희망하던 인재가 교직에 들어가면서 수업퀄리티가 향상되겠죠

    • @dk-lg8mw
      @dk-lg8m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뭔소리함 ㅋㅋ 그냥 세금낭비지 진짜 퀄리티가 올라갈거라믿음? 교사라면 어 시발 대충해도 월급 많이주네 하고 개꿀빠는 직업됨

    • @Tumbler93
      @Tumbler9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Zzzzzzzzz

  • @cycango
    @cycang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1

    미3누 이렇게 학생들 위해서 자세히 설명해주는거 너무 좋음 교육유튜버 원탑

  • @junejune1025
    @junejune102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0

    최근 들었던 개편안 설명중 가장 깔끔하고 공감가는 포인트가 많았네요!! 앞으로도 이슈 있을 때마다 쭉 리뷰해 주세요~

  • @synee._.
    @synee._.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안 그래도 교사분들 행정업무 많아서 학생들 수업에 투자하기 힘든데 문제까지 서논술형으로 내고 채점까지 하려면 더욱 할 일 많아지겠네요 (+문제 이의제기는 덤) 교사분들 행정업무 줄이고 수업에 집중할 수 있게 한 다음에 서논술형으로 내게 하던지...ㅠㅠ 답답합니다

  • @user-zt2ww3ig6e
    @user-zt2ww3ig6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09는 재수생 싹 사라진 상태일 것 같은데 오히려 그게 메리트일 수도.... 근데 5등급제면에 수시 정시 구분 사라지면 수시 성적 잘나오는 지방으로 가는게 나을 것 같네요 ㅠㅠ 강남 8학군에서 정시파이터 이런 건 09부터는 불가능이네요...... 그리고 입시가 어떻게 바뀌든 사교육은 절대 안줄어들텐데 교육부는 방향을 잘못 잡으신 듯...

  • @toyi_usagi
    @toyi_usag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결국 돌고 돌아 수능은 옛날 그 모습으로 돌아온 격이네. 차 떼고 포 떼니 그냥 돌격하라는 격으로 되었네요.

  • @getmarriedkyosato
    @getmarriedkyosat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08 애들 어떻게 재수하라는거임.. 진짜 개 불쌍하다

    • @user-ee4te7un4y
      @user-ee4te7un4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하지마란거지 이 정도면 ㅋㅋㅋ

  • @user-fo7ps1fc9p
    @user-fo7ps1fc9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우리아이들이넘힘들겠어요ㅜㅜ 고등학생들가방한번들어보세요 저는눈물날것같더라구요 더어렵게바뀌면어떻하냐구요 ㅜㅜ넘잘듣고갑니다

  • @Mason8904
    @Mason890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2

    05들 4수안에 가자ㅋㅋㅋㅋ 미3누는 안된다...

    • @sowowj5235
      @sowowj523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ㅠㅜㅜㅜㅜㅜㅜㅜ 홧팅

    • @user-nh5mm6if6k
      @user-nh5mm6if6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8들 개꿀이네 ㅋㅋ n수생 비중 겁나 적겠다

    • @milkbinu
      @milkbin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nh5mm6if6k왜요?

    • @user-nh5mm6if6k
      @user-nh5mm6if6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milkbinu 본인들 n년동안 수능 공부했는데 바뀐거에 맞춰서 또 보려고 안할건데

    • @Wisniewski1
      @Wisniewski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milkbinu 08이 아니라 09임 쟤 잘못말한듯

  • @byeungsindle
    @byeungsindl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처음에 이 소리듣고 마약은 연예인들이 아니라 교육부가 빨고 있나 싶을 정도로 놀랐음..내신은 5등급제로 한다고 하질 않나 수능은 갑자기 선택과목이 다 없어지고 고1처럼 통과, 통사라길래 진짜 미쳤나 싶었음..내신 5등급제가 ㄹㅇ 두근두근함..이미 인서울도 상위 10퍼의 학생들만 간다고 할 정도인데 1등급 비율이 10퍼라고 하니..이제 일반고에서 내신이 2가 찍히는 순간 인서울은 물건너 가겠네..수시 입결 진짜 볼만할 듯

    • @user-wb8gl2sf4i
      @user-wb8gl2sf4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차피 9등급 나눠도 닌 4등급임ㄷ

    • @byeungsindle
      @byeungsindl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wb8gl2sf4i 왜 시비를 쳐걸지? 인생이 그렇게 힘듦?

    • @byeungsindle
      @byeungsindl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wb8gl2sf4i 이게 어디서 배워먹은 싸가지지? 너희 부모가 그렇게 가르쳤니?

  • @Irene11111
    @Irene1111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1

    09인데 2025 때부터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에 따른 고등학교 유불리 관련해서도 설명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wlrnvudvudtjf-yj6kf
    @wlrnvudvudtjf-yj6k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99년생 이미 수능은 오래된 과거인데 갑자기 알고리즘에 떠있길래 들어와봤다가 뭔가 재미짐을 느낌ㅋㅋㅋㅋ 시간이 좀 많이 지나긴 했는데 되게 많이 바꼈구나 고교학점제라니 대학처럼 학점으로 수업을 듣는 건가 개신기해

    • @user-se4kj3iy4j
      @user-se4kj3iy4j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정작 당하는 사람은 재미없다는.. ㅎ

  • @user-no6on2ur4z
    @user-no6on2ur4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최대 피해자 08년생..... 애매하게 걸쳐서 재수도 애매해지고 이게 뭔지.......

