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미국만 이상한 단위를 사용할까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1 ส.ค. 2022
  •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미터법쓰세요제발
  • ตลก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2K

  • @user-rp1ng2cc4h
    @user-rp1ng2cc4h ปีที่แล้ว +2150

    한국계량측정협회가 이 영상을 애정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1959년 미터협약에 가입하였으며, 1964년 계량법에 따라 미터법을 전면 실시했습니다!

    • @nannana777
      @nannana777 ปีที่แล้ว +127

      고맙읍니다..!!

    • @oonm3288
      @oonm3288 ปีที่แล้ว +79

      근데 자격증 공부할 땐
      왜 싹 다 외워서 변환해야하나여 ㅠㅠㅠ

    • @PC_OverClock
      @PC_OverClock ปีที่แล้ว +243

      @@oonm3288 누군가는 불합격 시켜야 하니까요.

    • @oonm3288
      @oonm3288 ปีที่แล้ว +67

      @@PC_OverClock 아하 !
      합격 점수 커트라인을 높히고
      실무나 실질적으로 쓰는 기술이나 용어로 분별력 시행했으면 좋겠네요 ㅠㅠ

    • @Mick_S_kopee
      @Mick_S_kopee ปีที่แล้ว +17

      이게 나라지 ㅋㅋㅋㅋ

  • @Mick_S_kopee
    @Mick_S_kopee ปีที่แล้ว +175

    섭씨 4도에서 물 1리터는 1kg이고 물 1리터를 1도 올리기 위한 열량은 1Kcal이고, 1도는 물의 어는점과 끓는 점의 1/100에 해당한다. 미국식 단위계로 물 1갤런을 화씨 1도 올리기 위해 필요한 열량의 답은 ㅈ까라인데, 미국의 단위계에선 그 어떠한 연관점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 @Qwerty_-vx5gz
      @Qwerty_-vx5gz ปีที่แล้ว +8

      그러고보니 물을 기준으로 하는게 많네요

    • @diamolee559
      @diamolee559 ปีที่แล้ว +45

      그러니 미국 과학자도 비과학적인 단위라고 함.

    • @diamolee559
      @diamolee559 ปีที่แล้ว +22

      물 1리터는 10cm입방

    • @Mick_S_kopee
      @Mick_S_kopee ปีที่แล้ว +32

      @@diamolee559 아...너무 깔끔하다...이게 단위지

    • @khackers
      @khackers ปีที่แล้ว +13

      그거 오래된 정의임.
      요즘 cal은 J을 기준으로 다시 잡음.
      kg은 길이와 시간을 기준으로 다시잡고.

  • @PositivePossum518
    @PositivePossum518 ปีที่แล้ว +338

    미국에서 11년 살고 약사로 일하다 왔는데 평소엔 화씨 파운드 야드 마일 쓰면서 또 과학,수학이나 또 대학 과정 중에 약물조제 등 관련해서는 또 국제공통단위 씀. 고등학교때부터 대학교 사회생활 미국 생활 내내 단위환산에 시달림 ㅅㅂ 미국 단위 개빡침.

    • @jaelee2633
      @jaelee2633 ปีที่แล้ว +1

      저도 지금 미국서 약사생활 중인데 한국 가서 살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잠시 스쳐갔어요. 혹시 미국 시민권자 이신가요? 한국은 어떤 계기로 돌아 가셨으며 미국 약사 였으면 한국서 어떤 일들을 할 수 있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PositivePossum518
      @PositivePossum518 ปีที่แล้ว +10

      @Jonh Burr 파운드보다 작은 단위로 온스 같은거도 있음. 굳이 그렇게 큰 분수로 나타내지 않아도 됨. 내 말의 요지는 굳이 표준 국제단위 쓸거면 왜 실생활에선 왜 파운드, 온스, 이딴 지들만 쓰는 단위를 고집하냐고 ㅋㅋ

    • @javaxerjack
      @javaxerjack ปีที่แล้ว +1

      진짜 신기한건 과학은 SI단위죠.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 ปีที่แล้ว

      @Jonh Burr 3.3온스 달라고 하지...ㅋㅋ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 ปีที่แล้ว +2

      @Jonh Burr 미국이 빨리 si체계를 받아들여야지....
      10진법 세상에서 쟤들은 뭐하는짓인지...쿼터 타령을 하질 않나..12인치가 1야드라 하질 않나..

  • @soience.6864
    @soience.6864 ปีที่แล้ว +649

    진짜 시간은 시분초 써줘서 감사하다..

    • @user-os8kh1oz3o
      @user-os8kh1oz3o ปีที่แล้ว +141

      ㅋㅋㅋㅋㅋㅋㅋㅋ잠깐 상상했는데 개끔찍하다 진짜ㅋㅋㅋㅋㅋㅋ

    • @user-de6sr1tj3m
      @user-de6sr1tj3m ปีที่แล้ว +19

      시간은 왜 10진법으로 만들수 없었나??

    • @mchoi-amateur-pianist
      @mchoi-amateur-pianist ปีที่แล้ว +97

      아 근데 미국에서 날짜를 월 일 년 순으로 씀... 개빡쳐요. 어떤사람은 일 월 년 순으로 씀. 날짜 적을때마다 읽는 사람이 순서 바꿔읽어서 잘못될까봐 스트레스 댕받음… 이것때문에 뭔가 파일정리나 엑셀같은거 날짜순서로 하기 힘듦…

    • @mchoi-amateur-pianist
      @mchoi-amateur-pianist ปีที่แล้ว +54

      예를 들면 오늘 날짜 2022년 8월 12일을 08/12/22로 적음... 심지어 년도 앞자리 수 두개 생략 ㅋㅋㅋㅋ

    • @user-dt2mq5vl5l
      @user-dt2mq5vl5l ปีที่แล้ว +6

      @@mchoi-amateur-pianist 영귝은 일월년이죠 ㅋㅋ

  • @mkim0713
    @mkim0713 ปีที่แล้ว +189

    미국 메디컬 쪽에서 10년 넘게 일해서 미국 온 순간부터 단위환산 해서 이제는 다른 두 체계의 단위가 다 익숙한 입장에서 봐도 SI단위가 백만배는 합리적입니다. 문제는 미국에들이 쓰는 단위 내에서도 정확한 변환이 안 되는 매우 비합리적인 단위란 것... 예를들어 인치와 피트만 해도 대충 12 inch=1ft 로 쓰나 딱 떨어지지 않음...

    • @H0NGYUN
      @H0NGYUN ปีที่แล้ว +13

      이차원, 거기서 삼차원단위로 넘어가는 순간 서로가 아예 호환이 안되는....

    • @jungmeeyoun9512
      @jungmeeyoun9512 ปีที่แล้ว +13

      저는 미국애서 치과의사 하고 있는데 치아 numbering system도 미국만 다르게 씁니다.

    • @mkim0713
      @mkim0713 ปีที่แล้ว +10

      @@H0NGYUN 미국 애들 쓰는 2차원 3차원 단위도 있는데.. ft 가 2차원이면 sq ft, 3차원은 cu ft인데 문제는 이렇게 나가면 SI단위로 변환이 더 어려워지죠.. 암산은 거의 불가능한..

  • @user-mq3vg6ge7j
    @user-mq3vg6ge7j ปีที่แล้ว +253

    공학도 입장에서는 진짜 미칩니다 ㅋㅋㅋㅋㅋ 화씨온도랑 파운드 인치 피트 그거까지는 괜차나! 그럴 수 있어!!
    그런데 단일 단위를 서로 복합시켜서 보는 압력이랑 에너지 같은 개념까지 이악물고 이상한 단위 쓰는 거 보면 매우 화납니다.
    Pa 대신 psi를 쓴다던가 cal 대신 btu를 쓴다던가

    • @jiyun-wj1gr
      @jiyun-wj1gr ปีที่แล้ว +36

      진짜 짜증나 죽겠어요
      계산값 결과가 이상하게 나와서 머리싸매고있는데
      수치 하나 단위가 다른거 발견하는순간 전과하고 싶더라고요

    • @blanc5522
      @blanc5522 ปีที่แล้ว +14

      진짜 cal이랑 btu 보면 개빡침 ㅋㅋ 걍 1/4이라는 단어로 치환해서 봐야 일상생활가능

    • @user-hb3vi7go3r
      @user-hb3vi7go3r ปีที่แล้ว +9

      이 악물고 라는 거 왤케 웃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pr9lu9uu7k
      @user-pr9lu9uu7k ปีที่แล้ว +5

      ㄹㅇ btu psi 딮빡 ㅡㅡ

    • @YUNJUNGHUN
      @YUNJUNGHUN ปีที่แล้ว +26

      기계공학과는 시간빼고 거의 모든 물리량의 단위를 바꿔서 써야되는 수준ㅋㅋ

  • @sjjfh3j48js
    @sjjfh3j48js ปีที่แล้ว +97

    미국에서 미터법을 쓰는 사람은 세 부류라고 하죠. 과학자, 해외에서 온 이주자, 그리고 마약거래상...

