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쓰면 생기부 망합니다! 대학이 좋아하는 생기부 쓰는 법 알려드립니다 [입시이야기]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 มิ.ย. 2024
  • 🙄합격생 생기부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bit.ly/3DkIPT4
    🌴방학이 임박한 이 시기! 혹시 1학기 생기부 확인하셨나요?
    1학기 마무리 전 생기부 어떻게 마무리하면 좋을지,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하는지 확실하게 알려드립니다!🤗
    #학종 #생기부 #수시 #1학기 #일반고
    00:00 시작
    00:27 1학기 생기부 마감 전 가장 주의해야할 점!
    02:10 생기부에 이 내용 있으면 꼭! 수정하세요!
    06:54 좋은 일반고 생기부의 조건은? 예시 보여드립니다
    10:03 2학기 생기부 미리 준비하는 방법은?
    [유니브클래스 출연자모집]
    🤔유니브클래스가 입시에 인사이트가 있는 다양한 구독자분들을 기다립니다!
    ▶ 자녀 교육과 입시 경험 있는 학부모
    ▶ 교과 과목 학습 방법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선생님이나 강사
    ▶ 고입, 대입 등 입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컨설턴트
    ▶ 교육과 입시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저자
    📌신청방법: 아래 지원서 작성 후 제출
    ▶ 신청서 작성 : forms.gle/2M8JnHAdQNew1rda7
    [생기부 도움닫기 출연자모집]
    나만의 생기부 관리법 등 다양한 학종 합격 노하우를 공유해주실
    😇천사같은 23학번 합격자 출연자분들을 모집합니다!
    ▶신청서 작성 : forms.gle/PGSjfp1Q9eoTeirz8
    💌입시 고민이 있는 학생과 학부모님은 입시상담반 신청해 주세요~!💌
    (선정을 통해 출연 대상자에게 개별 연락 드립니다.)
    ▶입시상담반 신청서 작성 :
    forms.gle/jd75FVe2b4LSxUSG6
    기타 문의 사항은 gomin_younivclass@youniv.video로 보내 주세요.
    ⓒ YOUNIV. Corp ALL RIGHTS RESERVED
    모든 영상의 저작권은 ㈜유니브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엄격히 금지합니다
    📣유니브클래스 SNS에서 유익한 입시 정보를 확인하세요😀
    카카오 : bit.ly/kakao_younivclass
    인스타그램 : bit.ly/insta_younivclass
    페이스북 : bit.ly/facebook_younivclass
    네이버 : bit.ly/navertv_younivclass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27

  • @younivclass_official
    @younivclass_officia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1

    🙄합격생 생기부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bit.ly/3DkIPT4
    💚유니브클래스에서 구독 인증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아이패드를 포함한 다양한 경품이 준비되어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유니브클래스 커뮤니티를 확인해주세요!
    00:00 시작
    00:27 1학기 생기부 마감 전 가장 주의해야할 점!
    02:10 생기부에 이 내용 있으면 꼭! 수정하세요!
    06:54 좋은 일반고 생기부의 조건은? 예시 보여드립니다
    10:03 2학기 생기부 미리 준비하는 방법은?

    • @user-sh1lu6zp1r
      @user-sh1lu6zp1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user-mx5rz9yb9u
      @user-mx5rz9yb9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잘 보고 또 보고 있습니다~~

  • @katelee7897
    @katelee789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8

    학생의 활동을 소설가가되어 작문을 해야하고 1타강사처럼 강의도 해야하고 아이들이 해야할 새로운 활동 아이디어도 내야하고 동아리, 진로, 평가, 행정실무에.. 교사의 능력이 어디까지여야 할까? 대학은 고등학교 교육을 대학 입학용으로 생각하고 교사를 시녀 다루듯한다. 제발 바뀌어야한다. 교육현장은 아수라장이다.잘하고 의욕넘치는 애들만 있는 곳이 아니다. 제발 자연스런 교육을 하도록해라. 애들과 교사들을 그만 달달 볶아쳐라..영화촬영 안해봤어도 대학가서 하면된다. 고교에서 독서하고 공부하고 운동해서 체력기르는게 인생에서 더 중요한듯..

  • @hjyoon_
    @hjyoon_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6

    이 방송을 선생님들이 제발 보셨으면 좋겠어요. 고등학생이 이렇게 탐구를 해야 하는 현실이 과연 옳은 방향인지도 의문이 들어요. 챙겨야 할게 너무 많아요.

    • @antoniom8023
      @antoniom802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5

      선생님들도 선생님인데 학생들도 봐야할 거 같아요. 남들같이 학교 생활을 해놓고는 남들과는 다른 생기부를 원하면 안되니까요.

