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 - 현직 기술사들이 전하는 기술사 이야기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ก.พ. 2020
  • 기술사들의 저녁식사 EP.01 - 현직 기술사들이 전하는 기술사 이야기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
    홈페이지 : www.eeta.co.kr/
    카페 : cafe.naver.com/eeta777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사공부방법 #기술사공부전략 #기술사합격 #전기기술사 #기술사연봉 #기술사취업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44

  • @user-et4xb3yn6d
    @user-et4xb3yn6d 4 ปีที่แล้ว +3

    준비하시는분들에게 좋은 영상 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ik4sg6pb6m
    @user-ik4sg6pb6m 4 ปีที่แล้ว +5

    현업에 계신 분들의 말씀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던 거 같습니다.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자주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도움이 되실 수 있는 이야기들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user-du8qg9mz8m
    @user-du8qg9mz8m 4 ปีที่แล้ว +12

    현직 기술사님들을 살면서 뵙기가 정말 어려운데 식사자리에서 이렇게 담소를 나누는듯한 분위기로 만나뵙게 되어 너무 좋습니다. 저는 소방기술사를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제 목표에 힘을 더해주는 영상이었습니다. 감사드려요 ^^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열심히 준비하셔 소방기술사 시험에 꼭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 @user-rh6zy7ix7z
    @user-rh6zy7ix7z 3 ปีที่แล้ว +3

    교수님 멋있습니다!!!

  • @user-cs2is6hn2w
    @user-cs2is6hn2w 4 ปีที่แล้ว +27

    전기경력이 13년인데 단한번도 주변에서 만나본적이없어 물어볼기회가없는데 이렇게 소중한영상으로 기술사이야기를들을수있어서 좋았습니다 자주자주 올려주세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

      주변의 지인 분들과 함께 올바르고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인터뷰 영상 잘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bx1id1br6n
    @user-bx1id1br6n 4 ปีที่แล้ว +19

    기술사를 준비하는 사람중 한명으로써 이번 인터뷰 영상은 도움되었습니다. 기술사 취득후에 달라지는 삶? 기회? 인간관계? 생각의 변화? 등등의 주제들은 기술사 준비하는 분들에게 큰 동기부여가 될것 같습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4

      대학의 교수님과 기술분들을 모시고 마련한 자리라서 인터뷰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었으나, 또 도움이 되신다고 하시니 인터뷰 영상을 올리길 잘 했다는 생각이듭니다. 좋은 글 올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gx9cz8qt6v
    @user-gx9cz8qt6v 4 ปีที่แล้ว +3

    멘탈 흔들릴때마다 두고두고 보겠습니다 ㅎㅎ 화이팅!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1년에 서너번은 인터뷰 영상을 제작해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해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user-sv7or8wq4p
    @user-sv7or8wq4p 4 ปีที่แล้ว +11

    이제 전기기사 중급 단 병아리입니다. 응시자격 충족하자마자 기술사 시험 달려들고 싶어서 조금씩 공부중인데 기술사님들 영상 보닌까 공부의지가 더욱 올라가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yp5kk9vs7i
    @user-yp5kk9vs7i 3 ปีที่แล้ว +18

    인간관계로 인하여 급여 인상은 풀어서 야기 하자면 즉 영업 이란 뜻 인 것 같습니다.
    영업을 못하면 역시 급여 인상은 힘든가 보군요

  • @user-ub4eh3qd4v
    @user-ub4eh3qd4v 4 ปีที่แล้ว +3

    저는현제 건설안전기사 준비중에 있습니다 나중에 응시자격이 갖춰지면 건설안전기술사도 준비하려 합니다 그렇다면 같은 안전과목 이기때문에 같이 공부하는게 유리한가요 아님 기사부터 준비하고 다음에 기술사 공부를 하는것이 좋나요?

  • @nimble9985
    @nimble998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다녔던 학교 교수님이시네요. 전기에 대해 재미있게 가르쳐 주시더라고요 ㅋㅋ

  • @zorazzangna
    @zorazzangna 4 ปีที่แล้ว

    정말로 궁금하던거 였습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

      좋은 댓글로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좋은 자리 만들고, 많은 분들에게 불편하지 않으면서도, 도움될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 @zorazzangna
    @zorazzangna 4 ปีที่แล้ว +7

    이런거 너무 좋아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2

      처음 인터뷰라 부족한 것이 많이 있습니다. 인터뷰에 참여해 주신 기술사님들, 교수님들께서 예상했던 것보다 열심히 말씀을 해 주셨는데, 오히려 이 분들께 누가 되지 않을까라는 걱정이 있었는데요..응원을 해 주시니 힘이 나네요~~

  • @alswns2464
    @alswns2464 3 ปีที่แล้ว +7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제가 중견기업 제약회사 공무직에 1년째 근무하고 있는데 하는일이 딱히 전기적으로 배우는 일이 없습니다. 거의 잡일 투성이고 대부분 외주를 주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계속 근무해도 전기에 대하여 배울 수 있는 것이 많진 않은 것 같습니다.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지금은 이직공부를 하고 있지만 나이가 차서 이직을 하지못했을 경우 곧바로 기술사를 공부할 예정입니다. 그런데 기술사 필기합격 후 면접에서 제 경력사항을 물어볼 때,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 경력으론 전기적인 기술이 없을 것 같아 이러한 부분이 면접에서 영향을 미칠까 걱정입니다. 경력과 제가 한 일들이 기술사 면접에 영향을 크게 미칠까요? 듣기론 전기적으로 일을 많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어야 필기합격하더라도 면접에서 붙는다하더라구요 예를들어 한전이나 발전소, 전기안전공사 등 이런 곳에서 근무하면 경력사항은 문제 없다고하던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3 ปีที่แล้ว +1

      기술사는 실무중심의 전문자격이기 때문에 경력이 많고 화려하신 분이 유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경력이 부족하다고해서 불합격하는 것은 아니고요, 필기시험에 합격하신 후에 7번정도의 면접시험에 응시하실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겁니다. 경력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열심히 준비하시면 충분히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 @jukerpa9321
      @jukerpa9321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어떤기술사간에 필기만합격하면 면접은 7번기회가 주어지는건가요? 저는 필기붙고 면접떨어지면 내년에 다시 필기보는줄 알았어서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ปีที่แล้ว +1