    •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ปีที่แล้ว

      마지막은 왜 그런거에요?

    • @blanc5522
      @blanc5522 ปีที่แล้ว +16

      @@user-ul3tq9pb8j 정량..

    • @user-yf9uk9xz7c
      @user-yf9uk9xz7c ปีที่แล้ว +16

      @@user-ul3tq9pb8j 마약은 국제거래(?)가 활발하고 보통 생산지가 미국 바깥이라 그런거 아닐까요?

    • @sjjfh3j48js
      @sjjfh3j48js ปีที่แล้ว +17

      @@user-ul3tq9pb8j 마약은 한번 사용하는 량이 매우 적고 거래도 극소량 단위로 이루어지는데, 미국에서 사용하는 단위계는 미세한 무게를 다루는데 적합하지 않죠. 가장 작은 단위가 온스인데, 이게 약 28g정도입니다. 그리고 애초에 남미에서 들여올때부터 g, kg단위로 패키징해서 들어오기 때문에 이걸 이어서 사용하는게 편하기도 하고요.

    • @user-go7mr6jh3m
      @user-go7mr6jh3m ปีที่แล้ว +6

      @@user-ul3tq9pb8j 마약 제조도 과학이라서

  • @TH-jm6qk
    @TH-jm6qk ปีที่แล้ว +239

    미국이 자기들끼리만 쓰면 마일을 쓰든 피트쓰든 상관없는데 문제는 온갖 논문에서 지들 단위를 고집하니까 논문보기가 싫어집니다
    근데 쓸만한 데이터는 많아요 공대생들은 눈물을 흘리며 계산기를 두드리다가 어느순간 외우게 됩니다

    • @kaps92a95
      @kaps92a95 ปีที่แล้ว +78

      자기들도 저 단위 때문에 우주선 날려 먹고 사람 죽게 만들었는데도 안고치는거 보면 미국인들도 정치인들 선동이 잘 통하는 나라라고 봄;

    • @izumiaco5079
      @izumiaco5079 ปีที่แล้ว +10

      결국 미국이 슈퍼갑이기때문에 별 수 없습니다..

    • @user-kr6ss5wx7t
      @user-kr6ss5wx7t ปีที่แล้ว +13

      @@kaps92a95 네 다음 광우병

    • @kaps92a95
      @kaps92a95 ปีที่แล้ว +35

      @@user-kr6ss5wx7t 미국이 평균적으로는 한국 보다 지식 수준이 낮다고 생각함

    • @Caroong_
      @Caroong_ ปีที่แล้ว +2

      자연과학에선 그런게 좀 적은듯. 기상 기후쪽 대학원 다닐때 논문읽으면 다 섭씨쓰고 미터 잘만 씀

  • @NADA--NADA.
    @NADA--NADA. ปีที่แล้ว +442

    이공계 대학생들 진짜 공감하는 이야기일듯 예전에 문제풀때 미국책 번역한건 단위도 저래서 바꾸는 것도 귀찮았는데

    • @user-du2fu4gt7m
      @user-du2fu4gt7m ปีที่แล้ว +79

      특히나 항공우주공학과 학생이면 짜증날 정도가 아니라 증오스러울 정도입니다.

    • @user-pw9xp8qx2c
      @user-pw9xp8qx2c ปีที่แล้ว +17

      SI unit 변역으로 공부했지만 미국 단위는 알 수밖에 없었죠.. 원문도 솔류션도 파운드 인치기에ㅋㅋ

    • @no3arch387
      @no3arch387 ปีที่แล้ว +17

      @@user-pw9xp8qx2c 개빡침 특히 파운드/파운드힘 관련 계산때 중력가속도는 ㅋㅋㅋ 시간도 없어죽겠는데

    • @user-gn4me7ni7q
      @user-gn4me7ni7q ปีที่แล้ว +1

      @@user-du2fu4gt7m 일반 공대랑은 뭐가다른가용?

    • @Generallee85
      @Generallee85 ปีที่แล้ว +9

      미국사는 기계설계자 입니다.
      단위 변환하는거 일상입니다ㅠㅠ

  • @user-in8ui9xy7z
    @user-in8ui9xy7z ปีที่แล้ว +578

    완전 공감해요 한국에서 미국간호사 공부중인데 약물계산할때마다 영아 몸무게 파운드로 나와서 영아 몸무게 할때마다 2.2나누기하고 환자 교육중에 갤런 나오고 진짜 어렵네요😭

    • @wkim3114
      @wkim3114 ปีที่แล้ว +22

      호주가세여 시간당 사만원

    • @outkast8648
      @outkast8648 ปีที่แล้ว +17

      저도 미국간호사 목표로 간호학과 진학하려는 고2인데 먼가 반갑네요 ㅋㅋ

    • @markshin4760
      @markshin4760 ปีที่แล้ว +4

      미국 간호사 좋져. 월급쟁이 끝판왕 급.

    • @lohag4313
      @lohag4313 ปีที่แล้ว +85

      미국 NICU 간호사입니다 영아 몸무게 그램으로 바꿔서 약 계산하고 다시 파운드로 바꿔서 부모님 알려드립니다 키, 배 둘레, 머리 둘레 다 cm 쓰고, 체온은 또 화씨
      마시는 물을 온스인데, 링겔은 ml 써요 일할때도 그렇고 시험볼때도 그랬던 것 같아요
      정말 비효율적이긴해요. 공부하시는 분들 힘내세요 :)

    • @dck1234
      @dck1234 ปีที่แล้ว +2

      @@wkim3114 엘에이는 시간당 65불

  • @user-im4gb7ef5z
    @user-im4gb7ef5z ปีที่แล้ว +30

    소소한 TMI) 항공 분야에서 중국과 러시아 등 항공기 고도를 미터로 지시하는 국가들이 몇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국가들 영공을 통과할 계획이면 피트를 미터로 변환한 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물론 조종사 정면에 있는 PFD(Primary Flight Display)의 고도계에서 현재 고도인 피트값과 미터로 환산한 값을 같이 표기해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 @-HKKang
    @-HKKang ปีที่แล้ว +15

    C=5/9*(F-32) 는 일반화학 공부할 때도 그렇고 책에서 지겹도록 나와 있다보니 아예 외웠습니다... 영어 원서로 공부했을 때 첫 챕터 들어가기 전이 (0챕터 개념) 단위 환산법 같은거 나오던데, 위의 영상과 연관되어 있는게 아닌 지 생각해 보게 되네요.

  • @dannyjang9952
    @dannyjang9952 ปีที่แล้ว +92

    미국에 16년째 살고 있지만, 언어와 문화는 그렇다쳐도 저 거지같은 단위들 때문에 난감할때가 종종 있음. 현지인들도 다 싫어하는데 왜 안 바꾸는지 모르겠음.

    • @physically9.81
      @physically9.81 ปีที่แล้ว +4

      돈때문이라고 하네요. 상업적인 이유가 있다고 예전에 어디서 읽었어요

    • @emperor68188
      @emperor68188 ปีที่แล้ว

      @@user-nb7oh1zq2g 야드하고 파운드가 문화냐 어휴 생각하는 것도 참.

    • @highskynomad
      @highskynomad ปีที่แล้ว

      @@user-nb7oh1zq2g 현지인들도 싫어한다잖아.. 혹시 좀 모자람?

