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고덕(반도체) 현장에서 제일 인기 많은 공구상가를 방문했는데... 이건 너무 하네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มิ.ย. 2024
  •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거상 평택고덕점
    위치 : 경기 평택시 고덕면 방축길 227 주경빌딩 105~109호
    연락처 : 0507-1428-0949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0

  • @deduking
    @deduking 11 วันที่ผ่านมา +5

    모든 현장을 삼성 현장처럼 평균화시켜야 선진국 아닐까 싶네요 우리나란 현장 노가다꾼 인식이 변하지 않는이유는 현장상황이 열악하고 인식조차 좋지 않으니 사람은 안구해지고 중국인이나 불체자 외국인들 쓰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공기간 단축만 해서 인건비 절약하려고 하니 악순환이 반복됨
    삼성 현장처럼 중국인 안써도 안전관리 철저히하고 급여 복지를 제대로 갖춰주니 한국인 못가서 난리 잖아요..

  • @user-yr6ik1ex7e
    @user-yr6ik1ex7e 15 วันที่ผ่านมา +3

    생소한 공구와 자재들 이지만 언제나 안전!!! 우선 인것 같습니다.
    오늘은 새로운 경험을 했네요~ 영상 아주 잘봤습니다.....수고하셨습니다~ ㅎㅎ

  • @user-zv5oi3zt5n
    @user-zv5oi3zt5n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날씨더운데 수고하셨습니다 👍👏👏👏

  • @user-ho8ti1bx3g
    @user-ho8ti1bx3g 14 วันที่ผ่านมา +2

    날씨 더운데 다들 건강하시고 안전하시길.... 화이팅입니다 👏👏

  • @user-ru1yh1gf9d
    @user-ru1yh1gf9d 1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유용하고 좋은정보감사합니다 ^*^
    잘보고갑니다 😊😊😊

  • @hjkim2065
    @hjkim2065 5 วันที่ผ่านมา

    오늘 생소한 내용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안전이 제일 중요하다는 것이 결론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

  • @DeepRootedTreeForest
    @DeepRootedTreeForest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요구 사항이 엄청나게 많군요 그래서 생전 처음 보는 제품들이 생기는 거군요 ㄷㄷ

  • @wonhoski
    @wonhoski 15 วันที่ผ่านมา +9

    여기 현장 남의 전동공구 들고가서 당근해서 부업하시는분 많던뎅....

    • @user-gt1xf5ur4z
      @user-gt1xf5ur4z 1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절도가 그렇게 많아요 ?

    • @wonhoski
      @wonhoski 15 วันที่ผ่านมา +3

      @@user-gt1xf5ur4z 작년에 당근하러 갔는데 트렁크에 수십개가.... 장물 산거 같아서 엄청 찜찜했었어요..

    • @user-tl1pr7nk2i
      @user-tl1pr7nk2i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당근부업 ㅎㅎㅎ 흉악하죠

    • @user-djei2747je7j
      @user-djei2747je7j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철야할때 훔치는사람 있었음

    • @hardware-27
      @hardware-27 6 วันที่ผ่านมา

      잠금장치 없으면 서로 훔쳐가고 하긴함.. 근데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반출이 될려나요? 들어가고 나갈때 소지품 검사 다하는데..

  • @hardware-27
    @hardware-27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4:18
    예전에 천안아산에서 1년가량? 배관쪽으로 일해 본적이 있는데 그때 많이쓰던 피팅이군요.. (락피팅)
    스텐레스스틸(써스) 로 된 튜브(배관) 밴딩해서 연결할때 주로썼었는데..
    7:09
    알곤통 위에 저거 있었는데 맞네요..
    7:22
    그리고 바깥에선 파이프컷터 이렇게 부르지만 주로 튜브(스텐레스로 된배관 2분의 1인치랑 8분의 3인치 두가지 있었음 ) 를 자른다고 튜브컷터라 불렀는데...
    주로 보니까 일제 슈퍼 제품 많이 쓰더라구요
    11:40
    그리고 우리는 일할때 아스테이지 같이 투명한 재질로 된 엄청두꺼운거 깔고 일했는데 계속 재사용했는데 저게 그건가? 모르겠네요..
    13:19
    그리고 불연재인지 난연재인지 몰라도.. 용접할때 불티비산 되지말라고 깔던건데 버미글라스, 화이바글라스 이렇게 불렀는데 비싼거였군요
    나중엔 강화되서 각파이프로 사각형 만들어서 버미글라스로 두른다음 용접하는 4면을 다 막고 바닥도 깔고 용접하는곳은 용접우산 걸쳐야되고 그랬는데...
    배관중에 불화수소산 흐르는게 제일 위험한데..
    불화수소산(불산) 이 주로 유리를 세척할때인가? 녹이는데 인가? 쓰는건데 주로 유리로된액정을 씻어낼때 쓰는데 금속으로된배관은 강산성이라 못쓰고 주로 pvc배관vg1에 흐르게 했던거 같은데...
    불화수소산 한방울이라도 피부에 튀게되면 침투를 해서 뻐속까지 들어가 상당한 고통을 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때문에 불화수소산이 흘렀던 배관 철거를 할때 작업복에 방독면에 내산장화 내산장갑 등등 끼고 연결부위는 테이프 다감고 완전무장을하고 작업해 본적이 있는데 일끝나고 보면
    장화안에 땀물로 한가득 들어있었던걸로...
    치과에서도 묽은농도의 불화수소산을 사기이빨 만들때 세척용으로 사용 많이 했었는데 피부에 튀어서 다친사람이 믾은걸로알아요

