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J 다원시스SR 공식 시청자 채팅방 폐쇄 BJ 다원시스SR 제2 공식 시청자 채팅방 링크: open.kakao.com... 철도모형 사진 및 정보 공유소 채팅방 링크: open.kakao.com... 특정 인물이나 지역에 대한 저격, 욕설, 혐오나 도배댓글 등은 건전한 소통을 위해 무통보 삭제됩니다. 싫어요 테러 금지! 사칭 금지!BJ 다원시스SR 공식 시청자 채팅방 폐쇄
@박지환-n8r AC =교류, DC = 직류입니다. 먼저 교류와 직류가 무엇이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직류와 교류 비교 직류 (Direct Current, DC) * 전류의 방향: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흐릅니다. * 전압: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합니다. * 특징:* * 전압과 전류가 안정적입니다. * 전력 손실이 적습니다. * 주로 전자기기, 배터리 등에 사용됩니다. * 예시: 건전지, 배터리, 태양광 발전 교류 (Alternating Current, AC) * 전류의 방향: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합니다. * 전압: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합니다. * 특징:* * 변압기를 사용하여 전압을 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 *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형태입니다. * 주로 가정용 콘센트, 산업 현장 등에 사용됩니다. * 예시: 가정용 콘센트, 전력 송전 우리나라 중전철 (인천 2호선이나 신림선, 의정부 경전철 같은 경전철 X)은 AC25000V 또는 DC1500V를 공급받아 운행합니다. 광역철도(1호선, 경의중앙선, 신붕당선, GTX등)는 AC 25000V에 좌측통행, 도시철도는 중전철 (서울 2,3,4호선 진접~ 남태령 구간, 5~9호선, 인천지하철 1호선, 대전 1호선, 광주 1호선, 부산 1,2,3호선)은 DC1500V입니다. 다만 경전철은 DC750V인 곳도 있고 조금씩 다릅니다. 그리고 절환이라는 것은 열차가 AC 구간이나 DC구간을 오갈 때 스위치를 조작해서 운행 구간에 맞게 AC모드 또는 DC모드로 맞춰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AC구간에서 DC 혹은 DC구간에서 AC모드로 스위치를 잘못 조작하거나 절연 구간에서 열차를 가속하려고 마스콘을 당길 경우 전동차 내부의 전기회로가 고장나 더이상 운행이 불가하게 됩니다.
아쉽게도 111편성은 아니네요 잘보고 갑니다~~
111편성이었다면 다 좋았겠지만 ㅋㅋ 댓글 달아주셔서 고맙습니다.
이 열차도 초저항처럼 보존 시켜 놓으면 좋겠네요. 1호선 역사의 세월이 있는 전동차인데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하지만 쉽지 않아서 아쉽네요.
1호선 개조저항이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은 저항제어이기도 하지요.
2호선 신정지선에서 다니던저항차까지 모두 퇴역하면서 이제 정말 마지막으로 남아있습니다. ㅠ
다원시스님 흠심 메트로 업데이트 됬는데 혹시 해주실수 있나요? 이번 업데이트는 광명셔틀 4량 열차가 나왔데요
저 떡볶이색상의 옛날 전동차가 아직도 굴러다니다니......
역시 한국은 OLD를 중시하는 나라구먼....
떡볶이 색상이라 신박한 비유네요
이 열차는 유일한 개조저항이네요.
@@양희호-v6x 맞아요.
오, 제가 좋아하는 1번째 열차 개조저항이군요.^^
@@玲奈Fエイヴァリー 저도 좋아하는 열차입니다.
@BJ다원시스SR 그렇군요. 저는 예전부터 1번째(개조저항), 2번째(납작이), 3번째(S차) 순서대로 좋아하지요.
개조저항은 열이 많은 덕분에 겨울에 개조저항 동력칸 가면 다른 기종들보다 뜨뜻하죠 ㅎㅎ
@@hahman1st 어제 밤에도 개조저항을 탔는데 동력칸은 아니었지만 의자가 너무 뜨거워서 엉덩이까지 너무 뜨거웠습니다.
저거 아직 살아있구아 대박 ㅋㅋ
@@DK-fm2ly 저희 어머님도 저런 게 아직도 다니냐며 놀라시더라고요.
@@BJ다원시스SR 저거 선풍기 달려있을 때부터 보다보니 ㅋㅋ
근데 지하철 교직절환 ac 또는 dc는 뭐에요?
@박지환-n8r AC =교류, DC = 직류입니다.
먼저 교류와 직류가 무엇이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직류와 교류 비교
직류 (Direct Current, DC)
* 전류의 방향: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흐릅니다.
* 전압: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합니다.
* 특징:*
* 전압과 전류가 안정적입니다.
* 전력 손실이 적습니다.
* 주로 전자기기, 배터리 등에 사용됩니다.
* 예시: 건전지, 배터리, 태양광 발전
교류 (Alternating Current, AC)
* 전류의 방향: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합니다.
* 전압: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합니다.
* 특징:*
* 변압기를 사용하여 전압을 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
*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형태입니다.
* 주로 가정용 콘센트, 산업 현장 등에 사용됩니다.
* 예시: 가정용 콘센트, 전력 송전
우리나라 중전철 (인천 2호선이나 신림선, 의정부 경전철 같은 경전철 X)은 AC25000V 또는 DC1500V를 공급받아 운행합니다. 광역철도(1호선, 경의중앙선, 신붕당선, GTX등)는 AC 25000V에 좌측통행, 도시철도는 중전철 (서울 2,3,4호선 진접~ 남태령 구간, 5~9호선, 인천지하철 1호선, 대전 1호선, 광주 1호선, 부산 1,2,3호선)은 DC1500V입니다. 다만 경전철은 DC750V인 곳도 있고 조금씩 다릅니다. 그리고 절환이라는 것은 열차가 AC 구간이나 DC구간을 오갈 때 스위치를 조작해서 운행 구간에 맞게 AC모드 또는 DC모드로 맞춰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AC구간에서 DC 혹은 DC구간에서 AC모드로 스위치를 잘못 조작하거나 절연 구간에서 열차를 가속하려고 마스콘을 당길 경우 전동차 내부의 전기회로가 고장나 더이상 운행이 불가하게 됩니다.
개조저항 내부는.. 80년대가 잘 드러나요
특히 111편성 일부 칸이 더 그렇게 보여요.
도색 예뻐서 좋아하는 애인데.......
@@shimjh0306 저도 좋아하는 열차입니다.
요즘 영상이 많이 안올라오네요?
@박지환-n8r 죄송합니다. ㅠㅠ
개조저항은 저항제어 열차에요?
네. 맞습니다. 과거에 6량이었던 열차를 10량으로 늘리는 과정에서 도입되었던 추가 증결 부수객차들을 활용해서 만든게 지금의 개조저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