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가 익을 때까지 때려봤습니다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ก.พ. 2025
- 해외 과학 매니아들 사이에 난리가 났던 고기를 때려서 마찰열로 익히는 방법!
이게 될까요?? 직접 1++ 한우를 사서 때려봤습니다!!
고기야 맛있게 구워져라~!!
🦺 찬스&수드가 입은 옷은 무엇?
bit.ly/Geekble...
🔩 찬스&수드가 사용한 전동공구는?
bit.ly/3dmWpf1
7️⃣ 긱블 말랑체 영문 폰트 무료 다운로드 받기!!
geekble.shop/s...
🎨 긱블러 인스타그램
찬스 / geekble_chance
수드 / soodragon_circuitmaker
기획 빽곰 / geekble_backkom
편집 카프 / geekble_coff
-
긱블 유튜브 구독 : bit.ly/321VSEe
긱블 카페 : cafe.naver.com...
긱블샵 : bit.ly/3pF1sey
긱블 채용정보 : geekble.team - แนวปฏิบัติและการใช้ชีวิต
재도전 때 검증이 필요하시면 불러주세요
아닛 일이 점점…!
와 ㄷㄷ 육식맨님
열 전도율이 높은 스텐으로 때리면 고기가 잘 익을것 같다고 하수의 생각이 문득 들었네요.
오
@재미 꿀 ?
궁금하신분들을 위해, 원작자는 위에서 아래로 때리는 방식으로 굽는데 성공했습니다. 냄내는 정말 스테이크 같았다고 했지만 질감은 씹다 뱉은 고기 같다고 했었습니다.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바람때문에 온도가 오르다 마는것 같은데, 때리는 부분에 사람의 체온정도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구현하고, 마사지건 같은 메커니즘으로 만들어서 상하운동으로 타격하면 온도 더 잘 오를것 같아요.
바람도 그렇지만 때릴때 손바닥으로 맞게끔 해주면 좀 더 가능성 있지 않을까요? 손가락 끝만 이용해서 마찰열을 일으키는 디자인보단 마찰열을 많이 내는 롤러를 돌려서 익히는게 나을듯요. ㅎㅎ 그런다면 실험이 무의미 하겠지만..
퍽퍽 치듯이 돼야지 그냥 스치듯 가는거에서 열이 얼마나 발생하겠어요...
ㄹㅇ;
나도 이생각 함 ㅋㅋ
찰싹찰싹 치면 열받아서 짜증나긴 하겠네요
퍽퍽치면 고기가 퍽퍽해지기 때문에 차선책으로 두신 것 같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다음엔 이번처럼 회전 운동 식으로 고기에 마찰을 주는 방법 말고 직진 운동으로 고기를 박수치듯이 속도를 늘리면 어떠하신지요 그럼 발열이 일어날 수 있는 고기 표면도 넓어질 거 같아요 이번 실험 되게 재밌게 봤습니다 !! 😂
님 말이 더 현실성이 있네요. 긱블은 기계공학과 출신들도 몇명있고 맨날 뭔가 기계장치를 만드는 도전을 하기는 하는데 항상 제대로 만든 적이 없더라구요. 항상 어설프고 조잡하네요..
그니까요 좀 실망스런 프로젝트가 많음. 조잡함. 너무 재미만을 찾는거같기도하고
피스톤 만들어서 때리면 될것 같았는데 회전으로 될까 싶긴 했음..
@@censored_user
피스톤 운동으로 고기를 페면 돈까스로 변하지 얂을까용
@@팝송용계정-d4g 사람손으로 2~3만번 패도 돈까스고기 될것 같아요ㅋㅋ 익히는게 우선목표이니..
변수통제가 완벽히 모든 부분에서 실패한 실험이었네요 ㅋㅋㅋㅋㅋㅋ
1. 실내온도 (추워서 때려서 전달되는 에너지보다 바람이나 실내온도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더 큰것같음)
2. 때리는 손의 면적 (손끝으로 치는건 의미가...)
파리채로 하면 괜찮지 않을까요?