      @@jukerpa9321 면접 응시 자격은 필기시험 합격 후 2년간 주어집니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년 3회 시험이 치러지기 때문에 최대 7번까지 응시할 수 있으며, 필기시험 일정에 따라서 6번으로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2010년 이전에는 년 2회 시험이 시행되었기 때문에 면접응시 기회가 4회에서 최대 5회까지 주었졌으며, 필기시험 시행 횟수에 따라서 면접 응시 기회도 변동하게 됩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ปีที่แล้ว

      @@jukerpa9321 기술사 필기시험 합격 후 면접 응시자격은 필기합격일자를 기준으로 2년간 주어집니다. 기술사 종목에 따라서 1년에 3번 시행되는 시험도 있고, 2년에 한번 시행되는 시험도 있기 때문에 실시되는 시험일정과 면접일정에 따라서 최대 7번, 최소 1번에서 2번 정도의 면접응시기회가 주어집니다.

  • @user-yh4rr9xx7f
    @user-yh4rr9xx7f 4 ปีที่แล้ว +3

    교수님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근데 궁금점으로 건축전기설비기술사가 되기전에 전기경력을 쌓기 위해선 어떤 일을 하는게 좋을까요? 면접에서 아무래도 건축전기에 대해 어떤 업무를 하였는지 물어볼 것인데 예를 들어 공기업 전기직을 일하거나 ○○전기 전기팀 생산직 등 이런 업무를 하더라도 상관없는지 괜찮은건지 궁금합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3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면접에서 유리한 경력은 아무래도 발주처의 감독, 엔지니어링의 설계, 감리 업무가 유리한 것이 사실이지만, 전기 공무직, 유지관리 업무, 현장 시공 경력을 갖고 있다고 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필기시험 합격 후에 면접준비는 따로 해야하고요, 면접시험은 필기와는 다르게 직접 면접관을 마주하고 보는 시험이고 필기시험 합격자 중에서 50%정도만이 최종 합격의 관문을 통과하기 때문에 상당히 까다롭게 진행이 됩니다. 현재 1차 필기시험을 준비중이시라면 면접에 대한 걱정은 뒤로 미뤄 두시고,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차 시험에 합격을 하면 99.99%가 2차 면접에서 합격을 합니다. 지난 20년 동안 주변에 수많은 수험생과 합격자들을 봐왔지만, 건축전기와 발송배전에서 면접에 모두 다 떨어진 사람은 한번도 보지 못했습니다.또, 지난 10년간 30여명의 기술사 합격자를 배출하면서 경력이 화려하신 분, 전기분야의 경력이 거의 없는 분들도 있었지만 모두 다 최종 면접의 관문을 통과해서 기술사가 됐습니다. 정리해서 말씀을 드리면,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시험을 위해서는 어떤 분야의 경력이든 모두 다 유효하고요, 전기분야에만 종사하시면 됩니다.

    • @user-yh4rr9xx7f
      @user-yh4rr9xx7f 4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답글 감사드립니다. 이타아카데미를 통해 꿈을 이뤄보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 @Mongkunee
      @Mongkunee 2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감사합니다.... 면접준비중인데 많은 위로가 됩니다 ㅠㅜ

    • @eyway5943
      @eyway5943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답글에 희망을 가지고 공부 열심히 하겠습니다

    • @NYS-di4eb
      @NYS-di4eb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조금이해안가는부분이있는데
      필기합격자중에 50프로만 최종합격되는 까다롭게진행한다하셨는데
      뒤에는 1차 합격하면99.99프로 2차 면접시험에 합격한다는말씀이 무슨뜻인지 20년동안 면접에서
      떨어지는걸한번도 본적이없다시는게 이해가잘가지않아서 답글 남겨봅니다ㅠ 답변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 @user-io8gf2si8u
    @user-io8gf2si8u 4 ปีที่แล้ว

    저도 조만간 저 자리에서 인터뷰하겠습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좋은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날을 기다리겠습니다~~^^

  • @user-be6nx6eg8y
    @user-be6nx6eg8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다른 분야의 기술사분들이지만
    담소하면서 정보교류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저도 직장생활하면서
    1년안에 기술사 취득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seunghyunyum7623
    @seunghyunyum7623 4 ปีที่แล้ว

    멋잇다..

  • @user-en6gz6iz4v
    @user-en6gz6iz4v 3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전기분야 기술사들이 하는 일에서 영어와 일어 통번역 실무 경험이 있으면 좋은 점이 있나요?
    외국어를 잘 했을 때의 일반적인 장점 말고 기술사 업무와 관련해서 시너지효과가 난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의 무언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3 ปีที่แล้ว

      영어와 일본어를 잘 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우와 연봉도 훨씬 좋아지게 될 겁니다. 기술사라는 자격 하나만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은 많지 않습니다. 실력, 수치상의 경력, 어학능력, 영업 능력, 사업 운영능력 등 많은 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자신의 가치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고요, 기술사를 합격하는 것 자체가 힘들고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기술사로서 자신의 영역을 일구어 나가는 것 또한 그만큼의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기술사가 된 이후에도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해야 합니다.

    • @user-en6gz6iz4v
      @user-en6gz6iz4v 3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그렇군요.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하나 해나가야겠네요. 상세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j8djdkdma1o
      @user-nj8djdkdma1o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일본어도 도움이 되나요? 일본 사업영역 개척에 좋을까욧?