    • @user-mp8vj3ud3x
      @user-mp8vj3ud3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 한 방에 가라

    • @user-ip8mj3gx6t
      @user-ip8mj3gx6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수시로 가자!!

  • @Mel0ndyy
    @Mel0ndy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6

    깔끔한 설명 감사합니다.
    09인데 개편안에 대해 잘 알아보고 앞으로 열심히 나아가겠습니다.
    교육 개편이 어떻게 되든 본인이 열심히 하면 이로운 쪽이 될 테니까 힘내서 열심히 해볼게요✊️!

  • @skfhrhalsk
    @skfhrhals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수능에선 절대 (논)서술형을 반영할 수없을거예요. (대학자체별로는 할 수있겠지만) 임용고시가 서술형인데 답안공개안하거든요. 답안 공개했을때 내답에대한 시시비비 몇십만명이 가려달라고 공정하냐고 난리칠거 뻔하구요. 평가원에서 절대 다 커버못해요. 이걸 학교에 넘긴다? 하... 갑갑하네요 정말

  • @user-hu1yb2mc2r
    @user-hu1yb2mc2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 내용 언제 업로드하실지 너무 기다렸어요!!역시 귀에 쏙쏙~!!미누님 제발 교육부로 가주세요🙏🏼

  • @user-Kchola
    @user-Kchol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4:51 수학부분은 사실상 현행 수학 선택 체제 이전, 그러니까 (가)형과 (나)형 수학으로의 회귀를 선언한 거죠. 달라진 점은 이과 파트는 절평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어졌다 정도?

    • @user-ps2mx9py9l
      @user-ps2mx9py9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맞긴함 사실 수리 가나형때 수리 가형 때 저거 거의 다했으니깐 이번엔 절평 부분도 있기도 하고

  • @user-lp1wb3nh4g
    @user-lp1wb3nh4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08들 어떡하냐 09는 처읍부터 바뀐 교육과정으로 몇년동안 공부해왔을거지만 08은 재수하면 첨부터 1년만에 싹다 갈아엎어야함 재수생이 현역보다 못할 가능성도 있겠는데 어캄...

  • @user-jo8cj9vv6j
    @user-jo8cj9vv6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고교학점제 시범학교 나와서 23년도 입시 치른 대1로서 고교학점제 상대평가는 정말 몹쓸 짓임.
    우리 학교는 학생 수가 200명 이상으로 적은 편이 아니었음. 과목이 선택 가능한데, 같은 과목도 1/2학기에 각각 개설됨.
    근데 여기서 물리 같은 상위권 이과(특히 공대)들만 주로 챙겨듣는 과목은 안그래도 인원수 없는데 학기별로 눈치싸움 났음.
    결국 1학기에 60명 정도 몰려서 눈치싸움 실패한 2학기 수강생들은 10명 내외로 1등까지 1등급. 2등까지 2등급. 3등까지 3등급을 받게 되는 끔찍한 상황에 몰림.
    고교학점제 정말 깔아주는 애들 없이 빡빡하게 내신 치루느라 상위권 경쟁 피터짐. 과목도 늘려서 인원 분산되는데 상대평가? 큰일 날 일이다.

    • @user-ro9bc5vr2i
      @user-ro9bc5vr2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상대평가로 됐기때문에 과목분산되지 않을꺼예요 결국학생들은 수능과목, 자기대입 계열과목으로 이수할꺼기 때문에 대부분 획일적으로 몰려다니겠죠 상대평가되고 수능파워가 더 올라갓는데 누가 입시와 아무상관없는 진로과목 듣겠어요...결국 문재인의 고교학점제는 일단은 폭망했고, 대학서열화를 전혀 없애지않은 상태에서 현실과 괴리된 이상적인 고교학점제를 어거지로 도입한게 이모든 사태의 원인이겠죠, 시기상조라서 국민과 교사 8,90프로 이상이 반대한 고교학점제를 독단으로 밀어붙이고 이 혼란을 자초한 진보정권과 사걱세단체 반성 크게 해야됩니다.

  • @kong6603
    @kong660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입시에 궁금한 점이 많은 08 학생입니다. 저희 다음 해부터 수능이 변화한다는 점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내신 5등급제 같은 내신의 변화가 우리에게 적용되는지 궁금합니다. 2025년부터 22개정이 도입되는 것이면 08들은 고1 때 15개정을 이용하고 고2 때 22개정으로 바뀌는 것인지, 고등학생 시절 내내 15개정을 이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dorgorae
    @dorgora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그러면 이제 진짜 05 기준으로 제2의 미미미누는 없겠네ㅋㅋㅋ... 4수가 최대야

  • @WoojinGoat
    @WoojinGoa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와 근데 08재수는 그럼 진짜 빡세겠네.. 모두 힘내요

  • @user-ld7mm1eu3l
    @user-ld7mm1eu3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2

    교육과정이 10년을 못가네 이렇게 바뀌면 애들만 피해보지 에휴

    • @user-po4ov9ix6h
      @user-po4ov9ix6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ㄹㅇ 걍 원래대로 가지 왜저러는거임 5등급제 ㅇㅈㄹ

