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사무실 동일네트워크 통신시설 인터넷시설 유무선 공유기 및 스위치 배선작업 동영상-1080P

แชร์
ฝั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27

  • @beebe5988
    @beebe5988 6 ปีที่แล้ว +9

    통신기사님이 일할 범위까지 예상하시고 일하시는 게 센스있으십니다 ㅎㅎ 깔끔하게 마무리 되어 보기에도 좋고 몰딩작업할 분들도 좋겠습니다. 잘 봤습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Bee Be ^^ 감사합니다.^^

  • @channelmiscell2465
    @channelmiscell2465 6 ปีที่แล้ว +10

    무슨 작업을 하시든 항상 깔끔한 마무리. 완전 올라운드 플레이어시네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와~~~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ou3zm3om5e
    @user-ou3zm3om5e 6 ปีที่แล้ว +4

    오늘도 선댓글후 시청합니다^^ 매일 영상이 올라오니 좋네요~~ 항상수고하십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 @user-ou3zm3om5e
      @user-ou3zm3om5e 6 ปีที่แล้ว +1

      유튜브에 올리셨던 내용의 영상이라도 , 자주 자주 올려주세요 ~~ 어제오늘처럼 영상이 올라오니 좋네요. 항상 도움이 되는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긴 연휴 별탈없이 잘보내세요 ~ 응원합니다 !

  • @cspark80
    @cspark80 6 ปีที่แล้ว +15

    대단하십니다 작업하시는거 보니 깊은 내공이 느껴지네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cspark80 감사합니다.^^

  • @user-ko2kh6qx3n
    @user-ko2kh6qx3n 6 ปีที่แล้ว +8

    이런 영상 좋음,,못하시는게 없으시네,,,컴수리,,인터넷,등 다하시네요,,,대단합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4

      오랜 기간 방송.통신.컴퓨터쪽 일을 하다보니..배운것이 이런일입니다. ^^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ITguy723
      @ITguy723 6 ปีที่แล้ว

      한가지만 갖고 는 먹고 살기 힘든 세상입니다.. ㅠㅠ

  • @JinyoungLees
    @JinyoungLees 5 ปีที่แล้ว +1

    통신일 15년째인데 가스글루건 처음 봅니다. 요즘은 대부분 티비가 벽걸이라 이미 벽에 걸려있는 티비들 뒤로 타사의 셋탑박스랑 공유기 걸려있는거 보면 정말 짜증 났는데 하나 사야겠네요. 보쉬 가스글루건이 2만원이라... 근데 내 돈 주고 사긴 아깝고 직장에 건의해봐야겠네요. ㅋㅋ 근데 너무 꼼꼼하신거 아닙니까? ㅎㅎ 요즘은 단자함에 모뎀 수용을 못하도록 하는 업체가 많아서(공용전기 무단사용) 층간 TV(증폭기)단자함에 L2를 시설하거나 공간이 협소하면 RN(FTTH)단자를 설치해서 POE 방식으로 연결하거든요.(고객 댁내 전원사용) 그것도 아니면 관로선통을 하던지.. 세상 참 많이 발달했죠. ^^

  • @Camel-spin
    @Camel-spin 6 ปีที่แล้ว +5

    작업하기도 바쁘실텐데 작업영상까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Camelspin In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aebiaebi8015
    @aebiaebi8015 5 ปีที่แล้ว +4

    저도 동일업종인데....작업 깔끔히 잘하시네요.역배선전에 100M,기가 사용시 배선 설명도 잘 해주시고....공유기의 설치 장소 이유도 설명해주시고.....제가 본 작업중에 최고입니다.

    • @ITsystem
      @ITsystem  5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aebiaebi8015
      @aebiaebi8015 5 ปีที่แล้ว

      ㅎㅎ....오늘 다른 동영상도 보았습니다.대단 하십니다.네트웍뿐아니라 컴퓨터도 일가견이 있으신군요...."당신을 최고로 인정합니다!!"

  • @user-wx9cj8kh6y
    @user-wx9cj8kh6y 5 ปีที่แล้ว +1

    작업하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영상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gn6rz8om1l
    @user-gn6rz8om1l 6 ปีที่แล้ว +1

    저 아시나요
    예전에 영상 많이 보고있는 구독자 입니다.
    오랬만에 보니깐 재미가 있네요^^ ㅎㅎ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시고 건강하시길바랍니다.
    구독자 1만3천 축하드러요!!
    ㅃㅃ2 ㅎㅎㅎ

  • @matthewkim1130
    @matthewkim1130 4 ปีที่แล้ว +2

    오랜 팬입니다. 몇년전 영상이지만 댓글 달아봅니다 ㅎㅎ. 타지에 오래있다가 본가에 오고 방에 pc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평소에 웹서핑만 하는지라 모르고있다가 얼마전에 영화한편 다운로드하면서 유독 방안에 pc만 다운속도가 100메가를 못넘기더군요. 집은 아마 kt 500m로 알고있습니다. 이 영상보고 아차 싶어서 집 내부에 배선망을 열어봤더니... 랜선이 4가닥만 꽂혀있어서 이 영상이랑 다른 글보면서 보정하였습니다. ㅎㅎ 속이 아주 시원합니다. 아무튼 늘 작업영상보면서 느끼는거지만 상당히 깔끔하게 작업하시네요. 추천박고갑니다.

  • @taehyunkim8774
    @taehyunkim8774 4 ปีที่แล้ว +1

    세세하게 설명해주셔서 직접 같이 하는 느낌이 납니다.

  • @OneTop1212
    @OneTop1212 6 ปีที่แล้ว +3

    통신쪽 일을 하게되었느데 유용하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이런정보 더올려주세요 ㅎㅎ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Jaeseok Won ㅎㅎ 감사합니다..^^

  •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4 ปีที่แล้ว +1

    대단한 능력자이십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 @leebyungjun4458
    @leebyungjun4458 6 ปีที่แล้ว +3

    이런영상 좋네요 ㅎㅎ
    너무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셔서 이제 랜선 따는수준의 저로선 이해를 못하지만
    좋은 영상입니다 선추천후 감사합니다
    정말 근대 만능이신듯 하네요.. 못하시는게 뭐지?!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공부를 못합니다. ㅎㅎ^^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l6nb6qj1i
    @user-bl6nb6qj1i 6 ปีที่แล้ว +4

    와우..대채 못하는게 뭐에요 ㅋㅋ..볼때마다 신기.. 엄청난 작업자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지훈정 ㅎㅎ 과찬이셔요....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comzone4442
    @comzone4442 ปีที่แล้ว +2

    깔끔하게 시공하셨네요. 수고하셨어요.

  • @buddhaon5503
    @buddhaon5503 3 ปีที่แล้ว +1

    RJ45 회사서 그렇게 찝었었는데 지금은 배열 기억조차 나질않네요 ㅋㅋ 자주 안하면 잊게되던데 뚝딱 설비 하시는거보니 감탄만 나옵니다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얻 ㅋㅋ 기억납니다 손이요 ㅋ 손이가 EIA568 맞아요 ㅋㅋ

  •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5 ปีที่แล้ว +1

    통신쪽에서 일을해본 분이네요. 역배라는 용어는 KT에서 과거에 전화선으로 인터넷을 공급하던 ADSL모뎀을 쓰던 시대에 사용을 하던 용어거든요. 지금은 광선이 대중화가 되어서 역배를 칠 일이 없죠. 물론 개개인은 역배를 해야 할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오래된 아파트 댁내 단자함에서 공유기 작업을 하거나 할때 말이죠. 지어진지 15년 이내 아파트들은 단자함 작업이 잘 되어서 역배를 칠 일이 거의 없죠.
    사용하는 부저도 직접 만드신걸로 보이고.. 추억 돋습니다.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집 내부에 광 ...포설해서 10기가망을 퍽.

  • @betrue4356
    @betrue4356 6 ปีที่แล้ว

    꼼꼼함이 느껴지내요. 하루이틀의 내공이 아닌 듯 싶습니다.

