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한복판에 출몰하고 있는 초고층 빌딩들의 정체? 직접 가서 확인해보니...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7 เม.ย. 2023
  • #건축 #초고층빌딩 #뉴욕여행
    왜 만든 걸까? 초고층 빌딩의 정체, 뉴욕에서 직접 확인해보니… : 펜슬타워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663

  • @Sherlock_HJ
    @Sherlock_HJ  ปีที่แล้ว +125

    medium.com/@cboogaerts/why-100-million-apartments-in-nyc-are-empty-cc780e2c2fdc
    이 기사를 보시면 세금 관련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아실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억만장자는 세금을 안낼 방법이 있다... 뭐 이런 내용입니다

    • @sexykorean
      @sexykorean ปีที่แล้ว +4

      영상 잘 봤습니다.

    • @jongkim6150
      @jongkim6150 ปีที่แล้ว +13

      교수님 영상 열심히 보고 있는 팬입니다! 절대 태클은 아니고요... 조금 코멘트를 달자면, 저 링크에 나온 421-a program 라고 세금감면 프로그램이 있긴 한데 저거에 해당되는 빌딩은 매우 적어요 (실제로 욕을 먹어서 폐지되서 기존에 받은 빌딩제외하곤 이젠 더이상 안해줘요). 교수님 다른 영상에서도 나온 화두인 "소셜믹싱"을 위해 높은 콘도를 짓되 저소득층을 위한 유닛을 만들면 정부에서 세금감면을 주는거 였는데, 디벨로퍼들이 머리를 써서 (?) 같은 건물이 아닌 옆에 아예 낮은건물을 짓거나 다른 동네에 지어버리거나 입구도 완전 다르게 해버려서 논란이 많이 생겼던 제도입니다. 애초에 대부분 고급 콘도 (98% 이상일듯) 은 저 제도 혜택을 받지 못해요. 그대신 저 기사에 나왔듯이 뉴욕의 property tax 는 괴랄해서 가격대비 올라가는게 아니라 얼마에 렌트될수 있냐에 따라 올라가서 가격이 10배뛰어도 세금은 2-3배 정도만 뛰어서 논란이 많긴해요. 그래서 최고급 콘도의 경우 세금을 더 내긴 하지만 가격대비 % 상으로 보면 적게 내는건 사실이긴 합니다.

    • @atlantisssssssss
      @atlantisssssssss ปีที่แล้ว +7

      저 기사에 나오는 421-a 는 특정 신축건물에 대해 한정된 기간동안만 적용되고 적용받는것도 굉장히 빡셉니다. 가장 말도안되게 낮은 재산세를 내는건 사실 이런 최고층 펜트하우스 콘도가 아니라 어퍼이스트/브루클린등에 있는 townhouse들이죠. 그리고 이 모든건 개발회사가 시 정부와 어떻게 흥정을 했는가에 달려있지 집주인이 실제로 거주하지 않는다고 해서 재산세가 면제되는 일은 없습니다.

    • @user-to4iq4bq9g
      @user-to4iq4bq9g ปีที่แล้ว

      억만장자는 애초에 어포더블 하우징을 구매할 수 있는 조건이 안됩니다.., 그냥 선동기사에요... 한국이 재개발/재건축시 정부가 공공기여 부지를 강제로 해당시키는 것 처럼 미국은 대단위 아파트지을시 저소득층을 위한 addorable housing 을 일정 짓도록 강제합니다. 럭셔리급의 아파트 단지라면 저게 애매해서 인기적은 매물층에 가성비로만 짓거나, 아니며 그냥 다른부지에 별도로 어포더블하우징아파트로만 만들어버립니다. 한국과 미국 부동산절세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저 방법이 아니라 감가상각의 인정 여부겠죠....

    • @nakgigul9793
      @nakgigul9793 ปีที่แล้ว +3

      @@atlantisssssssss 제대로 보신건지 모르겠는데 저건 421-A가 아닙니다. 뉴욕주에서는 실거주가 아닌 임대 부동산의 경우 거래금액이 아닌 임대료를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도입 취지는 임대료를 낮춰주는 착한 건물주들에게 세금 혜택을 주겠다는 것이죠. 근데 문제는 영상에 나오는 고가 콘도미니엄들을 실거주 하지 않고 임대 되지 않은 임대 부동산으로 등록하는겁니다. 이렇게 되면 임대료가 0원이 되는데 그렇다고 아예 세금을 안걷진 않습니다. 임대되지 않은 임대 부동산의 경우 주변의 다른 비슷한 급의 임대료 기준으로 계산을 하게 되는데 문제는 이 최고급 콘도미니엄 펜트하우스는 임대되는게 거의 없다는겁니다. 그래서 그냥 주변의 일반 다른 임대 부동산 수준의 재산세가 책정되는거죠.
      해당 내용에 대한 내용은 th-cam.com/video/e-sNC1V5KAw/w-d-xo.html 이 영상에도 나옵니다.

  • @lilllllllllllllll
    @lilllllllllllllll ปีที่แล้ว +247

    뉴욕은 유명 건축가들의 작품을 모아놓은 건축 미술관 같네요😲

    • @barroco05
      @barroco05 ปีที่แล้ว +27

      도시 자체가 하나의 예술작품..

    • @joovali
      @joovali ปีที่แล้ว +9

      좋은 댓글입니다..아하 그러네요

    • @6060BAA
      @6060BAA ปีที่แล้ว +4

      완전 공감 합니다

    • @user-xijinpingping
      @user-xijinpingping ปีที่แล้ว +24

      ㄹㅇ 미국은 서로 멋있게 지을려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조금만 튀게 지으면 형평성이 어쩌느니 위화감을 조성한다느니 존나 공산국가마인드 마냥 개소리하면서 다 커트시킴 하다 못해 중으로 시작하는 그 놈들조차 멋있게 지을려고 하는데 ㅉㅉ

    • @warew_of_waffle
      @warew_of_waffle ปีที่แล้ว

      비유가 찰떡이네여

  • @dongminkang175
    @dongminkang175 ปีที่แล้ว +524

    편집이 부드럽고, 유순하고, 자연적임을 느낍니다. 편집도 건축과 같을까요?