    • @user-mx2dw6pb9d
      @user-mx2dw6pb9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po4ov9ix6h어짜피 변별해야하는건 똑같은데 ㄹㅇ 생각없어보인다 수시로가도 수능 중요해지고 정시는 아예 처음이라 예측불가인데 학생개인이 아는게 뭐가있다고 학원없이 준비한다는건지 이해가 안됨

  • @user-yq9te4jx5r
    @user-yq9te4jx5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09년생 너므 안쓰럽네요.
    통합은 가져다 붙히기만 하면 끝이고 몰빵 몰아넣으면 끝인건지ㅠ
    어짜피 대학에선 변별하는 방법은 다 있다고 하니 미누님이 한 말처럼 고교학점제에 맞게 평가가 이루어져야 된다고 봅니다.
    절대평가에 선택과목(본인 진로맞게) 하는게 제일 최선인데요. 독감걸린 딸아이가 공부하는게 오늘따라 더 안쓰럽네요ㅠ

  • @user-ty9bf8wx5b
    @user-ty9bf8wx5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쉬워진다고 좋아하겠지만
    근 10년을 지켜본결과
    대학들이 그렇게 쉽게 넘어가진 않더라
    자기만의 기준을 더 어렵게 바꾸고 선별하는데
    각자 기준이 다 달라서 오히려 해야할 공부가 더 늘어난다

  • @user-qg6cv9sw2i
    @user-qg6cv9sw2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4

    아 통과 통사가 진짜 1학년때 하는 그거였어? ㅋㅋㅋ 나는 무슨 통과 통사가 2,3학년때 배우는 거 추가하는 건줄 ㅋㅋ

    • @Logfunction
      @Logfunctio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6

      진짜 미쳤다 ㅋㅋㅋㅋㅋㅋ
      ??: 저 정시할래요(통합과학책을 꺼내며)

    • @homehome-fx3ht
      @homehome-fx3h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추가맞을껄?

    • @homehome-fx3ht
      @homehome-fx3h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user-xu3rc8se6n
      @user-xu3rc8se6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Logfunction ㅈㄴ 노간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rockstardreamer
    @rockstardreame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미미미누 100만 찍었네 축하합니다

  • @kiyjy7
    @kiyjy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솔직히 대한민국은 갈수록 아이들이 불행해질 수 밖에 없는 나라가 되어가고 있는듯 합니다...
    어릴 때부터 너무 많은 것들을 준비하고 배워야 하고 그 과정에서 피로감을 느끼고 좌절하는 아이들을 생각하면 정말 이게 대한민국이 가야 하는 길이 맞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학교라는 곳이 개인마다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최대한 끌어내고 인격이 형성되어야 하는 곳인데 지금 대한민국의 학교는 아이들의 인격형성을 짓밟고 지식들을 강제로 주입시키는 것도 모자라 사교육을 사실상 강요하고 있습니다...
    이런 교육과정을 거친 아이들이 과연 행복하고 자존감 높은 존재로 성장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 @Pra_seodymium
    @Pra_seodymiu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진짜 뭔 어떻게든 사교육 강화 하고 싶은 건가 ㅋㅋㅋ

  • @kyhong8453
    @kyhong845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현재 내신에서 객관 70 서술 30인데 정답이 명확한 수학 과학 이외에 문과과목 서술형은 그냥 교과서 암기대회입니다. 평가근거로 교과서 그대로 쓰는게 반박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단어하나 빠트리면 안되고 적어야합니다. 지금도 암기 끝판왕 대회가 내신인데 근데 이런 서술 평가비율을 더 높이면 창의력이 올라가는게 맞습니까? 평가기준때문에 논란이 많을텐데 항상 현실과 괴리됨

  • @So-wk3cf
    @So-wk3c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0

    너무 획일화 시키는 것 같음… 선택과목 유불리가 있다해도 각 과목 덕후가 생길 정도로 각자 자기가 흥미있는 과목 선택하고 심화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는건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보는데 탐구는 정말 이대로 개편되면 안될 것 같음

    • @user-pu4ec2yn5k
      @user-pu4ec2yn5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확실한건 한두과목 원툴들은 이젠 경쟁력 제로일거같음.

    • @user-yv2oj2qj4d
      @user-yv2oj2qj4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렇다기엔 탐구통합돼서 표점싸움없어지는 메리트가 ㅈㄴ크다고봄

    • @user-yv2oj2qj4d
      @user-yv2oj2qj4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리고 생명이나 사문같은 개념자체가 적은 과목의 경우 변별력 확보를 위해 문제가 말도안되게 어려워짐. 오죽하면 생명이 유전, 비유전으로 나뉘겠냐고 유전파트는 대학교들어가서 쓸일 ㅈ도없는데... 사문같은 경우엔 타임어택 만들려고 계산복잡한 도표문제내고...
      니가 말한대로 자기가 흥미있는 과목을 심도있게 배워보고자 이런제도가 시행된거겠지만 이로인해 문제난이도가 ㅈㄴ올라가면서 그냥 킬러문제만 주구장창 연습하면서 타임어택 줄여야하는 시험이 됐음. 학문을 배우는게 아닌 정형화된 수능킬러문제를 반복풀이하는게 요구되면서 제도 시행의 기존 목적이 전치되는 현상이 벌어짐