손의 체온도 영향 끼칠것 같음
때리는것만 하는게 아니라 돌아가면서 마찰도 생김
때리는게 아니라 쓰담쓰담 하는 느낌..ㅋㅋㅋ
손은 1~2°씩 오르는데 바깥은 3도씩 내리면 소용 없긴 하죠ㅋㅋ
"때린다."를 실현하지 못한게 실패 원인인거 같아요 ㅋㅋㅋ
새로운 구조로 다시 도전하는 영상 보고 싶네요 ㅋㅋㅋ
때린다가 아니라 저건 "구른다"...
핥는다
긁어준다?
모터가 생각보다 빨라서 그냥 끝만 닿아도 고기가 넘어가서 정작 제대로 때린건 몇대 안된거 같은데......???
ㅇㅈ차라리 고기를 왼쪽 위로 보게하고 고정시켜서 손바닥을 아래에서 치게하면 그래도 반은 정상적으로 되지않나
차라리 고기를 고정시키고 손을 고무같은 제질로 바꾸면안될까요
외국에서 8시간인가 쳐서 성공 사례가 있던데 그거 참고 하셔도 될듯.
ㄹㅇ 저건 치는게 아니라 스치는 거지
그럼 너가 해봐
요리사가 이 영상을 싫어합니다.
추천! 구독! 알림설정! yeah~
댐퍼를고기에 달지말고, 타격기는 손모양이라 고기에 닿는 면적도 작은거 같습니다.
고기는 고정, 손목부분에 뎀퍼를 달고 파리채 같이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서 고기면에 경사를 만들어서 최대한 많은 부위를 때릴수 있게하고 치는게 더 빨리 열이 오를거 같네요^^
재도전해서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잼있게 잘봤어요~
뎀->댐
@@d2341a 대미지도 맞는데…데미지가 너무 많이 알려줘서…오타는 아닐듯(외국어를 한국어로 바뚤때 잘못된게 너무 많이쓰이면 그것도 표준법으로 인정한다 예:짜장면)
@@user-xm1np1nd5l 솔직히 이분들이 모를리는 없고 귀찮은건가? 하고 봄 누가봐도 겉만 쓸고 제대로 타격이 안가는데..
잼있게 X
재미있게 O
때리면서 생기는 바람이 고기를 식할 듯 ㅎㅎㅎ 저 장치 자체를 외부공기가 차단된 박스 안에 담아야 오르는 열기를 가둘 수 있을 거 같아요. ㅎ 돼지 바베큐 할 때도 열린 공간에서 하면 열이 분산되어서 좀처럼 익지 않습니다.
앏은 철판 상,하로 만든 다음 고기를 좌우로 왔다갔다해도 마찰때문에 익을꺼 같은데 ㅎ
아니면 손대신 얇은 철판으로 파닥닥 때리면 가능할지도..다만 철판은 돌리다가 날라가면 위험할 수도 있으니 안전이 필요할꺼 같네용
그리고 고기에 오일좀 바르면 열좀 더 오를꺼 같습니다!!
@@Thiamine_1210 잼민이들 부모 허락받고 댓글 작성 가능하게 해야한다 진짜 꿀밤 마렵네
모터발열은요
@@Thiamine_1210 아니 그럼 여기에는 댓글을 뭘 달아야 하나 ㅋㅋ
열이 오르는 걸 보니까 조건 잘 맞추면 정말 잘 될 거 같기도 해요!! 실제 사람 손처럼 육손이 손 온도도 뜨듯하게 맞추면 넘 쉬워지려나요. ㅋㅋ 다음 도전 기대합니다
열을 가둘 수 있도록 닫힌 공간 안에서 댐퍼를 빼고 고기가 안 움직이게 고정하고 때리는 손바닥을 차라리 깔창처럼 탄력있게 치고 지나갈 수 있도록 하면 적어도 때리는 부분은 익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뇌피셜, 카더라통신, 협량한 지식수준으로 훈수 두지 말고 니가 직접 실험해보거라
이런 메이킹 영상 그리웠다구~!~!
전설의 시작이군요... 내 최애 채널들 앙상블의 시작~!!!
손바닥 면으로 찰싹찰싹 때리는 식의 기계를 만들어서 시즌2 달리시는 건 어떠신가요?!
애초에 마찰열아니었나..몇번 때리는거 보고 당연히 안될거라 ..
