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크리에이터' 대도서관, "게임은 성취감 얻는 하나의 방법"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6 เม.ย. 2019
  • 저희 특별 손님을 만나보는 시간입니다. '1인 방송인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하는데요. 이분을 통해서 1인 방송을 꿈꾸는 청소년들도 굉장히 많아졌습니다. 먼저 영상을 보고 오시죠.
    📢 JTBC유튜브 구독하기 ()
    ✍ JTBC유튜브 커뮤니티 ()
    ▶ 공식 홈페이지 news.jtbc.co.kr
    ▶ 공식 페이스북 / jtbcnews
    ▶ 공식 트위터 / jtbc_news
    방송사 : JTBC (www.jtbc.co.kr)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K

  • @lonic7324
    @lonic7324 5 ปีที่แล้ว +2343

    72시간동안 계속 하면 뭘 해도 뒤지지 않을까?

    • @db63fhe
      @db63fhe 5 ปีที่แล้ว +272

      ㅋㅋㅋㅋㅋㅋ인정 논리가 없음

    • @todayhappy742
      @todayhappy742 5 ปีที่แล้ว +8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정답ㅋㅋㅋㅋ

    • @user-wm5gb5qx8n
      @user-wm5gb5qx8n 5 ปีที่แล้ว +3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ana-es6bk
      @nana-es6bk 5 ปีที่แล้ว +47

      ㅋㅋㅋㅋㅋㅋㅋ일침ㅅㅂㅋㅋㅋ

    • @user-sn6dg5uf4m
      @user-sn6dg5uf4m 5 ปีที่แล้ว +5

  • @kaych308
    @kaych308 5 ปีที่แล้ว +741

    저 변호사분이 말해주셨네요. 처음엔 재미있다가 나중에 내가 왜 이걸 하고있지?
    즉 게임자체는 무조건 중독이 되지 않는다는겁니다.

    • @yodelsong8860
      @yodelsong8860 5 ปีที่แล้ว +28

      본인 말속에 답이 있었네요

    • @yjE2222
      @yjE2222 5 ปีที่แล้ว +36

      공감이요~ 한때 중독이라 할정도로 눈뜨고 감을때까지 겜한적이 있는데... 지겹게 하고 나니 질리더라구요.. 지금도 그 습관이 와서 한 게임을 즐기고 나면 금방 질려 그만둡니다 ㅜ

    • @user-tb7hx3ep3p
      @user-tb7hx3ep3p 5 ปีที่แล้ว +15

      ㅇㅈ 게임 진짜 중독수준으로 오래했었는데 이젠 재미도없고 흥미도없음...

    • @artist_ratelchoi2098
      @artist_ratelchoi2098 5 ปีที่แล้ว +7

      맞아 그게 게임 불감증이야

    • @user-mf4ir8pv7j
      @user-mf4ir8pv7j 4 ปีที่แล้ว +4

      ㅇㅈ여 한 2시간만해도 지겨워요

  • @tossamateur5899
    @tossamateur5899 5 ปีที่แล้ว +647

    100분 토론 보고 이거보니까 패널분들께서 그나마 예의가 바르신것 같네요

    • @_DimLy_
      @_DimLy_ 5 ปีที่แล้ว +28

      댓글보고 온게 아닐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assadarentaro2898
      @tassadarentaro2898 5 ปีที่แล้ว +8

      지들도 얄팍한 지식으로 빼애액 하면 어케 되는지 봤겠죠 ㅋㅋ

    • @roesi4131
      @roesi4131 5 ปีที่แล้ว +25

      이 분들은 100분토론 이랑 비교하면 현자임

    • @jinhung1219
      @jinhung1219 5 ปีที่แล้ว +2

      저가 지금 이야기 하고있잔습니까!!!!!!!!!

    • @dododo1215
      @dododo1215 5 ปีที่แล้ว +1

      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

  • @sib8441
    @sib8441 5 ปีที่แล้ว +477

    밥도 안먹고 72시간동안 게임을 계속했다면 절제할줄 모르는 사람이 문제지 게임이 문제는 아니다.

    • @gokuma8028
      @gokuma8028 5 ปีที่แล้ว +19

      제 짧은 소견으로는 무엇이든 과몰입 기간이 있고 본인에 맞는 게임이 있습니ㅏ. 그 게임 마다 과몰입이 필요한 시간이 다 다르기 때문아고 특히나 본인 기준 복잡하고 어려운 게임일수록 과몰입 기간 즉 게임 시간이 길어집니다. 그런점에서 주위에서 보는 시선이 게림 폐인으로 보는 경우도 있고 이번에 질병 코드화 하는 경우인데 해결책은 본인에 맞는 게임을 찾게해주고 소요되는 시간 과몰입 기간 등을 충분히 고려하고 컨설턴팅 해주는 것이 청소년기에 삶과 게임의 밸런스를 맞추는 교육이 필요하지 질병화까지 하는거는 세금 겉으려는 것으로 밖에 안보이네요 ㅜ

    • @user-ei5he9uq1h
      @user-ei5he9uq1h 5 ปีที่แล้ว

      게임 해봤냐? 그렇게 안하면 따라가지 못한다 개발자들 쓰래기

    • @user-xv8il8di5u
      @user-xv8il8di5u 5 ปีที่แล้ว +6

      먹어고기 그건 갓챠 겜이고

    • @user9984---
      @user9984--- 5 ปีที่แล้ว

      나이 50넘어바 게임 재미없어..

    • @user-kr2od1jh7y
      @user-kr2od1jh7y 5 ปีที่แล้ว

      3일동안 물 안먹으면 D지는데...그리고 7일동안 밥 안먹으면 D지는데...

  • @user-yo9st3nl6h
    @user-yo9st3nl6h 5 ปีที่แล้ว +585

    진짜 우리나라 어르신들은 시대의 변화를 이해하는 '척' 만하네

    • @user-cq1fe3xz5z
      @user-cq1fe3xz5z 5 ปีที่แล้ว +38

      이해하는척하는자도 적음 자기만의 구새대에 살아있음 ㅋㅋ

    • @knowname3243
      @knowname3243 5 ปีที่แล้ว +30

      이해하는 척도 엄청난 진보입니다

    • @user-li3jc3wp4p
      @user-li3jc3wp4p 5 ปีที่แล้ว +1

      이게맞지ㅋㅋㅋ

    • @user-jf6dp3bc9m
      @user-jf6dp3bc9m 4 ปีที่แล้ว +1

      ㅇㅈ

    • @Hi-yo-bi
      @Hi-yo-bi 4 ปีที่แล้ว +1

      ㅇㅈㅇㅈ 쌉인정

  • @chanmiwoo1892
    @chanmiwoo1892 5 ปีที่แล้ว +443

    시대가 어느시댄데.......저런 발언 충격적이네요.....
    제발 여기댓글 하나하나 읽어보셨으면 좋겠어요...^_^

    • @BaehrChaney
      @BaehrChaney 5 ปีที่แล้ว +22

      아마도 이렇게 생각하지 않을까요??
      "니깟것들이 감히 나한테?? "

    • @axonom2431
      @axonom2431 5 ปีที่แล้ว +74

      임요환 스타크래프트 황제 시절에 방송에서 선수 불러다놓고 면전에 대놓고 사이버머니와 살인드립, 중독자 취급해댔던 시절에서 20년가까이 지났지만 바뀐점이 단 1도 없음 ㅋㅋㅋ

    • @Yujiyeon1991
      @Yujiyeon1991 5 ปีที่แล้ว +3

      어차피 저런꼰대는 댓글봐봤자 뭘모르는 사람들이라고 치부하며 영향도안가요

    • @user-hi4fw4et3m
      @user-hi4fw4et3m 5 ปีที่แล้ว +4

      @@user-fs4or3fb1i ? 유튜브는 왜요? 유튜브도 규제한다는 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다는 것과 같고, 광고는 구글이라는 기업의 주 수익원인데요? 그걸 억압한다는 건 한국에서 구글에 선전포고하는 것과 똑같고 그러면 최악의 경우 스마트폰 싹다 못씁니다.
      그것과 더불어 게임이 눈과 뇌만 쓴다는 건 조금 잘못된 말입니다. 현재 나오는 게임들이나 오락실 게임들은 전신 게임도 존재하고요.(ex : 저스트 댄스, 비트세이버 등등)
      거기에 실제 일본은 치매 예방차원에서 어르신 분들에게 테트리스나 뿌요뿌요로 대회를 여는 곳이 존재합니다.
      (대뇌 석회질이 증가하여 기억력이 증가하기 때문 조금비꼬면 뇌가 붓는다고 표현가능 팝콘 브레인은 이를 얘기하는 거라 생각하겠습니다.)
      거기에 게임을 하는 사람의 뇌는 마약복용자의 뇌와 똑같다는 내용도 있었는데 사람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 마약과 비슷한 반응을 보입니다.

    • @user-fs4or3fb1i
      @user-fs4or3fb1i 5 ปีที่แล้ว

      @@user-hi4fw4et3m 글 잘 읽었습니다. 무슨 말 하는지도 알겠고요.
      유튜브 규제는 그냥 제 머리에서 나온 생각일 뿐입니다. 아무도 그런 생각 안 하고 말씀하신대로 구글에 선포하는 거이자 권리 침해입니다.
      다만, 유튜브 처 보는 게 당연히 좋은 게 아니죠. 하나 예시를 들자면, 1960, 70년대 여성들은 얘 막 5명 6명씩 낳고 그 때 ㅋㅋ 세탁기도 없는 시절에 빨래하고, 대가족이라 밥도 조낸 많이 하고 그래도 당연하다고 살았습니다. 이게 여성분들의 인권이나 성평등 얘기거 아니라 생각이 적으셔서 그랬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이 미친 유튜브 때문에 처 자빠져 누워 잡생각만 키우게 됩니다.
      제 생각으로는 유튜브가 게임중독보다 심각하다고 봅니다. 극심하게 생각과다, 유튜브와 더불어서 요즘 여경, 승리 버닝썬 남자들 성희롱문제, 학교폭력을 했건 학원폭력을 했건, 도덕적 잣대로 심판내리기 이딴 것이 유행인데 솔직히 우리 삶하고 0.0000000001% 관련도 없습니다. 이런 것이 생각과다 일으키는 것이 주범이고 생각과다는 우리를 병들게 하고 갉아먹습니다.
      미세먼지도 마찬가지로 아무리 마셔도 안 뒤집니다. 오히려 미세먼지 때문에 "예민해"지는 것이 우리를 더 병들게 합니다.
      물론 테트리스야 치매 걸린 사람에게 좋겠죠. 근데 그게임이 우리 대가리속을 가득 메우고 생각과다를 일으킨 다면 안 좋겠죠.
      다시 말하지만 70 60년대 여성들은 쌔빠지게 집안일 하고 그 때 로봇청소기가 있겠습니까 40인치 uhd 티비기 있겠습니까 그냥 당연한가 싶나보다 하고 생각과다 없이 한 겁니다. 행동이 생각하는 것 보다 쉽습니다. 그냥 제 의견을 정리해 보았네요.

