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들 사이에서 100:1 경쟁률 뚫고 들어왔더니, 졸업이 더 어려운 대학. 인도 IIT ㅣ KBS 다큐인사이트 - 인도천재 1편 인도공과대학 230504 방송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9K

  • @KBSDocumentary
    @KBSDocumentary  ปีที่แล้ว +93

    📍[풀버전 다시보기] KBS 다큐인사이트 - 인도천재 1편 인도공과대학 230504 방송
    th-cam.com/video/JZRHd3oOdFA/w-d-xo.html

    • @Gggggggggggiiii
      @Gggggggggggiiii ปีที่แล้ว

      앗 아니 이거 보고 내려오니 풀버전이 잇엇다니...풀버전 보러 갑니다

  • @sk-iy7we
    @sk-iy7we ปีที่แล้ว +1445

    유학하면서 인도 친구들 많이 만나봤는데, 애들이 야무짐. 누가 모르는거 질문하면 다른 누군가가 "그거 수업 끝나고 내가 알려줄게" 이런식. 처음엔 나대는거처럼 느껴질 수 있는데 나중엔 배움에대한 열정이 정말 대단한 애들이라는 걸 알 수 있었음.

    • @socsoci
      @socsoci ปีที่แล้ว +374

      한국 학교가 그래서 뒤처지는거임
      누가 무언가를 질문하거나 알려준다하면 긍정적인행동인데 부정적으로 받아들임

    • @akahiqja2521
      @akahiqja2521 ปีที่แล้ว +2

      ​@@socsoci진짜 이상한 놈들임 한국인은. 해외나가도 한국인 혼자있으면 괜찮은데 모이면 지들끼리싸움

    • @쿠우우웅-w7o
      @쿠우우웅-w7o ปีที่แล้ว +51

      ​@@socsoci 질문하는거를 귀찮아함ㅇㅇ

    • @인간개불
      @인간개불 ปีที่แล้ว +278

      @@socsoci 질문하면 욕함 왈케 나대냐고 가르쳐준다고 해도 욕함 왤케 잘난척하냐고 한국은 걍 사라지는데 맞음

    • @jong6068
      @jong6068 ปีที่แล้ว +86

      + 몰라서 질문하는거를 창피해 함. 왜냐? 나만 이해 못하고 바보 같아서

  • @Soriyou3
    @Soriyou3 ปีที่แล้ว +311

    미국에서 공대 다녔었는데 잘하는 인도 친구들 보면 정말 무서웠습니다.
    밥만 먹고 공부만 하더라고요. 심지어 주말까지...
    주말에 뭐 하냐고 물을때마다 그걸 왜 물어봐라는 표정으로 절 쳐다보던 그 모습이 아직도 기억나네요 ㅋㅋㅋ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72

      그 학생들 거진 다 졸업하면 미국 기업에 입사해서 미국 시민권 땁니다 ㅋ 이미 자기 조국이 ㅈ같은걸 알기에 그래서 글케 열심히 할수밖에요

    • @yeongaewoo4296
      @yeongaewoo4296 ปีที่แล้ว +57

      인도 유학생들은 목숨걸고 공부한다..미국에서 설아 남으러고...

    • @NativeBharatiye
      @NativeBharatiye ปีที่แล้ว +24

      왜 당신네 한국인들은 모든 인도인이 인도 밖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우리 인구는 충분히 많고 우리나라를 위한 대학 외에는 충분한 대학이 있습니다. 우리는 두뇌 유출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남한의 인구를 보면 정말 조국을 돌봐야 합니다. 우리는 지탱할 만큼 충분히 크지만 한국은 그렇지 않습니다.
      But thanks for your concern 🇮🇳🙏. We don't have brain drain problem. Just after indians in west get financial independence, they return back to india.

    • @pratiksrivastav
      @pratiksrivastav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승원-x5n We were being looted so bad that we are still recovering
      But let me tell you something a large number of Indians who went there years ago or even those who studied from top colleges there are coming back here because India is rising
      The number of unicorns in India is rising Investment has boosted up in the last 6-7 years you'll see a completely different India in 2047(It is estimated India will have the second highest GDP after China at that time)

    • @박시현-b4g
      @박시현-b4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신분상승을 위해 그리고 진짜 공부를 좋아하고 흥미가 있기 때문에

  • @aa-pv8hn
    @aa-pv8hn ปีที่แล้ว +143

    2:57 인도는 1시간이 3학점이고 , 그 외 나라 대학은 1시간 1학점이라서 저렇게 3배이상 차이 안납니다
    실제로 외국기준으로 환산하면 432학점/3 = 144 학점입니다. 서울대랑 크게 차이 안나고 180 학점인 MIT보단 적죠.

    • @균서
      @균서 ปีที่แล้ว +12

      아 역시 그렇군요ㅋㅋ 진짜 놀랐네요

    • @learnigjet
      @learnigjet ปีที่แล้ว +8

      아 ㅋㅋㅋㅋㅋㅋ 그럼 말이 안되지 ㄹㅇ 엄청 놀랐네

    • @godanipicprofile
      @godanipicprofile ปีที่แล้ว +1

      그 자료 어디서 읽어봄?

    • @JM-qp8yb
      @JM-qp8yb ปีที่แล้ว +13

      What is the credit system in IIT Madras?
      1 Credit = 50 minutes (1 Credit hour) per week 1 Credit hour lecture needs 2 Credit hours outside the classroom (for homework and tutorial etc.)
      그래서 결국 50분 강의(1학점)+그 외 과제들(2학점, 개인적으로 하는 것) 해서 50분에 3학점을 인정받는 거네요. 다큐가 이런 점들을 당연히 짚고 넘어갔어야 했는데 아쉽네요.

    • @aa-pv8hn
      @aa-pv8hn ปีที่แล้ว +2

      @@JM-qp8yb 맞습니다. google에 IIT MADRAS ORDINANCE & REGULATION 치면 학교공식자료 Pdf에도 나오는 내용입니다.

  • @daniellee7918
    @daniellee7918 ปีที่แล้ว +2219

    전세계 컴싸 전공 애들한테 한줄기의 빛이 되어주는 유튜브 인도 인강 선생님들... ㅈㄴ 존경합니다. 찾아보면 없는게 없음. 다 공짜임. ㅈㄴ 잘알려줌.

    • @마이마이-d1i
      @마이마이-d1i ปีที่แล้ว +53

      저 잘몰라서 그런데 인도 선생님들 인강은 영어로 되어있나요? 이쪽에는 아예 무지해서ㅠㅠ 죄송합니다

    • @daniellee7918
      @daniellee7918 ปีที่แล้ว +117

      @@마이마이-d1i 네 영어에용

    • @adneks7
      @adneks7 ปีที่แล้ว +234

      @@마이마이-d1i 인도는 공식적으로 인정한 단일 국어가 정해져있지 않아요 영어랑 힌디어랑 공통어라 영어 잘하는사람 많아요

    • @sangmokhan40
      @sangmokhan40 ปีที่แล้ว +52

      ​@@마이마이-d1i 학교를 포함한 모든 공공기관에서 영어를 써서, 젊은 세대들은 힌디보다 영어에 더 익숙하다고 해요.

    • @SSS-gg3rz
      @SSS-gg3rz ปีที่แล้ว +356

      웨르깜 뚜 마이 쨔날

  • @세정-i3t
    @세정-i3t ปีที่แล้ว +889

    저도 현재한국 에서 it기업에서 근무중인데 한국말도 잘하고 영어도 잘하는 인도 상사분 잇으신데 진짜 존경스럽습니다 제가 평가해도 될지 모르겟는데 진짜 일에 진심이신분이고 뚝딱 다해냅니다 일을 좋아하시는 느낌...

    • @BJ-dd9ek
      @BJ-dd9ek ปีที่แล้ว +9

      후진국사람 밑에서 일하노 ㅋㅋ
      그게 자랑이야?
      너는 어디가서 중국인이라고 하는게 애국이다 😂😂😂

    • @디지털미디어
      @디지털미디어 ปีที่แล้ว +195

      @@BJ-dd9ek ....정말 너무하시네요

    • @Lsy-ec6br
      @Lsy-ec6br ปีที่แล้ว +170

      @@BJ-dd9ek 즈그 백수라 회사 얘기 나오니까 괜히 심술부리노 ㅋㅋ

    • @소이정-x7p
      @소이정-x7p ปีที่แล้ว

      ​​​@@BJ-dd9ek 마인드랑 연봉 재산은 너보단 선진국.. 그에비해 넌 구질하게 후진국같은 마인드로 나라하나 조롱하는 걍 하찮은 백수신세인데 누굴 욕해...ㅋㅋ 너나 어디가서 한국이라고 하지마라

    • @kyu__u
      @kyu__u ปีที่แล้ว +112

      ​@@BJ-dd9ek 님은 배경 환경은 선진국인데 왜 본인 인간 됨됨이는 후진인 인가요? 스스로 부끄러운 줄 아시길.

  • @gbcszcfdcvc001
    @gbcszcfdcvc001 ปีที่แล้ว +368

    (원본 다큐는 47분 짜리...)
    국내 국문학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공대 졸업한 지인도 비슷한 이야길 했다.
    - 교수님도 저녁 6~7시 까지는 남아서 학생들 질문 받아주고
    석사, 박사도 수준이 높고 잘 가르쳐 준다고.
    우리는 정부 주요 요직, 공무원이 거의 다 행정이니
    이공계 등 타분야 분위기도 주류인 행정 분위기 따라가지

    • @박성재-o8m
      @박성재-o8m ปีที่แล้ว +35

      는 개소리고 카이스트 역시 연구실 불은 안 꺼진다

    • @thurs391
      @thurs391 ปีที่แล้ว +12

      기술고시 직렬 따로 있는데 뭔소리여

    • @Asq757
      @Asq757 ปีที่แล้ว +16

      @@thurs391 그사람들이 공직에서 주류는 아님

    • @GreenYard-hz8gd
      @GreenYard-hz8gd ปีที่แล้ว +46

      @@Asq757 그럼 미국은 기술직이 정부 주류임? 살면서 기술직이 주류인 정부는 들어본적이 없는데 아니 에초에 정부기관, 관료제라는게 행정을 효율적으로 하려고 생긴거 아님?

    • @illusion3026
      @illusion3026 ปีที่แล้ว +3

      @@박성재-o8m 잘하는 사람들은 다 유학 가던데 ㅋㅋ

  • @luminary3
    @luminary3 ปีที่แล้ว +1849

    우리나라 공대생 중에 인도 교수님의 도움을 받지 않은 사람이 없을듯... Differential Equation, Fourier Series, Laplace transformation 등등 배울 때 제일 큰 도움이 되어주신 분들

    • @jae_0an713
      @jae_0an713 ปีที่แล้ว +151

      신호및시스템 제어공학 다 보던 녀석들이구먼

    • @BUTT2R
      @BUTT2R ปีที่แล้ว +696

      쁠리즈 썹쓰끄라입 마이 째날

    • @JW-7
      @JW-7 ปีที่แล้ว +60

      경제학도들도 구자라티의 계량경제학....

