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mm(8인치) 자주포를 개발하는 중국.. 시대에 뒤떨어진 8인치 자주포를 중국이 뒤늦게 개발하려는 의도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6 ก.พ. 2025
  • 내용수정 : 06:50-06:58 11kg 는 11lbs , 6kg 는 6lbs 입니다..
    우크라이나전쟁에서 러시아군은 현대적인 155mm 자주포보다
    시대에 뒤떨어진 203mm , 240mm 대구경 곡사포를 선호했습니다..
    우크라이나전쟁을 지켜보던 중국이
    현대전에서도 대구경화포가 필요하다고 느꼈던것 같은데요..
    203mm 화포가 유도무기가 주역인 현대전에서도 필요하다고
    중국이 생각한 이유.. 분석해봅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34

  • @billgimm2393
    @billgimm239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세상 꺼꾸로 가는 듕귁 아니 쭝공.

  • @badrukkkaptin902
    @badrukkkaptin902 ปีที่แล้ว

    잘 볼게요

  • @아름이아빠-x8p
    @아름이아빠-x8p ปีที่แล้ว

    결국 전쟁도 경제의 원리로 움직인다는...

  • @jinseokheo870
    @jinseokheo870 ปีที่แล้ว +1

    8인치에 올인해서 망하면 좋으련만~~

  • @강채훈-t5i
    @강채훈-t5i ปีที่แล้ว +1

    사거리가 아니라 소형 핵폭탄을 쓰기 위함이 아닐까요 전 그렇게 생각이 드네요
    미국도 우라룸탄을 써 잖아요 피폭이 장난 아니었잖아요 자국 병사들도 피폭 당했으니깐요 피폭 당사자가 포병들이 었잖아요
    그랬어 이걸 보고 중국도 같은 짓 할려는 것 같은데요

  • @sangrokkim6182
    @sangrokkim6182 ปีที่แล้ว +2

    8인치 자주포를 사용하는 이유는, 5 kt 위력의 전술 핵포탄 W33을 투발할 수 있기 때문임.
    중국에서도 자주포용 전술 핵포탄을 개발했는지, 개발했다면 어떤 제원을 가지고 있는지 모르겠다만
    중국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나라니까 자주포용 전술 핵포탄을 개발했다고 생각할 여지는 있음.
    155 mm에서도 사용가능한 전술 핵포탄을 개발할 수 있겠지만, 포탄 직경의 제한 때문에 매우 어려움.
    그래서 8인치 자주포를 개발하려고 나서는 것일 수도 있다고 생각함.

  • @좋은세상-v2h
    @좋은세상-v2h ปีที่แล้ว +1

    과거 무기라고 낙후된 무기가 아닙니다.
    중국군 8인치 소요제기는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현실성이 있는지는 생각해 볼 문제지만
    전술핵 투발 수단으로 로켓과 차이점.
    시가전 콘크리트 건물 파괴용.
    제 개인소견은 국군은 시가전을 야전 보다 소홀히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도권은 아파트 한동 한동이 벙커 역활을 할 것 같습니다.
    과거 서울 서북쪽 아파트는 건설 당시 이것을 염두하고 지었었습니다.
    러시아가 전쟁초반 시가전에서의 고전이 지금까지 이어졌다고 생각합니다.
    중국군의 대한민국 수도권을 염두해둔
    소요제기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ปีที่แล้ว +1

    한국은 탄도미사일을 벙커버스터 개념으로 치명적 타겟의 지하건물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가는데, 중국은 이 부분에서 러시아의 전술에서 해어나오질 못하고 있네요.
    203mm를 쓴다고 해도 지상에 있는 건물은 파괴해도 정작 중요한 대만의 지하 방공시설에는 크게 미치질 못할텐데. 왠지 헛발짓 하는거 같아서 안심이 됩니다.

  • @seijin70
    @seijin70 ปีที่แล้ว +1

    전술핵 투발용은 아닐 겁니다. 주요 벙커 및 구조물 공격용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625 때 대구경중화기에 당해봤었던 중공군은 그 중요성을 몸으로 느껴봤기에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주요 진지 파괴용으로 마구 사용할 수 있는 포를 원하는 거죠. 일일이 전술미사일이나 항공폭탄을 사용하기 어렵다고 생각을 하고 있을 겁니다. 단순 대포병 사격전이라면 155미리가 제일 가성비가 높지만 일단 전선이 고착된 상태면 저런 대구경화포가 필요할 겁니다.

  • @duyujoa
    @duyujoa ปีที่แล้ว +1

    m110은 일육상자위대도 아직씁니다.

  • @hansy7865
    @hansy7865 ปีที่แล้ว

    7:46...기존 52구경장과 개발중인 58구경장은 포신 길이 1미터 차이밖에 안남...그렇게 대단히 비용도 많이 들지않고(복합재개발이 관건), 제작도 그렇게 어렵지 않고(.2차 대전대 함포는 그것보다 훨씬 긴 함포도 다 깎았음) 운용에서도 1미터 차이라 중량이 몇톤씩 늘어나는 것도 아님.....딱 포신 길이 1미터 늘어남...공간이 비어 있는 포신 1미터 무게가 뭐 몇톤 하는 것도 아닌데 못만들것도 없음...무게는 크게 중요하지 않음...
    문제는 요새는 다 복합재로 포신을 만들므로 복합재 기술이 문제지 포신 1미터 길이의 무게를 감당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기존 포신에서 두께 좀 늘어나고(그렇다고 두께가 몇십센티식 늘어나는 것도 아님...몇밀리, 몇십밀리 늘어나는거지) 길이 1미터 늘어나는 것임.....1, 2차 대전때 함포는 일본만 해도 야마토급 전함에 460mm함포를 만들어 올려 쐈는데 155mm포신에서 복합재로 길이 1미터 늘린 포신 개발이 뭐 대단히 어렵고 불가능한 것은 아님...다만 복합재로 가볍고 강하게 만드려는복합재 기술이 문제지, 무슨 무게 얘기는 다 개소리임....미국도 무게때문에 시일이 소요되는게 아니고 강한 복합재 개발이 시간을 잡아먹는거지..무슨 포신이 길어지고 무거워져서 운용에 지장 생긴다는 그런 헛소리는 안함.........