    • @EkgPdpdy
      @EkgPdpd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7

      선생님들이 진짜 보셔야해요 ... 학생들한테 세특 써서 내라고 하고, 선생님이 쓰신게 아니라 매끄럽지 못할 수도 있는건데 이렇게 쓰면 안된다고 뭐라하시고 ... 학생들이 활동하면 선생님들이 쓰라고 있는 세특을 학생들이 쓰는 것 자체가 말도 안돼요

  • @grimhilde1962
    @grimhilde196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53

    현직 일반고 교사의 가족입니다. 작년 이맘 때 한 학기에만 약 240명의 교과세특을 쓰느라 너무 힘들어하는 모습을 봤습니다. 인당 500자 분량의 세특을 전부 다 개별화 해서 유려한 필체로 문장을 만들어내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인 것 같았습니다. 일반고라서 그런지 몰라도 의욕 없는 학생들이 많고 평가에 반영할만한 결과물에 성의가 보여지지 않는데 과대포장 하듯 있어보이는(?) 문장을 써줘야 한다는 괴로움이 크다고 했습니다. 또 세특 쓰는 기간에도 상담과 행정 업무 또한 차질없이 해내야하니 한 가지에만 집중할 수 없어 에너지가 분산된다고 하더군요. 대입 과정에 대해서 열심히 설명하고 차별화된 세특 써줄테니 추가 활동 주제 정해서 하라고 해도 정작 학생들은 시큰둥해하고 자거나 놀고 싶다고만 하니 의욕도 떨어진대요. 임용된지가 얼마 안 되서 그런지 아직 의욕이 많은데 곧 현실에 순응하고 매너리즘에 빠지거나 타성에 젖은 교사로 변하지 않을지. 그게 맞는 방향은 아닌 것 같긴 한데 옆에서 지켜보면 안쓰럽습니다. 제 바람은 우리나라 입시제도가 크게 변화되어서 독일이나 프랑스처럼 논리적 사고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길 바랄 뿐입니다.

    • @aslankim736
      @aslankim73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초공감입니다~ 말씀하신 논리적 사고력 방향으로 가려는게 현재 몇몇 교육청에서 추진 중인 IB 프로그램입니다. 잘 정착되면 좋을텐데 장애물을 어떻게 넘을수 있을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 @user-jz5bz8um9z
    @user-jz5bz8um9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7

    학생들은 공부하기도 바쁜데 각종 보고서, 발표에 힘들고, 교사는 생기부를 부풀려 모든 학생에 대해 글자 수 세어가며 꽉꽉 채워 쓰느라 힘들고, 입학사정관은 생기부를 읽고 이것이 학생의 능력인지 교사의.능력인지 구분해내느라 힘들고

  • @katiekim2371
    @katiekim237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0

    고2 가르치는 현직 교사입니다. 세특에 반영할 활동지를 나눠 주고 적어야 하는 방향성, 적지 말아야할 것들 설명해도 아이들은 본인이 쓰고 싶은대로 써옵니다. 안들어요..해당 교과의 역량이 이거니 이렇게 해봐라 설명합니다만 안 들어요. 심화조사한 구체적 내용과 그 근거를 제시하라고 해도(세특의 근거가 되는) 깊이있게 활동지를 작성 못합니다. 부모님들은 새벽까지 아이가 자료조사하느라 시간을 보내니 열심히 했다고 생각하시지만(열심히 한건 맞는데 세특에 반영할 실제 내용이 부족합니다) 교사가 활동지를 읽어볼때는 사실 반영할 내용이 많이 부족합니다. 세특 작성후 "~~내용을 반영해주세요"라고 부탁하기 보다 세특활동지를 받으면 미루지 말고 빨리 작성하고 쌤을 찾아가 한번 사전 피드백을 받기를 추천드립니다. 저같은 경우는 수업시간을 할당하고 집에서도 차분히 작성할 시간을 주는데 대부분의 아이들은 벼락치기로 작성해오더라구요~

    • @aslankim736
      @aslankim73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공감이요~

  • @Lucky-vf9lv
    @Lucky-vf9l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4

    현실을 보면 학종은 폐지 돼야 한다고 본다. 내신과 수능 신경 쓰기도 부족한데 (특히 일반고의 경우) 선생님에 따라 복불복인 현실 앞에 스트레스까지 받아야 하니 말이다.

  • @user-hw3pc3xc8v
    @user-hw3pc3xc8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4

    ㅠㅠ 참 이렇게 쓰면 된다는걸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생기부는 자신이 쓰는게 아니고 제3 자에게 쓰여진다는거죠.ㅠㅠ... 이 또한 선생님 역량에 달려있는데요.. 이런걸 공정한 입시인지...한숨만 나오네요

  • @stevelee7997
    @stevelee799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9

    학생 능력만으로 대학을 가야지. 선생님들 능력도 같이 좋아야한다는건 뭔가 맞지 않는거 아닐까요? 나만 잘하면 뭐하나 선생님이 안 써 주시는데

    • @user-re4ho2oc4g
      @user-re4ho2oc4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극공감입니다 😭

  • @user-fw7hk9vi6b
    @user-fw7hk9vi6b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5

    일반고 교사입니다.세특이 잘 나오려면 일단 기본적으로 학생이 구체적이고 심화된 활동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학생은 그런 노력없이 세특이 잘 나오지 않았다고 불평합니다. 여정쌤의 단순나열식이라 부르는 내용도 정말 좋게 써주려 노력해서 나오는 결과물인 학생도 많아요. 댓글 보니 학생들이 세특 걱정이 많은데, 지금부터라도 세특에 썼으면 하는 구체적 심화 활동을 수업을 중심으로 하시길 추천드려요. 그리고 쌤들이 세특내용을 구체적 사례로 쓰지 못하는 것은 정확한 내용을 쓰면 학생의 수준이 더 낮게 보일 것 같아 어쩔 수 없이 그런 경우도 많아요.