    • @wookie8776
      @wookie8776 ปีที่แล้ว +53

      모든 창작이 그러하지 않을까요 전체적인 구조와 조화가 중요하지만 가끔은 파격이 필요한 점이요

    • @ykk7482
      @ykk7482 ปีที่แล้ว +22

      편집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수평적인 구조로 보는게 맞습니다. 시간이라는것도 하나의 공간으로 불리잖아요? 단위시간당 영폐율을 편집의 면접으로 확인하면 대단히 수평적인 느낌을 받게 된다는 거죠.

    • @user-mz6jy3pc9s
      @user-mz6jy3pc9s ปีที่แล้ว +4

      편집도 예술이지만 건축보단 신경쓸 게 적을듯

    • @minseok8726
      @minseok8726 ปีที่แล้ว +11

      그건아님;;

    • @homeless353
      @homeless353 ปีที่แล้ว +20

      의미부여 오지네

  • @Karen.C-xl8ph
    @Karen.C-xl8ph ปีที่แล้ว +14

    엘에이 사는 아줌마인데 이번 뉴욕시즌과 시간이 맞아서 아이들 봄방학 여행으로 뉴욕 갔다왔어요
    디자인전공의 저로서는 제가 보고 싶은 시점에서 뉴욕을 설명해주셔서 뉴욕시내를 지나며 … 보다 만족 스런운 여행을 할 수 있어서 감사하며 행운이라는 행복한 감정도 느끼게 되었습니다. 물론 어린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함께 할 수 없어 안타까웠지만 이런 여행이 언젠가는 다시 생각나기를 바라며.. 돌아와 감사 메시지 남깁니다

    • @ecolight-3634
      @ecolight-3634 ปีที่แล้ว

      오 좋은 여행 이셨네요 ㅎ

  • @UZUGROOVE
    @UZUGROOVE ปีที่แล้ว +252

    역시 건축가의 관점에서 보는 것은 평소 생각지도 못한 것들이어서 교수님 영상 볼 때마다 다채로워지는 기분입니다. 늘 새로워요

  • @sexmaster
    @sexmaster ปีที่แล้ว +23

    뉴욕 맨해튼은 갈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서울에서의 거의 동일한 건물디자인이나 톤색이 아닌 다양한 개성적인 디자인과 톤색 때문에 거리를 다니면서 건물을 보는 눈요기 재미가 쏠쏠합니다.

    • @yune5597
      @yune559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덕분에 900억, 3000억 짜리 집들만 즐비하죠. 대체 일반 직딩 뉴요커들은 어디 사는건지 ㅋㅋㅋㅋ

  • @ksy9173
    @ksy9173 ปีที่แล้ว +31

    항상 맨하튼같은 빌딩도시를 부러워 했었는데 35층에서 55층으로 완화해봤자 여전히 재미없는 스카이 라인이 될것이라는 지적이 충격을 주네요. 도시공학을 전공할것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셜록현준에서 도시전경에 관한 지식을 얻어서 좋은 법률내지 조례 규칙을 만들어야 겠습니다. 고급 지식을 유튜브라는 접근성도 좋고 흡수력도 좋고 무료인 플랫폼으로 교육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ijinpingping
      @user-xijinpingping ปีที่แล้ว

      빌딩을 높이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얼마나 멋있게 짓고 다양하게 짓느냐가 중요한거 같네요 근데 멋있게 지은건물들이 거의다 커튼월

  • @atlantisssssssss
    @atlantisssssssss ปีที่แล้ว +34

    뉴욕에서 실거주 하지 않으면 부동산 보유세가 적용되지 않는다니 금시초문입니다. 신축 건물들의 경우 건설허가를 받을때 향후 10~15년씩 한시적으로 보유세 면제 혹은 감면을 얻어내는 경우가 있어서 (property tax "abatement") 새로 지어진 건물을 매수할 경우 상당기간 보유세가 없거나 아주 낮은 경우는 있습니다. 또한 townhouse형태의 한 건물에 가구수가 3가구 이하인 경우 보유세율이 다가구 주택에 비해 굉장히 낮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유층의 보유세율이 실질적으로 낮은 경우는 많습니다. 하지만 실거주 여부에 대해서는 오히려 실거주하는 경우 약 17.5% 정도 보유세를 감면해주는 제도가 있고 (조건이 까다롭지만...) 현재 부자들이 빈집을 사모아서 주거비가 너무 높아진다는 이유로 빈집에 징벌적인 보유세를 부과하자는 "pied-a-terre tax"가 계속해서 논의중입니다.

    • @jongkim6150
      @jongkim6150 ปีที่แล้ว +4

      네 이부분은 저도 댓글 달았는데 잘못된 정보가 기재됐더군요 ㅠ. Abatement 는 30년 까지도 있어요. 1 west end ave 랑 252 south st 등등이 있죠 (물론 마지막 5년은 순차적으로 올라감)

    • @atlantisssssssss
      @atlantisssssssss ปีที่แล้ว +1

      @@jongkim6150 워낙 정치적인 이슈이기 때문에 신문기사나 블로그 포스트에 "법률이 이렇다 카더라"같은 쓰레기 컨텐츠가 너무 많은것 같습니다.

    • @jongkim6150
      @jongkim6150 ปีที่แล้ว +2

      @@atlantisssssssss 네 교수님이 아무래도 세법, 특히 미국 뉴욕의 세금법은 전문분야가 아니시다보니 주변에서 누가 잘못된 정보를 주고 그걸 쓰신거 같은데 아직 안고쳐주시네요. 영상이랑 전혀 관련 없는 421-a 링크만 붙여주시고 ㅠ

    • @jinumeli
      @jinumeli ปีที่แล้ว +5

      뉴욕 10년 넘게 살면서 저도 이 부분은 처음 듣는 이야기라 영상을 다시 돌려봤는데 아마 재산세가 아닌 소득세 183 day rule을 전달하려고 한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뉴욕에 1년중 183일 이상 살지 않으면 주민으로 간주되지 않아 state 및 city income tax를 안내게 되는데 이를 잘못 기재하신것 같아요.

    • @atlantisssssssss
      @atlantisssssssss ปีที่แล้ว +2

      @@jinumeli 그런것 같기도 합니다. 굳이 비거주자여부가 세법상 유의미한것을 찾자면 말씀하신대로 뉴욕시 소득세 183 day rule이외에는 그럴듯한게 없는데 이것도 애시당초 러시아/중동 부자들이 펜트하우스를 사는것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죠;; 억지로 뭐라도 끼워맞추자면 뉴욕본사 펀드매니저들이 이런 집들을 사놓고 연 184일 플로리다에서 지내면서 뉴욕시 비거주자라고 우기는게 생각나긴 합니다.