    • @T1_and_Only
      @T1_and_Onl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개인적으로 그 부분은 별로 동의하지 않음. 첫번째로, 고교 수준은 말그대로 교양임. 대학의 수업을 이해하기 위해서, 혹은 일상생활하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능력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
      예를 들어서, 역사덕후가 연표만 달달달 외우고 자기 고장이 어딘지도 모르며, 정치구조도 잘 몰라 주변의 명석한 분들에 휩쓸려서 선거를 한다고 하면 바람직할까? 너무 극단적인 예시지만, 한쪽으로만 공부하는 인재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 정도는 충분히 이해가 될 거임.
      그럼 그 탐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이 된다면?이라고 할 수 있음. 그러면 더욱 심각함. 우선 고교에서 요구하는 탐구의 능력과, 학부(대학) ㅡ 석사 ㅡ 박사에서의 연구가 전혀 다름. 따라서 그것만 잘하는 인재가 대학에서 100퍼 적응할 완벽한 재능이 아니라는 거임. 역사로 예시를 들면, 고교에선 사건, 연표를 달달달 외우지만, 연구라면 이것을 탐구해야 함. 전혀 다른 성격이라는 거지. 그런데 한 분야의 공부에만 익숙해지고, 좋아하는 공부만 하겠다고 고집이 강화된 상태라면, 그때가서 "못하는 공부"를 하기는 더욱 어려워짐.
      두 번째로, 현재 모든 과목 공통적인 얘기인데, 이제 한과목만 잘해서 연구하는 건 말도 안됨. 앞의 예시에서 이어가자면, 역사를 잘하기 위해 지리, 경제, 정치 등등 기본적인 고교 수준의 소양이 있어야 탐구 시작이 가능한데다, 현재 어떤 탐구든 융합, 연구 협력이 필수적인데, 이 과정에서도 당연히 기본적인 탐구 교양이 있어야 협력이 가능함.
      소위 "덕후형 공부"는 취미로나 하는거지, 국가가 추구할 인재상은 전혀 아님. 공부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분야가 좁아지는 것은 적어도 석사 이상은 되어야 하는 소리지, 고교 수준에서 한 과목만 파고싶다는건 단순한 편식임

    • @T1_and_Only
      @T1_and_Onl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심화적으로 공부하고 싶다면 보편적으로 시행되는 대학수능이 아니라, 대학 이후 대학원에 진학해서 하면 됨. 애초에 그렇게 구성된 교육과정이고.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를 모두가 봐야하는 공부에 적용하는 건 순전히 이기심에 가까운거지.

  • @user-sg5yc9ji8j
    @user-sg5yc9ji8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미미미누 구독자 100만 축하드립니다 200만까지 쭉 가봅시다!!

  • @OneGerm
    @OneGer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미미누님의 해설이 가장 아이들에게 와닿네요...

  • @countryLee
    @countryLe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현 중1입니다 미누님이 있어 이해하기 힘든 교육과정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요 ❤ 항상 감사합니다 제가 수능치는 2029년까지 활동해주실거죠!?!??!?! 믿을게요잉~

  • @user-gm8xp8jk5g
    @user-gm8xp8jk5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구독자 100만명 축하해요 형!

  • @user-ue1tm3ro1b
    @user-ue1tm3ro1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현 08
    수능 n수생 다수 출몰 -> 정시불가
    +재수불가
    무조건 수시
    제 목표는 최저없는 교과( ㅈ반고 갈거임) 메이저 약대
    '중앙대 약대' 27학번으로 가겠습니다!!

  • @user-cr5xb5yv8n
    @user-cr5xb5yv8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와 이 영상으로 역시 미미미누!
    고교학점제와 변경되는 대입개편에 관심이 많아 최근 발표후의 여러 미디어의 영상을 들었으나 미미미누님 설명이 가장 최고로 귀에 쏙쏙 들어오며 간파하는 능력에 한번더 놀랍니다!

  • @user-vf1go7xk7x
    @user-vf1go7xk7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난 우리나라 교육부가 미미미누 영상 봐야한다고 봄. 누구보다 학부모,학생,대학 마음 잘 읽어주는듯

  • @user-dq6xt6mj2p
    @user-dq6xt6mj2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현 중2, 즉 09입니다. 진짜 교육부 때문에 미치겠습니다.
    대체 어디에 맞춰서 공부를 해야합니까?
    아직 공식적인 확정은 안났고 일단 수학은 조져야하는데 제 인생이 조질 것 같습니다

  • @trytoptry
    @trytoptr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08이가장헬인데
    09는 그나마 장수생 빠짐
    3년동안 통사 통과 공부 시간 있는데
    08은 장수생이랑 싸우는 거+1년동안 통사 통과 확통 어케 커버쳐....

  • @joldal3796
    @joldal379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자세하게 그리고 핵심을 잘 짚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미3누가 교육부장관이 되는 날까지 존버해봅니다...⭐

  • @mun0844
    @mun084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미누님 너무 힘들고 피곤해 보인다 건강챙기먄서 방송하세요

  • @nadonadodo
    @nadonadod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이건 아니죠 하는 거 또 수능 전문가로 뉴스에 자료 화면 나오면 웃기겠다

  • @star_s_hine
    @star_s_hin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1

    09는 재수할 수 있잖아.. 08 살려주세요 n수생 넘쳐나는데 재수는 못 함ㅋㅋㅋㅋ

    • @Y.u.m.s
      @Y.u.m.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드가자~

    • @korean0102
      @korean010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07인 본인 재수 안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nadonadodo
      @nadonadod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orean0102동지, 함께 손잡고 인서울합시다

    • @Y.u.m.s
      @Y.u.m.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orean0102 07은 재수해도 상관없다 그 이후론 안되겠지만 화이팅

    • @user-ci4cs7pt6d
      @user-ci4cs7pt6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ㅋㅋ 5수해서 09잡으러간다

  • @user-tu6ul8ws6c
    @user-tu6ul8ws6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와 아ㅔ하하하하하하 재수 원래도 안 하려고 했지만 조금의 미련도 없애버리네 확인 사살 굳 존나 공부만 할게요,,,

  • @Y.u.m.s
    @Y.u.m.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08 수고하시고..

