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실습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영상에서 사용한 CAD 파일, ANSYS Workbench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게 준비하였습니다. (유료) 향후 업로드 되는 영상에 대한 파일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아래 내용 참고하시어 신청 양식에 작성 및 제출하시면 됩니다. forms.gle/typWCi6ws8Myv1B9A * 2021R1 버전부터 열기 가능합니다. (최신버전 사용 추천) * 양식 제출해주시면 문자로 입금 계좌 안내 드립니다. (금액: 3만원) * 입금 확인되면 작성해주신 이메일로 다운로드 방법 안내해 드립니다. * 본인 외 타인에게 공유는 금지합니다. * 기타 문의는 이메일(honey_duck@naver.com)로 보내주세요.
강의 감사드립니다! 다른 초보를 위한 영상들도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 11:42 에서 처럼 열조건에서 scoping Method 를 선택할 때, 지오메트리(풀바디)밖에 선택이 안되나요..? 면 하나에만 온도조건을 주고싶은데, 그렇게는 선택이 안되길래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body로 선택해야 합니다. spatial varying load를 쓰면 body안에서 온도 분포를 줄 수 있어요. 아니면 연전달해석을 하고 결과를 연동해서 mapping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완전히 한쪽 면만 온도 조건은 아닙니다. 실제로 그런 상황도 없고요.
안녕하세요, 항상 영상들 잘 보고 있습니다.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혹시 2번째 모델인 plate 위에 block이 올라가있는 해석 케이스에서 경계조건을 어떻게 주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plate의 모서리 3개와 어떤 1개에 displacement를 주신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ㅠㅠ
제가 영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열전달' 해석을 위해서는 Steady-state thermal, Transient thermal로 해석하셔야 하고, 열대류는 Convection 조건을 통해 유체와 접하고 있는 특정면에 추가하시면 됩니다. 유동자체에 관심있으시면 CFD 해석을 하셔야 해요.
안녕하세요. 해석 입문한지 얼마 안되서 찾아보고 있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질문드릴게 있는데, 하나의 부재가 110도에서 상온 23도에 방치한다고 가정할 때, 수축이 얼마나 되는지 변형량을 알고 싶습니다. 환경 온도를 23도 하고 부재를 110도 설정하면 값이 0으로 안뜨네요.ㅠ
안녕하세요~! 다음 영상 쭈욱 보고있는데 열쪽 관련해서 질문이 있어서 여기에 질문 남깁니다! ansys 관련한 교재를 보니 temperature 과 Convection 조건을 주고 Heat Flux를 Solve하는데 이 결과에서 Heat flux 값이 무얼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단위는 W/mm^2 입니다.. 같은 온도, 같은 대류에서 모델링에 의한 Heat Flux 차이는 무얼 의미하나요?? 예를들어, A모델이 B모델보다 더 큰 Heat Flux 값을 보이면 이것이 A모델이 더 나은 열방출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건가요..?
구조해석은 예전만큼 아주 각광 받고 있는것은 아니지만 항상 수요가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현재도 AI와 결합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 중이고 발전하고 있지만 여기서 더 발전해서 거의 완벽하다고 할만큼의 구조해석과 최적설계가 가능해진다면 기존 대기업의 구조해석 파트 일자리가 줄어들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트렌드는 크게 2가지로 가는 것 같아요. 설계와 해석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간단한 종류의 해석은 설계자가 직접 할 수 있도록 이미 제공되고 있고요. 다른 방향은 시스템 단위로 확인해야 되는 것들은 디지털 트윈 개념이 본격화 되면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수준 높은 해석 모델을 만들어서 개발 단계 전반적으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구조해석 파트 일자리 측면은 아무래도 더 어렵고 복잡한 해석에 필요하며, 구조해석만 하기보다는 다른 물리계 해석과 커플링된 문제들을 푸는데 더욱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정도 AI가 발전한다면 대체되는 항목이 분명 늘어나겠지만 엔지니어링 판단과 센스가 필요한 부분은 여전히 남을거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시험파트가 먼저 없어지고 그 다음 해석파트가 없어지지 않을까 싶어요. 개인적인 생각이에요.