  • @이진형-k2q
    @이진형-k2q ปีที่แล้ว +1

    152밀 반동도 못 잡으면서 203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명중률은 개나 줘버리겠네

  • @석원y
    @석원y ปีที่แล้ว

    포압은 생각 안하는 단세포들....

  • @지방사-p7m
    @지방사-p7m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dongwoo35
    @dongwoo35 ปีที่แล้ว +1

    그래봤자 또 춤추는 8인치 자주포겠죠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ปีที่แล้ว

      춤이 아니라 옆으로 구를지도.

    • @dongwoo35
      @dongwoo35 ปีที่แล้ว

      @@dennythedavinchi3832 유격 중공 자주포겠네요

  • @갑영전
    @갑영전 ปีที่แล้ว

    8인치자주부대출신입니다.ㅡ이화포가 사거리가잛아요 그런화포가핵탄두발사도 합니다 미군에는 지금도운영중이라알고잇는데 .이제우리는 사거리짧는 화포는필요하지않습니다

  • @kylim2506
    @kylim2506 ปีที่แล้ว

    비효율적이고 구시대적이라고 비웃을수는 있겠지만 일단 위력만 따지고 봤을때 뭔가 대비하고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날이 점점 다가오는 듯 한게 예감이 좋지 않네요.

  • @sylee481
    @sylee48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인치 대포........가성비가 없어 퇴출 된지가 언제인데........역시 대륙의 차이나.........

  • @kyk5033
    @kyk5033 ปีที่แล้ว +11

    저도 포병 출신이지만 K-9실사격 봤는데 입이 벌어지더군요 저는 Kh 179 이라는 최초 국산화한 155mm 견인포
    다루는 포병인데 방열도 쉽고 정확도도 90프로 이상이라 제가 현역때는 경기도 지역에 70프로가 이포였는데 지그쯤은 K 55자주포 K-9으로 교체 됬을건데 우리나라 포병 화력 장난 아닙니다 진짜 ㅋㅋㅋㅋ

    • @하늘-r8b
      @하늘-r8b ปีที่แล้ว

      어느 부대엔 견인포와 자주포가 같이 있더군요.
      견인포 크기를 보니까 진짜 견인포 장병들 대단하다고 밖에 할말이 없겠더라구요.
      그 무거운 쐬떵어리를 어떻게 다루는지 의문이 갈 뿐입니다.

  • @함께라면-t2u
    @함께라면-t2u ปีที่แล้ว

    아주 커다란 표적일뿐

  • @jmim5018
    @jmim5018 ปีที่แล้ว +1

    아이디어 자체부터가 차이나는 차이나. 그거 또 만들어서
    어디다 쓰고..자폭 당하려고? 무조건 크면 다냐?? 천멸

  • @kmtv4115
    @kmtv4115 ปีที่แล้ว +1

    역사를 보면~ 지나는 주기적 헛발질을 합니다.
    203mm 자주포 개발이 이에 해당할 거라 봅니다.
    단, 이걸 핵관련 부서가 관여한다는걸 주시해야 한다고 봅니다. 전술핵 투발수단으로 쓰려는건 아닌지~

  • @jinprabha9153
    @jinprabha9153 ปีที่แล้ว

    이번에 발주한 중국 군대관련 인사가 어디서 몰래 8인치 포탄을 대량 구해서 쟁겨났겠지. 떼돈 벌겠다.

  • @user-fujh67fg
    @user-fujh67fg ปีที่แล้ว

    0:37 엄청 흔들리네

  • @네모나무-q7s
    @네모나무-q7s ปีที่แล้ว

    저건..대포병사격에 거의 무방비 아닌가.....대응이 불가능할거 같은데..

  • @GeeHanShin
    @GeeHanShin ปีที่แล้ว

    기본이 탄탄해야하는 이유 애초에 중국개념에 훔쳐서 걸리지않는게 중요하지 뺏긴사람이 ㅂㅅ이라는 문화가 있어 기초기반이 1도 없는나라 저가제품이야 쓰고 버리면 그만이지만 저런건 ㅋㅋㅋㅋ 잘해봐라

  • @thinking-z3g
    @thinking-z3g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미련한미련
    @미련한미련 ปีที่แล้ว +3

    잘 보고 갑니다~~~

  • @구름위하늘
    @구름위하늘 ปีที่แล้ว +1

    그냥 칼구스타프나 다시 만들지...크고 아름다운..거포..!

  • @lsldjc
    @lsldjc ปีที่แล้ว

    제공권 자신없으니까 거포주의로 회귀하나...미국은 팔라딘 개발하다 그냥 취소하고 일당백 MLRS, 하이마스로 귀결.. 나머진 비행기로 때림..북한이 장사정포로 서울 겨누듯 대만겨눌듯...

  • @mekaride2024
    @mekaride2024 ปีที่แล้ว +1

    더욱 격렬한 춤을 추기 위해 강력한 화력을 탑재한 8인치 자주포 실력 좀 볼까?

  • @저장소유튜브영상
    @저장소유튜브영상 ปีที่แล้ว

    우리부대 입구에 8인치 포탄 두개 서있는데ㅋㅋㅋ

  • @huangshulang.ai.bainian
    @huangshulang.ai.bainian ปีที่แล้ว +1

    댓글보면 핵 투사체로 사용한다는분 많은데요
    중국은 100키로 이내 공격할수 있는 소형 드론만 10여가지 있고
    150~750키로 공격가능한 방사포도 여러가지있습니다
    굳이 203미리로 않만들어도 충분하게 사용 가능한 발사체가 있죠
    203미리 대포라기보다는 203미리 포탄을 발사하여 공격력을 테스트 하는실험이라고 보몃 됩니다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ปีที่แล้ว

      아마 비용을 아끼려고 그리들 생각하는건지, 원자력기관에서 담당을해서 만든다하니 그런 상상을 하는건지.

