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두를 활용한 SMD 부품 납땜 제거 방법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6 ก.ย. 2021
  • 부품의 각 패드들에 굳어 있는 납들을 인두를 이용해 녹인 후, 각 납들이 다시 굳기 전에 부품을 제거하면 PCB에서 SMD 부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납땜제거 #SMD납땜 #SMD부품제거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62

  • @lwforce1
    @lwforce1 ปีที่แล้ว +1

    인두기가 좋아야 가능한 팁이지만 잘 배우고 갑니다

  • @iron-lee
    @iron-lee 2 ปีที่แล้ว +9

    SMT업체입니다, 이런 rework작업시 적은사이즈 chip은 인두기가 편하고, 양방향 큰사이즈(전해, 텐탈, 그리고 사이즈 작은 SOP등)은 인두기 2개로 하는게 편하고 사각방향(QFP,QFN,QFJ,BGA..등은 히터건이 편해요) 그래도 인두한개로 너무 잘하시네요~👍🏻👍🏻

    • @uio86a
      @uio86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트북 메모리를 일자드라이버로 넣다가 메모리위의 아주작은 직사각형 3개를 날려버렸는데..그걸 캐패시터라고 하던데 그걸 날려버린상태로 꽂고 사용하면 컴퓨터 전체가 문제생길수잇나요 무조건 고쳐야하나요...

  • @sm07sw06
    @sm07sw06 2 ปีที่แล้ว +1

    납땜도 잘하시네요

  • @user-dn1xw2fq9p
    @user-dn1xw2fq9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잘보았습니다.이론만 잘하시는줄 알았는데 실제 경험도 대단하십니다.

    • @LUDVIKPOWER
      @LUDVIKPOWE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항상 하드웨어를 다루다보니 책상에서 할 수 있는 어지간한 작업은 모두 하고 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행복한 저녁 보내세요.

  • @skymoon4348
    @skymoon4348 ปีที่แล้ว +1

    이건 예술입니다

    • @jovian28791
      @jovian2879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매일 해보시면 그런 생각 안드실겁니다.

  • @user-ed3im9ji1g
    @user-ed3im9ji1g 2 ปีที่แล้ว +2

    😄최고입니다~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 @user-tc4iu5eb3t
    @user-tc4iu5eb3t 2 ปีที่แล้ว +6

    왠만하면 히팅건쓰는게 정신건강에 좋아요 ㅎㅎ
    인두기로때면 가끔 패턴이 떨어지는경우도 있고 솔더마스크가 벗겨지기도 해요.
    루드비크님 잘때시네요 ^^b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1

      예 맞습니다 ㅎㅎ 열풍기가 속편하죠. 감사합니다 ^^

  • @user-rd2li1ig7e
    @user-rd2li1ig7e ปีที่แล้ว

    열풍기로 전체적인 온도를 높이고 온도가 떨어지지 않게 하면서 인두기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거하면 좋습니다.

  • @user-gd9cx5to8l
    @user-gd9cx5to8l 2 ปีที่แล้ว +1

    표현 개웃기넼ㅋㅋㅋㅋㅋ "이렇게 한번, 두 번 지지다 보면은요 부품이 춤을 추거든요."

  • @user-uf4wl2fh3u
    @user-uf4wl2fh3u 2 ปีที่แล้ว +3

    잘 안된다고 너무 오래 지지고 있으면 안됩니다!!
    패턴 다 뜯겨나와요 ㅠ
    평소랑 다른 냄새가 난다면 주의들 하시기바랍니다...
    패턴 뜯겨나올때 나는 특유의 냄새가 있거든요 ㅋㅋ

  • @om_WHAT
    @om_WHA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이고~정말 노가다 하셨네요? 아마도 이런 방식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몸소 보여주시기 위한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열풍기로 제거하는 것이 쉽겠죠?
    혹시 열풍기가 망가졌거나 사용하기 힘들면,굵은 구리선을 SMD 사각형에 마추어서 놓고 그 위에 납을 입히고 칩을 들어내면,
    아마도 열풍기 사용할때 정도의 속도가 나올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LUDVIKPOWER
      @LUDVIKPOW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영상 촬영 당시에는 열풍기가 없기도 했고 인두를 이용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자는 생각으로 촬영을 하게 되었습니다 ㅎㅎ 역시 좋은 장비가 답입니다. 행복한 저녁 보내세요.

  • @ZELLO_LTE_WALKIETALKIE
    @ZELLO_LTE_WALKIETALKIE ปีที่แล้ว +1

    그래서 열풍기를 써야함. 4면이 있는 것은 죽어라 해도 안떨어짐. 특히 심카드 슬롯 같은것.

  • @user-rl8pv6tn8m
    @user-rl8pv6tn8m ปีที่แล้ว

    루드비크님 영상 잘 봤습니다. 이거 보고 레귤레이터 납땜 제거 시도하다가 기판 패턴 나가서 새로 구입을 했습니다. 전 아직 초보이고 인두기가 후져서 안되는 것 같습니다. ~~

    • @LUDVIKPOWER
      @LUDVIKPOWER  ปีที่แล้ว

      에고 ㅎㅎ 하시다 보면 차차 나아지실거에요~ 인두의 성능도 물론 영향을 많이 줍니다. 간간히 참고 영상 업로드하겠습니다.