  • @user-fk2ic1ud5f
    @user-fk2ic1ud5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학부모님들 학생들.. 본인 혹은 자녀의 활동이 세특에서 빈약하게 들어간다고 낙담하지만 말고 그 시간에 아는 지인들 중에 해당 분야에 대한 전공을 가진 분께 탐구 보고서를 한번 봐달라고 부탁드려보세요.. 세특 잘 써주고 싶어도 탐구 수준을 보면...... 아무리 고등학생 수준이래도 처참한 경우가 많습니다 아니면 어디서 주워들은 어려운 소재만 쓰고 결론 부분은 엉망이예요 이 내용을 다시 물어보면 보고서와 같이 대답을 할수 있을지가 의문이구요 ㅎ.. 세특이 빈약해지는 이유에는 본인에게 있다는 점을 어느정도 인정 하셔야죠 ㅠㅠ..

  • @althjung
    @althjun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항상 도움 많이 받고있습니다~~~
    30만 구독 축하드려요~~♡

  • @heestory5543
    @heestory554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현실적으로 담당선생님께가서 수정해달라는건 성적비리입니다
    감사지적사항이구요
    제일좋은것은 수행평가 잘못하더라도 평가기준에맞게 잘준비하세요 그리고 평상시 수업도 자 잠여하구요

  • @user-dd7yd8yr7y
    @user-dd7yd8yr7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3

    현직 일반고 고3담임이자 교과별 생기부 주제 잘 쓰는 법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중요한 포인트를 매우 잘 정리해주신 것 같네요 ㅎㅎ 저는 학생들의 대학 희망 전공이 확정되면 주제 잡는 방법과 생기부를 위한 보고서 작성하는 법을 교육하고 있는데 일반고 학생들도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도전해보면 좋겠습니다!

    • @greatKorea2024
      @greatKorea202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선생님 반학생들이 부럽네요 좋은쌤 만나줄 알아야할텐데 ᆢ존경스럽습니다

  • @user-ji8vp1ct7u
    @user-ji8vp1ct7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7

    이 영상은 학생보다는 교사들이 봐야할 영상이네요. 저는 심화탐구보고서 a4용지 2장을 가득 채우고 ppt로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00주제에 대해 주도적으로 탐구하여 발표함 이렇게 생기부에 한문장만 적혀있었어요~아무리 열심히 보고서를 써도 교사의 수준과 역량에 따라 생기부가 달라지는데 이게맞나 싶어요.

  • @user-jz5bz8um9z
    @user-jz5bz8um9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6

    대체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잘 설명해 주셨다고 생각합니다. 일부 댓글들에서 일반고 교사가 제대로 안하고 있어서 문제라는 식의 글들이 보여 일반고 교사의 입장에서 의견을 표해봅니다. 5:35 부분에서 예로 든 '능동적 학습태도'는 수업 시간 중 학생이 모르는 개념을 일부 질문한 사례를 선생님께서 좋게 써주실때의 표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정샘이 이후에 말씀하셨던 것처럼 원리에 대헤 궁금하여 심화탐구하는 활동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수업을 열심히 듣는 학생이니 좋게 쓰려고 애썼다는 것이지요.

    • @katiekim2371
      @katiekim237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동의합니다. 아이가 질문을 많이 하는데 그 근거를 적으면 좋겠다고 여정샘이 말씀하셨는데요. 이런 경우도 많아요. 아이가 질문하는 개념이 아주 기초적이고 쉬운거라(개념을 적용하는데 어떠어떠한게 안돼요 라고 질문하는 학생은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그 부분을 근거로 적고 능동적인 학습자라고 적으면 아이에게 안좋은듯해서 저렇게 좋게 표현하는거죠.

  • @MK-em1ru
    @MK-em1r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보통의 많은 아이들을 위한 영상이 매우 부족한데, 여정쌤이 이렇게 만들어주시니 감사할 따름이예요.
    오늘 영상은 꼭 고1 우리 아이에게 보여줘야 겠습니다.
    말씀대로 여름방학을 2학기 성적 올리는 데 최선을 다해야겠습니다!
    다행이 아이도 그렇게 마음 먹은 듯 해서 다행이기도요.
    30만, 축하드립니다!!

  • @user-yg4wg3yf8g
    @user-yg4wg3yf8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고등학교에서 상담샘으로 있습니다. 생기부로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많이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p5ed2vn9d
    @user-hp5ed2vn9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아무리 똑똑하고 성실한 학생이라도 어떠한 선생님을만나 어떤 세특을 써주는지에따라 합격여부가 결정되는게 공정한 방식의 평가일까요?아무리아무리 들어도 학종이라는 자체를 이해할수없어요 설명하신내용들이 본인이 작성하는게 아닐진데 어쩌란 말일까요 선생님 가랑이부여잡고 읍소해야하나요?
    평가란 똑같은기준으로 다루어져야 진정한 경쟁의 의미가 있는게 아닐까요?
    3년내내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등급을받은학생은 소홀한 세특덕에 탈락하고 그보다 소홀하게 학업에임해도 세특잘받아 그럴싸하게 기록되면 합격되는 이런세상이 이런제도가 과연 올바른 입시제도인가요?
    세간엔 입시가 운이라는 말이 흔하게 들립니다
    누가봐도 끄덕일수있는 공정한잣대로 아이들을 평가해주세요
    고등학생을 둔 부모로써 참으로 어이없는 현실에 개탄스럽기까지합니다