  • @lol-di3tf
    @lol-di3tf ปีที่แล้ว +1

    아니, 건물을 부수는데 필요하다고 8인치 자주포를 다시 개발해야 한다는건 그냥 러시아의 초토화 작전이 효율적이라는 얘기와 뭐가 다르죠? 8인치 자주포는 이미 사장된지 오랩니다. 요즘 자주포는 정확하게 타격하는게 더 중요하거니와 초토화 작전처럼 엄청난 물량의 포탄을 소모하면서 포격하는건 공군에 간단하게 무력화됩니다. 작년 러시아의 초토화 작전이 무력화된것도 장거리에서 하이마스로 탄약고를 집중 파괴한탓이 제일 크고 그이후론 자주포를 거의 쓰지도 못했습니다.

  • @라빅-w4i
    @라빅-w4i ปีที่แล้ว

    국경분쟁이 있는 나라에서는 유효할 수 있죠 예컨데 인도같은 나라

  • @GON-lu4me
    @GON-lu4me ปีที่แล้ว

    중국이 한물간 멍청한 짓을 해주면 우리야 좋지 ㅋ

  • @참기름-d8x
    @참기름-d8x ปีที่แล้ว +4

    소형화된 핵 포탄 쓸려는거 아냐?
    포탄의 사거리 늘리고....

  • @김보성-q5i
    @김보성-q5i ปีที่แล้ว

    설마 저걸로 원자탄 날리겠다는건 아니겠지 😅

  • @simontempler5094
    @simontempler5094 ปีที่แล้ว

    전술핵...

  • @손톱달-y8d
    @손톱달-y8d ปีที่แล้ว

    155미리도 춤을 추는데 8인치는 덤블링할듯 ㅋㅋ 한발 쏘고 한바퀴돌고 다시 쏘고

  • @Delmn
    @Delmn ปีที่แล้ว

    203mm라니까 뭔가 중순양함포 같네요 ㅋㅋㅋ

  • @정우석-i9q
    @정우석-i9q ปีที่แล้ว

    인도같은데에 지상도발 계속 하겠다는거지 뭐... 기존 자주포보다 구경만 크면 일단 화력빨로 되는거니까...
    맞춰야 해당되는 이야기겠지만 ㅋㅋ

  • @KJ11-DAFS
    @KJ11-DAFS ปีที่แล้ว

    서방의 155밀리 포탄이 화약 충진량이 11키로그램이라고는 하지만.. 화약은 제조기술에 따라 성능이 차이가 납니다. 군용화약의 경우 민간에서 사용하는 탄약보다 폭발력이 쎄고.. 거기다 압축까지 한다고 합니다. 우크라이나와 전쟁에서 러시아가 툴란 같은 대구경 화포를 사용하는것은 서방제 포탄보다 폭발력면에서 밀리기 때문이라고 보여집니다. 툴란의 형태로 보건데..여전히 야전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해 보이니까요.
    원래 152밀리가 155밀리와 화력면에서 같아야 하지만..러시아가 만약.. 폭발력에서 밀리는 화약을 사용한다면..화력전에서 열세를 보이게 될 것입니다.
    중국의 203밀리 포 개발은 화약의 폭발력을 서방제와 동등하게 할 수 없으니.. 구경을 늘려서 해결하겠다는 걸로 보입니다. 이런 사례는 탱크에서도 보이는데요. 기술적 문제로 분리식 장약을 사용하는 러시아 탱크들은 서방제보다 구경이 더 큰 전차포를 사용합니다. 날탄의 세장비를 늘리기 위해서라고 하는데요.
    포병화력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생긴것으로 보입니다.
    이번에 한국에서 155밀리 포탄을 미국으로 넘겼는데.. 이게 한국을 안절부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게 아마도.. 포탄제조기술이 서방에서 최상위에 속하는 한국의 신형탄이라서.. 사거리, 살상력, 지속사격능력등등... 러시아 일반보병을 크게 살상할 수 있습니다. 모든 전쟁에서 대부분의 사상자가 포병에 의한 것이라고 하니...이러면.. 한국과 러시아 관계는 루비콘강을 건너는 겁니다. 일반보병으로 참전한 러시아인이 한국에게 깊은 앙심을 품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는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대로 만든다면... 203밀리로는 이빨도 안들어갑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5톤의 거대 항공폭탄으로도 못 부수는 벙커를 알량한 203밀리로 해결 할 수 없습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31.5인치...800밀리 초대형 열차포 구스타프같은 거나..600밀리 자주박격포 칼... 또는 전함의 14인치 이상 함포... 또는 영국의 그랜드슬램 10톤짜리 항공폭탄...으로 해결 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벙커들은 과거보다 튼튼해서.. 미국이 14톤의 벙커버스터도 모자라서 핵벙커버스터로 해결하려고 하는 중이고...한국은 탄두중량 10톤의 탄도미사일로 해결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웬만한 벙커는 톤단위의 탄도탄으로 제대로 직격한다면 벙커를 부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이건 제대로 명중을 해야 부슨다는 것이지.. 빗나간다면... 의미가 없겠죠.

  • @상상상상-n7l
    @상상상상-n7l ปีที่แล้ว

    중국은 155미리 자주포도 제대로 못 만드는 판국에 203미리 자주포를 제대로 만들 수 있을까?
    솔직히 203미리 포를 k-9정도 완성도로 만든다면 굉장히 필요할 것 같다.

