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layer 보다 그 실체인 TCP/IP HTTP 에 대해 공부! User / Kernel / Hardware socket은 tcp를 usermode application이 접근 할 수 있도록 파일 형태로 추상화 한것 (별 100개) MAC , IP , Port는 각각 access , network. , transport 수준에서의 식별자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와 네트워크 공부 시작했을 때 OSI7계층에 대해 암기를 달달 했지만 그래서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해결되지는 않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네트워크 공부를 해보려고 검색하며 다니다가 이 영상을 발견했는데 intro부터 제 궁금증을 벅벅 긁어주시네요. 이 영상 시리즈 잘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인프런에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시리즈가 존재하던데 이 유튜브 강의랑 내용이 많이 다른가요? 유튜브에서 회원제 강의까지 듣고 인프런 강의 중 핵심이론 응용편으로 바로 넘어가도 괜찮을까요
좋은 평가와 피드백 고맙습니다. :) 이 영상들을 기반으로 인프런 네트워크 강의들이 만들어졌습니다. 기술적으로 내용상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일부가 멤버십 전용으로 묶여 있습니다. 그리고 인프런에 올린 네트워크 응용 강의에는 채널에 올리지 않은 NAT관련 내용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멤버십 + 인프런 네트워크 응용 조합이 가장 높은 가성비를 갖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몇년전에 개발 공부해보려고 각종 원론서들 사놓고 조금 읽다가 지쳐서 잊혀져버렸었는데, 항상 개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무엇이든 개념적으로 원론적으로 접근했지만 이런 방식이 경우에 따라서 독이 될 수도 있다는 걸 이제와서 알게 되네요😅 물론!! 그렇다고 개념을 소흘히 해서는 안된다는 점도 항상 잊지 않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프런 강의 고민하다가 질문할 곳이 없어 여기에 질문 남깁니다. 언리얼엔진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취준생인데, 추후 면접 및 클라이언트 측 통신 관련 프로그래밍를 위해서 네트워크를 다시 공부해보려 합니다. 학부에서 배웠던 네트워크 지식을 다 까먹은 터라 선생님 강의를 구매해서 들어보려 하는데요,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강의 만으로도 충분할까요? 면접에서 고도의 네트워크 지식을 요구하지는 않다 보니 인프런 기초 강의 정도로 충분한 면접 대비 및 어느 정도의 클라이언트 측 통신 관련 프로그래밍을 위한 지식이 갖춰지는지 궁금합니다.
아니오. 그렇다면 응용편까지 모두 제대로 공부해야 합니다. 게임에서 공유기와 릴레이 서버는 늘 등장하는 것들입니다. 관련 내용을 이해하려면 응용편까지 모두 섭렵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을 충분한 면접 준비라 단정 할 수는 없습니다. 반대로 그 정도도 모르고 면접을 보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우연히 강의를 접하게되었는데 막연히 어렵다고 생각했던 네트워크를 정말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셔서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제가 현재 깃허브에 블로그 식으로 공부한 내용을 조금씩이나마 정리하고 있는데, 강의 내용을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기록해도 괜찮을까요? 정리해두면 기억에 더 오래남을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처음 배울 때 추상보다 구현물로 시작하라는 조언은 너무 좋은 말씀이네요. 사실 상식적인데 어떤 개념을 배울 때 이해하는 방식은 예시와 체험으로 이해하기 시작해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것으로 정리하는게 당연한 과정이죠. 아 그리고 혹시 File에 대해서 설명하신 강의가 있나요? 단순히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파일만 떠오르다보니깐 File의 형태로 추상화한다는 것이 확 와닿지가 않네요.
12:19 전체 그림 제가 이해가 느려서 그림으로 그려가며 전체를 한 번 봐야 그 다음이 이해되는데 초짜라 매번 그리면서도 이게 맞나?싶던걸 강의들에서 명확하게 그려주셔서 너무나 제 스타일이에요.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널선생님🙂혼자 했다면 많은 시간들을 헤맸을거예요 건강하세요!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앞으로 정주행 한 바퀴 할 때까지 매일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ㅎㅎ 선생님께서 던져주시는 키워드로 야크셰이빙 하다보니 공부할 것들이 많고 강의도 너무 좋아서 정말 공부가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 ~~~야크셰이빙한 내용(틀릴 수도 있습니다)~~~ 커널의 구성요소를 user mode application으로 추상화할 때는 매개 파일이 필요하다. 이 때, 추상화 대상이 커널의 구성요소(프로토콜)일 경우 socket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socket은 device file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device file : H/W를 추상화한 대상이다. 이를 활용해 H/W를 제어하며, device driver의 인터페이스이다 device driver : OS가 device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S/W를 일컫는다 NIC : 데이터 신호 전기 신호 상호변환, MAC 주소를 통한 액세스 제어, 흐름제어의 기능을 가진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소켓은 프로세스당 보통 몇개 생성되나요? 하나만 생성하나요? 2. 외부에서 request가 들어올때에도 프로세스에서 생성한 소켓을 그대로 사용하나요? - 이게 맞다면, 외부에서 요청이 들어올 경우 ip, port 등의 정보를 통해 socket pool(?)에서 socket을 찾고, 그곳으로 데이터를 포워딩하게 되는걸까요? 감사합니다!