    • @user-cy8bh2nb9d
      @user-cy8bh2nb9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좋은 등급 받은 학생은 선생님들이 알아서 세특 좋게 써줘요 ㅠ

  • @user-to8hz7vm1k
    @user-to8hz7vm1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완전 꿀정보입니다. 감사합니다 학교선생님들께서도 많이 보셨으면 좋겠네요

  • @Hodo276
    @Hodo27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첫 댓글!ㅋ
    좋은말씀감사합니다~~

  • @dinosaaaaur
    @dinosaaaau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wi8tk2kr3d
    @user-wi8tk2kr3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아직 1학년이라 크게 고민할 필요는 없다고 하셨지만 이번 기말을 잘 못 봐서 내신 등급도 전체적으로 내려가서 그런지 방학을 앞두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하고있는 요즘 특히 생기부가 더 신경쓰여요
    어떻게든 주제를 만들어내더라도 그에 맞게 알찬 내용을 조사해서 담고 결과물을 깔끔하게 마무리 짓는 일이 별게 아닌 듯 하면서도 은근 생각이 잘 안나고 아직 생기부를 제대로 받아보지도 못해서 이게 어떤 식으로 쓰일지 정말 모르겠어요
    그래도 그냥 입학부터 해버리면 이런 고민조차 못했을 것 같은데 유니브클래스 도움을 많이 받고 있는 것 같아서 감사드려요!
    앞으로 학교생활하면서 점점 감도 잡아 나가도록 하고 이번 방학엔 공부나 열심히 해야겠어요!!ㅠ

    • @CloudFairy99
      @CloudFairy9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랑 비슷하시네요 ㅜ

    • @user-tz2gw6ie4y
      @user-tz2gw6ie4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1학년이면 아예 돈내고 컨설팅을 받아보는 것을 매우매우매우 추천합니다.....!!저는 올해 3학년이 되어서야 생기부 컨설팅을 받아보았는데요, 1학년때 받을걸하고 정말 후회하고 있어요ㅠㅠ 1학년때부터 생기부 컨설팅을 받으면서 다양한 주제와 심화 탐구로 생기부를 채워 나가면 생기부도 잘 채워지고 무엇보다 세특 주제선정에 있어서의 시간이 정말정말 단축되요,, 공부 열심히하는게 물론 너무너무 중요하지만 고1 여름방학에 하루정도 시간을 내어서 생기부 점검 및 컨설팅을 받으시는거 진짜 추천드려요!!꼭이요!!

  • @user-ix5wd5zy2p
    @user-ix5wd5zy2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고2 학부모 입니다. 1학년 생기부는 진짜 건질 내용이 하나도 없었습니다. 진로가 정해지지 않아서 그냥 저냥 학교 수행만 겨우 해서 제출하다, 2학년 들어 진로 선정이 끝나 생가부에 열심히 매진하고 있습니다. 선생님의 일목요연한 정리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cs3yl1xl6p
    @user-cs3yl1xl6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늘 감사합니다 ~
    덕분에 입시정보를 자주접하고 저또한 입시에대한 고민과 공부를 하게 됩니다~
    입시에 대한궁금증이 있는데요 쌤께 컨설팅 받으려면
    어떻게 하는걸까요?

  • @vector9100
    @vector910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영상이 이해하기 쉽게 자세해서 좋네요

  • @taxbaro
    @taxbar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선생님, 유료 강의 및 지금 강의도 잘 들었습니다.
    커뮤니티가 어딘가요? 인증하고 싶은데 어디서 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

  • @user-tq3hf3bg2p
    @user-tq3hf3bg2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선생님 정말 아름다우십니다🎉🎉

  • @Jeong_1203
    @Jeong_120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걸 2학기에 보고 있네요😂 2학년 시작부터 학종에 관심 좀 가졌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지금이라도 해봐야죠

  • @GoogleGoogle-yu9ob
    @GoogleGoogle-yu9ob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

    여정샘이 예를 들어 준 방식으로 생기부가 적혀있는 학생은 대체로 그냥 그런 평이한 활동만을 했거나 그 학생이 특별한 역량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겠죠. 생기부는 교사의 창작물이 아니니까요.

  • @user-pn9kt4uw7t
    @user-pn9kt4uw7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컨설팅 받고싶은데 선생님에게요~
    어떻게해야 뵐 수 있을지요?😂

  • @user-lr7mq9cv9m
    @user-lr7mq9cv9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씁쓸한게.. 학교와 선생님에 따라서 실제로 한 활동이라도 생기부에 기재되는게 차이날 수 있다는게 안타깝네요.. 생기부 기재에 대해서 학교나 선생님에 따른 차이를 받지 않도록 활동기재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정해진 엄격한 가이드라인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활동을 안해서 기재되지 않는건 상관없지만, 어떤 선생님은 해주시고 어떤 선생님은 나열식으로 만 하고 더 이상 안해주신다는데.. 요즘 입시 교육환경에서 그런 분들은 교사로서 책임을 다하지 않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 @user-ol3ks6bt1s
    @user-ol3ks6bt1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2 학생을 둔 엄마입니다.
    아무것도 모르겠고 제가 공부하면 핤수록 더 어텹고 아이 생기부를 검토해도 무슨말인지 도통 모르겠다가 아이권유로 구독하게 되었습니다.
    수의예과를 희망하는 딸인데 제가 아이에게 방향을 제시해서 부모로써 으슥으슥하고싶네요.