  • @한대웅-h6q
    @한대웅-h6q ปีที่แล้ว

    8인치라.... 동구권이랑 서구권 규격이 달라서 뭐라 말하기 힘들지만, 자해봐야 155mm 연장탄 사거리 나오겠군요. 하지만 무게나, 보급소요 생각하면 그닥.

  • @StarBoy-rd7cd
    @StarBoy-rd7cd ปีที่แล้ว

    중국포병전력은 화력이 아니라 정확도가 전혀담보가 안되는 게 문제죠 화력만 키워봐야 엉뚱한 곳만 타격해봐야 헛수고죠 영상에서도 나오지만 유기압현수장치가 있는건지 의심스러울정도로 차체가 흔들리는데 어떻게 사격의 정확도를 담보한다는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화력보다는 현수장치나 제대로 개발해야할듯;

  • @ddjjsjw3298
    @ddjjsjw3298 ปีที่แล้ว

    지나국 이 아무래도 155mm 가 춤추는 자주포라 는 닉네임 을 얻어서 쪽팔렸나

  • @정민준-z1n
    @정민준-z1n ปีที่แล้ว

    이것들이 하도 못맞추니까 아무대나 쏴도 맞게할라 그러네

  • @밥밥밥-n5r
    @밥밥밥-n5r ปีที่แล้ว

    우리는 K9을 지속 개량하는 걸로...

  • @별리-z3j
    @별리-z3j ปีที่แล้ว +1

    8인치에 또다른 이름중에 하나가 전술 핵포탄 발사체...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ปีที่แล้ว

    생각해보니, 중국은 152mm 자주포도 뒤뚱뒤뚱하는데, 그 보다 더한 203mm면 아예 뒤집어 지겠네요. 중국은 베이두 항법장치도 거짓말인가 봅니다. 애초에 정확도는 불가능하다고 상정하나 봅니다.

  • @최경혜-q4r
    @최경혜-q4r ปีที่แล้ว

    한국이 10톤 탄두개발하는것과 비슷한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ปีที่แล้ว +1

      전혀 비교대상이 아니죠. 저건 쏴도 지하관통탄자가 없으니. 건물만 파괴. 사거리부족. 무엇보다 중국이 저런 거포를 견뎌낼 차체를 개발할 능력이 없는 현실.

  • @skyline0167
    @skyline0167 ปีที่แล้ว

    현수 장치도 못 만들어서 포가 출렁 203mm 면 뒤집어지겠네~

  • @orcon4937
    @orcon4937 ปีที่แล้ว

    근거리 핵투발용 일듯

  • @HtChoi-qk9xr
    @HtChoi-qk9xr ปีที่แล้ว

    로켓포탄 구경이네ㅋ 그거 150kg가 넘는 탄약 보급 장전 어떻게 할건데?

  • @xcell60se
    @xcell60se ปีที่แล้ว

    155mm 반동도 못잡는 공업기술력으로 203mm를 댄싱 자주포를 이을 분해 자주포를 만들건가?

  • @jesad2001
    @jesad2001 ปีที่แล้ว

    이제 하믄 우야노. 우리는 인공지능까지 탑재할건데

  • @찰스킴-n7f
    @찰스킴-n7f ปีที่แล้ว +1

    요즘 점점 더 컨텐츠가 좋네요

  • @사람바람
    @사람바람 ปีที่แล้ว

    느낌이 핵탄두 탑재한 자주포 느낌이 나는건 왜일까...

  • @pang9238
    @pang9238 ปีที่แล้ว +1

    5.56 미리를 사용하던 미국이 다시 7.62 미리 탄을 도입하려는것과 비슷한 맥락임... 관통력 살상력 극대화... 155 미리와 미사일 사이의 갭을 대구경 포탄으로 커버하려는 의도... 왜냐... 포탄과 미사일의 가격차가 너무 크기 때문임... 특히 이번 우크라전같이 포탄을 물쓰듯 하는 전쟁에서는 미사일은 감당할 수가 없음...포탄마저도 미국 나토 합쳐서 물량부족에 시달리는 정도인데, 러시아는 포탄을 연일 퍼붓고 있음... 재래식 포탄에 대한 전략전술 개념이 이번 전쟁으로 완전히 바뀔것임...스마트!!! 외치던 미국의 완패임...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ปีที่แล้ว

      전쟁은 돈인거죠

    • @ssibangnom
      @ssibangnom ปีที่แล้ว +1

      7.62미리를 도입한다는 개소리는 어디서 나온거임?
      6.8미리겠지
      그리고 155미리로 재미 보는게 우크라이나인데 어디 세계의 러시아군을 보는거임?ㅋㅋ

  • @user-g461
    @user-g461 ปีที่แล้ว

    질이 부족하니 큰걸로 하는거임?
    참못났다.

  • @helloareyouthere
    @helloareyouthere ปีที่แล้ว +2

    8인치 하려는 의도는 전술핵 쓸라고겠죠... 8인치 포병출신인데 미군이 버리고 간 8인치... 근데 당시 군생활 때 유사시 소형 핵폭탄을 쏠 수 있다고.

  • @leekhai488
    @leekhai488 ปีที่แล้ว

    전술핵을 쓰려고 하는구만

  • @Paperplain__
    @Paperplain__ ปีที่แล้ว

    203mm면 2차세계대전 중순양함급 포아님?