1. 아니오. 여러 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많이 만들면 성능저하가 발생합니다. 2. 서버는 연결을 받기 위한 Listen 소켓 하나를 사용하다가 연결되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켓을 하나 더 생성해 클라이언트와 통신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Passive open에 대해 알아보시면 되겠습니다. ^^
일단 나이브하게 생각해봤을떄는.. 서버가 다른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 소켓을 생성해서 요청을 보내고, 응답도 해당 소켓으로 받음 다른 서버에서 해당 서버로 응답이 들어온다 : passive open 소켓이 일단 먼저 요청을 받고, 타 서버에 응답을 보내기 위해 소켓 생성 -> 응답 보냄 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ㅎㅎ 공부하다 보면 알게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네트워크의 ㄴ자도 관련 없는 직무로 일하고 있지만 뭔가 미련이 남아서 공부하고 싶어서 TH-cam를 검색했는데 선생님 강의가 뜨네요. 대학교때 복수전공생으로서 부랴부랴 따라가다가 실패한 유일한 과목이 네트워크였습니다. 이상하게 와닿지 않았고 도서관에서 처박혀서 여러 책들만 봤는데 아무리 봐도 ??? 상태라 포기했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 선생님 강의를 보니 제가 따라 가지 못했던 이유는 구현과 개념이랑 연결을 못 시키고 개념을 억지로 구겨넣으려 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딱 지금 1강을 보자마자 이거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열심히 들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항상 풀어서 설명해주시는 덕에 책을 봐도 이해가 안 되던 것들이 선생님 강의를 보면 이해가 되곤해서 너무 제게 딱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혹시 3가지 나누어져 있다고 무수히 말씀하셨던 강의가 어떤 건지 알수있을까요? 유튜브에 올라와있는건데 제가 찾지 못하는 건지 다른 플랫폼에 있는 건지 공유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선생님 . 학교 전공 과목 네트워크를 공부하다 유투브에서 우연히 선생님 영상을 보게 되었고 너무 잘 맞고 설명이 명쾌해 멤버십도 구독중입니다. ! 공부 한 것들을 잊지 않기 위해 기록을 하고 싶은데 개인 공부용 블로그에 출처를 남기고 강의 내용 정리와 자료를 올려도 될까요??
음...그렇다면 꼭 인프런에 올린 네트워크 강의 기본/응용 모두 보고 가시기를 강력히 권합니다. 특히 응용편에서 다루는 내용들도 완벽히 이해하고 가야 합니다. 몇 년 전 KT에 입사한 어떤 분에게 설명했던 내용들이 모두 담겨 있으며 그 분은 현재 KT에 잘 다니고 있습니다. :)
지금은 사라진 최호성의 c프로그래밍을 19년도에 공부하면서 코딩에 재미를 붙였고 이후엔 C++을 공부했고 지금은 그래픽 렌더링에 취미를 붙여서 게임개발쪽으로 진로를 잡아서 공부중입니다. 덕분에 주변에서 하나둘씩 코딩에 흥미를 잃고 개발자로써의 취업을 포기할 때 저는 포기하지 않고 공부해나갈 수 있는 기초를 닦았습니다.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었습니다.
3년 전, 전역 후 기억을 더듬으며 복학 준비할 때 더할 나위 없는 도움을 많이 받았던 교수님의 강의, 다시 볼 수 있게 되어서 정말 기쁩니다. 심지어 부족했던 부분과 저의 잊었던 열정을 다시 찾게 해주셨었습니다. 교수님께 이어서 배우고 싶었는데 이런 기회가 다시 오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매일매일 챙겨볼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비전공 개발 취준생입니다. 네트워크 관련 공부를 하다가 선생님 강의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ㅎㅎ 비전공자인 저도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는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매일 공부한 것들 개인 개발 블로그에 작성 중인데 선생님 강의에서 설명해주신 것들을 요약하거나 판서를 재구성해서 기록해도 될지 여쭙고 싶습니다! ㅎㅎ 항상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취직하게 된 직무가 네트워크 관련으로 깊게 연관되어있어, 널널한 개발자님 네트워크 강의를 정주행 중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담당하게 될 직무 중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I/O 멀티플렉싱인데, 널널한 개발자님의 견해로 들어보고 싶어 문의 남깁니다! 제가 봤던 영상들을 되짚어보면 아마 Blocking I/O vs Non-Blocking I/O까지 알려주셨던걸로 아는데 이에 확장 개념인 I/O Multiplexing도 영상 하나 남겨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네트워크 기초강의 전체를 꼭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비동기 I/O를 전제로 멀티플랙식 개념이 적용되는데 이는 쉽게 생각해서 파일에 비동기적 입/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시해 대응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켓 50개가 있는데 이를 사용자 모드 프로그램이 각각 수신대기 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할 데이터가 생기면 어차피 커널에서 입/출력을 시도할 것이므로 그 시점만 인지해 대응하는 개념입니다. 나중에 소켓 프로그래밍 영상도 만들예정이긴 합니다만...시스템 프로그래밍 이후가 될 예정이기 때문에 시간은 좀 걸릴 것 같습니다. 학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널널한 개발자님 네트워크 카테고리 제대로 정주행 하고 구글링으로 더 찾아보겠습니다ㅎㅎ 혹시 널널한 개발자님 영상 정주행하고 잘 정리해둔다면, 네트워크 기본서를 따로 준비 안해도 괜찮을까요? 영상 정주행 후 그때그때 구글링 하는것으로 커버가 가능할지, 아니면 책도 따로 사서 공부해보는게 좋을지 여쭤봅니다!
OSI 7 LAYER는 개념 문제 TCP/IP HTTP는 구현(실체) 컴퓨터의 세계에서는 3개의 계층 존재 USER (SW) KERNEL (SW) HW DoD Application 계층 Transaction 계층 Network 계층 Access 계층(접근단, 전송단) Kernal 부분 TCP/IP Socket = TCP를 User mode application에서 접근할 수 있게끔 파일 형태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 구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리> OSI 계층 공부× TCP/IP HTTP 공부 추가 공부할 것 각 계층에서 식별자 존재 Access - mac Network - ip Transaction - port 숙제: 무엇에 대한 식별자일까?
선생님의 C/C++ 강의를 듣고 IT에 입문하게 되고, 전과를 하게 된 학생입니다.
그때도 느꼈지만, 항상 견문을 넓혀주시는 강의를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감사인사를 꼭 드리고싶었습니다.
지금은 IT분야에 종하시는 전문가가 되신 모양입니다.
강사로써 뿌듯 합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
3년 전 겨울에 역삼 사무실에서 네트워크 강의를 듣고 인생강의를 만났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다시 강의를 시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무려...인생강의 씩이나...감사합니다.
osi 7 layer 보다 그 실체인 TCP/IP HTTP 에 대해 공부!