  • @user-wi1bl3vj9u
    @user-wi1bl3vj9u 5 ปีที่แล้ว +223

    미래에서 왔습니다 한달뒤에도 변한건 없습니다 노답 컬쳐렉걸린
    인간들만 나옵니다

  • @user-rf1fb1is1n
    @user-rf1fb1is1n 5 ปีที่แล้ว +224

    백분토론 보다 오니까 사회자분 편-안

  • @forestofms.tangerine2515
    @forestofms.tangerine2515 5 ปีที่แล้ว +590

    근데 저 성취감 얘기는 진짜 맞는것같아.. 애들이 성취감 느낄 통로가 너무 없어ㅠㅠㅠ

    • @user-wp1pn7ce6o
      @user-wp1pn7ce6o 5 ปีที่แล้ว +22

      그니깐 게임을 적당히 하는건 좋은데
      지나치게 하는건 중독이고
      그중독이 질병이될수있다라는뜻인듯
      게임 중독은 질병인가
      이 논제는 게임을 하지못하게하자가
      아니라 게임중독은 질병인가인데
      논제 자체를 잘못이해한듯
      술중독은 질병인가
      라고해서 술을 못먹게 하는건
      아닌것처럼
      문제는 이 논제를
      학부모들은 게임은 못하게 해야한다는
      논제를 흐리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것 같음
      중독은 당연히 질병이 될수있지
      대도님말은 그런 중독 까지 가기가
      어렵고 흔한 일은 아니라는건데
      자꾸 게임은 잘못됬다고 말하는것
      무엇? 적당히 하는건 괜찮다고
      계속 말하는데 그것이 중독이래 ㅋ.
      솔직히 3시간 많이해야 5시간
      뭐가끔은 친구 끼리 날잡고10시간
      정도는 해봤겠지
      난1시간도 피곤하다

    • @oumuamuao9496
      @oumuamuao9496 5 ปีที่แล้ว +4

      성취감 통로가 없다니.. 잘찾아보세요. 그런것을 도와주는것도 부모의 역활

    • @hyun10221
      @hyun10221 5 ปีที่แล้ว +68

      @@oumuamuao9496 아니 없어요 진짜로
      일에 미친 우리나라에서 성인조차 개인 취미가 극단적으로 적은게 문제시되고 있는데
      학교, 학원, 집만 드나들어야 하는 애들은 더더욱 적어요.
      그렇다고 애들한테 골프, 승마, 요트셰일링같은거 시켜줄 수 있는 사람 몇이나 될까요?
      그런거 없이 놀거리 찾는것도 불가능합니다.
      옛날마냥 다방구하고 고무줄놀이 시킬거 아니잖아요.
      놀거리는 빠져들지 못하면 놀거리가 아닙니다.

    • @lapark4524
      @lapark4524 5 ปีที่แล้ว +2

      ㅇㄱㄹㅇ

    • @lapark4524
      @lapark4524 5 ปีที่แล้ว +23

      @@oumuamuao9496 그게 요즘은 다 돈이에요....게임은 소자본으로도 할수가 있거든요..

  • @user-lj8ji5ke9i
    @user-lj8ji5ke9i 5 ปีที่แล้ว +1278

    우리나라 게이머들이 해외에서 매년 쓸어오는 상금이 얼만데.. 게이머들 이렇게 홀대히는 나라도 없을 거다..

    • @yoongom93
      @yoongom93 5 ปีที่แล้ว +79

      애쉬누나 운동이나 게임이나 다른나라는 칭송받을만한것을 이렇게 홀대히 대하는게 정말 안타까울뿐이죠...ㅠ

    • @user-wx2xc2rl1u
      @user-wx2xc2rl1u 5 ปีที่แล้ว +68

      게임은 사교육의 적이니까요. 정치적으로 만만하니까 이용할 수도 있고요.....

    • @vipsrocket
      @vipsrocket 5 ปีที่แล้ว +2

      업계가 조단위로 쓸지 게이머는...

    • @user-cf1jj5kg8j
      @user-cf1jj5kg8j 5 ปีที่แล้ว +1

      게이머가 얼마나 쓸어온다고 ㅋㅋㅋ

    • @lhg6572
      @lhg6572 5 ปีที่แล้ว +62

      @@user-cf1jj5kg8j 너가 5번정도 다시 태어나서 벌어올 돈 보다 10배는 더 벌어올껄.

  • @user-dd3fh5xd8x
    @user-dd3fh5xd8x 5 ปีที่แล้ว +187

    농장 게임을 재미있게 하였다 잠도 못자고 하다가 왜 이걸 하지 라는 생각이 들어서 그만 두었다.
    게임을 즐겼다 -> 좀 과하게 중독이라 할만큼 즐겼다 -> 필요성을 못느껴 하지 않게 되었다.(자정작용이 되었다.)
    농장게임은 중독성은 없는 것으로...

    • @user-jw5fj9mn1l
      @user-jw5fj9mn1l 4 ปีที่แล้ว

      그럼., 저만 농장게임좋아하는가.. ..

    • @L.Surplus
      @L.Surplus 4 ปีที่แล้ว +1

      나비보벳따우

    • @voicestudio5954
      @voicestudio5954 3 ปีที่แล้ว +2

      걍 과금유도 걸려서 안하게 된거 일 듯.
      농장게임을 예를 들면 처음에는 나무 하나 만드는데 3분이면 되지만 후에 가서 나무를 판자로 만들고 그걸 테이블로 만든다고 하면 테이블 만드는데는 5시간씩 걸릴거임. 3분짜리 나무는 쌓여가는데 판자는 만드는데 1시간(분명히 작업창도 2,3개 뿐일거임. 하나 더 늘리는데 캐쉬가 들겠지)인데 테이블 만드려면 판자 10개가 필요함. 근데 분명 이벤트나 시스템(교역창 같은거)에서는 '테이블 5개를 만드세요.'이럴건데. 성격 급한 한국인이 현타가 안오고 배기겠냐고. 즉시 완료권이나 n분 감소권은 캐쉬일거고 아껴쓴다고 해도 언젠간 떨어지거나 의미없는 수치(만들어야하는 건 1시간 짜리인데 30초 감소만 10개씩 이벤트로 뿌림)일거고 솔직히 현질은 하기 싫으니까 점점 재미가 없어지는거임. 그냥 전형적인 K-게임 당한건데 '어느순간부터는 의미없는 일 같아서 그만뒀다'라는게 게임이 유해하다는 듯이 말한게 너무 이해가 안됨.
      솔직히 나무 1분, 판자 3분, 테이블 5분이었어봐. 스카이캐슬이나 펜트하우스 보면서도 켜놓고 있을걸? 이벤트 보상 받아야돼! 이러면서 겁나 열심히 할걸? 1시간 정도만 투자하면 뚝딱 만드는건데 드마라 보면서 충분하지.

    • @user-ef5jz5hx8v
      @user-ef5jz5hx8v 3 ปีที่แล้ว +2

      게임만 했는데 자신이 키운 채소가 집으로 온다?
      지금 다운로드 하세요 레알팜

    • @user-yf6yk3kf4s
      @user-yf6yk3kf4s 3 ปีที่แล้ว +1

      레알팜 예상

  • @kkbba1
    @kkbba1 5 ปีที่แล้ว +215

    72시간동안 공부만하다가 죽어도 공부를 질병으로 지정할까????

    • @L.kushiro
      @L.kushiro 5 ปีที่แล้ว +15

      그건...아마 질병운운 절대 안하고 그냥 적당한 수면시간이 필요하다...라고만 하지 않을까요?
      그양반들 하는짓거리 보면은

    • @user-lv4xu3tm4f
      @user-lv4xu3tm4f 4 ปีที่แล้ว +1

      광우병 괴담과 비슷한거지

    • @songekun
      @songekun 4 ปีที่แล้ว +2

      폐륜아적인 발언이긴한데 나 어릴적이 엄마가 게임 그거 30분 했는데 게임좀 작작하라고 중독이냐고 얘기할때마다 개때리고 싶었더라....

  • @Logan14
    @Logan14 5 ปีที่แล้ว +149

    보라색 변호사 진짜 암 그 자체인 사람이네 내가 해봤는데 이해도 못하겠고 득도 없더라 식의 자기 경험이 전부인양 일반화하는 사람이 토론을 하러 나왔다는거 자체가 넌센스

    • @flycat1099
      @flycat1099 5 ปีที่แล้ว +5

      토론을 주관적인 생각으로 이끌어나가려는 극암패턴

    • @user-uy6mt9mg8e
      @user-uy6mt9mg8e 5 ปีที่แล้ว +3

      저 여자는 토론이 아니라 지 말에 반박하는 사람들 무안주고 꼽주려고 나온거같음 결론은 지가 되려 당했지만

  • @user-qp9cj5wc9b
    @user-qp9cj5wc9b 5 ปีที่แล้ว +523

    저 여자는 전형전인 나는 꼰대스타일 아니 자기가 성취감못느꼈으면 다른사람들도 못느껴야돼?? 사람마다 다 느끼는게 다른거지

    • @petery868
      @petery868 5 ปีที่แล้ว +46

      근데 저런 여자분들도 이해가 가는게
      저 사람 입장에선 죽었다 깨어나도 청소년기에서 느낄수 있는 게임의 재미와 성취감을 이해할수 없음
      왜냐하면 이미 늙어서 뇌구조가 달라졌기 때문
      나 역시 청소년기에 즐겼던 게임이 나이를 먹고 나니 재미가 없음
      사실 현실에 더 재밌고 성취감 느낄것들이 많음
      하지만 게임보다는 제약이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청소년기에는 더 쉽게 접근할수 있고 성취감을 느낄수 있는 게임에 몰두 할수 밖에 없는거죠

    • @siwpfvusa
      @siwpfvusa 5 ปีที่แล้ว +43

      여자분 꼰대맞음 꼰대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대게 자기 주장 펼칠 때 자기 경험만 가지고 얘기하거든ㅇㅇ

    • @user-fs4or3fb1i
      @user-fs4or3fb1i 5 ปีที่แล้ว +3

      과연 그게 사람마다 다른 걸까?? 그냥 ㄱㅈㄹ 아닐까?? 게임은 뭐냐면 가짜 세상임. 거기에 무슨 슬픔과 돈 걱정과 공부성적 걱정과 한술 더 떠 인간 스스로 죽음에 대한 공포, 경쟁에서 뒤쳐지는 두려움 (물론 게임도 있지만) 그런 게 어딨음??? 이런 걸 보고도 사람마다 느끼는 성취감이 달라 게임중독이 정상이냐 ㅋㅋㅋ

    • @user-tg9vw1kk2z
      @user-tg9vw1kk2z 5 ปีที่แล้ว +1

      100분 토론 보니 보라색 여자분 그래도 거슬리네

    • @user-qb6gy5bx5e
      @user-qb6gy5bx5e 5 ปีที่แล้ว +5

      맞아요. 저도 농장같은 키우는 게임 좋아해서 많이 하는데 2~3년 넘어서 업데이트가 없어서 재미없어질수도 있지만 알레르기때문에 반려동물도 못키우고 식물같은것도 키우다가 똥손땜시 죽이고 하는 저로써는 그런 농장에서 키우는 것들이 회사에서 일하다 받은 스트레스 받을때 한번씩보면서 나름 힐링도 되고 좋던데.... 자기가 재미없었다고해도 다른사람은 힐링받고 좋아할수도 있는데... 자기경험이 진리다 하는 발언이 좀 거슬려요!

  • @user-zs2ef5wq8c
    @user-zs2ef5wq8c 5 ปีที่แล้ว +153

    9:19
    " 아몰랑 난 못느꼈어~"

  • @stw1996
    @stw1996 5 ปีที่แล้ว +30

    대도님은 크리에이터 이상의 존재가 돼가고있는듯 게이머들의 입장을 대변하고있음

  • @yee6815
    @yee6815 5 ปีที่แล้ว +334

    100분토론 보고 저 보라색 옷 보니깐 그나마 양반인듯...ㅋㅋㅋㅋ

    • @gb417
      @gb417 5 ปีที่แล้ว +8

      그 생각함 ㅋㅋ

    • @kim_rea
      @kim_rea 5 ปีที่แล้ว +1

      ㅎㅇㅈ

    • @Gang_Ja
      @Gang_Ja 5 ปีที่แล้ว +21

      인정 저분이 잘모르고 우릴 이해못하는게 이해가 되버림..도가 지나친 언행도 안해서 딱 토론정도인듯

    • @user-xh9xw5ow3l
      @user-xh9xw5ow3l 5 ปีที่แล้ว +1

      총체적 난국..

