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거는 자유 낙태는 죄악, 중남미의 출산과 결혼 [민원정 교수의 중남미 탐구생활_중남미 출산율]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8 มี.ค. 2024
  • #중남미결혼 #출산율 #낙태
    한국과 결혼에 대한 생각이 완전히 다른 중남미의 새로운 사랑법!
    결혼보다 동거를 좋아하는 중남미의 출산율은?
    중남미는 인구감소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출연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 칠레가톨릭대학교 아시아학센터 ‘민원정’ 교수
    촬영 날짜: 24/03/27
    삼프로TV의 교육 브랜드 - 위즈덤 칼리지
    위즈덤 칼리지는 "삼프로TV" 앱과 웹사이트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모바일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TV"를 검색하시어 설치하세요.
    ■ PC : apps.3protv.com/ 로 접속하세요.
    네이버에 "삼프로TV"를 검색하셔도 됩니다.
    📞고객센터 : 02-2118-0707
    ★ 광고문의 : ad@3protv.com
    ★ 광고문의 : 010-2090-6748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5

  • @loihn4813
    @loihn48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이 컨텐츠는 들을 수록 우리나라가 얼마나 본질보단 덜가치있는 일로 모두를 힘들게 하는나라인지 느낌니다.

    • @lupin9305
      @lupin93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장단점이 있는거긴 하죠. 저 동네도 가톨릭 상류층 문화는 여러모로 보수적이라니까요. 근데 한국은 죄다 상류층을 지향해서.. 암튼 모두들 적절히 중용으로 발전하길 바래요!

  • @allerbeste8443
    @allerbeste844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한국말을 잘 해야 외국어를 잘한다는 말을 전적으로 맞은 말인데 그것을 이해하는 사람은 얼마 안 될 겁니다.

  • @user-lo1nw5fw7n
    @user-lo1nw5fw7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한국이 계층이동의 욕구가 큰건, 해방과 6.25를 거치면서 리셋을 한번 하고 시작해서인것 같습니다. 다 같이 못살던 시대에 국민 대부분이 비슷한 스타트지점에서 출발해서 레이스를 해온거였거든요. 그때는 나 하기 나름의 시대였죠.
    다만 한국도 점점 잘 살게 되면서 이제는 계층이동이 점점 어려워지는 사회로 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쉬운 예로, 다같이 돈이 없던 시대에는 근로소득이 나의 계층을 결정했다면, 지금처럼 자본이 어느정도 축적된 시대에는 자본소득이 나의 계층을 결정하죠.
    한국도 점점 남미나 호주처럼 계층이동의 욕구가 줄어들것으로 생각되네요.
    열심히 하면 되던 시대에서 열심히 해도 안되던 시대로 가고 있는거겠죠.

    • @user-ro5lb8ly4w
      @user-ro5lb8ly4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프러스 농지개혁으로 지주 몰락, 대다수 농부의 자작농화로 평준화

    • @user-ro5lb8ly4w
      @user-ro5lb8ly4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프러스 한일합방으로 신분제도의 타파, 전 국민의 양반화

    • @joooon5669
      @joooon566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프랑스가 계층이 없다고 보시나요?ㅎㅎㅎㅎ​@@user-ro5lb8ly4w

  • @jj-hg2cw
    @jj-hg2c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아는 언니 유학시절 중남미 여학생 클래스메이트가 임신하면 혼자서라도 아기 키운다고 중남미 남성들은 특히 생명에 대해 책임 안지는 분위기라고 하더랍니다. 그분도 임신해서 혼자 아기 키우러 본국으로 돌아갔구요.
    남녀모두 생명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중남미가 아기를 낳으면 가족이 책임지는 사회분위기는 좋지만 애초에 성관계를 하면 아기가 생긴다는 기초지식을 제대로 가르쳐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더 분명하게 듭니다.

  • @user-pi3mr1xw2v
    @user-pi3mr1xw2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교수님이 말씀을 조리있게 잘하셔서 재미있네요.ㅎㅎ

  • @ChrisTennis
    @ChrisTenni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미국에 이민와서 고1때 반에서 예쁜 멕시코계 여학생에게 데이트 신청하려고 방과후 뭐하냐 물었더니, 본인 아기 돌봐야 한다고 해서 충격받은 기억이 있습니다.

