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점수 끌어올린 '이것'이 결국 입시 성공 좌우한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9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

  • @육퇴한밤
    @육퇴한밤  7 วันที่ผ่านมา +7

    🎵 배혜림&박은선 선생님 인터뷰 순서
    00:00 하이라이트
    00:27 배혜림&박은선 선생님 인사&소개
    00:43 ‘국어 최상위권’ 학생들 특징은?
    01:43 고등학생이 초·중학교 때 안 해서 후회한 것
    03:25 국어 최상위권 이끌어주는《SKY 입시생 중등 필독서》
    05:33 중등 3년, 100권 읽으면 국어 점수 달라진다?
    06:10 국어 점수 끌어올리는 ‘수필·시·소설’ 읽는 법
    09:40 사춘기 자녀에게 문학책 읽히는 방법
    11:50 핵심을 꿰뚫는 ‘비문학’ 공부법
    13:12 현직 국어 교사가 권하는 문학책
    15:08 현직 중학교 교사가 추천하는 비문학 책
    16:43 성적 끌어올리는 ‘책 읽기’ 방법은 따로 있다?
    18:57 아이와 함께 성장하고 싶은 육퇴한 밤 부모님께

  • @user-ip9xf9qw1m
    @user-ip9xf9qw1m 7 วันที่ผ่านมา +13

    고등학생되면 책읽을 시간이 정말 없더라구요~~ 중등때 읽을 필독서를 꼭 읽으시는게 시간낭비없이 알차게 독서하는 방법중 하나일건데 효율적인 독서 서적을 추천해주셨네요 저희 아이는 지난간 시절이지만 또한번 되새기고 지금에 충실하려고 시청했어요 중학교때는 왜 유투브로 학부모 공부를 안했는지 이제야 열심히 하고있어요 이런 귀한 내용을 집에서 볼수있다니 너무 감사합니다!!

    • @육퇴한밤
      @육퇴한밤  7 วันที่ผ่านมา

      육아 선배님께서 이렇게 소중한 경험담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말씀 꼭 기억하고, 아이 중등 때 효율적인 독서 실천해보고 싶습니다.
      귀하게 여겨주신 마음은 저희 육퇴한밤 제작진 어깨를 토닥토닥 격려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

  • @정선희-l4f
    @정선희-l4f 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중등 아이는 영화 보기 전에 원작을 읽어요. 소설은 작가의 실감나는 표현력을 통해, 상상할 수 있는 면이 있어서 더 좋다고 하네요. 독서하고 나서 자신만의 생각 쓰는 습관은 초등3년부터 길러줬어요.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통해 중학교 입학하면서, 진로도 찾아서, 독서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육퇴한밤
      @육퇴한밤  5 วันที่ผ่านมา

      우와! 중학생 자녀분이 원작을 먼저 읽으신다니 조금만 부러워하겠습니다. :)
      초등학교 때부터 도움주신 덕분에 독서 습관이 빛나고 있네요. (또 부러워하겠습니다^^) 소중한 경험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육퇴한밤
    @육퇴한밤  7 วันที่ผ่านมา +1

    박은선&배혜림 선생님이 꽉 채워 담은 필독서 50권 구매하기
    📚《SKY 입시생 중등 필독서》구매하기 bit.ly/4hGxezV

  • @공모주투자-n6u
    @공모주투자-n6u 7 วันที่ผ่านมา +9

    지금의 어린 학생들에게 독서를 요구하는것 자체가 사실.. 무리수에 가깝습니다. 육퇴한밤도 그러면 책으로만 내시는게 어떻겠어요? 말이 안되죠?
    유투브는 이제 필수품이 되었거든요. 말이 쉽지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 가기에는 이제 세상이 너무 바뀌었어요
    차라리 가족과 많은 대화를 나누고, 그날 배운것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특히 아이들이 좋아하는 주제에 대해서 같이 수다 떨고 토론해주는 것..
    그게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그런 아이들이 수능에서 추론능력 ( 비문학 3~4번째 문제) 를 잘 푸는 비결이 됩니다.

    • @육퇴한밤
      @육퇴한밤  5 วันที่ผ่านมา

      독서를 우선 순위로 두고 싶은 부모님 마음과 유튜브 세상에 빠져있는 학생들의 현실적인 괴리감 저희도 잘 알고 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창 시절에 '인생 책'을 만날 수 있는 경험을 전해주고 싶다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말씀해 주신 내용처럼 같은 결의 고민을 하고 있는 정상근 기자와 인터뷰를 나눴습니다. 혹시 궁금하시다면, 살펴봐 주세요! :)
      th-cam.com/video/BJM8yBqS9hw/w-d-xo.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