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챗GPT는 이렇게 말을 배웠다 (바이브컴퍼니 윤준태 부사장)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3

  • @Rorororoyoyoyo
    @Rorororoyoyoy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와… 유튜브 영상 보면 겉핥기인데 이거 보니 이해가 가요! 감사합니다😂

  • @sunghwansong6142
    @sunghwansong6142 ปีที่แล้ว +13

    난해한 내용을 잘 풀어서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어디서도 듣기 힘든 수준높은 강의였습니다. 패널들의 이해력과 맥을 짚는 진행이 경이롭네요. 학술적인 내용을 이렇게 쉽게 설명하다니 ... 계속 곱씹어서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계속 ChatGPT가 진화하면 궁극적으로 많은 전문분야에서 신뢰도 높은 서비스로 금새 진화할것같아요. 다시 한번 삼프로TV에 감사드립니다 !!!

  • @세은오-x9p
    @세은오-x9p ปีที่แล้ว +5

    정말 귀한시간이었네요. 감사합니다

  • @kev2582
    @kev2582 ปีที่แล้ว +24

    AI업계인입니다. 설명 진짜 잘 하시네요. 똑똑한 일반인이 아리까리하지만 끄덕끄덕할 정도로...
    몇십만년 동안 축적된 언어, 몇만년 동안 축적된 단어들, 몇십년 동안 축적된 문서들, 그리고 방대한것을 연산할수 있는 기계들 참 대단합니다.
    ChatGPT가 놀라운게 이제 뭔가 범용적으로 유용한게 나온거거든요. 사실 생각해보면 살면서 하는게 대부분이 과거에 누군가가 했던걸 하는거라.
    뒤집어서 보면 아직 인간이 쉽게 할수 있는걸 못하는게 많습니다. 새로운 영역의 논리 증명 이런거. 짜집기 할수 있는 문서가 없으면 못합니다.
    언어외의 영역에서 하면서 배우지 못합니다. 설거지, 빨래 널기, MZ은어 배우기...
    하지만 못하는게 뭔지 특정이 되면 업계에선 그걸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겠지요.
    언더스탠딩에서는 일반인의 입장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하면 좋을지 심층적으로 파는거 하면 좋겠네요.
    '심층적' 이 중요합니다. 과거에 AI시대에서는 이런 직업이 유망한다 망한다 - 반은 헛소리이구요. 업계에서 최고로 똑똑한 사람들도 ChatGPT로 이런걸 할수 있구나 놀랐는데 어떻게 직업을 특정해서 논할수가 있는지 ㅎㅎㅎ 무슨말인지 아실거라 맏습니다.

    • @user-rax146
      @user-rax146 ปีที่แล้ว +2

      저도 업계 종사자 입니다. 공감합니다. 패널 분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AI 가 이제 본격적 시작이 아닌가 싶네요. 그 동안 개별 application 분야에서 논문들이 쏟아져 나왔는데 그 것들이 서비스로 통합되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습니다. 이젠 그걸 이용한 서비스들이 나오겠죠. 앱개발자들이 더 이상 개발하고 사업할게 없었는데 굶주리고 쟁취하려는 사람들이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을겁니다.
      저는 남은 논문거리있나 뒤적여봐야겠네요

    •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ปีที่แล้ว

      팔과 다리 그리고 센서를 붙인 범용 로봇을 가지고 학습하면 설거지, 빨래 널기, 청소, 요리 같은 거 금방 할 같은데요? 로봇 기술이 조금만 발전하면 요.

    • @kev2582
      @kev2582 ปีที่แล้ว

      @@johnbillon7757 아는게 일천해서 확언할수 없지만 그렇게 할수 있다면 ChatGPT보다 몇단계 위의 혁신/임팩트가 될겁니다. GPT의 약점하고 배치되는 시나리오라 GPT기반으로는 힘들거에요. 리얼타임 멀티모달에 액션 피드백까지 해야하고 온라인학습도 부분적으로 해야하는데... 특정 규격의 독립된 공간이 주어져서 변수를 없에면 모를까
      인간운전자와 보행자가 없어지면 자율주행이 가능하다는 거와 비슷합니다
      칼들고 있는 로봇에게 사과 씼어서 넘길수 있겠어요? 옆에 애들 왔다갔다 하고 잇고...
      구현현실성 측면에서 봐도 해결해야 하는게 산더미에요. 프로세서 요구사항, 전비등등
      제가 놓치는 점이 있으면 경청하겠습니다^^ 이쪽일 하면 살수록 세삼 느까는게 인간의 뇌는 참 신비롭습니다.

  • @Scarborough7080
    @Scarborough7080 ปีที่แล้ว +4

    달달외워~~..빵터짐.. 빨간펜 선생님.. 귀에 쏙쏙~~

  • @gskim1016
    @gskim1016 ปีที่แล้ว +3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마지막에 닫는 음악도 좋아요

  • @seyongkwon
    @seyongkwon ปีที่แล้ว +7

    보통 운전중에 듣습니다. 그래서,, 내용중에 이거, 요거, 저놈, 얘들...은 단번에 이해 하기가 힘듭니다. 그래도 이런 내용 어디서 듣겠습니까. ㅎㅎ

  • @라떼파파-e1c
    @라떼파파-e1c ปีที่แล้ว +8

    1부 보다 포기하고 2부보니 깔끔하게 정리해주시는 이프로님 ,감사합니다

  • @지구-o6j
    @지구-o6j ปีที่แล้ว +2

    굿굿

  • @lalallayoohoo
    @lalallayoohoo ปีที่แล้ว +8

    요약과 정리를 통해 생산성을 높여준다 ㅡ 이것이 기능의 전부는 아니지만 ㅡ 는 Chat GPT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동시에 정작 나는 이러한 Chat GPT에 대한 수많은 기사 유튜브 영상을 되새김질 하면서 머릿속에 힘겹게 정리를 하고 있는 스스로를 확인하는 아이러니에 기묘한 기분이네요. 막상 BING에 자연어 질문을 한다해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지 않을 편견(?)을 갖고있어 그런걸까요?ㅋㅋ 아무튼, 질 높은 지식의 공유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모두들 좋은 하루 되십쇼.