  • @user-ob6ed8ke2w
    @user-ob6ed8ke2w 5 ปีที่แล้ว +1

    영상에서 전화 단자함이 공용부분에 있는 것은 상가를 분할 하기도 하므로 공용부 계단쪽에 위치해둔것 이구요..예전엔 내부로 두기도 했는데 그런 부분도 거의 공용부분일겁니다
    그리고 대부분 통신 공사도 전기공사업체에서 건축시 시공을 많이 하시죠...
    그리고 지역마다 다른데 통합단자함을 사용하기도 합니다.생각보다 공간이 많이 없죠..
    일반 사무실이라 그나마 간단히 시공이 되네요...병원 같은곳이나 그런곳은 대부분 랙이 별로도 설치 되니 광만 들어오면 되긴 한데요...
    광접속 비용은 아직도 비싸더군요...잘 보았습니다

  • @jung2418
    @jung2418 6 ปีที่แล้ว +4

    네트워크 공사 현장을 직접 보게되어서 좋네요ㅎㅎ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최정안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ITguy723
      @ITguy723 6 ปีที่แล้ว

      저두요...앞으로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 @user-oe3nc5qm8e
    @user-oe3nc5qm8e 6 ปีที่แล้ว +6

    현장공부가 최고죠 직접 한번 해봐야 되는데 그게 여의치 않네요 컴퓨터를 손에 놓은지 5년이 되어가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배상범 아~~ㅎㅎ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oe3nc5qm8e
      @user-oe3nc5qm8e 6 ปีที่แล้ว +1

      한가지 궁궁한게 있습니다. 수냉쿨러인데요, 라디에이터는 물을 보충하는 설명서는 없는것 같은데 오래되면 물이 증발하지 않나요? 그리고 가성비 좋은 수냉쿨러 하나 추천해 주세요?

    • @komdoru
      @komdoru 6 ปีที่แล้ว

      일체형수냉쿨러의 경우는 증발이 쉽게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증발이되어서 안에서 기포로 인하여 모터가 못돌거나 하는경우 보증기간내라면 서비스를 받는것이라고
      지났으면 새로 구매를 한다고 보면됩니다.
      요새 각종누수들로 문제가 많기 때문에
      수냉쿨러를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커세어나 nzxt를 추천드리고
      온도를 내리기 위해선 인텔 CPU라면 뚜따가 우선입니다.

    • @user-oe3nc5qm8e
      @user-oe3nc5qm8e 6 ปีที่แล้ว

      아 그렇군요. 라이젠으로 갈아타고 싶은데 일단 총알이 부족한지라한번 고려해봐야겠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user-kRyan
    @user-kRyan 4 ปีที่แล้ว +1

    제가 기계를 잘 못만져서 더 그런지 모르겠지만 님 컴 만지는거나 수리 하는거 보면 천재같아 보이네요

  • @user-lh1bb1vq1c
    @user-lh1bb1vq1c 6 ปีที่แล้ว +8

    와 ... 진짜 깔끔하게 잘하시는것같아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sueeyuri4612
    @sueeyuri4612 5 ปีที่แล้ว +1

    울산에도 이런 분이 계셨다니............놀랍습니다....!

  • @ph-2-110
    @ph-2-110 4 ปีที่แล้ว

    진짜 이분 못하는게 뭐지 ㄷㄷㄷ 리스펙

  • @davidhoonpark3612
    @davidhoonpark3612 5 ปีที่แล้ว

    참 대단하다고 말씀 들릴 수 밖에 없습니다 ^^
    많은 노력이 보입니다
    전 현장경험이 풍부하다 생각했었는데. 도전이 됩니다.
    여쭤볼것이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대조기 부저는 가동 중인 허브드(장비) 연결되었을때
    1. 대조기 부져는 utp 몇번선번으로 검측하시나요?
    2. 대조기 9V 부져죠?. 혹시 장비에 무리를 주지는 않을까요?
    장비에 연결하지 않으시고, 제작하신 utp를 꽃으셨을때는
    여러곳에 꽃아 보시는 것은. 2선을 쇼트시키신것을 확인해서 콘넥터 체결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시는 건가요?

  • @user-jb4io1rl9l
    @user-jb4io1rl9l 5 ปีที่แล้ว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 @user-vb3br3jd6b
    @user-vb3br3jd6b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splago3602
    @splago3602 6 ปีที่แล้ว +2

    힉.. 대단하시네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Suppliunt JAY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d5yg7mf4m
    @user-rd5yg7mf4m 6 ปีที่แล้ว +2

    이 영상은 너무 재미있어서 20번은 넘게본듯하네요 ㅎㅎ 궁금한게있는데 인터넷사용량이 많거나 사무실인원이 조금 있을때 공유기로 아이피할당을받으면 부하가걸린다고알고있습니다 그러면 l3스위치를 놓아야할텐데 l3는 기본적으로 200이상으로 시작해서 ㅎㅎ 비교적 가격이 싼데 아이피를 할당시켜줄수있는 장비가있을까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니마우카 음..우선 L3 장비는 라우터 기능을 포함한 장비입니다..다만 인터넷 속도는 백본 ...그러니까 원 소스 입력 대역폭 대비 클라이언트 속도라고 보시면 간단합니다..아무리 고성능 스위치라도 입력 속도가 불안정하거나 충분한 대역폭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그 하부 장비들은 충분한 속도를 제공받지 못합니다....하지만 백본 ....입력이 충분한 대역폭을 제공받지만 하부 라우터 스위치가 대역폭만큼 분산처리 기능을 하지못한다면 그 또한 클라이언트 장비들은 정상적인 속도를 제공받을수 없을겁니다.......단순하게 정리하면 통신사에 기가 서비스를 가입하여도 최종 컴퓨터까지 장비 및 통신 선로가 기가지원 장비 및 선로가 아니면 기가 속도를 받을수도 내보낼수도 없습니다..참고 하세요..^^ 이 모든 구성을 만족하는 구성에서 컴퓨터 대수가 많다면 라우터나 스위치를 고성능으로 교체하시면 그만큼 안정적인 인터넷 품질을 제공받을수 있습니다.. 라우터 스위치 등등..비싼 징비일수록 보안 및 부가기능...기타 처리속도가 빨라짐다..^^ 아참 그리고 동일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대수는 서브넷만 수정하시면 가능합니다..

  • @user-xc5gi6hm8t
    @user-xc5gi6hm8t 5 ปีที่แล้ว +1

    삑삑이가 너무 편해보이네요
    저 숫자버튼 패드는 바텐스키 대용인가요?
    한번 만들어보고 싶은 공구네요

  • @adfzxv1216
    @adfzxv1216 6 ปีที่แล้ว +3

    잘보고 갑니다^^
    Iptime 허브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거랑 똑같네요.
    저 허브로 거실 스마트 티비, PS4, 서브컴에 연결해서 사용중 입니다.
    가격대비 쓸만한 허브 더군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adf zxv 그냥 무난하게 사용할만 합니다..우리나라 대표 브랜드..ㅎㅎ 다만 트래픽이 많아지면 불안정하게 작동합니다..

  • @user-qg6ly8en8i
    @user-qg6ly8en8i 6 ปีที่แล้ว +2

    자막이 올라오는데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으나 재밌게 보고갑니다ㅜㅜ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건물 신축 통신공사나 아파트 공장등등...공사할 기회가 있다면 현장에서 한번 보시면 이해를 합니다. 단순합니다.^^

  • @tty-tty
    @tty-tty 6 ปีที่แล้ว +14

    와우... 이런작업은 뭘배워야하는거죠 정말 볼때마다 놀랍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0

      현장 경험이 최고로 빨리 배우는 방법입니다. 정확히 배울려면 큰 건물 신축 또는 통신사 네트워크공사 해보셔야 완벽하게 이해 할겁니다. 어렵지는 않습니다. 이것 말고도 광망 또는 HFC망 국사 서버실 등등...아주 많아요...우리가 사용하는 단말 모뎀까지 선로구성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앞으로는 아마도 무선 또는 위성으로 초고속 통신이 변할듯 합니다.^^ 요즘 LTE 엄청 빠르잖아요..^^ 나중에는 인터넷 가입하시면 택배로 LTE모뎀만 택배로 날라올겁니다. 전기만 연결하시고 유선과 무선을 동시에 초고속으로 사용할것 같습니다.

    • @tty-tty
      @tty-tty 6 ปีที่แล้ว +3

      ITSystem 와 그렇군요

    • @jung2418
      @jung2418 6 ปีที่แล้ว +4

      ITSystem 역시 현장에서 쌓은 경험이 많은 도움이 되는거군요

    • @ITguy723
      @ITguy723 6 ปีที่แล้ว +3

      오호.. LTE 모뎀이라 .. 집안에 모셔두는 인터넷용 LTE스마트폰인가요?..ㅎㅎ
      요금 비싸서 못쓸듯...무선인터넷 요금좀 내려야 실효성 있을것 같은데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3

      이종석 급변하지는 않겠지요..이제까지 유선망 투자비 빠지고 나면 차츰 무선으로 갈아탈겁니다..그때면 무선망 인터넷 요금이나 지금 유선망 요금이나 차이없을겁니다..^^

  • @MS-qf7ou
    @MS-qf7ou ปีที่แล้ว

    좋은 정보, 구경 잘하고 갑니다.