  • @agaya2127
    @agaya212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일반고 평범한 학생이 많은 과목 탐구활동을 스스로 해서 결과물을 만드려면 과로로 쓰러질 겁니다. 취사선택해서 진로와 관련된 과목 한 두개만 저렇게 해도 훌륭합니다. 교사가 다 써주고 싶어도 성적 관리하면서 탐구하려면 현실적으로 능력과 시간의 한계를 인정해야죠.

  • @user-mh1cw7dl6s
    @user-mh1cw7dl6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고등학교 2학년 1학기까지 생명공학과 진학을 꿈꾸다가 갑자기 통계학/데이터 사이언스 학부로 진로가 바뀌었는데 큰 영향이 있을까요? 생명공학과 진학을 꿈꿀 때 거의 모든 과목을 생명과학이랑 연관시키고 제가 했던 활동들이 많이 들어가있어서 생기부 내용이 나쁘지는 않은데 그냥 과목에 대한 심화탐구라고 보실까요???

    • @user-dw1by9ko9q
      @user-dw1by9ko9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진로가 바뀌는거는 크게 상관없다고 하셨어요

    • @user-pe3mc5wf4f
      @user-pe3mc5wf4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생명공학을 통계학이랑 연관시키는건 어떤가요?

  • @user-bw7wx9ex2z
    @user-bw7wx9ex2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선생님 혹시 고1때부터 진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활동을 해야하나요? 아니면 좀 추상적으로 활동해야하나요?

  • @user-kl2ic7jl8n
    @user-kl2ic7jl8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영상은 학교 선생님들이 꼭 봤으면 좋겠네요..

  • @plus1029
    @plus102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생기부는 학생이 쓰는게 아닌데 이리 알려주는건 학생이 선생한테 요구하라고 영상올리신건가요? 아니면 요즘은 생기부를 학생이 쓰는건지 무슨 자소서가 따로없네요

  • @ejklglenag555
    @ejklglenag55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쓴 생기부는 제가 봐도 확실히 다르네요 😊

  • @user-ms3yb1bt2s
    @user-ms3yb1bt2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선생님에 따라 다른데 ㅎㅎㅎ 수시 학종이 공정한지 정말 모르겠네요

  • @user-ur3bw2hz8m
    @user-ur3bw2hz8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 세특이 중요한가보네요. 학생들 힘들겠다... 학종은 거의 영재고나 과고 애들 뽑는 전형인 줄 알았는데, 중상위권 대학에서는 또 다를 수 있겠네요

  • @jeongheejeon6499
    @jeongheejeon649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공부도 잘하고 인성이 훌륭한아이들은 어떻게 해서라도 잘써주려고 노력한다고하던데... 현실은 공부는 좀하는것같아도 이기적인 아이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어서...

  • @hmjang7004
    @hmjang700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합니다^^

  • @real1537
    @real153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근데 저 부분들은 선생님만 고칠 수 있는건가요? 얘를 들어 설령 단순 나열식으로 되있다 하더라도 제가 뭘 할 수 있는게 없지 않나요?

  • @vitakkr
    @vitakk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독과 좋아요 인증은 어디에 하나요?
    커뮤니티가 유튜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요?

  • @x6631
    @x663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ㅠㅠㅠㅠ 생기부 다 갈아엎고 싶네요

  • @user-td6ii3mj3b
    @user-td6ii3mj3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고려대 계열적합 생기부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 @user-xf3fc7ex4p
    @user-xf3fc7ex4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일반고는 대부분 나열식이예요ㅠㅠ

  • @user-xk6tg8lk4t
    @user-xk6tg8lk4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일반고 다니는 아이의 생기부가 망하는 생기부로 예를 든 것들 모두 해당하네요. 탐구보고서 주제부터 활동까지 담당교사가 극찬을 하길래 기대하고 본 세특은 단순나열식 딸랑 한줄 그래서 보충해달라 건의해도 묵살. 선생님에 따라 세특은 천지차이. 학년마다 10명 넘는 샘들이 있는데 딱1~2명만 제대로 써줌
    수시는 없어져야 함.

  • @user-zc9lp3ky9v
    @user-zc9lp3ky9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선생님 혹시 특성화고 학생도 입시 상담 받나용

  • @user-wr1ue5in6w
    @user-wr1ue5in6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생기부자체가 없어져야지 원 타짜들이 끌어주는 애들이랑 뭐가 뭔지도 모르고 부모님이 정보도 없는 애들은 뭐 어쩌라는건지. 말세다 말세 ㅉㅉ

  • @iracham8029
    @iracham802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선조아요 후듣기

  • @campingtimes
    @campingtime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생기부는 담임쌤과 과목쌤들께서 전적으로 써주시는건데요...
    학생이 어떻게 어떤식으로 생기부 내용을 고치거나 방향을 정할수있나요? 뭔가 방법이 있는것같은데 시원스레 누구도 말을 않해주네요. 쌤들께 확장활동 상의드리고 잘했다치고, 그 활동들이 적히는 생기부 문장표현과 구성들을 어떻게 학생이 영향을 끼칠수 있단말인가요?
    유니브클래스쌤 시원한 답 부탁드립니다.

