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66세 허리아픈 일할 수 없는 여자... 그런데도 너무 흥미롭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직접 해 볼 일은 없어도 보는 눈 수준이 올라갑니다 23년째 살고 있는 집 문틀에서 바늘구멍 첨 찾았습니다 ㅋ 모든 현장 작업자분이 이렇게 전문화되어 꼼꼼시공 해준다면 월매나 좋을까요^^ 번창하시길~♡
@@끄이하네 허리먹 치수는 건설사 직원들이 정합니다. (세대 높이가 실제로는 도면과 다를 수 있고, 각 세대 마다의 편차도 있기 때문에 평균잡아 동일한 마감치수를 만들기 위함) 실제 각 세대에서 먹줄 튕기는 건 목수 반장중에 먹 전문으로 놓는 사람들이 작업하죠. (물론, 먹 작업 후 건설사 직원이 다시 확인 합니다.) FL(마감치수), SL(슬라브치수)등의 높이를 쓰는데, FL을 어디부터로 하는지 정하기 위한 높이로 보통 FL +1,200을 허리먹으로 놓습니다. (세대 천장 높아 대략 2,400 전후) 즉 세대 마감의 중심선이라 보시면 됩니다. 덤으로 FL과 SL은 대개 120 정도 차이 나는데, 세대간 차음재, 기포몰탈, 방통몰탈, 마감재(마루) 를 합친 높이입니다.
우왓 반셀프 인테리어 하면서 불과 며칠 전에 저 부분을 놓쳤어요. 😢 UBR 화장실 철거 전 기존 화장실 문틀에 맞춰 새로운 문틀을 주문했는데 철거 후 새 문틀 넣고 타일할 시점이 되니 문틀이 너무 크더라구요.. UBR 철거 후 공간 사이즈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을 못했던 탓인데.. 이걸 미리 봤더라면...! 내일 새 문틀 보양하러 가야겠네요 ㅋㅋ 감사합니다. 소장님 😊
요즘 가설 전기는 골조와 같이 진행되기땜시... 보통 진행중인 골조의 3~5개층까지 따라 붙어 시공합니다. 갱폼용으로 미리 드럼 안에 가설케이블을 넣어 인상시 케이블도 같이 딸려 올라가게 시공하는 경우가 많죠. CPB라던가, 전기바이브레이터, 용접기 등, 골조에서도 전기는 써야 하니까요...
선생님 덕분에 다들 바쁘신 현장 상급자분들 안괴롭히고 이런 디테일한 지식을 얻을 수 있어 너무 좋습니다. 결정권이 필요할때, 결재가 필요할때만 보고 및 상담하면 되니 서로 부담도 줄고, 감리분들과도 즐겁게 일하고 있습니다.
응원합니다. 화이팅!
현장일하며 문득 이건 왜이렇지? 를 다 해소하는 채널. 너무좋습니다.
사전점검 하면서 소장님 영상 덕분에 도움이 많이 됐어요 일반인 눈높이에 맞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0년전에 지금 집 입주할때도 알았으면 타카 자국 하자접수 하지않았을텐데 말이죠~ ㆅㆅ
감사합니다. 자주 오세요
셀프 인테리어 중인데 덕분에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50대 이줌마가
아파트 분양받고
건설현장을 보면서
공정을 이해할수 있는 최고의 영상들이네요.
무척 잘 보고 있습니다.
항상 영상 응원합니다 ❤
응원 감사합니다. 자주 오세요.
전 건설쪽은 아닌데 앞으로 단독주택의 꿈을 가지고 있어서 영상 항상 챙겨봅니다. 문틀도 사소해보이지만 이렇게 섬세한 작업이 필요한지 영상보고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주 오세요
너무 재미있어요~ㅎㅎ 잘보고갑니다~
항상 새로운 지식을 쌓아가는거 같아 기분이 좋네요. 감사합니다.😊
늘 도움되는 내용 감사드립니다~ ^^
설명도 잘해주시고 늘 너무 감사드립니다
재밌다...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오늘도 영상 되게 재밌게 잘 봤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구독자님도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저는 건설과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지만 오래전부터 구독하고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하긴 저런 집에서 제가 살고있으니 상관이 있ㅈ... ^^
가틀이 작업 후 때낼줄 알았는데 끝까지 함께하는 좋은 친구였군요 !
😊
감리입니다.항상 잘보고있어요
좋은영상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옷. 1등이네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주 오세요
재밌다 ㅋㅋ
이분 좋은일하시네요
건축하는 사람으로서 많이배웁니다
다음주 현장나가면 또 이부분을
찾아보고 이렇구나 저렇구나 봐야겠네요ㅎ
전 66세 허리아픈 일할 수 없는 여자...
그런데도 너무 흥미롭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직접 해 볼 일은 없어도 보는 눈 수준이 올라갑니다
23년째 살고 있는 집 문틀에서 바늘구멍 첨 찾았습니다 ㅋ
모든 현장 작업자분이 이렇게 전문화되어 꼼꼼시공 해준다면 월매나 좋을까요^^
번창하시길~♡
응원 감사합니다. 구독자 분들중에 여성분이 거의 없는데, 더욱 반갑네요. 건강 하십시오
선생님 최고야..... 이런 분이 건축과 교수님, 또는 전문계고 선생님이셨으면 당장 배우러 입학했을듯
작업과정이 재미있습니다
PL창호 전에 허리먹부터...
모든 마감 레벨 기준부터 잡아야 합니다마는... ㅇㅅㅇ...
그 먹을 누가치는거에요??
