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게발로 야무지게 우렁살 발라먹는 참게 [환경스페셜-퉁사리의 고향,금강] / KBS 20110615 방송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0 ก.ค. 2022
  • ▶ 사라져가는 토종물고기 퉁사리를 아십니까?
    퉁사리는 세계적으로 오직 우리나라의 금강과 만경강 등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서식하는 토종물고기다. 퉁사리는 예전엔 너무 흔하고, 가슴지느러미 가시가 톡 쏘아 잡아도 별로 대접받지 못하던 물고기였다. 그러나 최근엔 금강에서 급격히 사라져 멸종위기 1급 어류가 됐다. 이젠 추억 속의 물고기가 되어버린 퉁사리, 과연 녀석들의 고향 금강에서 퉁사리를 만날 수 있을까? 제작진은 금강 퉁사리 탐사에 나섰다.
    ▶ 처음 밝혀지는 퉁사리의 신비와 생태!
    자갈이 많고 먹이가 풍부한 여울에 서식하는 퉁사리는 주로 밤에 활동을 하며 수서곤충을 먹는 육식성 어류다. 퉁가리와 자가사리의 중간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퉁사리라 이름 지어진 녀석은 지난 1987년 금강과 웅천천에서 채집된 것이 신종으로 처음 보고됐다. 퉁사리는 지구상에 있는 메기목 어류 4천 종 중에서 가장 작은 염색체를 가지고 있어 생태적으로도 소중한 특징을 지닌 물고기다.
    ▶ 새끼 곁을 지키는 퉁사리의 지극한 아비사랑!
    퉁사리의 산란이 이뤄지는 시기는 5,6월. 제작진은 오랜 추적 끝에 자연 상태의 퉁사리 알 다발을 발견하는데 성공했다. 보통 퉁사리는 크고 넓적한 돌 밑에 모래를 파고 집을 만들어 알을 낳는다. 한 번에 낳는 알의 개수는 100여 개로, 다른 물고기에 비해 그 수가 훨씬 적다. 제작진에게 발견된 알 다발은 거기에도 훨씬 못 미치는 3,40개 정도다. 호시탐탐 알과 새끼를 노리는 포식자들로부터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아비 퉁사리는 필사적으로 그 곁을 지킨다. 자연 상태에서 처음으로 카메라에 포착된 퉁사리의 알 다발과 새끼 곁을 지키는 아비 퉁사리의 지극한 부정을 보여준다.
    ▶ 금강에서 퉁사리가 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
    금강에 차고 넘치던 퉁사리가 급격히 사라진 것은 지난 2001년, 금강 상류에 용담댐이 생기면서부터다. 전북 지역의 식수와 농업 ․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용담댐이 생기면서 물고기들의 서식환경은 크게 달라졌다. 댐 하류에 수량이 줄고 유속이 느려지면서 자갈사이에 개흙이 쌓여 퉁사리가 살 수 없는 환경이 되어버린 것이다.
    ▶ 퉁사리의 복원 시도, 더 중요한 것은 서식지 보호다.
    금강에서 사라져가는 퉁사리를 돌아오게 할 순 없을까? 생물다양성 연구소에선 환경부에서 실시하는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의 하나로 금강에 방류할 퉁사리 복원작업이 진행 중이다. 퉁사리 복원은 인공수정을 통해 대량의 치어들을 증식시켜 이뤄지는데 개체수가 워낙 적어 금강 뿐 아니라 만경강에서 어미를 확보해 자연산란을 유도한 후 수정 부화시키게 된다. 처음으로 인공부화에 성공한 치어는 300여 마리, 앞으로 좀 더 많은 치어가 확보되면 금강에 방류하게 된다. 그러나 복원보다 중요한 것은 녀석들이 돌아갈 서식지이다. 퉁사리가 살 수 있는 여울이 사라진다면 퉁사리의 복원은 완전한 성공일 수 없다.
    ▶ 멸종위기 퉁사리의 미래는?
    퉁사리 서식이 확인된 금산군 어제리 수변에 하천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공사가 진행됐다. 굴삭기로 파 헤쳐진 자연제방, 그곳은 퉁사리에게 먹이를 제공하던 수서곤충들의 서식지였다. 먹이사슬로 연결되어 순환의 고리를 이어가는 생명들의 생태계, 이 여울에 살고 있는 퉁사리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우리는 내년, 후년에도 금강에서 퉁사리를 계속 만날 수 있을 것인가?
    ※ 이 영상은 [환경스페셜-퉁사리의 고향,금강 (2011년6월15일 방송)]입니다. 일부 내용이 현재와 다를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국내 최초 환경 전문 다큐멘터리, 환경스페셜 공식채널입니다.
    구독/좋아요/알림설정!
    ▶구독:url.kr/ikg6th
    ▶방송 다시보기(홈페이지): program.kbs.co.kr/2tv/culture/...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3