    • @theofficialaquino
      @theofficialaquin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현역 고삼인데요.. ㅎㅎ 이것도 케바케입니다 선생님 by 선생님인데.. 선생님께 아주 정중하게 요청드리는게 보통이에요.이건 팁인데, 선생님들도 세특 쓰기 힘들어하셔서 보통 보고서 서론이랑 결론만 읽는 경우가 많아서 결론을 좀 세특형식으로 작성해놓으면 그 내용이 반영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 @luvumilk
      @luvumil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학생들이랑 얘기 안 하고 수행평가 내용이랑 수업시간 발표한거 태도 본인이 본대로만 적어주시는 선생님도 계시고 학기말에 설문으로 세특 어떤방향으로 어떻게 써주면 좋은지 물어보시는 선생님도 계셔요 학생들보고 자기가 한 활동 토대로 알아서 다 적어서 내라고 하시는 분도 계실거고 선생님마다 달라요
      그래서 영상에서 말씀하시는게 일반고면 원하는 대로 적어주시는 선생님이 소수니까 그 선생님 과목에서 역량을 보여서 원하는대로 세특을 꾸려나가라고 하시는거 같아요

  • @user-vk2kz7yc8q
    @user-vk2kz7yc8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선생님~출연신청말고
    입시상담 방문하고싶습니다.
    연락을 어떻게 취할수있나요?

  • @user-yb1zb6ie9r
    @user-yb1zb6ie9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말씀은 정말 구구절절 맞는 말씀입나다. 다만 현실에서는 생기부를 학생의 의사대로 그대로 작성하는 학교가 있을까요? 현실에 맞는 조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아니면 정말 희망고문이 될것 같습니다. 생기부를 고친다면.그 대안이 무엇인지가 문제입니다.

  • @user-rn6hz9ex9m
    @user-rn6hz9ex9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학년은 아직 생기부에 신경을 덜 써도 된다고 하시면서 "약학과만 아니라면 " 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약학과 지망하는 학생은 생기부를 1학년때부터 어떻게 관리해야하는걸까요? 1학년때부터 신경써야 한다는 말씀이신거죠?

  • @user-zu2nd6gg7v
    @user-zu2nd6gg7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생기부 수정이 가능한가요?어떻게 할수있나요?이해가 안되네요. 생기부 작성을 학생이 하는게 아닌데 마음에 안들게 작성이 되어있거나 수정이 필요할 경우, 해당 선생님께 찾아가서 수정해달라 요청을 할수가 있나요?또한, 생기부 작성을 이렇게이렇게 해주십시오. 라고 요청할수도 없는거 아닌가요?정말 이해가 안됩니다ㅜㅜ
    어떤 활동을 더 심화하기 전 선생님께 문의를 하고 상의를 해서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 정도는 그래도 어느정도 이해가 되긴하는데, 이미 작성된 생기부 수정(오탈자 제외)이나, 아예 방향을 제시해서 이렇게 작성해주십사 하는건 어떻게 하라는건지 알수가 없네요...

    • @user-cq3yw4sp1i
      @user-cq3yw4sp1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진짜 제말이 그말이예요. 이런 영상 백날 학생이 보면 뭐합니까, 방향성 잡고 생각해서 몇날몇일을 새벽 3시까지 해서 냈는데도, 생기부에는 학생의 구체적인 역량을 나타내는 내용이 없는데요, 샘들 본인이 작성한거 오탈자 외에 절대 안고쳐줘요. 샘들 같은 보고서 놓고 생기부 작성 시험 같은거 좀 보셨음 좋겠네요.

  • @eon0y348
    @eon0y34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근데 진짜 궁금한게 세특은 선생님들이 써주시는 건데 내가 열심히 한다고 해서 선생님이 그렇게 안 써주면 의미 없는 거 아닌가요? 그럴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 @ddgiki_yang
      @ddgiki_yan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평상시에 예습을 하면서 수업자체에 호기심과 관심을 가지고 선생님께 자주 질문을 해보세요.

  • @user-td3bq8if9f
    @user-td3bq8if9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선생님들의 능력이 발휘되는 생기부 ᆢ
    아이들이 열심히해도. 쌤들이 의욕이 없으면 무용지물 이네요

  • @user-th9xs4rm8t
    @user-th9xs4rm8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쌤사랑해여...😭😭😭😭😭😭😭😭😭😭

  • @jellying_0903
    @jellying_090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 영상을... 제가 고1때 올려주셨으면... ㅠㅠㅠㅠㅜㅜ

  • @jasminsmom680
    @jasminsmom68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샘들이 작성해주는 생기부인데, 5학기 지내보니 아이 학교에는 성의없는 샘들이 열에 7~8인지라,, 그냥 한숨만 나오지요.
    아이가 꼬박 20시간 정도 열과 성을 다해서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해 보고서를 써갔는데,,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함.. 이런 식으로 딱 2줄 적어주심.
    안드로이드앱이 뭔지는 아시나요 ㅠㅠㅠ
    이게 공립 일반고 현실입니다..

  • @hotelafrica1111
    @hotelafrica111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whoh3222
    @whoh322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이런 걸로 입시가 결정된다는 것이 문제!!! 실체가 없는 말장난 다름 아님.