    • @jungminson5884
      @jungminson5884 ปีที่แล้ว +1

      @@user-nb7oh1zq2g자국이기주의에 닉부터 천박

    • @silvermoon21c
      @silvermoon21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nb7oh1zq2g 이건 자기 나라의 언어와 문화적 차이떄문이 아닙니다. 왜 전세계에서 자기네 단위를 버리고 미터법을 적용했는지 문제파악을 못 하시네요.
      만약 현대차를 샀는데 현대에서 파는 엔진오일이나, 필터, 타이어만 끼워야 된다고 생각해 보세요. 또는 TV를 샀는데 엘지제품은 110볼트 50Hz에서 작동하고, 애플 아이폰은 110볼트 60hz 에서만 작동하며, 삼성에서 산 갤럭시폰은 충전이 220볼트 60hz 이고 그 전기를 얻을려면 삼성 건설에서 지은 집에 살아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 @namel9993
    @namel9993 ปีที่แล้ว +173

    제일 문제인 것은 질량과 무게 단위입니다. kg은 질량 단위이고, lb는 무게 단위여서, 과학 계산에서 실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Sky-Free
      @Sky-Free ปีที่แล้ว +28

      심지어 lb는 lbm, lbf로 나뉘어져 있고, 둘은 전혀 관련이 없다는 것도 함정이죠 ㅋㅋㅋ

    • @user-fw6tz8gf9d
      @user-fw6tz8gf9d ปีที่แล้ว +48

      gal mile ft 다 문제없음 계산만하면 됨
      그런데 디테일한 설계들어가면 미침
      2mm를 대체할 미국 단위가 없음
      심지어 인치는 소숫점 10진수 0.1 in가 아니고 1/32 in 1/256 이러고있음 개빡침

    • @user-he7by3cy2w
      @user-he7by3cy2w ปีที่แล้ว

      Lb는 많이들 아는것이라... 왜 미국만 석유를 갤런 으로 표기하나요.

    • @user-bk2wt3ic2y
      @user-bk2wt3ic2y ปีที่แล้ว +1

      @@user-fw6tz8gf9d 공감합니다. 북미에서 설계사로 일하고있는데 fraction 수치 입력할때 골때립니다. 무조건 테이블보고 transit해서 다시 metric으로 바꾸고 계산해야됩니다;

  • @gamevideochannel1550
    @gamevideochannel1550 ปีที่แล้ว +9

    이야... 그렇군요 좋은 말씀 잘 듣구 갑니다!

  • @KevinKayLA
    @KevinKayLA ปีที่แล้ว +46

    완전 공감함! 미국 산지 8년째 이고 현재 미군으로 근무하고 있는데, 그놈의 화씨, 피트, 갤런, 온스 아직도 햇갈림.. 이제 마일 적응 됐음

    • @dekkan53
      @dekkan53 ปีที่แล้ว +1

      온스는 아직 저도 감이안오네요. 피트는 대충 발크기 생각하면서 적응 합니다 ㅎㅎ

    • @jungmeeyoun9512
      @jungmeeyoun9512 ปีที่แล้ว +2

      전 화씨 적응요! 오히려 이제는 섭씨가 감이 안 와요.. ㅋ

    • @KevinKayLA
      @KevinKayLA ปีที่แล้ว +2

      @@jungmeeyoun9512 ㅎㅎ 저두 적응중 이에요 ㅎㅎ 막 94도야 하면 침나올정도로 덥구나 하고 있어요

    • @cloudy7937
      @cloudy7937 10 วันที่ผ่านมา

      ​@@KevinKayLA 저는 미군 기지에서 근무할 때 친하게 지냈던 미군이 rule of thumb을 알려줬던 기억이 나네요
      0F - _do not leave your house_
      32F - fuck it's cold
      40 - 50F chilly af
      60 - 70F peak hoodie weather
      80F - T shirt and shorts weather
      90F - hot af
      100F - _do not leave your house_

  • @yeinnoh12
    @yeinnoh12 ปีที่แล้ว +33

    건축학과로 미국에 유학 왔는데 도면 스케일 계산할때 미쳐버립니다ㅋㅋ
    미터법은 정비율로 1/500 1/1000 이런식으로 쓰는데 피트법은 1/8인치 = 1피트 요딴식이에요

    • @PepsiZeroSugarLime1012
      @PepsiZeroSugarLime1012 ปีที่แล้ว

      기계설계전공으로 회사에 입사했는데 간혹 영업팀에서 미국회사 제품 받아오면 머리 뽀개집니다 ㅋㅋ 현장에선 그딴건 설계하는 새X들이 알아서 계산해가지고 와야지 이런식이죠 ㅋㅋ 다행히 요즘은 기계가 알아서 인치와 미터를 인식해서 다행인데 처음엔 진짜 머리 뽀개지는줄 알았어요 ㅋㅋ 뭘 계산만하면 소수점 이하가 죄다 3하고 8로 나오는지... ㅋㅋ

  • @taekyuntimkim2698
    @taekyuntimkim2698 ปีที่แล้ว +8

    저도 캐나다에서 물류관리사? logistics coordinator로 일하는데 선적서류 화물 무게를 항상 kg, lb둘다 써야되요.. 미국으로 수출도해서 미국갈땐 oz도 표시해야되고 헷갈려 죽겟어요

  • @sanghyupson
    @sanghyupson ปีที่แล้ว +422

    미국대학교 일반화학 기초물리 실험수업 들어가니까 1챕터가 SI 단위 공부였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머가리 깨지는 클래스메이트들을 많이 보았슴미다 ㅋㅋㅋㅋㅋ
    근데 시험문제나 공학쪽에 야드파운드 단위로 숫자를 주고 왔다갔다 계산하라고도 던져줍니다.
    여긴 미친거 같아요.

    • @Kyoungminyshka
      @Kyoungminyshka ปีที่แล้ว +18

      진짜 상상이 안되네ㅋㅋㅋㅋㅋㅋ 다른데선 초딩때 다 배우는건데ㅋㅋㅋㅋㅋㅋ

    • @sanghyupson
      @sanghyupson ปีที่แล้ว +8

      @@user-hy9me3qs2u한국도 고통받는건 비슷한가 보네여 ㄷㄷ

    • @user-kg4uz1qd2j
      @user-kg4uz1qd2j ปีที่แล้ว +15

      @@user-hy9me3qs2u ㄹㅇ 계산다하고 식다적고 단위 꼭 확인해야함 좀 널널한교수면 감점이고 아니면 짤없이 식풀이 부분점수만 받음

    • @sanghyupson
      @sanghyupson ปีที่แล้ว +1

      @여행 아앗...

    • @tiho-nge60r-rttj
      @tiho-nge60r-rttj ปีที่แล้ว +5

      국내 잡대나왔습니다. 시험에서 단위변환 문제가 따로 나온건 아니지만 문제마다 단위변환이 기본적으로 깔려있어서서 변환을 못하면 문제 자체를 못풀게 되어있습니다. 맨날 이거저거 변환하느라 개고생했습니다 특히 kg중 N 이거 ㅡㅡ

  • @Mick_S_kopee
    @Mick_S_kopee ปีที่แล้ว +92

    미국이 야드파운드법을 쓴다는거 자체가 인류의 과학기술발전에 큰 죄를 짓고있는거임ㅋㅋ

  • @hanna0528
    @hanna0528 ปีที่แล้ว +334

    예전에 이 단위를 헷갈려서 여객기에 기름을 반만 넣어서 추락할 뻔 할것을 파일럿이 살려냈다는 영화를 본 기억이 나네요.
    캐나다 사는데 미국영향으로 저도 야드,인치 정도는 익숙해졌어요;;; 온도는 진짜 아무리 봐도 익숙해 지지 않는다는.

    • @mkim0713
      @mkim0713 ปีที่แล้ว +31

      ㅋㅋㅋㅋㅋ기름을 반만 넣어 ㅋㅋㅋㅋㅋㅋ

    • @minkwak
      @minkwak ปีที่แล้ว +86

      에어 캐나다 143편 불시착 사건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실제로 몬트리올에서 경유할때 약 2만 L 를 급유받아야 했는데 이게 파운드로 계산해버려서 실제로는 5천 L밖에 급유가 안되었죠.

