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반에 말씀하신 지금 아파트 구축 혹은 신축들이 반포처럼 될 가능성이 거의 제로에 가깝습니다. 커뮤니티 개방, 한강 조망 인센티브 등으로 해서 용적률, 건폐율, 층고는 넘사이고 원베일리, 아리팍 내에 있는 도로 또한 앞쪽이 한강으로 막혀있어 거주민 외에 외부차량이 접근 가능성이 적으며, 빌라하나 없는 깔끔한 바둑판식 토지 또한 넘사입니다. 게다가 저런 고급화를 하기 위해 분담금 몇억씩 낼만한 조합도 이제는 없겠죠.
@@hjcho129저 또한 압구정이 부동산의 원탑으로 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반포와 다르게 폐쇄적 공간은 보장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서 저렇게 표현했습니다. 서울시는 강남과 강북의 물리적 거리를 허물기 위해 보행교 설치와 같은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있기도 하고, 다른 어느 곳보다 일반시민에게 개방할 공공 부지를 요구할 가능성이 큽니다.
올라간다가 아니라 30 억 으로 떨어 집니다. . 부동산 보유세가 올라가야 나라가 삽니다. 환율은 오르는데 수출은 안되고, 물가만 오른다. 이렇게 되면 그동안 쌓였던 가계대출 중에서 가처분소득이 없어진 한계차주들은 대출상환이 불가할 수 밖에 없다. 최근 2금융권의 연체 상승이 심상치 않으며, NPL 시장이 호황인 이유이다. 첫번째, 금리를 올려 부동산의 거품을 터뜨리고 일본의 길로 가는 것이다. 일본은 플라자합의 이후 발생한 버블이 터지며 잃어버린 N십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 상황과 비슷하다. 두번째, 금리를 낮춰 물가로 고통받는 베네수엘라의 길로 가는 것이다. 부동산 시장의 거품을 유지하면서 물가를 상승시켜 자산을 가진자와 가지지 못한 자의 격차를 급격히 벌리는 것이다. 어느 것을 택해도 지옥이 펼쳐진다. 아마 우리나라 정치인들의 특성상 2번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지금 고가부동산이나 달러자산을 구축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격차는 더욱 커질 것이다. 지금 이러한 상황을 타개할 방법은 모두가 열심히 일하고, R&D를 통해 수출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근검절약하여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가계대출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고, 재정적자를 줄여나가는 것이다. 그렇다. 우리가 모두 정반대로 하고 있는 것들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실업급여와 노동권 강화에 취해있고, R&D를 위한 기술자보다 재무를 중시하는 재무쟁이들이 대기업을 장악하고 있고, 모두가 고가의 명품과 자동차를 할부로 구입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가계대출은 폭증하고 나랏돈으로 그들을 구원해주고 있고, 재정을 확대하고자 하는자들이 정권을 잡으려한다. 환율이 빠르게 오를수록 국가의 시스템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
날씨가 무더운 관계로 마이크가 뻗었습니다😂 목소리 작아도 양해 부탁드리고요, 다음 영상부터는 꼼꼼히 신경 쓰겠습니다..!
반포는 직접 가보면 왜 비싼지 왜 살기 좋은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괜히 이번 불장을 이끈 대장이 아니죠
초반에 말씀하신 지금 아파트 구축 혹은 신축들이 반포처럼 될 가능성이 거의 제로에 가깝습니다. 커뮤니티 개방, 한강 조망 인센티브 등으로 해서 용적률, 건폐율, 층고는 넘사이고
원베일리, 아리팍 내에 있는 도로 또한 앞쪽이 한강으로 막혀있어 거주민 외에 외부차량이 접근 가능성이 적으며, 빌라하나 없는 깔끔한 바둑판식 토지 또한 넘사입니다.
게다가 저런 고급화를 하기 위해 분담금 몇억씩 낼만한 조합도 이제는 없겠죠.
네 ㅎㅎ 맞습니다 저도 일반적인 단지들의 경우 사업성, 분담금 등의 이유 때문에 재건축을 하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압구정이나 동부이촌동, 여의도 등의 부촌 아파트들을 염두에 두고 말씀드렸어요! :-)
대치동 도곡동 이런데도있음..
왜 없어요 압구정 떡하니 있는데,,
거긴 분담금 몇억은 우스운 사람들 사는 동네입니다.
