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다소 생소한 개념으로 보이지만 진정한 차별화의 모습이 보입니다. 단순히 남들이 잘 안 쓰는 지식을 어필한 차별화가 아닌 개념적인 차원에서의 차별화가 정답인 것 같다는 생각이 강하게 듭니다. 정말 내공이 느껴지고, 짧은 영상이었지만 깊은 깨달음을 얻은 듯한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주로 책과 자료로 공부하셨다고 했는데...건축시공도 마찬가진가요? 추천해주실만한 자료나 책을 소개해주시면 비전공 독학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것 같아요. 저 역시 비전공에 마흔살부터 자격증을 따기 시작했고 기술사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리처님 올려주신 것들 쭈욱 보고 있는데 기사가 엄청 많으신건지? 아니면 유사 기사로 응시자격 갖추셨는지도 궁금합니다. (후자라면 응시자격에 관한 좋은 컨텐츠가 될것 같습니다)
솔직히 다소 생소한 개념으로 보이지만 진정한 차별화의 모습이 보입니다. 단순히 남들이 잘 안 쓰는 지식을 어필한 차별화가 아닌 개념적인 차원에서의 차별화가 정답인 것 같다는 생각이 강하게 듭니다. 정말 내공이 느껴지고, 짧은 영상이었지만 깊은 깨달음을 얻은 듯한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엔지니어로서 물질에 대한 욕심으로 공부하면 안되고 정말 나라와 국민들을 위하는 마음으로 주변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공부하면서 그러한 마음을 답안에 녹여낼때 점수가 올라간다는 말씀으로 느껴집니다.
답안을 예를들어 주시니 이해가 잘 됩니다. 25점 서술형 답안의 경우도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 게 있어 질문드려요. 기술사는 출신직군을 따진다는데 사실인가요? 대다수가 공기업 아니면 대기업이라는 얘기를 봐서요. 이 말이 맞다면 꿈도 못 꾸겠네요...
제가 본 대한민국의 기술사는 진짜 객관적으로 실력.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그렇지않다면 전 기술사 따지 않았을 겁니다. 출신학교. 계급장. 직군. 다 떼고 오로지 그것에 집중하는 시험입니다.~~
@@Reacher-리처 아하~감사합니다.
주로 책과 자료로 공부하셨다고 했는데...건축시공도 마찬가진가요?
추천해주실만한 자료나 책을 소개해주시면 비전공 독학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것 같아요.
저 역시 비전공에 마흔살부터 자격증을 따기 시작했고 기술사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리처님 올려주신 것들 쭈욱 보고 있는데 기사가 엄청 많으신건지? 아니면 유사 기사로 응시자격 갖추셨는지도 궁금합니다. (후자라면 응시자격에 관한 좋은 컨텐츠가 될것 같습니다)
1.건축시공은 100%독학했습니다.
2.저는 선배님이 책을 주셔서 예문사로 했는데. 다른책도 좋습니다. 서점에 가셔서 자신에게 가장 맞는것을 선택하세요. 그리고 시공기술사니까 표준시방서는 보세요. 시간되시면 건축기술지침도 보세요.
3.저도 기사자격증이 많습니다만, 건축시공기술사는 유사기사로 합격하였습니다~ 기사자격증 없어도 실력과 가능성을 입증하시면 되실것으로 확신합니다~ 너무 걱정마세요. 님의 기술사 합격을 응원합니다~
@@Reacher-리처와우 성의 있는 답변 감사합니다. 아는 기술사가 생긴 기분이네요ㅎ
자주 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