분야마다, 회사 규모마다 차이가 클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루틴하고 반복적인 해석일 것 같아요. 따라서 사용자가 해석 이론을 잘 몰라도 결과를 얻어 활용할 수 있는데 문제가 없는 종류 해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이론 종류 해석은 이미 입력 파라미터 넣으면 필요한 결과만 나오도록 자동화해서 배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해석은 온도를 찾기 위한 열해석으로 'Transient Thermal' 해석을 수행해야 해요. 이 과정에서 대류, 전도, 복사에 대한 물성치, 경계조건 및 하중조건을 입력하면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계산할 수 있어요. Analysis Settings에서 총 해석시간(Step End Time)은 평형이 될때까지 충분하게 넣으셔야 해요.
안녕하세요. Static Structural에서는 별도 온도조건을 넣지 않았다면 환경온도에서 설정된 온도의 재료 물성치를 사용합니다. Engineering Data에 물성치가 온도별로 들어가 있다면 초기값은 환경온도 조건으로 들어가요. 구조적으로는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므로 이 초기 온도와 온도 변화 조건을 어떻게 주느냐에 따라 응력이 변화가 생길 겁니다.
답변 너무 감사드려요!😊 엔지니어링 데이터와 초기온도에 대한 값을 별도로 주지않고 열응력 해석을 할때, Static Strucktural의 환경온도의 값을 변경해주면 열응력에서의 초기온도가 설정된다는 말씀이실까요???? 그렇다면, Steady-State Thermal의 초기온도값은 해석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데, 이 초기온도값은 어떤것을 의미하는건지도 여쭤볼수있을까요..?
혼자 실습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영상에서 사용한 CAD 파일, ANSYS Workbench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게 준비하였습니다. (유료) 향후 업로드 되는 영상에 대한 파일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아래 내용 참고하시어 신청 양식에 작성 및 제출하시면 됩니다.
forms.gle/typWCi6ws8Myv1B9A
* 2021R1 버전부터 열기 가능합니다. (최신버전 사용 추천)
* 양식 제출해주시면 문자로 입금 계좌 안내 드립니다. (금액: 3만원)
* 입금 확인되면 작성해주신 이메일로 다운로드 방법 안내해 드립니다.
* 본인 외 타인에게 공유는 금지합니다.
* 기타 문의는 이메일(honey_duck@naver.com)로 보내주세요.
강의 잘 듣고갑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감사합니다.
강의 정말 감사드려요!!ㅠㅠ 다음 강의 벌써 기대돼요☺️
감사합니다 :p 곧 또 올릴게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
감사합니다. 열간 압입도 해석이 가능할까요?
네 충분히 가능해 보입니다. Step을 여러 단계로 해서 온도에 의한 열팽창과 압입을 순서대로 풀면 될거 같아요. 간단한 예제 영상 준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의 감사드립니다! 다른 초보를 위한 영상들도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 11:42 에서 처럼 열조건에서 scoping Method 를 선택할 때, 지오메트리(풀바디)밖에 선택이 안되나요..? 면 하나에만 온도조건을 주고싶은데, 그렇게는 선택이 안되길래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body로 선택해야 합니다. spatial varying load를 쓰면 body안에서 온도 분포를 줄 수 있어요. 아니면 연전달해석을 하고 결과를 연동해서 mapping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완전히 한쪽 면만 온도 조건은 아닙니다. 실제로 그런 상황도 없고요.
@@feaclass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쪽면이라 해야하나 한 부분에 열을 줘서 오는 변형을 보려고 한거였는데, 연동해서 도전해보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uujj5588 열전달을 먼저 풀고 그에 따른 온도 분포에 대한 변형을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영상들 잘 보고 있습니다.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혹시 2번째 모델인 plate 위에 block이 올라가있는 해석 케이스에서 경계조건을 어떻게 주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plate의 모서리 3개와 어떤 1개에 displacement를 주신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ㅠㅠ
th-cam.com/video/AiDTHEWddrU/w-d-xo.html
여기에 나와있는 것을 참고하면 될까요? edge가 아니라 vertex로 고정시킨 것이죠?!
네 맞습니다. 자유도 구속을 위해 3D에서는 점을 구속합니다.
