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방토크] 삶은 선택의 연속이고 철학은 삶의 기술이다 _240821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5 ก.พ. 2025
  • 철학 공부라는 게 인류한테
    얼마나 중요한데요
    그런데 철학을 배운 적이 없고요
    왜 현대에 와서는요, 더더구나
    이런 철학 공부가 안 이루어졌죠
    그래서 그냥 철학에 대한 지식만
    엄청 논술 대비해서
    머리만 막 굵게 하잖아요?
    그런 건 철학이 아니거든요
    지식이죠, 지식
    '고대 철학이란 무엇인가?'인가요?
    그 책이 되게 좋은 게,
    쓰신 분이 관점이 좋은 거죠
    '철학은 삶이다!'하는 거예요
    삶의 기술이다
    삶의 기술이라는 건 선택의 기술이다
    내 인생에 어떻게 선택하면서
    살아가느냐가 철학이다. 그래서
    고대 철학자들은 그냥 삶을 살았다
    그런데 중세에 철학이
    신학의 시녀 노릇하다 보니
    철학의 본색을 잃게 되고
    공무원처럼 그냥 신학적 이론을
    그러니까 어느 종교의 교리를
    합리화하는 도구화
    되어버린 거죠, 철학이. 그랬다가
    근대로 오니까 좀 부흥하려다가
    전반적인 사람들의 인식이
    철학에 대해서
    지식으로 접근하게 되면서 망했다.
    그래서 고대에서 배우자!
    이런 게 그 책의 취지거든요
    그런데 여기 되게 중요한 게
    저희도 늘 하는 얘기인데요,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고
    사실 선택의 기술이죠, 철학은.
    무얼 선택할까? 그것 때문에 하는 거죠
    그래서 그 진리가 중요한 거예요
    명상은 올바른 선택을 위한 도구이지,
    명상만 하고 있다고 해서
    선택이 되는 건 아니에요
    중요한 건 선택을 해야 하는데
    "더 가치 있는 선택"
    근데 이건 철학 공부를 안 하면
    알 수가 없는 거예요
    내 인생에 대한 의미 부여가,
    즉 인생 스토리가
    너무 저급한 스토리 인 거예요,
    각자 자기 인생의 스토리가.
    이걸 고급지게 해주는 게
    철학적 지식인데
    그냥 지식만 얻어서 되는 게 아니라
    그 지식으로 실제로 그 지식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철인들이고
    그 철인들이 보여 준 이야기,
    오히려 행적이나 이런 거
    언행록을 봐야 더 재밌겠죠
    그냥 논리만 전개되는 거 말고
    살면서 어떻게 선택했는가에 대한
    모범들을 보여주는 게
    우리가 말하는 4대 성인들이고
    소크라테스 한 분만
    서양 철학적으로 놓고 보더라도
    그분이 삶을 통해 보여준 거를
    후대 철학자들이
    보고 배우려고 했던 거예요
    '멋지다! 저렇게 살고 싶다!'
    이게 철학의 핵심입니다
    '나 저렇게 살고 싶다!'고 해야
    그 제자들이 모여서 스승과 제자 간의
    정보 교환이 이루어져요
    배울 게 있는 거죠. 찾아와서 이미
    '당신처럼 살고 싶어서 왔어요'
    '평소에 어떻게 선택하시나요?'
    '평소에 어떻게 마음 관리하시나요?'
    왜냐하면 선택을 하더라도
    이성만의 문제는 아니니까
    감성을 어떻게 다스려서 삶을
    그렇게 선택해 가면서 꾸려가시나요?
    이런 게 이제 전수되는 장이
    아카데미아건 이렇게
    옛날 철학 학당들이죠 그래서
    서양에도 학당들이
    곳곳에 학당들이 서요
    불교식 학당이죠, 도량이라는 게
    '불·법·승'이 만나면
    그러니까 불(佛)이라는 존재는요
    법(法)을 아는 사람 정도가 아니에요
    법대로 살고 있는 사람이죠
    왜냐하면 이게 딱 생명입니다
    우리가 참나를 알려면요, 간단해요
    참나에 대한 지식을 우리가 들입다
    공부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어떻겠어요? 참나에 대해 알고 싶어서
    참나에 대한 책을 사서 막 외워요,
    논리적으로. 다 부질없죠
    참나 잠깐 돼보는 것만 못 하겠죠?