  • @user-gf3nr8gh6h
    @user-gf3nr8gh6h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열심히 써달라고 쌤들께 늘 부탁드리는데 잘 안써주시는 경우가 많아서 속상하네요

  • @user-gl7lj3wf7t
    @user-gl7lj3wf7t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보통 일반고는 다음해에만 생기부 떼볼수있어서 디테일요청이 어렵더라구요 😢

  • @user-zr1hv4hf2z
    @user-zr1hv4hf2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삭제 요청이 아니라, 자료를 더 제출하는 게 낫죠. 삭제하면 남는 게 없을텐데..
    모든 활동이 저렇다면 학생이 한 활동이 없을 확률 높음

  • @Justness180
    @Justness18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생기부에 학생의인성을 진실되게여과없이 솔직히적어야합니다
    인성바른 사회인이 살아남게

  • @boojaaa
    @boojaa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러니까 세특 수정 요청 드려도 가능하다는건가요? -현중3 맘-

  • @user-id5ir2pc5f
    @user-id5ir2pc5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일반고에서 일어나는일이 그대로 묘사되네요.
    일반고의한계앞에서 고3엄마 무너집니다.
    공부분위기도 엄청중요요

  • @user-so1pu8kd3f
    @user-so1pu8kd3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컨설팅 받으려면 어디로 연락 드려야 할까요??

  • @user-hj7hd2os7b
    @user-hj7hd2os7b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학교에서 참여하지 않은 학생이 반인데... 쓸내용이 없고. 해서 단순 나열이다.

  • @user-ob8tj5js6t
    @user-ob8tj5js6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공부할 시간도 모자른데 바라는것도 많아. 어짜피 자사고도 선생님들이 지어주다시피 채워주더만. 그거보고 좋다고 뽑는 입학사정관도 어이없고, 표준편차도 잘 나오게 할려면 꼼수도 많더구만..

  • @sooyeolleears.yj2125
    @sooyeolleears.yj212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2:09 고2

  • @pnoki5024
    @pnoki502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학종에서 한과목당 탐구주제가 보통 몇개정도 들어가나요

    • @user-wl9ol1lu3d
      @user-wl9ol1lu3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세하게 잡으면 2개, 활동 내용을 좀 많이 적고 싶으면 3개 정도 들어가는 편입니다.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그래도 생기부를 좀 잘 써준다 하면 이렇게 넣더라구요

  • @user-ic3hn1bp4i
    @user-ic3hn1bp4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생기부는 과목선생님들이 작성하는건데 학생이 이렇게 써달라 할수없는부분 아닌가요?
    일반고 생기부거의 나열식인듯한데요~학부모상담때 담임이 본인은 수학쌤이라 생기부 잘못쓴다고 데놓고 얘기하시는분도 있어요

  • @wittyo9z2
    @wittyo9z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직 고3인데 저는 왜 이걸 지금 봤을까요.. 제 생기부 어쩌죠,,,

  • @sarahsong393
    @sarahsong39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선생님들이보셔야....

  • @user-wr1tu9oi6m
    @user-wr1tu9oi6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리 아이 학교 수학샘께서 하신 말씀은 본인께서 너의 활동을 이해한대로 정리할 것이다 그런데 너의 이 내용은 너무나 어려워서 내가 뭘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다 그래서 안쓸수도 있다 라고 하셨다네요 정말 선생님들께 부탁드립니다~ㅠ.ㅠ

  • @freedamu
    @freedam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렇게 세세하게 들여다봐야하는데 "이런 정도"라고요...?

  • @shp3095
    @shp309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선생님들께서 모두 영상봐주셨음. ㅎㅎ
    아아들이 적극적이여야하는데 그렇지도 못하고 부모인 제 맘만 너무 급하네요

  • @luvumilk
    @luvumil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5:37 7;05 8:27

  • @user-mc4ud5wd7k
    @user-mc4ud5wd7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8월30일 이후 자신에 생기부를 볼 수 있습니다

    • @user-dw1by9ko9q
      @user-dw1by9ko9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닌뎁쇼 나이스 들어가셔서 봐도 돼고 선생님한테 보여달라고 하셔도 돼요

  • @user-cl8qp7vi8q
    @user-cl8qp7vi8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예비 고딩맘입니다.. 문제는 저런 내용으로 활동을 해도 정작 써주시는 선생님이 저런 방식으로 써주셔야 하는 거 아닌지요.. 그럼 선생님이 저렇게 써주시게 하려면 어떠한 노력/활동을 해야하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 @user-ip2yg2hv5c
    @user-ip2yg2hv5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교사의 역량이 낮다면 학생이 뛰어나더라도 세특 망하는 건가요? 우리나라 대학입시제도는 이상해요. 복불복도 아니고... 소수의 몇몇 특성화 된 학생을 뽑기 위해 대다수 학생들의 사교육비가 어마무시하다...