좋은 영상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요, 온도조건(Thermal Condition)을 준 뒤에 Equivalent (von-Mises) Stress 를 해석하면 이게 열응력이 되는건가요?? 아니면 열응력은 해석해보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네 맞습니다. 열응력은 열팽창/수축으로 인해 Thermal strain 발행해서, 접촉이나 구속조건 등에 의해 생기는 결과적인 응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아무런 경계조건 없는 물체에 열만 가하면 Thermal strain은 발생하지만 열응력은 발생하지 않아요.
@@feaclass 답변 감사드립니다!!
열전달해석 결과를 구조열해석의 하중으로 불러올수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열전달 결과인 온도를 하중으로 넣을 수 있어요.
선생님 혹시 특정면에 공기 속도를 부여해서 열대류조건을 줄 수 있는 세팅이 있나요? 열대류전달계수 주는 것은 찾았는데 특정면에 공기가 흐르는 조건은 어떻게 주는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제가 영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열전달' 해석을 위해서는 Steady-state thermal, Transient thermal로 해석하셔야 하고, 열대류는 Convection 조건을 통해 유체와 접하고 있는 특정면에 추가하시면 됩니다. 유동자체에 관심있으시면 CFD 해석을 하셔야 해요.
안녕하세요. 해석 입문한지 얼마 안되서 찾아보고 있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질문드릴게 있는데, 하나의 부재가 110도에서 상온 23도에 방치한다고 가정할 때, 수축이 얼마나 되는지 변형량을 알고 싶습니다. 환경 온도를 23도 하고 부재를 110도 설정하면 값이 0으로 안뜨네요.ㅠ
안녕하세요. 반대로 환경온도를 110도로하고 부재를 23도로 설정하면 110도부터 23도로 낮아질때 열수축을 보실 수 있어요. 재료의 열팽창계수가 해당범위를 커버해야 할 수 있어야 해요.
안녕하세요~! 다음 영상 쭈욱 보고있는데 열쪽 관련해서 질문이 있어서 여기에 질문 남깁니다! ansys 관련한 교재를 보니 temperature 과 Convection 조건을 주고 Heat Flux를 Solve하는데 이 결과에서 Heat flux 값이 무얼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단위는 W/mm^2 입니다.. 같은 온도, 같은 대류에서 모델링에 의한 Heat Flux 차이는 무얼 의미하나요?? 예를들어, A모델이 B모델보다 더 큰 Heat Flux 값을 보이면 이것이 A모델이 더 나은 열방출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건가요..?
단위에서 아실 수 있는것처럼 Heat flux는 단위면적 당 Heat flow 이에요. 하중조건으로 사용하며, 구조문제랑 매칭해서 생각하면 Heat flow = Force, Heat flux = Pressure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ANSYS에서 제공하는 열전달 기초 강의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courses.ansys.com/index.php/courses/heat-transfer/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ㅠㅠㅠ
구조해석은 예전만큼 아주 각광 받고 있는것은 아니지만 항상 수요가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현재도 AI와 결합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 중이고 발전하고 있지만 여기서 더 발전해서 거의 완벽하다고 할만큼의 구조해석과 최적설계가 가능해진다면 기존 대기업의 구조해석 파트 일자리가 줄어들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트렌드는 크게 2가지로 가는 것 같아요. 설계와 해석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간단한 종류의 해석은 설계자가 직접 할 수 있도록 이미 제공되고 있고요. 다른 방향은 시스템 단위로 확인해야 되는 것들은 디지털 트윈 개념이 본격화 되면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수준 높은 해석 모델을 만들어서 개발 단계 전반적으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구조해석 파트 일자리 측면은 아무래도 더 어렵고 복잡한 해석에 필요하며, 구조해석만 하기보다는 다른 물리계 해석과 커플링된 문제들을 푸는데 더욱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정도 AI가 발전한다면 대체되는 항목이 분명 늘어나겠지만 엔지니어링 판단과 센스가 필요한 부분은 여전히 남을거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시험파트가 먼저 없어지고 그 다음 해석파트가 없어지지 않을까 싶어요. 개인적인 생각이에요.