  • @user-lh5ed6qg2t
    @user-lh5ed6qg2t 2 ปีที่แล้ว +2

    영상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 어떤 것이 좋다고는 말할수 없으시겠지만 많이 필요로 하는것은 어떤것일까요?
    기술사 생각도 안하고 있다가 제가 현시점에서 업그레이드 시킬수있는거는 기술사 따는것밖에 없다고 생각해서 늦었지만 도전을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하고있는 일은 전기기사 취득후 전기안전관리대행업무를 하고있습니다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2 ปีที่แล้ว

      건축전기설비기술사나 발송배전기술사는 경력에 따라서 대우가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 민간 사업의 경우 플랜트, 변전, 배전, 아파트, 오피스 등 모든 분야에서 동일하게 책임엔지니어로서 참여할 수 있기때문에 아무런 차이가 없습니다.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기술사 참여 종목에 제한을 두게 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쓰임이 달라지게 됩니다. 현재 올려주신 경력으로는 어떤 종목을 취득하시던지 별 차이가 없을 겁니다. 자격 취득 후에 쌓는 경력이 중요하실 것 같고요, 어떤 자격이 더 좋은가를 따지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을 듯 합니다. 본인의 적성에 맞는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고요, 기술사는 상당히 긴 시간동안 공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합격할 수 있는 종목에 도전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 @user-oo9gz8hx7r
    @user-oo9gz8hx7r 3 ปีที่แล้ว +1

    제가 이런 분들한테 끼어도 됄진 모르겠지만 이제 고3이라 이번의무검정으로 밀링기능사를 땁니다(원래 한 3~5개는 따려고 했지만 코로나 때문에 실습을 거의 못했네요 ㅠㅠ) 그리고 방산체가서 경력 쌓아서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따고 기계가공기능장 패스해서 먼 미래지만 바로 기계기술사 따려고 하는데 어떤가요...??괜찮다면 기계기술사는 선호하는편이지도 궁금합니다!

    • @user-ec2io8eo7g
      @user-ec2io8eo7g 2 ปีที่แล้ว

      나이가 젊은게 갑입니다.

  • @goodgood5497
    @goodgood5497 4 ปีที่แล้ว +2

    가스업계 현장직 재직중입니다. 초대졸(전문대) 졸업하였고 , 취득한 자격증은 가스기사 , 에너지기사 , 위험물산업기사 , 산업안전산업기사 , 가스기능장(필기합이고 실기 진행중)입니다. 기능장 준비하면서 화공안전기술사를 같이 병행중에 있습니다. 대부분에 기술사 취득한 선배님들이 제가 아는선에서는 4년제 , 석박사시던데 초대졸(전문대)신분도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혹시나 학력에 대한 차별이나 시선이 좋지 않은지도 궁금합니다.
    더불어 전공이 반도체설비쪽이고 , 현 업무는 가스회사인데 기술사분들중 전공이 다르신분도 있으신지 알고 싶습니다.
    요즘 공부는 진행중이지만 4년제 편입을 할지 말지 고민이 되고 있어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

      자격증을 굉장히 많이 가지고 계시네요..^^ 우선 어려운 기능장 시험에 합격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최근에 기술사 면접, 비전공일 경우, 학력과 경력 등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학력과 경력, 어떤 회사를 다니는지 이러한 개인 사항들이 기술사 합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많이 궁금해 하시는데요.. 제가 예전에 시험을 볼때는 이러한 사항이 평가에 영향을 미쳤던 것이 사실입니다. 기술사 시험은 3가지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차가 필기시험 (가장 어렵죠..이 시험을 통과하면 99.99% 합격을 합니다), 그 다음이 경력심사 (기술사 응시 자격 심사, 경력기술을 함께 하기 때문에 채점위원들이 참고로 봅니다), 마지막이 면접시험이죠.. 예전, 14~15년전 즈음에는 경력기술서에 학력 (출신대학, 최종학력 기재), 경력(회사명 기재할 수 있음, 프로젝트명 기재 가능)의 세부사항을 모두 기술하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이때는 학력, 경력이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개인 신상에 대한 모든 내용을 공개할 수가 없고, 또 경력기술서에 자신의 신분, 학력을 나타내는 표현을 최대한 못하도록 막고 있기 때문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저하고 같이 공부해서 같이 기술사를 취득하신 분이 그당시 학력이 고졸이셨는데요, 14년전에 이미 2가지의 기술사(대우가 가장 좋은 종목 2가지)를 취득하셨고, 지금은 아마도 4~5개 이상 기술사를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싶은데요...2종목 기술사 취득하시고, 대학원들어 가셔서 석사학위까지 받으셨는데요, 질문자님께서 기술사가 목표시라면 학력에 대한 불이익은 전혀 없으니 걱정하지 마시고 공부에 전념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hakyeonkim7795
    @hakyeonkim7795 4 ปีที่แล้ว +5

    저는 현재 전기공학 전공하고 전기기사 취득후 플랜트.자동화쪽으로 취업을준비하고 있습니다.나중에 건물관리쪽으로 가고싶어서 건축전기를 도전해볼까고민중입니다,건축전기기술사를 취득하는것과 관련 기사를 몇개 더 취득하는것과 차이가 있을까요? 그리고 건물관리쪽으로 전기나 소방쪽으로 갈려면 플랜트쪽으로 가는게 맞는지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

      건축전기설비기술사와 기사자격의 수를 따지는 것은 비교대상이 아니라고 봅니다. 기사자격이 아무리 많아도 기술사 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공공사업에는 활용할 수가 없고, 엔지니어링의 면허를 내기 위해서는 해당분야의 기술사 자격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기사자격을 가진 사람들이 아무리 많이 근무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기술사의 업역과 기사의 업역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비교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기사 자격 소지자 분들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니 오해가 없으셨으면 하고요..), 건물관리와 플랜트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플랜트도 건축물로 되어 있는데, 어떤 의미로 질문을 하신 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않네요.. 일반적으로 건물관리라도 하면 오피스, 아파트, 백화점, 상가 등을 의미하는것이기에 이런 측면에서 답변을 드리자면, 업무의 난이도로 봤을 때에는 플랜트가 훨씬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요구합니다. 아마도 플랜트의 엔지니어가 건물관리에 근무하시는 엔지니어보다는 높은 급여를 받고, 업무강도도 높을 겁니다. 플랜트 분야에서 전기, 소방의 업무를 보시게 되면 건물관리 분야로 이직은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어느쪽이든지 본인의 적성에 맞는 곳으로 취업을 하시고요, 근무하시면서 다시 진로에 대해서 생각해보시고 준비하신 수 실행을 하시면 될 듯 하네요..