    • @hy_semi_engine7
      @hy_semi_engine7 ปีที่แล้ว +20

      푸리에랑 라플라스 프랑스 수학자 아닌가요..? 혹시 인도랑 무슨상관이 있나요?(그냥 궁금해서 여쭤보는겁니다)

    • @sexyboy11
      @sexyboy11 ปีที่แล้ว +238

      ​@@hy_semi_engine7 대학 전공때 라플라스나 푸리에등의 전공 이론을 배우는데 학교 교수님들 강의력이 별로라 유튜브에서 인도 교수가 가르쳐주는 영상보고 배운다는 의미입니다

  • @Parkiy
    @Parkiy ปีที่แล้ว +1180

    코딩하다 모르는게 나오면 어디선가 나타나는 이름모를 인도유튜버가 쁠리즈 썹브쓰크라이브 마이 째날이러면서 설명해주는데 마법처럼해결되는..그저 빛光

    • @JungJehun
      @JungJehun ปีที่แล้ว +10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음성인식 바로되네 ㅋㅋㅋ

    • @아아-w9u
      @아아-w9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JungJehunㅋㅋㅋㅋㅋㅋㅋㅋ 음성인식ㅋㅋㅋ

    • @성냥팔이소녀-j8y
      @성냥팔이소녀-j8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유튜버 이름뭐임?

    • @Qpwie-m1x
      @Qpwie-m1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째날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낭낭하게-e5l
      @낭낭하게-e5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이건 공학이면 모두 해당됨 ㅋㅋㅋㅋㅋ

  • @서진-g6f
    @서진-g6f ปีที่แล้ว +305

    진짜 건물이 세 얼간이랑 매우 흡사하네 ㅋㅋㅋ 영상 분위기 뭔가 마음이 편안해진다. 혹시 배경이 이 학교인가?

    • @공부하기싫다-x7y
      @공부하기싫다-x7y ปีที่แล้ว +60

      실제로 설정도 저곳입니다

    • @angieeoh
      @angieeoh ปีที่แล้ว +26

      저도 이 생각했는데 진짜 여기가 배경이었다니 ㅋㅋ

    • @moongakpark5214
      @moongakpark5214 ปีที่แล้ว +1

      아ㅏㅏㅏㄹ이ㅣㅣㅣㅣ즈ㅡㅡㅡ웨웨ㅔㅔㅔㄹㄹㄹㄹㄹ

    • @bytheway4819
      @bytheway481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o actuaaly 3 idiots was shot in IIT bangalore ..which is different city.
      This is IIT madras....

  • @user-wu1kf1ur9d
    @user-wu1kf1ur9d ปีที่แล้ว +2235

    대한민국도 80년대중반까지는 이과 1등은 기초과확을 갔었습니다. 예를 들면 전국수석이 가는 학과는 서울대 물리학과였어요.

    • @user-ex9vv4es8p
      @user-ex9vv4es8p ปีที่แล้ว +87

      그래서 받은 노벨상이 몇 개더라…?😂

    • @이우진-j2r
      @이우진-j2r ปีที่แล้ว +996

      ​​@@user-ex9vv4es8p 역사가 짧아서 노벨상이 나올수없는 시기입니다;; 공부를 하긴하시는거 맞으시죠? 국내 대학연구가 일정수준의 레벨에 도달한지 이제 30년 된겁니다. 노벨상을 받을 정도의 연구의 인정을 받을려면 보통 30년 ~40년은 족히 기다려야합니다. 괜히 장수해야 받을수 있는 상이 아닙니다😅 이번에 필즈상을 받은 허준이 교수도 있구요.. 어쭙잖은 지식을 뽐내지마세요

    • @sicco-v9z
      @sicco-v9z ปีที่แล้ว +4

      아마 도킨스 책이 유행?해서 그런건가요?

    • @김재현-m7r7u
      @김재현-m7r7u ปีที่แล้ว +24

      헐헐 서울대 물리학과 몰림현상 너무 무섭네요 ㅠㅠ 해결돼서 다행입니다
      의대보다 높은 물리학과 입결 문제가 컸었네요...

    •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ปีที่แล้ว +191

      ​@@이우진-j2r 허준이는 한국사람이라기엔 좀...

  • @peachmousse
    @peachmousse ปีที่แล้ว +200

    아.. 질문이 오고가는 저런 교육 방식 정말 부럽다 그리고 책상 없는 방에 모여 함께 공부하는 열정들도 엄청나구나 더군다나 새벽까지 공부... 개발에 다들 진심이고 역시 세계 최고 공대.... 우리나라는 인재들이 의대로 너무 많이 빠져서 문제인데....

    • @user-kx2ky2xx8x
      @user-kx2ky2xx8x ปีที่แล้ว

      @@사람-f6o6y 먼개소리야 이건 입결부터 의대>>치한약수>>>>>넘사벽>>>공대인데 뭔 헛소리하는거냐 얜

    • @몽쉘-p9w
      @몽쉘-p9w ปีที่แล้ว +24

      저런 분위기는 저 혼자 질문한다고 나오는게 아니잖아요 ㅠ 백이면 백 쟤 때문에 진도 안나가고 수업 늦게 끝난다고 뒤에서 욕해요. 지식의 수준이 비슷한 집단에서 전문가 한명이 이끌어주는 토론은 엄청난 효과를 부르는데 발표하면 나댄다는 소리 듣는 우리나라에선 아직까진 힘든것 같네요. 요즘엔 초등학교부터 토론식 수업도 한다고 하니 다음세대에는 달라지길 기대합니다

    • @UCBnOyPoZ798KqG1n-n0qxoQ
      @UCBnOyPoZ798KqG1n-n0qxoQ ปีที่แล้ว +6

      @@사람-f6o6y 난 초등학교 저학년때 질문이 너무 많아서 수업진행이 힘들다고 담임한테 부모님 소환 몇번 당하시고 질문을 하지 않게 되었음. 우리나라는 대학이던 어디던 질문하거나 토론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문화가 아님. 대학수업만 봐도 미국과 한국의 수업은 진행방식이 차원이 다름

    • @익명-s6s9w
      @익명-s6s9w ปีที่แล้ว +1

      인도는 공대가야 성공하고 우리나라는 의대가야 성공한다고 생각하니까 다른거죠 인도도 의사가 돈 제일 잘 벌면 공대가 아니라 의대가 인기였을 겁니다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1

      근데 왜 아직도 저나라 나라꼴은 왜 그모냥일까나... 저런 인재들이 넘쳐난다면 지금 최소 중국 수준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인재와는 별개로 아직도 3류를 못벗어나는 인도의 전반적인 사회 행태의 한심함을 느껴 이민을 떠나 인재유출이 최악 수준인게 지금 인도의 현실...

  • @74undetaker
    @74undetaker ปีที่แล้ว +497

    "직원이 아니라 고용주가 될것을 지속젃으로 독려합니다" ㄷㄷㄷ 인도의 힘을 알수있는 소리군...괴물천재들의 나라 ㄷㄷ

    • @빵도리-s2i
      @빵도리-s2i ปีที่แล้ว +1

      노조때문에 숨 못쉰다 ㅋㅋㅋ

    • @sd68127
      @sd68127 ปีที่แล้ว +76

      인도수학이 하루아침에 만들어진게 아니지.. 저들의 교육체계는 굉장히 유서깊음, 한국이 배워야할 문화

    • @user-xn2ec9wh8w
      @user-xn2ec9wh8w ปีที่แล้ว +4

      9:06

    • @cong2738
      @cong2738 ปีที่แล้ว +27

      구글, 마이크로 소프트의 현 ceo가 인도인인것민 봐도 인도 공학대학의 힘을 볼 수 잇죠.

    • @sayop-ub1dl
      @sayop-ub1dl ปีที่แล้ว +2

      ​@@cong2738 그 분들은 사실상 미국 교육의 산물이죠 인도에서 사업해서 성공한 사람이면 모를까 인도에서 무관한 학사만 따고 미국 넘어가서 컴퓨터 배운 사람들인데 예시로 적당하지 않은듯

  • @castrokim-h6o
    @castrokim-h6o ปีที่แล้ว +157

    인도 유튜버 교수님들 감사합니다

  • @user-xd6ms8mm3j
    @user-xd6ms8mm3j ปีที่แล้ว +401

    공학과만 모여있어서 공감대 형성도 잘 돼고 너무 좋을 것 같다... 주변에 열정있는 친구들 보면서 자극 받을 수 있을듯

    • @Jiko-at5wg
      @Jiko-at5wg ปีที่แล้ว +10

      카이스트 있자나

    • @성이름-n2n1r
      @성이름-n2n1r ปีที่แล้ว +9

      포항공까지해서 3대장 설카포
      그 밑이도 과학기술원은 많음
      디지스트 유니스트 지스트 키스트 켄텍

    • @모든게임-z5c
      @모든게임-z5c 26 วันที่ผ่านมา

      우리는 뭐 카이스트 이런데 있어도 인도처럼 빡세게 하지 않을뿐더러 연예계에서 인재들을 데리고감

  • @jazzman3309
    @jazzman3309 ปีที่แล้ว +476

    인도가 발전할땐 진짜 무섭도록 클거같긴 함😮 살면서 인도인을 만나본게 몇번 안되지만 만나봤던 사람들은 굉장히 스마트하고 유쾌한 분들이었음.

    • @PhysioWoooooooong
      @PhysioWoooooooong ปีที่แล้ว +137

      인도자체의 발전은 한계가 있음 일단 계급사회가 너무 뚜렷하며 없어질 수 없고 저 똑똑한 인재들이 10억이 넘는 인구를 부양해야하는데 대부분 미국 이민 선택함

    • @이름성-x5l
      @이름성-x5l ปีที่แล้ว +45

      공부에 찌들어 의대만을 외치는 한국 학생들보다 훨씬 똑똑하고 창의적인 인도 청년들

    • @sjh6522
      @sjh6522 ปีที่แล้ว +165

      @@이름성-x5l 이걸 학생 탓을 함? 진짜 수준하고는ㅋㅋ

    • @vac6794
      @vac6794 ปีที่แล้ว +17

      @@이름성-x5l 그냥 우리 사회에서 공대나와서 취업하는것보다 의사가 되는것이 더 성공한 인생이라 인식하기 때문이지 않을까요? 그렇기에 대부분 최상위권을 대상으로하는 사교육또한 의대로 맞춰져가고 있고요. 부모들도 그렇게 인식하기때문에 의대에 몰린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의 문제는 아닌것 같아요.