접촉면적이 너무작음 손바닥으로 후리게끔 또 마찰력이 극대화되게 유연성이 있는 소재를 써야할듯
@@vfrtgyuhv33 그쵸 ㅋㅋㅋㅋ
에너지의 치환이 긁고 지나가는 형태다 보니 내부까지의 에너지 전달이 안되는 형태입니다
라고 한번 얘기해봅니다
@@K3_GT 그리고 이왕이면 양쪽 면 혹은 다양한 방향에서 후려칠 수 있다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ㅋㅋ
@@_Seo_yul_ 그렇게 하려면 너무복잡함 차라리 스펀지에서 흔들어서 물 데우는것처럼 통안에 넣어놓고 오비탈같은걸로 랜덤하게 흔들어줘야되는데 구조가 너무 복잡해져버림
고기가 아니라 손이 뒤로 재껴지게 설계했으면 열이 쪼-끔 더 올라갔을거 같긴한데 ㅋㅋㅋㅋ 너무 재밌게봤습니다. 담엔 꼭 성공하시길!
ㅋㅋㅋㅋㅋ손이 회전 하면서 바람나오니까 그 바람으로도 식혀지는 역할일듯
그러게요 이건 때리는게아니라 긁는거잖아요 훈늬님 말씀대로 손이 때리고 뒤로 제껴지게 하면 더 효과있겠네요 ㅎㅎ
쨕쨕 때리게 만들어야지 무슨 손톱으로 긁는거로 만들고 있음 ㅋㅋ
맨 처음에 전동 드라이버로 만든거로 하는게 더 빠를듯 ㅋㅋ
손에 텐션줘서 맞으면서 넘어갈수잇게 설계하지.....너무 생각없이 한듯...
내부도 익어야하니 고기를 얇게 저밀어서 내부까지 쉽게 익기 쉽게 우삼겹을 하고
아래에 완충재를 두고 우삼겹 그 위에 얇고 질기고 부드러운 막 그 위에 위아래로 진동하는 넓은 면을 가진 진동기계를 두면 될거 같은데
해부학도 살짝첨가해서 관절을늘리던가해야 더 잘됄것같기도?
ㅐ
@@다귀찮다 아는척하면서 개소리 ㄴ
이거는 누가 봐도 잘못 만들어놓고 안된다고 하면...... 이건 새로 하는게 맞을듯
혹시 영상 다 보고 댓글다는게 힘듦?
곤장 때리듯이 기기 제작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즌2 기대할게요
회전하다 보니 사실상 때린다기 보단 손끝으로 긁고 지나가는게 아닌가.. 계획했던 전체 표면을 때리는게 아니지 않나..
회전운동을 수직 반복운동으로 바꿔줘야 되지 않았을까..
근데, 모터 열이 80도면 모터 위에 그냥 얹어 두는게 가장 좋을지도..
ㅇㅈ 닿는 면적이 작고 때리는게 아니라 스치는거 같음 그냥 마찰열로 올리는거 같음
피스톤 운동 하는 기계 필요할듯
@@hthd2148 ㅇㅇ 해외영상도 곤장처럼 만들어서 모든 지면을 때려서 되든데
시즌2 기대해야저
ㄹㅇ 시즌2 기대해봅니다!😊
뭔 ~~ 🐕🐕🐕 짖는 소리야
박수치는 기계같은걸 개조해서 양면을 때려주면 성능이 2배 더 좋을거 같네요👏
👏🏻👏🏻👏🏻👏🏻👏🏻👏🏻👏🏻👏🏻👏🏻👏🏻👏🏻👏🏻
👏👏👏👏👏👏👏👏👏👏👏👏
👏👏👏👏👏👏👏👏👏👏👏👏
🙏🙏🙏🙏🙏🙏🙏🙏🙏🙏🙏🙏
🤜🤛🤜🤛🤜🤛🤜🤛🤜🤛🤜🤛
돌아가는 모습을 보고 바로 수정 하셨어야 했는데...때리는게 아니고 긁기가 되어버렸군요..ㅋㅋ
회전식이 만들기는 간단하겠지만 펀치식으로 만드시고 재 실험 해보시면 진짜 고기가 익을지도 모르겠네요..^^
채찍같은거라면 고기를 고정하고 때리면서 지나가니까 더 수월하지 않을까여?