    • @jinyoung4720
      @jinyoung4720 5 ปีที่แล้ว +1

      저도 ㅋㅋ

  • @user-oo9rx7by4i
    @user-oo9rx7by4i 5 ปีที่แล้ว +409

    게임은 무조건 나쁘고 의미 없다는 편견을 갖고 있는 저 여변호사 같은 분이 많지요. 세대가 달라지고 세상이 바뀌었다는걸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이지요. 저런 고지식한 분들은 대화는 직접 만나 차라도 한잔 하면서 하는 거고, 인터넷 상에서 하는 대화는 가짜고 의미 없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청소년들이 친구들과 어울려 게임을 하는 것은 일종의 친교활동이고, 당구치고 축구하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대도서관이 말한 성취감이란 것은, 단순한 의미가 아닙니다. 성취람이란 인간이 노력하게 만드는 원동력이고, 열정을 불태우는 연료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에게 인정받길 원하고, 자신에게 소중한 사람에게 인정받기 위해서는 더욱 열심히 노력합니다. 공부는 아무리 열심히해도, 그들의 부모님을 만족시키기 어렵습니다. 항상 그들의 부모는 더욱 큰 기대를 갖고있어, 노력해서 받아온 자식의 결과물을 못마땅해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노력을 했지만 인정받는데 실패했고, 좌절감을 느끼고 공부를 싫어하게됩니다. 반면 게임으로 얻는 성취감은 함께 게임을 하는 수많은 유저들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습니다. 대도서관 말처럼 레벨을 올리고, 새로운 장비를 끼우는 행위 자체가, 자연스럽게 게임내에서의 지위가 상승하는 인정을 받는 성취감을 주는것이지요. 자녀가 게임을 한다고 무조건 욕할것이 아니라, 본인의 욕심으로 인해 사랑하는 자녀의 노력을 싸그리 무시하고 더욱 좋은 성적만 요구한 건 아닌지 되돌아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게임 중독으로 몰고가는 건 부모님들입니다. 10대에 게임중독이 심한 이유가 바로 그들의 부모님들때문입니다. 사회 생활을 하며 일로 얻는 성취감이 커지면 게임중독은 자연스럽게 없어진다는 것이 이미 수치로 있지 않습니까? 당신들 자녀가 공부에서 성취감을 얻을 수 있게 했는지 자신을 돌아보시기 바랍니다.

    • @user-sy3bs1rj2d
      @user-sy3bs1rj2d 5 ปีที่แล้ว +13

      이말을 함축하자면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다.로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자녀가 이상행동을 한다면 부모가 현재 자녀에게 이상행동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 @user-zh3rm6lr8k
      @user-zh3rm6lr8k 5 ปีที่แล้ว +4

      하지만 국산 쓰레기 같은 3n1p 게임회사는 그 성취감을 잘못된 방식으로 돈받고 팔고있죠 ㅋ

    • @parkchan0
      @parkchan0 5 ปีที่แล้ว +1

      @@user-zh3rm6lr8k ㅇㄱㄹㅇ
      잘못된 방법으로 유도하고 쓸고있다

    • @Hoon_SW
      @Hoon_SW 5 ปีที่แล้ว +11

      @윤린 학생도 엄연히 감정이 있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가 필요한 인간인데. 학교, 학원, 집만 강요하면서 게임까지 막으면 대체 무엇으로 스트레스를 풀라는지 이해가 안 되죠.

    • @suyeolpark4121
      @suyeolpark4121 5 ปีที่แล้ว +1

      그학생이 20대 30대가되고 이 사회는 10년 20년뒤에 어떤사회가될까 너무궁금하다

  • @inmuntv
    @inmuntv 5 ปีที่แล้ว +13

    ㅠㅠ
    대도서관님 응원합니다. 인생에 공부가 전부가 아니라는걸 사람들이 좀 알아줬으면 좋겠네요.

  • @user-yh7ij9cv9j
    @user-yh7ij9cv9j 5 ปีที่แล้ว +97

    겜하는 애들은 컴퓨터관리는 기본이고 가격흥정을 잘함.
    그리고 아줌마 아줌마가 하는겜은 방치용 게임이예요.
    짦은시간 심심할때 관리하는거지 몰두하는게임아니예요.

    • @ith1595
      @ith1595 5 ปีที่แล้ว +14

      김영진 그런거는 다 아줌마 처럼 질려요ㅋㅋㅋㅋ

    • @EEBBE
      @EEBBE 5 ปีที่แล้ว +7

      맞는말임.

    • @haku._.0
      @haku._.0 4 ปีที่แล้ว +5

      질리는 게임을 해놓고 질린다고 아무짝 의미도 쓸모도 없대 ㅋㅋㅋㅋㅋㅋㅋㅋ여태까지 재밌게 즐겨놓고선

    • @totti4715
      @totti4715 4 ปีที่แล้ว +4

      제발 반대하는 사람들 게임 전문가를 앉혀놨으면 좋겠음
      뭔가 반대하려면 그분야에 전문가를 모셔야지 죄다 뇌피셜만 떠들어대고 앉아있으니 답답해 죽을거같음

  • @user-yh8ch1si5g
    @user-yh8ch1si5g 5 ปีที่แล้ว +242

    세상은 변하는데 끝까지 안변했다며 변화를 거부 하는 사람들이 있죠.

    • @user-ms4iz8ue8g
      @user-ms4iz8ue8g 5 ปีที่แล้ว +17

      그걸 꼰대라고 합니다

    • @user-vq7gd6nj5c
      @user-vq7gd6nj5c 5 ปีที่แล้ว +2

      @@user-ms4iz8ue8g 아 몇일전 그아줌마 생각나네요..자식 남편 잡아먹을것같은 그 아줌마...

    • @user-vi3mo4xo4l
      @user-vi3mo4xo4l 5 ปีที่แล้ว

      보수

    • @user-wp8rk8hx8h
      @user-wp8rk8hx8h 5 ปีที่แล้ว

      @@user-vi3mo4xo4l 보수의 의미를 잘 모르시나본대 자유시장 경제체제를 지지하는것이 보수입니다 게임을 막고 뒤로 퇴보하고 규제를 하는것이 진보이구요 진보와 보수가 말이바뀐것 같지만 적어도 우리나라는 발전을 막는건 진보지요

    • @user-vi3mo4xo4l
      @user-vi3mo4xo4l 5 ปีที่แล้ว

      @@user-wp8rk8hx8h ㅇㅎ 감사합니다

  • @jin2658
    @jin2658 5 ปีที่แล้ว +226

    우와 대도님 말씀 잘하시네... 그런데 노의원? 저분는 뭐 하시는분이신지? 게임을 해보신분이 비평을 하신다면 이해를 하겠지만 농장게임 몇번 해보고거 저기에 전문가라고 나와서 썰을 풀기엔 잘못된 자리에 오신게 아닌가 싶네요. 저분은 그냥 말씀이나 얼굴 표정이나 '난 딴건 모르겠고 게임은 해로운것! 그러니깐 하지마' 라고 말씀하시고 싶으신거 같이 생각되네요.

    • @kcoba12
      @kcoba12 5 ปีที่แล้ว +1

      노의원님 도 말을 참 잘하던데 중간에 대도님이 말을 끈어서 노의원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 느낌이 드네요 게임이 무조건 나쁘다는 의견은 아닌거 같네요

    • @user-dq5ec5vh6y
      @user-dq5ec5vh6y 5 ปีที่แล้ว +4

      @@KONGtheSOON
      그렇게 따지면 모든것이 해롭죠.
      드라마 중독
      공부 중독
      일 중독
      사랑 중독 (애정결핍)
      주식 중독
      커뮤니티 중독
      등산 중독
      게임은 해로운 것이다
      답은 이미 정해져 있다는 저 태도는
      정말 매우 옳지 못합니다.

  • @siluman9882
    @siluman9882 5 ปีที่แล้ว +22

    대도 개호감됨 토론보고 구독함

  • @user-ro7sq2vd8b
    @user-ro7sq2vd8b 5 ปีที่แล้ว +25

    4:36 대도표정 내표정

  • @shinesso6178
    @shinesso6178 5 ปีที่แล้ว +206

    알콜중독자는 질병이고 치료를 해야하죠. 그렇다고 술이 무조건 나쁜건 아니죠. 72시간 하는 그런 게임중독자도 치료해야 할 문제지. 게임이 문제는 아닌 것 같아요. 성인들이 술이라던지 다양한 것들로 스트레스 푸는 것처럼. 학생들도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중 하나가 게임이고 (사실 학생들이 자유롭게 할 수 있는게 거의 운동아님게임뿐) 거기에 게임이란 것 자체가 내가 요만큼 노력하면 얼마만큼의 스탯이라던가 경험치라던가 얻어지는게 수치화되어 눈에 보이기 때문에..성취감이 어마어마함. 그래서 학생은 물론 성인들도 많이 하는건데.. 단순히 농장 키우기게임으로 이걸 하는데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 하시면ㅋㅋ 전 술이 맛이 없어서 안먹어요. 그래서 왜 술들을 마시는지 모르겠어요. 적당히 마시지 취할때 까지 먹는건 진짜 중독 아닌가요? .
    같은 수준의 말을 들었다.... 으으...
    니코틴 중독돼서 길거리 담배피고 연기 뿜뿜 하고 길에 침뱉고.. 남에게 피해주는 그것부터 일단..좀 어떻게 하는게...

    • @grrrrrrrrr6553
      @grrrrrrrrr6553 5 ปีที่แล้ว +2

      잘나가다가 마지막문단이 왜 그렇게 가는지 모르겠네

    • @user-tm9vj1tx9e
      @user-tm9vj1tx9e 5 ปีที่แล้ว +2

      니코틴 부분은 삭제하면 완벽할듯

    • @kim_rea
      @kim_rea 5 ปีที่แล้ว +1

      도박 72시간
      일 72시간
      게임 72시간
      공부 72시간
      식사 72시간
      잠 72시간
      독서 72시가
      운동 72시간
      흡연 72시간
      전부 개인이 못한건데 왜 문제인건데. 왜 그걸 자체가 문제라는건지..
      중독성이 있는 게임이 문제라고 하면 되지. 범죄를 일으키는 인간이 문제인거지 인간자체가 문제인게 아니잖아;
      학교를 다니고 직장을 다니는 사람이 각자일을 하고 남은시간 일햇던시간보다 훨씬 작은시간동안 자기가 좋아하는걸 하겠다는데. 범죄를 저지른것도 아니고 그게 왜 문제인건데;;;

    • @user-rn2gx8wx4k
      @user-rn2gx8wx4k 5 ปีที่แล้ว +1

      술은 한잔은 약이라고 먹으라고하시던데 어른들이 뭐든지과하면 중독이고 병이지 공부도 과하면 병이다 공부하다 코피보고 좋아하는것도 어른들이 심어준 병적인 고정관념이고 그 집착이 사회에 좋은 결과를 가져다준다면 좋은거다라는 어른들의 마인드가 그대로 내려온것인데 지금은 세대가 바뀌어서 게임만 만들어서 수출해서 이익을 만드는 기업도 세계적으로 많은데 우리나라는 그분야에 손을 놓은거랑 똑같다

  • @user-cc8jw4cy3r
    @user-cc8jw4cy3r 5 ปีที่แล้ว +404

    약간 노의원이라는 분 어쭈 내 말을 부정해? 이것봐라 라는 것 같은 태도같은데 ... 대도님 말 정말 잘하시네요

    • @cypcbbxl
      @cypcbbxl 5 ปีที่แล้ว +8

      저정도면 선지키면서 말 잘했지. 저런 토론이 나와야 부모(노의원)와 자식(대도서관)간에 의사소통이 좀 더 수월해지지 않겠냐... 딱 노의원은 부모세대의 고정관념을 가지고잇음 ㅋㅋㅋㅋ

    • @jasonko9589
      @jasonko9589 5 ปีที่แล้ว +13

      내가 보기엔 오히려 대도서관님이 흥분을 해서 말을 끊고 오해해석을 해서 부딪치는 걸로 보이네요. 저 여성분이 자기도 나름의 중독 증세로 보일 수 있는 경험을 해보았고 그 결과가 이랬다 하지만 나는 게임중독처럼 하루종일 잠자다가도 게임을 했지만 결국 의미가 없는 짓이였다. 만 짚어서 반박할게 아니라 그 말에서 그랬던 본인도 질병을 가진 사람이 아니다 라는 것을 캐치했어야합니다. 대도서관님이 오해하는게 그런게임은 게임도 아니다 그런게임보다 더 다양하고 재밌고 수준 높은 게임도 있다 를 말해서 당신은 게임에 대해서 잘 모른다. 라고 말을하여 빗겨나갈게 아니라 주제내용에 맞게 반박을 해야하니, 일단 그 게임도 하나의 '질병'이라 말하는 '게임중독'을 불러올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는 게임임을 인정하고, "그런 그 게임을 중독자같이 잠자다가도 깨서 했던 당신또한 곧 질병을 가진 자냐?" 라고 반문을 했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정확히 게임과 일상생활을 조화롭게 하는 대도서관님의 예시 경우와 72시간하는 사람의 두 경우를 토론의 주제 내용인 게임 중독이라고 통틀어 말하지 말고 확실한 구분을 한 뒤에 토론을 하자고 한걸 보면, 서로가 자기식대로의 게임중독을 각각 두고 얘기를 하면 토론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서로 딴얘기만 할 것 같으니, 사전에 미리 구분지으려고 한 듯 보입니다. 대도서관님이 말한 경우의 게임유저들을 비정상적이라고 보는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내 말을 부정해? 가 아니라 본인 말의 의도와 다르게 대도서관님이 받아들여서 하는 리액션 같네요. 이건 대도서관님이 말을 끊지 말고 침착하게 듣고 말했어도 나쁘지 않았을거 같네요. MBC에서는 침착하게 잘하시더만... MBC 100분토론에 나오는 논리없이 지식없이 자기가 아는 지식만 가지고 상대방은 모를거라는 확신에 찬 태도로 무시하며 우기기만 하는 그 분과는 비교대상이 아닌 듯합니다.