    • @user-pf1ze2fv4b
      @user-pf1ze2fv4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는 몇년전 미국여행갔다가 17?정도 되보이는 여자애가 길거리 버스킹하면서 애기낳을 돈에 써야된다고 기부금 사이트 아이디 적어놓은거 보고 놀랐네요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neutral1664
    @neutral166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 @Bora_san
    @Bora_s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중남미가 이혼률도 낮은데, 실상은 이혼이 어려워서 이혼 안하고 별거하는 경우가 많다고. 뒷부분에 재산을 차지한 법률혼 부인이냐 사랑을 차지한 사실혼 부인이냐.가 그런 의미.

    • @hina9826
      @hina9826 21 วันที่ผ่านมา

      라틴애들은 100에 70은 결혼식없이 갇이 살다가 100에 70 은 그냥 헤어집니다, 그리고 금방 다른 여자, 다른 남자 만나서 삽니다, 헤어지고 만나는걸 창피해하지 않습니다. 일단 애를 임신하면 거의 100% 출산합니다. 책임없는 커플때문에 우리네 한집건너 카페 잇듯이 제가사는 멕시코엔 한집건너 고아원이 있습니다. 전부 애들을 식구가 책임지고 키우지는 않습니다.

  • @yeonna2005
    @yeonna20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민원정 교수님 중남미 시리즈는 최고

  • @user-np6sg7xx8r
    @user-np6sg7xx8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중남미가 가족애가 몹시 끈끈하다 들었네요 한국은 공부해야하는 자식과 뒤바라지해야하는 부모로서의 역할이 커서 그런지 좀 삭막함

  • @user-sh1zq1dp9p
    @user-sh1zq1dp9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혼인이든 출산이든 개인의 선택이라는 말이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국가가 나서서 안 되는 것은 안 되는 거죠. 우리나라도 대학교 무상지원을 제외하면 최고의 선진국들이 지원한다는 것은 다 지원하고 있는데 이 모양이면 말 다한 거죠. 이것도 소득세를 적게 내는 나라치고는 엄청나게 지원한 것인데도 말이죠. 솔직히 대학교 무상지원까지 해줘도 출산율 안 올라간다는 것 모두가 알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나라 출산정책은 이민자들을 들여오기 위한 포석인 것 같아요. 국가가 이 정도로 해줬는데 국민들이 안 낳겠다고 하니까 이민정책으로 가는 거라 생각합니다. 이제 남은 것은 국민들이 미래세대가 해줘야하는 사회보장을 포기하느냐 아니면 이민을 받아들이냐 문제만 남은 것 같아요.

  • @dugobee
    @dugobe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축의 문화는 한국이 좋다.
    얼마나 실질적이고
    바쁜 세상에 간편함.

  • @allashin6130
    @allashin613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중남미 빼고 대표적 모계 사회 국가는 필리핀이죠...!
    행복지수는 높을지 몰라도, 행복한지는 잘 모르겠네요..
    각자의 입장차가 있으니

  • @nathanaeldovpand3257
    @nathanaeldovpand325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채널명이 위즈덤칼리지로 바꼈네요. 물론 오프닝은 여전히 일프로지만.

    • @wisdom3pro
      @wisdom3pr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다음주부터 새로운 채널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준비 중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jeonghoonsong7883
    @jeonghoonsong788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다른 나라에서 온 여자가 놓은 얘의 국적은 어떻게 되나요?
    만약 남편 혹은 남자 친구가 칠레 사람이라면 국적 주나요?

  • @user-hr4tc9br8r
    @user-hr4tc9br8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제 브라질 친구는 얘의 어머니가 15살때 태어났어요. 걔는 지금 오래사귄 파트너 있는데 동거하려다가 더 좋은 집에 살고 싶어서 미루고 있대요.

  • @jsl2451
    @jsl245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민원정 교수님 사랑해요 ❤😊

  • @metatree5596
    @metatree559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산업구조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네요. 어업, 광산물, 농업 등 알려주세요

    • @rockugotcha
      @rockugotch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건 위키 찾아보시면 빠를듯

  • @jeonghoonsong7883
    @jeonghoonsong788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자식이 아빠의 성과 엄마의 성을 같이 가진다고 하셨는데
    그 성씨는 더 멀리 보면 친할아버지와 외할아버지 성 인가요?? 친할머니나 외할머니의 성인가요? 아님 그냥 자유 선택??
    앞의 다른 유튜브에 질문을 몇 개 올렸는데 답변은 없네요.. 언제 생방송이나 질문 답변 받은 유튜브를 따로 찍는 건 어떨까요?

    • @kulkul5517
      @kulkul55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친할아버지와 외할아버지의 성입니다. 이게 스페인식인데 "아이이름+아빠친할아버지성(친조부성)+엄마친할아버지성(외조부성)", 즉 아이의 이름은 아빠와 엄마의 중간성을 각각 붙이는 겁니다. 스페인쪽도 성은 결국 부계로 이어지는게 원칙입니다.