    • @user-bu1kq7yw9d
      @user-bu1kq7yw9d ปีที่แล้ว +75

      @@minkwak 1/2도 아니고 1/4이었네ㅋㅋㅋㅋ

    • @user-sr7yh9ll6d
      @user-sr7yh9ll6d ปีที่แล้ว +13

      우주탐사선 폭발한적 있죠

    • @gice591
      @gice591 ปีที่แล้ว +8

      온도는 화씨온도에 32 뺀 다음 1.8로 나누면 섭씨온도나옵니다.

  • @Pra_seodymium
    @Pra_seodymium ปีที่แล้ว +47

    미국... 국방력 자본 신용 모든 걸 가진 국가... 하지만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SI단위계는 가지지 못했지

  • @user-pe9ho9lf9p
    @user-pe9ho9lf9p ปีที่แล้ว +35

    Kg의 단위를 새로 정의할때 빛으로 정의한게 너무 멋있습니다 빛은 우주에서 가장 정확한 자이지요 결국 과학의 발전이 도량형의 발전을 가져왔네요

  • @user-fj2pr7sk7n
    @user-fj2pr7sk7n ปีที่แล้ว +4

    영상 중도에 골치아픈 이야기라서 힘들어서 끝까지 보니 아! 했습니다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daytona3872
    @daytona3872 ปีที่แล้ว +28

    미국에서 유기합성하는데 다행히 섭씨랑 리터 그램씁니다 요즘은 슈퍼에서 파는 물건 용량표기도 괄호로 그램 리터 표시해줘서 좀 나아졌어요

    • @Mick_S_kopee
      @Mick_S_kopee ปีที่แล้ว +4

      인류문명이 차근차근 진화중.... ㅠㅠ

  • @1POST1DAY
    @1POST1DAY ปีที่แล้ว +10

    진짜 솔직한 분이신듯 부럽다..

  • @user-ti4cm1pn6r
    @user-ti4cm1pn6r ปีที่แล้ว +117

    항공, 우주 뿐 아니라 미국 연구소에서 계산된 결과를 받아보면 여전히 in, ft, lb, F 단위를 사용합니다.
    계산을 위해 개발된 코드도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단위는 여전히 British unit입니다.
    그래서 모든 물성치를 (온도, 압력)에서 불러보고 단위를 확인해야 합니다. (2022년 현재)

    • @user-fw6tz8gf9d
      @user-fw6tz8gf9d ปีที่แล้ว +35

      gal mile ft 다 문제없음 계산만하면 됨
      그런데 디테일한 설계들어가면 미침
      2mm를 대체할 미국 단위가 없음
      심지어 인치는 소숫점 10진수 0.1 in가 아니고 1/32 in 1/256 이러고있음 개빡침

    • @Huppuppup
      @Huppuppup ปีที่แล้ว

      이 염병할 미국놈들 1학년때 물리학 전공책 펼치면 si단위 주구장창 설명하고 바로 인치, 파운드 이딴거로 나옴

    • @pudding2501
      @pudding2501 ปีที่แล้ว +4

      @@user-fw6tz8gf9d 진자 개빡침

    • @42_cloud
      @42_cloud ปีที่แล้ว

      @@user-fw6tz8gf9d 인치 분수로 표현하는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8w166
      @y8w166 ปีที่แล้ว

      @@babystepl9642 ㅣ

  • @pocaris
    @pocaris ปีที่แล้ว +134

    가장 글로벌한 국가가 가장 기초적인 단위에 있어서 가장 로컬함을 고집한다는 것이 참 아이러니해요

    • @allem49
      @allem49 ปีที่แล้ว +15

      반대로 생각한다면 훨씬 자유분방하다는 겁니다
      우리나라 같으면 너무 국가위주라 국가에서 바꿔하면 다바꿔야 하는 경직된 체제라면
      미국은 민간에서 부터 시작 된다는 거
      사람들이 많이 쓰고 원하면 자연스럽게 법개정 없이도 유연하게 바뀔수 있는 나라
      그게 지금의 미국을 낳은 거 같음

    • @Bangtang_Aje
      @Bangtang_Aje ปีที่แล้ว

      그럼에도 글로벌한 나라임 ㅋ 그저 적응하는데 몇일 걸리는 단위의 차이임

    • @traditional_airconditioner
      @traditional_airconditioner ปีที่แล้ว +45

      오히려 세계 1위라 가능한 깡 아닐까요? 우리는 편한대로 쓸테니 꼬우면 사서 쓰는 니네가 알아서 맞춰 뭐 그런 느낌 ㅋㅋㅋㅋ

    • @khackers
      @khackers ปีที่แล้ว +7

      @@Bangtang_Aje 문과어서오고

    • @John-em4vf
      @John-em4vf ปีที่แล้ว +17

      @@traditional_airconditioner 저도 여기에 동의합니다 ㅋㅋㅋ 자유분방도 훨씬 효과가 좋거나 어떤 가치가 있으면 이해하겠는데 미국 단위체계는 둘 다 해당사항 없는 것 같은데요. 심지어 단위체계도 다 영국에서 온 건데요.

  • @whkim4
    @whkim4 ปีที่แล้ว +5

    캐나다 항공업계에서 일하는데 거의 모든곳에 인치 파운드 쓰는데 비행기연료량은 또 이상하게 킬로를 쓰더라고여 ㅋㅋ

  • @bluewindow9157
    @bluewindow9157 ปีที่แล้ว +85

    야파법에 익숙하여 편하다는 미국인에게 꼭 “그래서 37인치가 몇 피트고 몇 야드냐?” 를 물어보도록 하자

    • @gabriellagiselle2999
      @gabriellagiselle2999 ปีที่แล้ว +15

      안 그래도 수학 못 하는 민족이라 자조하는 애들한테 ㅋㅋㅋ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ปีที่แล้ว +4

      "계산기 줘"

    • @jaeyounghahn3955
      @jaeyounghahn3955 ปีที่แล้ว

      3피트 조금 넘구요, 1야드 조금 넘네요
      3피트4인치

  • @iraf27
    @iraf27 ปีที่แล้ว +18

    어서빨리 미국 컴퓨터 내 모든 단위를 SI로 자동번역하는 랜섬웨어가 나오면 좋겠어요!

  • @user-mj2se5cs1x
    @user-mj2se5cs1x ปีที่แล้ว +13

    항공 뿐만 아니라 해상에서도 마일을 씁니다
    그런데 이게 또 골때려요 ㅋㅋㅋ
    원래 마일이 1,609m 정도인데
    해상 마일은 1,852m 라서 차이가 있어요

    • @wingz400
      @wingz400 ปีที่แล้ว

      속도도 ....knot 쓰지 않나요...골 때려요 진짜 ;;

  • @PlayerJ1
    @PlayerJ1 ปีที่แล้ว +11

    미국 초등학생들이 섭씨로 물은 0도, 100도인데 화씨는 외우기 너무 어렵다며 불평했던 기억이 납니다 ㅋㅋ

  • @jhlee2910
    @jhlee2910 ปีที่แล้ว +29

    80~90년대 미드나 영화보면 거의 인치, 파운드 어쩌고 하는데,
    2000년대 이후로는 미터, 킬로그램으로 얘기하는 대사가 많이 나오더군요.
    아마 20~30년 안으로 미국도 미터법이 일상 생활에 거의 정착될거 같네요.

    • @dlxorud0216
      @dlxorud0216 ปีที่แล้ว +8

      항공쪽 종사하는데 여긴 변할 생각 없을 것 같아요 ㅋㅋㅋㅠㅠ
      특히 인치는 분수로 돼있어서 아직 감이 안오네요

    • @TONYBOTTLE
      @TONYBOTTLE ปีที่แล้ว

      저랑 다른 미드를 보신듯합니다...