  • @poinaim2013
    @poinaim2013 3 ปีที่แล้ว

    쉽게 설명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o3lg9hw7e
    @user-bo3lg9hw7e 5 ปีที่แล้ว +3

    영상 잘봤습니다. 저런 사무실 업체는
    인터넷 설치기사분이 설치하기전에
    미리 네트워크 공사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설치 받으시려는 사장님들 모르시겠지만 아무것도 준비가
    안되어있는 상태에서 무작정 인터넷 기사님에게
    저리 다 연결해 달라고 하면 정말 난감합니다.

    • @younghochoi2386
      @younghochoi2386 4 ปีที่แล้ว

      기사 수배 해야됨.. 다만 저런 구조는 쉬운편임... 허나 바닥패치 있는데는 선끌어야됨 이경우가 거의 대부분임 저런 영상 구조 사무실은 흔치않음 영상은딱봐도 벽타고 몰팅행-> 책상 임 솔직히 선끌고 RJ45 찍을줄알면 편하긴함... 저경우 RJ11을 만이 했쥬 KT AD 모뎀은 11 잭들어가서리.. 그래서 원래 FM 대로하면
      담당 기업 IT 랑 통신기사 혹은 외부단말기업체랑 협의가 1차적으로 이루어져야함
      증권사경우 장시작 장마감 시간이있어서 출입통제되는경우가많음.. 버런 영상작업은 KT기사가 선까지 다끌어주고하는데.. 중간에 외주업체+KT 이런경우는
      KT기사는 MDF에서 선만 올려줍니다.. 그리고 나머진 외주업체가 자릿단까지 선끌기 제가보기엔 저건물은 딱봐도 오피스텔 KT아저씨하는일은 선만 층까지 올려줌
      나머지는 KT를 수리한 고객이 진행 이건어디까지나 가정집이아닌 기업기준

  • @sclee9833
    @sclee9833 ปีที่แล้ว +1

    질문 드려도될까요?
    기존에 50p 올라온 선은 아예 안쓰시고
    따로 kt가 또 방문을 해야하는 이유가있나요?
    50p올라온것중에 한 세트만 쓰면 되지않을까 싶어서요

  • @user-ly1xr5xu6h
    @user-ly1xr5xu6h 2 ปีที่แล้ว +1

    한가지 질문이 있읍니다. 저도 정보통신기사를 준비하고 있는 사람 인데, 참고로 저는 시설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통신기술 능력이 많이 필요할 것 같아서 배울려구요, 지금 일차는 합격하고 이차도 한번 봤는데 의외로 쉽게 나와서 긴가민가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불합격되면 또 공부해야죠. 근데 실기책을 보니깐 의외로 간단하게 되어있어서 조금 당황스러웠습니다. 참고로 저는 이것 외에도 몇개의 기사, 산업기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데 내가 본 실기 교재중에 이 정보통신기사 실기 교재가 가장 단순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에 취득을 하더라도 실무를 제대로 할 수 있을지 걱정될 정도입니다. 제가 이론을 할 때, 개인적으로는 다른건 하다보면 알게 되겠는데, 디지털전자회로나 컴퓨터 논리회로는 개인적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힘들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그 두 가지를 그래도 조금이라도 쉽게 터득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동영상이라도 괜찮고 교재도, 책만 두껍지 않다면, 책이 너무 두꺼우면 보다가 지칠 테니까요. 알고 계시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houneyjam4775
    @houneyjam4775 ปีที่แล้ว +1

    군더더기가 없네... 정말 완벽깔끔...

  • @BK-lr1wp
    @BK-lr1wp 5 ปีที่แล้ว

    진짜 꼼꼼하시네요

  • @fgsword
    @fgsword 5 ปีที่แล้ว +1

    KT 보안회사에서 일하고 있는데 저희도 TCP/IP 쓰는 보안장치가 많아서 현장가서 셋팅하다보면 헷갈린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선은 어디가는지 저선은 어디가는지 찾을때마다 피복을 벗긴후 도통으로 선로를 찾고 RJ45 를 재결속 해주는 경우가 많은데 저런 테스터기 하나 있으면 정말 사용하기 편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13:00 영상쯤에서 하나 여쭤보자면 배선이 단선되어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가정하에 벽단자에 RJ 를 꼳으면 1,2P - 3,6P 4,5P - 7,8P 로 도통이 되니까 벽단자에 선하나 꼳으시고 IDF 단자함에서 지금 꼳은선을 찾기위해 도통테스트를 하는 건가요? 출동요원이라 혼자 공부하는 중인데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글 올립니다.
    아 영상 잘보고 가겠습니다. 항상 도움이 많이 되네요!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짇접 개조로 만드신거 같아요.

  • @Diabolic7
    @Diabolic7 6 ปีที่แล้ว +3

    오늘도 영상 잘 보고 갑니다. 공유기는 항상 입타임꺼 자주 사용하시나 보네요. TP-Link꺼 한 번 사용해보세요. 저도 입타임만 쓰다가 일정기간 사용 후 불량문제 때문에 다른거 알아보다가 TP-Link꺼 써봤는데 입타임보단 확실히 좋은거 같네요. 더 좋은것도 분명 있기야 하겠지만 장사하는 입장에서 가격대를 무시할 순 없으니.. TP-Link가 입타임과 비슷한 가격대임에도 더 좋은거 같아요 :)

    • @HEAKTY
      @HEAKTY 6 ปีที่แล้ว

      Tp-Link 는 일반 사용자가 설정하기 좀 복잡하져... iptime 은 편한세팅이 가능하지만여 ㅎㅎ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손님들이 성능좋고 비싼 모델 추천해드리면 안합니다. ㅎㅎ 다음에 한번 사용해볼게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tplink vpn 라우터 쓰는데 너무좋습니다 다만. 초보자분들이 세팅하시기엔 좀 난이도가 ㅎㅎ 물론 시스코 config보단 훨 양반이지만요 ㅋㅋ

  • @user-ou3zm3om5e
    @user-ou3zm3om5e 6 ปีที่แล้ว +2

    사장님 , 질문이 있어 댓글 남겨봅니다..ㅎㅎ 2분 50초대 부터 무엇 때문에 벽단자 를 열어서 체크하시는건가요? 케이블이 2.3가닥 들어와있다는 말과 C관(?) 등등.. ㅠㅠ 답변 부탁드립니다 ..^^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인테리어 배관 하신분 연락이 안되어 구내 인테리어시 CD전선관 구성을 확인할려고 유닛뒷편 배관을 확인했습니다. 복도에서 1:1로 배관이 구성되었다면 UTP한조를 더 포설하여 기가링크로 구성할려고 하였으나 이미 한배관에 3조식 들어와서 분기 방식으로 배관되어 더이상 UTP케이블 신규포설이 힘들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UTP한선을 나눠 역배선을 한것입니다. C관은 CD전선관으로 쉽게 설명하면 케이블 포설시 호스같은 관안에 UTP케이블 보호하기위해 배관속에 케이블을 넣어 시설해둔 배관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참고하세요..^^

  • @kakaker
    @kakaker 6 ปีที่แล้ว +4

    저는 저런 전선 감전될까봐 무서워서 저런작업도 못합니다 ㅜㅜㅋ 웬만한 설비는 다 할줄아시는거 같네요. 컴퓨터 수리는 애들 장난이실듯..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Hyun E 좋은 평가글 감사합니다..^^