  • @nickn364
    @nickn364 ปีที่แล้ว +44

    미국 캐나다 도시들 살아보니 마천루 보다도
    보행자 도로를 너무 잘해둔게 부럽더라구요.
    화면에도 잠깐잠깐 나오지만 매끈하게 콘크리트로 찍어버려서 단차 자체가 없어서 보행약자들이 다니기 참 편합니다. 내구도도 뛰어나고요.
    거기에 단차 없는 지하 환기구나 각종 가로등, 전선주, 표지판 기둥들도 최소화 하거나 하나로 뭉쳐놔서 거리가 되게 깔끔하고 장애물이 없어 다니기 편합니다.
    한국은 이쁘긴 하지만 보도블럭 깔아두고 장마+자동자+오토바이 데미지로 각종 단차가 생기는데서 관리가 엉망이고.. 거리에 온갖 전선줄에 기둥에..지하 환기구까지 보도 차지하고..장애물이 넘 많음

    • @user-kl6lp5pf2v
      @user-kl6lp5pf2v ปีที่แล้ว +1

      미국 보도는 단점이 몇개 있는데 제가 느끼는 가장 큰건... 너무 하얀색이라 껌이나 이물질이 붙으면 티가 너무 쉽게 나고 더러워보이더군요.

    • @jaybumismyfatherbro
      @jaybumismyfatherbro ปีที่แล้ว

      근데 이영상에 나오는거리는 왜 전기줄들이 안보이는건가여 ㄹㅇ궁금해서 질문합니다

    • @kimmythology
      @kimmythology ปีที่แล้ว +2

      ​@@jaybumismyfatherbro 매립식이라 그럴걸요

    • @NOKMANtube
      @NOKMANtube ปีที่แล้ว +1

      @@jaybumismyfatherbro 뉴욕은 전선지중화 완료된 도시라 도심은 물론 외곽에서도 전봇대 보기 힘듭니다.

    • @kopazwashere
      @kopazwashere ปีที่แล้ว +3

      @@NOKMANtube 외곽지대에는 많습니다. 맨해튼이 돈이 많이 들어오는곳이여서 인프라를 몰빵한거

  • @puppyujin
    @puppyujin ปีที่แล้ว +28

    처음 썸네일보고 펜슬타워가 흉물같다고 생각했는데 교수님 설명 듣다가 보니 서울에도 한번 세워보면 사람들 반응이 어떨지 급 궁금해지네요 ㅎㅎ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 ปีที่แล้ว +119

    공중권이라니 ! 처음 들어본 개념이에요 ㅎㅎ 역시 매력적인 도시들은 그냥 만들어지는 게 아니군요.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모여 다양한 모습으로 탄생되는 것 같아요! 오늘도 덕분에 너무 재밌게 시간 즐겼어요! 감사합니다!

    • @jee8002
      @jee8002 ปีที่แล้ว +14

      우리나라에도 있어요
      근데 휴전국가라 제한설정과
      마천루가 형성될 부가 아직입니다
      우린 더 잘 살아야 합니다
      많은 걸 논의해야 하는데 국회는 정쟁만하네요 돈 먹고

    • @user-dy5jf1gi3j
      @user-dy5jf1gi3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볼시 권리금 같은 제도인데...헌법에 명시 된게 아닌 것 같고 법적 다툼에 권고 사항인듯 합니다. 전문지식인 댓글 부탁 드리며... 저는 공중권 새들이 가져야 할 것이고 ㅋ 인간은 땅에서 집위로 최소1km 몇피트지 계산을 안해봤지만 소음 위협으로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봅니다. 그게 동물학적으로도 맞습니다.😅

  • @derick-6629
    @derick-6629 ปีที่แล้ว +60

    다른 분야에서 디자이너로 일하고있지만 심지어 뉴욕에서 일했는데 아는만큼 보인다고.. 인지하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해 항상 많은 인사이트를 얻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너무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있습니다!!!

  • @shs2109
    @shs2109 ปีที่แล้ว +14

    충분히 가치있고 아름다운 20세기 뉴욕에서 멈추지 않고 도시가 계속 변화하는게 인상적이네요

  • @Hoshinoaki77
    @Hoshinoaki77 ปีที่แล้ว +5

    '뉴욕의 고층 건물' 같은 건 전혀 관심 없는 주제였는데, 이게 왜 추천에 뜨지 하고 아무 생각 없이 클릭했다가 끝까지 다 봤습니다. 내용도 좋고 말씀도 너무 쉽게 잘 하시네요.

  • @pf9922007
    @pf9922007 ปีที่แล้ว +74

    교수님 말씀 정말 정말 잘 하시네요
    건축에는 관심이 없지만 정말 흥미롭고 재밌게 잘 봤습니다
    얼마전 식구들과 뉴욕 여행을 하고 왔는데 중간중간 좁고 높은 건물을 보며 어떻게 저런 이쑤시개 같은 건물이 있을까 신기해 했었어요 ㅎㅎ
    영상보고 궁금증도 해결되고 새로운 것들도 많이 알아갑니다😊
    (대마초 냄새 극 공감이에요 ㅜㅜ 길거리 걷는게
    고역이었어요)

  • @jongkim6150
    @jongkim6150 ปีที่แล้ว +7

    7:00 잘못된 정보가 있네요. Property tax 는 뉴욕에 살건 안살건 무조건 내야해요. 오히려 1번째 실거주로 지정하면 (primary residence) 17.5-28.1% 까지 재산세를 깎아주는 (abatement) 제도가 있어요 (건물이 일정 조건을 맞춰야 하고 1채만 지정가능). 연예인들이나 초부자가 1년 10일 정도만 쓰는게 어찌보면 도시 인프라를 안 써서 좋다고 생각할수 있지만, 그만큼 도시에 실제로 쓸수있는 주택공급이 줄어들어서 찬반이 많아서 오히려 이런 사람에게 세금를 더 부과해야 한다는 법안도 뉴욕에서 고려중이예요.