  • @4rang123
    @4rang12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행성우주과학 궤도 개웃기네ㅡ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ell-lv1rf
    @hell-lv1r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저는 현 2008년생 학생입니다. 교사분들 입장에서는 정말 너무나 황당하고 당혹스러울 듯하네요. 결국 논서술형을 수능에는 도입시키지 않고 학교에서만 시범식으로 출제하게 되면 연구와 휴식의 시간은 줄어들고 문제 출제와 이의 제기 건으로 고생할 게 훤한데요. 학생 입장에서 보았을 때도 입시 제도 변경으로 인해 사교육은 훨씬 광범위해질 테고 위와 같이 2007년생들은 황금 돼지띠 출산 급증으로 인한 현역들의 어려움, 2008년생들은 윗 년생들의 재수화 및 다음 해 입시 제도 변경으로 재수를 할 수 없을 거라는 현역 수능 압박, 2009년생들은 본인들부터 시작하는 수능 개편안에 당황스러울 테고요.
    대학에서도 안 그래도 학생 때 못 배운 걸 더 못 배우고 올 테니 교수님들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을 듯합니다.
    대한민국의 사교육 축소를 위해 교육부에서 내놓은 제도가 참 당혹스럽고 어찌 대비해야 할지 막막하지만, 열심히 현 학업에 집중하며 확정 개편안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미미미누 님의 2차 리뷰 기다립니다.

  • @user-tq8li8sh3x
    @user-tq8li8sh3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3

    개편안 보고 미3누가 이거 다뤄줄때까지 기다렸으면 개추ㅋㅋㅋㅋㅋㅋㅋㅋ

  • @heejae4
    @heejae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와 미3누덕에 정리 다 됨

  • @h11250
    @h1125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진짜 학생 입장에서 시원하게 이런 방송 없네요 가슴은 천불나고요 진짜 최악의 개편 ㅠ

  • @user-is2zr5tf7m
    @user-is2zr5tf7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대학까지 졸업하고 보는 미3누 재밌누

  • @user-dd3ip9lb3g
    @user-dd3ip9lb3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일찍 태어나서 진짜 너무좋다

  • @user-di5lh8rs8v
    @user-di5lh8rs8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08은 사실상 어떻게 보면 제일 불리한 상황임. 그 상황에서 한 번에 대학가야하고 ..08도 이 상황이 너무 무섭습니다. 08,09 분들 우리 모두 화이팅 합시다...🙏

  • @20030923
    @2003092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3

    현재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다니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 교육과정 개편안과 입시 개편안을 보면서 저희 과 선배님들은 하나 둘 교행직으로 빠지기 시작하셨습니다. 이번 개편안은 높은 업무 강도와 요구하는 교수자적 전문성에 비해 교사에게 어떠한 보상도, 보람도, 방안도 주지 않는 그저 교사를 교육과정의 부속품으로 취급할 뿐이라고 하시더군요.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갖추어도, 교육과정이 그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틀이나 나침반을 쥐어주지 않고 오히려 새로운 평가 방법을 제시하면서 직접 교사가 찾게 만드는, 교사도 가르침과 동시에 배워야하는 교육과정이라고요. 슬슬 임용 공부를 시작해야 하는 저로서도, 임용에 붙어도 내가 교사로서 교육과정을 아이들에게 잘 전달하고 올바른 평가 방법과 문제를 제시할 수 있을까하는 자기 의심이 듭니다. 언젠가는 바뀌어야하는 교육과정이고 입시지만, 교사를 지망하는 한 사람으로써 그래도 교사분들께 더욱 자세한 틀을 제시해서 교사분들이 혼란스러운 개편 속에서도 길을 찾을 수 있도록 해줬어야 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user-lc4sl4mu2b
      @user-lc4sl4mu2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현직교사로서..임고준비하시기전진짜심사숙고하고준비하시길바랍니다.진짜요..교생샘들오시면 진짜하실거냐고백번묻고있습니다.

    • @KuZky1
      @KuZky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임용되서도 문제지만 중학교 고등학교 분위기도 완전히 다릅니다. 교육부는 교사의 말을 들을 생각이 없어보입니다... 임용 시험 내용이 애들 가르치는거랑 별개의 시험이 되버린지도 오래고, 사범대에서도 바뀌는 교육과정 등에 맞는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시스템도 아닌데, 국가는 전문 인력으로 교사를 양성 시키겠다면서 전문성 있는 교사들의 의견은 늘 반영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교사분들 생각은 개개인이 다르기야 하겠지만, 이상적인 교육과정을 하고 싶으면 앞뒤나 좀 통일 시켰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교단에서 늘 합니다...

    • @user-dt6mc4rb5n
      @user-dt6mc4rb5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하여튼 교사들 꿀빨려는 심보가 그득하구나

    • @user-yb7gn4hf5r
      @user-yb7gn4hf5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

      @@user-dt6mc4rb5n 이게 왜 꿀 빨려는 심보인가요?