    • @Kibaehero
      @Kibaehero ปีที่แล้ว +1

      마약류 나오는 영화에선 그램 단위를 사용하더라구요 ㅎㅎ

    • @jaeyounghahn3955
      @jaeyounghahn3955 ปีที่แล้ว +2

      외국에 팔아먹어야해서요

  • @hsg9934
    @hsg9934 ปีที่แล้ว +4

    미국에 이민 온지 16년이 되었는데도 아직도 적응이 안되요..ㅋㅋㅋ 운전하니까 마일이랑 갤런, 여기 사니까 매일 접하는 온도(화씨), 마켓가면 무게를 모든 걸 파운드로 파니까 그거, 딱 요 네개 빼고는 적응이 안되네요. 처음엔 화씨가 적응이 안되어서 그냥 섭씨 20도는 화씨 68도, 섭씨 30도는 화씨 86도 이걸 외웠어요. ㅎㅎㅎ

  • @Zan_dali
    @Zan_dali ปีที่แล้ว +4

    저도 미국에서 15년 넘게 살아도 단위들이 바로바로 이해 안되어서 지금은 그냥 둘다 같이 써요.ㅎㅎ
    근데 온도는 아직도 적응하기 힘들어서 폰에다가 날씨를 섭씨로 저장하고 사람들이 오늘 덥네,100도.. 그럼 재빠르게 폰을 킵니다.

  • @Drone0
    @Drone0 ปีที่แล้ว +325

    전에 어떤한국분이 미국의 단위계에 대해 옹호하면서 문화유산으로서 보존시켜야하니까 바꾸면 안된다라고 옹호하며 이야기하던 일이 생각나네요..
    미국도 언젠가 미터법이 전반적으로 보급되어 단위변환에 대한 손실이 줄어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전에 미국장비 들여와서 쓴적있었는데 나사가 직경이 쓰던거랑 같길래 썼다가 미묘하게 어긋나서 보니까 인치단위 나사였던......

    • @jrodgrey51
      @jrodgrey51 ปีที่แล้ว +23

      단위환산 때문에 대참사 한번 나면 그때서야 바뀔것 같습니다..

    • @digduck9463
      @digduck9463 ปีที่แล้ว +103

      @@jrodgrey51 한번 난적이 있긴합네다.

    • @ssamjanghannip
      @ssamjanghannip ปีที่แล้ว +73

      @@jrodgrey51 이미 화성탐사선 날려먹은 전적이 있어서

    • @jrodgrey51
      @jrodgrey51 ปีที่แล้ว +2

      @@ssamjanghannip 그건 앎ㅇㅇ

    • @user-dv3dn9zj4w
      @user-dv3dn9zj4w ปีที่แล้ว +5

      미국 단위계는 어떤 절대적인 기준으로 정한게 아니어서 본인들도 불편할텐데

  • @user-ey8yf9pi3x
    @user-ey8yf9pi3x ปีที่แล้ว +116

    전에 책이 단위계에 따라 SI 버전이랑 북미 버전 책이 따로 나오는 거 보고 놀랐었습니다
    단위계 하나 때문에 책이 2권씩이나 나오다니 이런 비효율이 있나 하면서...ㅋㅋㅋ
    역학 하나라도 배우는 공대생이면 다들 경험하셨을껄요 아마

    • @chomp7
      @chomp7 ปีที่แล้ว +15

      미국 대학 출신 교수들 시험문제 단위 마일 파운드로 내서 야마 돌았던 기억있음 단위변환도 공대생의 기본자질이라면서...

    • @dog_merchandiser
      @dog_merchandiser ปีที่แล้ว +8

      @@chomp7 중간고사에서 m, kg 아니고 인치 파운드로 나온적 있었는데 멘탈 터짐

    • @bluerationality
      @bluerationality ปีที่แล้ว

      오? 제 경험으로는 공대는 아니지만 물리/화학 계열은 다 미터법 기준으로 되어 있고 시험이나 책도 더 그렇네 나왔어요. 2000년대 중반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ปีที่แล้ว

      @@dog_merchandiser 꼬우면 이과하지말고 경제나 법 공부하세요 ㅋㅋ

    • @user-nb7rm7kh5g
      @user-nb7rm7kh5g ปีที่แล้ว +17

      @@user-lq6lm8fh6m 이과라고 다 공대생은 아니다. 너가 문과갔다고 판검사아닌거처럼

  • @user-sb4wq4cd2j
    @user-sb4wq4cd2j ปีที่แล้ว +1

    좋은영상 도움됩니다 인공강우 궁금하네요 미국도 70년전에 인공강우시도했다던데

  • @user-mh5tj1ng2s
    @user-mh5tj1ng2s ปีที่แล้ว +37

    이제야 대학교1학년이고 논문을 보려면 아직조금 남은것같은느낌이지만 교수님이 벌써 예제문으로 주시는것들에 야드파운드법으로 점철되있는걸보면 계산기가 바로옆에있지만 머리가 아파옵니다

    • @user-nb7rm7kh5g
      @user-nb7rm7kh5g ปีที่แล้ว +1

      공대생화이팅~ 심지어 바다 관련된 학과는 해리라고 똑같은 마일같이보이는 단위도 길이가 달라지는게 있습니다

    • @chalsulang
      @chalsulang ปีที่แล้ว +9

      진짜 미국 단위 뻘짓만 아니었어도 인류과학이 2~3년은 진보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봄. 그것때매 공대생들이 허비하는 시간과 스트레스가 얼마야

    • @user-bc1oz7ux1w
      @user-bc1oz7ux1w ปีที่แล้ว

      대학원가지마...

  • @jyhong29
    @jyhong29 ปีที่แล้ว +51

    이민온지 10년인데..아직도 단위는 그냥 SI로 바꿔서 써요 ㅠ ㅠ 미국인 친구들한테 하소연하면 지들도 인정해요ㅎㅎ 본인들 시스템이 엉망이라고ㅋㅋㅋ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ปีที่แล้ว +2

      하지만 정작 정치계, 과학계에서 SI로 바꾸자고 하면 시위하면서 반대하는 미국인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bluerationality
      @bluerationality ปีที่แล้ว +7

      @@user-lq6lm8fh6m 불편함을 느끼는 미국인들과 시위하는 미국인 데모그라픽이 다름. 과학 쪽 문외한이고 여행도 안 하면 일상 생활에 전혀 지장 없던걸 바꾸라는거라.... 동네 평생 안 벗어나는 시골 미국인도 많은데. 미국와서 야드 파운드 십년 이상 적응 안된다는 사람 많던데 그걸 미국인 전체(-과학계)가 겪어야 한다고 하면 싫어하는 사람도 나오기 마련.

    • @Cro-cop
      @Cro-cop ปีที่แล้ว +2

      @@bluerationality 이건 약간 다른 내용인데 님 댓글보고 생각남.. 미국인들은 자국이 세계의 중심이라고 생각해서 그런지 해외여행은 커녕
      자국 내 여행도 안가본 사람들이 엄청 많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보다 해외여행 비율이 훨 낮다고 하구요.
      그만큼 미국인들은 세계정세에 별로 관심이 없는거같네요.

    • @bluerationality
      @bluerationality ปีที่แล้ว +1

      @@Cro-cop 중심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을텐데 중심이라고 생각해서 여행 안 가는건 아닐걸요... 중국도 중심이라고 생각하는데 여행 많이 다니고 한국 사람들도 동남아 보다 잘났다고 생각하는 사람 많은데 동남아 여행도 많이 가잖아요. 잠깐만 생각하면 뭔가 원인이 그게 맞나 의심할만 하죠.
      한국도 생각하면 시골에 계신 분들 해외여행 잘 안 가는 것 처럼 미국에도 약간 그런 경향이 있는데 시골이 훨씬 많고 넓을 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jyhong29
      @jyhong29 ปีที่แล้ว +3

      @@Cro-cop 미국의 시골과 도시는 아예 다른 나라라고 봐도 무방해요. 첨단과학의 실리콘밸리가 있는 나라이기도 하고, 아직도 옛날 모습 그대로 사는 아미쉬나 몰몬들이 사는 나라기도 하죠. 제 친구 중에 웨스트버지니아 시골 출신 친구있는데..그 동네는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결혼하거나 졸업전에 임신해서 결혼하든가 거의 둘 중에 하나였다고...자긴 그게 너무너무 싫어서 탈출했다고 하더라고요. 그런 동네 사람들은 죄다 백인에 저같은 아시아인은 실제로 본 적도 없고..본인들 사는 주를 벗어나는 경우도 드물다네요^^;;

  • @csApollo11
    @csApollo11 ปีที่แล้ว +194

    이민 온 지 15년인데 아직도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고 머릿속에서 계산해서 미터로 바꾸는 것만 빨라졌습니다 ㅎ (운전에 쓰는 mph 및 장 볼 때 쓰는 파운드 및 갤런 정도는 예외...)