@@끄이하네 허리먹 치수는 건설사 직원들이 정합니다. (세대 높이가 실제로는 도면과 다를 수 있고, 각 세대 마다의 편차도 있기 때문에 평균잡아 동일한 마감치수를 만들기 위함)
실제 각 세대에서 먹줄 튕기는 건 목수 반장중에 먹 전문으로 놓는 사람들이 작업하죠. (물론, 먹 작업 후 건설사 직원이 다시 확인 합니다.)
FL(마감치수), SL(슬라브치수)등의 높이를 쓰는데, FL을 어디부터로 하는지 정하기 위한 높이로 보통 FL +1,200을 허리먹으로 놓습니다. (세대 천장 높아 대략 2,400 전후)
즉 세대 마감의 중심선이라 보시면 됩니다.
덤으로 FL과 SL은 대개 120 정도 차이 나는데, 세대간 차음재, 기포몰탈, 방통몰탈, 마감재(마루) 를 합친 높이입니다.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안그래도 집 문틀에 전부 바늘구멍 같은게 있길래 예전 집 주인이 뭘 박아서 이렇게 된건가 했었는데 오늘 의문을 싹 해소했네요
골조가 끝나면 보통 조적 창호 미장
양중하던거 던지고 달려왔습니다
실타카 자국이 싫다고 하자 올라옵니다, 이는 정상적 시공이라고 설명 해도 감성적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전부 메꿔 달라고 진상 부립니다.
우왓 반셀프 인테리어 하면서 불과 며칠 전에 저 부분을 놓쳤어요. 😢 UBR 화장실 철거 전 기존 화장실 문틀에 맞춰 새로운 문틀을 주문했는데 철거 후 새 문틀 넣고 타일할 시점이 되니 문틀이 너무 크더라구요.. UBR 철거 후 공간 사이즈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을 못했던 탓인데.. 이걸 미리 봤더라면...! 내일 새 문틀 보양하러 가야겠네요 ㅋㅋ 감사합니다. 소장님 😊
거실하고 방하고 PL창호지리는 똑같지않나요?ㅜ 거실 PL창호지리는 타일두께신경안쓰고 안방 목창호 가틀 두께에서 조정했었는데..(아트월 타일때문에..) 소장님께서 목창호쪽을 말씀하신거같긴한데 PL창호쪽을 보여주셔서ㅎㅎ..(물론 PL창호도 주방같은 부분이 있기때문에 다 같다는건 아닙니다!)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잘보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그런데 내장이 먼저들어가서 허리 기준먹이나 샤시마감먹 놔야 거기에 맞춰서 골조 나 샤시 기준 정하는거로 아는데요. 골조 뒤틀림 무시하고 샤시가 꺽쇠 일률로 박으면 골조 뒤틀린데는 방이나 거실 뒤틀어져서 항상 철거하는 세대가 많이나옵니다.
골조 청소 후 다음 공정은 조적입니다만, 건식벽을 많이 쓰시는 회사라 창틀이라 하신거 같네요
집수리 배우시려는분들께는 아 채널이 교본인듯.
문틀에 실타카 부분을 매꿔주는 작업도 있었는데 요즘은 그런 작업이 없나 보네요
첫 줄 보고 적습니다.
골조때 가설전기 지중전선 깔고 장비 외함접지 슬라브 했겠지만...
그래도 분전반 쓰려고 전기부터..(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맞는말인데 ㅋㅋㅋㅋ
요즘 가설 전기는 골조와 같이 진행되기땜시...
보통 진행중인 골조의 3~5개층까지 따라 붙어 시공합니다. 갱폼용으로 미리 드럼 안에 가설케이블을 넣어 인상시 케이블도 같이 딸려 올라가게 시공하는 경우가 많죠.
CPB라던가, 전기바이브레이터, 용접기 등, 골조에서도 전기는 써야 하니까요...
그걸 골조전기라 부르지요ㅋㅋ
골조(철콘이나 타구조물) 안에 골조전기, 설비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집 문틀에 뾰족한 타카심이 바깥에 튀어나와있는게 보여서... 이건 뭐지 싶어서 몇개 뽑았었는데, 덜 박혔던 거였군요.
저 정도 흠집이면 바꿔줘야 할 듯....
타카 자국 마감은 크레용으로 스티커 제거제 바르고 발라주면 티 안 납니다
이분께 건축 맡길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대형 건설사 현장 소장님이시니까........500세대 이상 아파트 사업주(시행사 사장)이 되시면 됩니다.
@@스타밸리 아하… 그렇군요.. 우리집현장도 오셔서 지어주셨으면 이렇게 하자가 많지 않았을텐데 라는 생각이드네요..
@@ginzason대기업 현장소장이면 건설계의 씹 엘리트인거임 ㅋㅋ
교수님 혹시 엘리베이터 골조 공사도 한번 다뤄주실수있나요??
완강
엣날에 가틀 냉가랑 딱지 고아서 가틀 세워 놓으면 화장실 냉가 곰방이 다부수고 다니던거 생각나네..
마감 공정 중 아트타일 말고 MDF합판으로 마감하는 경우가 있던데 장단점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
진짜 옛날아파트는 조적벽 세운거같은데 요즘은 각파이프 대고서는 석고보드로 마감하는군요
습식공법이 생활공간에 안좋다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리모델링이나 하자보수 시에도 폐기물이나 먼지가 생기지 않기도 하구요
람마 문선
몰래 카메라네
문틀에 바늘구멍이면 몰카 빼박이지
여성시대 난리 나겠네
영상 좀 봐라
저능아 티 좀 내지말고
근데 저 방식으로 틀을 세우면 10년지나면 떨어집니다. 내구성이 나빠요.
노가다의교과서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