    • @HIRIT08
      @HIRIT08 5 ปีที่แล้ว +4

      이번엔 대도서관이 좀 무례했음...

    • @bluemoon1617
      @bluemoon1617 5 ปีที่แล้ว +3

      님 글 에서 본인도 질병을 가진 사람이 아니다 라는 것을 캐치했어야합니다.라고 말씀하시는데 님 의견이라면 게임 중독은 질병이다. 라고 인정하는 겁니다.대도서관은 질병을 가진 사람이 아니다. 라고 할 이유가 없는 겁니다. 왜냐? 대도서관은 게임 중독은 질병이라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죠. 공부든 운동이든 음악이든 쇼핑이든 모든 것에는 중독이라는 게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사람이 쇼핑 중독을 가지고 있으면 질병이라는 표현을 쓰던가요? 유독 게임에 중독되면 질병이라 단정 지어 얘기하는 게 문제인 거죠 . 그래서 대도서관이 어른들이 게임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겁니다. 라고 반문하는 겁니다. 특히 노영희씨가 게임을 했지만 이러이러 해서 결국 의미가 없는 짓이었다. 라는 부분과 이어지는데요. 오히려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대한민국 어머니들도 드라마 중독이시죠?. 매 시간 시청 시간만 되면 알람도 맞춰놓고 보시는 분들 많습니다. 근데 그게 의미가 없는 짓인지 알면서도 보는 이유는 자기 자신의 취미이자 스트레스 해소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인거지 그게 중독 질병 증세 초기라고 얘기하는 분은 절~~~대 없습니다. 시각의 차이인거죠. 그런 경험이 중독 증세를 보일 수 있는 경험이란 표현은 그냥 억지라고 생각하고요.저 분의 주장은 그냥 아전인수나 같습니다.

    • @jasonko9589
      @jasonko9589 5 ปีที่แล้ว +1

      @@bluemoon1617 질병이라고 인정해서가 아니라 "질병 이라고 말하는" 이라고 했습니다. 반박을 위한 가정이죠. 애시당초에 질병이라고 생각을 안하니까 저렇게 말하는거지 않겠습니까?

  • @mainaHighway
    @mainaHighway 5 ปีที่แล้ว +1

    솔직히 대도서관은 게임 자체를 사랑하는 것도 있지만 게임 자체에 대한 이해도라던지 사전 지식이 풍부한데, "게임" 이라는 주제 하나가 콘텐츠인데 지상파에서도 자주자주 띄워주면 좋겠다. 저렇게 게임 이라는 주제를 던져놓고서 이해를 못하는 건 왜 대도서관을 섭외했는지 1도 모르겠다. 하나의 놀이의 개념 뿐만 아니라 영화적인 연출이나 본인이 직접 체험하지 않더라도 진짜로 그렇게 느끼게 만들어주는 VR도 있는데 너무 시대에 뒤쳐져 있는 게 아닌지 의심합니다.
    게다가 게임에도 장르가 있는데 너무 획일적으로 게임 자체가 다 똑같다고 생각하는 지도 이해를 못하겠음. 분명 액션 게임, 대전 게임, FPS 게임, AOS 게임, 남성향 게임, 여성향 게임, 퍼즐 게임, 롤플레잉 게임, 어드벤쳐 게임, 리듬 게임 지금 본인이 생각해도 장르란 장르들은 다 머릿속에서 나오는데 게임이라는 지식이 없으면 대화 소지가 없다는 게 여기서 밝혀졌다. 이러니까 게임을 못알아들어서 다들 게임 중독이니 뭐니 게임을 멸시하게 만들어요. 아니 그렇게 따질 거면 매체물을 접해봐야지 않을까 합니다. 남들 궁금한 영화, 소설, 드라마를 항상 돈주고 보면서 게임도 돈주고 하는 건데 왜 그런 매체를 접하지도 않으면서 멸시하면 되겠습니까. 게임 가지고 뭐라는 사람들이 겜알못이면 참...

  • @user-ib1pv4us9w
    @user-ib1pv4us9w 5 ปีที่แล้ว +23

    하... 진짜 게임질병추진할려고 재롱 잘떤다...
    도서관님 파이팅

  • @user-to5ud5vy1j
    @user-to5ud5vy1j 5 ปีที่แล้ว +262

    그러면 분재 왜 키우나?
    개 고양이 말고도 파충류 같은 애완동물은 왜 키우나?
    지가 못느낀다고 다 재미를 못느끼는건가 진짜 생각 단순하고 1차원적이다

    • @lightitup9762
      @lightitup9762 5 ปีที่แล้ว +8

      근데 그런 사람들이 수두룩한 현실.

    • @user-ze1pj8um4r
      @user-ze1pj8um4r 4 ปีที่แล้ว

      서울 정신과의사들을 사기꾼으로 만들어버리네 ㅋㅋ
      효능이 있으니까 받는거지 없는데 돈들여서 받겠냐

    • @user-fz7id5vm5p
      @user-fz7id5vm5p 4 ปีที่แล้ว

      @서울 ㄹㅇ빡대가리ㅋㅋ

    • @user-uu9co9yk3q
      @user-uu9co9yk3q 4 ปีที่แล้ว

      @서울 호르몬의 영향때문에 우울증이 생기는겁니다. 그 호르몬을 제어하는 약을 처방하는게 의사다 이 빡대가리야

    • @user-uu9co9yk3q
      @user-uu9co9yk3q 4 ปีที่แล้ว

      ㅇㅈ 나도 파충류 키우는데 왜키우냐 ㅇㅈㄹ하는사람들 있음

  • @zzang13265
    @zzang13265 5 ปีที่แล้ว +121

    대도서관이라는 유명인을 갈구는 마치...청문회같네요ㅋㅋ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5 ปีที่แล้ว +256

    전문가: 저는 게임에 대해 전혀 모르지만 게임은 안좋습니다.
    대도 : 전혀 모르시면서 단정지으시네요?
    전문가: 저는 게임을 압니다. 게임에는 여러가지가 있죠. 저는 이제 농장께임을 했어요.
    대도 : 모르시는 것 같은데요?
    전문가: 아무튼 저는 이제 전문가고요 께임 안좋습니다! 책을 읽으면 됩니다!

    • @1aw.mp4
      @1aw.mp4 5 ปีที่แล้ว +29

      실제 영상을 보니 완전히 그런 식으로는 말하지 않은 것 같은데, 좀 과장이 심하게 된 부분이 있는 것 같네요. 저 분도 반대 역할을 맡아서 프로그램 진행을 위해 공여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지나친 비난과 조롱은 삼갔으면 합니다.

    • @whee__k
      @whee__k 5 ปีที่แล้ว +11

      확실히 과장이 심하네요. 그리고 스스로 게임이 중독성이 없다는걸 말하셨네요 ㅋㅋ 내가 이게 뭐라고 이렇게 하지? 게임은 항상 그런 시점이 온다는것 말이죠 ㅋㅋ

    • @user-xv8il8di5u
      @user-xv8il8di5u 5 ปีที่แล้ว

      Donghwan Kim 난독이세요??

    • @user-ln8se1hu7q
      @user-ln8se1hu7q 5 ปีที่แล้ว

      @@donghwankim2401 본인이 이해 못하시고 너무 막 말씀하시네요 저기 영상에 나오는 노영희라는 분에게 한 말씀입니다 말이 좀 뒤섞이긴했지만 이해할순있을정도인데...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5 ปีที่แล้ว

      까메오 난독이 아니라 주어가 없는데 어쩌라는거야

  • @BigGodMioFire
    @BigGodMioFire 5 ปีที่แล้ว +2

    부모의 역할이 정말 중요합니다. 아이들에게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통로는 엄청많은데 그걸 막고있는게 현 교육과 부모들의 편견때문인거같습니다. 저도 게임에 한창 빠졌을때가 있었는데 초등학교때 선생님들이 노력해주신덕에 악기연주나 과학 경진대회쪽으로 재능을 발굴해주셨고 노려해주신덕에 세상의 시야를 넓게 보고 또다른 성취감을 얻어내면서 게임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고등학교에 입학하니 의미없고 반복적인 점수경쟁 뿐이더군요. 결국 1등과 꼴등이 나뉘는 세상인데 반복적인 경쟁속에 점점 성취감을 느끼기 어려워지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성취감을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는 게임에 다시 빠진적이 있었죠. 하지만 그때 방향을 잡아준것이 부모님이었습니다. 학교공부는 그저 형식에 불과하니 너가 하고싶은 공부를 택하여라. 그 이후 저의 길을 다시 바로잡아 자발적 학습을 하게되었고 그 효과는 굉장했습니다.
    결국 아이들이 성취감을 얻고 자아실현의 욕구를 해소할 수 있게 하려면 더욱 큰 시야를 볼 수 있게 교육적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만 게임도 문화로서 즐길 수 있고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마치 업무에 스트레스를 받아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시는것처럼 아이들도 자신의 갈 길을 찾아내는 과정속에 피로해진 마음을 게임으로 해소할 수 있길 바랍니다. 혹은 게임이 아니더라도 게임 그 이상의 성취감을 얻어낼 수 있는 그런 놀이나 환경을 많이 만들어주길 바랄뿐입니다.
    제발 의미없는 교육경쟁속에서 벗어났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들이 하고싶어하는걸 발굴해내어 스스로 꿈을 이루기위해 자아를 찾아 성취감을 얻기 위해 길을 택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공부는 자발적으로 학습할때 가장 좋은 결과를 내게됩니다. 지금같이 학교에 가두어놓고 가장 좋은성적의 학생을 뽑아가는식의 교육은 그만두었으면하고 그 아래에 낙오되어 뒷자리로 밀려나게되는 아이들의 재능과 미래를 찾아내주시길 바랄뿐입니다.

    • @hunted2
      @hunted2 ปีที่แล้ว

      명언 폭발 ..
      정말 그냥 지금까지 믿고 지켜 봐주신 부모님께 감사합니다

  • @ischus7585
    @ischus7585 5 ปีที่แล้ว +521

    아 저 여성분 누굽니까? 본인이 어떤게임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려고 하는 태도는 전혀 없고 확실한지도 모르는 그놈의 돼지키우기 게임으로 본인 의사를 확고히 하는데 진짜 암걸리네.