    • @쌤싱갠역시
      @쌤싱갠역시 ปีที่แล้ว +11

      @@이름성-x5l 못 배웠으면 티라도 내지 마라

  • @fgdfgdfdflg6152
    @fgdfgdfdflg6152 ปีที่แล้ว +119

    다큐 진짜 재밌습니다ㅋㅋ 전 풀버전 봤는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어요

  • @ebs70
    @ebs70 ปีที่แล้ว +199

    예전에 미적분 관련 책을 읽었는데, 진짜 동양에 인도인 수학 사고 방식이나 수학 힘이 없다면 어후.. 진짜 대단해.

    • @Aotfan05
      @Aotfan0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평균적으로 인도사람들이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똑똑함? 아니면 교육이 문제인건가?

    • @ebs70
      @ebs7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Aotfan05 보면 인도인이 대수학과 미적분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해요. 평균이라 그건 모르겠네요.

    • @맥스웰방정식-d5z
      @맥스웰방정식-d5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otfan05경험상 누가 더 똑똑하다라기보단 그냥 인도 공대생들이 대학교 기준으로 한국보다 공부를 더 많이 하는 것 같음.

  • @INTJ-d6g
    @INTJ-d6g ปีที่แล้ว +358

    저런 교육방식 너무나 부럽다. 어떠한 의문도 눈치보지 않고 당당히 질문할수 있고, 대화와 토론의 방식으로 서로의 의견을 조율해나가는 것..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12

      근데도 아직 더러운 후진국이라는게 참... 사회인프라 개선부터 제대로 하는게 급선무임

    • @GongJae_
      @GongJae_ ปีที่แล้ว +2

      눈치보고 안해두 좋아하심 걍 학생이 안하는거지

    • @M10Wolverin
      @M10Wolverin ปีที่แล้ว +1

      교수가 주도 해야지 계속 질문하라고 하고 나와서 풀어보라고학ㆍ

    • @INTJ-d6g
      @INTJ-d6g ปีที่แล้ว +1

      @@M10Wolverin 동의합니다. 선생님의 역할이 중요하겠죠.

    • @shk4452
      @shk4452 ปีที่แล้ว +30

      토론식 수업은 교수가 아닌 학생수준이 높아야 가능합니다.

  • @소금-t9g
    @소금-t9g ปีที่แล้ว +143

    우리교수님 서울대 화공과 나오셔서 생화학 가르치고 계시는데 학생들 가르치려고 혼자 독학하셨다는거 듣고 진짜 멋있으셨음 bb가끔 교재 집필진이 틀린 오개념 바로잡아주시는데 진짜 너무 감사함

  • @ptalove
    @ptalove ปีที่แล้ว +50

    인재야말로 가장 큰 재산. 캠퍼스를 걸어다니는 저들이 다 보물 같음. 진정한 미래와 희망이 느껴짐. 대학이 원래 졸업까지 빡세야 해야하는게 맞는 거임. 외국 대학생들 보면 졸업을 할수 있을까 고민을 하는 모습이 많음. 대학은 졸업이 어려워야 함.

    • @smithjack3497
      @smithjack349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의대 졸업 빡세지면 학부모들 가만있겠나? ㅋㅋㅋ

    • @juno1496
      @juno1496 19 วันที่ผ่านมา

      ​​​@@smithjack3497 학부모는 둘째치고 노예수급이 안되어서 누군가들이 싫어합니다❤ ㅡ좀더 빡세지길 원하는 현직의사

  • @jamiejj368
    @jamiejj368 ปีที่แล้ว +28

    인도 선생님들 덕에 대학을 졸업할 수 있었습니다.

  • @화이트하임-q3t
    @화이트하임-q3t ปีที่แล้ว +521

    졸업이 어려워야 대학네임이 의미있죠 요즘에 대학간판이 취업에서 의미가 없어지는것도 이런한 구조가 한몫한다고 생각합니다.
    배우고싶은걸 양질의 교육환경에서 배울 수 있게 해주는게 대학의 의미인데..

    • @easyone1441
      @easyone1441 ปีที่แล้ว +12

      공감합니다.

    • @Yes_you_
      @Yes_you_ ปีที่แล้ว +67

      외국은 입학은 쉽고 졸업은 어려운게 대부분인데 한국은 완전반대 ㅋㅋ

    • @study-son
      @study-son ปีที่แล้ว +3

      나름 대학까지 가서도 열심히 공부했는데 그 격차가 없어서 화가 느껴지는 글같군요.

    • @Woong654
      @Woong654 ปีที่แล้ว +66

      @@Yes_you_ 대학 입시에만 광적으로 집착하고 정말 진지하게 자기분야 정해서 공부 시작해야할 대학가서는 진지하게 공부하는 애가 드뭄. 오히려 과도한 입시공부 여파로 번아웃와서 대학와서 공부 손놓는 애들이 수두룩함. 사람들이 공부라는거는 학생의 전유물이라고만 생각하고 커리어 개발할 생각도 없음. 그저 대학 타이틀 잘 따고 대기업 공채 뚫어서 알박고 사는 생각만함. 대학입시가 거의 인생 전부인 나라임.

    • @cos2518
      @cos2518 ปีที่แล้ว +4

      @@Woong654 최근에는 많이 바뀐 추세던데, 공대 쪽은 분위기 좀 바뀌었어요.

  • @하이-m2s3r
    @하이-m2s3r ปีที่แล้ว +627

    4년동안 432학점 실화냐.. 대단하다

    • @YJ-rb1zp
      @YJ-rb1zp ปีที่แล้ว +163

      1년만에 4학년치를 다 배워버리네 ㅋㅋ

    • @Userleptamon10
      @Userleptamon10 ปีที่แล้ว +39

      대박이다 진짜
      내 졸업학점이 울학교에서 젤 높은데도 미쳤네 (저는 140, 4년)

    • @김강-h1r
      @김강-h1r ปีที่แล้ว +14

      울 학교도 140학점인데 이론상 저기에서는 조금만 열심히 하면 1년 컷도 가능하단거 아냐....

    • @MJ-pf9mk
      @MJ-pf9mk ปีที่แล้ว +13

      근데 일리가 있긴해요. 공학도라면 전기 기계 컴퓨터 이 세개 어느정도 알면 무섭고 귀하죠.

    • @YHCho-r5c
      @YHCho-r5c ปีที่แล้ว +3

      미국에 성적평가를 받아본 사람으로써 볼때 좋은건 아니에요.
      한국에서의 취득학점조차도(190점 정도 되는데) 학기당 이수학점이 너무 많다며 부분인정을 합니다.
      이렇게 과한경우 절반정도 인정받으면 다행이겠네요…

  • @TV-fo3hp
    @TV-fo3hp ปีที่แล้ว +102

    인도 제어관련 친구랑 일해봤는데 종이없이 생각만으로 로직을 수정하는거에 박수를 짝짝 ....

    • @Chalk1942
      @Chalk1942 ปีที่แล้ว +1

      제어분야.. 리스펙

  • @shooterwind7934
    @shooterwind7934 ปีที่แล้ว +1290

    근데 인도의 문제는 저렇게 길러진 세계구급 공학인재들이 인도에 남지않고 죄다 미국 실리콘밸리로 떠난다는거지 ㅋㅋㅋㅋㅋ 개빡세게 인재 만들어서 미국 좋은 일만 해주는꼴

    • @Hanel-q9i
      @Hanel-q9i ปีที่แล้ว +160

      진짜 인도는 이게 문제지 뛰어난 인재배출을 많이해도 다 해외로 유출되니 원 ㅋㅋ

    • @sjch7899
      @sjch7899 ปีที่แล้ว +149

      ㅋㅋㅋ ㅋ ㅋ ㅋ ㅋ ㅋㅋ 아니 선생님은 머 프랑스 사람이세요? 우리나라 사람들도 최정상급 인재들은 죄다 미국가있는데 무슨...

    • @sjlee-o1k
      @sjlee-o1k ปีที่แล้ว +175

      @@sjch7899 우리나라는 상위 소수만 나간다면 저긴 그냥 대부분 졸업하면 미국이 필수 코스임

    • @sonny_yun
      @sonny_yun ปีที่แล้ว +168

      반대로 생각하면 미국은 인도사람을 키울 유인이 높다는겁니다 미국이 중국 한국사람 키우면 뭐합니까 다 지네나라가는데
      심지어 한국은 중국보다 귀향본능 더 심함
      미국좋은일해주고나면 자연스레 인도좋은일도 하게됩니다

    • @salcazoid
      @salcazoid ปีที่แล้ว +18

      ㅎㅎㅎㅎㅎ 진짜 실리콘밸리 죄다 인도촌임.

  • @운명의피크
    @운명의피크 ปีที่แล้ว +47

    우리나라의 사고방식과 교육방식, 사회가 돌아가는 구조를 보면 앞으로 나아가는데 엄청난 벽이 서있는 것 같다.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기존 선진강대국들(미주유럽)마냥 발전을 일찍 한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지하자원, 식량자원, 관광자원 같은 것도 없는 아프리카 대륙보다도 떨어지는 최악의 알거지 흙수저 국가가 인력으로라도 여기까지 올라온게 기적인 격.. 그래서 g7 언저리까지 온거고... 누가 개고생 하고 싶어했나요?! 한국은 선택지가 없을 뿐입니다~~~

    • @beautifulourCH
      @beautifulourC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도가 우리나라보다 더 교육열 강함 10배 이상일듯

  • @이형민-v3p
    @이형민-v3p ปีที่แล้ว +288

    진짜로 의대쏠림을 막고 싶다면 국내 주요대학의 이공계 학생들에게 의사보다 더 좋은 조건을 보장해라. 의사라는 보장된 직업이 있는데 왜 굳이 보장되지 않은 이공계를 가야하나? 의대를 가는 학생들은 아무 잘못이 없다.

    • @usbcddgcvgd
      @usbcddgcvgd ปีที่แล้ว +3

      뭘 어떻게 보장함 ㅋㅋ 공부 열심히해서 구글 취업하든가

    • @이형민-v3p
      @이형민-v3p ปีที่แล้ว +71

      @@usbcddgcvgd 그러니까 이공계 안가지. 의대 가는게 현명한거임.

    • @bowwow4535
      @bowwow4535 ปีที่แล้ว +18

      @@이형민-v3p 그러니까 의사들이 건방지기만 하고 사명감이 없다는 소리를 듣지

    • @이형민-v3p
      @이형민-v3p ปีที่แล้ว +88

      @@bowwow4535 그런 얘기 들을 이유가 없는데 열등감에 쩌든 인간들은 그러더라. 의사에게 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말이지.