    • @user-ik9lb4ck9u
      @user-ik9lb4ck9u 10 วันที่ผ่านมา

      와우 많이배우고갑니다 몰랐던것들이네요

  • @keepgogogogogoing
    @keepgogogogogoing 4 วันที่ผ่านมา

    삼성 깐깐해요... 안전뿐아니라 공정도... 우리작업자들 마진은 좋았으면 하네요 ㅋㅋㅋ

  • @user-cx6pe7rq8m
    @user-cx6pe7rq8m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삼성이야 뭐.. 옛날부터 유명했지. 단순히 건설현장만 저러는게 아니라 제품 생산할 때도 진짜 자비가 없음. 요새는 외주를 많이 줘서 직접 생산하는 제품은 거의 없긴 한데 일부 프리미엄 모델은 삼성이 직접 생산하는데 자재 공급할 떄보면 진짜 말도 안되게 엄청나게 꼼꼼하게 검수를 함. 자재팀에서 1차적으로 입고하면서 육안으로 외관 불량 확인하고 이제 운반하면서 또 2차로 검사를 한번 더 함. 그리고 생산하면서 현장 작업자가 마지막으로 성능까지 전부 확인해서 오케이가 나야 되는데 이마저도 큐시검사를 통과해야 최종적으로 정상 입고 처리되고 결제가 떨어짐.
    누구는 가전이 어디가 낫다, 어디가 낫다 하는데 삼성과 거래해본 사람들은 자기 가족들한테도 삼성꺼 사라고 함. 진짜 협력업체를 쥐잡듯이 잡는데 특히 품질이나 안전과 관련된건 일체의 자비가 없음. 대신 잘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그만큼 인센티브도 잘 주고 단가도 잘 쳐 주는 편임. 그리고 자기 계열사라고 더 우대하거나 그런 것도 일절 없음. 삼성전기꺼 쓰다가 불량 난다? 가차없이 일본산으로 바꿔버림. 이때 되면 삼성전기에서 큐시 요원들 대거 현장에 보내서 자기들 제품 불량 요인을 몇달이나 체크하고 자빠져 있음. 그 시간에 삼성 제품에는 일본부품이 쓰임.
    삼성전기 과장 부장이 불려가서 대리급, 주임급들한테 개같이 쌍욕 쳐먹고 굽실거리는게 삼성 문화임. 자기 계열사라고 잘 봐주고 그런거 일절 없음. 그래서 가전이고 뭐고간에 삼성꺼는 무조건 믿고 쓰라는거임.

  • @user-ej2pe6kg4d
    @user-ej2pe6kg4d 15 วันที่ผ่านมา

    영상 잘 봤습니다.
    그래도 좋게 말씀하시네요.
    현장 가면 정말 황당하고 육두문자 그냥 나오죠

  • @user-lj5on1yv6l
    @user-lj5on1yv6l 14 วันที่ผ่านมา

    팔아먹기 힘드네요, 공단은 안전때문에...니즈가 많아요 대신 수요가 많을것 같은데...

  • @user-xl2on7pb5n
    @user-xl2on7pb5n 1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사람 엄청 줄었네요. 이정도는 새발에 피인데 ㅎㅎ 건설쪽은 아니고 협력업체 6년째 다니고 있습니다.

  • @user-tw2cg2jk9n
    @user-tw2cg2jk9n 15 วันที่ผ่านมา

    기기가 저정도 깐깐하면, 다른건 안봐도 숨막힘 ㅎㅎ. 역시 삼성!