  • @user-cn7ll2zc5v
    @user-cn7ll2zc5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칠레소녀랑 열심히 왓츠앱대화중 linda 🥺

  • @ksk9820
    @ksk982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연봉 3천에 맘편하게 지하자원 팔아 사는 가정 vs. 연봉 9천에 죽어라 인건비 만으로 사는 가정... 후자가 한국 ㅋ

    • @user-de7pp5fn7m
      @user-de7pp5fn7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린 지하자원이 없으니까...우리가 자수성가한 흙수저고 저쪽은 놀고먹고 사고치는 금수저죠

  • @user-yq2im5nj7i
    @user-yq2im5nj7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칠레에서 오래살다보니 동거가 자연스럽습니다..대부분 동거를 하다가 배우자가 확실한사람이다싶을때 결혼을 하죠..아이가 다자라고 결혼하는 부부들이 대부분입니다~~

  • @user-pr6rr4xx6d
    @user-pr6rr4xx6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 우리랑 1도 상관 없는 남에 나라 이야기내

  • @user-cx6kz3lb8p
    @user-cx6kz3lb8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6 외대 서반어과..똑똑하다.

  •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6 วันที่ผ่านมา

    한국이 이상하긴 해요. 대체 왜 아파트를 갖춰야 결혼하고 애를 낳지라는 생각을 갖게 된건지...

  • @koodeta2000
    @koodeta200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우리나라와는 자연환경, 인접한 국가가 다른데다 이미 계급이 고착화되어 의지마저 없는 그들... 우리나라에 적용하기에는 접점이 너무 없는것 같네요.
    중남미에서 미국으로 불법이민 하는걸 보면 출생율이 어떻든 썩 좋은 환경은 아닌 것 같고. 그런데도 아르헨티나가 국가부도가 나도 천연자원으로 그럭저럭 먹고 사는거 보면 어이가 없을 정도ㅋㅋㅋㅋ
    남미 마인드였으면 한국은 이미 다른 나라에 합병 되지 않았을까?

    • @user-de7pp5fn7m
      @user-de7pp5fn7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렇게 살면 독립도 못했죠ㅋㅋ 천연자원 많고 전쟁 위험 없으니 속편히 사는거지 우리가 보고배울건 딱히...

  • @user-ye6zn8pm7d
    @user-ye6zn8pm7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남미의 나라, 호주 그런 나라들은 천연자원으로도 먹고들어가는 나라인 반면에, 우리나라는 공부밖에 할게 없는 나라라서 더 경쟁이 치열한거라 생각합니다.

  • @hanjoohwang2231
    @hanjoohwang223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혼률 70 % ,, 그러나 상류 3% 는 거의 이혼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막대한 재산을 여자에게 주어야한다. 모계중심 사회에서는 경제권이 있기때문에 이혼하게 되면 남자는 팬츠만 입고 나가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user-dx3wk6iu7j
    @user-dx3wk6iu7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교수님은 중남미에서 오래사셨는데
    중남미사랑을 하셨나 궁금요

  • @doejin
    @doeji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자원없는 대한민국이 자원이 풍부한 중남미 보다 잘사는 이유중 하나, 바로 교육입니다.

  • @SMY2024
    @SMY202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어유치원 진짜 쓸데없는 사교육중에 1등이라고 봄 ㅋ

  • @user-fe5mo2io8d
    @user-fe5mo2io8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출생율 ㅋㅋㅋㅋ

  • @aau9999
    @aau999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리나라와는 별 상관이 없구나

  • @ichang3005
    @ichang300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인종차별국가군요. 유엔의 제재가 필요합니다

  • @user-px5oo7ni7g
    @user-px5oo7ni7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동거하면 왜 여자가 손해죠?

  • @user-di1df5cr2m
    @user-di1df5cr2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1967년생 민원정 교수님이 이제는 대한민국의 어른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더 나이든 입방아 좋아하는 못 배운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아니고요. 그러한 국제 감각이 없는 할머니 할아버지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저출산 문화를 민원정교수님같은 많이 공부하신 사회 엘리트들이 우리나라 문화를 계몽하는대 힘드셔도 그 힘든 일을 하셔야 한다고 봅니다. 나이 58세에 어른들이 싫어 하신다는 말씀은 민원정 교수님이 해서는 안되는 말씀입니다. 이제는 우리나라의 미혼모들이 편하게 자식을 키울 수 있는 문화를 민원정 교수님 같은 어른들이 만드셔야 한다고 봅니다.