  • @yunseokee7472
    @yunseokee7472 ปีที่แล้ว +1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ryuryu354
    @ryuryu354 ปีที่แล้ว

    미군 차기소총 사업처럼 중간 구경에 타협하면 어떨까? 180mm

  • @patrickpl5820
    @patrickpl5820 ปีที่แล้ว

    이채널 몇번봤더니 자꾸 중국 컨텐츠 떠서 미치갰음

  • @hyehyeon1103
    @hyehyeon1103 ปีที่แล้ว +2

    새로운 관점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코로-v5f
    @코로-v5f ปีที่แล้ว +38

    국군도 8인치 포를 보유 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단순히 포병으로서는 가치가 높은 무기인건 사실이나, 우리나라의 전략, 전술의 큰 틀에서는 불필요한 무기입니다.
    국군은 과거에는 북측 영토를 전부 수복하는게 목적이었지만 지금은 항공 폭격->강습 전개->기계화부대 투입 으로 주요 거점과 진로를 확보하고 빠르게 중국의 공수부대와 기계화부대의 개입을 차단 하고 북한 지도부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고 있죠.. 현재 북한의 평양을 제외한 내부 상태는 지도부 제거 및 중국 개입 차단으로 전의가 상실되면 항복하리라는게 중론입니다.
    즉 중화력은 공군에게 맡기고 있는 점에서 느리고 보급마저 망칠 새 무기를 추가할 이유는 전혀 없는 겁니다..

    • @금돼지-h9y
      @금돼지-h9y ปีที่แล้ว

      미군도 아프간에서 항공 폭격을 일삼다가 항공 폭탄과 연료가 다 떨어지는 공세종말점이 와서 탈레반들과 총격전을 강요당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한국이 다른 나라를 상대로 대규모 항공 폭격을 벌일 정도의 인프라는 절대로 안 될텐데요...
      뱁새(한국군)이 황새(미군) 따라 하려다가 가랑이 찢어집니다.

    • @코로-v5f
      @코로-v5f ปีที่แล้ว +1

      @@금돼지-h9y 국군은 미군의 지원을 받습니다.. 그리고 북한군이 탈레반처럼 제대로 된 거점도 없는 군대도 아니고요.(폭격할 거점이 명확해서 항공공격이 성공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아프간과 달리 평양까지는 종심이 짧습니다. 또한 아프간처럼 원정군인 미군과 달리 한반도는 주둔군이 싸우는 지역입니다.
      그리고 항공 폭격-강습-기계화부대 투입은 제 사견이 아니라 작계가 그렇습니다.

    • @금돼지-h9y
      @금돼지-h9y ปีที่แล้ว

      @@코로-v5f 탈레반도 아편 재배를 돈줄로 삼았는데 거점이 없었다뇨...
      그리고 북한도 엄연히 한국군 입장에서는 인프라 환경이 다른, 남의 나라에서 싸우는 겁니다.
      주둔군이 싸워서 보급의 어려움이 없다고요? 남의 나라 가서 군사 작전을 전개하는 데에 보급의 어려움을 무시한다고요?
      글고, 뱅기를 모는 미군 입장에서 한반도나 아프간이나 종심은 거기서 거기예요. 이라크도 개전 일주일 만에 다 박살낸 미군입니다. 즉, 아프간이 (헬기를 굴리기 어려운 고산 지대라는 점을 제외하면) 항공 폭격이 특별히 어려운 환경도 아닙니다.
      또한 북한과의 전쟁에서 한 가지 치명적인 변수가 더 있습니다. 바로 땅굴. 항공 폭격이 실시되면 북한군이나 수뇌부는 바로 땅굴로 숨어 버릴 테고, 그러다가 항공 폭탄과 연료가 다 떨어지면, 진짜로 아프간 꼴이 납니다.

    • @도요다다이쥬-x9h
      @도요다다이쥬-x9h ปีที่แล้ว

      방어용으로 쓰는거죠. 그리고 거의 퇴역했지만 포탄도 남아있고 해안포로는 아직도 8인치쓰지않나요?

    • @코로-v5f
      @코로-v5f ปีที่แล้ว +4

      @@도요다다이쥬-x9h 전부 퇴역했고 포탄들도 대체 생산 없이 노후화 되어 폐기 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155mm견인포도 예비 물자로 돌려야 할 정도로 상비사단은 충분한 155mm자주포가 보급되어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작전 능력의 상향이 이루어지려면 대포병 자산, 포병 여단용 정찰 자산 이 더 필요한 실정입니다.

  • @sinmoonsik5721
    @sinmoonsik5721 ปีที่แล้ว

    중순포를 쓴다고? 무슨 생각이냐..

  • @cetafeel965
    @cetafeel965 ปีที่แล้ว +1

    구경을 키우고 포구초속을 유지하려면 포신이 당연히 길어져야 함. 또한 포탄을 날리기 위해서 더 많은 장약을 넣어야 할것이고, 포가 길어지고 포구초속이 유지되려면 엄청난 저항이 포신에 가해질것으로 예상됨. 포신의 길이뿐만 아니라 폭발압력을 버티도록 포신의 두께 역시 두꺼워져야할듯.. 155밀리대비 길이가 125%정도 될듯하고, 무게는 두배정도 무거워질듯.. 그리고 차체는 쏠때 폭발압력을 버티기위해서 구동계나 서스펜션등을 더 많이 강화를 하던가, 발사할때 더 강력하게 스페이드를 박아야 할듯..

  • @hsnam2114
    @hsnam2114 ปีที่แล้ว

    이 영상보고 생각난 게 2가지가 있는데
    1. 전술핵 투발용
    전략수송기 Y-20에 운송 가능한 전술핵 발사도 가능한 자주포라면 중국의 신속대응군용으로 수요가 있을거 같음.
    2. 고위력 탄두로 시가전 지원
    한발로 건물 하나씩 날려버리는 위력으로 포탄 사용량을 절약하는 지정 사수 같은 역할도 가능 할 거 같음. 우크라이나에서 대규모로 포탄 사용하는 것을 보고나서 시가전에서 활용 가능한 대구경 화포를 테스트 해볼려는게 아닐까?