  • @user-hn9rf3sz6j
    @user-hn9rf3sz6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봤습니다.
    묘기내요.

  • @Summit-Trader
    @Summit-Trade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혹시 스텝모터가 메인 전원이 차단된 후 충전된 슈퍼캐패시터에 의해 동작을 마무리해야 할 때 이 콘덴서가 얼마 못가 망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Shrek-Shrek-Shrek
    @Shrek-Shrek-Shrek 2 ปีที่แล้ว +4

    이게, SMD 부품이 본드로 처리 된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조심 해야 합니다.

  • @smh2890
    @smh2890 2 ปีที่แล้ว

    나도 칼팁 까지 사서 인두기에 달았지만 인두기가 초딩때 산거라서 온도가 다이소꺼랑 비슷한데 인두기 출력이 높은걸 써야하나요? 한참 달궈지고 사용해도 영상처럼 납이 쉽게 안녹아서 여쭤봅니다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인두기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pcb 특성 상 그럴 수도 있는데, 인두기가 오래된 거라면 인두기 문제에 있을 가능성이 크니 일단 새 인두를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Sangun728
    @Sangun728 2 ปีที่แล้ว

    구형 컴퓨터 메인보드에 달려있는 DPAK 타입 FET 손상 없이 떼어내는 방법 알려주세요. 드레인이 두꺼운 납땜되어 있어서 손상 없이 떼어내기 엄청 어려움. 열풍기 온도 세팅, 핫플레이트를 쓸 경우 온도 설정 등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1

      적당한 PCB가 손에 들어오게 되면 준비해보겠습니다 ㅎㅎ

  • @SuicideAngle
    @SuicideAngl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선생님 항상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회로에서 d9329a가 타서 교환을 하려 합니다.
    이 경우 솔더윅을 사용해서 제거해도 큰 문제가 없을까요?
    아직 기술이 모자라 패턴이 떨어질까 걱정이 되네요

    • @LUDVIKPOWER
      @LUDVIKPOWE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네 8핀 ic 정도면 쉽게 제거하실 수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숙련도가 부족하시면 조금 어려우실 수도 있습니다.
      양쪽을 빠르게 인두로 열을 가해주면서 핀셋으로 들어내시면 됩니다.

  • @SunAtPensacola
    @SunAtPensacola 2 ปีที่แล้ว

    부품들 재사용 가능한가요?
    열에의한 손상이라든지 또는 제거시 땜납으로인한 핀들 단락문제라든지.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충분히 재사용가능합니다. 핀 단락은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다만 MCU의 경우 작업을 하다보면 열이 많이 가해져 재사용을 안하는 면이 좋습니다.

  • @plus10per-tacer95
    @plus10per-tacer95 2 ปีที่แล้ว

    64핀짜리 뗄땐 열풍기 있어야 겐네여 ..ㅋ 영상 잘봤음다.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ㅎㅎ 핀셋을 일찍 이용했으면 더 쉽게 제거했을텐데 조금 걸렸네요.

  • @Sangun728
    @Sangun728 2 ปีที่แล้ว +1

    좁은 공간에 있는 SMD 전해콘덴서 손상 없이 제거하는 방법도 알려주세요

    • @user-tc4iu5eb3t
      @user-tc4iu5eb3t 2 ปีที่แล้ว

      뒷면에히팅건으로 가열해서 제거하는방법도 있는데..반대면에 부품이 있으면 이방법을 사용하기 힘들죠..
      뽀족팁으로 하나씩 다리를 들어올려서 제거해야죠..근데 다른부품에 끼여서 이것도힘들다면... 다른부품을때고 해야죠..;;

    • @om_WHAT
      @om_WHA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MD 전해콘덴서는 대부분 전원용이라서..롱노우즈로 비틀어서 다리를 분질르고,그리고 남아있는 다리부분을 인두로 제거하면 됩니다. 제거할 콘덴서는 어차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서 손상되어도 상관이 없을때..
      저도 처음에는 인두 두개로 사용했더랬는데..요즘은 그냥 손상시켜서 제거합니다..ㅎㅎㅎ
      그런데 콘덴서에 연결된 패턴이 작으면 좀 고민해봐야 합니다. 패턴이 일어날 수 있고, 손상될 수 있으니까요~
      감사합니다^^

  • @ttii3999
    @ttii3999 2 ปีที่แล้ว +1

    코팅 액체 처럼 번쩍 거리는 윤활유같은게 나오는데 뭐를 바르신건가요?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저는 작업 시 유연납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무엇을 바른 것은 아니며, 납에 스탠드 빛이 반사되어 반짝거리는 것처럼 보입니다 ^^

    • @user-rq8ix6zm6q
      @user-rq8ix6zm6q 2 ปีที่แล้ว

      플럭스라고 납땜용 납 안에 일정량 들어있습니다

  • @jeongxgong2082
    @jeongxgong2082 ปีที่แล้ว

    인두기를 2개 동시에 (왼손 오른손 ) 사용하면 2배 빠를 듯.