  • @user-ou3zm3om5e
    @user-ou3zm3om5e 6 ปีที่แล้ว +1

    사장님 영상을 돌려보고있는데요..몇번씩 ㅠㅠ 1층에서 올라오는 인터넷 RJ45 케이블이 몇번 케이블인가요? , 그리고 공유기에서 8핀을 4핀으로 나눠서 4핀은 스위치로 , 4핀은 위에 뽑아놓으셨는데요. 8핀다 스위치에 가면안되는것인가요 ? 4핀을 따로 뽑아논이유가 무엇인지요 ?..
    외부망을 탈수있다는것이 정확히이해가안가네요ㅠㅠ 단자함에 1-9 RJ45 케이블이있는데 1-9 벽면 포트는 안보이네요.. 그리고 벽에 유무선공유기를 꼭달아야하나요 ?? 굳이 역배선을 할이유가있었는지요. 스위치에 메인입력을 넣어주고 실내에 RJ-45 포트에서 단자함쪽으로 오는 케이블을 스위치에꽂아주어도 안되나요 ?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공유기에서 8핀을 4핀으로 나눠서 4핀은 스위치로 , 4핀은 위에 뽑아놓으셨는데요. 8핀다 스위치에 가면안되는것인가요 ? ==>>4핀은 KT통시사측에서 공유기 입력으로 취부해야할 선이기때문에 뽑아둔것입니다. 나머지 4핀은 공유기1번포트에서 나온선입니다. 8포트 스위치 입력입니다.
      외부망을 탈수있다는것이 정확히이해가안가네요==>>외부망은 통신사 장비를 통해 공인IP를 받는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내부망은 사무실안 공유기 뒷단을 내부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9 벽면 포트는 안보이네요==>내부 선로가 확인이 안되는 선입니다. 그냥 1-9로 표기해뒀습니다. 아마도 인테리어 업자분이 케이블만 넣고 벽면 단자를 취부 안한듯 합니다.^^
      벽에 유무선공유기를 꼭달아야하나요==>>사무실 내부 무선인터넷 사용 및 내부망 사설IP로 구성할려면 공유기가 꼭 필요합니다.
      굳이 역배선을 할이유가있었는지요==>>인터넷 케이블은 8가닥중 기가링크 구성을 할려면 벽단자 중 한곳에 UTP케이블 한조를 더 포설해야합니다. 한조는 복도 KT외부망 연결후 내부 공유기
      입력으로 4P가(8가닥)모두 사용합니다. 나무지 한조를 공유기에서 출력하는포트중 1번 4P(8가닥)을 복도 스위치 입력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인테리어 문제로 기존 관로에 케이블 추가 포설이 힘들기때문에 10M/100M링크로 변경하여 UTP한가닥을 4가닥시나눠 공유기 입력과 스위치로가는 출력을 만들어 준것입니다.
      스위치에 메인입력을 넣어주고 실내에 RJ-45 포트에서 단자함쪽으로 오는 케이블을 스위치에꽂아주어도 안되나요 ?==>>질문 내용이 이해가 안됩니다.^^ KT외부망을 복도 스위치에 꼽는다면 KT측 사설공인 또는 공인IP로 구성이됩니다. DHCP자동IP할당 방식이기때문에 내부망 사용시 불편함이 따릅니다. 국사 장비셋팅 및 주기적인 공인IP가 변경될수 있으며 IP대수 차단으로 인터넷이 안될수도 있고 내부망 네트워크 프린터사용시 제한이 많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외부망 일 회선에 공유기를 설치해서 내부망IP로 모두 동일 네트워크 그룹으로 만들어 주는 작업이지요..
      글로 표현할려니 정리가 안됩니다. 나중에 궁금하시면 전화주세요..알려드릴게요..^^

  • @user-xb6hq3sd7x
    @user-xb6hq3sd7x 3 ปีที่แล้ว +1

    사무실랜정리 좋네요.

  • @kddyd123
    @kddyd123 5 ปีที่แล้ว

    이영상만 한 5번넘게 보는거 같습니다. 혹시 사용하시는 글루건제품 모델명을 알수 있을까요?

  • @user-sd6uy2yn8w
    @user-sd6uy2yn8w 4 ปีที่แล้ว

    이분은 못하는게 머야

  • @tmxha
    @tmxha 5 ปีที่แล้ว

    영상 잘 봤습니다. 사장님 쓰시는 테스터기 만드는 법을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 @user-qh4dx6uv3t
    @user-qh4dx6uv3t 4 ปีที่แล้ว +3

    와 이런것도 잘하시네 ㄷㄷ

  • @user-jb4io1rl9l
    @user-jb4io1rl9l 6 ปีที่แล้ว +4

    사장님! 영상 잘보았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케이블을 테스터기에 여러군데 옮겨서 체크하시는데 왜 그러시는지 궁금합니다. 한군데만 체크해서 소리나면 될텐데, 한번더 완벽을 위해서 테스트를 추가 하는건지요? - 동영상 잘보았습니다 -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3

      배움 스위치에 각각 개별로 연결된 상태라 모든단자 케이블 심선 대조를 하는겁니다..^^ 인터넷은 스위치 또는 공유기 장비없이 전기처럼 중간에 브릿지 형식으로 연결할수 없습니다..무조건 1:1방식으로 연결됩니다..그러니 스위치에서 벽단자쪽으로 연결된 케이블들은 모두 별도 케이블이라 단선유무 테스트 과정이라고 보시면됩니다..^^

    • @user-jb4io1rl9l
      @user-jb4io1rl9l 6 ปีที่แล้ว +1

      답글 감사드립니다. 어제 다른 작업(숙박업소) 공사 하시는것 보고 알았네요. 소켓에 번호가 적힌것을 1.2 , 3.6 이런식으로 사장님이 이야기 하시는 1P씩 테스트 하시는것 같습니다. 부저는 1개 사용 할것이니, 각각의 소켓에 병렬 연결 되어있을것 같습니다. 사장님 영상 즐겨 보고있습니다. 사업 번창하세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배움 감사합니다..^^

  • @chaser3677
    @chaser3677 6 ปีที่แล้ว +3

    고된일 하시네요 잘보고 갑니다. ^^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renovonkiria1437
    @renovonkiria1437 4 ปีที่แล้ว

    벽 분배기 - 내부 공유기 - 분배함 허브 - 각 기둥 포트 - 각 PC로 연결이 되는 것 같은데
    공유기에 바로 물린 포트랑
    분배함 허브를 거친 포트는 같은 네트워크로 바로 인식 되나요?
    아니면 별개의 설정을 해줘야되나요?

  • @leebyungjun4458
    @leebyungjun4458 6 ปีที่แล้ว +2

    궁금한게 공유기 샬치하시는 부분에서
    랜선 하나를 속도 100mb 라 선 4개 4개 해서 포트를 2개를 만드시던데 100mb는 1236 번 쓰신다고 앞에 말하셨는데 그럼 1236 으로 1개 4578 로 1개 만드신건가요? 그럼 이케하면
    입력할때 선은 한개고 출력은 2개가 생긴건가요?
    그리고 2개 만들어진걸 공유기 in은 알겠는데 아웃부분에는 왜 다시 꽃으신건가요?

    • @leebyungjun4458
      @leebyungjun4458 6 ปีที่แล้ว +1

      그리고 지금 구성이면 100mb 를 공유기에서 4 4 해서 2개로 나눴으니 8쓰는 1000은 안되나요?
      그리고 그 테스트 모듈이 탐나네요.ㅎ
      보니까 그냥 일반테스트기 처럼 통신만 가는지가 아니라 1~8 그니까 1p씩 신호가 가는지 알려주는 것 같은데 직접 만드신건가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One Top 글로 적자니 구두 설명이 좋겠습니다..월요일즘 연락주세요..^^

    • @leebyungjun4458
      @leebyungjun4458 6 ปีที่แล้ว

      ITSystem 넵 감사합니다

  • @user-zo8zx7qd3r
    @user-zo8zx7qd3r 6 ปีที่แล้ว +3

    고정IP 인터넷을 써야 할것 같은 사무실 같아요
    사무실들이 가정용 인터넷을 사무용으로 사용하니.... 가정용 트레픽증가로.... 설비,유지비 증가로.....
    가정용이 가격이 인하가 안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군요
    전용회선이라면 IP주소를 모르면 인터넷 사용 불가이니..... 보안에도 안전하고요
    전용회선이 많이 비싼것이 흠이죠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성남규 원래 사업자는 기업망 상품이 따로 있습니다..다만 PC 3~5사용하기 위해 10만원이상 요금이 아마도 부담이라 공유기 요청했을겁니다..^^

  • @user-ll1fx1ic1j
    @user-ll1fx1ic1j 6 ปีที่แล้ว +7

    맥가이버이시네요 뭐든지 잘하세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ᄇl락 식혜 감사합니다..^^