    • @dugobee
      @dugobe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니보다 잘 배우고
      국제감각이 높은
      어르신들이 한국에
      아주 많다.
      니 부모가 그러냐?
      이런 좌빨 버르장머리 없는 인간같은 이라고..
      재섭게

  • @user-wb3wx5xd8g
    @user-wb3wx5xd8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 출산율, 출생률... 삼프로tv 수준도 딱 이정도구나~ ㅎㅎ

  • @jihyeonchoi3671
    @jihyeonchoi367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출생율 꼬라지 ㅋㅋㅋ

  • @muzin7937
    @muzin793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사실 대한민국 교육은 엄마들의 공헌이 많았는데, 요즘은 배운 엄마들이 교육을 다 망치고 있다.

  • @user-sm4wn2sh6o
    @user-sm4wn2sh6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들으면 들을수록 우리나라 사회가 비정상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큰일입니다.

  • @jj-hg2cw
    @jj-hg2c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혼하지 않는다는건, 한 사람을 평생 사랑하며 결혼할 만큼 확신이 없다는 의미로밖에 안들리네요. 가정의 형태는 중요합니다.

  • @johnh6855
    @johnh685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민원정 교수님의 말씀에 집중하게 진행자는 쓰잘데없는 말 좀 줄여 주세요. 지금하는 말 삼프로만 해라

  •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리나라는 낙태도 많이 하고 결혼으로 인생 바꾸려고 하고 흠... 팩트 이야기해도..

  • @user-yn2en1yi9j
    @user-yn2en1yi9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중남미는 모계사회라고 들었어요. 애를 낳으면 이모,삼촌들과 키운다고요.우리나라가 절대 불가능한 큰 이유는 아파트문화라고 생각합니다. 외부와 단절된 아파트나 빌라에서 애 하나 혼자 키우기 힘든데 출생률을 올린다는건 불가능입니다.

  • @KOMABA1017
    @KOMABA101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칠레는 필리핀과 거의 똑같네요.. 자신의 행복을 우선하며 본능에 충실한것이 짐승같네요

  • @hawk9938
    @hawk993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출생률은 틀렸습니다. 그냥 틀렸다고요. 아니 출생률을 쓰려면 올바르게 쓰던가요.
    대한민국 출생률이 0.7 나오려면 한해 신생아수가 35000명이여야 해요. 나라 망하자고 고사 지내요?

  • @qordn100
    @qordn10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일부러 출산율하고 출생율을 섞어서 쓰는건가요? 0.7찍는건 '출산율 '입니다. 출생율이 아니에요. 아무리 페미민국으로 망조가 들었다지만, 페미들이 짖는다고 틀린 단어가 맞게 되는게 아니에요.

  • @user-oj2dl7nb5g
    @user-oj2dl7nb5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출생율, 유아차=페미 용어

    • @qordn100
      @qordn10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출생율은 틀린 표현입니다. 출산율이 맞는 뜻이에요. 그냥 뜻 자체가 다릅니다.

    • @hawk9938
      @hawk993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repap-eh2uo 반대임. 출산율이 맞고 출생율이 틀렸음. 애초에 둘은 1000배만큼 단위부터 다름. 0.7은 '출산율'의 수치임

    • @hawk9938
      @hawk993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repap-eh2uo페미들이 출산대신 출생을 쓰는건 산모의 역할을 배제하기 위함. 출산은 산모가 낳는 것을 의미하지만 출생은 태어남만 의미함. 산모가 배제된 표현을 쓰려는 것.

    • @hawk9938
      @hawk993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출산은 산모가 아이를 낳는 행위이고 출생은 아이가 태어남이라 산모의 행위가 빠짐 페미들은 여성의 산모로서의 기능에 부정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역할을 배제한 출생이란 표현을 쓰는 것

    • @hawk9938
      @hawk993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repap-eh2uo 저능아세요? 검색만 해봐도 차이가 나오는데 애초에 출산율이 뭔 죽어서 태어난 아기까지 포함이야 ㅋㅋㅋㅋㅋ
      둘의 차이는 분자(태어난 아이)가 아니라 분모야 출산율은 가임기 여성이 분모고 출생율은 인구전체가 분모야
      그리고 세계 대부분은 출산율을 표준으로 삼고 있고
      이런 애들이 출생율 미는거구나?

  • @toyonkoo9552
    @toyonkoo955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배부른 사람이네 돈이 있어야 결혼식을 하지. 모든걸 다 아는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