  • @ricksnow6997
    @ricksnow6997 ปีที่แล้ว +1

    이집트 상형문자 해석도 금방 되겠네요?

    • @잘알랴줌-x8i
      @잘알랴줌-x8i ปีที่แล้ว

      일단은 그런 상형문자로 된 엄청나게 많은 글을 학습할 수 있어야 될 텐데 데이타가 충분할까요?
      데이타가 적으면 아무리 쳇GPT 1000버전이 나와도 분석할 데이터가 적어서 불가능할 듯 합니다.

  • @ms-jupiter
    @ms-jupiter ปีที่แล้ว +9

    수리언어학,전산언어학. 등등30년도 넘은 지식들 다 끌어다가, 재밌게 잘 들었어요. 1990년대 초에, 한 컴퓨터 연구소에서 통사론을 접목시킨 컴퓨터처리를 알바로 했었는데,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다만, 좀 아쉬운 점은, 제가 한국에서도 언어학, 프랑스에서도 언어학을 공부하였는데, 프랑스(유럽 포함-세미나에서 유럽학자들이 발표했었음)는 우리나라 언어학계처럼 노암 촘스키를 평가하지는 않았어요. 일례로, 마다가스카라 유학생이 박사과정에 있었는데, 촘스키의 공범주이론을 적용시키기 어렵다고 했었지요.
    이번에, collocation 으로 접근해서 챗gpt 가 나온 것 같은데, 인지과학과 화용론을 좀 더 깊이 공부했었던 경험으로, 앞으로 어떻게 될지 관심이 많이 갑니다. ai 전문가들 참 대단하네요. 강의 고맙습니다.

  • @imolA1
    @imolA1 ปีที่แล้ว

    중요한 에러가 포함된 내용이네요. 사회자들이 이해 못하는 내용는 설명의 문제도 있지만 잘못된 정보도 있습니다.

  • @jinwooseong2862
    @jinwooseong2862 ปีที่แล้ว +2

    저 사이트 써보고 싶은데 주소가 어디죠?

    • @이태우-y5b
      @이태우-y5b ปีที่แล้ว

      url을 올리면 댓글이 삭제되는것 같아요ㅠㅠ
      주소가 나오는 위치는 여기에요!
      31:11
      33:14

  • @호롤롤로-o1y
    @호롤롤로-o1y ปีที่แล้ว +1

    강의에서 대명사를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듯. 자기 자신만 보이는 이미지를 머리 속에 띄어놓고 남들도 그 이미지가 보일거라는 전제 하에 강의를 하시네요. 저런 스타일의 강의를 다른 곳에서 들은 적이 있는데 강의하는 사람이 뭘 보고 있는지 추론해야해서 강의를 이해하기 어렵고 엄청 피곤했었음.

    • @hunhwasong8800
      @hunhwasong8800 ปีที่แล้ว

      하지만 장점도 있죠 설명하는 사람 입장에선 효율적인 전달이 가능하고 듣는이의 수준이 높으면 속도감이 있어요

  • @VandalFX
    @VandalFX ปีที่แล้ว

    촘스키 할아버지가 한글을 좀 더 일찍 아셨더라면 연구진행에 가속이 붙지 않았을까 그런 상상도 해보게 됩니다.

  • @jhanglim
    @jhanglim ปีที่แล้ว +3

    (혹시) 다시 이경일 대표님은 안나오시나요?

  • @벽걸이형티비
    @벽걸이형티비 ปีที่แล้ว +8

    주어를 자주 생략하고 대명사를 많이 쓰는 사람들은.. 믿기 어려운데..

  • @fovori
    @fovori ปีที่แล้ว

    암호해석같은

  • @k4yp4rk
    @k4yp4rk ปีที่แล้ว +3

    아니 내가 다 가서 설명해주고 싶네. 내용 이미 아는 사람은 무슨 내용 말하는지 알겠지만 이제 배우고 싶은 사람이 저 설명을 듣고 어떻게 이해를 해요.
    사과는 이게 어떤, 저 애플이라고도 부르는데 먹는건데 그 어떤 이게 사과예요. 이러면 어떻게 알아요.
    그냥 동그랗고 어른 주먹보다 조금 큰 단 과일이라고 설명하는게 그리 어려울까요

  • @ohcho-fg4co
    @ohcho-fg4co ปีที่แล้ว +1

    조금지나면 챗gpt버블 무너짐. 부정확과 사용자가 찿지않는 답이문제.

  • @febesty
    @febesty ปีที่แล้ว

    흠 내가 원하는 진짜 원리는 잘 못설명하는 느낌이네요.
    다른데서 들었던 내용들이라 아는 부분이 많지만 첨 듣는 사람은 신선할거 같은데 어려운 내용이라 그런지 뇌시냅스와 비슷하게 뭔가 원리가 있다 들었는데 너무 공학적인 설명이라 그런가 핵심이 빠진 느낌..

  • @hiongun
    @hiongun ปีที่แล้ว +3

    맥을 못잡네... 어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