  • @HEAKTY
    @HEAKTY 6 ปีที่แล้ว +3

    질문이 조금 있는 데... 그 단자함 에 전기커넥터가 없는 경우는 어떻게 작업을 하시나요? PoE 방식을 써서 역배선 해야 되나여?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5

      하늘 POE방식 스위치도 있지만 UTP 여분 케이블에 아답터를 잘라 연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ITsystem 네 이런방식 한때 썼으나 신축집이 좋죠 물론 6p 심음 되지만 ㅋ

  • @PremiumTY9
    @PremiumTY9 6 ปีที่แล้ว +2

    멋진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가지 여쭤볼게 있는데 괜찮을까요?
    지금 제가 사는 곳이 2000년 이전에 지어진 집이라
    방마다 들어오는 랜선이 없습니다. 전화선만 있는 상태인데요
    혹시 이런 형태의 아파트도 작업을 통해 방마다 랜선이 들어가게 할 수 있나요?
    거실에 공유기 놓고 방에서 무선으로 쓰니 너무 답답하네요 ㅠ

    • @PremiumTY9
      @PremiumTY9 6 ปีที่แล้ว +1

      혹은... 이런 간단한 경우 전력선모뎀? 이런걸 설치해서 해결이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PremiumTY9 우선 벽면 관로 구성이 중요합니다..복도에서 인입된 케이블 메인단자 위치를 확인하시구요 다음은 메인단자에서 예...입구 작은방 거실 안방 등등..배선이 1:1이 아니라 경유하는 방식일겁니다..모든 벽단자 분리후 케이블을 재포설하시면 요즘 아파트 형식으로 변경도 가능합니다..다만 건설당시 배관 규격이나 건물틀어짐 문제로 배관속 기존 배선 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이런경우는 노출 시설로 하시면 됩니다.. 이런 작업은 기사님 부르셔야 합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PremiumTY9 전력 모뎀은 많이 불안정 합니다..무선보다 더 불안정 할수도 있습니다.. 물론 변.복조 고급사양의 전력 모뎀도 있지만 가격대가 ....엄청 비싼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력 모뎀도 집안 전기케이블 구성도에따라 그때그때 달라요..^^ 참고하세요..^^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ITsystem ㅋㅋㅋ 컴스마트 계단서 땡처리 모델이 있길래 싸게 사봤지만 아시다시피 ㅋㅋ 맞습니다

  • @user-re3gm7xq5o
    @user-re3gm7xq5o 6 ปีที่แล้ว +2

    사장님 3:48초 쯤에 나오는 선로테스트기는 어떤 모델 인가요? 저희는 가끔 작업시 선로 테스터기 일명 빽빽이 쓰는데 사장님껀 엄청 전문가급 같아서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ㅎㅎ 일반 띡띡이 입니다. 저는 전화작업도 같이하기때문에 간이전화테스터기와 여러가지 소켓을 조합하여 직접 만든제품입니다. 실사용에 불편함이 없어야 작업 능률이 높아지기때문에..ㅎㅎ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원래 삑삑이인데 개조해서 만드신거같어요 능력자 ㅋㅋ

  • @hl2054
    @hl2054 6 ปีที่แล้ว

    궁굼한게 있는데여 사무실 공유기로오는 입력이 그러면 메인단자함에서 층간단자함을 거치지않고 바로오는건가요?
    제가이해한거는 메인-->공유기-->층단자함--->각 랜포트로 이렇게이해를했는데
    층단자에서 각 랜포트로 뿌려주는게 아아니라ㅣ 떻게 공유기측 입력을 바로 받을수 있는건지 궁굼해여 !!
    세번을 돌려봤는데 잘 이해가안돼서 ㅠㅠ도움주시면 감사하겟스빈당

  • @k-Romanticist
    @k-Romanticist ปีที่แล้ว +1

    와 일하시는것 보니까 우리집 배전함 정리는 한게 아니였구만요...
    완전 개판이라서... 머가 먼지를 모르겠던데...

  • @user-xf4um6ut7k
    @user-xf4um6ut7k 4 ปีที่แล้ว +4

    랜선 양쪽 위치 찾으시고 랜선 앞에 새로운 랜선 2개 연결 후 배선 당기시면 아마 랜선 2개로 증설이 가능할텐데 왜 그러지 않으셨는지요? 그럼 기가 서비스를 할수 있었을텐데

    • @PXGKOREA
      @PXGKOREA 4 ปีที่แล้ว +1

      저는 전기 하는 사람인데 . 저희가 UTP 입선해놔도 원래 통신업자 분들 새로 증설하고 이런건 시간관계상 품이 늘어나니 잘 안하세요.

    • @user-ou3zm3om5e
      @user-ou3zm3om5e 3 ปีที่แล้ว

      영상 설명안에 C관에 케이블을 더이상 포설 할수가 없어서 4가닥 분할해서 작업 하셨다고 나옵니다!

  • @BlackSkyUploadTube
    @BlackSkyUploadTube 6 ปีที่แล้ว +3

    ... 여기서 일하면 컴퓨터 부품 수리부터 네트워크 구축까지 다 해볼 수 있는 회사네요. 다 해보고 싶은데 어떤 회사가 그런거 하는 지 잘 몰라서 입사지원을 못하죠 -_-;;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정말 코딩? 만 하면 다 할거 같습니다 si sm 도전각??

  • @user-zu8dp3su9n
    @user-zu8dp3su9n 5 ปีที่แล้ว +1

    부져 테스트기 만드신건가요? 사용법이 궁금합니다

  • @baetells
    @baetells 6 ปีที่แล้ว +5

    그대는 진정한 컴아저씨.
    캠은 어떤 모델인가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고프로 히어로5 입니다. ^^

  • @pisces817
    @pisces817 6 ปีที่แล้ว +1

    오랫만의 랜 작업을 하셨네요! 머리 복잡 합니다.보는 사람도 ~ ^^
    아~참 때를 놓쳐 명절 인사를 못 드린점 죄송하게 생각 하면서
    연휴는 잘보내셨는지 모르겠군요? 죄송 합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Arthur 흠...다음에는 좀더 쉽게 촬영해볼게요.^^ 감사합니다..^^

    • @pisces817
      @pisces817 6 ปีที่แล้ว +1

      영상이 그렇다는게 아니라 잘 모르는 사람은 랜 작업만 봐도 복잡 하다는 ^^ 암튼 고생 하셨습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아~~ 감사합니다.^^

    • @pisces817
      @pisces817 6 ปีที่แล้ว +1

      궁금한것 있습니다.
      1004와 허브만으로 기가급 인터넷 들어온다고 생각해도
      8대 연결하면 메가급 정도의 속도는 느낄수가 있는지요?
      8대 동시에 접속 한다면 좀 힘들겠지만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질문 이해가?...
      .제가 이해한 부분이 아닐수도 있지만....정리해드릴게요...우선 공유기와 스위치 랜카드 모두 기가를 지원하고 UTP케이블 또한 기가링크 지원가능 배선으로 시설후 내부네트워크만 생각하신다면 8대 PC중 1:1통신시 1기가 이상 파일을 네트워크 내부 공유시 초당 100M 정도 전송속도가 나올겁니다.
      만약 다른PC가 동일네트워크에서 동일한 1기가 파일을 다른PC와 공유를 동시에 한다고 생각하시면 저렴한 스위치나 공유기들은 속도가 절반으로 떨어질겁니다.
      더 많은 PC가 자원 공유를 한다면 속도는 더 내려갑니다.
      그래서 데이터 이동량이 많은 사무실네트워크 구성은 고성능의 라우터나 스위치를 설치하시면 트래픽 분산처리 능력이 높아...저렴한 공유기나 스위치 보다는 월등하게 좋습니다. 허나 일반 사무실 인터넷 사용 용도라면 저렴한 공유기 스위치라도 내구성에 문제가 있겠지만...상관없을것으로 봅니다.
      여기서 내부망을 모두 기가로 시설했다고 하여 외부망테스트는 별도입니다. 통신사측에서 우선 기가지원 상품을 가입하셔야합니다. 이후는 가입한 통신사 장비또는 자료를 내려받는측의 서버부하..네트워크 경로등등....여려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내부망에서는 속도가 잘나오나 외부망에서 속도가 안나온다면 네트워크 경로측정을 통하여 어느 부분에서 데이터 처리 지연이 발생하는지 분석하셔야합니다.
      만약 KT 통신사 기가를 사용한다고 하셔도 KT망에는 문제가 없으나 특정 가입한 웹하드측에서 가입한 SK백본이 약하면 그 웹하드서버에 사용자들이 몰린다면 당연 다운받는 속도는 현저하게떨어진다고 보시면됩니다.
      가입한 통신사 측에서는 가입자 단말에서 자사 장비까지 선로상이나 장비상에 문제가 없다면 자기 회사를 벗어난 타통신 경로상에 트래픽 증가로 외부망 속도가 지연되는것은 아마도 가입한 통신사에서 처리 또는 보상할 의무는 없을겁니다. 대충 참고만 하세요..