User / Kernel / Hardware
socket은 tcp를 usermode application이 접근 할 수 있도록 파일 형태로 추상화 한것 (별 100개)
MAC , IP , Port는 각각 access , network. , transport 수준에서의 식별자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내용 정리 감사합니다. 열공하세요~~~!
와 이게 몇년만인지 모르겠습니다. 강사님의 c,c++책으로 프로그래밍에 입문한 이후에 네트워크에 안그래도 관심이 많았는데 강사님의 네트워크 강의라니!!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재밌을 것 같습니다.
네트워크 강의 올리겠다는 이야기를 꺼낸지가...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올립니다. 열공하시고 좋은 성과 거두시기 바랍니다.
하나도 안 늦었습니다. 독C부터 이것이까지 갓호성!!
와 네트워크 공부 시작했을 때 OSI7계층에 대해 암기를 달달 했지만 그래서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해결되지는 않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네트워크 공부를 해보려고 검색하며 다니다가 이 영상을 발견했는데 intro부터 제 궁금증을 벅벅 긁어주시네요. 이 영상 시리즈 잘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인프런에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시리즈가 존재하던데 이 유튜브 강의랑 내용이 많이 다른가요?
유튜브에서 회원제 강의까지 듣고 인프런 강의 중 핵심이론 응용편으로 바로 넘어가도 괜찮을까요
좋은 평가와 피드백 고맙습니다. :)
이 영상들을 기반으로 인프런 네트워크 강의들이 만들어졌습니다. 기술적으로 내용상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일부가 멤버십 전용으로 묶여 있습니다. 그리고 인프런에 올린 네트워크 응용 강의에는 채널에 올리지 않은 NAT관련 내용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멤버십 + 인프런 네트워크 응용 조합이 가장 높은 가성비를 갖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정말 신세계입니다.. 대학교에서 OSI 7계층 주입식으로 외우기만 했는데 구현식으로 풀어서 설명해주시니 이제서야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그렇군요.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이어지는 강의들도 잘 소화하셔서 좋은 결과 얻으시기 바랍니다. ^^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교 졸업한지 몇 년이 지났어도 실무를 위해 다시 듣고 또 듣습니다. 감사합니다.
실무에 꼭 도움되시도록 강의 만들겠습니다. 필요한 내용 있으시면 요청하시거나 질문을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정주행 시작합니다 😍🥰🤩
몇년전에 개발 공부해보려고 각종 원론서들 사놓고 조금 읽다가 지쳐서 잊혀져버렸었는데, 항상 개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무엇이든 개념적으로 원론적으로 접근했지만 이런 방식이 경우에 따라서 독이 될 수도 있다는 걸 이제와서 알게 되네요😅
물론!! 그렇다고 개념을 소흘히 해서는 안된다는 점도 항상 잊지 않겠습니다!!
철학을 알고 군자가 되려 노력하는 것은 좋겠으나 그렇다고 일단 '군자'에 대해 모두 이해하고 출발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간단한 일상의 예절을 먼저 외워서 넘어가고 그것이 쌓이면 언젠가 스스로 깨우치는 방법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건투를 빕니다!
예전에 유튜브에 호성님 강의 한번 듣고, 정말 좋다고 생각해서 개설하신 강의를 찾아다니다가 없어서 아쉬워했던 기억이 나네요 ㅜㅜ 이렇게 다시 강의를 시작해주셔서 매우 감사합니다.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초심을 다시 살려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열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인프런 강의 고민하다가 질문할 곳이 없어 여기에 질문 남깁니다.
언리얼엔진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취준생인데, 추후 면접 및 클라이언트 측 통신 관련 프로그래밍를 위해서 네트워크를 다시 공부해보려 합니다.
학부에서 배웠던 네트워크 지식을 다 까먹은 터라 선생님 강의를 구매해서 들어보려 하는데요,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강의 만으로도 충분할까요?
면접에서 고도의 네트워크 지식을 요구하지는 않다 보니 인프런 기초 강의 정도로 충분한 면접 대비 및
어느 정도의 클라이언트 측 통신 관련 프로그래밍을 위한 지식이 갖춰지는지 궁금합니다.
아니오. 그렇다면 응용편까지 모두 제대로 공부해야 합니다. 게임에서 공유기와 릴레이 서버는 늘 등장하는 것들입니다. 관련 내용을 이해하려면 응용편까지 모두 섭렵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을 충분한 면접 준비라 단정 할 수는 없습니다. 반대로 그 정도도 모르고 면접을 보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ullnull_not_eq_null 다 공부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와… 지려버렸다… 탁월하신 설명에 무릎을 탁! 치고 재생목록 추가하고 갑니다!!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그럼 앞으로 쭈~~~ㄱ 열공하시는 걸로~~~!
안녕하세요! 우연히 강의를 접하게되었는데 막연히 어렵다고 생각했던 네트워크를 정말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셔서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제가 현재 깃허브에 블로그 식으로 공부한 내용을 조금씩이나마 정리하고 있는데, 강의 내용을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기록해도 괜찮을까요? 정리해두면 기억에 더 오래남을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네, 그렇게 하시기 바랍니다. 단, 반드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넵!!감사합니다:)
진짜 강의가 너무 재밌습니다. 멤버쉽으로 결제하는 돈도 아깝지 않고 그 돈의 가치 이상의 것을 제가 가져갈 수 있다고 느껴지네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멤버십의 가치를 생각하겠습니다. 더 좋은 강의영상 게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09:27:00 소켓 >> 커널에 존재하는 TCP / IP 와 같은 프로토콜을 유저모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추상화 해서 이를 파일로 만들었을때는 이를 파일로 부르지 않고 소켓이라고 부른다. 선생님 사랑합니다
맞습니다. 잘 이해하셨습니다. 건투를 빕니다! :)
정말 잘 듣고있습니다 !! ㅎㅎ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application은 시스템콜로 커널을 실행시키는 걸로 아는데요. 저 소켓은 무엇일까요..?
"tcp를 유저모드어플리케이션프로세스가 접근할수 있도록 파일형식으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가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네요.. 하루종일 찾다보니 unix domain socket까지 알게됐는데 아닌것 같구요.
