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소비료 과잉에 따른 피해 증상과 원인. 왜 그런 일이 일어날까 이치에 따라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질소를 알아야 작물이 보인다 3번째 이야기)질소과잉 증상, 질소과잉 피해 원인.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 ส.ค. 2020
  • 작물에게 가장 필요한 영양소가 질소이지만 질소 과용에 따른 피해도 여러 가지 있습니다. 질소 과잉 증상과 질소과잉이 왜 그런 피해를 일으키는지 그 원리와 이치를 따져 설명드립니다.
    #질소과잉 #질소비료 #작물재배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8

  • @user-gf5ev6dh4e
    @user-gf5ev6dh4e 3 ปีที่แล้ว +10

    질소비료 과다하면 큰 해가 되겠군요 잘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rk1fw5ch4v
    @user-rk1fw5ch4v 3 ปีที่แล้ว +5

    잘보고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manetia916
    @manetia916 3 ปีที่แล้ว +6

    정말 유익합니다~^^

  • @user-yq2rw8ir6b
    @user-yq2rw8ir6b 2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재밌고 유익한 시간이었네요.

  • @user-yb7uy5kd8e
    @user-yb7uy5kd8e 3 ปีที่แล้ว +3

    감사합니다.

  • @user-im3ce2my3b
    @user-im3ce2my3b 3 ปีที่แล้ว +1

    네~잘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hail7190
    @hail7190 2 ปีที่แล้ว

    질소비료 소중한 말씀과 영상,
    감사합니다.^-^

  • @zolla9917
    @zolla9917 3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

  • @user-ew4qk1cx7l
    @user-ew4qk1cx7l 2 ปีที่แล้ว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 @user-mk2te5kl1m
      @user-mk2te5kl1m  2 ปีที่แล้ว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donghoon61
    @donghoon6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mk2te5kl1m
      @user-mk2te5kl1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user-xx8qz4gu5u
    @user-xx8qz4gu5u 3 ปีที่แล้ว +4

    잘보고감니다
    광합성을 도와줄수잏는건 잆을까요?

    • @user-mk2te5kl1m
      @user-mk2te5kl1m  3 ปีที่แล้ว

      광합성을 도와줄 수 있는 것으로 햇빛 온도, 물, 그리고 엽록소 요소,..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합성을 하므로 시설재배에서는 이산화탄소를 발산시키는 것이 도움을 줍니다. 그런 방법을 이미 사용하고 있는줄 알고 있습니다.

  • @ksc1029
    @ksc102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는 질소가높으면 썩는걸로아는데 그럼 무는 요소말고 엔케이로 추비를 해야하나요?

    • @user-mk2te5kl1m
      @user-mk2te5kl1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네, 그렇습니다. 그 비율은 무의 자람새에 맞추어 결정하면 되겠습니다.

  • @farm5469
    @farm5469 2 ปีที่แล้ว

    요소비료가 폭발하여 언제부터 언제까지 가스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 @user-mk2te5kl1m
      @user-mk2te5kl1m  2 ปีที่แล้ว

      요소비료 공정법이 공기중에서 암모니아 를 만들고 이걸 다시 이산화탄소와 결합시켜 만들므로 뿌리면 다시 옛날로 돌아가는 놈이 많습니다. 즉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는 거죠. 이 발생이 언제부터 멈추냐 하는 건 알 수 없을 겁니다. 다만 밭에 뿌릴 때 정식 1주일에서 열흘 전 뿌립니다. 이 뒤에도 발생이 없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점점 약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 @user-iz3cb1jg4i
    @user-iz3cb1jg4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혹시 책을 구매 하고싶어요

    • @user-mk2te5kl1m
      @user-mk2te5kl1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떤 책을 말씀하시는지요?

  • @user-lk1yx1nj9x
    @user-lk1yx1nj9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잎이 너무무성하고 새로생긴잎들은 아주 작고 또아리틀리듯 말려있어요 ㅠㅠ 이파리들도 모두 또르르 위로 말렸어요 ㅜㅜ 어떻게 해야하나요?제발 도와주세요 ㅠ.ㅠ

    • @user-mk2te5kl1m
      @user-mk2te5kl1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네, 작물 잎은 우리 얼굴과 같다고 하면 맞습니다. 딱 어느 한 가지 때문이 아니고 그 원인은 여러 가지 중 하나입니다. 키우는 사람이 지금까지 있었던 일을 다음 원인 중 어느 것인지 찾아야 합니다.
      잎이 말리는 현상은 고온아니 저온, 뿌리가 물을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 선충의 감염으로 뿌리가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 영양소 중 어떤 한 성분이 부족한 경우, 바이러스에 걸린 경우(이때는 잎이 쭈글쭈글하며 모자이크병일 때는 색깔의 얼룩도 있음), 진딧물 극성... 등 중 하나일겁니다.

  • @user-rd6fk5nx3g
    @user-rd6fk5nx3g 2 ปีที่แล้ว

    그러면 치료제가 있나요

    • @user-mk2te5kl1m
      @user-mk2te5kl1m  2 ปีที่แล้ว

      치료제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당연히 질소 시비를 줄이고 그 반대 성질을 가진 인산 성분 살포를 늘립니다. 그러나 보통 용성인비, 용과린은 용해 흡수가 느리니 수용성 인산을 살포하거나 엽면시비하는데 물론 이것도 과용해서는 안되겠죠.또 세포막을 강화해주는 칼슘 엽면시비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 @user-rd6fk5nx3g
      @user-rd6fk5nx3g 2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ms5wd2sf4d
    @user-ms5wd2sf4d 3 ปีที่แล้ว +3

    사장님 질소는 초기 입니다 초기는 질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아미노산 입니다 중후반은 인산칼슘 마그네슘 아미노산 입니다 과수랑 원예용 을 정확하게 설명하세요

    • @user-ms5wd2sf4d
      @user-ms5wd2sf4d 3 ปีที่แล้ว

      과수든 원예든 농법이 다릅니다

    • @user-mk2te5kl1m
      @user-mk2te5kl1m  3 ปีที่แล้ว +7

      질소 과잉은 과수이든 원예이든 과잉이면 모두 나타납니다. 그리고 과수도 채소도 초기 성장에 질소가 많이 필요한 것은 맞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후기에도 질소는 그만큼은 아니지만 필요합니다. 더구나 내년을 생각해야 하는 과수는 1년생으로 끝나는 채소와는 가을철 시비법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점을 제외하고는 크게 다를 것이 많지 않습니다. 그리고 과수 시비법에 대해서는 미리 올린 제 영상으로 답하겠습니다.댓글 감사합니다.