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로부터 배우다 | 니콜라 부리오 (Learning from Pansori | Nicolas Bourriaud)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6 ก.พ. 2025
  • '여러 사람이 모인 곳'을 의미하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인 판소리는 공간의 관계를 상징하는 한국만의 고유한 음악으로서 '대중의 소리' 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판소리의 정신을 이어받아 제15회 광주비엔날레는 우리 주위의 살아 있는 형상들과의 대화를 통해 동시대 공간을 탐구하는 전세계 70여명의 작가를 선보입니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지금껏 느낀 적 없는 새로운 울림을 2024년 9월 광주에서 만나보세요.
    The term ‘pansori’ is derived from the Korean words ‘pan’, meaning “a place where many people gather”, and ‘sori’ meaning “sound”. This unique Korean music genre symbo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space, embodying the meaning of ‘the voice of the people.’
    The 15th Gwangju Biennale intends to recreate the original spirit of pansori, presenting over 70 artists who explore contemporary space through dialogue with the living forms around them.
    Join us in Gwangju this September.
    #제15회광주비엔날레 #15thGwangjuBiennale, #GwangjuBiennale #광주
    #gwangju #contemporary #art #동시대 #미술 #광주비엔날레 #비디오에세이
    #videoessay #판소리로부터배우다 #LearningfromPansori
    #NicolasBourriaud #니콜라부리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