지나가던 문과입니다.
영상 마지막에 언급하셨듯이 닿는 면적이 손끝에 한정돼있는점, 완충 스프링의 가동 범위가 너무 크고 육손의 유연성이 부족하다는게 이번 실패의 키포인트같네요
더불어 돌아가면서 발생하는 바람까지.
이번실험은 손바닥으로 고기를 때린게 아닌 딱밤으로 고기를 익히는 실험인듯 하네요
굳이 손모양을 고집하기보단 채찍이나 샤워기 호스정도로 꺾임에 제한이 있으면서 부드럽고 면적이 좁은 굳이 손으로 표현하자면 손날치기의 방식으로 운용을 하는게 어떨지요?
또 이번 실험에서 중요한건 때려서 고기가 익는가
가 주제인 만큼
[6채찍 고기 6채찍]
이런 방식으로 고기의 양쪽 면을 타격하는게 효율적이지 않을지요?
마지막으로 이번실험은 타격후 쓸림마찰을 이용한 열 발생인데 고속프레스 방식으로 고기를 때려도 고기가 익을지 궁금하네요
설계미스가 바로 보였는데 그대로 분량만 채우고 영상 끝날지는 생각도 못했..
저도 보면서 내가 긱블 영상을 보는게 맞나 의심했네요
진짜 역대급 미스 보는 내내 언제 고치지 생각중이였는데 그대로 끝내버릴지는 상상도 못함
슬슬 배가 부른거지ㅋㅋ
ㅋㅋㅋㅋㅋ
ㄹㅇㅋㅋ
압축팽창을 해서 내부 열에너지를 올리려는거면 고기를 피스톤 밑에 깔아놓고 효율적으로 전체 범위에 압축을 전달해야할거같아여
긱블은 다양한 도전을 하는게 너무 대단한 것 같아요
이런 기계가 진짜 팔리면 재밌을 것 같은데 고기 구울때마다 때리는 소리가 시끄러울 같긴 하네요 ㅋㅋ
에너지효율도 똥망이죠
이게뭔 치는거야, 손끝으로 긁는 수준이지 ㅡㅡ 설계가 별로인듯
j소리가 클수a록 맛v이 좋다.
과학초보지만 그냥 뇌피셜로 말하면 때리는 면적이 작아서 그 면적에만 열 에너지가 잘 전달 된듯 넙쩍하고 적당한두께의 고기를 고기 전체 크기에 맞는 파리체 모양로 만든 칠것으로 쳐야 잘 전달되지 않을까요? 돌아가면서 치는것보다 그냥 박수 치는것 처럼하거나 내렸다가 올렸다가 치는게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열이 잘 보존 될수있다록 포장도 신경쓰면 더 좋을것 같네요.
피스톤운동으로 바꾸면 확실히 가능성은 있을 것 같은데 고기가 민치가 되지않게 마찰면 면적만 맞추면 핸드드릴로도 가능할지도?
손바닥 회전으로 하려면 고기가 앞뒤로 움직이면서 충격을 흡수하면 어떨까요?
부딪칠때 약간뒤로 밀려나고 다음 부딪칠때 앞으로 다시오고 이런식으로.....
저걸 돌려서 때릴거로 설계를 했다는게 패착의 시작이지
인체 온도까지 포함해서 때릴 수 있으면 좀 더 원하는 실험이랑 가깝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 약간 아쉽지만 진짜 창의적이고 재밌는실험 잘 봤습니다!😆
시작부터 잘못된 엉터리 실험 영상 중간까진 잘참았는데 모터 식힌답시고 선풍기 키고 고기에 간접바람 쐐게 하는거 보니 순간 너무 화나서 핸드폰 던지고 팬티 벗은 다음 부랄 잡아뜯으면서 소리지름.
고기를 세워두고 손뼉 치는 기계를 만들어서 양면을 때려보는 건 어떤가요?