    • @최나그네
      @최나그네 ปีที่แล้ว

      전술핵 투발용은 아닙니다. 데이빗 크로킷만 봐도 보병만으로도 충분히 전술핵 투발이 가능하니까요.
      전술핵 투발용이라면 보병 휴대용으로 만드는게 월등히 유리하죠. 탐지도 어렵고 제거도 어려우니까요. 8인치 자주포는 추적되 쉽고 제거도 쉽죠.

    • @hsnam2114
      @hsnam2114 ปีที่แล้ว

      @@최나그네 덕분에 몰랐던 무기를 알게 되었네요 ㅎㅎ 무반동포 발사 전술핵이라니 상상도 못했던 물건이라 놀랐습니다. 근데 적절한 예시는 아닌 거 같네요. 애초에 사거리 4km에 폭발반경 300미터 TNT 20톤으로 핵배낭보다 못한 위력을 가진 무기라 이름만 전술핵이네요. 위력을 높이려면 충분한 사거리가 되어야하니 자주포용 전술핵이 더 효과적이겠죠.

  • @김정훈-t4y
    @김정훈-t4y ปีที่แล้ว +1

    이런 고급정보를 제공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jct3409
    @jct3409 ปีที่แล้ว

    유튜버도 그렇고 댓글이 멍청한 이야기가 너무 압도적일서 충격임....

  • @wriggle8332
    @wriggle8332 ปีที่แล้ว +23

    203mm의 최대 단점은 그 화력애 비해서 보급 소요가 너무 크다는데 있음. 155mm에 비해서 단발 화력은 압도적일지는 몰라도 사거리는 비슷하고, 연사속도는 몇배 이상씩 차이(155mm가 1분에 5발 쏠 때 203mm는 1발 쐈음.)때문에 실질적인 화력 차이는 크지 않음.

    • @US.R-g3p
      @US.R-g3p ปีที่แล้ว

      ai무안화가 엄청나게 낙후됀 나라에선 이해합니다

  • @sfk1031
    @sfk1031 ปีที่แล้ว

    엑스칼리버처럼 미사일 개념으로 만드는거지. 중국기술로는 포탄화력을 감당못하는데
    로켓기술이 높으니 포탄을 로켓으로 발사하는거지. 그러니 구경이 커지는거고 정작 포탄은 날리지 못할껄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ปีที่แล้ว

      위에 말씀하였드시 그렇게 되면 화약량도 줄여야되고 멀리 날아가야되니 그만큼의 기술비가 들어가 발당 가격이 너무 나갑니다. 효율성대비 비용은 무시해야되는겁니다.

  • @newminfe
    @newminfe ปีที่แล้ว

    아무래도 중국이 8인치포를 개발하는건 러시아와는 다르게 자신들은 제공권과 정찰자산으로 상대방 위치 파악 그리고 8인치 대포의 자주화에 충분하다 생각한 것 같습니다 적이 견고한 참호에 있어도 발견하여 큰 화력으로 부수고 대포병은 자동화나 제공권 정찰로 충분히 피할 수 있다 생각하는것 같네요

  • @085yk5
    @085yk5 ปีที่แล้ว +2

    현재의 포병전술인 슛앤 런 작전개념에 전혀 안어울리는 무기체계...

  • @user-vg8fm6sy2y
    @user-vg8fm6sy2y ปีที่แล้ว +31

    대국의 기상에 8인치라니 너무 작습니다 기왕 하는거 80인치로 개발하길 추천드립니다 대국의 기상을 보여주세요!!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ปีที่แล้ว +1

      그건 열차로도 못끌고 가겠네요 허허.

    • @헬로키티-t4k
      @헬로키티-t4k ปีที่แล้ว +3

      목적이 분명하니 옮길필요없이 해당지역의 고정된 해안포로 사용하면 되겠네요.필수 ROC 대만까지 날아가도록 사거리 200KM

    • @똥먹는데카레얘기-f6j
      @똥먹는데카레얘기-f6j ปีที่แล้ว +1

      포병들 압사 사고로 여럿 뒤질듯 한데요 ㅋㅋㅋㅋ

    • @madox0176
      @madox0176 ปีที่แล้ว

      진핑이 허리둘레냐??

    • @DonaldJohnTrumpV2
      @DonaldJohnTrumpV2 ปีที่แล้ว

      대국의 미사일 몇방이면 한국 무너진다고..... 미국형이 보복 안해주면 진짜 한국 가버릴지도...

  • @형순철
    @형순철 ปีที่แล้ว +1

    유익한 도움에 감사 드립니다.!!🙏

  • @정의구현-x8e
    @정의구현-x8e ปีที่แล้ว +1

    댄싱 자주포를 만들려는거면 인정~!!

  • @danielp2399
    @danielp2399 ปีที่แล้ว +7

    냉전시절 프랑스가 자주포에서 발사하는 핵무기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전술핵 발사는 155mm로는 힘들어서 203mm를 개발하는게 아닐까요

    • @여의도-m2d
      @여의도-m2d ปีที่แล้ว

      155mm 전술핵탄 있지만 200mm이상 더 안전으로 운영

    • @jehajeon9727
      @jehajeon9727 ปีที่แล้ว +1

      대구경 다연장포가 더 적합하지 않을까요? 사거리가 더길게 만들수 있나요?

    • @최나그네
      @최나그네 ปีที่แล้ว +2

      굳이 전술핵 투발을 위해서라면 자주포 수준도 필요 없죠. 미국이 만들던 데이빗 크로킷만 해도 보병 4명이면 투발할수 있는데요.
      눈에 보이는 자주포 보다 보병 4명이 들고 다니는 전술핵이 더 무섭죠.

    • @foxsred9045
      @foxsred9045 ปีที่แล้ว

      전술핵이면 미사일로 개발하는게 훨씬 나음. 정확성, 사거리, 발사 속도, 안전성등 압도적으로 유리함.