    • @hondamasatofan4940
      @hondamasatofan4940 ปีที่แล้ว +15

      @@bowwow4535 ㅋㅋㅋㅋㅋㅋ 그래서 무슨일함?

  • @Drone0
    @Drone0 ปีที่แล้ว +91

    경쟁을 통해 도달한곳에서 다시 경쟁을 거쳐 선별한 옥석을 잘 다듬어 최고의 인재를 만들어내는 교육과정

  • @가이즈-h7f
    @가이즈-h7f ปีที่แล้ว +28

    마인드가 다르구만
    멋지네 성공할 자격이 있어

  • @JNAtest
    @JNAtest ปีที่แล้ว +23

    인도 학생들보면 내가 뒤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음.. 물론 배움의 이유는 다양하지만 저렇게 이 악물고 배운다는 점에서 저런 환경에서 살아남았다는 점에서 매우 대단하다는 생각이 듬.

    • @gurazly
      @gurazly ปีที่แล้ว +4

      ㄹㅇ 학업에 충실하지 않았던 저 자신읗 되돌아보며 반성도 하게 함 저렇게 하는건 정말 쉽지가 않은데

    • @PETBOY
      @PETBOY ปีที่แล้ว

      한국 교육 자체가 그냥 달달달 외우기가 끝이라 이길수가 없는거임.

    • @JNAtest
      @JNAtest ปีที่แล้ว

      @@PETBOY 인도도 달달 외우기로 시작하는데?

    • @PETBOY
      @PETBOY ปีที่แล้ว

      @@JNAtest 인도 인구를 생각해라

    • @NativeBharatiye
      @NativeBharatiye ปีที่แล้ว

      ​@@JNAtest you can never pass indian exams with just memorisation probably School exams but not competitive exams for colleges

  • @zunepark6776
    @zunepark6776 ปีที่แล้ว +41

    오늘 학교에서 인도인 친구 (IIT Hyderabad 학부졸)랑 “아시아 국가들은 경쟁이 치열하고 가치관이 획일화되어 있어서 연구성과도 입시 경쟁에 비해선 우수하지 않고 청년층 삶 만족도 낮고 무의미한 경쟁을 강요하는거 같아 미국와서 살아보니까 이런 부분을 더 느껴”라고 말하면서 한국 인도의 교육제도 욕했는데 한국의 방송국은 이걸 또 이상적인거 마냥 소개하고 있었구나

    • @Lee-vs4ju
      @Lee-vs4ju ปีที่แล้ว +4

      인도도 역시 동양이맞긴맞군요... 동양이 진짜 치열하죠...ㄷㄷㄷ

    • @PETBOY
      @PETBOY ปีที่แล้ว

      저건 교육제도가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iit 취재간거잖아. 그리고 인도인들이 미국에서 아시아인으로 가장 잘삼

    • @gohealthdiet
      @gohealthdiet ปีที่แล้ว +3

      그나마 치열하다고 하는 입시경쟁이 아시아에선 비리가 적으니까.. 수시와 학종이 들어오면서 우리나란 문제가 되고있지만.. 그냥 동일한 시험을 봐서 커트라인으로 끊어주는게 가장 공정하다고 생각함. 저런 경쟁이 아니면 아시아 국가는 기득권들이 처음부터 다 헤쳐먹을 것임.. 우리나라도 이젠 그렇게 되어가고 있고...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한국은 애초에 가진게 없는 흙수저 국가인데 좋든 싫든 인력을 통한 교육밖에 길이 없는 나라에요. 더불어서 산업발전도 압축성장이긴 해도 1차 2차 3차 4차 이렇게 정상적인 단계를 거쳐서 발전한거라 어느정도 사는거지. 인도는 제조업을 건너뛰고 바로 자연과학으로 넘어온거라 아직도 저렇게 궁핍하게 사는거임.. 사회인프라도 개판인데 더군다나 지나치게 많은 인구가 인도의 발목을 잡는거임

  • @user-hq3tm8fx7m
    @user-hq3tm8fx7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안녕하세요, 저는 선플달기 운동을 하고있는 고등학생입니다. 인도 공대생들이 초엘리트인것은 알고 있었지만, 저 정도로 학문에 대한 열정 또한 대단하다는 것은 몰랐습니다. 인도 학생들의 학구열을 보고 저도 저들만큼 열심히 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됩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ori5581
      @ori558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ㄱ귀여워 그런운동 누가시키는거야?

  • @몬테소리-k9z
    @몬테소리-k9z ปีที่แล้ว +41

    영어가 자국어와같으니 빅테크에 바로 실전투입이 될수있는게 엄청난 장점같다..

  • @jinw0n
    @jinw0n ปีที่แล้ว +26

    책상이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열심히 하는모습 멋있네요 동기부여 받았습니다

    • @allenlogan7306
      @allenlogan730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8 솔직히 정상이 아니지. 나라에 돈이 없는것도 아니고 어찌 책상도

  • @kye2146
    @kye2146 ปีที่แล้ว +93

    교육 잘받은 인도인들 정말 똑똑하고 문화도 아시아권이라 정도 넘치고 착함. 좋은 분들이었음

    • @odd6646
      @odd6646 ปีที่แล้ว +14

      교육 받은 인도인들 중에서 진짜 똑똑한 사람 많음. 물론 인구가 많아서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그런걸 감안해도 진짜 머리좋음. 일본에서 국제학교 다녔었는데 인도 애들이 꽤 있었음. 그 인도애들 중에 수재 두명 봤는데 그중 한 명이랑 조금 친해져서 걔에 대해 알게 된 사실이 있음. 그 여자앤 원래 3rd grade 인데 머리가 좋아서 12~13살 애들이 듣는 5th grade 수업을 듣는거였음 ㄷㄷ 그런데도 반에서 과학 과제 같은거 하면 제일 고퀄로 해오고 설명도 진짜 조리있게 잘했었음

    • @kingkong1787
      @kingkong1787 ปีที่แล้ว +3

      캐나다살때 인도쪽 자영업 하시는분들 많았는데 다들 친절하시고 잘챙겨주셔서 좋은 기억이 있네요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1

      그럼 뭐해요 아직도 3류국가를 못벗어나서 미주유럽으로 떠나는게 다반사인 최악의 인재유출국가..

    • @benjamin-erlangen
      @benjamin-erlangen ปีที่แล้ว +1

      근데 인도인들은 몸냄새가 지독한가요? 지하철에서 냄새맡고 3초간 기절한적있는데 사망할뻔했어요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1

      @@benjamin-erlangen 최악 중에 최악임~

  • @Cupcake0228
    @Cupcake0228 ปีที่แล้ว +17

    Ok so i saw a lot of comments about this people leaving the country as a Indian and student of IIT delhi i think i am enough qualified to clear the doubt here there is no question that lot of student will go to study in foreign country get a job there and will settle as well but if you think as per population perspective lot of this young talents are going to stay in country and have their own startup as it has become booming trend in india to have our own startup and be self employed things are changing in india it has been getting lot of new infrastructure lot of development we still have long way ahead but things are changing ever increasing digitalization in country there is no doubt we are still held back due to our corrupt politicians

  • @smh9754
    @smh9754 ปีที่แล้ว +55

    역시 회로나 공학 관련 공부하면 항상 인도형누나분들 나오는데 다 이유가 있었군

  • @ogleogle146
    @ogleogle146 ปีที่แล้ว +16

    장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는다더니 시설은 낙후돼 보여도 실력은 어마무시 하군요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그게 결국 미국유럽으로 건너가서 취업하고 눌러붙으려고 그렇게 열심히 한다는

  • @sicco-v9z
    @sicco-v9z ปีที่แล้ว +14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갈 때 배움이 향상됩니다.충분한 휴식으로 무의식 상태로 만들고 책을 통해 의식으로 변하지요.수업 방식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혼자 열정을 가지고 공부하고 모르는 것들은 찾아보면 되지요.전공책 연습 문제 풀때도 암기보단 이해로 풀어야 합니다.어차피 전공책 문제는 깊게 갈 필요 없지요 대학원 갈 거 아니면

    • @sicco-v9z
      @sicco-v9z ปีที่แล้ว +8

      잠은 8-9시간 유지시켜 주세요

  • @hjk5165
    @hjk5165 ปีที่แล้ว +18

    와 진짜 대단하다. 다른 나라 사람이 k팝 연습생을 보면 이런 느낌이려나?
    진짜 수재 양성소 같다. 단순하게 봐도 공부량이 어마하다.

    • @Chloe17
      @Chloe17 ปีที่แล้ว +2

      솔직히 인도인으로서 k-pop 연습생들을 보면 한국인들은 인생에서 무엇을 할지 선택할 자유가 많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두 가지 옵션만 제공되지만 의사나 엔지니어. 그러나 나는 의견에 동의합니다. 인도는 정말 천재들이 태어난 곳이고 저를 포함해 공부에 관심이 많은 동급생들이 있습니다.

    • @Aspirant24-uy3zp
      @Aspirant24-uy3zp ปีที่แล้ว

      ​@@Chloe17 Even korean society is the same didi. 60% students choose medical school. We don't have such absurd statistics.

  • @gmtmtkdjdjfic4549
    @gmtmtkdjdjfic4549 ปีที่แล้ว +30

    학생들에게 자기의견 말할수있게 해주고 수업에 모두가 참여하는 분위기와 열정이 부럽다

  • @phkair
    @phkair ปีที่แล้ว +176

    인도계는 전세계에서 힘을 쓰고 있지만 정작 인도가 힘을 못쓰는 이유는, 저런 천재들이 대부분 미국과 유럽으로 유학 혹은 해외취업을 하게 되면 더이상 인도로 돌아올 생각을 하지 않고 그 나라 국민이 되어버린다는거죠....ㅎㅎ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7

      최악의 인재유출국가

    • @손민규-u5d
      @손민규-u5d ปีที่แล้ว +39

      애초에 저 열정의 원동력 자체가 인도 탈출하려는 의지인데 당연한걸

    • @santarita414
      @santarita414 ปีที่แล้ว +2

      해외에서 짱먹는데 뭐가 문제인지, 그저 부럽삼

    • @NativeBharatiye
      @NativeBharatiye ปีที่แล้ว +1

      왜 당신네 한국인들은 모든 인도인이 인도 밖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우리 인구는 충분히 많고 우리나라를 위한 대학 외에는 충분한 대학이 있습니다. 우리는 두뇌 유출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남한의 인구를 보면 정말 조국을 돌봐야 합니다. 우리는 지탱할 만큼 충분히 크지만 한국은 그렇지 않습니다. 인도인들이 재정적 자유를 얻으면 인도로 돌아갑니다. 다시 말하지만 우리는 한국에 비해 두뇌 유출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걱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abhishekbaruah7272
      @abhishekbaruah727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ativeBharatiye no use telling them bro they are a plastic surgery mindset country lol

  • @djWjfkrhwkdsksclsi
    @djWjfkrhwkdsksclsi ปีที่แล้ว +58

    원래 저게 정상임.
    우리 같은 제조업 국가는 무조건 수출에 기여하는 이공계 인력들이 고연봉을 받는게 당연한데.
    의료 협회에서 한해 의사 면허 수를 제한 함으로서 의대생 공급을 억제하고,
    독점적인 시장을 만들어 의도적으로 몸값 부풀리기를 하는 거.