  • @thdl7326
    @thdl7326 ปีที่แล้ว +15

    건축이 모든 학문의 총합인 게 확 느껴지네요. 건축-물리학-지구과학-디자인-인문학-철학-경제. 정말 아름다운 학문이에요. 전 그 중에서도 사람과의 연결, 사회적 경제적인 효과 부분이 가장 흥미롭게 느껴져요. 전 건축가는 아니지만, 공간의 가치를 아는 사람 으로서 사회에 좋은 가치를 창출해내고 싶어요. 언젠가 유현준 교수님과 같이 가치를 창출해내는 날을 꿈 꿉니다. 늘 감사합니다!

    • @UZUGROOVE
      @UZUGROOVE ปีที่แล้ว +1

      교수님께서 농담으로 건축학과는 이과 문과 예체능 어느 것 하나 전문적이지는 않은데 모두 다 어느정도는 해야하는 학과라고 하신게 생각나네요 ㅋㅋ 진짜 모든 학문의 총합인듯 합니다

    • @nwnwnwn
      @nwnwnwn ปีที่แล้ว

      게임과 자동차도..

    • @meonjeee
      @meonjeee ปีที่แล้ว +1

      건축만 그런건 아니고, 학문 간의 융합이 중요해지는거죠.
      윗분 말씀하신대로 게임도 물리법칙을
      적용하고, 음악과 그래픽, 건축, 조경, 경제, 인문학, 디자인 등등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산업이고요.

  • @MrSteallar
    @MrSteallar ปีที่แล้ว +46

    와 경영학도인데
    요즘 진짜 건축에 푹 빠지네요~~ 관련 스토리 듣는거 너무 재밌어요!!!!

    • @user-rg7fg9iw1c
      @user-rg7fg9iw1c ปีที่แล้ว +5

      부동산 디벨로퍼쪽 한 번 관심가져 보세요
      고소득 직장에, 경영과 건축, 도시학의 교점입니다

    • @boo0109
      @boo0109 ปีที่แล้ว

      저도 경영학도인데 건축이 너무 재밌습니다…ㅠㅠ

  • @wookjinsimpson
    @wookjinsimpson ปีที่แล้ว +4

    오 드디어! 뉴욕관련 영상 중 이 시리즈가 제일 재밌는거 같아요~ 😆

  • @user-zf6yc8lk1u
    @user-zf6yc8lk1u ปีที่แล้ว +7

    우리나라 특유의 녹색 옥상과 회색 건물, 낮은것도 높은거도 아닌 다 비슷한 건물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서울... 너무 칙칙하고 멋 없어요 심지어 미세먼지까지 오면 진짜 최악... 중국 일본도 수도권 아니, 광역권만 가도 청량한 고층빌딩 쫙쫙 있는데 진짜 한국은 너무 건축이 멋 없음... 부실공사는 덤이구요

  • @bagirockcarlguksoo1786
    @bagirockcarlguksoo1786 ปีที่แล้ว +7

    뉴욕의 단점은 먼 밖에서 봤을때는 멋지고 이뻐보이지만 정작 그깊은 도심 한복판에서는 그냥 빌딩숲 에서 하늘도 제대로 안보이고 답답하다는 점 입니다... 센트럴파크 없었으면 그냥 지상에서는 너무 답답하고 옥죄는 느낌....

    • @anovaancova
      @anovaancova ปีที่แล้ว +1

      전 4년동안 미드타운 맨해튼이 빽빽하고 스케일 커서 너무 속시원하던데 ㅎ 시각적으로 뚫린 곳니야 허드슨강이든 이스트리버든 근처 물가만 가도 너무 잘 보이고.

  • @barenmal5461
    @barenmal5461 ปีที่แล้ว +7

    1930년대 어떻게 저렇게 고층 건물을 지었을까. 지금봐도 신기

  • @wkg6870
    @wkg6870 ปีที่แล้ว +5

    공중권 이라니..정말 신박합니다. 우리나라도 가능해지면 좋겠네요

  • @Jun31719
    @Jun31719 ปีที่แล้ว +3

    안녕하세요..제가 지적질하는거 별로 안좋아하는데요. 그래도 일단 말씀드릴께요. 얇다 = 종이가 얇다. 가늘다 = 나무가 가늘다. 고로 얇은 빌딩이 아니라 가는 빌딩이 올바른 표현이에요. 수고하세요!

  • @YongSeokKim-uw7yv
    @YongSeokKim-uw7yv ปีที่แล้ว +4

    까방권은 들어봤어도 공중권은 첨듣네요. ㅋㅋ 우리나라도 용적율이나 층수제한에 대한 법규가 와화되야 할것 같습니다.
    아직도 오래된 주택가 지역은 1종2종 같이 나눠서 층수제한으로 얽매여 있죠.

  • @burn4648
    @burn4648 ปีที่แล้ว +12

    말로만 뉴욕 뉴욕 들었지 디테일하게 살펴보니 의식 수준이나 기술력 자체가 몇 세대를 앞선 도시 같네요

  • @mangnanyong
    @mangnanyong ปีที่แล้ว +4

    다른건 몰라도 대단지 규제좀 생겼으면 하네요....1000세대 넘어가는 단지 다 똑같은 디자인으로 아파트 지어놓으면 빨리 질리고 안예뻐 보입니다... 아파트들 많이 지을거면 제발 다양한 디자인, 높이 등등으로 지었으면 합니다.

  • @whiskyguide
    @whiskyguide ปีที่แล้ว +3

    정말 너무많이 배우고 듣고 갑니다♡♡

  • @official6764
    @official6764 ปีที่แล้ว +11

    뉴욕 여행 계획중인데 이런 주제 너무 재밌습니다. 더 많이 보고 느끼고 올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 @white_bridge
    @white_bridge ปีที่แล้ว +12

    공중권이라는 개념이 우리나라에도 도입되면 좋겠네요
    이제 막 스카이라인에 대한 고민을 하는 단계니까 초기에 도입해서 낮은 건물은 낮게 높은 건물은 높게!

    • @jee8002
      @jee8002 ปีที่แล้ว

      있기는 있는데 그 정도 부를 내세우는 기업도 없고 외부자본 들어올 메리트도 크지않아서
      사용예시가 없는 거예요.
      휴전국가라 제한범위도 잘 안 풀죠
      마천루에 대한 방비와 안전 논의도 부족합니다.
      국회가 정쟁만해서 이런거 구축할 능력이 없어요.