  • @beautifullifebusan3419
    @beautifullifebusan3419 ปีที่แล้ว

    기술사님 질문이 있습니다
    전 서성한 전기전자공학을 졸업하고 가스공사에 재직중입니나.
    현재 기술사 취득에 관심이 있는데 건축전기 설비 기술사와 소방기술사 취득을 고민중인데 아무래도 제 경력이 전기쪽이 아니다보니 건축전기설비기술사의 PQ경력이 부족해 소방기술사를 취득하는게 더 적합할지 고민입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ปีที่แล้ว

      가스공사 재직중이시라면 건축전기설비기술사 경력과는 잘 맞는다고 봅니다. 가스공사에 재직중이신 수강생분들도 많이 계시기 때문에 건축전기를 공부하셔도 괜찮다고 봅니다.

  • @ELCAMAN
    @ELCAMAN 4 ปีที่แล้ว +7

    저도 오늘 120회 기술사 1차 합격했어요 😎😎😎ㅋㅋㅋ 이 영상 기술사 공부하면사 한번씩 재미로 봤었는데.. 합격하고 보니까 더 재미있네요 ㅋㅋㅋ 기술사 공부하시는 모든분들 꼭 합격하세요~~~ 😄😄😄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2

      영상을 즐겁게 보셨다고 하시니, 감사드리고요, 또 기술사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기술사로서 만날 수 있는 날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면접까지 잘 준비하셔서 한번에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 @cksdn5606
    @cksdn5606 2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교수님 영상몇개를 보다가 궁금중이 생겼습니다. 저도 기술사에 대한 꿈과 준비를 하는 마음으로서 대학교(폴리텍)의 교수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중 하나의 기술사자격증 만으로도 교수가 될수있는 자격이 되는건가요? 어떤 요건들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2 ปีที่แล้ว +1

      한국폴리텍대학의 교수 임용시 여러가지 능력평가를 하게되는데 기술사는 필수 요건은 아니기 때문에 임용시 약간의 가점은 있을 겁니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폴리텍대학 임용 공고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고요, 임용때마다 평가기준이 바뀌기 때문에 기술사에 대한 가점이 얼마나 되는지 항상 확인을 해야 합니다. 현재 학령인구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이에 대한 준비를 10여년전부터 해 오고 있고, 교수임용계획도 이미 수립되어 있을 겁니다. 따라서 향후 임용 인원이 많지가 않은 것으로 알고 있고요, 경쟁 또한 치열할 겁니다. 아마도 기술사 자격만으로는 교수임용은 힘들겁니다. 사회경력, 학위, 강의능력, 대학운영능력, 비젼 등 다양한 능력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교수라는 교육자의 길은 기술사의 엔지니어의 길과는 다르다고 봅니다. 본인의 목표와 성향, 능력에 맞는 길을 지혜롭게 선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user-hd1mp1oy2i
      @user-hd1mp1oy2i ปีที่แล้ว

      기술사자격증은 면허증성격자격증이지..
      공학 학자같은 교수같은 성격은 아님...
      설카포 대학원나와도 교수힘듬..요즘

  • @noname-js5uj
    @noname-js5uj ปีที่แล้ว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응시자격 갖출려면 어느 분야로 취업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전기기사 보유 중)

  • @whalerider2843
    @whalerider2843 4 ปีที่แล้ว +1

    비전공자에 전기쪽 업무경력도 없는데 몇년 전 운좋게 발송배전기술사에 합격했습니다. 저 같은 케이스도 기술사 자격증을 이용하여 활동할 수 있을까요?
    아직까지 그전 직장에 다니고 있고, 전기와 무관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4

      발송배전기술사 시험에 합격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기술사 자격을 가지고 계시다고 하면 얼마든지 하실 수 있는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자격을 살려서 전기분야 엔지니어링 관련 일들을 하셔도 되고, 그외에 심의, 자격시험 출제 및 면접위원, 국가공무원 또는 공공기관 임용 출제위원, 국가 또는 공공기관 관련 사업 참여 및 기술자문, 콘텐츠 제작, 대학 및 교육훈련 기관 강의 등 조금만 움직이시면 아마 몸이 하나 밖에 없어서 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일들을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다만, 본인의 역량에 따라서 얼마나 부가가치가 높은 일들을 할 수 있는가가 정해지고, 또 부가가치가 높은 일들을 하기 위해서는 본인 스스로도 많은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 @whalerider2843
      @whalerider2843 4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사실 실무경력이 없어서 다른 기술사를 추가로 취득한 후에 현재 직장을 그만두고 기술사 자격증을 활용할까도 고민중인데 괜찮은 생각인지 모르겠네요
      만일 괜찮다면 어떤종목이 좋을까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whalerider2843 기술사를 하나 더 취득한 후에 이직을 계획중이시라고 한다면, 전기기술사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소방기술사가 좋지 않을까 싶고요..두 종목을 보유하고 있으시면, 기본적인 연봉은 억단위로 시작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니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들어 보시고, 또 건설경기에 따라서 근무여건, 연봉, 이직 가능 여부에 변화가 있으니 급하게 결정하시지 마시고 한 두군데 이력서를 제출해서 연습삼아서 연봉협상도 해보셔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whalerider2843
      @whalerider2843 4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친절한 답변 매우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user-cn8vz5dq8h
    @user-cn8vz5dq8h 4 ปีที่แล้ว +3

    너무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기술사님
    저는 지금 공업직(기계)공무원으로 일을 하고있습니다. 기계보다 전기를 공부하고싶어 전기기사를 딴 후 산업대학원(전기공학과)에 가려고 합니다. 제가 알기론 발송배전기술사는 전기쪽 경력이 없으면 깡통 자격증이라고 알고있는데 건축전기설비기술사도 전기쪽 경력이 없으면 무의미한 자격증인가요?? 인,허가 업무라 전기쪽 경력이 없습니다 ㅠ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2