    • @PETBOY
      @PETBOY ปีที่แล้ว +7

      원래 이공계가 인기가 많았는데 의대 정워누동결되고 부터 죄다의대감 이건 통계로도 있음. 연봉은 oecd대비 오지게 높음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ปีที่แล้ว +28

    오히려 먹고살기 어려운 시절엔 큰 꿈을 가지고 더 먼 미래를 보고 직업을 선택한 것 같은데 요즘은 상대적으로 예전보다 절대적 빈곤이 줄어들었음에도 더 소소하고 당장의 수요에 신경 쓰는 느낌.. 참 요상하단말이지..

    • @kang1677
      @kang1677 ปีที่แล้ว

      그만큼 우리나라가 발전해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현대 한국에서 적당한 꿈은 과거 한국의 약간 큰 꿈만큰 올라왔으니깐요.
      과거에는 공부로 이룰 수 있는 큰꿈의 가치(단순히 소득이라 가정)가 적당한 꿈의 가치와 큰 차이가 안나니깐요.
      또한 영상을 보다가 댓글을 다셔서 스런지 '꿈=공부'라고 무의식 중에 가정하고 쓰신거 같습니다.
      다만 요즘은 큰 꿈을 꾸는 방식이 다양해졌을 뿐입니다.
      여전히 공부로 큰 꿈을 꾸는 친구들도 있고요.
      어르신이 뉴스에서 보신 BTS와 같이 연예 활동으로 큰 꿈을 꾸고 실현시키는 친구들도 생겨났을 뿐이에요.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ปีที่แล้ว

      @@kang1677 아이돌 이야기가 나왔으니 그 씬도 지금 비슷합니다. 각 기획사 에서도 아이돌 준비하는 사람이 현저하게 없어 난리입니다. BTS가 될 확률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만 틱톡등을 이용하면 쉽고 빠르게 인플루언서가 되어 버는 돈이 훨씬 많기 때문이죠.

    • @sd68127
      @sd68127 ปีที่แล้ว +1

      집단의 기술적 진보보단 개인의 영원한 행복을 택함으로 이득을 취하는 형태로의 전이일뿐..
      강한 결핍이 강한 동기와 욕구, 수요를 발생시킨다는걸 감안하면 현 사회가 그렇게 요상하지는 않음. 생활수준이 어느정도로 수렴하는 형태에 접어들면 더이상 결핍과 상실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기에 큰 동기와 목적을 더이상 가질수 없다는게지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ปีที่แล้ว +3

      @@sd68127 그게 딱 헝그리 정신인데.. 인정하기 싫어도 말한게 정답같긴함. 강한 욕구만이 불합리함을 견디게 하는듯.

  • @user-lq5kk2dr2z
    @user-lq5kk2dr2z ปีที่แล้ว +83

    공대생인데 졸업학점 140학점 빠듯하다고 생각했는데
    여기는 정말 딴 세상이군요ㅎㅎ

    • @UCBerkeleyCS
      @UCBerkeleyCS ปีที่แล้ว

      비효율입니다
      인도 IT 세계최고 , 하드웨어 꼴등 (전차 , 전투기 못만드는 나라임)
      노벨상 배출 이스라엘 4년제 112학점임
      대신 졸업학점 4.0 만점에 전공 최소 3.7평점이상 졸업
      세계최고 독점 양궁 , 게임 등 깊고 좁게 분야 박병일 명장 같은 수많은 미친 인재 배출나와야 합니다
      깊고 좁게 파고드는 과정에 적합한 커리큘럼으로 한국교육 개혁해야 합니다
      전공4,교양6 비율 넓고 얕은 전공이 좋지만 5000년간 노벨상 안나옵니다 , 앞으로도 절대 안나옴

    • @UCBerkeleyCS
      @UCBerkeleyCS ปีที่แล้ว +2

      중국은 개인 스포츠에서만 강합니다.
      중국사회가 단체 게임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없는 구조입니다
      중국 축구 보면 답나옵니다
      혼자 골욕심 1등 공격수 10명 vs 50% 협업 조직력
      50% 부족한 사람들이 모여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협업 조직력
      한국 대학은 성적만 높은 주입식 암기기계 학생만 뽑지만,
      성적이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개개인의 특별한 능력 , 재능을 발견하거나 키우는 과정 하버드대 , 아이비리그

    • @서노수
      @서노수 ปีที่แล้ว

      @@UCBerkeleyCS 언제적 주입식 암기기계노 ㅋㅋㅋㅋㅋㅋ 니 가난하다고 아무 소리 싸지르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가 왜 loser인지 알겠다 ㅋㅋㅋㅋㅋㅋ

    • @승현배-d8z
      @승현배-d8z ปีที่แล้ว

      뭐 어쩌라는거야 븽딱아

    • @johnkim-mn2de
      @johnkim-mn2de ปีที่แล้ว +1

      학점 계산 자체가 툴림
      한국에서 140점이면
      인도공대에서는 420점임

  • @2lyn_98
    @2lyn_9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우리나라 대학교 교수 랑 비교 되는 인도 교수님 늘 유튜브에서 정말 잘 설명 해준다.

  • @choichoi0812
    @choichoi0812 ปีที่แล้ว +665

    우리나라 교수들처럼 되도않는 무게쳐잡고 꼰대짓하는 교수는 단 하나도 없네... 진심으로 나라의 미래와 학생들을 위하는 마음이 보이네요

    • @ih4437
      @ih4437 ปีที่แล้ว

      ㅇㅇ 미국살고있는데 한국같은 갑질 1도 없음. 물론 불편한점도 있긴 하지만, 사람들은 진짜 좋음. 스탠포드 출신들이랑 같이 일하는 정말 평등함. 근데 뭣도 없는 한국교수들 있는 척 없는 척 자기 분야인데도 아는 것도 없는 굇수들 개많음.

    • @juhwang79
      @juhwang79 ปีที่แล้ว +72

      학부생 때 저한테 자기 수업에서 질문하지 말라고 협박했던 교수도 있었죠.

    • @명학근
      @명학근 ปีที่แล้ว

      @@juhwang79 그 사람은 교수 잘라야함

    • @freshcan
      @freshcan ปีที่แล้ว +41

      유시민이 그러더라고요 자기가 속한 세대가 최악의 세대라고. 현 교수들의 대부분이 유시민 세대죠. 피곤합니다 정말.

    • @장석희-d2q
      @장석희-d2q ปีที่แล้ว +66

      그런 교수들은 이런데서 안보여주니까요.
      영화 세얼간이를 보면 인도도 그런게 사회적으로 문제였겠죠.

  • @제갈공명-d1j
    @제갈공명-d1j ปีที่แล้ว +4

    79학번 인데 서울 따라지 고등학교 나왔다
    반에서 1,2,3등이 비슷했는데 나는 수학이 꽝이었는데 의대가기위해 이과갔다 수학 물리 화학 진짜 꽝이었다 근데 예비고사 지금 수능점수가 반에서 1등했다 나는 무조건 의대를가야했기에 그때 최초로 예비고사점수만보는 H대 의대 특차로 갔다 친구 1명은 서울공대 컴퓨터 공학과 나와서 모대학 교수하고 있고 한명은 서울대 계산통계학과 졸업하고 미국에서 대학교수하고 있고
    79학번 H대 의대는 연대의대보다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예비고사 평균이 높았다
    지금은 피부과전문의 개원 32년차이다 그때의 선택의 결과이다

  • @수박개미핥기
    @수박개미핥기 ปีที่แล้ว +8

    직원이 아니라 고용주가 된다..진짜 개멋있다

  • @returnfly628
    @returnfly628 ปีที่แล้ว +51

    우리나라는 멍청하고 어이없는 질문에 꼽주는것을 없애면 질문이 활성화됨
    어색하게 아는것을 충족하려고 하는 질문이 아니라 아예 모르겠어서 하는 멍청한 질문이나 상식같은 질문도 받아들여야 함ㅇㅇ
    당장 ㅈ튜브같은거 보면 뭐 물어보면 그것도 모르냐며 기본 상식이 어쨌니 저쨌니 개같이 따지는 애들 많음
    멍청한 질문이야말로 좋은 질문을 위한 초석임을 모르고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꼴을 못봄.
    이런 질문문화는 한국이 진짜 뒤지게 심함

    • @유유서울
      @유유서울 ปีที่แล้ว +8

      공감.. 대학 라인이라는 벽을 세워놓고 등급매기기, 등급 따라가기에 급급하니 체계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는 질문은 쓸모없는게 되고 물론 성실하고 넓은 가치관을 가진 학생도 많지만 대학교에 가면 고등학교시절보다 더 자율적인 교육환경에 힘들어하는 사람도 있죠..

    • @thffkfltm
      @thffkfltm ปีที่แล้ว +1

      맞음. 유명한 위인 학자나 과학자들 어린시절 보면 학창시절 지적 호기심이 굉장해서 날카롭고 창의적인 질문을 자주 하고 교사들은 당황하는데 주변의 평범한 아이들은 그런 영재의 질문자체를 이해하지못하고 되려 멍청하다느니 관심병이라느니 꼽주고 그러는 경우 있죠.

  • @User-DarkHorse8765
    @User-DarkHorse8765 ปีที่แล้ว +113

    10 년전에 미국 60 mins 에서 IIT 에 대해 보도 했는데 이대학은 졸업하기전애 미국회사에서 다 스카웃해간다고.. 미국 MIT 보다 알아주는곳이라고.. 14 억의 수재들이 간다니 얼마나 똑똑한이들인가..