쉽게 'Device file'의 일종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CON이나 PRN 같은 것이지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 장치 추상화에 대해 좀더 공부해봐야겠네요 !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OSI 7Layer로 공부하다보면 이해보단 암기형태로 가는경우가 너무 많았는데
정말 좋은 말씀인것 같습니다.
Socket에 대한 설명 너무 명료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앞으로 공부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아는 범위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
확실히 이렇게 설명하는 강의를 본 적이 앖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2017년 컴퓨터공학과로 전과했을 때 선생님 강의를 알았다면 더 편했을텐데 말입니다. 졸업하고 나서 정리하는 느낌으로 들으려고 합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정리 잘 하시고 좋은 결과 얻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처음 배울 때 추상보다 구현물로 시작하라는 조언은 너무 좋은 말씀이네요.
사실 상식적인데 어떤 개념을 배울 때 이해하는 방식은 예시와 체험으로 이해하기 시작해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것으로 정리하는게 당연한 과정이죠.
아 그리고 혹시 File에 대해서 설명하신 강의가 있나요?
단순히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파일만 떠오르다보니깐
File의 형태로 추상화한다는 것이 확 와닿지가 않네요.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그리고 문의하신 내용은 넓고 얕게 시리즈와 운영체제 강의 시리즈에 파일에 대한 설명이 들어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잘 보고 있습니다. 잊었던 내용도 다시 되새기고, 알았던 내용도 복습하고 있습니다. 한번 뵈면 꼭 식사대접 하고 싶네요. 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언제 기회가 되면...꼭 오프라인 모임도 추진하겠습니다. ^^
쌤 진심 명강의 이십니다..감사합니다....osi7계층 때문에 골 머리 아팠습니다 ...제어하는 층은 4계층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나중에 이 분야도 다뤄주심이 어떨까요.?ㅜㅜㅜㅜ이해하기 너무 어렵더라구요..
4계층 프로토콜에서 전송제어를 담당하는 것이 보통이죠. 대표적인 것이 TCP, UDP 프로토콜입니다. 우선은 큰 틀의 개념을 잡고 깊은 이론을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처음부터 바이블급 이론들을 공부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
강의를 듣다보니, 이런 선생님이 유튜브에 숨어있었다니?! 했는데, 알고보니 예전에 C언어 강의 해주셨던 최호성 선생님이시네요ㅎㅎ 강의 잘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하...비트캠프에서 저를 만난적이 있는 분인가 봅니다. 반갑습니다. ^^
요새 강의는 넘쳐 나는데 기본을 가르쳐 주는 강의는 별로 없었는데 쉽게 풀어서 알려 주셔서 감사 합니다 . 책으로 배울려니 중요한걸 알면서도 개념적인것들은 공부 하기 힘들어서 쌓아 두고만 있었습니다 앞으로 강의 기대가 됩니다.
그러셨군요. 의견 감사합니다. 향후 강의를 만드는데 참고하겠습니다.
12:19 전체 그림
제가 이해가 느려서 그림으로 그려가며 전체를 한 번 봐야 그 다음이 이해되는데 초짜라 매번 그리면서도 이게 맞나?싶던걸 강의들에서 명확하게 그려주셔서 너무나 제 스타일이에요.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널선생님🙂혼자 했다면 많은 시간들을 헤맸을거예요 건강하세요!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강의가 도움이 된 것 같아 강사로써 매우 기쁩니다. ^^;;;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앞으로 정주행 한 바퀴 할 때까지 매일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ㅎㅎ
선생님께서 던져주시는 키워드로 야크셰이빙 하다보니 공부할 것들이 많고 강의도 너무 좋아서 정말 공부가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
~~~야크셰이빙한 내용(틀릴 수도 있습니다)~~~
커널의 구성요소를 user mode application으로 추상화할 때는 매개 파일이 필요하다. 이 때, 추상화 대상이 커널의 구성요소(프로토콜)일 경우 socket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socket은 device file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device file : H/W를 추상화한 대상이다. 이를 활용해 H/W를 제어하며, device driver의 인터페이스이다
device driver : OS가 device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S/W를 일컫는다
NIC : 데이터 신호 전기 신호 상호변환, MAC 주소를 통한 액세스 제어, 흐름제어의 기능을 가진다
'추상화 대상이 네트워크' 대신 추상화 대상이 커널의 구성요소(프로토콜) 라고 하시면 더 정확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와....너무 쏙쏙 이해가 되었어요~! 첫번째부터 감동의 쓰나미!. 네트워크 기초 이론 완강하겠습니당 감사합니다
다행이네요. 좋은 평가와 피듭백 감사합니다. 강의가 공개된 후 시간이 지나면 일부는 멤버십 전용으로 전환됩니다. 학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진짜 오랜만에 뵙습니다!!
이걸 진작에 알았다면 참 좋았을텐데 하네요 ㅎㅎ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네트워크 강의 시리즈...빨리 올려야 겠습니다. ^^
이런 감사한 분을 이제야 알았다는게 한이네요....
좋은 강의 열심히 듣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하겠습니다. ^^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소켓은 프로세스당 보통 몇개 생성되나요? 하나만 생성하나요?
2. 외부에서 request가 들어올때에도 프로세스에서 생성한 소켓을 그대로 사용하나요?
- 이게 맞다면, 외부에서 요청이 들어올 경우 ip, port 등의 정보를 통해 socket pool(?)에서 socket을 찾고, 그곳으로 데이터를 포워딩하게 되는걸까요?
감사합니다!
1. 아니오. 여러 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많이 만들면 성능저하가 발생합니다.
2. 서버는 연결을 받기 위한 Listen 소켓 하나를 사용하다가 연결되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켓을 하나 더 생성해 클라이언트와 통신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Passive open에 대해 알아보시면 되겠습니다. ^^
@@nullnull_not_eq_null 감사합니다..!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나이브하게 생각해봤을떄는..