    지식은 많을지 몰라도
    참나가 돼봐야 알아요
    '아!, 참나는 진짜로 '상락아정'하네!'
    이거 그냥 알죠, 돼보면. 안 돼보면요,
    '참나는 영원한 것'해서 이렇게
    외워야 돼요. '참나는 영원한 것'
    많이 외우면 안 거 같이 느껴져요
    누가 뭔 말 하면 이제 반박합니다
    '그건 참나가 아니지!
    영원하지 않잖아!'
    이제 논리로 주장하는 거예요
    자기는 경험해 본 적이 없지만
    논리만 알고 있는 사람이 되게 무섭죠
    진짜 만난 사람도 그러면
    자기 논리랑 안 맞으면 부정하게 돼요
    '나 참나 만났는데
    참나 만났는데도 막 에고가 생생하대?'
    '내가 아는 참나랑 다른 거야!
    참나를 만났다면
    에고가 죽어야지 뭔 소리야?'
    '너도 해봐!'
    그 사람 할 말이 그거죠
    '안 해봐서 그렇지' 하겠죠
    그런데 논리만 갖고 있는 사람을
    못 이기죠, 글로 배웠기 때문에
    '아닌데, 이건 논리가 안 맞잖아'
    그런데 현상계의 논리라는 거는
    평면적인 거예요, 논리는
    입체적인 게 등장하면 논리가
    깨집니다. 왜냐하면
    2차원 세계에 사는 애들한테
    3차원 세계는
    논리적으로 이해가 안 되죠
    2차원적으로 이해하겠죠
    그러니까 논리라는 거는
    말의 논리적인 전개라는 거는
    체험 배제하고 가는 거기 때문에
    2차원적이에요
    자기들이 뭐냐면
    입체적인 상태에서는 높고 낮고가
    있는데 평면화돼 버리겠죠 그러니까
    가치의 경중 판단이 엉망이 돼요
    높은 거랑 낮은 거랑 구분을
    못 하게 됩니다, 논리 차원에서는.
    간단하게, 입체적이지 못하니까.
    입체적이지 못한 논리의 세계만으로
    진리를 이해하려고 하면
    문제가 생기죠
    그래서 소크라테스 때부터
    글로 배워서, 글로 떠드는 사람들을
    계속 공격한 거죠
    모든 4대 성인들이 말로 글로 배운
    보살도랑 싸우는 데에 제일 공을
    많이 들였습니다
    아예 악인의 길을 걷는 애들하고는
    뭐 그렇게 크게 논쟁거리가 없거든요
    '넌 악이야!' 이거면 끝이에요
    근데 사이비들이 있어요, 유사품들
    유사품들하고 싸우거든요
    왜냐면 인류가 제일 구별하기 힘든 게
    유사품이라서
    그러니까 아예 짝퉁은 뭐 누가 봐도
    짝퉁이니까 시비를 붙을 게 없어요
    그냥 누가 봐도 아니까
    근데 진품인 척하는 짝퉁은
    이제 이게 왜 짝퉁인지 막
    어려운 과정이 필요하잖아요?
    '이게 왜 짝퉁이에요?' 그러면
    '딱 겉으로 볼 때는 똑같은데요!"
    '아닙니다!' 하고, 막 어려운
    복잡한 절차와 증거를 대면서
    아니라고 주장하게 돼요
    그러면 이제 보면 웃긴 거죠
    왜 악인들 공격하는 데에는 그렇게
    공 안 들이고.. '왜 위선자도
    선(善)을 하는 거 아닙니까?'
    이런 논리가 가능해요
    '위선자도 그래도 나름 선이라도
    가장이라도 하잖아요?'
    그 관점이 아닌 거죠,
    정품 파는 사람들 입장은.
    아예 짝퉁은 괜찮은데, 뭐 티 나게
    뭐 퓨마가 아니라 막 당나귀가
    그려져 있다 그러면 티 나잖아요?
    근데 진짜 똑같으면 문제가 돼요
    그럼 사람들이
    구분해달라고 한단 말이에요
    사람들 요청이 또 있는 거죠, 수요가
    그래서 꼭 필요성이
    있어서 하는 작업입니다.
    필요성 없는데 하지 않아요, 보살은
    시간 낭비 안 합니다
    중요한 곳에 공을 들이죠
    이걸 해야, 여러 인류한테
    도움이 될 것 같은 데에다가..
    너무나 선명한 악은
    할 말이 없는 거예요
    시간과 정력을 어디다 쓰느냐?
    위선자 감별하는 데
    그런데 그 차이가 뭐냐면
    한쪽은 글로 배웠고 한쪽은
    참나를 알려면 참나가 돼야 하듯이
    진리를 알려면 진리가 돼야 해요
    그 진리가 된다는 건요
    진리대로 사는 거예요, 내가
    그러니까 내 삶의 기본값이
    진리가 되게 해야지 진리가 된 거예요
    그럼 내 안에서
    진리가 작동하는 게 다 보이죠,
    내가 진리대로 살았기 때문에.