  • @ganikus1
    @ganikus1 6 ปีที่แล้ว +1

    와 신기하네요. 역배선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ㅎㄷㄷㄷㄷㄷ

  • @seungkihan3753
    @seungkihan3753 4 ปีที่แล้ว +1

    이번에 통신단자함을 교체했는데요 원텐블럭에 결선된대로 그대로 옮겼는데 다른곳은 연결이 되는데 사무실 한 쪽이 인테넷과 전화가 안되네요. ㅠㅠ 랜선을 새로 깔아서 사무실 공유기랑 통신단자함 공유기로 직결 연결 시키려고 하는데 그 방법도 가능한가요? 도와주세요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담엔 티피링크거도 써보세요 좋아요

  • @l.ssssb_
    @l.ssssb_ 6 ปีที่แล้ว +4

    질문이 있는데 집에서 제 컴퓨터를 SK기가라이트 유선공유기>아이피타임 A604>컴퓨터 로 하다가
    SK>컴퓨터 로 하니 속도가 엄청나게 떨어지네요;;; 이거 도대체 문제가 무엇일까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6

      정확한 내용은 UTP분석기로 테스트를 해봐야 겠지만 대부분은 RJ컨넥터 접불 또는 저가 케이블 노이즈 특성 문제가 많습니다. 랜 케이블을 좀더 좋은 놈으로 교체하시고 테스트 해보세요..모뎀과 랜카드 연결시 1G로 연결되는것도 컴퓨터로 확인하시구요..접점이 불량하면 1G 연결되었다가 100M 연결되었다가 통신이 불안정 하면 속도는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 @user-mv1uz3bx3f
      @user-mv1uz3bx3f 6 ปีที่แล้ว

      이분 여기도 계시네 ㅋㅋ
      컴덕 이신가?

    • @user-fu1ym5uh4n
      @user-fu1ym5uh4n 5 ปีที่แล้ว

      A604 속도지원이 100M 최고 입니다 공유기 100M 이상지원 되는 걸로 교체 하세요

  • @user-we6mn1fc9b
    @user-we6mn1fc9b 2 ปีที่แล้ว

    아파트단지입니다
    정문초소에서 후문경비초소의 단자함에서 연결된 4가닥정도의 선을
    찾을까 합니다
    광케이블은 연결되있습니다

  • @user-bt2tu8pm4o
    @user-bt2tu8pm4o 6 ปีที่แล้ว +4

    아파트에서 컴퓨터방 옮길때마다 랜포트때문에 기사님 매번 불렀는데
    혼자 집에서 작업하기 어려운가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아파트는 통신등급에따라 메인 구성이 틀립니다. 최근 아파트는 통신 단자함이 세대안에 있습니다. 단자함이 집안에 있다면 직접 하실수도 있지만 최근 통신등급 1~2등급 아파트는 통신 단자함안에 멀티플렉스가 있으므로 각방으로 가는 포트만 확인하시면 가능합니다.참고 요런 제품이 있습니다. e-jeil.com/default/03/01.php?com_board_basic=read_form&com_board_idx=52&&com_board_search_code=&com_board_search_value1=&com_board_search_value2=&com_board_page=& 하지만 스위칭 방식을 전혀 모르시면 조금 까다로울수 있습니다. 아파트 자체 출입통제시스템도 같이 연결되어 있는경우도 있습니다.
      10년이상 지난 아파트들은 세대 통신 단자함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3층단위 복도함에 층단IDF함이있습니다. 제가 촬영한 영상처럼....이런경우는 직접 하시기가 어렵습니다. 기사님이 오셔야합니다. 아파트마다 틀리지만 메인UTP가 복도 입구방 또는 거실 인터폰함으로 인입되어 방마다 거치는 경우도 있고 함에서 1:1로 배선된 경우도 있습니다. 아파트 구성을 모르면 제가 뭐라 설명드리기가 어렵습니다.^^ 꼭 해보고 싶다면 나중에 단자함을찍어서 메일로 보내주시면 설명해드릴게요..^^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구축이여도 거실에 메인단자 만들 수 있으면 그렇게도 씆니다. 신축급들이면 세대 단자함 있어서 좋규요

  • @conthree8898
    @conthree8898 6 ปีที่แล้ว +1

    정보통신 무선설비 기사/산업기사 자격증 따면 좋을까요? 전기자격증도 필요한건가요?

    •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5 ปีที่แล้ว

      그런거 없습니다. 현장 실무를 하면 저 정도는 가뿐하게 할 수 있습니다. 통신업체에서 직접 일을 해보는게 제일 좋죠.

  • @user-bv7ns1sr5y
    @user-bv7ns1sr5y 5 ปีที่แล้ว +1

    사무실에 컴퓨터가 5대 있는데 집에서 쓰던 공유기 하나에서 랜선꽂아서 사용하다보니 선 정리도 안되고그러는데 네트워크 구성을 직접 새로 바꿔서 깔끔하게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5 ปีที่แล้ว

      깔끔하게 한다는게 뭘 의미를 하는건가요? 선이 지저분하니 정리를 하고 싶다는건가요? 아니면 선없이 하고 싶다는건가요? 사무실 메인 IDF단자함에서 작업을 하면 깨끗하게 할수는 있습니다. 헌데 거기에 전원선이 들어와 있어야 하는데 이 영상에서는 전원선이 들어와 있지만 질문자님의 단자함에는 있을지 장담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이럴 경우에는 그냥 무선이 장땡이 아닐까 싶습니다.

  • @jtg0108
    @jtg0108 5 ปีที่แล้ว +1

    스위치 허브는 hp 아루바 정도는 써주어야 안정적이죠^^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티피링크도 괜찮았고.. 엳시 시스코 스몰비즈게 낫더군요 .. hp아루바 좋죠.. 넷기어도 있구 암튼 그러네요 ㅋㅋ 전 아예 안에 phy칩에 방열판 붙였어요 ㅋㅋㅋ 미안하다 TL 105

  • @user-kq1ks8se9j
    @user-kq1ks8se9j 6 ปีที่แล้ว +2

    그 1155소켓 핀이 많이 휘었고 수은전지 넣는곳도 망가졌는데 수리비 얼마나 나올까요? 메인보드가 두개인데 하나가 저렇고 한개는 핀만 휘어서 ...(컴퓨터는 잘아는데 조립은 잘 못해서 ㅋㅋ 핀을 생각 않하고 조립했더니 모니터 화면이 안뜨더군요 ㅋㅋ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불량 부분 스마트폰 접사촬영후 메일주세요....^^ 수은전지 소켓교체 1만원 CPU핀교정 기본 1만원 부터~3만원까지 나올수 있습니다. 수리 안되면 수리인건비는 없지만 인근이 아니시면 택배비는 별도 부담하셔야합니다. ^^

  • @user-xu1sw4qh4h
    @user-xu1sw4qh4h 6 ปีที่แล้ว +2

    04:31 에서 보면 빨간랜선의 8가닥선을 4가닥씩 커넥터를 연결해서 100M용을 만들어 하나는 파란색(WAN)
    또 하나는 노란색(LAN)으로 했고 공유기를 단 벽쪽의 포트는 공유기와 직접 연결하셨고
    단자함에선 이 빨간랜선을 8가닥 중 공유기에 꽂은 노란색 LAN을
    허브에 꽂을 파란색으로 만드셨고 , 나머지 빨간랜선들을 허브에 1-2~1.7로 만드시고
    공유기 쪽 파란색을 단자함에선 4가닥을 2/2 으로 ??을 이용하여 연장선 하여 외부망(모뎀?)에 꽂을 WAN커넥터(노란색)으로 만드셨는데
    이 구성이 맞는건가요?
    공유기 8가닥 단자함
    WAN ←(4)----------------------------------------------------(2) ??--------노란색 - 외부망(아직설치되지않음)
    ↙(4) (4)↓ (2) ??
    LAN1 허브(LAN1)
    LAN2(벽포트) 단자함 다른선들 1-2~1-7