@@hjcho129저 또한 압구정이 부동산의 원탑으로 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반포와 다르게 폐쇄적 공간은 보장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서 저렇게 표현했습니다.
서울시는 강남과 강북의 물리적 거리를 허물기 위해 보행교 설치와 같은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있기도 하고, 다른 어느 곳보다 일반시민에게 개방할 공공 부지를 요구할 가능성이 큽니다.
@@hjcho129 막상 부촌 가봐도 어르신들은 집 한 채 뿐이라 분담금 몇억 가지고도 재건축 판에선 난장판 됩니다.. 그리고 압구정은 저층 재건축이 아니라 실제론 몇억이 아니라 10억 가까이 혹은 그 이상 봐야죠
보통 외식은 신세계 백화점을 가기 때문에 도보로는 20분 정도입니다! 근데 웬만하면 차타고 10분 거리로 다녀요 이외에도 서래마을도 있고요
반포 역시 장난아니네요 ㄷㄷ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반포 정말 살기 좋은곳이에요~
두분 모두 부자 되시길 응원합니다
격려 댓글 감사합니다! 매번 응원해 주시는 분들 덕에 즐겁게 촬영하고 있습니다ㅎㅎ 발전하는 임장특공대 모습 계속해서 지켜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니 아크로리버파크 보여주면서 원베일리라고 하는건 무슨 경우?? 06:41
구독했어요 너무 유익합니다
여기는 2016년인가에도 이미 국평 20억 비싼 아파트였죠 잠실엘리트 10억하던시절,, 지금 엘리트가 28억이니 여기 국평 50억 60억은 적정 가격이긴 합니다.
원베일리 거주잔데 친하게 지냈으면 지냈지 ㅎㅎ 뭐 그런거 없습니다. 동네주민끼리
내놓으라 X 내로라 O 입니다~
학업성취도는 16년 이후로 멈춘 시스템입니다. 반포가 최상급 학군지인 것은 맞으나 학업 성취도로 평가하신건 잘못된 방향이라 댓글남겨봅니다.
와 부촌에 살면 인생 마지막날 진짜 억울하겠는데
마이크좀 써주시면 어떨깡ㆍ🎙
너무안들려요제발
날이 너무 더워 마이크가 뻗었습니다😂 더 신경써서 촬영하겠습니다!
@ 아아 그런사정이 있었군요 미안합니다😓
올라간다가 아니라 30 억 으로 떨어 집니다. . 부동산 보유세가 올라가야 나라가 삽니다.
환율은 오르는데 수출은 안되고, 물가만 오른다. 이렇게 되면 그동안 쌓였던 가계대출 중에서 가처분소득이 없어진 한계차주들은 대출상환이 불가할 수 밖에 없다. 최근 2금융권의 연체 상승이 심상치 않으며, NPL 시장이 호황인 이유이다.
첫번째, 금리를 올려 부동산의 거품을 터뜨리고 일본의 길로 가는 것이다. 일본은 플라자합의 이후 발생한 버블이 터지며 잃어버린 N십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 상황과 비슷하다.
두번째, 금리를 낮춰 물가로 고통받는 베네수엘라의 길로 가는 것이다. 부동산 시장의 거품을 유지하면서 물가를 상승시켜 자산을 가진자와 가지지 못한 자의 격차를 급격히 벌리는 것이다.
어느 것을 택해도 지옥이 펼쳐진다. 아마 우리나라 정치인들의 특성상 2번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지금 고가부동산이나 달러자산을 구축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격차는 더욱 커질 것이다.
지금 이러한 상황을 타개할 방법은 모두가 열심히 일하고, R&D를 통해 수출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근검절약하여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가계대출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고, 재정적자를 줄여나가는 것이다.
그렇다. 우리가 모두 정반대로 하고 있는 것들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실업급여와 노동권 강화에 취해있고, R&D를 위한 기술자보다 재무를 중시하는 재무쟁이들이 대기업을 장악하고 있고, 모두가 고가의 명품과 자동차를 할부로 구입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가계대출은 폭증하고 나랏돈으로 그들을 구원해주고 있고, 재정을 확대하고자 하는자들이 정권을 잡으려한다.
환율이 빠르게 오를수록 국가의 시스템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
반포 ㅇㅈ
댓글 감사합니다! 발전하는 임장특공대 모습 계속해서 지켜봐주셔요😊
맞는말이 하나도 없네요
대장은 이제 원베일리지
전세를 없애야 제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