    • @PositivePossum518
      @PositivePossum518 ปีที่แล้ว +17

      저도 미국생활 11년 하면서도 익숙해지기 힘들던..

    • @hhaashit
      @hhaashit ปีที่แล้ว +5

      와 진짜요? 그정도로 적응이 안되는구나

    • @qidjdn
      @qidjdn ปีที่แล้ว +8

      @@hhaashit
      km/h->m/s
      이거 해보시면 느껴질듯?

    • @ozarkian7211
      @ozarkian7211 ปีที่แล้ว +19

      그래도 무게는 적응이 잘 되는데(걍 대충 2로 나누면 킬로로 전환되니).
      젤 적응안되는데 넓이이죠. 에이커, 스퀘어피트 단위을 제곱미터로 바꾼다름 다시 이걸 평으로 바꾸는 삼중 수고를 해야함 ㅋㅋ.
      그래도 요즘엔 스마트폰 도량형환산 앱이 있어서 다행

    • @ahyoung3412
      @ahyoung3412 ปีที่แล้ว +5

      저도 캐나다이민 11년째인데.. 이거 너무 헷갈려요ㅠㅠ

  • @javaxerjack
    @javaxerjack ปีที่แล้ว +2

    항공 장비의 경우 미국 장비를 전적으로 쓰기 때문에 이 단위에 싫어도 어느정도는 익숙해 져야 하는 부조리가 있죠.

  • @ykjun
    @ykjun ปีที่แล้ว +2

    원자재하다보면 간혹 표기를 4진법으로 쓰는 나라도 봅니다. 원자재 입고시킬때 입력 싹다시하는거 ㄹㅇ 너무 귀찮아요ㅎ

  • @user-yv4sn9uc5h
    @user-yv4sn9uc5h ปีที่แล้ว +4

    이공계 학생으로서 안 들어올 수가 없는 주제
    전공책 볼때마다 ft mi in 이런 거 보면 ㅋㅋㅋㅋ
    얼른 모든 나라의 단위가 통일되었으면 좋겠네요

  • @bokkumbob3041
    @bokkumbob3041 ปีที่แล้ว +20

    기준은 달라도 10진법이면 그나마 받아들이는데 큰 문제는 없을텐데
    진짜 10진법 아니면 구구단을 얼마나 해야하는겨

    • @e_sence
      @e_sence ปีที่แล้ว

      ㄴㄴ화폐단위만 그렇게 세는거
      예를들어 게임에서 1골드는 10실버다! 가 아니라 1골드는 12실버다! 라고 정의한 느낌임
      (숫자체계를 12진법으로 쓰면 0123456789AB 이런식으로 쓰는거라 개념이 다름)

    • @user-ho8dn6th4n
      @user-ho8dn6th4n ปีที่แล้ว +1

      @@e_sence 얜 혼자 뭔소리 하는거임?

    • @e_sence
      @e_sence ปีที่แล้ว

      @@user-ho8dn6th4n 너도 이해 못했구나 저런..

  • @sicario6764
    @sicario6764 ปีที่แล้ว

    최고의 썰 영상

  • @minicom9
    @minicom9 ปีที่แล้ว +1

    진짜 공감..원래 장기두는사람보다 훈수두는게 재미납니다..40-50대 이상분들은 많이 공감하실듯..ㅋㅋㅋ

  • @drpjh90
    @drpjh90 ปีที่แล้ว +14

    해운도 마찬가지임. 아마 이건 미국식이 아니라 영국식일텐데 속도 knot, 거리 mile 길이 ft 이런식으로 많이 씀. 특이한건 바다에서의 거리 mile 은 일반적인 mile 이 아니라 해리 라고 해서 육상에서 1 mile 이 1.6km 라면 바다 해리는 1mile 당 1.8km임. 즉 1knot 는 1.8 km/h 임

    • @chennai5941
      @chennai5941 ปีที่แล้ว +4

      배에서 사용하는 지도(해도)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영국에서 발행한 것을 씁니다. 지도부터가 영국거라서 단위도 영국 단위를 따라갈수밖에 없는듯해요 ㅋㅋ

    • @user-ps2sj2ql3i
      @user-ps2sj2ql3i ปีที่แล้ว

      @@chennai5941 한마디로 미국영국 조 ㅅ 같네~!

    • @Medic_Raccoon
      @Medic_Raccoo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제국 단위계...

  • @KeyYoon25
    @KeyYoon25 ปีที่แล้ว +31

    개인적으로 기온을 계산하는 나름의 방법(?)을 고안해서 잘 써먹었는데.. 일단 0°C = 32°F / 30°C = 86°F 는 어쩔 수 없이 외우고 기온이 5°C = 9°F 라서 그거에 맞게 더하기 빼기를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나중에는 14°F = -10°C / 23°F = -5°C / 32°F / 41°F / 50°F / 59°F / 68°F / 77°F / 95°F / 104°F ... 거의 자동적으로 계산되더라고요.
    미국 사시는 분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 @user-vk5ie8wz2v
      @user-vk5ie8wz2v ปีที่แล้ว +6

      고안한 방법이 아니라 그냥 식이 그렇게 생긴거잖아요..

    • @KeyYoon25
      @KeyYoon25 ปีที่แล้ว +3

      @@user-vk5ie8wz2v 맞습니다. 고안이란 표현은 부적절한 것 같고... 활용이라고 해야겠네요.

    • @user-wr4nb7iw9v
      @user-wr4nb7iw9v ปีที่แล้ว

      ㅋㅋㅋ

    • @gsy3888
      @gsy3888 ปีที่แล้ว

      전 캘리 살다보니 더운 날씨만 온도 확인하게 되서 그냥 80도는 27도 90도는 32도 100도는 37도 이렇게 외우고 다녀요..

    • @jeongahpark8902
      @jeongahpark8902 ปีที่แล้ว +1

      지난주 미국 여행갔다 막 한국 왔는데요 에어콘 설정 때문에 당황쓰. 77°F가 25°C 인것만 기억하자 하고 호텔 바뀔때마다 요긴하게 써먹었습니다. 미국에서 쓰는 단위 넘 불편해요.

  • @NTpressure
    @NTpressure ปีที่แล้ว +2

    요즘은 왜 자막 안달아주시나요?
    자막 있어서 보기 편했는데...

  • @user-se8by9yu4q
    @user-se8by9yu4q ปีที่แล้ว

    군대도 인치 피트를 쓰게 됩니다 미국 영향이 워낙 커서ㅜㅜ 미국 부품은 밀리미터 스패너보다 인치 스패너를 많이 쓰죠

  • @MM-hb6bt
    @MM-hb6bt ปีที่แล้ว +11

    미국, 영국 다 살아봤는데 일상 속 질량 단위 병행에서는 영국애들도 골때렸음….각자 킬로(공식 단위라 제일 많이 쓰긴함), 파운드, 스톤(이런 단위가 있는지도 몰랐음) 등 각각 다른 단위로 얘기하고 있음 ㅠ

  • @koreawp
    @koreawp ปีที่แล้ว +4

    미터법에서 물 1mL는 부피가 1cm3이고, 질량이 1g이며, 온도를 1℃ 올리는 데 에너지 1cal가 필요하다. 여기서 1℃는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 간극의 1%를 말한다. 또한, 수소 1g에 들어있는 수소 원자의 양은 정확히 1mol이다.
    반면 미국 단위계에서 "상온의 물 1갤런을 끓이기 위해서 에너지가 얼마나 많이 필요한가?"에 대한 정답은 ㅈ까라인데 각각의 물리량들 사이에 직관적인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 @Blazkowicz27
    @Blazkowicz27 ปีที่แล้ว +2

    항공업계 종사합니다. 기본 단위가 인치파운드 에요. 수치 외우느라 죽는줄... 기본 볼트너트 공구수치 죄다 인치파운드... 업무하다 부속품 잃어버리거나 고장나면 어디 사올수도 없어요

  • @saelee3666
    @saelee3666 ปีที่แล้ว +2

    항공쪽으로 진학해서 공부하고 있는데요 미국,영국 부수고싶다는 생각만 수만번합니다

  • @silvercowfather
    @silvercowfather ปีที่แล้ว +3

    저 미국 분들의 인치법 사랑 때문에
    군생활 처음에 힘들었음
    정비병 이였는데 연장 단위가 인치라
    10mm 13mm이렇게가 아니고
    3/8 1/2 이렇게 써있어서
    순서가 없음 덕분에 암기강요 한가지 더늘었던 기억...