    그러면서 살면서 결국은 진리와
    하나 돼서, 진리를
    그냥 아는 정도로 안 되니까
    명상을 해야 하는 거예요
    내 에고를 다스리기 위해서
    명상해 가면서 진리 탐구하면서
    그걸 실천에 옮기면서 이렇게
    계·정·혜, 이게
    모든 철학이나 종교마다 다 있죠
    이걸 종합해서 겨우 내가 진리대로
    살아가기를 해보는 거죠
    즉, 내 방식대로 살아가기
    그게 진리였던 거죠, 내 방식이
    모든 중생이
    자기 방식대로 살아가는데,
    기본값대로. 보통 탐진치 기본값인데
    진리의 기본값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등장한 거죠
    그런 분들은
    다 수련을 나름대로 하고 있어요
    어떤 수련, 자기만의 수련과
    진리 탐구와 그것의 구현,
    거기에 내 삶을 일치시키는 거죠,
    구현이라는 것은, 진리의.
    이렇게 살아가는 사람한테
    우리가 생생한 진리를 들을 수 있죠
    왜? 그렇게 사니까
    제가 '모순론'을 얘기할 수 있는 건요
    제가 모순 속에 살고 있기 때문에
    모순의 엄청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시시각각 압력을 느끼니까
    제가 살아가는 얘기를 하고 있는 것
    뿐이에요, 저는
    제가 살아보니까 죽겠어요
    이런 것 때문에 죽겠어요
    이런 것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이때 이렇게 해서
    겨우 돌파하고 있습니다
    이 얘기가 그냥, 제 삶의 방식이
    진리에 부합한 만큼
    그거를 들으시겠다는 분이 또 많겠죠
    진리를 알려면, 저 사람 살아가는
    방식을 이해하면 되니까
    내가 볼 때 제일 자명하니까
    이렇게 해서 불·법·승이 모인다니까요
    법대로 살아가는 사람하고,
    그 법대로
    살고 싶은 그게 너무 부러운 사람,
    나도 저렇게
    살고 싶은 사람하고 만나서
    법을 주고받는 거죠
    이게 학당이에요, 올바른 의미의 학당
    우리는, 인류는 영원한 학생이고요
    배우는 생명들
    생명은 생명인데, 어떤 생명이냐?
    배우는 생명들
    배우면서 성장해 가는 생명들
    그래서 영원히 이런 진리 탐구는
    영원히 이어질 겁니다
    윤회한다면
    영원히 공부해야 해요, 결국은
    또 배우고 또 배우고 하겠죠
    왜? 계속 삶은 선택의 연속이라
    또 상황은 계속 변하기 때문에
    또 새로운 정보를 알아야 해요
    더 올바른 선택을 하려면
    그래서 영원하다는 거예요
    어느 시대에 태어나건 또 배워야 해요
    그 시대의 과거 걸 배워서
    그 시대의 미래 거를 예측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끝없이 공부의 길에 있고, 우리가.
    그래서 이왕이면
    고급진 삶의 방식을 택해야 하고
    이런 거 자체를 이해 못 해버리면요
    내 삶의 방식만 옳다는 식으로
    살아가는 문명에서는, 힘들겠죠
    ...
    중략 5000자 제한
    자막에서 TXT 추출하는 법 (번역작업 시)
    영상 하단에 ‘더보기’ 클릭 ▷맨 아래에 ‘스크립트 표시’ 클릭 ▷
    우측에 표시된 스크립트를 드레그하여 복사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240821 선방토크
    유튜브 Q&A LIVE 목20시·토16시·일17시 (월2회 견콘 있는 토요일 휴방)
    홍익학당 교육과정 안내: hihd.imweb.me/...
    홍익학당 공식홈페이지:www.hihd.co.kr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cafe.naver.com/...
    홍익학당 후원계좌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ARS 후원 : 1877-1974
    문의 : 02-322-2537 / help@hihd.co.kr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3