서버가 다른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 소켓을 생성해서 요청을 보내고, 응답도 해당 소켓으로 받음
다른 서버에서 해당 서버로 응답이 들어온다 : passive open 소켓이 일단 먼저 요청을 받고, 타 서버에 응답을 보내기 위해 소켓 생성 -> 응답 보냄
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ㅎㅎ 공부하다 보면 알게 될 것 같습니다
@@junyoungpark7742 음...인터넷에서 채팅서버 소스코드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좀 더 명확히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되리라 생각합니다. ^^
정말 귀한 강의 감사합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와.. 정말 간절히 기다렸습니다! 최호성님 c언어 강의보고 시작하여 덕분에 개발자로 취업 했습니다. 다시 한번 강의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로 취업하셨다니 제가 감사하네요. 강의한 보람을 느낍니다!
@@nullnull_not_eq_null 숙제 : 1.port는 프로세스에 대한 식별자 2.ip 주소는 공인망에서(정확히는 공인ip) 식별자 역할 3.mac 주소는 pc의 nic카드에 대한 식별자
다시 돌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이렇게 네트워크 강의로 복귀하셔서 구독자로써 너무 기쁩니다!!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선생님
에구구구...뭐 감사까지요. ^^;;; 반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앞으로 강의 열심히 올릴 예정입니다. 열공하시고 좋은 성과 거두시기 바랍니다.!
진짜 쉽게 설명 하시네요. 네트워크 프로그램 개발하려면 구현계층만 알면 되네요. 소켓이랑 TCP/IP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네트워크 프로그램이 패킷 분석을 하는 수준이 아니라면 소켓 프로그래밍을 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L3 패킷을 직접 분석하려면 소켓이 아닌 npcap 라이브러리 사용방법을 공부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새로운 눈이 떠진 기분입니다...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
왜 때문이 이제야 오셨어요!!! 그동안 저도 많이 늙어 버렸네요... ㅋㅋㅋ
사업하느라 고생을 좀 했습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아직 시간이 있다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현재 네트워크의 ㄴ자도 관련 없는 직무로 일하고 있지만 뭔가 미련이 남아서 공부하고 싶어서 TH-cam를 검색했는데 선생님 강의가 뜨네요. 대학교때 복수전공생으로서 부랴부랴 따라가다가 실패한 유일한 과목이 네트워크였습니다. 이상하게 와닿지 않았고 도서관에서 처박혀서 여러 책들만 봤는데 아무리 봐도 ??? 상태라 포기했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 선생님 강의를 보니 제가 따라 가지 못했던 이유는 구현과 개념이랑 연결을 못 시키고 개념을 억지로 구겨넣으려 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딱 지금 1강을 보자마자 이거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열심히 들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그 고생스러운 시간을 저도 보내봤습니다. 한참 시간이 흐른 후 스스로 깨달았는데...그게 신기하게도 철학 공부할 때 였습니다. 기술도 큰 틀에서 결국 인문학과 만나나 봅니다. 아무튼 열공하셔서 좋은 결과도 얻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선생님 네트워크 강의를 시작으로 여러 강의를 듣고 클라우드 전문 기업에 최종 면접까지 보고 합격 여부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실무 면접에서 덕분에 네트워크 질문 1개정도 빼고 모두 대답할 수 있었던거 같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와우~~! 꼭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실무 면접에서 답변도 잘 하셨다니 일단 다행이긴 하네요. 분명 좋은 소식이 있을 것 같습니다. 최종 소식 꼭 알려주세요~~~! ^^
@@nullnull_not_eq_null 오늘 최종 합격 연락 받았습니다..! 정말 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 현업에서도 유용하게 강의 잘 듣겠습니다!
@@Haacyin 와우~~~! 축하드립니다. ^^;;;
도움이 된 것 같아 기쁩니다. 다시 한 번 축하드려요~~~! ^^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항상 풀어서 설명해주시는 덕에 책을 봐도 이해가 안 되던 것들이 선생님 강의를 보면 이해가 되곤해서 너무 제게 딱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혹시 3가지 나누어져 있다고 무수히 말씀하셨던 강의가 어떤 건지 알수있을까요? 유튜브에 올라와있는건데 제가 찾지 못하는 건지 다른 플랫폼에 있는 건지 공유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넓고 얕게...시리즈를 보시면 '운영체제'에 대해 다룬 영상이 있습니다. 그것을 꼭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강사님이 쓰신 책으로 잘 공부하고 있습니다. 독하게 c 강의도 잘 들었습니다. 네트워크 강의도 잘 듣겠습니다!
열공하시고 좋은 성과 거두시기 바랍니다. ^^
강의 정주행 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한 번 달려보시죠. 건투를 빕니다~!
왜 이제야 이 채널을 접하게 되었는지 아쉬움이 크네요. 앞으로 정말 많이 배워가겠습니다!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열공하시고 좋은 성과 이루시기 바랍니다. :)
역시 명불허전!
이렇게 저처럼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았다니요~~^^
감사하게도 기다려주셨더라고요.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최호성 선생님 너무너무 기다렸습니다!! 선생님 C 강의 정말 제 인생 강의였어요!!!! ㅠㅠㅠ
와우~~. 과찬입니다. 감사합니다.
운영체제 1회독 완강 후 네트워크 시작입니다아 널널한 개발자님 감사합니다!
달리시는 모양입니다. 열공하시고 좋은 성과 얻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 덕분에 공부가 너무 재밌습니다 유투브 오래오래 부탁드려요!
@@bori12370 와우~~! 보람을 느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개발자님~오래 기달렸습니다. 프로젝트까지 끝나면 오프모임도 계획이 있으시면 꼭 참석하겠습니다.
곧 코로나 시대도 끝나겠지요. 여름에는 '맥주' 모임 한 번 추진하겠습니다. ^^
드디어......드디어...........후.... 이제야 숨쉽니다 같이 달리겠습니다
좋지요. 함께 달려봅시다~!