    • @goldmedalpapa
      @goldmedalpapa ปีที่แล้ว +1

      전술핵이면 사거리가 훨씬 긴 다연장 로켓으로 개발하는게 여러발을 같이 쏴서 목표특정을 어렵게 할 수 있고 사거리와 정확도도 더 유리합니다

  • @hansy7865
    @hansy7865 ปีที่แล้ว

    뻘짓거리한다....포탄 한발 무게를 85kg을 예정하는거 같은데...그거 인력으로는 단 한발도 못옮기는데, 전시에는 인력으로 못움직이는 포탄은 쥐약이라고 보면 됨....그렇다고 완전 자동장전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탄의 크기가 커서 완전 자동장전장치의 부피나 무게가 거대해질 것이라서 폐쇄형 자주포로 개발하면 포탑안에 탑재할 수 있는 포탄수가 20발도 안될 것임(k9은 48발 적재함)..그러면 계속 포탄을 옮겨실어서 적재를 해서 급탄을 해줘야하는데 85킬로 그램은 사람이 옮기지도 못하고 기게로 옮겨야 되는데, 야전에서 이게 효율이 있을 수가 있나...당연히 개방형 포탑을 가진 자주포가 될 것이고, 그 경우 옆에 급탄을 위한 장비와 인력이 따라붙어야 하니, 인력소요도 많아지고, 무거우니 느리고, 개방형 자주포에, 무게와 위력때문에 당연히 스페이드를 박는 방열을 할텐데 슛앤스쿳도 힘들어 대포병사격에 쥐약이고....그러니 도태된거야.....

  • @neweastwater
    @neweastwater ปีที่แล้ว +19

    양질의 영상 감사합니다👍

  • @정치는포기한안철-i2l
    @정치는포기한안철-i2l ปีที่แล้ว +2

    8인치 진짜 사격시 웅장함

  • @blue-pill
    @blue-pill ปีที่แล้ว +1

    음… 완전히 다른 관점으로 드론발사기로 운용할 수도 있는 건 아닐까요? 영상의 내용에 따르면 155mm로 11kg정도의 무게를 날릴 수 있는데 203mm로는 두 배 그러니 대략 20kg 정도의 무게를 날리니 10kg 정도의 드론에 10kg정도의 폭발물을 부착해서 발사하는 용도로 나쁘지 않을 것 같기도 하네요.
    203mm 화포를 드론 발사체로 사용한다면 아래의 이점이 있을 것 같네요.
    1) 40~70km 정도의 사거리에 드론비행거리를 추가해서 사거리가 늘어난다는 점
    2) 155mm 대비 폭약량이 줄어들지 않아도 되는점
    3) 드론의 공중체류시간을 활용해서 동시에 목표를 타격할 수 있으므로 수량의 제한을 받지않는 TOT 타격 효과를 볼 수 있는 점
    4) 드론의 목표탐색능력을 활용해서 미사일에 준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점
    5) 인공지능을 탑재한 드론으로 유동적인 목표물 변경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점
    중국은 이미 드론과 이미지 인식 및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라서 새로운 투발수단의 개발을 연결시켜 보았더니 의외의 장점이 많이 떠오르네요.

  • @interstella-co2wz
    @interstella-co2wz ปีที่แล้ว +3

    기존 155미리 자주포 반동도 제대로 못잡는 나라가 203미리 자주포를 운용한다고? ㅋㅋㅋ

  • @fafa_22275
    @fafa_22275 ปีที่แล้ว

    155mm 이것도
    쏠때마다 덩실덩실 춤추는데
    203mm는 한발 쏠때마다
    빽덤블링 하것네

  • @5복-s5i
    @5복-s5i ปีที่แล้ว

    지금도 사격후에
    춤추는 중국자주포인데...
    더 구경이 커지면 쏘면 뒤집어 지겠군요...

  • @으아우아오아
    @으아우아오아 ปีที่แล้ว +1

    한미일 중 한 국가가 몰래 초음속 대함미사일 시스키밍 기술만 넘겨도 중국은 대만 상륙못할껀데 작음 섬들에 숨어 쏘는 대함미사일 무슨수로 피하노

  • @_samsung7880
    @_samsung7880 ปีที่แล้ว +1

    썸네일에 230mm라고 오타났어요

  • @너울파도-i3e
    @너울파도-i3e ปีที่แล้ว

    좋은 소재와 영상 잘봤습니다.

  • @billgimm2393
    @billgimm2393 ปีที่แล้ว +1

    전술핵탄두를 쏘려는 모양이네.

  • @최나그네
    @최나그네 ปีที่แล้ว +5

    8인치 자주포가 필요한 이유는 딱하나죠. 파괴력의 확대죠. 사거리 연장의 경우 8인치 보다는 155mm가 유리합니다.
    구경장,포구속도 등등에서 되려 8인치가 사거리 연장 만들기 더 어려워요. 장약만의 문제가 아니라 포탄의 가속 문제라서요.
    이번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보면서 8인치를 다시 연구 하는 이유는 시가전의 특성 때문일것입니다.
    러시아가 152mm 나 기타 로켓으로 도시를 공격해도 현대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은 무너지지 않거든요. 항공 폭격이나 미사일 정도나 되야 건물이 무너집니다.
    8인치 자주포역시 이역활을 할수 있거든요. 장거리 공격이 아니라 도시가 육안으로 보이는 지역까지 가져와서 평사포 성격으로 건물을 잡을수 있습니다.
    대만점령전을 생각하는 중국 입장에서는 대만 시가지 전투에 대한 해결책중 하나로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밀집된 철근 콘크리트 빌딩숲은 공격군 입장에서는 최악의 토치카들일 테니까요.진격로상의 주변 건물들만 자주포로 무너뜨려도 공격이 편할테니까요.