도전정신 멋있덩
기계말고 손으로 쳐서 고기 익힐려면 진짜 익을꺼 같네요 ㅎㅎ
사람체온은 36.5°정도니까 기계보다 온도가 높고, 박수치면 손 뜨거워 지는거 처럼 고기에 포장 안하고 바로 치면 열 전도율이 높을테니까...
고기...맛있겠다
어렵겠지만...회전식 말고 뚜드리는 방식이 보기에 닿는 표면적이 높아서 잘되지 않을까요?
손에 관절 하나만 줬어도 표면 긁는 기계보다는 진짜 때리는 기계가 됐을텐데 좀 아쉽네
@@쳐다보노뭘 ㅋㅋ 방구석 쳐박혀서 영상만보는데다가 욕지거리 갈기는 너보다야 내가 낫다 ㅋㅋ
둘다 똑같노
@UCz4pEdNe12eFAi7c4xCaTbw 관절 준다는 표현은 그냥 관절구조를 넣는다는 뜻인데 뭐 딱히 말뽄새에 문제는 없는거같은데용
우리 관절은 3이하서 안돼는군요
사람도 때리면 익고 벼가 익으면 고개를 숙이니 사람을 때리면 온순해 지는 이유가 있었네 ㅋㅋㅋ
어?! 뭐?!
진공으로 조건 바꿔서하면 괜찮을거같은데요 복사열밖에 손실 안나니까 대신 베큠 비용이 엄청 들긴하겠죠?ㅋㅋㅋ
공기의 고압으로 고기를 구울수 있나요?
아니면 뻥튀기 기계같은 느낌? ㅋ
회전하면서 치기때문에 바람도 상당해서 바로 식어버리는건 아닐까요?
걍 선풍기로 때렸다고 봐야할듯
위에서 아래로 내려치는 반복운동이 더 열전달이 쉬울듯
상상만 해도 개웃겨서 들어옴 ㅋㅋㅋㅋㅋㅋㅋ 긱블은 초심을 잃지를 않네 좋다 진짜
내부온도는 나와도 제대로 안익는 그런 느낌일꺼같다 ㅋㅋㅋㅋㅋㅋ 근데 솔직히 이런 상상은 해봤는데 실제로 옮겨 실험 대신해주시는 긱블 리스풱!!
소고기먹고싶어서 한 실험이라는게 학계정설
칫 그래서 눈치빠른 인간은 싫다니깐
비닐겉에 때린다고 고기 안구워져요, 고기 자체에 ""마찰열""에 의해 구워지는거라 거친손으로 육면을 강하게 때려야합니다
손바닥 면을 두개를 만들어놓고 고기를 양면으로 때리는게 나은것 같아요. 그런데 회전에 비해서 때리는 운동은 때리고 다시 돌아오는 힘이 너무 많이 드니까 이걸 각도를 살짝 줘서 회전형으로 만들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그러니까 약간 싸대기를 완벽한 정면으로 때린다기 보다는 살짝 비스듬히 돌아가면서 때리는데 그걸 양면으로 하는거죠.
이번 실험에서 문제는 때리는 면이 약간 선풍기처럼 돌아가다보니까 그 기계에서 나오는 찬바람이 고기를 식히는것 같기도 하구요, 사실 9도에서 11도까지 심부온도가 올라간것도 room temperature 때문인건지 운동에너지 때문인건지 확실치는 않은것 같습니다. 미리 고기를 상온에 12시간 이상 놔둬서 심부온도를 20~25도 사이로 맞춰놓고 실제로 30도까지는 올라가줘야 운동 에너지 때문에 고기가 익었다고 볼 수 있겠네요
그리고 등심같은 기름진 부위는 충분히 많이 익어야 맛있고 기름 때문에 익는데도 시간이 좀 걸립니다. 차라리 기름기가 없는 부위를 사용하시는게 낫겠네요
실린더 두개를 대각으로 고기를 펀치날리듯이 세팅해서 하셨어야죠
싸대기로 때리는것처럼 만드셔야죠... 그거 살짝 스치는데 뭔 효과가 있겠냐고요...