혹시 개발자님의 네트워크 기초 강의를 듣기전에 선행으로 알아야 할 컴퓨터 과목들이 있을까요? 캄퓨터 구조, 운영체제 정도?? 인가요?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를 알고 있다면 가장 좋겠습니다. 최소한 우리 채널에 게시된 '넓고 얕게' 시리즈 내용은 알고 보시기를 권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 개발자님! 네트워크 기초 강의 중에서도 멤버쉽으로 전환된 강의가 있나요? 제가 유투브 초보라 영상 구분법을 몰라서... 그리고 멤버쉽 등록했을때 들을 수 있는 강의리스트를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 학교 전공 과목 네트워크를 공부하다 유투브에서 우연히 선생님 영상을 보게 되었고
너무 잘 맞고 설명이 명쾌해 멤버십도 구독중입니다. ! 공부 한 것들을 잊지 않기 위해 기록을 하고 싶은데 개인 공부용 블로그에
출처를 남기고 강의 내용 정리와 자료를 올려도 될까요??
네, 그렇게 하시기 바랍니다. 정리하면서 복습도 하고 모든 이론들 다 자신의 것으로 흡수하시기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일하면서 이런 개념도 모르고 네트워크 관련 업무를 보고 있었다는 사실에 반성하고 갑니다..
반성까지 하실 필요는 없겠습니다. 이런 관점이 있다는 것을 참고하시고 더 깊은 이해를 얻는 다면...그것으로 충분하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심도있는 네트워크강의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스승의날 생각나서 댓글 남깁니다.
스승 소리를 들을 자격은 없는 흔한 IT유튜버 입니다. 그럼에도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2023.11.04 감사합니다.
무선통신 전공이지만, kt nw 인프라기술쪽이 네트워크쪽이라서 공부를 해야해서
영상 여러개 보고 있습니다. 11.11/11.12 면접인데 화이팅하겠습니다.
음...그렇다면 꼭 인프런에 올린 네트워크 강의 기본/응용 모두 보고 가시기를 강력히 권합니다. 특히 응용편에서 다루는 내용들도 완벽히 이해하고 가야 합니다. 몇 년 전 KT에 입사한 어떤 분에게 설명했던 내용들이 모두 담겨 있으며 그 분은 현재 KT에 잘 다니고 있습니다. :)
지금은 사라진 최호성의 c프로그래밍을 19년도에 공부하면서 코딩에 재미를 붙였고 이후엔 C++을 공부했고 지금은 그래픽 렌더링에 취미를 붙여서 게임개발쪽으로 진로를 잡아서 공부중입니다. 덕분에 주변에서 하나둘씩 코딩에 흥미를 잃고 개발자로써의 취업을 포기할 때 저는 포기하지 않고 공부해나갈 수 있는 기초를 닦았습니다.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었습니다.
아... 제가 원했던 모습을 본 것 같습니다. 힘들게 강의 만들었던 보람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
현재 국내 벤더사에 취업한 신입사원입니다.
좋은강의 쉽게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챙겨볼게용ㅎㅎ
그렇군요. 신입이라면...제가 하는 이야기들을 잘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
@@nullnull_not_eq_null 네네 잘 암기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비극이군요. 조곤조곤 비유가 정말 찰떡이시네요...
비극이요? 어떤 의미일까요? ^^;;;
@@nullnull_not_eq_null 제가 비극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하고있었거든요...ㅎㅎ 정말 정말 감사드립니다.
아하...그렇군요. ^^;;; 확인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영상 잼있게 보고있습니다!
마침 회사 인프런에 널발자님 네트워크 강의가 올라왔길래 신청했습니다!
잼있게 듣겠습니다~
수강자분이시군요~~! 열공하시고 좋은 성과 거두시기 바랍니다. :)
컴공 나와서 보안 면접을 앞두고 있습니다.
검색 중 발견 했는데
네트워크 기초 이론이라도 완강하고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보안 분야라면...꼭 응용까지 완강하시기를 바랍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인프런에 올려주신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기초/중급" 이랑 유튜브 강의랑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3개다 보면될까요?
기술적으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응용편에서 NAT 기술을 좀 더 깊이 다뤘다는 점과 전체적으로 더 정리된 형태라는 것만 다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널널한개발자님을 더 일찍 접했으면 싶은 생각이 드네요,, 제게 필요한 모든 강의들 정주행 달리겠습니다. 좋은 강의 제공에 감사드립니다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강의 올린지가 좀 되서 일부는 멤버십으로 묶여 있습니다. 학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크롬, 아니면 파이어 폭스, 리눅스에서 shell 등
이런 프로세스들이 켜지자 마자, socket을 통해서 포트 번호를 할당 받는건가요?
예를 들어,
1. 크롬 브라우저 실행, 2. socket을 타서 TCP/IP에서 port 할당.
이렇게 되는건가요?
소켓이 생성될 때 Port 번호가 Bind되지 않으면 생성(혹은 개방)자체가 실패합니다.
감사합니다 다치셨는데 불구하고 모든 질문에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빨리 쾌차하시길 바랍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두번째 정주행 시작합니다!
와우~~! 열공모드로 달리시는 군요!! 응원합니다.
네트워크 사리즈 정독 시작했습니다..
명불허전입니다 진짜
책 반 권 뚝딱이네요..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네트워크 시리즈 잘 끝내시면...기초적인 이론은 충분하리라 생각합니다. 공부하시다가 질문 생기면 글 올려주세요. 보강도 만들겠습니다. ^^
댓글들 쭈욱 보니 제가 제대로 찾아온 기분이네요.^^ 알고리즘 중에서 옥석 가리기 쉽지 않았는데,,, 유레카~!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멤버십도 감사드려요~~! :)
감사합니다 ~❤
저도 감사합니다. :)
예전에 사무자동화 필기 시험때문에 이해도 안되는 OSI 7계층을 무작정 외웠었는데 이런 거였군요..참 설명을 잘해주십니다. 반복 시청해서 머리에 남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
동영산 처음에 기본 강의를 들어본 사람을 전제로 하시는데...ㅠㅠ 혹시 아예 쌩컴퓨터 초보면 어디서부터 들어야하나요? 유튜브에 강의가 있을까요?
우리 채널의 '넓고 얕게' 시리즈는 모든 이론의 기본이자 기초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넘 감사합니다ㅠㅠ 문돌이에게 빛이십니다....