    • @user-cc9in2tr1o
      @user-cc9in2tr1o 5 ปีที่แล้ว +118

      반대의견을 내면 안된다가 아니라, 반대의견을 너무 빈약한 논리, 그냥 자기가 해본 아주 극소한 게임 한 종류를 가지고 모든 게임 다 이럼, 그러니 필요없음 빼애애애애애애애액!!!!! 하는 거랑 차이가 없음

    • @user-yy7hu7ys9c
      @user-yy7hu7ys9c 5 ปีที่แล้ว +59

      @알비노 의견 보다는 우기기 같아요 아는 거라고는 돼지게임 하나인데 돼지게임 해보니 게임은 나쁘다 이거 하나를 가지고 우기고있으니 문제죠 문제점에 대해 포인트도 잡지못하고 논리도 없으니... 보고있으면 답답하죠

    • @user-bi5bm9fe5n
      @user-bi5bm9fe5n 5 ปีที่แล้ว +15

      @알비노 정보없이 작은부분만 보고 확대해석하고 그 논리에 빠져 자신의 생각을 가둬놓고는 반대도 아니고 토론도 아닌 떼쓰기죠;;

    • @dri13829
      @dri13829 5 ปีที่แล้ว +13

      @알비노
      토론도 상대방이 격이 맞아야 가능한 것임.
      서로 지닌 지식과 지혜의 격이 다르면 토론 자체가 불가능 함.
      토론의 가치를 이해하고 그것을 펼칠만한 능력도 없는 사람하고는 토론 자체가 진행이 되지를 않으며 토론의 의미가 없음.

    • @S2M6
      @S2M6 5 ปีที่แล้ว +2

      @알비노 여기서 '반대의견을 낸다' 라고 하셨는데 이건 그건 아님 내가 해봤는데 암튼 그럼 이라고 하는것과 같습니다.
      ex)모배유저가 컴배유저 보고 왜 반동을 못잡니? 라고 하는것

  • @user-es8ie2vr2c
    @user-es8ie2vr2c 5 ปีที่แล้ว +177

    보라색변호사. 키우다가 의미가 없으면 그냥 본인이 게임에 흥미가없는 사람이지.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닌데,
    그렇다면 흥미없는 분야에 대해 무슨 중독이니뭐니 왈가왈부할 자격이 있나. 시각이 좁은 여자다.

    • @user-fm5cd7kg8p
      @user-fm5cd7kg8p 5 ปีที่แล้ว +5

      나름 그래도 백분토론보단 신사적인것같음

    • @Ernest-hemingway
      @Ernest-hemingway 5 ปีที่แล้ว +7

      그나마도 본인이 스스로 게임중독은 없다고 말하고 있는지를 인식을 못함
      게임을 오래하다 보니 물려서 안하게 되었다=게임 중독 없음.

    • @junjun36
      @junjun36 5 ปีที่แล้ว +6

      저말은 마치 나는 축구재미없던데 왜하지 관절도 다상하게 이러는거랑 같은맥락

    • @user-rn2gx8wx4k
      @user-rn2gx8wx4k 5 ปีที่แล้ว

      공부빼고는 시아가 좁은사람임 ㅇㅇ

    • @user-kh2gw3np4k
      @user-kh2gw3np4k 5 ปีที่แล้ว

      @@junjun36 비유 지림 ㅋㅋ

  • @millggoong
    @millggoong 5 ปีที่แล้ว +13

    자다가깨서 할정도로 게임을 하다가 아 이건 내 인생에 쓸모가 없구나 싶어서 그만둘수 있으면 중독성이 없는거아니냐..

  • @user-tc1lc7vl4b
    @user-tc1lc7vl4b 5 ปีที่แล้ว +5

    게임만큼 성취감을 쉽고 정확하게주는것이 없다 노력으로 수치상 정확하면서도 가장 와닿는 매우 좋은 수단이지

    • @user-tb8te6xu1p
      @user-tb8te6xu1p 5 ปีที่แล้ว

      지미 그지...공부는 해도 수치상으로 딱 나올 수 없어서 성취감을 잘 못 느끼는 반면 게임은 내가 성장한게 보이니까 성취감을 느끼기 쉽지

  • @NoSin2
    @NoSin2 5 ปีที่แล้ว +220

    언론이 그렇게 띄워주는 kpop보다
    몇배는많은 외화를 벌어다주는 이제는산업..

    • @HIRIT08
      @HIRIT08 5 ปีที่แล้ว +11

      이제 다 죽었어요 -_-...
      중국 텐센트라는 회사가 전세계 게임 업체를 다 먹고 있으니까요...
      중국 물량 공세는 진짜 후덜덜이죠...

    • @TideK
      @TideK 5 ปีที่แล้ว +8

      한국 땅을치며 후회하겠죠. 미래에

    • @user-oj6ks3dj5j
      @user-oj6ks3dj5j 5 ปีที่แล้ว +6

      @janeebaggiya자니 셨다운제라기보단 이제 여가부가 압박을하면서 중소기업이안크는 상황부터죠

    • @wpc5323
      @wpc5323 5 ปีที่แล้ว

      @janeebaggiya자니 이분 말씀이 맞구요 혹시나 궁금하신분은 어떤 단체가 최초로 게임중독법을 발의하고, 매출1%를 걷으려고 했는지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 @user-oj6ks3dj5j
      @user-oj6ks3dj5j 5 ปีที่แล้ว

      @janeebaggiya자니 솔직히 순수익이아닌 총매출 1이 작아보이는데 실상은 더럽게큰 ㅋㅋㅋ

  • @user-kn3jr3cz5y
    @user-kn3jr3cz5y 5 ปีที่แล้ว +203

    노위원님 정말 꽉막히셨네요 사람은 바뀌지않으니 무슨말을해도 알아들을리 전무하죠

    • @seung8787
      @seung8787 5 ปีที่แล้ว +10

      정신과쪽이라잖아요 어떻게 해서든 몰아가야 밥줄이 늘어나겠죠

    • @Hoon_SW
      @Hoon_SW 5 ปีที่แล้ว +1

      사람마다 재능이 다르고 서로 다른 것에서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는데 노위원 같은 경우 '오로지 공부가 진리고 오직 거기서 성취감과 만족감을 찾아야 된다'고 생각하는 거 같음. 그리고 어떤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면서 상대방이 숨쉴 틈을 줘야 하는데 대안 제시 없이 무조건 하지마라는 식으로 나오니까 열라 답답함.

  • @kyungminins
    @kyungminins 5 ปีที่แล้ว +3

    저도 농장게임 해 봤는데요. 그거 재밌어요. 성취감도 있고 만랩 되도 계속 새로운 미션이 주어지니까 미션하나 깰때의 쾌감이란.

  • @mussoa
    @mussoa 5 ปีที่แล้ว +56

    그럼 낚시하러 몇일 가면 낚시중독이지?
    낚시중독도 치료가 필요하겠네 ㅋㅋㅋ

  • @eugeney8903
    @eugeney8903 5 ปีที่แล้ว +127

    보라색 옷 입은 노의원? 이미 편견을 가지고 자기 의견 우기려는 조사만 해오고 게임 자체에 대한 조사 오지게 안한건가, 20년전에 다마고치 좀 해보고 게을러서 저 난리래...
    조지오웰의 동물농장 부분은 내가 다 부끄럽다 ㅋㅋㅋ 이불 뻥뻥 찰 듯 아 굳이 왜 자랑하려고 끼어들었지 하고 ㅋㅋㅋㅋ에디스핀치 플레이해보고 마르케스 읽어보고 싶어질 수도 있는거고 라스트오브어스로 공리주의의 맹점을 배울 수도 있는거지. 아우 저렇게 책 벼슬취급하는 사람들때문에 책이 안 팔려요!!
    무어가 되었든 기본적인 통찰력을 기르는 데는 책이 큰 도움이 되지만 억지로 읽을 줄 모르는 책 들이미는 것보다 리니지 정치를 직접 느낀 뒤에 책 읽어보면 더 느끼는 바가 있겠지. 게임이든 책이든 답을 구하려는 학생으로서 접했을 때 배우는 게 있는 것이거늘
    대도서관 짤린 말 "아이들이 얼마나 똑똑해지는가"부분 좀 더 이야기하게 뒀으면 좋았을걸

    • @user-pg5hn6ei7u
      @user-pg5hn6ei7u 5 ปีที่แล้ว +1

      저도 그부분이 짤린게 참아쉽네요

    • @hanismatter
      @hanismatter 5 ปีที่แล้ว +5

      진심 조지오웰 동물농장..ㅋㅋㅋㅋㅋㅋ 내가 다 부끄럽

    • @OO-ku3rh
      @OO-ku3rh 5 ปีที่แล้ว +1

      ㅇㅈ 게임을 해본적도 없으면서 게임에 관한 토론을 하다니 그것도 이런 모든사람이 보는거대한 뉴스에서

    • @deleteearth7982
      @deleteearth7982 5 ปีที่แล้ว

      글로쓰면 소설 영상으로만들면 영화 극본으로짜면 연극 게임으로만들면 게임 매체에 갖혀있다는자체가 메타인지가 안되는거임 그정도사고도 안되는사람이 저기에있다는자체가 프로파간다가 아직도 평균대중에게 먹히는이유

  • @user-qy9mf5fn7l
    @user-qy9mf5fn7l 5 ปีที่แล้ว +36

    나도 저 여성분말처럼 게임을 단순히 즐기는것과 게임중독은 구분지어 볼 필요가 있다고봄 다만 여성분이 예시로 든 해봤다는게임이 타이니팜같은 농장경영시뮬레이션 게임인거같은데 그런게임은 무엇을 이루어냈단 성취감보단 말그대로 시뮬레이션임 농장경영을 체험해보면서 즐기는 정도지 남들과 단순 실력으로 경쟁하는 fps나 보다 좋은템을 얻기위해 레이드를뛰는 rpg같은 게임하곤 성취감의 차이가 극과극임 그거 하나로 자기는 게임에 성취감을 못느꼈다고 하면서 대도서관님의 대부분 성취감을 느끼려 게임을한다는 말에 반박하는게 딱 우물안개구리 수준

    • @user-xv6pr5so8x
      @user-xv6pr5so8x 5 ปีที่แล้ว +2

      공감합니다

    • @user-qh3qe4ge4e
      @user-qh3qe4ge4e 5 ปีที่แล้ว +2

      저 여성분께 플스4 프로와 히트 타이틀 몇개 쥐어줘도 모르실듯

    • @deleteearth7982
      @deleteearth7982 5 ปีที่แล้ว +1

      그냥 대가리에 vr쓰워주면 육수질질흘림

  • @podeshu
    @podeshu 5 ปีที่แล้ว +2

    대도님 말에 공감을 하긴하는데 너무 흥분해서 한거같네요..

  • @rain-pi4xw
    @rain-pi4xw 5 ปีที่แล้ว +218

    학부모:밥먹어~
    ???:이 판만할게 10분있다가
    =게임중독
    학부모:밥먹어~
    ???:이 문제만 풀게 10분있다가
    =공부중독
    ???

    • @user-ev8qm7qv7g
      @user-ev8qm7qv7g 5 ปีที่แล้ว +6

      아..앗
      ..

    • @byeongwoolee981
      @byeongwoolee981 5 ปีที่แล้ว

      ㄴㄴ 참된 학생

    • @Doflamingo2015
      @Doflamingo2015 4 ปีที่แล้ว +3

      아예 안 먹겠다는 것도 아니고 이따가 먹겠다는건데 참 아이러니하죠...

    • @aeparo9314
      @aeparo9314 4 ปีที่แล้ว +7

      공부하다가 밥먹으라하면 그 누구라도 공부에손놓고 밥먹으러가겠지만 게임하다가 먹으라하면 게임을끝내야하는데 중간에 끝낼수가없으니까 다른사람이보기엔 중독처럼보이죠 ..

    • @JamesWillGrayson
      @JamesWillGrayson 4 ปีที่แล้ว +6

      학부모님들중에 본인 자녀가 하는 게임의 한판 개념도 모르는 학부모님들도 많이 있음.