      발송배전기술사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곳은 한전보다는 플랜트 분야로 한전의 경력과는 무관하다보 봅니다. 오히려 한전의 설계, 감리 엔지니어링은 자체 또는 한국전력기술이라는 자회사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부 엔지니어링 업체의 참여 비율이 높지가 않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는 전기분야에서 가장 오래된 정통성 있는 최고의 자격으로 한전이라는 하나의 회사를 위한 자격이 아니니, 걱정하지 마시고 열심히 공부하셔서 기술사 자격을 취득하셨으면 합니다. 기술사 자격이라는 것이 원래 해당 경력이 있어야 볼 수 있는 시험이지만, 해당 경력이라는 것이 유사 경력도 포함이 되기 때문에 시험에 응시하는데 기본적인 요건만 갖출 수 있다면 무조건 기술사 자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 유리합니다.기술사 자격 취득 시에 경력이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경력이 많으면 많은 대로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또 경력이 없다고 해도 발송배전기술사나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기본적으로 대기업의 차부장 이상의 대우는 받을 수 있을 겁니다. 경력이 없는 상태에서 기술사를 취득 후에 설계사무소나 엔지니어링 회사에서 근무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경력이 쌓이고 경력점수가 만점이 되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 @user-tx9iu6jb6c
      @user-tx9iu6jb6c 2 ปีที่แล้ว

      @bugatti 소방기술사요. 카테고리는 '안전'이긴한데, 기계설비관련공부가 워낙 많아서( 수조, 펌프, 배관, 헤드, 송수구 등 )거진 기계쪽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 @user-tx9iu6jb6c
      @user-tx9iu6jb6c 2 ปีที่แล้ว

      @bugatti 설계나 감리같은 프로젝트에서 필수요구하는걸좋다고 보는 쪽이라서요. 공조냉동이나 건축설비 이런건 필수가 아니라 우대사항으로 알고있는데 이왕할거 좋은거하세요 기계관련으로는 소방이 최고입니다 소방시설관리사도 좋구요

    • @user-hi2pt6mj1h
      @user-hi2pt6mj1h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음.. 저도 현직 공무원인데 이런 답변 감사합니다. 솔직히 공무원으로 끝내기엔 아쉽죠.

  • @kideukkideuk2898
    @kideukkideuk2898 3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 드립니다. 한가지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제가 현재 플랜트 회사 8년째 재직 중인데 그 중 전기와 관련된 경력은, 설비자동제어 시공 약 4.5년입니다. 이런 경력으로 발전배송기술사 지원이 가능할까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3 ปีที่แล้ว

      자동제어도 전기분야 또는 유사경력에 해당되기 떄문에 80~100% 경력을 인정받으실 수 있을 것 같고요, 한국산업인력공단 - Q넷에 접속하시면 "응시자격가가진단" 카테고리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 @zorazzangna
    @zorazzangna 4 ปีที่แล้ว +4

    발송배전기술사 브이로그 보고 싶어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

      인터뷰 자리에 발송배전기술사도 2분이 계시고, 발송배전에 대한 이야기도 해 주셨는데요...발송배전에 대한 브이로그도 준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df4sx2ll9t
    @user-df4sx2ll9t 4 ปีที่แล้ว +5

    꿀 같은 영상이네요
    제가 지금 공기업 전기직에 재직 중인데
    좀 더 높은 곳을 보고 싶습니다
    전기현장에서 감리 업무를 하고 싶은데
    어느 기술사 자격증이 좋을지 추천 해주실수 있나요?
    현재 나이는 26살입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5

      전기분야의 설계와 감리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할 수 있는 자격종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엔지니어링사 또는 설계, 감리 회사에서는 건축전기설비기술사와 발송배전기술사를 많이 찾을 겁니다. Q-넷 -- 자료실 --> 기출문제(기술사)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 과년도문제 3년치 정도를 다운받아 보시면, 기술사 문제 유형을 어느정도 파악하실 수 있을 겁니다. 문제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면 실력이 상당히 높은 편이기는 하지만, 아직 그정도의 수준까지는 아니시더라도 문제 유형을 보시고 자신과 맞는 종목이 무엇인지 찾는 것이 첫번째 단계이고요, 종목 선택은 몇일 생각한다고 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떄문에, 앞으로 시험자격까지는 몇년이 남은 상태라고 보여지는데요, 시간을 두고 분석해 보시고, 주변에 기술사를 공부하시는 분들이나 기술사 분들을 만나실 수 있다면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 @user-df4sx2ll9t
      @user-df4sx2ll9t 4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답변 감사합니다

  • @user-pe7ty2pt2b
    @user-pe7ty2pt2b 4 ปีที่แล้ว +8

    학력이 고졸인데 아는 기술사분은 대졸은 되어야 기술사활동범위가 넓어질수있다고하더라구요 학력이 중요한가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7

      기술사를 취득하는 과정에서는 학력은 전혀 중요하지 않습니다. 기술사 취득 후에는 학위가 있으시다면 활동하는데에는 그만큼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기술사 취득후에 야간 대학, 산업대학, 산업대학원, 일반대학원 등에 진학을 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고요, 기술사를 합격한 후에도 기술적인 부분이나 학력을 높이기 위해서 10~20년동안은 더 공부를 해야 합니다. 노력해서 얻은 결과만큼 더 많은 기회를 부여받게 됩니다. 기술사 자격은 완성이 아니라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본기를 갖추고 있다고 인정해주는 자격증일 뿐입니다. 즉, 완벽한 상태에서 기술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로 성장해 가는 중간과정에서 취득하는 자격증이고,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 진정한 실력자로 성장하기 위해서 학력도 높여야하고 기술력도 쌓아야 합니다. 고졸이라고 해도 기술사를 취득하는 데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고졸로서 단기간에 기술사를 여러종목 합격하신 분들도 계십니다.

    • @ulkunni
      @ulkunni 3 ปีที่แล้ว +1

      고졸이라면 공부랑 담 쌓았다고 보여지는데 공부도 해본 사람이 하는 겁니다.

    • @resoution
      @resoution 3 ปีที่แล้ว +12

      @@ulkunni 당신같은 사람은 뭘 해도 안되는겁니다. 패배자같은 마인드는 당장 버리세요

    • @user-fc8if7wi1i
      @user-fc8if7wi1i 3 ปีที่แล้ว

      @@ulkunni 명문대 자퇴한건 고졸 아닙니까?