  • @ahnojuntv
    @ahnojuntv ปีที่แล้ว +37

    라방을 챙겨보니까 영상업로드가 재방인데 재방도 잼! ㅋ

    • @user-sh3pr9gv3p12
      @user-sh3pr9gv3p12 ปีที่แล้ว +1

      @@user-hi4xb6ly2q ㅋㅋㅋㅋㅋ 들어가서 보니까 10만유튜버신데 ㅋㅋㅋㅋ 도은아 제발 니인생에 훈수해

  • @po105kr
    @po105kr ปีที่แล้ว +40

    비행기 연료도 서로 달라서 반만채우고 출발했다가 추락할뻔한 이야기도 있지요

    • @gerongsanduggebi
      @gerongsanduggebi ปีที่แล้ว +24

      빨리 입으세요

    • @mega_kangmincheol
      @mega_kangmincheol ปีที่แล้ว +5

      @@gerongsanduggebi ㅋㅋㅋㅋㅋㅋㅋ

    • @user-ff2is7zg1r
      @user-ff2is7zg1r ปีที่แล้ว +1

      @김해리 배에 찬바람 든다

    • @user-rb6dq2ht1v
      @user-rb6dq2ht1v ปีที่แล้ว +3

      @@gerongsanduggebi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angmangmanghat
      @mangmangmanghat ปีที่แล้ว

      @김해리 걍 쳐입어

  • @thekite3h
    @thekite3h ปีที่แล้ว +1

    어느 나라 어느 지역이나 대부분의 단위는 우리가 우리 생활과 엮여 있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하루에 갈 수 있는 거리라던가 발길이라던가 하는 식으로 말이죠. 그래서 어느 나라 어느지역이나 기존의 단위가 익숙합니다. 하지만 그러다 보니 그 단위는 지역마다 약간 씩 다 다르게 됩니다. 그래서 도량형의 통일은 그런 기존의 생활과 밀접한 단위를 쌩까고 다시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미터 처럼 말이죠. 그러니까 익숙한 단위를 쓰고 싶은 사람들과의 싸움이죠. 특히나 힘있는 지역일 수록 표준과는 거리가 멀 수 밖에 없죠.

  • @user-vf9sk8th3o
    @user-vf9sk8th3o ปีที่แล้ว +10

    미터법이 편한 이유가 내가 쓰고 있어서 편한게 아니라, 단위간의 연계가 직관성이 있어서죠

  • @TheGnic731
    @TheGnic731 ปีที่แล้ว +3

    기계공학과로서 화나는 상황은
    SI단위계로 변환했다면서 5판 넘게 출판한 책에 어디에는 m단위 쓰고 어디에는 inch, ft쓰고
    중간중간 성의없이 인치에 2.54 곱한 숫자로만 바꿔놔서 문제 풀면서도 이게 맞나싶은 문제들만 보면 화딱지가 납니다

  • @kyungminnam
    @kyungminnam ปีที่แล้ว +1

    아 미국사는데 이거 너무 힘들어요ㅠㅠ
    유닛 들어가는 얘기 나오면 가늠이 안되니까 바보되는 느낌 한두번이 아님

  • @kionz0
    @kionz0 ปีที่แล้ว +1

    비슷하게 배도 속도는 노트 쓰고 거리느누야드 쓰고 있죠.
    레알 답답...

  • @jaejungjo4506
    @jaejungjo4506 ปีที่แล้ว +4

    조리사 입니다. 요리 관련 부분에도 저 습관이 남아있습니다.
    버터 1개는 1파운드
    새우도 1파운드에 몇미(마리)
    소스는 한 국자에 몇온스
    미국이나 호주에서 수입하는 치즈 베이컨 등등
    g단위가 아니라 파운드 온스 단위가 많습니다.

  • @sogogibeef
    @sogogibeef ปีที่แล้ว +25

    의외로 좋을때도 있는게 도넛 집에 가서 Dozen (통상적으로 12개) 도넛을 달라고 그러면 13개를 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

    • @csApollo11
      @csApollo11 ปีที่แล้ว +6

      ㅋㅋㅋㅋㅋㅋ

    • @Massan_Aguijjim
      @Massan_Aguijjim ปีที่แล้ว +8

      닉과 프사가 외국계 금융회사 취직한 유학파 엘리트 너낌나서 신뢰성 up

    • @user-eq2hb2wo3g
      @user-eq2hb2wo3g ปีที่แล้ว

      좋은거임..? 도넛13개주는 가게가있다면 그냥 13개 가격으로 13개 파는거 아닌가요 12개가격인데 서비스로 1개주는건 아니잖아요

    • @PositivePossum518
      @PositivePossum518 ปีที่แล้ว +2

      미국 레스토랑에서 굴 dozen개 시켰는데 11개 나와서 이야기하니까 한개 따로 더 준적도 있음 ㅋㅋㅋ

    • @sogogibeef
      @sogogibeef ปีที่แล้ว +7

      @@user-eq2hb2wo3g 서비스로 하나 줍니다! 인심이 좋은 마을들은요 :) 아예 Baker’s Dozen 이라는 용어도 있어요.

  • @jlee6958
    @jlee6958 ปีที่แล้ว

    항공은 전부.. 기름도 갤런, 고도는 피트, 슉도는 노트 등등 쓰다보면 익숙해지긴합니다만

  • @Noname1to0
    @Noname1to0 ปีที่แล้ว

    18:18 너무 재밌네요 ㅎㅎ

  • @jiswip1238
    @jiswip1238 ปีที่แล้ว +28

    딴거 보지마시고 ㅋㅋㅋㅋㅋ 저때 엄청 웃었는데ㅋㅋㅋㅋ

  • @minslife390
    @minslife390 ปีที่แล้ว +5

    미국사는데 겔런, 온즈, 파운드, 피트, 인치... 진짜 짜증납니다. 제일 싫은건 피트랑 인치. 본인들도 정확한 키를 표현하기가 힘들어요. 160인 저는 5"2'-5"3'어딘가쯤이고. 그냥 센치 밀리면 쉽게 표현가능한데.

  • @user-dp5uc6ml7m
    @user-dp5uc6ml7m ปีที่แล้ว

    유익한 내용 이네요.

  • @rockfeel83
    @rockfeel83 ปีที่แล้ว +1

    타이어 공기업도 프사이(psi)로 미국단위계입니당

  • @eugene4312
    @eugene4312 ปีที่แล้ว +3

    인치나 파운드는 알고있었는데 미국 처음와서 A4용지가 미터법인거 알고 충격받았어요.

  • @user-sk7ss5zq8i
    @user-sk7ss5zq8i ปีที่แล้ว +3

    분노의 질주에 나오는 이 명대사에서도 마일이 나오죠.
    "I live my life quarter mile at a time. Nothing else matters. For those ten seconds or less, I'm free."

  • @Noname1to0
    @Noname1to0 ปีที่แล้ว

    필리핀도 섞어 쓰는데 스퀘어 피트 갤런 이런거 써요 화씨 쓰고..아 어려워

  • @anbread4955
    @anbread4955 ปีที่แล้ว

    스타보던 시절이라 게임도 봐야죠 보는게 잼나요 ㅎ

  • @LuckyVIVA
    @LuckyVIVA ปีที่แล้ว +7

    공감ㅋㅋ 오늘 영상도 재밌어요
    참고로 화씨에서 마이너스 30하고
    2로 나눈 후
    더하기 1이나 2정도 하면
    대강 섭씨 온도를 가늠할 수 있어요
    하지만 캘리 체감온도는
    70도 선선
    80도 90도 더움
    100도 쪄죽음...