  • @binnie8559
    @binnie8559 5 ปีที่แล้ว +180

    보라색 옷 입은 여자 답답한 게 무슨 게임 하면서 논문을 쓸 거야 뭘할 거야?
    그냥 자기가 재밌을려고 하는 거지 그 이상에 무슨 목적이 있을리가 없잖아
    그럼 야구 하는데 공 뭐하러 치는데? 축구 하는데 뭐하러 골대 집어 넣는데?
    무슨 의미가 있는데? 그렇게 따지면 할 게 뭐가 있어? 그냥 재미로 하는 거잖아
    스스로를 위해서 하는 것일 뿐이고 그것도 한때지 무슨 72시간이고 뭐고 그건
    진짜 극단적인 사례지 전혀 현실에 맞지 않는 소리야
    게임 해서 사고 당할 확률 보다 자동차 사고가 훨씬 위험 하고 여름철에 물 놀이가
    훨씬 위험해. 겨울철 등산이 훨씬 위험 하다고, 그럼 자동차 몰고 다니면 정신병자
    취급 하든가 ..바둑도 마찬가지로 게임이고 그거 하루죙일도 두고 있던데 그건
    왜 정신병 취급 안하냐? 논리가 없어 그냥 애들 게임 하는 게 싫은 거야
    그게 싫으면 하지 말게 막을 게 아니라 게임 안해도 즐길 게 많은 환경을 만들어
    주든가 무슨 하지 말라는 건 많으면서 할 건 아무것도 없으면 애들은 그냥 공부하는
    기계야? 공부 못하고, 공부에 취미 없으면 그럼 무슨 의미가 있는데? 다른 거
    목적 의식을 갖고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든가
    저 여자는 내가 볼땐 아무 취미 활동도 가지면 안 돼. 무슨 의미가 있는데?
    게임을 하는 이유는 게임 보다 더 재밌는 게 없기 때문이지 무슨 뽕 맞은 거
    마냥 중독 돼서 하는 게 아니야. 하다가 더 재밌는 게 생겨 버리면 바로 그냥 쳐다도 안 봐

    • @KIRA-kx7rc
      @KIRA-kx7rc 5 ปีที่แล้ว +3

      뼈분쇄기...

    • @user-wi1bl3vj9u
      @user-wi1bl3vj9u 5 ปีที่แล้ว +4

      저 여자 논리면 모든 문학작품 소설 영화 스포츠 모두 망상 삽질이지 생산성 1도 없으니 다 자살해야함

    • @flycat1099
      @flycat1099 5 ปีที่แล้ว

      각도기 한박스 리필이요!

    • @user-vp1xr7ng7j
      @user-vp1xr7ng7j 5 ปีที่แล้ว

      거참 속시원하네

    • @user-yt5tc1nh9l
      @user-yt5tc1nh9l 5 ปีที่แล้ว

      아 개사이다 속이 뻥뚫리네

  • @user-hx6hl9nt5i
    @user-hx6hl9nt5i 5 ปีที่แล้ว +163

    보라색옷 입은여자 ㅡ고구마같이 입고나와서 꽉 막힌건가?
    답답하네.
    저 여자 디트로이트라는 게임은 알고는 있나?
    지금 게임수준이 얼마나 높아졌는데...

    • @brandonheet
      @brandonheet 5 ปีที่แล้ว

      김또자 고구마만개 드신분입니다..

    • @user-qh3qe4ge4e
      @user-qh3qe4ge4e 5 ปีที่แล้ว +2

      @@gtr2020gtr ㄹㅇ 소설로 풀어내도 상당한 수준의 교훈과 생각, 스토리를 보여주는 게임인듯

    • @RingHit
      @RingHit 5 ปีที่แล้ว +2

      이쯤에서 나직하게 대도님이 플레이하신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게임을 한번 시청해보심을 추천드리며 조용히 가봅니다..

    • @Holymoly082
      @Holymoly082 5 ปีที่แล้ว

      고작 방치농장게임만 하다 만 사람인데 알리있나;?

  • @user-jg4gu9ld8i
    @user-jg4gu9ld8i 5 ปีที่แล้ว +59

    노영희 의원님... 너무 자신만의 프레임을 강요하지 마세요.

    • @user-pn1jd9co5v
      @user-pn1jd9co5v 5 ปีที่แล้ว +10

      진짜 나는아니던데 이게 제일 무논리임 여러사람에게 공감을 시켜야지

  • @HIRIT08
    @HIRIT08 5 ปีที่แล้ว +2

    대도서관 진짜 방송인이 맞는게 발음이 진짜 좋으시네요.
    귀에 빡빡 박히는 발음

  • @ksmb2333
    @ksmb2333 5 ปีที่แล้ว +33

    진짜 엄청난 스트레스 속에서도 욕 안하고 개그를 하는 특별한 능력이 있는 분ㅎㅎ 이런 사람 방송 보다 엘리트들 보면 깝깝해서 한숨만 나옴. ㅋㅋ

    • @cross-zevol3745
      @cross-zevol3745 5 ปีที่แล้ว

      무스펙이라고 소개하는데 저분 대기업에 들어갔다나오심

    • @cross-zevol3745
      @cross-zevol3745 5 ปีที่แล้ว

      원래 학원쪽 일하시다가 전향하심

  • @resifmei1647
    @resifmei1647 5 ปีที่แล้ว +148

    난 못느꼈으니까
    그건 아니야 이게 뭐임...?
    뭔논리야??

    • @flycat1099
      @flycat1099 5 ปีที่แล้ว +7

      내가 모든 사람의 기준이다
      랑 무슨 차이인거지?

    • @user-gq9po8np6p
      @user-gq9po8np6p 5 ปีที่แล้ว +4

      흔한 그성별 전문가의 논리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5 ปีที่แล้ว +3

      저는 이제 재미가 없었으니까 그건 재미가 없는거에요
      다른 사람은 재밌었다고요?
      그래서요? 깔깔깔

    • @StockMentalist
      @StockMentalist 5 ปีที่แล้ว +1

      나도 드라마 재미없으니까 아줌마들이 보는 아침드라마 폐지하고 보면 질병으로 분류가라 맘충련들아

    • @bca4424
      @bca4424 5 ปีที่แล้ว

      이게 맞다. 지는 못느꼈으니까 이건 아니래ㅋㅋㅋㅋ

  • @user-lf6cu5be2s
    @user-lf6cu5be2s 5 ปีที่แล้ว +21

    변호사: 내가 해봤는데 자괴감이 들더라.
    그러니 다 하지마.

    • @user-mc8lm6vr9w
      @user-mc8lm6vr9w 4 ปีที่แล้ว

      그래서 전 게임직업을 검사로 하며 대리만족을 느끼고 있습니다.. ^^

  • @user-yt4hc3vy9v
    @user-yt4hc3vy9v 5 ปีที่แล้ว +2

    대도서관님의 생각이 건강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 @Cartmanass
    @Cartmanass 5 ปีที่แล้ว +25

    이걸 내가 왜하는거지 라니...
    누가 게임 억지로 하라고 했음? 게임 질리면 안하면 됨. 안질리면 하는거고. 게임에 중독돼서 일상생활을 전부 내팽개치는 애들은 그 애들이 미친거지 게임이 잘못된게 아냐. 게임하는 시간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프로게이머들 하찮게 보는 놈들도 정말 한심한거야. 스포츠선수들이 자기 최고 되려고 돈 더벌려고 밥먹고 자는시간 빼면 전부 거기에 투자하듯이 걔네도 거기에 전부 투자해서 노력하는거라고. 그래서 그 노력의 결실로 페이커같은 애들이 연봉 엄청나게 받는거고. 저기 나온 저 노의원인지 뭐시긴지 하는 사람 진심으로 개꼰대 한심하게 느껴지기 짝이없다.

  • @user-yl4op8id5z
    @user-yl4op8id5z 5 ปีที่แล้ว +208

    자색 고구마 대화가 안돼네

    • @user-hj5fu8wx3t
      @user-hj5fu8wx3t 5 ปีที่แล้ว +10

      말투도 자색고구마 먹고있는 말투임

    • @user-ev3zk9ro2z
      @user-ev3zk9ro2z 5 ปีที่แล้ว +5

      ㅋㅋㅋㅋㅋ자색 고구마 ㅋㅋㅋㅋ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5 ปีที่แล้ว +4

      고고마 ㅋㅋㅋㅋㅋㅋㅋㅋ

    • @jinkim7606
      @jinkim7606 5 ปีที่แล้ว +5

      왜 답답했나 했더니 고구마였어

    • @aroskia1009
      @aroskia1009 5 ปีที่แล้ว +1

      이거 고구마 입장도 들어야하는데. . .;;

  • @user-xl2ef5ms2g
    @user-xl2ef5ms2g ปีที่แล้ว

    대도서관님 말도 잘 하시고 듣기 편해요. 그리고 논리에 흐름에 따라 말하셔서 이해하기도 좋구요.

  • @user-de3rg1xu3v
    @user-de3rg1xu3v 4 ปีที่แล้ว +1

    와 대도서관님은 무조건 구독이 답이다

  • @kbefree8782
    @kbefree8782 5 ปีที่แล้ว +78

    재미는 있지만 해도 이게 무슨의미가 있나 싶고 허무하다?
    그런식이면 드라마는 무슨 의미가 있는데? 스포츠보는건 무슨의미가 있냐? 소설책은 왜 보는데?
    조지오웰의 동물농장? 그것도 소설이야..
    저 양반은 소설로 얻은 지식은 가치가 있고 게임으로 얻은지식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꼰대 그자체네요

    • @Yujiyeon1991
      @Yujiyeon1991 5 ปีที่แล้ว

      심지어 소설이라고 다 지식을 주는 소설만있는게 아님..

    • @user-dq5ec5vh6y
      @user-dq5ec5vh6y 5 ปีที่แล้ว

      맞아요.
      자기만 옳고 자기만 잘났네요.

  • @user-xe7lx1dy7n
    @user-xe7lx1dy7n 5 ปีที่แล้ว +111

    대도서관님 멋지다... 존경함...근데 노의원이라는 자주색 옷 입은분은 뭘 말하려는지 의도를 모르겠고 다른사람 말 다짜르고 자기할말만 하고 매너도 없고 태도가 빈정거리는거 같음

    • @szzang1207
      @szzang1207 5 ปีที่แล้ว

      동감합니다.

  • @user-io9uq3dd3e
    @user-io9uq3dd3e 5 ปีที่แล้ว +67

    아줌마 시대는 변했어요 왜 당신이 느낀 방식대로 아이들이 느껴야하나요

    • @user-mc8lm6vr9w
      @user-mc8lm6vr9w 4 ปีที่แล้ว +1

      아.. 고구마 먹는 느낌....

    • @xd3589
      @xd3589 4 ปีที่แล้ว +4

      아 제발.... 게임 잘 모르는 계집들은 출현시키지좀 마세요;...

  • @user-no3it3ru3x
    @user-no3it3ru3x 5 ปีที่แล้ว +33

    IT산업 이X랄 하면서 SNS 게임 못하게하는 헬조선 클라스 무엇

    • @user-ww3ff5zf8k
      @user-ww3ff5zf8k 5 ปีที่แล้ว

      ㅇㅈ IT는 상위권이면서 IT산업을 활용을 못하게하면 왜만든건지
      단순히 전화하라고 만들어놓은건지

    • @youtoube4492
      @youtoube4492 5 ปีที่แล้ว

      이럴거면 왜 만들었냐

  • @rogo5646
    @rogo5646 5 ปีที่แล้ว +32

    저 노의원이라는 분은 똑같은말 계속하네 대도님이 말하잖아.... 중독은 어느 분야나 다 있는거라고 ..... 한국에서 유독 게임만 중독이다 뭐다 하고 있네 학창시절 다른 성취감을 줄수 있는 환경은 다 닫아놔서 혼자 접근성이 쉬운 게임을 하게 되는게 현실이라 그게임을 즐기는건데 계속 중독중독중독! 중독이라는 단어에 제대로 삘 박히셨나보네 ㅋㅋㅋㅋㅋ
    미국이나 유럽 국가들만 봐도 생활 체육이 많이 발달해서 게임도 되게 매니악틱한 계층인데 이것만 봐도 모르나 ???
    아니 방탄이나 손흥민 이런 분들 돈 잘 벌고 해외에 한국 많이 알린다고 좋아하면서 왜 게임 이스포츠에서 유명 스타들은 왜 안알아주는거임? 심지어 페이커가 한국이미지랑 와화 벌이 방탄이랑 손흥민이랑 비슷하거나 오히려 그 이상을 벌어다 준건 모르는 수준.....