    • @user-ei6wh9rg5w
      @user-ei6wh9rg5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꿀빨려고 그럼 고등때부터 열심히해서 사범대가서 거기서도 임용고시 몇년을공부해서 교사되는건데. 꿀빨만하지.

      의사가 돈많이 벌고 편히 사려고 열심히 공부한건데 의사는
      꿀빨면안댐??
      교사는 꿀빨면안됨?
      그럼 사대가서 임용고시합격하던가
      병신새끼가 뚫ㅇ린 입이라고 함부로하네

  • @user-mh9cx7vx9r
    @user-mh9cx7vx9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ㅈㄴ 감성적인 사람이라 미안항데…………… 점점 더 다 챙겨야하는 분위기로 가는거면 꿈은 언제 어케 찾는데 아 ㅋㅋㅋㅋ 아니 그럼 차라리 체육 미술 음악 이런거 싹 다 빼고 공부 시간표로 만들어버리던가 뭘 하라는 거

  • @user-fu9el4yi7l
    @user-fu9el4yi7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미미미누님 2024 수능 시뮬레이터 얼른 올려주세요... ㅠㅜ 수능 26일 남은 현역 정시러인데 수능 당일날 변수같은거 때문에 자꾸 걱정돼서 죽을 것 같아요..ㅠㅠㅜㅠ

    • @user-cm7jq3tr5p
      @user-cm7jq3tr5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예상하는 불안요소는 수능날 일어나지 않아요 ~!
      다른데서 문제가 생길 뿐이죠

    • @user-lg7dc1jy6d
      @user-lg7dc1jy6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짜피 수능은 몇년이 지나도 메뉴얼은 거기서 거긴데 작년꺼 보면 되잖아?

  • @user-jm4uc7nt6u
    @user-jm4uc7nt6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09년생인데요..... 솔직히 지금까지의 대입도 잘 몰랐던 터라 크게 바뀌는지도 모르겠고 그냥 아무 생각이 없지만...... 네 지금부터 힘차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면서 미리미리 대비해보겠습니다.......친구들이 큰일났다고 해서 왜 그러나 했는데 네 여러모로 정신이 없는 개편이긴 하네요 ! 하지만 다른 분들도 다 똑같이 경험하고 똑같이 힘든 것일 테니 더 열심히 하면 해낼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 .... 미미미누님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 와 정말 머리 아프네요 ㅠ ㅠ

  • @heyr7
    @heyr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09는 그냥 따라가면 되는데 08이 재수 못해서 위험함 내 동생 08인데 수고~

    • @user-kl3oe3rd3k
      @user-kl3oe3rd3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냥 따라간다니 ㅋㅋㅋㅋㅋㅋ 애초에 재수라는 선택지부터가 ㅋㅋㅋㅋㅋ 현역이라도 그렇게 보는걸 감사해야지
      애초에 09수능 처음이라 좆망할 가능성 개높은데

    • @user-mx2dw6pb9d
      @user-mx2dw6pb9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kl3oe3rd3kㄹㅇㅋㅋ 수능 어떻게나올지 아무도몰라서 오히려 학원빨 ㅈㄴ받죠

  • @heejoung73
    @heejoung7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융합과학 하려면 기초과학이 튼실해야하는데
    기초도 안되어있는데 융합과학이라니..

  • @user-oq6kr5cc3u
    @user-oq6kr5cc3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3

    빠르게 입시를 치룬게 다행이라고 생각하게 되네요.....

    • @lilillilllilil
      @lilillilllili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9

      현우진
      "입시는 일단 빨리 탁 치고 끝내고 넘어가시는게 맞아."

    • @Y.u.m.s
      @Y.u.m.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lilillilllilil "다음번엔 보지맙시다"

    • @user-ze8gq5od6m
      @user-ze8gq5od6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u.m.sfarewells

    • @yydmm5761
      @yydmm576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ilillilllilil 띵-

    • @MM-yb6cw
      @MM-yb6c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치른 게