    • @dohyunbarg
      @dohyunbarg ปีที่แล้ว

      사거리는 램제트가 있으니깐 다른 이야기일 수도 있다고 봅니다만 콘크리트 건물만 무너뜨릴 수 있다면 쓸만한 무기겠네요. 안되면 활공포탄을 사용하고 더 좋은 방법은 도시 우회 포위 기동하는 것 같지만서도

    • @천궁-m9t
      @천궁-m9t ปีที่แล้ว

      참고로 대만은 지진 발생 지역으로 콘크리트구조를 강도가 높아요ㅋㅋ
      155 미리로는 한계가 있다는걸

    • @goldmedalpapa
      @goldmedalpapa ปีที่แล้ว

      이거지..

  • @비룡-o7o
    @비룡-o7o ปีที่แล้ว +5

    원자력 어쩌구 하는 국영기업이 낀걸 보니 핵캐논으로 쓰려고 그러는건 아닐까요?

    • @비룡-o7o
      @비룡-o7o ปีที่แล้ว

      @@huangshulang.ai.bainian 어쩌라고요

  • @sang-yoonahn5008
    @sang-yoonahn5008 ปีที่แล้ว +6

    와... 8인치 포가 이제 우리나라에서는 운용하지 않나 보네요. 90년대 군번이고 탄약창 근무했었는데, 그 때 지역에 8인치 탄 많이 쟁여놨었습니다. DOD 6으로 시작하는 탄들... 어떤 어원인지 모르겠지만 155mm 탄과 8인치 탄들을 고참들이 땡콩알이라고 불렀던 기억이 납니다.어네스트 존... 추억의 이름이네요. 그 때 우리 지역에 거의 다 썩은 762 mm 어네스트 존 추진체 - 로케트 모터 라고 되어 있었음 - 보관하고 있었는데 말이죠.

    • @이동훈-b6q
      @이동훈-b6q ปีที่แล้ว

      5군단 ASP 근무하신듯.

    • @oreochan723
      @oreochan723 ปีที่แล้ว

      @@이동훈-b6q 탄약창이라는데 뭔 ASP ㅋㅋ

    • @oreochan723
      @oreochan723 ปีที่แล้ว

      8인치 175mm 2010년대에도 탄약창에 보관 함
      수량도 적은게 아니라 내가 있던 중대 탄약고에 5-10개정도는 저런 탄약 보관했었음
      어니스트 존도 그대로 ㅋㅋㅋ
      8인치 175미리 불출해본적은 없지만, 155미리랑 비교해서 딱히 어려워 보이진 않을거 같음
      155미리랑 똑같은 형식으로 포장되어 있었고, 대충보면 크기 차이 잘 안느껴 질정도로 비슷하게 생김
      백린탄약고는 3개 였는데, 들어가면 탄약이 죄다 흰색빛 연두색이 이질적이었고, 안전규정상 방호복, 가스마스크 끼고 들어가라고 적혀있는데 그런거 본적도 없고 탄약고 옆 방화수도 대충 땅파서 고무다라이 집어넣은 수준이었음 ㅋㅋ
      부동액 쥐 좆만큼 보급 해줘서 겨울엔 항상 얼어있었음
      순찰하는 얘들이 주기적으로 오줌 쌈 ㅋ

    • @저장소유튜브영상
      @저장소유튜브영상 ปีที่แล้ว

      어네스트존 안양에도 있었음

    • @bmookk
      @bmookk ปีที่แล้ว

      땡콩알 30년 전에 썼었죠
      감회가 ㅋㅋ 뒤질뻔했음

  • @dohyunbarg
    @dohyunbarg ปีที่แล้ว +1

    램제트 추진탄 발사위한 플랫폼으로 기존 사거리 연장을 램제트방식으로 늘리는 것일 수도 있죠.

  • @띠룩도야지
    @띠룩도야지 ปีที่แล้ว +3

    연천에서 att뛸때 옆진지에서 8인치 애들이 실사격하고 있길래 구경했는데...
    자주포라는거 하나 빼곤 155견인인 우리보다 더 개고생하는거 같던데...

    • @감나빗-u6f
      @감나빗-u6f ปีที่แล้ว

      너무 고물이라 유압이 자주 터져 훈련중 포신에 압사당하는 일이 발생한적 있어 개 무서웠었음. 비사격 중에 포신 밀려 근처에 있던 그 형 머리 터져 뇌수까지 흘러내렸는데... 일주일 뒤면 부대 k9으로 교체 되는 시기라 정비에 너무 소홀햇엇던거 기억남.

  • @조환-v8y
    @조환-v8y ปีที่แล้ว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lamoking647
    @lamoking647 ปีที่แล้ว

    우리나라도 건물 하나를 통째로 날려버릴수 있는 203mm 자주포를 가지는건 어떤가 생각이듭니다
    그냥 전에 쓰던 203mm를 K9에 탑재하고 고정포탑으로 하여 자동장전기와 생산단가도 절약할수 있을꺼입니다

    • @김김-o6x
      @김김-o6x ปีที่แล้ว +2

      비효율적임. 보급 통일 체계가 복잡해지고 규모의 경제에도 불리함. 고정포탑도 시대에 맞지않을뿐더러 우리의 환경에 맞지않음. 또 155mm의 자주포시장에 따로 203mm에 맞는 포신,포탑,차체,자동 장전장치를 추가로 개발하는것보다 155mm를 더 고도화하는게 경제적이고 효과적임. 유사시 기계장치가 아닌 사람이 직접 옮기고 장전하는데에도 203mm가 너무 무겁기 때문에 인력으로 운용하는게 불가능함.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ปีที่แล้ว +1

      한국은 미사일을 통한 지하관통탄자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반면 중국은 이걸 만들겠다는거 보면 지들 독자적 전술 방향을 못잡아 러시아 따라하기를 하는거 같습니다.

    • @1108aolt
      @1108aolt ปีที่แล้ว +1

      ​@@dennythedavinchi3832 그 예시가 현무5나 ktssm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