    • @kmjy122
      @kmjy122 5 ปีที่แล้ว +1

      맞아요 유난히 동아시아권 국가에서 게임중독이 심한 이유는 생각을 안하고 오로지 게임탓.. 우리나라 10대 학생들에게 충분한 성취를 느낄수있는 접근성좋은것이 게임이죠... 대도님이 정곡을 딱 말씀하셨음에도 반박패널들은 그것에 대해 충분한 답변조차 하지못하고 그저 무논리 주장을 하니 답답하네요

    • @brk8263
      @brk8263 5 ปีที่แล้ว +1

      ㅋㅋㅋㅋ 저는 최근 100분토론 대도서관님이 토론하는걸 보고나니 저 노의원 이라는 분은 그나마 대화가 가능한 분으로 보이네욬

    • @rogo5646
      @rogo5646 5 ปีที่แล้ว

      @@brk8263 그러네요 뛰는놈위에 나는놈 있다고 진짜 완전 미친 사람도 넘쳐서 문제 ...

  • @user-pg5hn6ei7u
    @user-pg5hn6ei7u 5 ปีที่แล้ว +94

    JTBC수준 너무 낮다 대도서관이 이길수밖에 없는 토론이다

    • @SmartUserification
      @SmartUserification 5 ปีที่แล้ว +28

      100분토론보단 수준이높음ㅋㅋㅋ

    • @lo931
      @lo931 5 ปีที่แล้ว +5

      @@SmartUserification ㅇㅈ

    • @ZERO-sr4gz
      @ZERO-sr4gz 5 ปีที่แล้ว +4

      100분토론은 수준이하였음

    • @user-jw9ip2px9h
      @user-jw9ip2px9h 5 ปีที่แล้ว +1

      재평가

    • @gambit_7285
      @gambit_7285 5 ปีที่แล้ว +5

      그냥 그게 토론임? 계모임이지

  • @kwanghyukkim4065
    @kwanghyukkim4065 5 ปีที่แล้ว +1

    축구나 야구 그 외 모든 취미로 하는 것들이 어떤 의미가 있나요? 재미와 나만의 성취감을 느끼려고 하는거 아닌가요? 스포츠나 예술을 몸이 망가져까지 가면서 하는건 피나는 노력이고 게임은 인생 낭비인가요?

  • @toy_station
    @toy_station 5 ปีที่แล้ว

    그럼 저는 주말에 아들둘하고
    플스4로 다인용게임할때가
    애들하고 저랑 가장 행복한 시간인데
    저는 게임중독자2명을 양산중인가요?...ㅜㅜ
    (팻프린세스,리틀빅플래닛,넥2
    이와중에 강추~^^)

  • @maug312
    @maug312 5 ปีที่แล้ว +28

    노영희 그딴 논리면 너는 심리학은 왜? 배웠니? 말이 아무런 설득력도 없고 공감도 얻지 못하는데..

  • @user-fe8vr7fq1h
    @user-fe8vr7fq1h 5 ปีที่แล้ว +3

    우리 나라에서 게임을 향한 극단적인 시선이 개선되길 진심으로 바래요...

  • @jhk-hb1tg
    @jhk-hb1tg 5 ปีที่แล้ว +1

    대도님 진짜 말씀되게잘하심

  • @user-xk9wc4xy1b
    @user-xk9wc4xy1b ปีที่แล้ว +1

    게임중독에대한 토론인데도 불구하고 토론을 들어보면
    게임을 안하는사람의 사고방식보다
    오히려 게임을 열심히 즐기는 대도서관의 생각이 건강해보임
    편견을 놓고 생각하면 정답이 보일건데 나이든사람들은 그게 안되는듯

  • @surplusking2425
    @surplusking2425 5 ปีที่แล้ว +10

    도박 중독으로서의 중독은 있는데 게임 그자체는 중독을 유발하기 힘듬. 게임 불감증같은 단어가 왜 나오는지 생각해보면 뻔함.
    애초에 만인을 중독시킬수 있는 게임이라는게 있으면 그사람한테 노벨평화상 줘야함. 그냥 만인에게 필요 최소한의 일과 의식주만 해결하게 하고 그 게임만 미친듯이 하면 지구 환경도 보호되고 전쟁과 분쟁도 없어지고 개꿀 아님?

  • @Choisss
    @Choisss 5 ปีที่แล้ว +49

    게임을 그만두면 허무하다라고 한 경험의 예는 좀...
    인간으로서 당연한 거 아닌가
    게임을 하다가 재미없어서져서 그만할 때 허무했다라는건 연애할 때 좋았다가 안좋게 헤어지면 그사람과 모든것을 잊고 싶어지는데 이건 사람이라면 당연한거지. 왜? 지금은 안좋으니까. 심리학과 들먹이면서 사람심리말고 오징어심리학 공부하셨나?
    그리고 도가 지나치면 다른것도 위험하다...게임만이 아니고...답답...대도님 답답해하는게 느껴진다...

    • @user-or8rr5mf5x
      @user-or8rr5mf5x 5 ปีที่แล้ว +2

      김성태 그니까요ㅋㅋ 하다가 허무해지고 현타오면 게임 그만하면 되는건데... 또 자기랑 맞는 게임찾아서 할려면 하고 안 하려면 안하면 되는 것이고.. 그냥 저분은 게임이 자기발전에 쓸모없는 활동이었다를 얘기하고 싶었던 듯 해요.

    • @hdd9553
      @hdd9553 5 ปีที่แล้ว +2

      저 논리면 운동선수들도 은퇴하거나 하면 허무하고 할탠데 운동도 질병 연예도 질병 그냥 인생 자체가 질병이옄ㅋㅋ 보면서 빵터짐

  • @user-sv5mk5zu7i
    @user-sv5mk5zu7i 5 ปีที่แล้ว +2

    30대 초반이지만
    세상이 정말 하루 하루 달라지는걸 느낍니다.
    인터넷 시대 아닌 그 이상인 시대에서 게임 중독취급 한다는 사고 자체가 구시대적 마인드를 가진 사람임
    게임을 중독으로 치부한다면 세상 모든일을
    열심히 오래 하는 사람들도 중독으로 명명해야됨

  • @user-dr7xt9qg6v
    @user-dr7xt9qg6v 5 ปีที่แล้ว

    다 집어치우고 대도님이 뉴스에도 나오고 토론에도 나오고 그냥 뿌듯하다 ㅎㅎ

  • @dncnvn54
    @dncnvn54 5 ปีที่แล้ว +8

    개인적으로 토론주제로도 나쁘지않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게임중독이 질병이다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겠지만 아니다라고 주장을 하는 사람에 말도 들었받으면 했습니다. 그리고 항상 게임중독을 질병이다 라고 말하는 사람 중에 여러 게임을 접해보고 경험한사람이 과연 있을까요??

  • @chonbau
    @chonbau 5 ปีที่แล้ว +88

    대도님은 유느님과 같다고 하는표현 예전부터 싫어하는데 언론에서는 그런표현을 쓰시네요

    • @vinylstage
      @vinylstage 5 ปีที่แล้ว +17

      대도님을 모르는 대중들에게 알릴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서 ㅋㅋㅋㅋㅋ

    • @user-il5ff1lo2g
      @user-il5ff1lo2g 5 ปีที่แล้ว +9

      대도님이 그 호칭을 싫어하셔도 그 호칭에 걸맞는 분은 맞으시니까요

    • @user-qm5do3fz7e
      @user-qm5do3fz7e 5 ปีที่แล้ว +1

      @@user-il5ff1lo2g ㅇㅈ

    • @user-nx9ji8jx8v
      @user-nx9ji8jx8v 5 ปีที่แล้ว +1

      유느님도 그에 대해서 아무말도 안하시고 대도님도 그 발언을 딱히 크게 언급하신적도 없습니다. 또한 사람들은 이에 대해서 매우 크게 공감하고요 위에분도 말하듯이 대도님을 알리는 큰 홍보효과도 있고요 대도님의 이미지가 유느님과 가장 비슷하다는것을 사람들이 많이 공감하다보니깐 그런 소리가 나오는것 같습니다.

    • @chonbau
      @chonbau 5 ปีที่แล้ว +3

      @@user-nx9ji8jx8v 대도님이 예전부터 방송에서 자기랑 유느님과 같다는 표현 쓰지 말았다라고 했습니다. 이제 와서 예전영상 다시 나오면서 찾을순 없어도 본인이. 그렇게 말씀한적 있습니다

  • @EYounge
    @EYounge 5 ปีที่แล้ว +10

    저런 큰 공식적인 자리에서 게임 안해봤다고 아닌것 같다고 말하는게 자랑인가요 ㅠㅜ

  • @user-ty2vn5mv7z
    @user-ty2vn5mv7z 5 ปีที่แล้ว

    푸키푸키 맨 끝에 있는 대도님 팬 졸귀네요 ㅋㅋㅋㅋㅋㅋ🤣 그리고 반대쪽 맨끝 보라돌이님은 이해 못했으면 조용히 하죠 왜 다 듣지도 않고 말을 끊어요 할라고 하는 말과 다른 이야기를 하고있자나요 다른 분들은 잘이끌어 주셨는데 .. 트롤😛

  • @_imguppy4888
    @_imguppy4888 5 ปีที่แล้ว +20

    저기 계시는 노의원님께는 견강부회라는 말이 어울리네요.
    물론 게임을 하게되면서 학업성적도 떨어지고 대인관계도 안 좋아질 수 있죠.
    근데 대도서관님 말씀처럼 우리가 게임을 하게되는 이유를 찾으셔야죠.
    하루 9시간 학교에서 죽어라 공부만 하고 또 공부하라고요? 그건 말이 안되죠.
    우리도 우리만의 여가생활을 즐기는 건데 이를 부정적으로만 보시고 존중해주시지를 않다니요...
    그리고 저같은 경우는 게임을 하게되면서 친구와 더욱더 돈독한 관계도 쌓았고 평소 무뚝뚝했지만 게임을 하게되면서 부터 말도 많아지고 더 밝아졌다는 소리를 많이 듣게되었어요.
    근데 이게 문제인가요?
    게임이란 것을 하게 된 환경을 알아보지도 않고요?
    그렇게 따지자면 우리나라는 외모지상주의가 강해지면서 화장을 하고 쇼핑을 하게되는 사람이 많아지게 됬죠.
    그러면서 화장중독과 쇼핑중독이 생기게 됬고요.
    그럼 화장중독과 쇼핑중독도 질병으로 따져야겠네요.
    학생들이 화장과 쇼핑을 하게되면서 학업성적이 떨어지고 사치스러워지니까요.
    정작 외모지상주의인 우리 사회모습을 바꾸지는 않고 말이죠.

    • @S2M6
      @S2M6 5 ปีที่แล้ว

      '외모지상주의'.....
      인정합니다. 적어도 실력만 좋음 인정해주는게 게임이니까

  • @RargalTheDark
    @RargalTheDark 5 ปีที่แล้ว +6

    이번은 대도님의 게임에 대한 자격지심이 있었다고 보이네요
    사람마다 흥미와 성취감을 느끼는 분야가 특정되어 있습니다. 축구를 좋아하는 애가 있으면 야구, 농구를 좋아하는 애들이 있는법입니다. 어느 누가 농구하는 애한테 너는 왜 축구를 좋아하지 않느냐, 왜 축구에 성취감을 못느끼냐 너는 잘못되었다-식으로 말을 할까요?
    노의원이 '게임에 성취감을 못느끼겠다'는 것은 본인 개인이 그 분야에 흥미가 없을 뿐이지 게임 자체를 폄하하지는 않았다 봅니다.