@@feaclass 구조해석 파트 일자리 측면에서 더 어렵고 복잡한 해석 이하로 말씀 해주신 내용의 예로 어떤것이 있나요? 제가 학부생이라 아직 아는것이 많이 없어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분야마다, 회사 규모마다 차이가 클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루틴하고 반복적인 해석일 것 같아요. 따라서 사용자가 해석 이론을 잘 몰라도 결과를 얻어 활용할 수 있는데 문제가 없는 종류 해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이론 종류 해석은 이미 입력 파라미터 넣으면 필요한 결과만 나오도록 자동화해서 배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처음 말씀하셨던 열전달해석 ( STEADY-STATE THERAML, Transient strucural) 는 안다뤄 주시는가요???ㅠ
안녕하세요. 향후 계획에 반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feaclass 네! 그 부분 공부중이라 올려주신다면 많은도움이 될것같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
혹시 관련해서 관심 있는 조건이나 주제가 있으면 알려주세요. 포함시킬 수 있나 같이 검토해볼게요.
구조 비선형도 다루고 있는데 혼자 하려니까 조금 어렵네요 ㅠㅠ 올려주신 영상도 참고하고 있습니다 ㅎㅎ 재료비선형, 대변형, 접촉비선형 셋팅방법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네 알겠습니다. 제가 여쭤본건 열해석 관련 좀 거 구체적인 내용이었습니다. 내용 참고하도록 할게요.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가열할때 제가 정한 온도 까지 올라가는 시간이나 다시 상온 온도까지 떨어지는 시간을 알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예로 a재료와 b재료가 있는데 a재료가 230도 로 가열되어있을때 b재료가 230도 까지 올라가는 시간 을 구하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해석은 온도를 찾기 위한 열해석으로 'Transient Thermal' 해석을 수행해야 해요. 이 과정에서 대류, 전도, 복사에 대한 물성치, 경계조건 및 하중조건을 입력하면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계산할 수 있어요. Analysis Settings에서 총 해석시간(Step End Time)은 평형이 될때까지 충분하게 넣으셔야 해요.
@@feaclass 감사합니다. 'Transient Thermal' 해석을 아직 배우진 않았지만 'Transient Thermal' 해석을 통해 할수있다는걸 알았다는 것 만으로도 감사합니다. 좀더 공부를 해야할거 같습니다.
Steady-state thermal 먼저 공부해서 이해하시고, Transient로 넘어가시면 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너무 궁금한부분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열전달해석후 열응력해석할때
Steady-State Thermal의 intial temperture (초기온도)와
Static Structural의 Environment Temperature (환경온도)의 차이점이 뭔지 알수있을까요..? 열응력해석에서 초기온도값을 설정해줘야하는데 Steady-State Thermal의 intial temperture (초기온도)값을 변경하면 응력의 변화가 없고 Static Structural의 Environment Temperature (환경온도)의 값을 변경하고 해석을 수행하면 응력의 변화가 생깁니다! 열응력에서의 초기온도 50도를 주고싶은데 어느부분에 값을 줘야 맞을까요..? 😢
안녕하세요. Static Structural에서는 별도 온도조건을 넣지 않았다면 환경온도에서 설정된 온도의 재료 물성치를 사용합니다. Engineering Data에 물성치가 온도별로 들어가 있다면 초기값은 환경온도 조건으로 들어가요. 구조적으로는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므로 이 초기 온도와 온도 변화 조건을 어떻게 주느냐에 따라 응력이 변화가 생길 겁니다.
답변 너무 감사드려요!😊
엔지니어링 데이터와 초기온도에 대한 값을 별도로 주지않고 열응력 해석을 할때,
Static Strucktural의 환경온도의 값을 변경해주면 열응력에서의 초기온도가 설정된다는 말씀이실까요????
그렇다면, Steady-State Thermal의 초기온도값은 해석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데, 이 초기온도값은 어떤것을 의미하는건지도 여쭤볼수있을까요..?
구성한 모델을 봐야 알겠지만 Thermal 해석에서 결과 온도만 Structural로 가져오지 않나요? 초기온도는 열해석을 위한 조건일 것 같아서요.
며칠동안 자료를 찾아봐도 궁금증이 해결되지않아서 너무 답답했었는데, 선생님 덕분에 해소가 됐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
부가 설명 드리면 환경온도가 22도이고, 열해석 결과 온도가 50도라면 구조해석은 22도->50도 온도 변화에 대한 변형과 스트레스를 볼 수 있어요. Geometry에서 Thermal strain effects는 키셔야 하구요. 해결하셔서 다행이에요😄
구조열해석 시 비열 물성은 사용 안하나요??
열전달과 관련된 물성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구조열해석 시 강체 적용한 해석도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