  • @heumkim390
    @heumkim39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우~~힐링 힐링❤❤

  • @user-oz5io2pu7y
    @user-oz5io2pu7y ปีที่แล้ว +3

    허~~반딧불이가천연기념물이라니환경이 통탄할일이로세

  • @user-oz5io2pu7y
    @user-oz5io2pu7y ปีที่แล้ว +2

    영월 동강갔었을때자갈이많은지역에 퉁사리가많아서많이잡았었는데예전엔 흔했지

  • @user-vf3kl8in5m
    @user-vf3kl8in5m ปีที่แล้ว

    제 고향 홍천강에도 널린게 퉁사리(탱가리)입니다

  • @indeon
    @indeon ปีที่แล้ว +3

    아.참게의 우렁 먹방 썸네일 이거 못참지!ㅋㅋㅋㅋㅋ

    • @indeon
      @indeon ปีที่แล้ว

      32:15

  • @ll-tg7xz
    @ll-tg7xz ปีที่แล้ว +2

    저는 바다보다 민물 생태계가 더 좋아요. 그런데 저 보를 물고기들이 잘 오갈수 있게 개선을 할수는 없는건가요?

    • @user-rj3jh7pq4m
      @user-rj3jh7pq4m ปีที่แล้ว

      공사를 안하고 자연그대로 보존이 중요합니다

    • @ll-tg7xz
      @ll-tg7xz ปีที่แล้ว

      @@user-rj3jh7pq4m 그리되면 사람이 홍수 가뭄으로 피해를 보겠지요.

    • @snowsaint
      @snowsain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람이 우선인거 같습니다
      반대로 님 목숨 VS 생물 목숨
      둘중 어떤게 좋은가요?

  • @user-ug8nh8ud7r
    @user-ug8nh8ud7r ปีที่แล้ว +1

    퉁사리...퉁가리...퉁소....금강변 지류에 얕은 물에도 빠루로 돌 재끼면 엄청나게 나오는데....

  • @user-pw1oe7sr6s
    @user-pw1oe7sr6s ปีที่แล้ว

    황소개구리가 물뱀사냥하는장면은 안보여주고 입에 넣은것만보여줌.. 사람이 물뱀잡아서 던져준걸로밖에 안보임

  • @user-wf6qu2or3t
    @user-wf6qu2or3t ปีที่แล้ว +2

    사람으로 피해를 입으니 안타깝네요...

  • @trevarl
    @trevarl ปีที่แล้ว +3

    어제 본 삼시세끼에서는 게가 전복먹는거 봤는데 여긴 우렁 먹네 ㅋㅋㅋ

  • @user-lw5tm5ij3w
    @user-lw5tm5ij3w ปีที่แล้ว +4

    우렁살 발라먹는 참게라 해서 보는데
    퉁사리만 보여주네 아따 뒷통수 맞았당께

  • @gogovip1004
    @gogovip1004 ปีที่แล้ว

    그렇게 포획했는데멸종안되는게이상하지 뭔댐핑계하는지?

  • @user-xd2ze8yu2l
    @user-xd2ze8yu2l ปีที่แล้ว

    오염 된곳에 방류하면 살까요?? 근본적인 수질개선이 안돼는데 왜 방류하죠? 고통스럽게 죽으라고? 보이는 업적 사람들 역겹다 이제

  • @user-mx5mm8wz3l
    @user-mx5mm8wz3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융담댐. 건설업자 주최자 문제많습니다, 환경파괴범

  • @324liz
    @324liz ปีที่แล้ว +7

    맹박이 때문에 다 죽엇지 뭐

  • @danyup5186
    @danyup5186 ปีที่แล้ว +1

    뒤통수 맞은기분이라 싫어요 박는다

  • @jingyuchang9544
    @jingyuchang9544 ปีที่แล้ว +1

    참게좀 못 잡게 해라 멸종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