    • @성이름-p9t6t
      @성이름-p9t6t ปีที่แล้ว +45

      MIT 보다 알아준다는건 오바고요, MIT나 탑 대학 가도 커리어 페어 때 FAANG 기업들 및 탑 컨설팅 기업, 금융 관련 기업들 와서 애들 데려가려고 합니다. IIT 탑 캠퍼스들이 그 수많은 인도 인재들 중에 탑학생들을 뽑아낸 만큼 인정을 받지만 팔은 당연히 안으로 굽죠. 또한 인도 대학은 인도인 말고는 가려는 사람이 없지만 MIT, 칼텍, 하버드 같은 미국 탑 대학은 전세계의 내로라하는 인재들이 경쟁하는 곳이라서요. MIT가 IIT보다 인정 못받는건 진짜 말그대로 그냥 오버하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ㅋㅋ

    • @User-DarkHorse8765
      @User-DarkHorse8765 ปีที่แล้ว

      @@성이름-p9t6t 60 mins 에서 IIT is equal to Harvard Princeton and MIT put together 이라 했네요 미국 IT 게 회사들 안에는 인도인이 1/3 정도 차지하고 있을거예요 Top IT 회사들 1/3 CEO 들이 인도인인데 팔이 안으로 굽는다는건 옛말.. 미국회사에선 training 을 안시키고 ready to dive 를 찾기때문에 인도인들 뽑는거겠지요.. 학점이 430 을 따야 졸업한다니까 한국이나 미국과 대비를하면 석사까지 하는수준인데.. . IIT 졸업자들은 미국에서 다 스카웃해간다니까.. 미국와서 대부분 시민권자가 되어 미국에서 제일돈을 많이버는 인종은 매년 인도인이라네요 몇년전에 연소득이 9만불이였으니까 지금은 10 만 이 넘겠네요 인재들이 미국으로 모이는건 좋은일이겠지요 이런 인재들이 직업을 창조하고 있으니까 google 같이..

    • @woosukbyun2455
      @woosukbyun2455 ปีที่แล้ว +1

      @@성이름-p9t6t 맞습니다. 미국 내 기업 리쿠루터들이 아마도 MIT에 대해서 더 잘 알테죠...

    • @aasdf8276
      @aasdf8276 ปีที่แล้ว +1

      엣날애기네요.패데믹전후.사정바뀌엇고.체강은미국.이죠.

    • @aasdf8276
      @aasdf8276 ปีที่แล้ว

      영어발음.ㅋㅋㅋ프리핑못해요.못알아들어요

  • @sdghyt-n7s
    @sdghyt-n7s ปีที่แล้ว +34

    인도의 신분상승의 비결은 공대에 들어가는 거라고 하죠, 그런데 문제는 인도산업에 공대출신이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은 미약한 것 같아요, 예를 들어 방산업체, 항공업체, 통신업체, IT 하드웨어 업체 등등...

    • @realdennis79
      @realdennis79 ปีที่แล้ว +50

      뛰어난 인재들은 미국이나 영국으로 이민 감… 인도 인재 찾으려면 실리콘 벨리로 가야됨

    • @hyena5313
      @hyena5313 ปีที่แล้ว

      90% of the IIT graduates go to USA or Europe instead of staying here

    • @dddd-lh9rj
      @dddd-lh9rj ปีที่แล้ว +11

      그 사람들 다 미국갔으니까요

    • @Small69Korea
      @Small69Korea ปีที่แล้ว +5

      탑클래스 분야에 인도계열 넘침

    • @ninewayne
      @ninewayne ปีที่แล้ว

      천민신분에서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니...

  • @Sunny-uv9uu
    @Sunny-uv9uu ปีที่แล้ว +6

    우리 남편도 IT 전공하고 지금은 경력이 많이 쌓여서 세계를 돌아 다니며 일합니다. 직원채용시 실력이 뛰어나도 백인들에게 밀려나는 친구들이 있는데 최근에는 맥도날드에서 알바하던 IT졸업생 직원을 채용했어요. 스스로 독립적으로 먹고 살려고 남의 시선이나 직업군, 회사 따지지 않고 무조건 일을 하려고 하는 이 젊은 청년의 헝그리 정신이면 잘 할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지금도 맥에서 구해줘서 너무 고마워하고 열심히 합니다. 미국에 직원 한명은 컴전공이 아닌데도 전공이 달라서 한계가 있는데도 IT쪽에서 일하고 싶다고 하는 청년을 고용했어요, 열심히 하기는 하는데 아무래도 이해가 다른 직원보다 느리고 시간이 많이 걸리긴 하지만 헝그리정신과 열정이 있고 특히 이런저런일의 경력이 있는 사람을 선호해요. 다른 영역에 일도 해보고 개고생을 해 봐서 정말 철도 들고 열심히 하고 요즘 애들 같지 않다고요....

  • @w0ni838
    @w0ni838 ปีที่แล้ว +10

    역시 인도가 기술력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뛰어나다.

  • @TaeGyeongKim-i2b
    @TaeGyeongKim-i2b ปีที่แล้ว +1

    이 형님들 유튜브 강의덕에 컴공생은 그나마 숨이 틉니다...아ㄹㄹ럽쀼 쁘라더

  • @이정훈-o9w
    @이정훈-o9w ปีที่แล้ว +4

    진짜 멋있다 ㅠㅠ

  • @lightspecialist
    @lightspecialist ปีที่แล้ว +1

    5:27 미국, 독일, 일본의 도움을 받아서 IIT를 만들었다는게.. 진짜 저 세 나라는 선진국이구나

  • @노무현-b8k
    @노무현-b8k ปีที่แล้ว +123

    천재들이 모인곳이구나.

    • @duk9711
      @duk9711 ปีที่แล้ว +60

      당신도 천재 아닙니까? 고졸 사시페스 대통령

    • @disastermoon420
      @disastermoon420 ปีที่แล้ว +42

      ​@@duk9711 음악 천재지.

    • @햄버거-v2w
      @햄버거-v2w ปีที่แล้ว +11

      @@duk9711노무현이 본인까는 왠만한 사람들 보다 머리좋앗을듯 사실 대학도 갈 능력은 되는데 집안이 가난해서 못간 거라서 집안 형편이 좋았으면 왠만한 좋은대학은 나왔을거라고 봄

    •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ปีที่แล้ว +3

      @@햄버거-v2w 그때 사시패써랑 지금 노숙굴이랑 비교를 할 수가 없지

    • @david-ji8tw
      @david-ji8tw ปีที่แล้ว +8

      @@duk9711 그 당시 고졸 사시.패쓰 수준은 저기 인도에서 고등학생때 대학 안가고 구글 입사하는 수준. 거의 개척이니까

  • @Reenact12
    @Reenact12 ปีที่แล้ว +81

    대우만 좋다면 의대가서 힘들게 공부하는 거보다 공대가서 힘들게 공부하고 싶다

    • @Panni_Bottle
      @Panni_Bottle ปีที่แล้ว +1

      진짜 공감가는 말입니다..ㅠㅠ

    • @jenny_yin
      @jenny_yin ปีที่แล้ว +7

      근데 우리나라가 공업중심으로 굴러가는국가라 최대한 싼값으로 굴려야하는데 대우를 높게쳐줄수가 없지...

    • @kwindow2
      @kwindow2 ปีที่แล้ว +3

      그런데 졸업하고 의대와 공대는 연봉이 천지차이
      그래서 의대가는거죠

    • @ddd-yu5nh
      @ddd-yu5nh ปีที่แล้ว +2

      @@jenny_yin 아닌데? 아예 기업을 개박살 내잖음 ㅋㅋㅋㅋ 스타트업 포괄임금제도 악법이라고 때려잡는판에 ㅋㅋㅋ

    • @최현규-t7v
      @최현규-t7v ปีที่แล้ว

      정말정말 공감합니다..!

  • @123gg-i2u
    @123gg-i2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0:36 주술회전 침투력 ㄷㄷ하누;;

  • @유재혁-y2p
    @유재혁-y2p ปีที่แล้ว +62

    mit 공대 교수가 인도 학생에게 "자네는 왜 itt를 안가고 mit를 왔는가?" 물어봤는데 "itt에 떨어져서 mit로 왔습니다" 라고 대답했다고 한 적도 있다네요.. 정말 천재들만 모인 곳입니다

    • @sujankim6788
      @sujankim6788 ปีที่แล้ว

      개소리를 유창하게하노

    • @parker4406
      @parker4406 ปีที่แล้ว

      재미있는 이야기인데, IIT 봄베이에 가기 위해 상위권을 얻지 못하고 MIT에 간 MIT 학생이 있었습니다.

  • @지리산낙지
    @지리산낙지 ปีที่แล้ว +154

    미국:소수의 엘리트가 이끌어가는 나라
    인도:소수의 엘리트가 탈출하는 나라

    • @sig27
      @sig27 ปีที่แล้ว +53

      ㄴㄴ 미국은 그 인도에서 탈출한 엘리트가 이끌어가는 나라지 ㅋㅋㅋ 미국 대기업 ceo국적만 봐도 ㅋㅋㅋ

    • @junks727
      @junks727 ปีที่แล้ว +5

      ​@@sig27 역시 미국은 인디안들과 얽히고 설킨 ㄷㄷ

    • @jenny_yin
      @jenny_yin ปีที่แล้ว +10

      @@sig27 it붐 이전에는 기계쪽에 독일계 미국인이 이끌었지

    • @abouttime5377
      @abouttime5377 ปีที่แล้ว +1

      한국도 인도랑 마찬가지인거같아요..

    • @기후-w1q
      @기후-w1q ปีที่แล้ว +2

      미국은 유대계와 인도계가 끌어가는 것인가 ?!

  • @븅어님
    @븅어님 ปีที่แล้ว +2

    진짜 멋있다

  • @탁구와사랑에빠진놈
    @탁구와사랑에빠진놈 ปีที่แล้ว +9

    진짜 컴공을 제대로 배우려면 인도를 가라는 말이 있지..
    그만큼 천재들

    • @sanko7366
      @sanko7366 ปีที่แล้ว +1

      쟤네들 중에 수석 차석이 가는곳이 미국 컴공 대학원입니다...ㅋㅋ 옆랩에 iit 봄베이 차석 있어서 얘기 자주 해봤어요 ㅋㅋㅋ 같이 일하는 석사 친구들도 iit나 세컨티어 공대 졸업하고 IBM이나 골드만삭스 같은 기업에서 일하다가 석사하러 온 애들도 많구요.
      그 친구들 이랑 얘기해보고 내린 결론은 미국 커리큘럼과 수업 수준은 iit고 카이스트고 비교가 안된다 입니다. 컴공을 배우려면 미국으로 오세요. 진짜 교수들이 교육에 쏟는 노력이 차원이 다름.