    • @mr.k2010
      @mr.k2010 ปีที่แล้ว +1

      화씨는 가장 추운날이 0, 가장 더운날이 100이다 생각하면 되여

    • @LuckyVIVA
      @LuckyVIVA ปีที่แล้ว

      @Please, Enter the name 오 ㅋㅋ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군요!! 화씨는 영하가 없다는 장점이 있네요👍

  • @sooinmooneskridge5630
    @sooinmooneskridge5630 ปีที่แล้ว +19

    미국은 a4용지를 안써서 미국서 서류받으면 화일에 안들어 가는게 젤 빡침요.....

    • @vemp8674
      @vemp8674 ปีที่แล้ว

      ???? 뻥이죠???

    • @agn943
      @agn943 ปีที่แล้ว +2

      @@vemp8674 뭐가 뻥이야. 미국 안가봄?

    • @ellenj478
      @ellenj478 ปีที่แล้ว +8

      @@vemp8674 미국은 A4가 아닌 Letter 라는 구격 (8.5" x 11")을 사용하며 모든 공문, 프린트 종이도 그렇습니다. A4보다 길이가 조금 짧고 옆으로 살짝 넓어요. 문서와 공문의 나라인만큼, 예전엔 심지어 비지니스 레터를 접는법이 따로 있어서, 편지봉투에도 잘 맞고, 열었을때 끝부분을 잡아 올려서 털면 바로 편지를 볼수 있는 방법을 90년중반까지도 학교 타이핑(typewriter) 수업에서 가르치기도 했습니다.

    • @yjseol
      @yjseol ปีที่แล้ว

      이거 진짜 짜증이…

    • @user-pp9um5my1g
      @user-pp9um5my1g ปีที่แล้ว +1

      와 컬쳐쇼크..

  • @user-fj9uo6nr8x
    @user-fj9uo6nr8x ปีที่แล้ว

    2:02 몹씨 흥분 아카라카초

  • @user-mx7xr9xh9e
    @user-mx7xr9xh9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미국 학교 생활 때 저 혼자 이 악물고 SI 단위로 말하고 다녔습니다. 반응들이 재밌어요 ㅋㅋㅋ 여기서 오래살아서 미국 단위들이 더 익숙해졌지만… ㅋㅋㅋ

  • @Teemo_Buff
    @Teemo_Buff ปีที่แล้ว +22

    진짜 웃긴게 1800년대에 이미 해놓고 몇세대가 지났는데 그대로라는건 걍 똥고집임. 기존 사람들은 그대로 전통 단위 쓰고 이제 학교 입학하는 애들은 SI 단위대로 가르치면 지금 세대면 벌써 다 걸러졌을텐데 그대로라는건 참 한심함.

  • @chasuchasuramen
    @chasuchasuramen ปีที่แล้ว +10

    미국에서 첨부터 si단위 쓰는곳이있는데 그게 바로 포병병과들 미군이 1차대전 참전햇는데 쓸만한포가 없어서 프랑스에게 포공여받고 포술을 배움 그래서 미터법씁니다 ㅋ

    • @Mick_S_kopee
      @Mick_S_kopee ปีที่แล้ว +5

      정말 정의의 프랑스 육군이 아닐 수가 없다...

  • @lydiapark8885
    @lydiapark8885 ปีที่แล้ว

    진짜궁굼했었는데...

  • @Edhilues
    @Edhilues ปีที่แล้ว

    캐나다에서 학생파일럿으로 공부하는 중인데 비행기 연료 넣을땐 리터로, 계기판에서 보여지는건 갤런, 비행 전에 무게 계산하는 작업할땐 파운드를 씁니다..

  • @FIEACTIA
    @FIEACTIA ปีที่แล้ว +5

    진짜 진짜 적어도 논문에는 SI단위좀 써줬으면 좋겠다...

  • @jason_cha
    @jason_cha ปีที่แล้ว +7

    SI 단위는 물리적 수식을 통해서 다 정의를 할 수 있죠. 맨 마지막에 나온 그 복잡해 보이는 식으로요. 그렇게 수식으로 정의했기 때문에 영원불변입니다. 예전처럼 기준이 되는 실물이 존재할 필요가 없어요. 그리고, 길이와 면적, 부피, 무게, 시간, 중력 등등이 서로 다 과학적으로 의미 있게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상호변환이 쉬워요. 그런데 야드법은 그런 거 없어요. 원시인 시절 자기 손가락 길이, 팔길이, 발길이에서 나온 거라서 그래요.

  • @Kevin-ps9yf
    @Kevin-ps9yf ปีที่แล้ว

    차량 순간 가속을 말할때 우리나라는 제로백 미국은 노 투 식스티 라고 부르는것에서 부터 자기 주장이 강하지 ㅋㅋㅋㅋㅋㅋ
    1:20,2:35,3:44,5:33,7:45,9:49,12:06,14:02,16:10,19:44
    10:30p.m.

  • @juror13.
    @juror13. ปีที่แล้ว

    미국에 살다보면 마일, 페런하이트, 파운드, 갤런 정도는 익숙해지는데.. 온스, 야드 이런 단위는 여전히 헷갈리더라구요.

  • @naver-stop
    @naver-stop ปีที่แล้ว +24

    프랑스 🇫🇷 70부터 99까지 숫자세는 법 듣고 진짜 아니 왜 ,??????? 라고 생각 하게 되더라구요

    • @user-ld7xe9pt7c
      @user-ld7xe9pt7c ปีที่แล้ว +8

      40 이라고 안하고 30 + 15 라고 하는거 보고 하 ;;;

    • @shuri125
      @shuri125 ปีที่แล้ว +4

      프랑스어가 제일 심각하지만 다른 유럽언어도 20진법의 잔재가 꽤 남아있다고 하네요. 영어도 1X는 단어가 다르잖아요. 심지어 11, 12는 12진법 영향으로 더 다른 단어를 사용하고요.

  • @JB_hobbyman
    @JB_hobbyman ปีที่แล้ว +12

    나랏단위가 미귁에달아....

  • @lemurian1880
    @lemurian1880 ปีที่แล้ว

    미터도 정의가 예저에 바뀐걸로 알아요... 처음에 만든 원기 복제품이 우리나라에도 하나 있어요

  • @user-xi9rm7df9c
    @user-xi9rm7df9c ปีที่แล้ว +2

    지식해적단 채널에서 도량형 알고리즘에 뜨길래 봤는데 슈카아재도 도량형 영상이 뜨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co3iy6qe6u
    @user-co3iy6qe6u ปีที่แล้ว +5

    학생조종사인데 항공 관련 단위에서 파운드는 아직도 감이 안잡히네요... ㅎㅎ;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ปีที่แล้ว

      그렇다면 님은 아마 정식 조종사가 못될겁니다 ㅎㅎ

  • @Sam_Maru
    @Sam_Maru ปีที่แล้ว +4

    섭씨 4도의 물 1cm x 1cm x 1cm가 있으면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미터법을 제바알 좀 받아라아아!!!

  • @user-sp3vd8on8f
    @user-sp3vd8on8f ปีที่แล้ว

    5:45 모니터 tv 인치로 하는거 존나 짱남..
    새로 구매할때...
    일일이 검색해서 변환해서 봄.
    그냥 인치로들으면 크기 감이 안옴.

  • @Camellia_Violin
    @Camellia_Violin ปีที่แล้ว

    11:38 LG전자가 이 대사에 조용하지만 매우 크게 웃음 짓습니다.

  • @ozarkian7211
    @ozarkian7211 ปีที่แล้ว +4

    미국 무게 재는 단위가 파운드인데 정작 이거 표기는 lbs임. 첨 미국갔을때 파운드는 알고갔는데 lbs가 파운드의 표기라는걸 모르고 월마트 갔다가 얼탱터짐

    • @sianke1991
      @sianke1991 ปีที่แล้ว

      복수형이라서 끝에 s를 붙이는 건가요?

  •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ปีที่แล้ว +3

    보는 맛 최고는
    미식축구죠.....스피드, 힘, 기술, 지능게임..

  • @Ducksam
    @Ducksa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학 새내기시절 일반물리학 시간에 배운게 나와서 반갑네요

  • @soience.6864
    @soience.6864 ปีที่แล้ว +2

    미국와서 산지 1년 좀 넘었는데 진짜 아직도 적응안되고 넘 불편합니다 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