개발자님!
인프런에서 구매해야 들을 수 있는 강의와 현재 유투브 채널에 있는 강의들과의 차이점이 어떤건가요?
내용 상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유튜브 강의는 일부가 멤버십(유료)로 묶여 있습니다. 그리고 NAT에 대한 내용은 인프런 강의에만 있습니다. 소켓과 독하게 되새기는 C는 인프런에서만 공개하고 있습니다.
3년 전, 전역 후 기억을 더듬으며 복학 준비할 때 더할 나위 없는 도움을 많이 받았던 교수님의 강의, 다시 볼 수 있게 되어서 정말 기쁩니다. 심지어 부족했던 부분과 저의 잊었던 열정을 다시 찾게 해주셨었습니다. 교수님께 이어서 배우고 싶었는데 이런 기회가 다시 오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매일매일 챙겨볼 예정입니다.
그렇군요. 다시 열정을 찾으셨다니...매우 반가운 소식입니다. 강의를 매일 만들도록 저도 노력하겠습니다. ^^
선생님 유튜브에 있는걸로 네트워크 강의를 인프런 대신 들어도 내용 면에서 부족하거나 별 문제가 되진 않겠죠?
네, 기술적인 면에서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인프런 강의가 정리가 좀 더 잘 되어 있는 정도의 차이가 있겠습니다. :)
혹시 인프런 강의와, 유튜브 네트워크 기초 이론 회원 영상이랑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내용상 큰 차이는 없습니다. 더 정리가 되어 있고 응용편에서 NAT관련 내용이 더 많이 들어갔다는 점이 큰 차이라면 차이입니다. :)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이런 강의를 무료로...... 진짜 공부하기 좋은 세상이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비전공 개발 취준생입니다. 네트워크 관련 공부를 하다가 선생님 강의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ㅎㅎ 비전공자인 저도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는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매일 공부한 것들 개인 개발 블로그에 작성 중인데 선생님 강의에서 설명해주신 것들을 요약하거나 판서를 재구성해서 기록해도 될지 여쭙고 싶습니다! ㅎㅎ 항상 감사합니다~!
네, 그렇게 하시고 공부도 열심히 해서 좋은 성과 거두시기 바랍니다. 건투를 빕니다!
@@nullnull_not_eq_null 넵 감사합니다 ㅎㅎ
TCP/ IP 에서 IP가 그림상 L3와 L4에 걸쳐있는데 실제로 걸쳐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실제로 걸쳐있다면 어째서 걸쳐있는 걸까요?
아니오. 그림상 그렇게 된 것 뿐입니다. OSI 7 layer에 없는 Driver가 껴들어 가면서 그렇게 그려진 것 뿐입니다.
군대에서 시청중입니다 감사합니다 ~~~
추운 겨울에 고생이 많으시군요. 혹한기 훈련의 추억이 아련하게 떠오르네요. ^^;;;
네트워크, 가상화 분야로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유튜브를 떠돌다가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행운이네요 ㅎㅎ
앞으로 열심히 수강하겠습니다 ^^7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열공하시고 건투를 빕니다.
OSI 7layer를 User, Kernel, H/W로 분류하여 설명해주시는건 진짜 탁월하십니다. 대부분 그냥 7layer죠`^^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
잘보고 배우고 갑니다.❤❤❤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
네트워크 기초 이론 띄엄띄엄 한두개보다가 정주행 하러 왓습니다 ㅋ
현명한 선택입니다! 열공하세요~~~! ^^
엄청난 강의입니다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
비전공자로 OS 공부를 해가면서 전반적인 네트워크 공부에 대해 어떻게 할까 고민하고 있었는데 좋은 강의를 찾은 것 같아 기쁩니다.
그렇다면 잘 찾아 오셨습니다. 기초 강의 모두 들어보시면 개념을 잡는 정도까지는 충분하리라 생각합니다. 확인 및 피드백 감사합니다. 열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제가 취직하게 된 직무가 네트워크 관련으로 깊게 연관되어있어, 널널한 개발자님 네트워크 강의를 정주행 중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담당하게 될 직무 중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I/O 멀티플렉싱인데, 널널한 개발자님의 견해로 들어보고 싶어 문의 남깁니다!
제가 봤던 영상들을 되짚어보면 아마 Blocking I/O vs Non-Blocking I/O까지 알려주셨던걸로 아는데 이에 확장 개념인 I/O Multiplexing도 영상 하나 남겨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네트워크 기초강의 전체를 꼭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비동기 I/O를 전제로 멀티플랙식 개념이 적용되는데 이는 쉽게 생각해서 파일에 비동기적 입/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시해 대응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켓 50개가 있는데 이를 사용자 모드 프로그램이 각각 수신대기 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할 데이터가 생기면 어차피 커널에서 입/출력을 시도할 것이므로 그 시점만 인지해 대응하는 개념입니다.
나중에 소켓 프로그래밍 영상도 만들예정이긴 합니다만...시스템 프로그래밍 이후가 될 예정이기 때문에 시간은 좀 걸릴 것 같습니다. 학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널널한 개발자님 네트워크 카테고리 제대로 정주행 하고 구글링으로 더 찾아보겠습니다ㅎㅎ 혹시 널널한 개발자님 영상 정주행하고 잘 정리해둔다면, 네트워크 기본서를 따로 준비 안해도 괜찮을까요? 영상 정주행 후 그때그때 구글링 하는것으로 커버가 가능할지, 아니면 책도 따로 사서 공부해보는게 좋을지 여쭤봅니다!
@@bloom6561 그래도 서점 가셔서 마음에 드는 책 한 권 보시기를 권합니다. 만일 딱히 없으시면 루비페이퍼 책을 권해드립니다. ^^
www.yes24.com/product/goods/98358275
@@nullnull_not_eq_null 감사합니다! 교보문고 가서 네트워크 관련 책들 한번 사악 훑어보겠습니다 ㅎㅎㅎ 그전에 널널한 개발자님 강의부터 다 보구요!
osi 7 layer 오랜만에 듣습니다.