    • @kopazwashere
      @kopazwashere ปีที่แล้ว

      @@jee8002 ㅇㅇ 휴전국가라서 장기적으로 저런데 돈 (탈세) 묵혀두려는 사람이 적을거같네요.

    • @dolly5764
      @dolly5764 ปีที่แล้ว +1

      민주당이 반대함

    • @user-sn9wf1ud6n
      @user-sn9wf1ud6n ปีที่แล้ว

      @@jee8002 저희 아파트 재건축 할때 보니까 용적률 안에서 초고층으로 최대한 높게 짓는다고 해도 심의 때 주동 층 수가 너무 높다고 낮추라고 해서 낮췄어요 그래서 초고층은 초고층인데 일반 아파트랑 많이 차이없는 애매한 층수.. 요즘 고층 아파트들이 죄다 49층인 이유가 있더라구요 한국은 안될것 같아요ㅋㅋㅋ

  • @1lee178
    @1lee178 ปีที่แล้ว +13

    뉴욕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 멀리서보면 희극인 도시. 가까이서 보면 홈리스 너무많고 냄새 나고 시끄럽지만 브루클린 브릿지에서 보는 뉴욕 야경은 정말 환상적임.

    • @kopazwashere
      @kopazwashere ปีที่แล้ว +5

      뭐 미국 대도시들이 다 이정도 수준입니다
      여행객들이 보면 좋은도시라고 생각할건데 진짜 살아보면 개노답 도시임

    • @39835
      @39835 ปีที่แล้ว +1

      @@kopazwashere 아니요, 뉴욕은 모든 산천호수를 다 품고 있지요.
      맨하탄은 정말 활기차기도 하고 강한 힘을, 거대함을 느끼는,,,매력 많은 곳입니다.
      또 모든 이민족들이 몰려 들어 시끄럽고, 뒷골목은 더럽고.
      뉴욕 어느 지역에 사느냐가 중요하겠지요.

    • @anovaancova
      @anovaancova ปีที่แล้ว

      ​@@kopazwashere 그건 세계 어느도시나 다 그럼. 차라리 비극임을 인지할 수 있는 게 영광이지... 서울은 닭장아피트 박아놓고 시민들이 사육되는지조차 몰라서 본인들이 왜 비참한지를 모름.

  • @user-ql1qn4zi8k
    @user-ql1qn4zi8k ปีที่แล้ว +12

    한번씩 펜슬타워를 보면서 왜 저렇게 지었을까 생각해봤는데 교수님의 설명을 듣고나니 이해가 되었습니다. 재미있고 흥미롭게 설명 잘 들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brandlee5089
    @brandlee5089 ปีที่แล้ว +89

    2016년 처음 뉴욕에 갔을 때, 가장 신기하게 봤던 건물이네요!
    듣자하니 타워펠리스처럼 활용한다고 들었는데, 가격도 어마어마하던데, 영상 보니 그외에도 많이 생겼네요 ㅎㅎ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영상 보기 전)

  • @parktwo2903
    @parktwo2903 ปีที่แล้ว +3

    펜슬 빌딩이라니 흥미롭네요~ 교수님은 이런 방대한 지식은 다 어떻게 아시는 건가욤, 넘넘 재밌습니다! 영상 보면 시간순삭😆👍

  • @rinacheun5185
    @rinacheun5185 ปีที่แล้ว +5

    뉴욕 여행 가게되어 미리 찾아보고 있습니다
    너무 재밌는 설명 감사해요!
    지금 시카고 살고 있는데요 시카고 다운타운도 참 이쁘거든요
    다음엔 시카고도 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 @tazkim81
    @tazkim81 ปีที่แล้ว +3

    근데 교수님은 말씀을 너무 쉽게 해주셔서 좋아요. 교수님 덕분에 요즘 건축에 관심을 가지게 됐습니다.

  • @karenpark671
    @karenpark671 ปีที่แล้ว +3

    뉴욕건물들 완전 이해됫어요 .펜슬 빌딩! 감사합니다

  • @hanarchitect
    @hanarchitect ปีที่แล้ว +1

    와 처음알았네요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liljoanna
    @liljoann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자료화면으로 쓰인 그런 초고가 부동산 소개 유튜브를 봤었는데.. 진짜 멋있긴 하던데요… 제가 수조, 수십조 부자라면,, 몇천억 그런 아파트 사고 싶어질 것 같겠다 싶을 정도로 진짜 아름다운 뷰더라고요. 교수님의 철학과는 다른 거주 형태일 수 있겠지만.. 너무.. 제가 보기엔 너무 멋있어 보였어요.

  • @Jaewook45
    @Jaewook45 ปีที่แล้ว +1

    셜록현준 덕분에 알게 되니 더 가고 싶게 되는 뉴욕시 네요!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 @nananarda
    @nananarda ปีที่แล้ว +2

    저는 어제 구독 했답니당 ㅋㅋ
    새로운것에 대햬 호기심이 많은데
    몇번가본 뉴욕의 건물에대해
    술술술 얘기해 주시니 너무 재밌습니다 ~^^
    막힘없는 설명에 귀 쫑긋하며
    연속으로 잘 듣고보고 있습니다
    제 지식의 두께도 쌓여가는 듯 합니다 ~
    감사합니당 ❤

  • @user-rv3jv8de4q
    @user-rv3jv8de4q ปีที่แล้ว +12

    뉴욕 살고 있는 유학생입니다. central park 가면 항상 뭔가 했던 신기한 건물이였는데 이런 비하인드가 있었다니 ㅎㅎ 신기하네요

  • @videomelody93
    @videomelody93 ปีที่แล้ว +7

    뉴욕편 끝나지 않았다...!! 감사히 잘보겠습니다!!

  • @user-nb3pn4dm9x
    @user-nb3pn4dm9x ปีที่แล้ว +3

    저렇게 얇게 올리면 건축기술로 커버한다 해도
    심리적으로 불안해서 정신건강에 해로워서 못살듯 해요

  • @jshan2119
    @jshan2119 ปีที่แล้ว +1

    좋은 컨텐츠 잘 보고 갑니다!