  • @user-uy9dr4jb5r
    @user-uy9dr4jb5r 10 วันที่ผ่านมา

    (피부가 와이리 좋아졌지?) 로션 바꿨나요? 🤓

  • @user-cy9rf2vb6s
    @user-cy9rf2vb6s 9 วันที่ผ่านมา

    볼트 주머니 얼마 인가요

  • @user-tl1pr7nk2i
    @user-tl1pr7nk2i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이것이 프로페셔널

  • @user-tf3xo2om8v
    @user-tf3xo2om8v 15 วันที่ผ่านมา

    현장에 따라 철물점도 틀리네요 재밌다

  • @kojo6309
    @kojo6309 14 วันที่ผ่านมา

    20년 전인가 그때도 빡세개 들어 가서 작업 했는데 지금은 더하네 ㅋ
    삼성 전기 배선 배관 하는데 지정된 자리에서만 배관 커팅 트레이 커팅 가능하고 커팅하고 알콜 같은거로 전기 배관 딱고 그리고 마른걸레로 딱고 안에서 검사 맡아야 현장으로 들어 갈수 있던 현장 이였죠 ㅋ 전선도 먼지 하나 없이 해야 들어 갈수 있음 ㅋ

    • @user-wd4iu1nt1q
      @user-wd4iu1nt1q 9 วันที่ผ่านมา

      반도체 공장 이니깐. 공장 내부에 묻어온 먼지가 돌아다니면 불량품 공장 되니 그렇지요.

  • @user-is8zf2vb3m
    @user-is8zf2vb3m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일들어갈생각하면 숨부터 막히는 삼물현장...내집살때 레미안이면 안심이됨

    • @user-cx6pe7rq8m
      @user-cx6pe7rq8m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삼성물산 유명하죠. ㅎㅎㅎㅎ 국가 공인 규격이 있음에도 삼성 규격을 별도로 사용해서 국가 규격보다 훨씬 엄격하게 자재테스트를 하기 때문에 중국산이 아예 발도 못 붙이죠. 천하의 포스코도 삼성에 철강 납품할때는 삼성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 더 신경을 쓸 정도라고 하죠. 지에스처럼 철강 빼먹고 하는건 삼성물산에서는 상상도 못할 엄청난 사건이죠. 같은 사건이 삼성물산에서 발생했으면 삼성물산 바로 청산당할 정도의 사건이기도 합니다. 가차없이 본사에서 감사팀 보내서 전 부서를 모조리 감사하고 관련자들을 모조리 검찰에 고발해버리죠. 지에스처럼 고발 안당할려고 수 쓰는 짓거리 자체를 삼성은 아예 하지를 않죠. 그래서 삼성이 지은 아파트는 믿고 입주해도 되죠. 실제 하자건수도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고요.

    • @user-ny5ko3zv7d
      @user-ny5ko3zv7d 7 วันที่ผ่านมา

      맞습니다! 저도 삼성현장 가보면 일하긴 힘들지요 규칙지킬것도 많고 하자를 최대한 안나게 하는것이 보임 같은공구 잠실현장 만봐도 현대와삼성 안전분위기부터가 다름 저도 집산다면 삼성꺼요!

    • @user-is8zf2vb3m
      @user-is8zf2vb3m 6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cx6pe7rq8m 중요한건 삼물이 돈안되면 아파트는 거들떠도 안보는게 문제임..
      아파트 공사가 돈보다는 대기업들 비자금 맹그는용이라..

    • @user-is8zf2vb3m
      @user-is8zf2vb3m 6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ny5ko3zv7d 강남같이 수익율이 어느정도 나와야 아파트시행을 한다는게 문제임...갱기도나 지방쪽은 신축 레미안 구경하기가 힘듬ㅜ

    • @user-cx6pe7rq8m
      @user-cx6pe7rq8m 6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is8zf2vb3m 실제 국내 건설사들 건설붐때 죄다 미친듯이 투기에 동참할 때도 삼물만 거들떠도 안 봤죠. 그래서 다른 건설사들 죄다 부실 심화될 때에도 삼물만 재무건전성을 굳건히 확보함.

  • @user-nj6ft5js2h
    @user-nj6ft5js2h 15 วันที่ผ่านมา

    공사가언재긑남요?

  • @user-pb7wj2fp5x
    @user-pb7wj2fp5x 13 วันที่ผ่านมา

    골구도 파인 쓰라고 ㅋㅋㅋㅋ

  • @appletree196
    @appletree196 15 วันที่ผ่านมา

    대충
    적당히가
    1도 안먹히는 현장

  • @user-ip4li7bt8b
    @user-ip4li7bt8b 10 วันที่ผ่านมา

    고덕 폼 다뒤짐 요즘

  • @insomnia1202
    @insomnia1202 10 วันที่ผ่านมา

    고덕현장이 빡센것이 아니라 법이 그렇게 진화를 했음 안전사고 생기면 거의 작살나게 만들어 놓았으니 원청이 빡세게 해야만 하는 상황이지요
    작업자들 또한 법을 빡세게 만들어야 할 필요도 있어보임
    법이 구멍이 아직 숭숭 뚫려 있으니 특히 안전 관리자 같은 경우는 코걸이 피하기 위해서 진짜 세세한 것 까지 확인 선행 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