    • @ulkunni
      @ulkunni 3 ปีที่แล้ว

      @@user-fc8if7wi1i 그 자퇴가 본인 이력에 도움이 된다면 ○○대학교 중퇴라고 이력서에 쓰겠지. 스티브 잡스를 고졸이라고 하지 않듯.

  • @k_jk7476
    @k_jk7476 2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기술사님
    저는 30중반 나이에 발전회사 기계팀 근무중입니다. 내년쯤 기술사 응시자격이 생겨서 요즘 기술사 시험에 관심을 갖고있습니다.
    전기, 건축, 소방 분야가 아니라 비인기 기계종목이라 어떤 기술사를 취득해야 저에게 도움이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회사에서 인정해주는(진급, 연봉상승) 기술사는
    건설기계기술사
    기계공정설계기술사
    기계제작기술사
    산업기계설비기술사
    기계기술사
    이렇게 5종류입니다. 이중에서 선택해 공부하고싶은데, 어차피 시작할거면 나에게 도움되고, 여러모로 쓸수있고, 이직, 활용성 등 생각할게 많더라구요..건설기계기술사는 인기가 좋은듯한데, 왜 인기가 좋은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기술사님께서 1~2가지만 추천해주신다면 공부 방향이 한결 수월해질듯힙니다. 또한 추천해주신 이유도 함께 알고싶습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2 ปีที่แล้ว

      기계분야는 잘 아는 분야가 아니라서 만족할만한 답변을 드릴 수는 없을 겁니다. 다만, 예전 플랜트엔지니어링 사업부에서의 근무 경험상으로 보면 발전, 플랜트 분야에서는 발송배전기술사, 산업기계설비기술사, 토질 및 기초 또는 토목구조기술사, 건축사는 모든 사업에 함께 참여했던 것으로 봐서는 해당 기술사가 활동범위가 가장 넓지 않을까 싶고요, 기계분야의 전문가는 아니니, 다른 분들께 조언을 구하시는 것이 보다 확실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참고만 하세요.

  • @user-ik3qv9cf3k
    @user-ik3qv9cf3k 4 ปีที่แล้ว +13

    기술사... ㄷㄷ... 거의 박사학위랑 동급이라고 들었는데, 학문계에 박사가 있다면 각 분야 전문기술계에는 기술사분들이 최고 경력자 '장인'분들이시겠죠? 어느 분야나 최고 정점에 오르신 분들은 정말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8

      기술사, 별거 없고요, 기술사라고 해서 모든 것을 다 아는 것은 아닙니다. 하루에 2시간 정도만 꾸준하게 공부하시면 누구나 기술사가 될 수 있습니다.

    • @hungryman3720
      @hungryman3720 4 ปีที่แล้ว +4

      기술사는 일단 도전하지만 박사는 석사 졸업하면 알아서 접게 됩니다.ㅋㅋ 뭐 요즘은 석박통합과정이 대세긴 하지만 약간 농담도 섞여있어용 ㅎㅎ

    • @uuiko10
      @uuiko10 2 ปีที่แล้ว +4

      @@user-yc3kr6vu1e 와... 별거 없다..2시간씩만 하면된다... 정말 이게... 정말 경험담을 말씀하신 사실 맞나요?

    • @limon7124
      @limon7124 2 ปีที่แล้ว +2

      @@hungryman3720 박사도 사실 수료는 할순있지만 졸업이힘들죠

    • @user-hd1mp1oy2i
      @user-hd1mp1oy2i ปีที่แล้ว +2

      박사과정이 훨씬 어렵다고 봄...증명 도출과정임
      기술사
      시험자체가 창의적인 과정이 아님..
      기술사도 기술사나름임..
      감리는 기술사불필요함..

  • @user-yi7ql4lu4l
    @user-yi7ql4lu4l ปีที่แล้ว

    비전공 40대 중반 여성입니다 올해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하였고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자격증을 준비하고 싶은데 인강으로 취득해도 가능한지? 주위에선 학원 다녀야한다는 말을 많이 해주는데 사실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몰라 글 남깁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ปีที่แล้ว

      올려주신 글만을 봐서는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답변은 할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EETA 홈페이지 질문과 답변(비공개) 또는 전화주시면 이야기를 들어보고 질문자님께 맞는 방법에 대해서 상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user-nj8djdkdma1o
      @user-nj8djdkdma1o ปีที่แล้ว

      걍 포기

  • @user-ey7qp8hx2z
    @user-ey7qp8hx2z 4 ปีที่แล้ว

    캬 꿈의 기술사

  • @nchoo5964
    @nchoo5964 3 ปีที่แล้ว +2

    기술사님, 발송배전기술사는 한전출신 아니면 사실상 메리트가 없다고 들었는데 맞나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3 ปีที่แล้ว +3

      발송배전기술사는 한전을 위한 전문기술자격은 아니며, 1977년도에 전기기술사의 발송배전분야, 전기기기분야, 전기응용분야로 시작을 해서 현재 전기기분야는 없어지고, 발송배전기술사와 전기응용기술사가 남아있게 된 것입니다. 실제 전기분야에서 가장 전통성을 지니고 있는 전문자격으로 한전관련의 엔지니어링은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전기분야 전체 플랜트, 건축, 도시기반, 발전, 송전, 변젼, 배전, 에너지 등 한전관련의 업무보다 한전과 관련없는 사업이 몇 배 더 많기 때문에 비 한전출신이라고 해서 메리트가 없다는 것은 근거 없는 이야기이고요, 발송배전기술사는 한전 출신분들이 많지가 않고, 비한전 출신분들이 몇배나 더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전 출신의 경우에는 송전, 배전 등의 감리분야에서는 경력을 모두 인정을 받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서는 기술사를 가지고 있으면 엔지니어링 업계에서 최고 대우를 받고 있으나, 그 외의 분야의 경력이 없을 경우에는 오히려 비 한전출신에 비해서 좋은 대우를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nchoo5964
      @nchoo5964 3 ปีที่แล้ว

      @@user-yc3kr6vu1e 자세한 답변 매우감사합니다

    • @user-hd1mp1oy2i
      @user-hd1mp1oy2i ปีที่แล้ว

      분야자체가 한전출신 특급이 기득권되어있어서 그러는거에요...