  • @ASdniindSA
    @ASdniindS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수학과다니는데 인도인 교수님한분이 iit출신이셨음. 대수위상 강의를 듣는데 강의를 듣는 와중에는 이렇게 쉽고 재밌는 과목은 또 없을것만같았는데 끝나고 혼자공부해보려하면 그냥 턱하고막힘... 유튭에 수학관련된거 검색하면 인도인들 채널만 주구장창뜨는 이유가 있음ㅋㅋㅋ

  • @딱따구리-h1z
    @딱따구리-h1z ปีที่แล้ว +24

    인도 출장 갔을때 겐지스강 물 먹고 식중독 걸렸을때 생수 사오면서 현지인들도 생수 사먹는다고 유튭으로 겐지스강물 교육 해줄때 감동 받았는데...역시 인도...

    • @deleted_user_7392
      @deleted_user_7392 ปีที่แล้ว +52

      어떻게 그 똥물을 먹을 생각을...

    • @icvl1695
      @icvl1695 ปีที่แล้ว +14

      대단하신분이네요 어떻게 그 물을..

    • @baaaaaaaaaaamm
      @baaaaaaaaaaamm ปีที่แล้ว

      대단하다.....

    • @monkii_
      @monkii_ ปีที่แล้ว +17

      아니 그 시체똥물을 왜먹을생각을함? 지능이 의심스럽네..

    • @sd68127
      @sd68127 ปีที่แล้ว +22

      진짜 님도 어떤면에서 대단하네요

  • @mrhyunpark
    @mrhyunpark ปีที่แล้ว +166

    우리나라도 개발도상국이던 2000년대 초반까지는 공대뿐 아니라 자연과학대도 의대보다 높았던 적 있었음. 학력고사 시절 전국 수석은 서울대 물리학과 가는 경우가 아주 많았음.
    IMF때 대규모 실직사태후 의대가 급격히 인기를 끌기 시작했음.

    • @Iamthemiracle777
      @Iamthemiracle777 ปีที่แล้ว +29

      아님 ㅋㅋㅋ 한국경제 [대입배치표 30년 변천사②] 1985~2015학년도 문·이과 커트라인 상위 20개 학과
      이거 보면 수능 생긴 이례로 커트라인 1위는 언제나 서울대 의예였음. 단한번의 예외 없이. 다만 2000년도 이전에는 1위가 서울대 의예여도 2, 3위는 설대 공대였는데 2000년도 이후부터는 1위는 당연히 똑같이 서울대 의예고 2위도 3위도 다른 대학 의대라는거.

    • @kyu5435
      @kyu5435 ปีที่แล้ว +14

      @@Iamthemiracle777 사실 예전에는 의대보다 판검사가 넘사벽이였죠. 의대는 한국이 선진국에 들어오면서 부상했고.

    • @Iamthemiracle777
      @Iamthemiracle777 ปีที่แล้ว +18

      @@kyu5435 법대가 문과 1위던 시절도 다 갔죠. 이젠 서울대 경영한테도 밀립니다. 물론 로스쿨 생겨서 그런거겠디만 변호사는 이제 돈 못 벌어요. 과포화 상태

    • @kyu5435
      @kyu5435 ปีที่แล้ว +19

      @@Iamthemiracle777 그렇죠. 근데 의대도 정원늘리고 공공의대 생기고 한의사의 권한도 커지고 간호사 인건비와 권한도 오를수밖에없는 추세고.. 인구는 줄고 도심화는 심해지고 현대의학보다 대체의학을 믿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고 여러 정황으로 사실 의사도 지는해죠. 공무원에 전국민이 다몰릴때가 있엇는데 이젠 공무원 메리트 그닥없죠. 인기좋아 사람들 다몰리면 그직업은 보통 시간지나고나면 돌아보면 내리막이죠. 부동산 좋다고 다몰리면 그게 보통 거품이고 내리막이듯. 오히려 의대보다 블루오션으로 진출하는게 미래를 볼때 현명한 선택이지요. 사실 의대 인기가 높아질수록 한국의 미래는 없다고 봐야죠.

    • @콩딱콩콩딱콩
      @콩딱콩콩딱콩 ปีที่แล้ว +1

      법대가 떨어진거는 사시 폐지때문에 그럴수도?

  • @got-teacher
    @got-teacher ปีที่แล้ว +3

    이 영상을 보니 미래에 미국과 중국을 넘어 세계의 패권을 넘보게 될 나라가 인도일거라는 예측을 조심스럽게 해봅니다 😂😅😊

  • @kari8130
    @kari8130 ปีที่แล้ว +8

    포항공대생입니다. 잘 보고갑니다.

    • @상현냥집사
      @상현냥집사 ปีที่แล้ว +1

      헐 포항공대… 진짜 짱이시네요…

    • @oliverelio6702
      @oliverelio6702 ปีที่แล้ว +1

      ㅋㅋㅋ 풉 ㅋ멀 느끼셨는지도 말안하고 학력만… ㅋㅋ자기생각을 글로 표현해보세요 .

    • @machine2997
      @machine2997 ปีที่แล้ว +7

      ​@@oliverelio6702 자기 생각 적기 귀찮으면 안 적는거지 왤케 꼬임 ㅋㅋㅋ 학력에 열등감 있으신가

  • @Wannabe2023
    @Wannabe2023 ปีที่แล้ว +22

    공대출신들이 존중받는 사회가 됐으면 합니다. 의사는 그냥 반에서 차분히 공부하는 학생들이 하면 됩니다. 진짜 수재들은 공학으로 가야 대한민국 미래가 있습니다.

    • @PETBOY
      @PETBOY ปีที่แล้ว

      한국은 돈이 인생목표인 사회라 불가능

    • @gohealthdiet
      @gohealthdiet ปีที่แล้ว +1

      공대 출신 40대 직장인인데요.. 지금 생각해보니.. 공부 더 열심히 해서 의대 갈걸 그랬음.. 그게 맞음.. 그래서 수재들이 안가는 거죠.

    • @jjgg8640
      @jjgg8640 ปีที่แล้ว +2

      인도는 국내에서 의사해봤자 푼돈밖에 못버니까. 환경이 틀림. 사회라고 하는데 대한민국은 수요공급에 따라 움직이는 자유시장경제임. 뜬금없이 [존중]이니 뭐니... 아무 의미도 없는 소리임

  • @winyeop
    @winyeop ปีที่แล้ว +2

    간만에 유익한 컨텐츠 나온듯

  • @일저-h9u
    @일저-h9u ปีที่แล้ว +257

    한국도 2000년대 초반까지 서울대공대>지방의대였고 90년대까진 연고공>지방의대였음 그분들이 지금 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강국 만드심

    • @성이름-j6m6m
      @성이름-j6m6m ปีที่แล้ว +7

      그거랑 의미가 많이 다름 iit는

    • @disastermoon420
      @disastermoon420 ปีที่แล้ว +16

      수능 1등한 사람들이 설대 공대 가던 것도 생각나네요.

    • @oooobamasan
      @oooobamasan ปีที่แล้ว +78

      근데 보상을 제대로 받았나? 대부분 토사구팽 당하고 치킨 열심히 튀기실듯

    • @카와이레너드-w4g
      @카와이레너드-w4g ปีที่แล้ว +1

      ㅋㅋㅋㅋㅋㅋ

    • @readlotsofbooks
      @readlotsofbooks ปีที่แล้ว +23

      @@oooobamasan삼성나와서 치킨을 왜 튀기냐ㅋㅋㅋㅋㅋㅋㅋㅋ 계획 다 짜놨겠지

  • @eunonia.
    @eunonia. ปีที่แล้ว +28

    한국도 공대쪽으로 인재들이 많아져야 국가가 발전하는데 의대로 너무 가서 걱정임

    • @litlfj1041
      @litlfj1041 ปีที่แล้ว

      국가가 발전이 없으니 의대로 가죠 😂😂

    • @ddd-yu5nh
      @ddd-yu5nh ปีที่แล้ว +5

      왜겟음? ㅋㅋ 이공계가 일할곳이 없으니까 ㅋㅋ

  • @23D33-j7o
    @23D33-j7o ปีที่แล้ว +31

    2편 언제 나오지 재밌다 ㅋㅋ

    • @핑크팬더-h1u
      @핑크팬더-h1u ปีที่แล้ว +18

      안녕하세요
      이번주 목요일 밤 10시에 KBS1TV에서
      인도천재 2편 브레인팩토리가 방영됩니다.
      유튜브에는 지금 보고 계신 이 채널에 금요일 밤 10시에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롬크
    @롬크 ปีที่แล้ว +7

    아무리 인도의 인재가 뛰어나도,
    저 인재는 미국인이 된다

    • @dri13829
      @dri13829 ปีที่แล้ว +4

      ㄹㅇㅋㅋ
      이게 가장 중요한 사실인데 인도의 미래가 밝다느니 하는 말은 실상을 모르는 멍청한 소리죠.

    • @Xbow_master
      @Xbow_maste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도인은 미국으로 한국인은 의사로

  • @1천억원-h8s
    @1천억원-h8s ปีที่แล้ว +35

    좀 다른 방향일수도 있는데. 보훈이나 애국심 마케팅이 중요한게. 인도인은 성공해서 인도를 떠나고. 미국인은 성공해서 미국에 기부하니. 선순환구조로 계속 부강해짐... 엄청난 사람들은 배출해낸 인도대학 시설환경을 보니.... 저나라는 조국을 아끼고 사랑하는 방법먼저 심어야겟다......
    성공한 인도인들이 자기자산 10%씩만 출신대학에 기부햇어도. 많은인도인들이 많이 발전되고 문명화된 인도에 살고잇을텐데...
    결국은 카스트제도때문에 조국에 기부나 투자가 없는거 아니냐...성공해서 인도를 떠날생각만 있을뿐...
    다시한번 미국 시스템의 위대함이 느껴지네..
    자유. 평등. 경쟁. 보상. 애국심.(선순환 구조네..성공해서 다시 조국에 기부 대학에 기부..)

    • @김민셔
      @김민셔 ปีที่แล้ว +8

      중국이인도와는 다른길을 걷는이유기도함

    • @naeiouy
      @naeiouy ปีที่แล้ว +3

      성공한 인도인들이 인도에서 사업 크게해서 글로벌기업을 만들겠다 이런 마음도 어떻게 보면 애국심이니까요

  • @페드닥2021
    @페드닥2021 ปีที่แล้ว +34

    의대열풍이전 서울공대 졸업하고 이후 사회생활 중 의대를 다시 갔습니다만.. 의학은 수재가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순한 공부. 그러나 공학과 자연과학은 탁월성이 요구됩니다. IMF 이후 분위기가 바뀐 겁니다

    • @stevelee8705
      @stevelee8705 ปีที่แล้ว +4

      의대가 단순한 공부라니..의대생이 아닌개 확실한듯

    • @Lol.dllllllllllllrioeh
      @Lol.dllllllllllllrioeh ปีที่แล้ว +42

      @@stevelee8705 단순하다는게 난이도를 말하는게 아니라 창의성이 필요없다는 의미 같은데;

    • @kwindow2
      @kwindow2 ปีที่แล้ว

      맞는말 의학의 수재가 필요없죠
      그런데 의대는 수재만 감

    • @우유줘야돼
      @우유줘야돼 ปีที่แล้ว +1

      @@Lol.dllllllllllllrioeh 근데 본인이 열심히 공부해서 전공한 단순하다고 표현하는 것 자체가…누가 그럴까 싶다

    • @sijueun75
      @sijueun75 ปีที่แล้ว +1

      엉덩이 무겁고 체력좋고 멘탈 좋은~~ 새로운걸 알아내는거는 일부고(연구분야) 기존의 것을 암기해야하는(방대한).....

