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네카라쿠배 현직자, 서울대 AI 대학원 선생님과 함께 나만의 (AI, 데이터) 포폴을 만들어보세요! 🙋< 24.07.31부터 시작하는 7주 온라인 포폴 스터디 신청하기 > docs.google.com/forms/d/1Dxzwebv1i38B4rjPKEpRPgwjDMvo3JKsfDgjA4YtoNY/viewform?edit_requested=true 🗓 시작/진행 일정 * 총 7주, 14시간 과정 (매주 1회 2시간 수업) ✅ A 주제 : 영화 데이터 활용 컨텐츠 추천시스템 입문 스터디 07.31 (수) - 오후 8시 시작
✅ B 주제 -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한 나만의 한국어 GPT 만들기 08.03 (토) - 오후 4시 시작
✅ C 주제 - 딥러닝 활용한 얼굴 인식 개인화 서비스 만들기 08.01 (목) - 오후 8시 시작
✅ D 주제 - 대기업 현직자와 함께하는 데이터 엔지니어링 A to Z 08.05 (월) - 오후 7시 30분 시작
✅ E 주제 - 딥러닝을 이용한 유통/이커머스 고객 행동 예측 입문 08.04 (일) - 오후 3시 시작 ✅ F 주제 - 딥러닝 활용 신용카드 이상거래 감지 프로그램 08.03 (토) - 오전 10시 시작
감사합니다 개발자인데 자꾸 회사랑 사회적인 분위기가 데이터쪽을 밀어주는거같아 빅데이터분석기사 공부를 시작으로 처음 접해봤는데 공통점이 생각보다 많이 없더군요 ㅎㅎ 용어부터가 낯설었습니다 머신러닝이 기계학습을 뜻하는것도 8시간 공부영상 시청중 처음 알 정도였으니 ㅠㅠ 앞으로도 공부할때 많은도움 받겠습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을 부분집합으로 쉽게 알려주시네요. 인공지능도 지도, 비지도, 강화학습 등이 있는게 마치 인간의 학습과도 겹쳐 보이는 부분이 있고 심리학 실험이었던 파블로프의 개 학습 이론도 생각이 나네요. 인공신경망도 인간 뇌의 복잡한 뉴런을 모티브로 개발되었다는데 아직은 발달 수준이 높지 않다지만 훗날 결국 강한 인공지능이 나온다면 어떠한 미래가 펼쳐질지 궁금해집니다.
👨💻 대기업/네카라쿠배 현직자, 서울대 AI 대학원 선생님과 함께 나만의 (AI, 데이터) 포폴을 만들어보세요!
🙋< 24.07.31부터 시작하는 7주 온라인 포폴 스터디 신청하기 >
docs.google.com/forms/d/1Dxzwebv1i38B4rjPKEpRPgwjDMvo3JKsfDgjA4YtoNY/viewform?edit_requested=true
🗓 시작/진행 일정
* 총 7주, 14시간 과정 (매주 1회 2시간 수업)
✅ A 주제 : 영화 데이터 활용 컨텐츠 추천시스템 입문 스터디
07.31 (수) - 오후 8시 시작
✅ B 주제 -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한 나만의 한국어 GPT 만들기
08.03 (토) - 오후 4시 시작
✅ C 주제 - 딥러닝 활용한 얼굴 인식 개인화 서비스 만들기
08.01 (목) - 오후 8시 시작
✅ D 주제 - 대기업 현직자와 함께하는 데이터 엔지니어링 A to Z
08.05 (월) - 오후 7시 30분 시작
✅ E 주제 - 딥러닝을 이용한 유통/이커머스 고객 행동 예측 입문
08.04 (일) - 오후 3시 시작
✅ F 주제 - 딥러닝 활용 신용카드 이상거래 감지 프로그램
08.03 (토) - 오전 10시 시작
화학쪽도 데이터분석을 강조하면서 머신러닝 이상의 적용을 요구하는 분위기입니다. 전 실험위주의 연구자여서 생소하지만..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밤늦게 조금씩이라도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육아도 병행하다보니 쉽지않지만..열심히 올려주신 자료 보고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같이 화이팅입니다 :)
▶메타코드M 오픈채팅방 초대받기 (IT 뉴스/ 참여 Event)
docs.google.com/forms/d/1k4ufvVdJMhJZKFccVxAzsl_bJyTuTuDXjjsOsZP2MXA/edit
면접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인데 자꾸 회사랑 사회적인 분위기가 데이터쪽을 밀어주는거같아 빅데이터분석기사 공부를 시작으로 처음 접해봤는데
공통점이 생각보다 많이 없더군요 ㅎㅎ 용어부터가 낯설었습니다 머신러닝이 기계학습을 뜻하는것도 8시간 공부영상 시청중 처음 알 정도였으니 ㅠㅠ
앞으로도 공부할때 많은도움 받겠습니다😮😮
앞으로 자주 찾아와 주세요~!
화학공학과 지난 4개월정도 공정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보고서 쓸때 매체에서 흔히 쓰는 지도 비지도 딥러닝 머신러닝 ai 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ㅂ필요해서 구글링하고 꽤 오랜 시간 공부했는데 이 6분짜리 영상에 제가 공부한 내용이 다 잘 정리되있네요 너무 좋아요
상세하게 느낀점 남겨주셔서 감사해요~
영상에 댓글단 부분 캡쳐하셔서,
support@mcode.co.kr 로 메일 보내주세요~!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을 부분집합으로 쉽게 알려주시네요. 인공지능도 지도, 비지도, 강화학습 등이 있는게 마치 인간의 학습과도 겹쳐 보이는 부분이 있고 심리학 실험이었던 파블로프의 개 학습 이론도 생각이 나네요. 인공신경망도 인간 뇌의 복잡한 뉴런을 모티브로 개발되었다는데 아직은 발달 수준이 높지 않다지만 훗날 결국 강한 인공지능이 나온다면 어떠한 미래가 펼쳐질지 궁금해집니다.
상세하게 느낀점 남겨주셔서 감사해요~
영상에 댓글단 부분 캡쳐하셔서,
support@mcode.co.kr 로 메일 보내주세요~!
저도 면접준비하며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인공지능부터 딥러닝까지 기초적인 용어가 서로 무엇이 다른지 헷갈렸는데, 한번에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상세하게 느낀점 남겨주셔서 감사해요~
영상에 댓글단 부분 캡쳐하셔서,
support@mcode.co.kr 로 메일 보내주세요~!
좋은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하나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딥러닝은 강화학습의 한 종류인 것인가요?
개념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하셨군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더 많은 AI 영상/정보들은 메타코드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세요.
metacodes.co.kr
@@mcodeM 감사합니다. 유튜브 설명을 들어보는 과정에서 Meta code강사님의 설명이 다른 어떤 분 보다 명쾌합니다.
분류와 설명이 이해하기 쉽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주변에 많이 추천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4개의 러닝에서 LLM이나 생성형 ai는 어디에 속하나요??
감사합니다
조금 이해가 않되는게 있습니다.
머신러닝>딥러닝>인공지능은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딥러닝>머신러닝>인공지는은 이해가 않됩니다.
기계가 갑자가 처음부터 딥러닝을 한다는 건, 좀 이해가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