  • @user-vg6jx4tz5o
    @user-vg6jx4tz5o ปีที่แล้ว +2

    재밌는 내용이네요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9ruru283
    @9ruru283 ปีที่แล้ว +2

    교양있으시고 우아하신 현준님 너무 좋아요

  • @smgm1293
    @smgm1293 ปีที่แล้ว +5

    뉴욕에서 공부할때가 엊그제같은데 ㅋㅋ 벌써 20년 전이네요 뉴욕 스카이라인도 많이 바껴가서 새롭네요 ㅎㅅㅎ

  • @kimmandu0915
    @kimmandu0915 ปีที่แล้ว +3

    교수님 말씀을 너무 잘하시는거 같습니다!!

  • @khbaker8369
    @khbaker8369 ปีที่แล้ว +15

    강변 테크노마트도 꽤 비율이 차이가 큰데, 괜찮다면 한번 한국의 펜슬타워라는 기획도 재미있을것같아요! 추가로 안정성도 다뤄주시면 좋을거 같구요 ㅎㅎ

  • @ssson1827
    @ssson1827 ปีที่แล้ว +3

    마천루 현대인의 욕망을 보여 주는 상징적인 단어인데 펜슬 타워가 그런 역할을 하는 듯 누구를 그렇게 찌를려고 하는지 저런 곳에 살면 정신병 걸릴 듯 결코 정상적인 건물로 보여지지는 않음 건물주든 건축가든 돈 밖에 모르는 인간들 같음

  • @ddphd1738
    @ddphd1738 ปีที่แล้ว +2

    써밋 전망대에서 건물이 되게 높고 주거지 같다 생각했는데, 펜슬타워였군요!! 교수님께서 설명해주셔서 잘 알게 되었습니다. 넘 감사드립니다😆❤️

  • @en_passant_
    @en_passant_ ปีที่แล้ว +5

    사람마다 보는 눈이 달라서 생각들이 다르겠지만 실제 뉴욕주민들은 별로 안 좋아 하는걸로 알고 있어요.
    저 건물들을 Billionaires' Row라는 이름이 있을 정도로 초 고가 건물들인데 아이러니한건 언급하신대로 거의
    주인이 있어도 거의 비어있는 건물이 대부분이고, 주거하때 흔들림과 상수도 문제등으로 조금 살다가 나온 셀럽도
    있고 개인적으로는 미관상으로도 별로라고 생각되요ㅎㅎ

  • @yeongkeunkwon304
    @yeongkeunkwon304 ปีที่แล้ว +3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시카고의 건축들에 대해서도 궁금한게 많은데 언젠가 부탁드리겠습니다!

  • @user-nowhere
    @user-nowhere ปีที่แล้ว +3

    건축을 하려면 건축주가 가진 경제에 대한 생각, 부동산 또는 자산을 통한 돈의 흐름까지 어느정도 꿰고 있어야 하는거군요. 아름다운 마천루 이면의 이야기도 무척 흥미롭습니다. 그들이 사는 세상이군요^^

  • @jioh92621
    @jioh92621 ปีที่แล้ว +3

    좋은컨텐츠감사합니다❤

  • @user-oq5xv7tq9q
    @user-oq5xv7tq9q ปีที่แล้ว +1

    교수님 저번에 조명편을 보다 든 생각인데 천장,바닥,벽 등의 색이주는 느낌과 효과등에 관한 설명 부탁드려두될까요? 혹은 이미 설명하신 영상있다면 알려주십쇼ㅠ

  • @user-xm6xf3gs2m
    @user-xm6xf3gs2m ปีที่แล้ว +28

    셜록현준님 항상 잘 보고 있는 대학생 구독자 입니다, 뉴욕에 가본 적은 없지만 이런 건축양식과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해서 이렇게 자세히 설명을 해주신 덕분에 꼭 한 번 가보고 싶은 도시가 되었네요, 항상 퀄리티 높은 영상 감사드려요

  • @HemmingKIO
    @HemmingKIO ปีที่แล้ว +3

    확실히 맞는 말이에요.. 진짜 공중권 제도로 인해 랜드마크도 지켜지면서 각국의 부자들이 돈세탁을 위해서 뉴욕 마천루 경쟁에 뛰어들고 있으니깐요..
    한국은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고층건물은 답도 없죠..

  • @boyandre
    @boyandre ปีที่แล้ว +1

    이번 컨텐츠 진짜 귀합니다❤

  • @user-wd3td6xq1i
    @user-wd3td6xq1i ปีที่แล้ว +87

    교수님 덕분에 건축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볼수 있었습니다. 너무 감사드려요😊혹시 건축가 시선으로 바라본 세계에서 가장 작고 가장 높은 반도체 낸드플래시 238단 적층 구조 공정에 대한 교수님의 설명도 너무 궁금해요~기회가 되시면 반도체 공정에 대한 컨텐츠 부탁 드립니다😊

    • @TaeOh7683
      @TaeOh7683 ปีที่แล้ว

      뭔. 헛소리하노 한녀가한녀하네

    • @scottyoko703
      @scottyoko70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pr1xh5vd9z자랑 좀 하면 어때요.. 참

  • @izzielee7527
    @izzielee7527 ปีที่แล้ว +3

    교수님 덕분에 방구석에서 편안하게 뉴욕을 구경 잘 하고 있습니다 ㅋ
    보다보니 이번 영상에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드려봅니다!
    뉴욕에서는 공중권 매매가 잘 이루어 지는 것 같은데
    그 공중권은 금액이 어떻게 매겨지는 건가요?
    지면처럼 평당? 면적의 개념이 적용 되는 것인지?
    저와 같은 일개 소시민이 뉴욕에 건물주가 될 일이 전혀 없지만서도 문득 궁금하네요~

  • @momojang2525
    @momojang252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예전 맨하탄에서 학교다니고 일할때 추억이 생각나네요. 게다가 알지 못했던 정보까지 감사합니다!

    • @user-jy3gn5uv6m
      @user-jy3gn5uv6m 16 วันที่ผ่านมา

      저도 일할때 생각나네요 셩병달고사는 한국년들 많았던게 기억나네요

  • @TV-gg7kq
    @TV-gg7kq ปีที่แล้ว +4

    뉴욕 영상 감사 합니다.

  • @zkfpzkfp
    @zkfpzkfp ปีที่แล้ว +1

    인접하지 않은 건물의 공중권도 사와서 적용시킬 수 있는건가요?
    정말 재밋게 잘 봤습니다.