  • @akaiyasai9509
    @akaiyasai9509 ปีที่แล้ว +4

    자신의 과에 열중한다는게 엄청 멋있어요

  • @jopinghuan
    @jopinghuan ปีที่แล้ว

    Thanks and love from India ❤

  • @봄햇살-f5n
    @봄햇살-f5n ปีที่แล้ว +3

    인도 영화 세얼간이가 생각나네요 ㅎㅎ 알이즈웰!!

  • @use_138lcpasdjk
    @use_138lcpasdj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멋잇다......

  • @신짱구2
    @신짱구2 ปีที่แล้ว +5

    0:36 자전거 타는 사람 옷에
    '주술회전' ㅋㅋㅋㅋ

  • @Choi_silver
    @Choi_silve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진짜 멋있다...

  • @VictoryH-e8m
    @VictoryH-e8m ปีที่แล้ว +21

    432학점 이수가 졸업조건 중 하나가 확실한가요? 432학점은 무리같은데

    • @찐타
      @찐타 ปีที่แล้ว

      주말에 방학없으면 가능할지도

    • @naeiouy
      @naeiouy ปีที่แล้ว

      주6일 9시간 풀강이면 가능해요

    • @프린-g9e
      @프린-g9e ปีที่แล้ว

      저기수업 1시간 = 1학점
      우리나 저기나 차이없음
      기레기가 기레기한거임

  • @삽질러
    @삽질러 ปีที่แล้ว

    애시당초 대학을 입학하는 목적이 우리나라랑은 다르니까...그리고 아주 솔직히 이야기하면 나도 뭔가 한 업적을 남기고 싶었고 IIT 부러웠었는데 이제는 IIT보다 걍 의대간 애들이 훨 부러움...

  • @orbi-unique
    @orbi-unique ปีที่แล้ว +121

    대학 순위가 학생 실력과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임. 저렇게 애들 공부시키고 졸업생들이 잘나가지만 정작 글로벌 대학순위는 300-400위임.

    • @Smtsmtsmt-e9k
      @Smtsmtsmt-e9k ปีที่แล้ว +34

      외국인 수 적고 남녀성비 안맞고 등등때문에 글로벌랭킹 낮은거죠..

    • @orbi-unique
      @orbi-unique ปีที่แล้ว +24

      @@pp3781 미국 이공계대학 교수중에 인도계가 많고 IIT생들 실력좋은거 다 압니다. 근데 그게 IIT가 글로벌 대학 순위가 높은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요. 똑똑한 학생들 데려다가 공부 많이 시키는 것과 저 대학 교수들이 열심히 연구해서 성과내고, 그럴 인프라가 잘 갖춰져있는건 별개라는 겁니다.

    • @김민셔
      @김민셔 ปีที่แล้ว +43

      @@orbi-unique 그게아니라 인도는 똑똑하면 일단 미국을가요.. 인도 하나도부러워할거없어요 인도는 한참 교육시키고 그 인재들 죄다 미국에주고있습니다 인도도 인프라좋아요 다만 학생들은 인도에 남아서 인도를 발전시킬생각보다는 미국인이 되는길을 선택할뿐이죠

    • @UFCccccc
      @UFCccccc ปีที่แล้ว

      ​@@김민셔 인도인들의 특성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만약 인도인들이 유대인 처럼 민족성이 강하다면 추후에 전세계를 아우르는 힘을 지닐 수 있을지도

    • @kwindow2
      @kwindow2 ปีที่แล้ว +7

      글로벌 대학 순위는 믿지 마세요
      거기 자료는 성대가 연고대보다 높아요

  • @니인생이나마라먹어
    @니인생이나마라먹어 ปีที่แล้ว +6

    멋있다... 자부심도 엄청 강하겠지? 대단하다

  • @hyeontar
    @hyeontar ปีที่แล้ว +6

    와,,, 쌍둥이 자매 둘 다 IIT...

  • @gwanno5046
    @gwanno5046 ปีที่แล้ว +73

    인도가 세계적인 공학자, 과학자 엄청 많이 배출함. 우리가 이름만 들어도 아는 기업 내 CEO, 임원들 명단 보면 인도인이 절대 안빠짐. 근데 문제는 저 수재들은 인도를 위한 일은 안한다는 거. IIT 졸업할 때 쯤 되면 전세계 기업들이 졸업생들 차출하려고 모임. 그 사람들은 자국의 발전을 위해서 일하는 게 아니라 대부분 해외로 빠져나감. 아무리 인도에 똑똑한 사람이 많아져도 지금 같은 현상 유지되면 인도는 절대 발전할 수가 없지

    • @JSPark-bn2or
      @JSPark-bn2or ปีที่แล้ว +21

      그런데 그 나라에 성공해서 정착하면 사돈에 팔촌까지 다 데려와 대식구 형성 다시 그들이 뿌리내림 그게 무서운 겁니다.

    • @tenderloin0
      @tenderloin0 ปีที่แล้ว +11

      영미권 의료계, 엔지니어 등등 인도계 없이 안돌아가고, 이런사람들이 터잡고 인도계 계속 끌어주니까 결국 좋은게 좋은거 아닌가 싶네요. 나라발전이 중요한가요? 나랑 내 주변사람들이 대를 이어 부를 유지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데요;

    • @jjjjjjjjj145
      @jjjjjjjjj145 ปีที่แล้ว +14

      세계에서 잘나가면 인도인한테도 좋은거지;; 어딜가도 인도인이 있다는건데 도전할 수 있는 인프라가 더 좋아지고 글로벌 시대에서 이런 쌉소리가 나오다니 ㅋㅋ

    • @이리저리-i9o
      @이리저리-i9o ปีที่แล้ว +3

      영국현 총리가 인도계임~

    • @gwanno5046
      @gwanno5046 ปีที่แล้ว +4

      @@tenderloin0 당연히 내가 잘 사는 게 먼저지 누가 나라 발전 안시킨다고 저 인재들 욕함? 국가적 차원에서 인재들이 해외로 많이 유출되는 건 좋은 건 아니라는 건데

  • @감자조림-u7v
    @감자조림-u7v ปีที่แล้ว +5

    내 자신이 진짜 어중간하게 살았구나.. 불평이나 하지말자 라는 생각이 들음

  • @묘목싸개
    @묘목싸개 ปีที่แล้ว

    2:40
    ㅋㅋ라뗀 "주입식 교육"이라해서 그냥 교사 혼자 떠들고, 그냥 그들이 제시한 주제를 몽땅 적고 암기만 했는데ㅋㅋ그러면서 배우니, 다음 학년 또는 나이먹고 남는게 없음.

  • @허허-h4l
    @허허-h4l ปีที่แล้ว +55

    정말 부럽다..우리사회 정말 심각성 자각해야합니다....

    • @한승원-x5n
      @한승원-x5n ปีที่แล้ว

      그렇다고 아직도 저런 3류 후진국을 선망할 필요는 없는데 말이죠. 저렇게 열심히 하지만 정작 최악 수준의 인재 유출 국가로 악명이 높은 인도인데~

    • @서노수
      @서노수 ปีที่แล้ว +1

      무슨 심각성? 대한민국 잘 살아^^ 어휴 ㅉㅉ

  • @hj7681
    @hj7681 ปีที่แล้ว +1

    멋지네요 도전적인 삶이 부럽습니다

  • @cookie89-c8d
    @cookie89-c8d ปีที่แล้ว +11

    인도가 세계를 바꿀수 있습니다...우리는 이걸 본 받아야됨

  • @TANATUS63
    @TANATUS6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현재 한국의 교육학 박사님들,
    대학 총장님들이 이 영상 보셔야 합니다

  • @고르고르-n4m
    @고르고르-n4m ปีที่แล้ว +27

    인도 수재들이 공대를 선호하는 이유는 공대진로가 의대진로보다 창창해서지 국가발전에 이바지하기 하기 위함이 아님

  • @davidchang4559
    @davidchang4559 ปีที่แล้ว +1

    So unbelievable!!

  • @songes3058
    @songes3058 ปีที่แล้ว +3

    나 인도에서 외국계 회사 다니는 인도 친구 있었는데, 3년 전 8년차 월급이 한국 돈 100만원 초반대였음. 한국의 월 최저임금보다 훨씬 적음. 그 친구도 외국으로 갈 기회를 계속 알아보고 있었음. 돈도 돈인데 인도에서 직장생활하는 게 너무 숨막히고 스트레스 받고 짜증난다고 함. 관리자들 중 진상도 너무 많고 한국 직장 분위기보다 10배 이상 스트레스 받는다고 하면서, 한국은 천국이라고 하더라.

    • @재현-r6y
      @재현-r6y ปีที่แล้ว

      미쳤네 한국이 천국이라니

    • @구글계정-g9v
      @구글계정-g9v ปีที่แล้ว

      @@재현-r6y북한가봐

  • @공비삐리
    @공비삐리 ปีที่แล้ว +1

    개인적으로 우리나라는 정말 앞으로 10년 20년을 바라본다면 더욱더 배워야할듯,왜 대체 의대에 목숨을 거는건지???막말로 의대들어가서 나라발전에 도움되는게 현실적으로 공대보다 뭐가 있지???이해가 안되네요,물론 사람질병고치는거 중요한데 그것도 한두번이지 현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과거부터 현시점의 발전을 일으킨것은 의학이 아니라 바로 제조업입니다.제발 좀 정신차리면 좋겠습니다.매번 뉴스에서 학생들이 의대갈라고 계속해서 재수하고, 최상위 의대못가거나 의대를 못가면 오히려 인생이 망한것처럼 정말 슬픈현실이네요.왜 인도뿐만아니라 주요국인 일본,미국,유럽들을 보세요,그 나라들의 대다수의 대학들이 어느학과를 밀고 있는지를 대부분이 공대입니다.당연하죠,그게 팩트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