  • @mongdoll-d5c-o7oh
    @mongdoll-d5c-o7o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감사합니다 ~😊

  • @감사충만
    @감사충만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값없이 삶의 지혜를 나누어 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실천을 통해 보답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주일무적-o5t
    @주일무적-o5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귀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늘 배웁니다.

  • @cozy-h7z
    @cozy-h7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귀한 공부 감사합니다 🙏

  • @J.a.hyeon_anne13
    @J.a.hyeon_anne1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 @SAN-H
    @SAN-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감사합니다 🙏

  • @훈-d3w
    @훈-d3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감사합니다 선생님😊

  • @수안-c2l
    @수안-c2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너무 시원하고 자명한 강의 감사합니다😂

  • @새온-q2u
    @새온-q2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감사합니다 벗 삼아 듣겠습니다~~

  • @Sion_yoon
    @Sion_yoo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감사합니다🎀

  • @1_SIMU
    @1_SIM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늘 감사드립니다 💕🙆‍♂️

  • @류경민-t7u
    @류경민-t7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매번 많은 도움됩니다. 👍 👍 👍
    늘 감사드립니다 😊❤

  • @deogsilhan5781
    @deogsilhan578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학당의 보호와 도움을 받고 가는 길 위에 있을 수 있어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고맙습니다!~

  • @천지우-g3v
    @천지우-g3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감사합니다

  • @진성일-k4y
    @진성일-k4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항상 감사합니다 😊

  • @이선희-n9n
    @이선희-n9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덕분입니다.감사합니다. 날마다 더 없이 좋은날 되시길 진심다해 기도합니다.~🙏🙏🙏

  • @백경-i4r
    @백경-i4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몰라"해서 일체에 신경을 꺼버릴 때 시야가 넓어지는 경험,
    "괜찮아", "다 잘 될거야" 라고 하며 진리에 맡기는 선택,
    "자명해" 라는 말로 의지를 다지는 경험.
    살아있는 실용적인 진짜 철학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허영미-i2t
    @허영미-i2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물들고 또 물들고 싶은 말씀입니다~고맙습니다😂😂

  • @정숙자-y8j
    @정숙자-y8j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이시대 최고의 철학자 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초원-z2v
    @초원-z2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삶은 선택의 연속이고
    철학은 삶의 기술이다."
    감사합니다 👍 🙏

  • @EpokeTolle-kj7ne
    @EpokeTolle-kj7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독서와 유튜브 동영상 차이점 감사합니다.

  • @신율리아나-j8g
    @신율리아나-j8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자리에 계셔주셔서 감사해요, 홍익학당!!!❤

  • @hyunjongsong5981
    @hyunjongsong598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모른다 괜찮다 감사합니다

  • @whoan1964
    @whoan196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나의 주제어 같다.

  • @김동숙-j5d
    @김동숙-j5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ㅍㅎㅎㅎㅎ 당나귀~~😅😅😅

  • @김격려-s5u
    @김격려-s5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같습니다.

  • @SiiNAVR0
    @SiiNAVR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예전부터 학당강의에서 자부하던 것이 있다. 사이비종교에 안빠지게끔 해준다는 거였다. 종교인이 아닌 나에겐 쓸모없는 줄 알았는데, 학당 덕분에 헬스 유튜버를 보는데도 위선인지 아닌지 알게되니까 큰 함정은 피하게되는 듯.. 몇 수 앞을 보시는 겁니까 학당..

  • @남희영-b4g
    @남희영-b4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감사합니다

  • @standbell
    @standbel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감사합니다~ 🙏

  • @Binstar1104
    @Binstar110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감사합니다 🙏

  • @이성재_성재
    @이성재_성재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감사합니다

  • @안드로메다-r7m
    @안드로메다-r7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감사합니다 😊

  • @박비송-s9d
    @박비송-s9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