  • @user-zd9bv3dk8j
    @user-zd9bv3dk8j ปีที่แล้ว

    pq점수 계산할때요.
    제가 한전kps라고 한전자회사에서 발전설비유지보수를 하고있는데, 이것도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ปีที่แล้ว

      전기기술인협회 경력 등록 시에 어떻게 기재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는 있으나, 유지관리의 업무이기 때문에 설계, 감리 경력으로는 인정받기가 어렵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발전설비의 경력을 인정받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국내 발전소 설계의 용역이 많지가 않기 때문에 발전소 설계, 감리 경력의 PQ 점수가 엔지니어링 활동을 하는데는 크게 의미는 없다고 봅니다. PQ 점수가 없어도 일반 발전소, 변전소, 플랜트, 전기설비 인프라, 건설사업 분야에는 모두 참여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발전소 설계, 감리 PQ 점수 획득과 관계없이 기술사를 취득하것이 무조건 유리할 겁니다.

  • @user-cu1zj3qv7m
    @user-cu1zj3qv7m 4 ปีที่แล้ว

    인맥이 회사다니면서 쌓는, 관련 직종이나 업무에서의 그런 인맥 말씀하시는거죠?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1

      저도 사람을 많이 만나는 편이 아니고, 인맥이 넓지가 않기 때문에 뭐라고 답변을 드려야 할 지 망설여지는데요,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사람의 인연이라는 것이 회사나 학교, 또 기술사 공부를 하면서, 동네에서 맥주 한잔하면서 만날 수도 있는 것인데요, 많은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작은 것이라도 나를 도와줄 수 있는 분들이 주변에 많다면 최고의 인맥을 갖게 되는 것이 아닐까 싶고요.... 이런 인맥은 스스로가 주변 분들을 열심히 도와 주고 있기 때문에 만들어 지는 것이라고 봅니다. 저도 노력 중에는 있으나, 말처럼 싶지가 않으니.... 제가 드린 말씀에 오해가 없으셨으면 합니다......그저 자신의 위치에서 작은 일이라도 선한 영향력을 미치려고 노력하다 보면, 어느샌가 좋은 인맥이 만들어져 있지 않을까요? 제가 질문하는 걸로 마무리가 되네요,,^^ 죄송합니다. 아직까지 이 질문에 답변드릴 수 있는 경지에는 이르지 못한 것 같습니다.

    • @user-cu1zj3qv7m
      @user-cu1zj3qv7m 4 ปีที่แล้ว

      네 무슨 말씀이신지 이해가 되었습니다~ 자세하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uytnh
    @uuytnh ปีที่แล้ว

    솔직히 법적으로 기술사의 효력이 있는 건 오로지 설계만 있지 않나요?
    감리에서 기사도 경력으로 특급 갈수 있는걸로 알아서.. 기술사랑 차이가 없구요 . 그 외 분야는 말할 것도 없고요 ..
    솔직히 설계 경력이 없다면 기술사 가치가 거의 없다고 생각됩니다. 제 생각이 틀렸나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ปีที่แล้ว +2

      어디를 바라보느냐의 차이라고 봅니다. 가치를 정하는 것은 오로지 본인의 몫이며, 그에 대한 결실과 책임도 본인의 몫입니다. 기술사 시험에 합격할 정도의 노력이면 어떤 분야던지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겁니다. 도전해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도전하시고, 그렇지 않다면 가치있는 것을 찾아서 도전하시면 됩니다.

    • @user-nb2ms8sy6p
      @user-nb2ms8sy6p ปีที่แล้ว

      아직 특급 안풀렸어요

    • @uuytnh
      @uuytnh ปีที่แล้ว

      @@user-nb2ms8sy6p 무슨뜻으로 말한건지 모르겠습니다

    • @user-nb2ms8sy6p
      @user-nb2ms8sy6p ปีที่แล้ว

      @@uuytnh 예전엔 기사도 경력있으면 특급인정해줬는데 요샌 기술사만 특급달수있어요 협회에서 다시 풀어줄수도 있단 말이 나오기는 하는데 풀어줄지는 모르는 일이죠

  • @lee4609
    @lee4609 4 ปีที่แล้ว

    이타 아카데미는 발송배전기술사 분들 합격자는 없는건지 궁금하네요. 전부 건축전기라서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대비 발송배전기술사의 응시인원이 적고 발송배전기술사도 합격자가 있지만 합격자분들이 모두 이름을 올리기를 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때문에 허용된 분들만 공개하고 있습니다.

  • @sangsoolee4429
    @sangsoolee4429 4 ปีที่แล้ว +1

    그렇지 남눈치 잘 안보고 어느정도의 고소득에 안정적이라는거ㅎㅎ 이게 장점아닐까

  • @karma-no4fr
    @karma-no4fr ปีที่แล้ว

    음.......부럽다............ 일단 기능장........부터....... 내코가 석자........ㅠㅠ

  • @user-re1pe8kv2o
    @user-re1pe8kv2o 4 ปีที่แล้ว +8

    혹시 그럼 주위 사람이나 인맥이 없다면 기술사가 큰 의미가 없다는 뜻인가요?

    • @kcg0535
      @kcg0535 4 ปีที่แล้ว +3

      인맥 또한 만들어나가면 되는것 아닐까요? 취득하면 또 넓은 인맥이 생기지 않을까요? ㅎㅎ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ปีที่แล้ว +6

      지부님의 답변처럼 지금부터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시고, 주변의 가까운 사람부터 시작해서 본인이 속한 조직, 지역, 국가 등에 선한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작은 것부터 실천하시다 보면, 어느샌가 나를 도와주는 인맥이 자연스럽게 생기지 않을까요~~

    • @user-cv2oo3yo3l
      @user-cv2oo3yo3l 4 ปีที่แล้ว +1

      기술사가 되면 인맥쌓기가 좋아지지 않나 싶습니다. 관련행사나 협회를 통해 많이들 인맥쌓으시더라고요

    • @sangsoolee4429
      @sangsoolee4429 4 ปีที่แล้ว

      인맥이라면 그 수준이 된다면 시간이 해결해 주는 문제라...