    • @user-xu1sw4qh4h
      @user-xu1sw4qh4h 6 ปีที่แล้ว

      이 구성이 맞다면
      질문입니다.
      Q. 8가닥선을 4가닥으로 2개의 랜선으로 만드셨는데 영상을 볼 당시에는 모르는 부분이라 그게 가능하구나 라고
      생각하고 봤는데 영상 다 보고 나서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여 검색하다가 찾아봤는데
      8가닥선 중 12, 36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선이고 나머지선은 전화나 기타 선이다 라는 설명 밖에 찾지 못하였는데
      어떻게 45 78이 12 36선과 같은 용도로 쓸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8가닥일 경우 45 78번이 하는 역활은 무엇인가요?
      Q. 공유기 쪽에 WAN을 파란색으로 만드셨고 단자함에서는 외부망에 꽂을 선을 노란색으로 만드셨고
      LAN1선을 허브에 꽂을 쪽은 파란색으로 만드셨는데 그렇게 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Q. WAN을 ??을 이용하여 연장하셨는데 ??의 정확한 이름이 궁금하며
      2가닥씩 연결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제품의 특성인 것인지..
      랜선1개로 2개의랜선처럼쓰는방법에 대해선 924717.tistory.com/755 설명을 보았습니다.
      이 블로그에서 맨 마지막에 이용한 커플러라는 걸 이용하면 위 ??을 2가닥씩 연결하지 않고 공유기 부분처럼 4가닥으로 커넥터를 만들어
      사용하면 되는건가요?
      지금 하시는 구성은 100메가일때인데 혹시 기가빗으로 연결시 어떤식으로 구성해야되는지 궁금합니다.
      기가빗으로 연결시 8가닥선을 사용하여야되서 선이 더 필요할것 같은데
      벽으로 새로운 선을 넣어 다른곳으로 빼낼때는 어떻게 해야되는건가요? (랜선불량으로 인해 교체시와 동일할것같은데 교체방법이 궁금합니다.)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 안녕하세요..정리해 드리면 외부 단자함에서 4P 여러가닥이 사무실 내부 각 벽단자로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복도 함에서 공유기가 설치된 벽단자로가는 4P케이블 한가닥을 2P식나눠 2P는 단자함에서 외부망 통신사 연결대기상태 공유기 입력으로 만들었으며
      나머지 2P는 공유기1번포트에 연결하여 복도 스위치 입력으로 잡았습니다.
      그리고 공유기 2번포트는 공유기 바로 아래 기존벽단자 유닛을 살려드리기 위해 공유기에서 직결로 유닛트와 연결하였습니다.
      4P=8가닥중 / 복도 KT외부망 연결대기 2P-------------------------->벽면 공유기 WAN 입력
      복도 8포트 스위치 2P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3

      영상을 첨부터 보시면 제가 25P 와 4P 설명을 해드렸습니다.
      10/100M링크시 케이블 데이터흐름과 1000M링크시 RJ45 각 핀당 사용하는 내용을 다시한번 천천히 읽어보시구요....
      우선 UTP 4P는 8가닥입니다. 2가닥시 꼬임쌍선으로 되어 있구요...100M 링크시 4가닥이 사용됩니다. 4가닥은 RJ45 핀기준 12.36번으로 100M링크입니다. 그럼 8가닥중 청.등.녹.갈 꼬임쌍선 총 8가닥입니다.
      색상이 케이블 특정 사용 용도로 만든것이 아니라 케이블을 쉽게 분리하기 위해서 만든것입니다.
      특정 색상케이블을 전화나 데이터용으로 케이블에서 분리를 시킨것은 아닙니다.
      통상적으로 10/100M 연결시 RJ45핀기준 1.2.3.6번 색상은 녹색과 등색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청색은 전화(주) 갈색은 전화(예비) 이런식이지만
      전화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꼬임쌍선 청색과 갈색을 RJ1.2.3.6번으로 제작하시면 동일한 10/100M 링크 케이블이 완성됩니다.
      영상에서는 4P 8가닥을 꼬임쌍선 등.녹 4가닥을 RJ45 1.2.3.6번에 WAN으로 사용하였고 나머지 청.갈 4가닥을 RJ45 1.2.3.6번에 스위치 입력LAN포트로 사용하였습니다.
      1000M 전용으로 구성할려면 4P케이블 8가닥을 모두 사용합니다. RJ45핀1.2.3.4.5.6.7.8 모든 핀을 8가닥으로 모두 사용합니다. 각핀의 데이터 구성은 영상 초반에 나오니 읽어보시구요..
      만약 이 영상에서 모두 기가로 구성할려면 공유기를 복도함으로 옴기면 벽단자로가는 4P를 모두 사용할수 있으므로 기가링크가 가능합니다. / 또는 공유기를 사무실 내부에 설치해야한다면 4P케이블 한조를 더 포설해야합니다.
      케이블 연장시 사용한 연결 컨넥터는 2심접속자이며 4심접속자 그이상도 있습니다.
      RJ45커플러는 케이블을 나눠주는것이면 공유기나 스위치처럼 데이터 통신을 나눠주는 역확은 하지 않습니다.
      만약 1:2 커플러를 사용한 구성이라면 공유기 LAN1 포트 청.등 LNA2 포트 등.녹 8가닥 RJ45 청.등1236---->UTP케이블 4P------------>커플러입력--->>커플러분배1번 청.등 RJ45 1236
      녹.갈4578----->동일케이블----------------->동일커플러-->>커플러분배2분 녹.갈 RJ45 1236
      순으로 제작됩니다.
      아참 그리고 케이블 추가 및 교체는 기존케이블이 있다면 기존케이블 끝단에 UTP4P 두가닥을 연결하여 테이핑 이나 기타방법으로 연결하시고 반대쪽에서 잡아 당기시면 한 관로에 2가닥이 추가 교체됩니다. 기존 케이블이 없다면 선통대등을 이용하여 관로에 로비선을 선통한다음 선통대선에 UTP케이블을 연결하시고 선통대선을 당겨 케이블 추가 시설이 가능합니다.

    • @user-xu1sw4qh4h
      @user-xu1sw4qh4h 6 ปีที่แล้ว +1

      제가 그림?을 어렵게 그렸군요 저렇게 그렸으면 되는걸 ㅋㅋ
      P라는 표현이 뭘 의미 하는지 영상 처음시청시에는 몰랐는데 답변을 보고 제대로 이해했네요~
      복도 KT외부망 연결대기 2P(노란색)-------------------------> 벽면 공유기 WAN(파란색) 입력
      복도 8포트 스위치 2P(파란색)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김선민 하하..이제 이해를 하신것 같습니다..^^ 모든 케이블은 중간 접점이 많으면 좋지 않습니다..될수있으면 접점부위를 최소화 하시면 통신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KMONQ
    @KMONQ 2 ปีที่แล้ว

    이쪽으로 취미로 공부해보고 싶은데 전문 책은 어떤걸로 구매할지 궁금합니다. 인터넷 기사의 법률상 명칭은 어떻게 되나요?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그냥 법률상 명칭은 없어요 직장인이라 .. 그냥 기사님 이나 좀 그러면 메니져님이 맞지싶어요

  • @user-en6ly2hy6p
    @user-en6ly2hy6p 5 ปีที่แล้ว +2

    이런 작업을 할 수 있으려면 무슨 공부를 해야하나요?