그럼 니가 만들어봐
다짐육만드는 기계ㅋㅋ
오늘도 쓸모있는(?) 작품이다ㅋㅋㅋ
신박하내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이번년도 끝나가는데 재도전 언제 하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꼭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예전에 믹서기로 물 끓였던 거 생각나네요ㅋㅋㅋ 늘 흥미롭고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실제로 미국 블랜더중엔 스프 모드가 있는 머신이 있어요 고속회전하면 따뜻한 스프가되죠
@@boxcom. 오
닿는 표면적이 너무 적었다에 한표. 콘텐츠가 너무 재밌습니다. 이런 느낌 계속 부탁드립니다 ㅋㅋ
또또 협량한 지식가지고 뭐 아는척 해대네 ㅋㅋㅋㅋㅋㅋㅋ
적었다에 한표 이럴거면 보지마라 그냥
이 정치병자는 재밌게 봤다해도 뭐라하네
다음에 재도전하실때, 오토/메뉴얼(웰던 굽기)기능을 옵션으로 넣어주시면 꼭 사고 싶습니다.
곤장때리듯이 만들면 좋겠네요..기름 얹어가면서..한대요..두대요...
ㅋㅋㅋ
@@dental_design ㅋㅋㅋ
@@dental_design 오호라 찰진 사운드는 덤인가요???
차라리 고기를 묵어서 고기를 부딛치게 하는게 어떨까요? 축 막대에 한쪽에 고기 한쪽에 무게추 한다음에 돌아가는 고기에 물체를 부딪치게 만들면 될것 같은데요.
애초에 손으로 때리는거니까 손바닥 같은 넓은 면으로 때리면서 마찰로 손의 온도도 고기의 온도도 같이 오르면서 서로 온도를 올리는 효과도 같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회전식으로 때리는게 아니라 떡매치기 하는 것처럼 만들고 때리는 곳의 온도를 올려주면...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긱블채널 실험은 늘 나사가 하나 빠져있네
손으로 쳐라고 했으면 손바닥온도도 감안했어야했고 각도도 애매하게 설정해서 스쳐지나가게 제작했네
뭔가를 따라할거면 제일 중요한걸 생각했어야했는데 늘 하나씩 나사빠진 기계만 만들어대네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제2의 도전도 너무 기대되네요ㅎㅎ 딱딱한 손보다 채찍같은 소재로 하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벨트에 기어몇개하면 수직으로 빠르게? 때리게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공방 쇠두드리는 기계처럼...
pivot point 을 off center로 하시면 대각선으로 피스톤질도 할수있게 디자인 할수 있을거 같은데
채찍은 어떤가요?? 다음에는 꼭 성공하는거 보고싶네요~~
손보다는 전면적을 때릴수 있는 채찍같은 형태의 회전채가 필요해보입니다 고기는 고정되어야 할 것 같구요
그리고 회전체의 수는 소수가 좋아보입니다 5나 7정도면될것같네요
이거 백만 유튜버 맞아요? 3천알피엠 뭔 씨발 고기 때리는게 아니라 제대로 스치지도 못하고 있는데?? 실험하시는 분들 자각이 안되나?? 뭐가 즐겁다고 웃고 떠드는지 되게 멍청해보이는데.. 손 다 떼고 한개 달고서 착착 정타 때려도 모자랄거 같은데 뭔 모터 회전수,열체크.. 일단 고기를 때려야될거 아님?
공감합니다 에휴 ㅎㅎ
왜화나있노 ㅋㅋㅋㅋ
등짝 스메싱 하듯이 때리는 방법이었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ㅎㅎ 2차 시도 때에는 저 손끝이 아닌 손바닥으로 고기를 완전히 때리는 방식으로 했으면 좋겠어요!