  • @greatKorea2024
    @greatKorea202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생기부를 쌤이 쓰시는데 학생이 뭘 어찌할수있을까요
    서초구 일반고 울아이 1학년 담임이 총평에 잠이 많다고 썼네요 기가막혀 아이에게 물어보니 담임시간에 맹세코 엎어져잔적도 1년내내 지각한적도 없습니다 다른과목쌤들은 다 잘써주셯는데 담임이 ㅠㅠ
    학종 포기해야할까요? 하고많은 말중에 잠이 많다니요 ㅠ내신도 너무 힘든 학교인데 모의고사가 두등급정도 잘나오구요
    학종 포기하고 정시해야하나요 30대 젊은 담임이 무슨 억화심정으로 그리써주는지 속상합니다

    • @user-cq3yw4sp1i
      @user-cq3yw4sp1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샘한테 그런건 물어보셨어야 되는데요, 마지막에 오탈자 수정할거 보라고 보통 애들 보여주거든요. 그때 이거 왜 쓴건지 샘하고 얘기하셨어야 되는데 안타깝네요

    • @greatKorea2024
      @greatKorea202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user-cq3yw4sp1i집안일이 있어 정신없다가 2학년 봄에 확인했어요 애들이 말하면 안고쳐줘요 그건 쌤 권한이라고ᆢ저는 이미 타이밍을 놓쳐서ㅠㅠ
      울아이 학교애들은 거의 정시로 대학갑니다 수시로 잘갔다는 애들은 별로 못봤어요 이유가 있는것 같아요 서초강남 쌤들 애살없어요 큰애때도 봤지만 엄마가 신경써야지 학교에선 암것도 안해줍니다 여기글올리시는 선생닝들은 정말 존경받아 마땅한분들이에요

  • @user-pe3mc5wf4f
    @user-pe3mc5wf4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제발 우리 학교 선생님들이 봐주셨으면….ㅠㅠ
    학생 인생이 달린 일이나 다름없으니 제발

  • @user-om6xw3ld5k
    @user-om6xw3ld5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아니
    이런건 선생님들이 교육받아야되는거 아닌가요?

  • @lions7181
    @lions718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정말 이런 유익한 정보를 볼 때마다 느끼는 건데 학생이나 부모님이 보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이런 영상은 무엇보다도 학교 선생님들께서 보시고 참고를 하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무지하게 많이 하게 되네요

  • @user-pe6gr3qi8q
    @user-pe6gr3qi8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학기 생기부는 못봐요?

  • @user-ht7ji3vf3w
    @user-ht7ji3vf3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왜 이런 정말 필요한 정보는 거의 끝나가는 마당인 이제서야 보이고 학교에서는 이런걸 왜 1학년 때부터 구체적으로 안알려줄까요ㅠㅠ

  • @user-qk6fg4vk7m
    @user-qk6fg4vk7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ㅋㅋㅋ 안좋은 사례 내 생기부 복붙한줄

  • @applesilver1886
    @applesilver188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선생님들이 힘드시다는건 너무 잘 알지만 정말 나열식 ...할많하않

  • @user-yb5gc9ut1i
    @user-yb5gc9ut1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저걸 누가써? 내가 써? 교사가 쓰는데~~~

  • @hckang4964
    @hckang496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런 식으로 학생과 학부모가 다 확인하고 챙기나요? 현실적으로 납득이 안되네요.
    학생이 아무리 열심히 학교생활을 하고, 무슨 활동을 했든, 제대로 효과적으로 표현해서 서술하기에
    선생님의 역량으로 좌우된다는 얘긴데, 어떤 쌤을 만나느냐에 학생의 인생이 달렸다는게...처참하네요.

  • @user-er6qh7mn2q
    @user-er6qh7mn2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자사고ㆍ특목고 가려는 큰 이유중 하나가 공정치못한 생기부작성때문이기도 합니다
    별거 아닌것도 유려하게 작성해주는 자사ㆍ특목고 대비 일반고는 대부분 기계적이고 나열식이니 공정한 대입정책이라 볼수는 없겠죠 반드시 수정되야할 대입정책입니다

    • @cr12kim89
      @cr12kim8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자사고 특목고가 별거 아닌걸로 유려하게 써주는게 아니라 그렇게 유려하게 쓰여지도록 피눈물나게 엄청난 양의 보고서 쓰고 수행 하는게 특목고 아이들입니다.

    • @aslankim736
      @aslankim73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자사고 특목고랑 일반고 아이들 과제물 수준 자체가 다르니 생기부 내용도 다른거예요.

  • @user-ro3tm5sg1n
    @user-ro3tm5sg1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고2 학부모입니다. 아이들이 아무리 열심히 해도 교사의 영향력에 따라 다르다는것을 알게 되었어요. 교사들이 이런 교육을 받으셨으면해요.
    생기부를 잘 작성해주시는 선생님을 학생들이 선정해야하는 참 안타까운 현실이네요.

  • @whitecrane45
    @whitecrane4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리아이 일반고입니다.
    아이가 하는말이, 모든 세특 주제는 학교 전교 1등이 가고싶은 전공의 주제로 정해진다고 합니다. 안타깝습니다. 과목마다 한두줄밖에 안써주는 세특, 그나마 열심히 해보겠다고 애쓰는데...도와주지 못해서 엄마로써 안타깝고 미안합니다...이놈의 대학입시....

  • @oh-pg6iq
    @oh-pg6iq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야물딱 감사합니다.~

  • @stevelee7997
    @stevelee799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선생님들이 평가만 적어줘도 많이 좋아질텐데, 일반고 샘들은 자기 생각이 없나 봅니다. 사실만 적으심 ㅡ.ㅡ. 이런 영상은 선생님들께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