    • @ITsystem
      @ITsystem  5 ปีที่แล้ว +1

      음..이론은 인터넷에 늘렸을겁니다. 다만 현장 경험이 없다면 개인 사무실 작업은 가능하겠지만 공사위주의 작업은 답이 없을겁니다. 이론 공부도 중요하지만 통신관련 업체에 근무를 하셔야 가능할겁니다. 참고하세요.^^

  • @yhs096491
    @yhs096491 6 ปีที่แล้ว +1

    단자함이 두개였나요? 별도로 8p를 외부1회선 따로 따와서 한 것 같네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Hs Yoon 영상에는 8P가 없습니다..4P를 4가닥시 역배선 하였습니다..^^

    • @yhs096491
      @yhs096491 6 ปีที่แล้ว +1

      ITSystem
      죄송합니다. 8p가 아니라 8대에 쓸 4p랜선 8개를 말씀드린거였습니다. 동영상에서 세어보니 선이 8개라서요^^ 공공장소에서 소리없이 보다보니 110블록 2~3개짜리 단자함이랑 1개짜리 단자함이 보여서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Hs Yoon 아..~~옆에 단자함은 공중파 동축망 케이블 증폭기 함입니다..ㅎㅎ

  • @kjy10228
    @kjy10228 6 ปีที่แล้ว +2

    랜선 테스터기는 직접제작하신건가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Jaeyun Kim 뉍 ^^ 어렵지 않습니다..전화테스터기까지 하나로 만들었어요^^

  • @a62808167
    @a62808167 6 ปีที่แล้ว +2

    직장 다니느라 못보고있어요.ㅜ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ㅎㅎ 회사 업무에 충실하셔야합니다. 아님 짤림....^^

    • @a62808167
      @a62808167 6 ปีที่แล้ว +1

      ITSystem 헿! 옙

  • @user-ju5sc1wz7e
    @user-ju5sc1wz7e 5 ปีที่แล้ว +2

    보통 사무실직접공사하지 않고 업체한테 맡기면 얼마정도 들나여

    • @ITsystem
      @ITsystem  5 ปีที่แล้ว +1

      사무실 규모 PC 및 인터넷 관련 연결장비 대수 그리고 네트워크 공유기 또는 스위치 랙 기타 케이블 포설길이 난이도에 따라 견적이 됩니다. 참고하세요..비용은 현장 확인후 견적이 가능합니다.

  • @roze1571
    @roze1571 6 ปีที่แล้ว +3

    선 깔끔한게 좋네요 ㅎㅎ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

    • @roze1571
      @roze1571 6 ปีที่แล้ว +1

      엇.. .이렇게 빨리 답장해주시고... ㅋ 추석 잘보내세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뉍~~ 명절 잘 보내세요..^^

  • @user-uc7tk6yf6n
    @user-uc7tk6yf6n 5 ปีที่แล้ว +3

    영상보고 역배선 설명하시는 부분에서 보안상이라고 하셨는데.. 제가 보기엔 무선때문에 하신듯 싶습니다.. 단자함엔 결국 허브를 다셔서...

    • @ITsystem
      @ITsystem  5 ปีที่แล้ว +3

      김승현 무선도 문제지만 메인 라우터가 단자함에 있으면 꼬맹이들이 리셋버튼 누를수도 있고 설정을 변경할수도 있습니다..스위치는 허브함에 있어도 전원제거 또는 파손시켜두겠지요...스위치는 장난치더라도 인터넷이 안되겠지만 라우터는 초기화후 조작하면 해킹의 문제가 될수도 있고 기타 포워딩된 CCTV 또는 각종 IP장비의 설정들을 장난치면 머리아파집니다..^^

    • @Chris1o_o1
      @Chris1o_o1 ปีที่แล้ว

      @@ITsystem 외부인의 위험도.. 상존하죠

  • @user-cf2fp3di5t
    @user-cf2fp3di5t 5 ปีที่แล้ว +1

    광모뎀 -> ONU(optical network unit) 라고합니다

    • @ITsystem
      @ITsystem  5 ปีที่แล้ว +1

      ㅎㅎ 네트워크 망 구성에따라 분류를 하지만 집에서 사용하는 광모뎀은 ONT라고 합니다..가정용 광통신기준 국사 백본-라우터-기타-OLT-광케이블 포설 지중화 및 전봇대 -광케이블-RN수동소자 광케이블 분배기-광케이블 집안 죄종단말 ONT-UTP-컴퓨터 요런 구성입니다..참고하세요..www.netmanias.com/ko/ubiquoss/solutions/569/

    • @user-cf2fp3di5t
      @user-cf2fp3di5t 5 ปีที่แล้ว +1

      댁내 말고 idf 함체에 있는것 말씀드린건데..

    • @ITsystem
      @ITsystem  5 ปีที่แล้ว

      @@user-cf2fp3di5t 아..ㅎㅎ 저건 미니 레이어2 L2라고하는 스위치입니다..말씀하신것처럼 FTTH에서 ONU라고도 합니다..^^

    • @davidhoonpark3612
      @davidhoonpark3612 5 ปีที่แล้ว

      김한혁 광모뎀은 ONT가 맞습니다.
      ONU는 네트워크 유닛이므로 광신호를 랜신호 또는 동축신호등으로 변환하는 장비입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네트워크 장비로 연결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장비입니다

  • @user-ti3lq2pd2t
    @user-ti3lq2pd2t 3 ปีที่แล้ว +1

    네트워크공사 의뢰 가능한가요?

  • @gaejuk-e
    @gaejuk-e 5 ปีที่แล้ว +1

    A1004NS 집에서쓸라면 비추함 공유기 led 끄는 기능이없는제품이라 잘때 눈뽕 오지게 맞음 몸체도 하얀색인데 퍼런빛이 방에 불끄면 엄청밝음;; 저거보다 싼제품도 led 끄는기능이 있는데 이상하게 저모델만없음

  • @user-xu9db3pq9z
    @user-xu9db3pq9z 3 ปีที่แล้ว

    랜선 꼽을때 삐이 소리 나는 장비 이름이 뭔지 알 수 있을까요 ??

  • @connorjohn146
    @connorjohn146 6 ปีที่แล้ว +1

    저 빨간색 스프레이는 소화기 인가요 ? 위험한 작업인가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아...ㅎㅎ 글루건이 전기방식이 아니라 까스 토치 방식이라....까스입니다. 충전...^^

    • @connorjohn146
      @connorjohn146 6 ปีที่แล้ว +1

      ITSystem 아 전 액체로된 소화기인줄 전기화재 잡을때도 쓰시길레..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ㅎㅎ

  • @jjun8148
    @jjun8148 4 ปีที่แล้ว +2

    공유기와 허브 차이점좀 정확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Tsystem
      @ITsystem  4 ปีที่แล้ว +1

      일반 공유기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공인 IP 하나를 사설로 여러개 만들어 IP를 분배해 주는 장치를 공유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허브는 그 IP를 물리적인 선로로 분배하는 역활을 한다고 생각하세요..

    • @jjun8148
      @jjun8148 4 ปีที่แล้ว

      @@ITsystem 감사합니다 공유기와 허브 어떨때 쓰이는지 자세히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 @user-yn4gc5ut8r
    @user-yn4gc5ut8r 6 ปีที่แล้ว +2

    질문이 있는데 저 랜 테스터기 모델명좀 알수있을까요?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2

      아..ㅎㅎ 저는 제가 직접 만든 테스터기 입니다. 요런식으로 만들어파는 회사가 있습니다. 통신업 기사님들이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 입니다. 참고하세요...www.knjsystem.co.kr/

    • @user-yn4gc5ut8r
      @user-yn4gc5ut8r 6 ปีที่แล้ว +1

      영상을 보면서 알고 싶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 @younghochoi2386
    @younghochoi2386 4 ปีที่แล้ว +1

    TPS MDF UPS 실가면흔이보임 KT 아저씨 혹은 가설보직나온사람 말곤 이해못할영상

  • @user-vn8vc1hw3i
    @user-vn8vc1hw3i 6 ปีที่แล้ว +2

    우와 무슨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다 ㅎㅎ

    • @ITsystem
      @ITsystem  6 ปีที่แล้ว +1

      학학학 ㅠㅠ ^^

  • @U_Ki0317KR
    @U_Ki0317KR 6 ปีที่แล้ว

    시공장소가 설마 양산인가요ㅋㅋ;;;

  • @playmin248
    @playmin248 5 ปีที่แล้ว +1

    랜테스터기 모델을 좀 알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 @playmin248
      @playmin248 5 ปีที่แล้ว

      그리고 단자함에 유무선 공유기 말고 그냥 8포트 유선 공유기를 놓고 작업을 했으면 기가인터넷 사용이 가능했을지도;;;;
      요즘 유선 공유기 중에서도 기가인터넷 지원되는 기종 있던데 뭐 iptime T3004라던가 T3008이라던가 기가가 지원되는게 많이 있습니다, ㅋㅋ
      참고하셧으면 합니다.

    • @playmin248
      @playmin248 5 ปีที่แล้ว

      cat.5e 케이블도 GIGA (1G) 지원됩니다!! 참고하세요~

  • @kowooram
    @kowooram 5 ปีที่แล้ว

    이러면 메인선이 네가닥 으로 공유기와 연결되는거 아닌가요? 이래도 기가가 되나요? 잘 몰라서요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