  • @uio86a
    @uio86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트북 메모리를 일자드라이버로 넣다가 메모리위의 아주작은 직사각형 3개를 날려버렸는데..그걸 캐패시터라고 하던데 그걸 날려버린상태로 꽂고 사용하면 컴퓨터 전체가 문제생길수잇나요 무조건 고쳐야하나요...

    • @LUDVIKPOWER
      @LUDVIKPOW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네 반드시 교체한 후 사용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 @user-pf1up9es9t
    @user-pf1up9es9t ปีที่แล้ว +1

    혹시 인두기 몇도 셋팅하셨나요??

    • @LUDVIKPOWER
      @LUDVIKPOWER  ปีที่แล้ว +1

      저의 인두기를 기준으로 영상의 MCU 를 제거할 당시 380-400도 사이로 세팅했습니다.

    • @user-pf1up9es9t
      @user-pf1up9es9t ปีที่แล้ว

      @@LUDVIKPOWER 네 감사합니다 ^^

  • @anjwado
    @anjwado 2 ปีที่แล้ว

    칼팁 달린 초급자용 가성비 좋은 인두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저는 국산 아림 인두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인두기가 팁은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

  • @user-mm6cg5tx3l
    @user-mm6cg5tx3l ปีที่แล้ว

    납땜인두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 @LUDVIKPOWER
      @LUDVIKPOWER  ปีที่แล้ว

      개인적으로, 국내 기술 발전에 협조한다는 생각으로 아림 사의 인두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4~5년 이상 사용하며 인두팁은 1번 교체했고 이상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매해서 사용하신다면 알리 중국산 인두기는 비추천해드리며, 가격대가 있는 하코나 웰러 제품도 좋습니다 ^^
      후회없는 선택을 원하시면 비용을 조금 들여서 하코/웰러/아림 제품 추천합니다.

  • @user-ru6yf6rf5y
    @user-ru6yf6rf5y 2 ปีที่แล้ว

    납을 녹여서 쭉 바르면 쇼트는 안나나요?? 썡초보라서 질문 드려요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네 쇼트가 생깁니다.
      하지만 영상에서 다루는 것은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품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므로, 쇼트가 나도 상관없습니다 ^^

    • @user-ru6yf6rf5y
      @user-ru6yf6rf5y 2 ปีที่แล้ว

      @@LUDVIKPOWER 네 감사합니다 땝린이라서 어제 바로 메인보드 날려 먹었습니다 .^^

  • @xypd
    @xyp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미지센서도 동일하게제거가능한가요?

    • @user-qn5ge2qv5s
      @user-qn5ge2qv5s 12 วันที่ผ่านมา

      납땜 해보신 경험이 많이 없으시다면 저거 그냥 쇼케이스라고 생각하세요
      개인적으로 추천 드라지면 공업용 열풍기(X) 말고 리웍용 열풍기(O)로 작업하시는게 좋아요
      그런데 리웍용 열풍기는 가격이 좀 되서 개인이 사서 사용하기에는 좀 무리기는 한데
      하코꺼는 90만원대 정도 하고 타사 저렴한 거는 40만원 전후로 본것 같네요
      좀 많이 연습하셨다는 공업용 열풍기도 사용 가능한데.. 공업용 열풍기들은(드라이기 처럼 생긴...주로 보쉬를 많이 사용하죠) 고온에서 풍량이 세서
      주변 부품에 캡톤 테이프 좀 붙여 놓고 하면 되기도 하지만 추천하기는 그렇네요.

  • @playmusic877
    @playmusic87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md 현장 작업자입니다.
    혹시 쇼트제거방법도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 @LUDVIKPOWER
      @LUDVIKPOWE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중력을 이용해 기판을 살짝 기울인 상태에서, 인두로 빨아들인다는 느낌으로 작업하시면 쇼트난 부분들을 쉽게 제거하실 수 있습니다.

  • @JUN--nu4ov
    @JUN--nu4ov 2 ปีที่แล้ว

    인두기 온도는 얼마를 사용했습니까?

    • @LUDVIKPOWER
      @LUDVIKPOWER  2 ปีที่แล้ว

      인두기에서 가리키는 온도 상으로는 400도인데, 사용한 지 오래된 인두기라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

  •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20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냥 열풍기 쓰자 저러다가 패턴 일어나거나 동판 떨어지면 일만 많아진다.

  • @jeongxgong2082
    @jeongxgong2082 ปีที่แล้ว

    열 때문에, PCB 회로가 고장 나지 않을까요?

    • @LUDVIKPOWER
      @LUDVIKPOWER  ปีที่แล้ว

      너무 작업이 길어지면 pcb가 휘거나 고장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