고기를 등짝스매싱? 처럼 때려야 익을 것 같아요ㅋㅋㅋ 세게 맞으면 후끈해지며 아프지만, 아프지 않게 여러번 맞는 건 덜 후끈거리니까 빠르게 돌아가는 것 보다 세게 때리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지금방식에 절구통처럼 모터에 손바닥이 기둥을쳐허 기.정구통안에 고기를넣고.. 그럼 온도가 올라갈수도있겠네요
해외 유튜버는 성공했던데,,,
그리고 손 모양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성능이 떨어지는 설계 차라리 신발 깔창이 더 가능성 있었다 때리는 면적도 더 커서 열 에너지?가 더 많이 받을 수 있으니까
손 모양이 성능이 떨어지는 이유는 회전할 때 생기는 바람이 만들어 내는 열을 다 뺏고
고기의 지지대가 뒤로 저 쳐지는 것 때문에 손 모양이 손바닥으로 치는 게 아니라 손끝으로만 치게 되어 열을 발생하더라도 넓은 면적이 아니어서 금방 식게 된다
저렇게 돌려서 때리는게 아니라 고기를 바닥에 두고 손목처럼 스냅치듯이 위아래로 때리는식으로 설계하면 닿는면도 넓어져서 익을 거 같지 않나요?
저 밈들이 최초로 시작되서 해외 커뮤에서 핫한게 맞는데 댓글 원작드립 어이가 없네 ㅋㅋㅋ
그리고 밈의 의도가 찰싹때리는거지 댓글에서 말하는 해외 영상처럼 쿵쿵이 아니야;;
오히려 지금 얘가 하려고 하는 의도가 맞는거고..
좀 까기전에 생각좀해라;;
실험실패로 인한 교훈을 얻기위해 참가하신분들이 교대로 손바닥으로 때립시다
이게 어딜 봐서 때리는 거여
우선 실내 온도가 조금 높은 상태에서 고기를 65도 각도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해놓고 탄성이있는 2t 철판으로 마찰을 가하면
가능할것같습니다
온실에서 오랜시간 고기를 둔다면 부패도 어쩔수 없이 이루어지니까 빠른시간안에 굽는게 가장 중요할것같아요
9:29 그건 슬랩이 아니라 핑거드래그(마찰) 아닙니까. 마찰방식은 더 효율적인 마찰가열기를 설계할 수 있을거 같네요. 슬랩으로 가열이 가능한지 궁금했는데.
ㅋㅋㅋㅋㅋ설계도만 봐도 실패할게 보이네요ㅋㅋㅋㅋㅋ
때리는 손의 온도도 높아지면 좋을 것 같네요
그리고 바람을 그렇게 일으키면 절대 안되지
이건 사람손으로 밖에 증명이 안됌
옛날에 분필지우개 터는 기계가 있었는데 그런 방식이었으면 어땠을지 궁금해요
ㄱㅊ
영상 말단에 상하 운동으로 바꾸려는거 보니
지우개털이 기계와 같은 원리로 갈듯합니다
챱챱 느낌으로 사람 손 온도 그대로 반영해서 실리콘? 고무? 같은 걸로 찰지게 때리면 올라가지 안ㄴㅎ을깡여
물리 공부가 필요하네요. 때리는 운동 에너지는 질량*속도*속도/2 입니다. 큰 질량과 속도를 받아야 그 중 일부가 열에너지가 되겠죠. 그래서 여러 분들의 말씀처럼 이런식으로 하면 고기와 접촉 면적도 적고 부딪히는 질량도 적어서 의미가 없죠. 그냥 고기 다지듯한 방식으로, 방아를 찌듯이 쾅쾅 많이 내려쳐야죠. 고기를 안상하게 하려면 적당한 무게와 속도의 조절이 필요할 듯 하네요.
고기는 되게 차지고 맛있어졌겠다...
때리는거랑 그냥 상온에 놔둔거랑 비교해서 고기온도 비교도 해주세요ㅋㅋㅋ
썸내일 만 봐도 재미있다 ㅋㅋ
손 비빌 때 나오는 마찰열처럼, 고기를 서로 비비면 익지 않을까요?ㅋㅋㅋ
아님 회전하면서 촵촵촵촵 때리는 방법 말고 진짜 찰싹 소리나게 한번에 때릴 수 있는...곤장같은 시스템으로 구성하면 익지 않을까요?ㅋㅋ
아니면, 고기에 솜을 덮고, 천을 덮어서 이불에 숨 계속 쉬면 뜨거워지는거처럼 거기에다가 바람을 쏘고 그 과정에서 분자가 촘촘한 솜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가지고 익힐 수 있지 않을까요?