  • @chlgudgh630
    @chlgudgh630 ปีที่แล้ว

    3편만하신다구 했던거 같은데... 끝난줄 알았던 뉴요크편 또 나왔네여ㅎㅎ

  • @janemay3444
    @janemay3444 ปีที่แล้ว +4

    교수님 역시 리스펙!!! ❤

  • @24pasatiempo
    @24pasatiempo ปีที่แล้ว +2

    어떤 면에서든 다양성이 확보가 돼야 도시와 국가가 생존하게 되는 것 같네요.

  • @rewind2017
    @rewind2017 ปีที่แล้ว +22

    오늘도 유익한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여태껏 펜슬타워를 뉴욕의 흉물이라고만 봤었는데, 펜슬타워가 가진 의미에 대해서 알게되니 새롭게 보이네요.
    혹시 시간이 되신다면 붕괴 전 세계무역센터에 대해서도 다뤄주실 수 있으실까요? 다른 영상에서도 많이 언급하셨는데, 이 세계무역센터에 대해 자세히 듣고싶어서 여쭤봅니다.
    건축물로써의 가치, 그리고 트윈타워에 대한 교수님만의 해석과 생각들이 궁금해집니다.
    제가 최근 이 트윈타워를 비롯하여 미노루 야마사키 건축가가 설계한 작품들에 관심이 많습니다.

  • @user-co9pp3gn1t
    @user-co9pp3gn1t ปีที่แล้ว +2

    넷플릭스 보다보면 뉴욕이 많이 나오는데
    교수님이 설명해 주신 영상을 본 후로
    아 저기 저기 하면서 머리를 흔들면서
    새삼 감사 인사를 드리게 되네요

  • @simondee123
    @simondee123 ปีที่แล้ว +4

    밴쿠버는 비워두면 세금을 더 내야 하는데...

  • @ChrisTennis
    @ChrisTennis ปีที่แล้ว +2

    건축에 0도 상관없는 저지만,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수고 많으세요

  • @user-xf5ki5qn8l
    @user-xf5ki5qn8l ปีที่แล้ว +1

    맨하탄 공중권 거래의 개념에 대해 궁금한데요
    주변 건물의 용적률을 살 수 있는 범위가 바로 옆에 붙어있는 건물만 가능한가요??
    아니면 같은 블럭 내, 같은 단지(?) 내 용적률을 영끌해서 펜슬아파트를 올리는건지요??

  • @kk-mj3qb
    @kk-mj3qb ปีที่แล้ว +22

    어느덧 사십중반이되었는데 교수님영상을 볼때마다 느끼지만 시간을 되돌린다면 건축가의 삶도 살아보고 싶어지네요..

  • @JeanPierre70ju
    @JeanPierre70ju ปีที่แล้ว +6

    세금에 관한 부분은 정말 놀랍네요. 살지 않으면 세금을 안낸다니;; 그래서 제 친구도 옆집 위 아래 집 다 비었다고 좋아했었는데, 이해가 되네요. 그러다보니 젠트리피케이션이 훨씬 심각한 것 같아요. 누군가 차지하고 있는데, 사람이 살지 않으니, 그 도시에 실제 거주하는 사람들은 계속 나가서 살아야 하고요.

  • @user-th5vi9kg4m
    @user-th5vi9kg4m ปีที่แล้ว +2

    이번여름에 맨해튼 여행가는데
    현준님한테 투어받으면 소원이 없겠어요

  • @user-zy4rl6sg7b
    @user-zy4rl6sg7b ปีที่แล้ว +2

    저런 초고가 콘도들은 내가 원할때 언제든지 팔수는 없습니다.
    부동산 호황기에도 쉽게 거래가 되지 않지만, 호황기가 아니면 몇년정도는 시장에 매물로 내놔도 못파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 @Phoenix2un
    @Phoenix2un ปีที่แล้ว +2

    정말 이해가 쉽게 되네요 . 설명천재🌝 바람이 통하는 건축물을 보니깐문득 제주도 돌담이 생각나네요.

  • @moonjar310
    @moonjar310 ปีที่แล้ว +3

    잘은 알지 못하지만 서울에 건물의 높이를 함부로 높일 수 없는 이유는 군사 시설이 서울에 부근에 꽤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롯데타워도 서울공항 때문에 만들어지기 어렵기도 했고. 함부로 건물이 더 높아지게 할 수는 없지만 문제가 없다면 좀 더 다양한 스카이라인이 보고 싶긴하네요.

    • @user-jz3bp2tx8h
      @user-jz3bp2tx8h ปีที่แล้ว +3

      그렇죠. 우리나라는 전쟁 중이고 서울은 특히 꽤나 북쪽에 있으니 규제가 심할 수 밖에 없죠. 참 아쉽습니다

  • @user-vw5lp8dm6l
    @user-vw5lp8dm6l ปีที่แล้ว +10

    오래전에 H산업개발 소장님께서 삼성동에 높은 아파트를 지으신 분인데도 하신 말씀이 사람은 그래도 땅을 밟고 땅 가까이 살아야 건강합니다.하신 말씀을 잊을수가 없습니다.그래서 전 사실 아이들이 흙을 마음껏 밟고 뛰어다닐수 있는 호주에 살고 있음에 감사하는 면도 있는데요..궁금한 것은 뉴욕같이 저 높은 빌딩들이 많은 곳에 사는 사람들에게 미치는 안좋은 영향은 무엇인가 하는 겁니다.건축적인 면에 있어서는 어느곳보다 멋있고 아름다운 뷰를 보며 펜트하우스에 살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있지 않을까 하는 겁니다.결국엔 건물에 사람이 살기위해 짓는건데,너무 사람을 제외한 다른 측면 즉 돈 산업 경제적인 측면으로만 바라보는 도시가 된건 아닌가 생각들었습니다.

    • @user-te7df3sn5q
      @user-te7df3sn5q ปีที่แล้ว +3

      인프라랑 돈이나 권력이 있음
      더 더욱 높은 곳에서
      밑을 내려다 보고 싶어 하는건
      인간의 본능이지요
      저 또한 땅을 밟고 살아야 한다는데는
      격하게 동의함

    • @user-vw5lp8dm6l
      @user-vw5lp8dm6l ปีที่แล้ว

      @@user-te7df3sn5q 그러니깐요..사람의 욕심이 바벨탑 쌓아가듯 높이높이 올라가게 하는것 같습니다. 물론 경제적 건축적면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모로 상생하며 산업을 발전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겠죠

  • @oing6472
    @oing6472 ปีที่แล้ว +5

    이 채널은 편집이 진짜 •• 👍😇

  • @user-ld3vr3bt6k
    @user-ld3vr3bt6k ปีที่แล้ว +1

    영상 잘 봤습니다.
    마지막에 브금 제목이 어떻게 되나요?