    • @RargalTheDark
      @RargalTheDark 5 ปีที่แล้ว

      @@user-zp3vc8kq4e 제 본문의 내용은 대도님의 의도와 다르게 상대방은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 않았다는 데에 있었습니다
      상대 패널의 '제 경험상 그렇지 못했다'는 것을 과민반응하여 왜 그러지 못했냐며 다그친 대도님의 의도를 누가 모릅니까 원체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사람들이 많으니 그렇게들 받아들이시겠죠
      또한 토론에서 개인의 경험을 꼭 배제할 필요는 없습니다. 서로의 의견을 표출하는 자리에서 자신의 의견에 대한, 혹은 타인의 경험담은 하나의 의견 표출을 위한 근거가 될 수 있죠

    • @RargalTheDark
      @RargalTheDark 5 ปีที่แล้ว

      @@user-zp3vc8kq4e
      1.부정적인인식을 가지니 반대하는거 아닌가요? : 반대라뇨? 단순히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나'라는 질문에 개인적인 평가인 '느끼지 못했다'는 대답이 나왔을 뿐입니다 성취감을 느끼고 안느끼고는 결국 개인차에 지나지 않고, 이는 대도님이 잘못되었다, 혹은 상대 패널이 잘못되었다 누구를 탓할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당신은 꼭 누구는 옳고 누구는 틀리다라는 이분법적인 결론만을 정론이라 여기시는군요
      2.저분이 게임에 관해서 잘 알지못하는게 보입니다. : 맞습니다 조금했다고 게임에 대해서 어떻게 압니까? 전 그저 제 첫 댓글에 나왔듯, 게임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나-에 대한 의견만을 내세울 뿐이었습니다 이거는 지나가죠
      대도님의 의도는 잘 이해하시면서 제 의도는 커녕 너무 나쁘게 보시는걸 보니 대도님과 비슷한 자격지심이 있지 않나 돌아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저는 일개 게이머이고, 저 상대패널의 입장과는 반대되는 사람입니다.
      다만 제 첫 댓글에 나와있듯, 게임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나-는 질문과, 이에 대한 '개인적으론 느껴본 적이 없다'는 상대 패널의 개인적 대답에 대한 대도님의 태도가 저에게 있어 다소 '과하다고' 여겼을 뿐이지 틀리다고, 누가 잘못되었다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공격적인 태도는 거둬주십시오

  • @akabbangoon
    @akabbangoon 5 ปีที่แล้ว

    대도님은 존경스러운 인물이져 🤗

  • @retree473
    @retree47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 심리학자 같은경우는 다른 일상생활에서 성취감을 느끼고 있기에 그 작은 성취감에 감흥을 못느끼는거고
    이건 앞에 이야기가 나왔던것처럼 한중일에서 많이 일어나고 십대때 과몰입하다가 이십대 삼십대 들어서 자연스럽게 줄어든다는 말이랑 알맥상통함
    경제력이 생기고 자기주도적으로 살게되면서 성취감을 느끼고 행복을 느끼는 것들아 점점 많이 생기니까

  • @user-xg1ci1nc7e
    @user-xg1ci1nc7e 5 ปีที่แล้ว +37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에서 빵 터졌다!!!
    난 책을 읽으면서 배웠다고요!!! 빼애액!!!

    • @user-kd7bd7wx9y
      @user-kd7bd7wx9y 5 ปีที่แล้ว +2

      그렇게요 저도 거기서 터졌음

    • @S2M6
      @S2M6 5 ปีที่แล้ว +2

      나땐 말이야~~다 책으로 배웠어~~~어?(컨셉입니다)

    • @user-dg2dt7wy3f
      @user-dg2dt7wy3f 5 ปีที่แล้ว +2

      맞앜 ㅋㅋㅋㅋㅋ 아 개빵터졌엌ㅋㅋ

    • @badladylilith
      @badladylilith 5 ปีที่แล้ว +2

      ??? : 라떼는 말이다....

  • @Hello_Dex
    @Hello_Dex 5 ปีที่แล้ว +28

    노의원님... 책을 보면서 배우셨다면, 세얼간이를 좀 보세요.
    그영화가 명작이고, 교육을 배우는 저입장에서도 관련되서 수업을 들었습니다.

  • @user-jg7fm1qp7u
    @user-jg7fm1qp7u 3 ปีที่แล้ว

    대도서관님 방송에서 게임만 하는줄 아는건 착각입니다 이분 공부 정말 많이하세요. 교양과 위트가 넘치는거 방송을 보고 그분이 하는말을 듣고있으면 금방 알게되요. 게임만이 아니라 깊은 성찰도 녹아있습니다.

  • @user-hf2sv2ro8p
    @user-hf2sv2ro8p 5 ปีที่แล้ว +77

    그래도 100분토론보다 이거보니까 다 양반인듯.

    • @TV-ff8qj
      @TV-ff8qj 4 ปีที่แล้ว +2

      100분 토론이 너무 빡침. 사회자가 페미 ㅋㅋ

  • @hansungryu2476
    @hansungryu2476 5 ปีที่แล้ว +32

    게임중독이 질병이면 정치도 질병이지

    • @cross-zevol3745
      @cross-zevol3745 5 ปีที่แล้ว

      ㅇㅇ정치는 나라전체 말아먹지

    • @user-gp4xl4so1g
      @user-gp4xl4so1g 5 ปีที่แล้ว

      게임은 절제할수 있지만 정치는 절제못하지 탐욕때문에

    • @hansungryu2476
      @hansungryu2476 5 ปีที่แล้ว

      @@user-gp4xl4so1g 게임도 절제를 못하고 게임하다 죽기도 하고 사람을 죽이기도 하고 사기도 치죠 절제를 못하고...

    • @user-qh1ez1vm1n
      @user-qh1ez1vm1n 5 ปีที่แล้ว

      @@hansungryu2476 최소 40

    • @hansungryu2476
      @hansungryu2476 5 ปีที่แล้ว

      @@user-qh1ez1vm1n 노노 39 ㅋㅋ

  • @user-bear03
    @user-bear03 5 ปีที่แล้ว +11

    게임이라는 것에 대해 무지한데 게임으로 어케 토론하냐고 대환장파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eeHyoCheon
    @LeeHyoCheon 5 ปีที่แล้ว +1

    게임만이 성취감을 준다는건 아니지만 여러가지의 성취감을 주는 것 중에 하나가 게임이죠.
    학교 끝나고 학원 가서 공부하고 집에 오면 저녁 6~7시에요.
    저녁밥 먹고 숙제하고 할 일 다 하면 게임을 하게 되는거죠.
    늦은 저녁에 밖에 나가서 친구들이랑 축구 한다고 하면 놀다 오라고 밖에 내보내는
    부모님이 몇이나 있을까요?
    그렇다 보니 쉽게 친구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이 바로 게임 속 이죠.
    게임 속에서 친구들을 만나고 친구들과 호흡을 맞추고 게임 진행을 하면서
    성취감을 가지게 되는거죠.

  • @govos6640
    @govos6640 3 ปีที่แล้ว +5

    어르신들은 요즘 시대를 이해해야하는데
    이해하는 척 만 하고있고
    아니면 이해를 안하려고함

  • @ralee5952
    @ralee5952 5 ปีที่แล้ว +13

    IT강대국이라 선전하면서 정작 IT와 직접적인 소재인 게임은

  • @user-lp5zq8ur6u
    @user-lp5zq8ur6u 5 ปีที่แล้ว +14

    시간때우기 게임 하나 해놓고 모든게임을 안다고 자신하는 사람이 전문가라고 나오니 세상이 이모양이지

  • @pooh3687
    @pooh3687 5 ปีที่แล้ว

    어쨋건 이게 토론같다.. 이렇게 서로 귀담아 듣고 반박할 부분은 반박하면서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는것, 이 얼마나 아름다운 모습인가.. 100분토론 그 *, *발 *같은 개판토론 보다는 이게 휠씬 보기 좋다..

  • @user-cp7fx3hy5z
    @user-cp7fx3hy5z 5 ปีที่แล้ว

    변호사님이 말씀하신것처럼.. 하다보면 금방 얻는 성취감의 강도가 낮아지죠. 그러면 관둡니다. 이런 특징이 있는 게임이라는 것에 중독된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 @amd6474
    @amd6474 5 ปีที่แล้ว +14

    대도서관님은 이제 유튜버가 아님...
    연예인 스케일 ㄷㄷㄷ

  • @hjinjj9698
    @hjinjj9698 5 ปีที่แล้ว +3

    저 변호사가 얘기한게 게임은 결국 질리기때문에 중독되는 사례는 예외적인 현상이라는걸 인정하는거 아닌가

  • @user-cw6pj5of1v
    @user-cw6pj5of1v 4 ปีที่แล้ว

    대도서관님 말씀하신 내용중에
    세금을 올리고 하다보니 봉기를 일으켰다는 내용이 어떤건지 알 수 있을까요?
    링크가 있으면 알려주세요~
    해당건에 대해 궁금합니다~

  • @user-vy1xv7wq9f
    @user-vy1xv7wq9f ปีที่แล้ว +1

    진짜 토론하는데 의견을 주장을 했는데 갑자기 '난 아닌데', '아니던데?' 이렇게 말하면 그냥 답이 없음

  • @user-mi2eq1dx6u
    @user-mi2eq1dx6u 5 ปีที่แล้ว +21

    게임=질병...?
    한국만 이럼...?
    아니...?
    게임도 문화인데... 영화도 문화고 음악도 문화고... 그런거는 괜찮고 왜 게임은 안됨?
    그리고 유대관계가 요즘은 거의 게임으로 이루어지는데...여윽시 꼰-머...

    • @user-rn2gx8wx4k
      @user-rn2gx8wx4k 5 ปีที่แล้ว +3

      ㅇㅈ 카페에 쳐앉아서 1시간동안 수다떨면서 음식은 개좆만치시키고 개더럽게 하고가는게 유대관계의 정석이고 이것말고는없는줄알지 아줌마들은 ㅇㅇ

    • @lililillllliiillililililili
      @lililillllliiillililililili 5 ปีที่แล้ว

      프로필때문에 신뢰도 급하락

    • @H-O-S-T-E-L
      @H-O-S-T-E-L 5 ปีที่แล้ว

      한국만 그런게 아니라 미국 일본도 그 결정에 동의하더라고요. 웬만한 선진국은 어느나라나 다 똑같습니다.

    • @user-rn2gx8wx4k
      @user-rn2gx8wx4k 5 ปีที่แล้ว

      @@H-O-S-T-E-L 이건 미국이나 일본같이 게임을 산업적으로 만들고 파는회사가있는곳에서는 니들 파업해란소리인데

    • @H-O-S-T-E-L
      @H-O-S-T-E-L 5 ปีที่แล้ว

      @@user-rn2gx8wx4k 네 어느나라나 꼰머분들이 있다는거죠 ㅎㅎ..

  • @KimLeon4
    @KimLeon4 5 ปีที่แล้ว +22

    저 보라색 타노스는 뭐지?

    • @user-qz7dy3sl4s
      @user-qz7dy3sl4s 5 ปีที่แล้ว

      타노스라뇨... 고구마죠...

    • @user-zc1wz6kb6n
      @user-zc1wz6kb6n 5 ปีที่แล้ว +6

      이건 타노스 입장도 들어봐야됨

    • @user-hl7mt8dt2c
      @user-hl7mt8dt2c 5 ปีที่แล้ว +2

      @@user-zc1wz6kb6n 고구마의 입장은 안 중요해??

  • @user-dk9kl8uk7r
    @user-dk9kl8uk7r 5 ปีที่แล้ว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하게 된다면 그 치료법을 어떻게 내놓으실지 궁금하네요..어떻게보면 학교나 사회에서 이루지못한 성취감을 대신푸는것인데 그걸 상담하면서 풀어주실건가요??? 그렇게 해서 풀릴정도면 친구들이나 지인분들과 이야기하는걸로도 충분히 풀렸을텐데...과연 질병분류가 맞는지는 의문이네요...

  • @L1nk2644
    @L1nk2644 5 ปีที่แล้ว

    게임 장르가 다르니까 성취감을 얻을 방법도 각자 다를수 밖에 없는 부분, 72시간동안 게임하는 경우는 극단적인 부분이라 일반화를 시키지 않는것이 옳음, 학업으로도 스트레스를 풀 수는 있고 성취감을 얻을수 있는데 제한적으로밖에 되지 않는다는 부분을 봤을때 학교 갔다가 학원가서 어른들보다 더 늦게 들어오는 학생들 입장에선 공부가 게임 그 이상으로 개선 될 부분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드네요(영상을 보면서 중간중간 드는 생각을 적어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