저거 첨에 공부할때 겨념이랑, 실제 구현된 장비랑 하나도 안맞아서 헤멧던
책을 몇권이나 보고서, 한참이나 시나 어느순간 무릎을 치며, 썅욕을 했던 기억이
감사합니다.
취미로 프로그램 다시 배우는 아재가 ...
그러게요. 그 OSI 7 Layer 이야기를 좀 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더 쉽게 배웠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뭐,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혹시 어떤 부분이 안맞았다 생각이 드셨나요~~?
@@ethan_nam 맞지 않다가 아니라...실체가 없는 추상적 개념을 이해하기에는 '예'가 너무 부족했다는 의미 입니다. 사람을 이해하기에 앞서...일단 내 친구 길동이 녀석부터 좀 공부했더라는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죠. ^^
@@nullnull_not_eq_null 갈가마구님께서 실제 구현된 장비랑 하나도 안맞아서라고 하신 대목에서 어떤 느낌이셨을지 궁금해서 여쭤본 부분입니다 ㅎㅎ
@@ethan_nam 아, 그렇군요. 엉뚱한 답변을...^^;;;;;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혹시 인프런에 있는 강의는 선생님께서 유튜브에 올려주신 것 다 보고 보면 될까요?
아니오, 그렇지는 않습니다. 중복되는 내용도 많습니다. 꼭 다 봐야 할 필요는 없겠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알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 목소리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너무나 잘 보고있습니다.. 혹시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응용편처럼 기본편에서도 ppt 자료를 공유해주실 수 있나요?
공유해주시면 공부하는데에 너무나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인프런 강의를 말하는 것인가요???
현재 이 플레이리스트 강의(네트워크 기초 이론) 입니다!!
@@cksrb4225 이 강의들은 딱히 자료로 남은 것이 없습니다. 다 판서라...^^;;
네트워크 듣기 시작했습니다. 들으면서 와이어샤크 같은 패킷분석기 한번쯤은 만들어보고 싶네요 ㅎㅎ..
생각보다 만들기 쉽습니다. 음...조만간 회원 전용으로 한 번 올려볼까 생각 중이긴 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 감사합니다.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 같아요. ㅎㅎ 열심히 일단 네트워크부터 들어보겠습니다.
그렇다고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마세요. 생각보다 별 내용이 없습니다. ^^;;;
작가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네트워크의 탄탄한 기초.. 정말 영양가 만점입니다
따로 커리상 여쭐 것이 있습니다
c언어에 대한 강의는 따로 업로드 예정이 있을까요?
아마도 네트워크 강의가 마무리되어야 C언어 이야기도 할 수 있지 싶습니다. 하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계획된 것은 없습니다. 일단 책을 좀 현행화 해야 해서...ㅜㅜ
@@nullnull_not_eq_null 아이구 아쉽네요 ㅠㅠ
일단 책만으로 독학을 해봐야겠네요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쌤~~
블로그에 선생님 강의 들으면서 공부한 내용들 같이 정리해도 될까요??
출처는 물론이고, 열심히 홍보할게요 ㅎㅎ
네, 그렇게 하시기 바랍니다. 대신 꼭 열공하시기 바랍니다. 건투를 빕니다!
OSI 7 LAYER는 개념 문제
TCP/IP HTTP는 구현(실체)
컴퓨터의 세계에서는 3개의 계층 존재
USER (SW)
KERNEL (SW)
HW
DoD
Application 계층
Transaction 계층
Network 계층
Access 계층(접근단, 전송단)
Kernal 부분
TCP/IP Socket
= TCP를 User mode application에서 접근할 수 있게끔 파일 형태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
구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리>
OSI 계층 공부×
TCP/IP HTTP 공부
추가 공부할 것
각 계층에서 식별자 존재
Access - mac
Network - ip
Transaction - port
숙제: 무엇에 대한 식별자일까?
잘 정리하셨네요. :)
혹시나 강의 업로드 하실 수 있으시다면 그 라우팅 기법/방법이라든 지 라우팅 동작과 라우팅 테이블등 라우터 관련한 동영상도 올려주실 수 있나요?
제가 라우터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만 알 뿐 경험이 많지 않아 관련 영상을 만들 계획은 현재 없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네알못 입니다
뭔소린지는 잘모르겠지만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그러시군요. 좋은 성과 거두시기 바랍니다. :)
선생님 네트워크기초 인프런 강좌와 해당 유튜브 재생목록과 어떤걸 들어도 상관없나요?
네, 다만 인프런 강의가 조금 더 다듬어져 정리된 상태이며 응용편에서는 추가적인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앱 서버를 만들고 싶은데 널널한 개발자님의 인프런 강좌들을 들으면 될까요?? c언어랑 소켓? 강좌요
구조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HTTP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앱이라면 소켓강의가 아니라 웹 백엔드 개발 공부를 해야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같이 이 시리즈 완강 하실 분
1강 시청 완료
음...스터디 그룹이라도 만들어야 겠네요. ^^
포트번호 ip주소 mac쥬소 그리고 응용계층에서는 process id가 식별자! 이것도 각 계층의 식별자에 포함되는 거죠?
음...포트번호가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됩니다. Process ID는 오직 프로세스만 식별하는 고유번호입니다. 네트워크와는 관련이 없으나 포트번호와 조합해 식별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ullnull_not_eq_null 아~ 포트 번호까지 포함되어야 하는군요! 감사합니다 ㅎㅎㅎ
이런 명강의를 무료로 볼 수 있다는 것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좋은 평가와 피드백 고맙습니다. :)
대학다닐때 정말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저런식으로 공부하는방법이 있군요... 조금만 늦게태어났으면 ㅠㅠ
이제는 잘 알게 되신것 같습니다. 그럼 성공이죠 뭐...^^;;;
작년에 업무 때문에 네트워크 관련된 지식들이 너무나 필요했었는데... 타이밍이 참 아쉽지만 너무 궁금한 부분 중에 하나였습니다. 감사합니다(__)
타이밍이 잘 맞았다면 더 좋을 텐데...저도 아쉽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알려주세요. 강의 제작 시 참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