정말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회전하는 손도 좋은데 위에서 아래로 때리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밴드쏘나 벨트 샌더 방식으로 위에서 아래로 때리면 더 마찰 되는 부분이 많을 것 같은...생각을 조심스럽게 해봅니다. ㅎㅎㅎ
도리깨라고 아시나요? 깨를 털때쓰는 장비인데 도리깨의 원리를 기구학을 통해 기계를 만든다면 어떨까요?
아 ㄹㅇ 사람손으로 때렸으면 개꿀잼이었을텐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치만 이것도 재미있긴하네. 긱블만의 방식으로 이론을 실현시키는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건 그냥 마찰로 익힌거 아니누...?
아니요 후라이팬과 가스레인지로 익혔습니다.
박수치는 원리로, 현 방향에서 고기의 위치를 9시에 두시고, 손바닥은 실리콘 손바닥으로 치듯이 내려갈 깨, 손바닥이 꺾이 듯 내려가면서 물래방아 원리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 ㅋㅋ// 옴마가 공대생이라 같이 보고 있어요~~~ 손바닥이 유연성이 필요해요 ^^
산업용 고속 프레스 타입으로 가야죠. 크랭크가 회전하고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바뀌어서 내려오고 직선운동 양 옆에 LM 가이드 달고 ㅎㅎ 대장간 에서 많이 씁니다
소고기를 먹기 위한 빌드업 지렸다 ㅋㅋㅋㅋㅋㅋㅋ 거기에 재도전으로 다음 소고기도 예약 ㅋㅋㅋㅋㅋㅋㅋ
zzzzzzzzzzzzzzzzzzzzz
떡방아 찍듯이 설계하시는건 어떨지
손톱으로 때릴줄은 몰랐네
때려서 구울 수 있겠는데요 ㅋㅋㅋ 손은 따뜻하니까 때리는 것도 손 온도에 맞게 온도 36.5에 맞춰두고 처음 만들었던 깔창같은걸로 하면 어떨런지요
마지막 영상에 앞뒤로 움직이는 마사지를 활용하면 더 쉽게 될 것 같은데요?
바람도 안 불거 같고요.
원래 마사지기 속도가 빠르기도 하고요.
찬스님 지난번에 귤까는 기계부터 알아봤어요
혁신적인 또라이라는 것을....
그래서 찬스님 영상 잼나게 봅니다ㅎㅎ
이게... 모터열로 구우는게 더 현실감있겠다
살짝의 차이겠지만 실제 손과 모터에 달려있는 손의 온도차이도 약간의 영향을 줄 듯 싶습니다.
스프링이 살짝 밀리게 설계를 해두셨다는데 때려지는 걸 보면 너무 밀려서 손들이 밀린 고기탓에 전부 때려주질 못하고 헛손질도 하는 것 같은데 조정을 해두셔야 할 것 같네요..
가열기구보다 몇배는 전력소모가 심할 걸 예상이야 하고 있었지만 저정도면 여러명이 돌아가며 전력으로 때려대는게 더욱 빠를 것 같은 느낌입니다.
그냥 마시지기 같은걸로 짤짤이 종니 넣으면 안익나요?
그냥 고기를 눕혀서 고정시키고 위에서 팍팍 찍어누르듯이 치는기계였으면 가능
ㄹㅇ 이번건 ㅈㄴ 멍청하네 ㅋㅋ
스프링을 손에다가 달고 칠때마다 손이 뒤로 휘는식으로 한다면 어떨까 싶어요, 고기 두는대는 꺾이지 않게 하고..
손이 돌아가면서 쿨링팬역활을 한거같은데
물레방아식으로 상하운동으로 때리는게 좋을거같아요
재미로 볼줄 알았는데 다들 진짜 익히시려나봐요..!
재미가 없으니까 지적이 나오는듯
컨텐츠를 저렇게 날먹하려고 하는데 솔직히 이젠 긱블 볼 이유가 없음. 교육적인 의미가 있는것도 아니고, 하다못해 미션을 성공한 것도 아님. 걍 어그로만 끄는 컨텐츠지.
진짜 익혀야죠! 긱블이니까!
? 좀..방식이 너무 멍청한디;;; 상식적으로 저기서 나는 바람도 생각해야하고......면적 자체가 손구락 끝에 살~짝이면 의미가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