  • @mimiminu
    @mimimin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2

    대치동 09년생으로서 한마디 (제 말이 다 맞다는 게 아닙니다.. 그냥 이번 상황에 대한 제 생각을 쓴 것이에요)
    1. 수능
    약간 혼란스러울 수는 있으나 내신만큼의 나쁜 변화는 아니라 봄 (내신 변화가 ㅈㄴ 충격적인 거라 그런 걸수도)
    일단 전반적으로 깊이가 얕아지고 범위가 넓어지는 느낌인데
    수학은 상위권 대학을 가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공통에 미기확까지 다 해야되는 상황이 되었으나 변별력 이슈는 방어할만한 변화라 생각함 그러나 교육부가 입이 닳도록 말하는 사교육 감소에는 택도 없는 소리임
    통합사회 통합과학은 정말 예전수능 (물화생지에 사탐도 다 보던 시절) 에서 범위는 비슷하고 깊이가 얕아지는 시험이라 생각이 되는데 뭐 물론 09들 공부 열심히 하겠지만 통합과학 통합사회에 대해 모든 부분 다룰 수 있을 학생들은 결국에는 상위권 애들이 될 것임 (얘도 사람들이 우려하는 만큼 변별력이 없어질 것 같지는 않다는 말) 지금 학교 내신만 봐도 통과통사 1등급 받는 애들 얼마나 된다고.. 물화 이미 빠싹하게 해둔 최상위권 09들에게는 조금 아쉬울지 모르지만.. 그치만 얘도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부담이 덜어져서 사교육이 감소할 거 같다고 예상하는 거라면 ㅈ까셈 상위권 애들이나 대치동 애들은 어떻게 해서든 변별력이 낮아졌다고 생각되는 상황 속에서 본인들을 증명하기 위해 사교육 ㅈㄴ 받고 좋은 성적 받으려고 노력할 것임
    2. 내신
    ㄹㅇ.. 욕 박고 싶은 부분임
    일단 다른 선진국들 중에 9등급제 하는 나라 없다고 5등급제 한다? 나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봄
    일단 개인적으로 나는 그 나라들과 우리 나라는 출발 자체가 다르다고 생각하는 사람임
    우리나라는 전쟁 이후에 백 년도 안 되는 시간 동안 급속도로 큰 발전을 이룬 나라이고 그 배경 중 하나는 당연히 교육과 치열한 경쟁이었음 물론 그 과정에서 안타까운 상황들이 많이 일어났기에 교육부는 사교육을 줄이자 학생들의 공부 부담을 줄이자 하면서 선진국들의 교육 정책을 따라가려고 하는 것 같은데 진짜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라면 이렇게 바뀌면 안 됨
    고교학점제라서 절대평가로 한다더니 1학년은 상대평가다 2,3학년은 절대평가긴 한데 상대평가도 표시는 한다? 말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ㅋㅋ 그냥 상대평가 할 건데 최상위권과 상위권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겠다는 말로 들림 당연히 대학 입장에서는 그 사이에서 잘하는 애 뽑으려고 면접도 보고 세특이나 생기부도 보고 공부, 성적 외의 부가적인 요소들로 학생들이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아질 것임 학습 부담을 줄이겠다면서 애들이 공부가 아니라 공부 외적의 부분들에 더 신경 써야하는 상황을 만듦 ㅋㅋ
    서논술형 평가는 진짜.. 수능이 서논술형 평가로 치뤄지지 않았던 이유는 채점하는 사람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없었기 때문임 내신 자체가 학교 별로 같은 시험지를 가지고 보는 시험이 아닌데 이걸 서논술형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가겠다? 쌤들은 당연하고 애들도 스트레스 많이 받을 거고 사교육의 도움도 더 많이 받게될 것임 채점 결과에 대해서 학생과 학부모들의 무수한 항의가 빗발칠 것이고 결국에는 서논술형 평가 확대 방안을 낸 교육부는 욕 먹겠지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든 반대의 목소리가 없을 수는 없음 다만 지금의 교육부가 정말로 원하는 것이 선진화된 교육이고 사교육의 감소라면 학생들의 공부 부담을 더는 방향보다는 공교육 수준의 발전을 챙기는 쪽으로 가야 함 선행학습 안 된다 뭐다 하면서 결국에는 공교육에서 선생님들이 학생들에게 깊이 있는 교육을 못하도록 만들어 놓고 대체 뭘 어쩌라고 자꾸 씨부리는 건지..
    차라리 학생들이 세특이나 생기부보다 온전히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에 대해 생각해 주셨으면 함
    옛날이나 지금이나 미래에나 공부 잘하는 애들이, 노력한 애들이 좋은 대학을 가는 건 변하지 않을 것임 08이든 09든 모두 열심히 준비해서 좋은 대학 가자!!

    • @user-kn1sy1ly3x
      @user-kn1sy1ly3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ㄹㅇ 지금 정부 교육정책 난해한 거 같음 일단 우리나라 교육 대학이랑 직장 성공 문화 안바뀌면 뭘 어딜 어떻게 바꾸든 답 없다고 생각함. 그렇다고 사회의 문화를 다 바꿀 순 없으니 그것도 애매함.

    • @Labbit_3201
      @Labbit_320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와 제 생각이 이거에요! 진짜 말 잘하신다.. 공교육이 발전해야 하는데ㅠㅠ 혼란스러워도 지금부터 대비하고 노력해야죠 08 09들 힘내봐요 :)

    • @user-ps7qy8ym3f
      @user-ps7qy8ym3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1

      대치동 09는 필력도 다르노ㅋㅋ

    • @greengrass2750
      @greengrass275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저도 대치동 사는 09인데 내신 진짜 욕 나와요. 해외 사례 참고한 건 그렇다 치는데 왜 5등급제만 따라하고 절평은 안 따라하는지ㅋㅋㅋ 고교학점제를 하겠다는 건지 말겠다는 건지 모르겠어요. 또 수능도 아니고 내신에 서논술형 내면 그 많은 지문들 달달 외울 생각에 벌써부터 토 나오네요. 내 의견을 논술하는 게 아니라 교과서 개념이 그대로 나오면(like 주관식) 암기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죠
      솔직히 내신이든 수능이든 논술형 필요하긴 한데 우리나라는 공정, 객관성에 목 매는 나라라 현실적이진 않고요