  • @user-xz2hu6lz4u
    @user-xz2hu6lz4u ปีที่แล้ว +2

    오오 저 요번에 뉴욕에 오래 있다 왔는데 이거 보고 갔음 느낌이 더 달랐을거 같네요. 그냥 우와 높다 높다만 느끼고 왔는데ㅋㅋ 재밌는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life_filmmaker
    @life_filmmaker ปีที่แล้ว +2

    와우..재미있다..주말을 보내는 좋은 이야기를 듣네요~ 건축판 알쓸신잡이네요~

  • @ovovibes3146
    @ovovibes3146 ปีที่แล้ว +2

    뉴욕, 특히 맨해튼은 계속 돈이 모이고 계속 빌전할 수 밖에 없는 도시가 되는거네요.

  • @user-pq4mu9vf4y
    @user-pq4mu9vf4y ปีที่แล้ว +5

    교수님 항상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영상을 보다가 의문점이 들었는데요. 예전에 교수님께서 ‘고층 빌딩을 짓는 이유는 국가의 과시요소이다 ’ 라고 말씀 하신 적이 있는데,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물론 고층 건물이 과시용 일 수 있지만 경제가 집중적으로 포집되어 있는 지리적 요소와 교통량을 고려하였을 때 고층 건물은 필수적인 요소가 아닐까라는 의문이 듭니다..! 과시용이 아닐 수도 있지 않나요?

    • @JD-md3qk
      @JD-md3qk ปีที่แล้ว

      과시용이긴 해요. 초고층 건물은 가성비가 낮아요. 그냥 고층은 필요는 하지만요.

  • @user-cy4mm3ub1h
    @user-cy4mm3ub1h ปีที่แล้ว +1

    뉴욕 센트럴파크 갔을때 저 아파트를 봤었네요~ 이렇게 설명을 듣고 갔으면 다르게 보였를껀데 ㅎㅎ

  • @daestongnyeon
    @daestongnyeon 7 วันที่ผ่านมา +1

    몇 일 살지도 않는 주거용 건물이라니, 참 아이러니하네요.
    그냥 다시 팔 수 있는 황금 트로피 같은 용도인데, 주거도 된다가 맞지 않을까요?

  • @js-kp1uh
    @js-kp1uh ปีที่แล้ว +2

    사실 맨해튼에도 대규모 아파트 단지같은 게 있긴 있어요 ㅋㅋ stuyvesant town이랑 project가 있죠

  • @don8556
    @don8556 ปีที่แล้ว +3

    세금 안내도 매달 관리비가 장난 아닌 ... 그쳐 그들만의 리그 집들이죠 ..

  • @goodluck3269
    @goodluck3269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용 ❤ 😊 어~ 벌써 끝나 😅😅😅😅버렸 🫠 오늘도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

  • @eak3440
    @eak3440 ปีที่แล้ว +1

    건축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컨텐츠도 다뤄주세요

  • @user-cp4js2ec1h
    @user-cp4js2ec1h ปีที่แล้ว +4

    그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전문적인 설명과 함께 영상미가 최고입니다!!
    전 조경학도인데 며칠 뒤에 있을 강연에서 뵈어요❤

  • @esthergov.9988
    @esthergov.9988 27 วันที่ผ่านมา +2

    빌딩 높이가 자꾸 올라가는데 무게는 어떤지 모르지만 땅이 꺼지는 거 아니야 너무 무거워서

  • @user-nw8dt1kn9d
    @user-nw8dt1kn9d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 ~^^♡

  • @LHKtube
    @LHKtube ปีที่แล้ว +3

    건축할때 층수높이등의 제한으로 못올리는것을 아예 풀어서 엄청나게 높이 지을수있게 하더라도 막상 생각해보니 일부 제한으로 못올리는 경우가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얼마전에도 이 부분을 제대로 보지 않고 승인했다가 서로 책임전가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지요.(왕릉이던가요? 조망때문에 건물 못올리게 했었죠)
    교수님께서는 이렇게 상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실려나요?

  • @2015sandi
    @2015sand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말 잘 보았습니다. 혹시 면적이 좁고 세대수가 많으면 주차 같은 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질까요?

  • @jujak0616
    @jujak0616 ปีที่แล้ว +2

    건물은 좁고 길어야지 미래지향적인 느낌이 나서 스카이 라인이 이쁨

  • @young-keunpark907
    @young-keunpark907 ปีที่แล้ว +1

    궁금했었는데 감사합니다. 그런데 저렇게 높을곳까지 물을 올리려면 참 힘들겠어요.

  • @6060BAA
    @6060BAA ปีที่แล้ว +2

    스테인웨이 타워 펜슬 빌딩을
    루이비통 갈라? 고객 파티로 작년에 다녀왔읍니다
    100년 스테인웨이 빌딩을 그대로
    유지하는 조건으로
    공중권 뒤쪽을 올렸어요
    뉴욕다운 저력인거 같아요
    상징적인 위치이어서 개인도 소유하지만 다양한 기업들이 매입.렌트하더라구요
    에르메스도 건너 빌딩인데
    여기로 옮길것 같다는소식도..
    1층에 스테인웨이 홀에서
    피아노와 실내악 연주해요
    엘베로가는 홀에는 그림과 조각들..
    전용 엘베로 아파트에 내리니 와우~~
    통 전면 유리창에 센츄럴 팍이 와이드하게놀랬어요
    5에비뉴에서 보는 이스트센츄럴팍¡
    센츄럴팍에비뉴에서 보는 웨스트센츄럴팍와는 완전 감동..
    뤼이뷔통도
    랄프로렌같이 풀 라인 이어요
    가구 .침구류.욕실도기..심지어 도자기.책..
    다어몬드 라인까지
    조카내외와함께
    1대일 요리.개인퍼스트 쇼퍼까지
    추억 추억하고 왔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