    • @user-ex9id4jm2v
      @user-ex9id4jm2v 4 ปีที่แล้ว

      의사 변호사 자격증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의사분들도 개원해서 돈을 많이 버는 경우도 있고 못버는 경우도 있듯이 기술사나 각종 모든 직업군 분야들도 하기 나름이겠죠.

  • @Corean-president
    @Corean-presiden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술사공부하다 이정도 돈과 시간투자할거면 차라리 변호사.회계사시험공부하는게 낫겠다하고 관두었던 실수가 떠오른다. 😂

  • @user-ig7xx7gi2x
    @user-ig7xx7gi2x 2 ปีที่แล้ว +19

    웃프네요...저는 발송, 응용 2개 있는데 하기 나름입니다. 돈요 제후배들 고졸 설비, 목수하는데 아파트70평 살고 벤츠몰고 다녀요...기술사 된다고 돈 많이 버는거 아니구요... 걍 자기 만족이라고 생각합니다. 돈은요 학력 자격증하고 전~~~~혀 상관없답니다.

    • @user-xx1ru4cb1r
      @user-xx1ru4cb1r 2 ปีที่แล้ว +1

      그래도 발송과 응용이 있으면 노후에도 먹고 사는 문제는 충분히 해결되잖아요.
      전기 기술사 2개를 가지고 계시다니 부럽네요.

    • @user-nj8djdkdma1o
      @user-nj8djdkdma1o ปีที่แล้ว +3

      고졸 설비, 목수 힘 안쓰는데 님보다 더 잘 사는 사람도 많습니다. 나대지마시고 제발 자신을 너무 있어보일려고 하지마세요. 돈 보다 중요한 것은 사람입니다. 고졸분들이 꼭 이런 자랑을 많이 하더군요.

    • @shinssyhun
      @shinssyhun ปีที่แล้ว

      @@user-nj8djdkdma1o 똑같네요

    • @user-sj6dy8im8e
      @user-sj6dy8im8e ปีที่แล้ว +1

      ​@@user-nj8djdkdma1o 아니 누구한테 하는 소리임??

    • @user-cg6mi4gs4g
      @user-cg6mi4gs4g ปีที่แล้ว +2

      그들과 다른점은 노후에 늙어죽을때까지 불로소득이 연금처럼 들어온다는점임 괜히 공부하는게 아니죠

  • @user-zc7yr5ux6s
    @user-zc7yr5ux6s ปีที่แล้ว

    60대 중반 에 기술사 도전 가능 할까요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ปีที่แล้ว +2

      60대 중반이셔도 충분히 합격가능하십니다.
      시간적으로 여유를 가지시고 체계적으로 준비하시면 됩니다.

  • @user-rs9jq2sx4n
    @user-rs9jq2sx4n 4 ปีที่แล้ว +3

    기술사도 인간관계 안하면 살아 남기 힘드는구나 난 인간관계 하는게 귀찮다 그래서 포기한다

    • @user-dc8zs3qi8z
      @user-dc8zs3qi8z 4 ปีที่แล้ว +1

      김홍락 핑계는

    • @user-df4sx2ll9t
      @user-df4sx2ll9t 4 ปีที่แล้ว +1

      좋은 합리화입니다

    • @user-hw2fe5mz2y
      @user-hw2fe5mz2y 3 ปีที่แล้ว +4

      능력있는 기술사가 되고 무례한 태도를 고수하지만 않는다면 굳이 인간관계에 신경을 안쓰더라도 님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님에게 꾸준히 연락을 취해 올 겁니다.

  • @catchtiger205
    @catchtiger205 4 ปีที่แล้ว

    기술사 분야별로 1년에 5명 정도 나오지 않나???

  • @user-eo1qt8gd2b
    @user-eo1qt8gd2b 3 ปีที่แล้ว +5

    역시 메이저 기술사는 전문직이라서 다르네요
    ★★★★★ 메이저 기술사
    건축전기, 발송배전, 구조(건축,토목), 소방=> 도장값 있는 전문직
    ★★ 기타
    토질,수자원,토목품질,정보처리, 정보통신, 환경, 안전기, 시공, 전기안전=> 감리가능
    ★ 마이너 기술사
    기계, 품질, 재료, 금형, 철도, 항공, 차량, 제품디자인, 포장, 공장관리 외 다수.
    => 전문직 아님. 전기기사 보다 취급이 안좋음.
    => 돈낭비ㆍ시간낭비ㆍ학계 및 기업체에서도 무시하는 분위기라서 응시자도 점점 줄어드는 추세

    • @uuytnh
      @uuytnh ปีที่แล้ว

      발송배전도 도장값 있나요?

  • @jbj452
    @jbj45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29살 남자입니다. 이번에 정말 감사하게도 20대 대기업중 한 곳에 경력직으로 재취업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커리어패스는 하기의 내용과 같습니다.
    "초대졸 -> 장비업체 PLC 엔지니어 3년근무 -> 지방거점국립대 4년제 편입 -> 전선회사 제어 엔지니어 재취업."
    자격증은 20대 초반부터 관심이 많아서 현재 소지하고 있는 자격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기기사
    2. 전자산업기사
    3. 전자기기기능사
    4. AUTO CAD 2급
    최근 기술사 자격관련하여 관심이 많이 생겼는데, 한국산업인력공단에 연락을 해보니까
    2년 뒤(31살)부터 필기시험 응시자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저의 문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회사생활과 병행하여 기술사 공부를 해보고 싶은데, 저의 커리어패스와 취득한 자격증 리스트를 보았을때
    "발송배전기술사" 와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중에 어떤게 공부하기가 조금이라도 수월할까요?
    2. 발송배전기술사 또는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중에 어떤것을 취득해야 선택폭이 넓어질까요?
    3. 직장이 강원도 동해시여서 온라인으로도 수강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4. 전기안전기술사 자격증이 따로 있는것 같은데, 이 자격증이 건축전기설비기술사와 발송배전기술사 등급과 비슷한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5. 기능장까지 취득해도, 기술사처럼 선택폭이 넒어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내년이면 30살이기에 미래에 대한 고민이 많아서 장문의 글 남겨드려요..
    확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ปีที่แล้ว

      EETA 홈페이지에 같은 질문을 하셔서 답변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