    • @onetime_go
      @onetime_g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대치동엄마로서, 이번 변화는 사교육이 승자입니다. 돈이 더 많이들어요. ㅠㅠ
      1. 정시는 그대로 등급제가 되니 수능관련 학원은 그대로 유지됨. 탐구에서 빠지는게 통사통과로 바뀔뿐!
      2. 내신이 인강이 안되니 학원비가 젤 많이 드는 부분인데 고3까지 상대평가하고 수능이 약화되면서 모두가 내신을 추가로 챙겨야하므로 고2 정시생들조차 내신학원을 다 다니게 될것임. 안다니던 절대평가 탐구2과목 다 다닌다 봄됨. ㅠㅠ
      3. 교과점수 약화로 세특과 비교과, 면접과 논술을 다 준비해야함. 이건 비용이 더 비쌈.
      4. 수시할 사람들은 선택과목이 중요해질수있으므로 컨설팅도 더 자주받아야함. ㅠㅠ
      한마디로 모든 분야를 다 챙기고 그건 다 돈을 의미함. 돌아버림 ㅠㅠ

  • @iynuhod7158
    @iynuhod715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통과, 통사가 기존 선택과목을 합쳐서 새로 만드는 과목이 아니라 지금 1학년들 배우는 그거임? 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ㅋㅋㅋㅋㅋㅋㅋ레전드네

    • @Y.u.m.s
      @Y.u.m.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ㅇㅇ

    • @korean0102
      @korean010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학교 쌤 말로는 통합과학1 통합과학2 이런 식으로 나뉜다 함

    • @sllwer4528
      @sllwer452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걍 수능 자격고사화 하겠다는거임

    • @bread05
      @bread0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통과 통사 내용 지금보다 좀 더 어렵게 해야할 것 같은데ㅋㅋㅋ문제 낼 게 뭐가 있냐 진짜

    • @iynuhod7158
      @iynuhod715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ㄹㅇ

  • @user-ls7qu6vx1l
    @user-ls7qu6vx1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심화수학 시험 난이도가 어떻게 나올지가 제일 궁금하네요. 교육부피셜로는 개념 소양 수준으로 내겠다고 했지만, 의견은 반반으로 갈리는 중입니다. 일부에서는 2교시 공통수학으로는 갈리지 못할 변별을 심화수학에서 할거라 어렵게 낼거란 의견이 있고, 다른 의견은 2교시 통합수학만으로도 변별은 충분히 가능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화수학이 있는 이유는 이공계 기초 소양 함양이기 때문에 생각보다도 더 쉬울 수 있다. 라며 두가지 의견으로 갈립니다.

  • @user-jangjorim
    @user-jangjori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재수 못보는데 재수생 넘쳐날 예정인 08은 웁니다.... 하 그만좀 바꿔

    • @Yyybn
      @Yyyb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ngelkmh
    @angelkm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귀에쏙쏙 들어오네요. 날카로운 분석.감사합니다

  • @user-im6ux2pq6c
    @user-im6ux2pq6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속시원한 방송 좋아요

  • @KlaySPark
    @KlaySPar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현직 과학교과를 담당하고잇지만 세특의 중요성이 더 커지니 교사의 업무가 많아진다는 대충 그런뜻

  • @user-wp3gj2kw5n
    @user-wp3gj2kw5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08들 수능에 사람 개몰릴 거라 생각하고 수시에 몰빵하려 했지만 그렇게 생각하는 수시러들도 개많다는거.... 그냥 개빡공하는 수밖에 없다

  • @rui_iz
    @rui_i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아니 미누 언제 백만 됐어?!?!대박😮😮😮

  • @365freedom6
    @365freedom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형 100만 축하해🎉🎉🎉🎉

  • @user-mj2iu1wy8r
    @user-mj2iu1wy8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ㅋㅋㅋㅋ 과연 입시제도의 말로는 어떻게 될지 ㅋㅋㅋ

  • @user-si5fe9yo2f
    @user-si5fe9yo2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07입장에선 08상위권 중에 고등학교 자퇴한 다음에 -n수를 하거나 고1로 들어온 다음에 성적 안 나온다 싶으면 유급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저희는 재수도 하기 부담스러워지는데 08은 재수조차도 도전이라는 게 맞나 싶네요..

    • @user-pd6jr1qo1c
      @user-pd6jr1qo1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니지 유급은안하지 비교내신이란게 있잖아 과거에 수능100%때 내신 챙긴 1.0애들 지금 30대되서 대기업퇴사하고 의치한약수간다고하고있고 정말 예전에 우수미양가도 지금내신으로 바꿔주잖아 그럼 08들은 원래 2등급을받아도 재수하면 1등급(10%,과거 2등급)을 준다는데

    • @user-si5fe9yo2f
      @user-si5fe9yo2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pd6jr1qo1c 그러면 굳이 유급은 할 필요 없겠네요

  • @user-ub6kl4sf6h
    @user-ub6kl4sf6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눈높이 분석 정말 좋습니다! 교원단체에서 내신 절대평가와 학점제 같이 가야한다고 주장했는데, 다양한 과목을 열어도 수요가 적으면 공동교육과정 이런식으로 타학교 모아서 듣고 폐강은 막을 수 있다지만 그런 소수과목 10퍼센트면 1등만 1등급 받는 참사가…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는 정책 그치만 하나만 잘해도 대학간다는 7차부터 22개정교육까지 보다는 사회 과학 모두 시험보는 방식이 더 나은건 분명해보여서, 응원을 하고 싶습니다. 학부모와 학생, 특히 언론은 이래도 지랄 저래도 지랄하고싶은 욕구를 좀 참고 지켜보시는게 … ㅎㅎ

  • @yeonxnn
    @yeonxn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08들아 힘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